KR20090126692A -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692A
KR20090126692A KR1020080052915A KR20080052915A KR20090126692A KR 20090126692 A KR20090126692 A KR 20090126692A KR 1020080052915 A KR1020080052915 A KR 1020080052915A KR 20080052915 A KR20080052915 A KR 20080052915A KR 20090126692 A KR20090126692 A KR 20090126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ifferentiation
mesenchymal stem
extract
stem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송민정
신동욱
박선미
노민수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5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6692A/ko
Publication of KR2009012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유효성분으로서 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용 및 성형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비자 추출물, 지방세포, 중간엽줄기세포, 아디포넥틴, 화장료, 당뇨병, 건강식품

Description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ic cells}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피부 미용 및 성형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중간엽줄기세포의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하지방조직은 피부의 볼륨과 강도를 좌우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얼굴 부위의 피부는 체중의 증감이나 나이 등의 변화 요인으로 인해 처지고 탄력을 잃기 쉽다. 현대 사회에서 여성 얼굴의 탱탱한 피부는 건강의 상징이 되고 있으며, 많은 여성들이 부작용과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는 성형수술을 통해서라도 얼굴의 모양과 크기, 탄력을 증진시키고자 할 만큼 여성들에게 민감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폐경기 여성들에게 발생하게 되는 호르몬, 혈액, 지방, 뼈 등의 대사 이상으로 인한 얼굴의 탄력 저하 및 지방의 감소는 여성성에 대한 큰 상실감을 느끼게 한 다.
현재 지방 세포의 이식은 널리 행해지고 있다. 특히 지방 이식은 나이로 인하여 노화된 피부의 주름 개선을 비롯하여, 입술선, 턱선, 이마선의 교정, 코 성형과 화상이나 상처로 인하여 함몰된 피부, 암 절제 수술로 상실된 부분 등에 적용, 채워주는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방 이식 수술 후 이식 부피의 40~60%가 흡수되는 등 생존율과 생존기간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재이식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S Eremia et al., 2000, Dermatol. Sur. 26, 1150-1158; Fulton JE et al., 2001, Dermatol. Clin. 19(3), 523-530). 따라서 지방이 부족한 부분의 피하 지방층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까지의 피부의 탄력 증진이나 미용 효능의 화장품은 대부분이 피부의 주름 제거 또는 진피 강화 등의 일반적인 효능을 가진 성분을 사용한 것이었다. 그러나, 피부의 기본적인 구조가 피하 지방조직의 부피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므로, 피부 외곽층에 있는 진피나 표피에 탄력을 부여하는 방법보다는, 지방 조직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이 피부의 볼륨 및 탄력을 유지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비자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피부의 볼륨과 탄력을 부여하는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당뇨병(diabetes)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성인병 중의 하나로서,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급속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당뇨병 유병률이 7~8% 에 달하며, 60~70 대의 중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당뇨병 환자 중 상당 비율은 제 2형 당뇨병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및 작용 이상 및 인슐린 저항성으로 특징된다.
현재 제 2형 당뇨병 치료제를 살펴 보면,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계통의 약물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가장 먼저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된 것으로서, 췌장의 베타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당뇨 치료 효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이 약물의 큰 문제는 혈당 농도에 상관없이 효능을 나타냄으로써, 혈당이 낮아도 인슐린을 분비시켜 저혈당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는 저혈당증이 당뇨병의 주요사망원인인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 상승과 관련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최근, 새로운 종류의 합성 약물, 티아졸리딘다이온 (Thiazolidinedione)이 규명되었으며, 제 2 형 당뇨병에 대해 효과적임이 최근 보고되었다 (Nolan 등, N. Engl. J. Med., 331 : 1188-1193, 1994). 효과적인 당뇨병 치료제로서 티아졸리딘다이온의 효능은 지방유발 작용, 즉 전지방세포 및 줄기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능력과 거의 일치한다 (Harris 및 Kletzein, Mol. Pharmacol., 45 : 439-445, 1994 ; Wilson 등, J. Med. Chem., 39 : 665-668, 1996). 상기 보고된 지방 유발 효능의 티아졸리딘다이온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며, 매우 많은 양을 투여할 때에도 저혈당 상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혈장 포도당 및 증가된 인슐린의 수 준을 정상화 시킨다고 보고 되었다. 하지만, 티아졸리딘다이온의 주요 문제점은 그의 생체 내 독성 부작용으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천연물에서 지방분화 촉진 효능을 나타내어 당뇨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의 발견이 필요시 되고 있다.
지방 세포 분화 과정 중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아디포카인(adipokine) 중 하나인, 아디포넥틴(adiponectin)은 항당뇨작용을 비롯하여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Clin Nutr. 2004 Oct.; 23(5):963-74, Adiponectin, the missing link in insulin resistance and obesity). 즉, 특히 당뇨병에 있어서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혈당을 낮춤으로써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가 분화되면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지방 세포 분화 과정 중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증가 시키는 물질은 당뇨병 치료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에서는 민간요법으로 여러 가지 약초들을 당뇨병 및 여러 질병의 치료제로 사용하여 왔다. 인슐린의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효과, 인슐린처럼 작용하는 인슐린성 효과,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를 방해하는 α-글루코아밀라제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 한약재로는 율무, 상백피, 둥굴레 뿌리, 오미자 등이 있다. 목단피의 분획물에는 인슐린 민감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이미 발견되었다. 특히, 둥굴레 뿌리 추출물은 90% 췌장을 제거한 백서에서 인슐린 민감성을 호전시킴으로 체내 포도당 이용을 증가시켜 혈당을 강하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Choi SB, Park S. 2002.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on insulin resistance in 90% pancreatectomized rats. J Food Sci 67: 2375-2379]. 그 외에도 당뇨병과 관련한 것으로는 후박, 인삼 잎, 황련 등이 있다.
또한,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당뇨효능을 나타내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산 조의 단백질 농축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혈중 아디포넥틴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제2형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또는 시아니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디포넥틴 발현촉진제에 대한 내용이 일부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 내 독성이 없는 천연물을 연구하던 중 비자 추출물을 중간엽줄기세포에 처리를 하였을 때,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촉진함과 동시에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하고,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유효성분으로서 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피부 미용 또는 성형에 효과적인 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당뇨병에 효과적인 비자 추출물 함유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예를 들어,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능을 나타내며, 이를 피부 미용 또는 성형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효성분으로서 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피하 지방층을 구성하거나 지방세포를 제공하여 지방조직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자”는 비자나무의 종자로서, 비자나무는 나자식물 구과목 주목과의 상록교목이고, 학명은 Torreya nucifera이다. 유사종으로는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Nakai), 눈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var. nana Nak.) 등이 있다. 비자나무는 주로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며, 토심이 깊고 비옥 적윤한 사질양토에서 자란다.
본 발명자들은 지방조직을 이루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근본적으로 피부의 볼륨감을 증가시켜 줄 수 있는 활성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천연물 중에서 연구 및 검토한 결과, 비자 추출물이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지방세포 분화 촉진 효능은 신체의 특정 지방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방층이 많은 여성의 가슴 부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당뇨 연구에 사용되는 지방전구세포는 인슐린과 같은 유도 물질의 존재 하에서는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화를 촉진하는 물질인 인슐린과 유사한 물질(인슐린성 물질)의 존재 여부를 탐색하는 실험에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 지방전구세포 (preadipocyte) 뿐만 아니라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방세포는 포유 동물의 지방전구세포 또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일 수 있다. 특히, 중간엽줄기세포는 피하 조직 등에서 채취한 지방전구세포를 완전한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과 거의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방세포 분화의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지방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중간엽줄기세포는 신체의 대부분의 조직에 분포되어 있다. 중간엽줄기세포는 어느 조직으로부터 유래한 것인지에 따라 그 성질 또는 특성에 있어서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사한 성질 또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방세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골수로부터 유래한 중간엽줄기세포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조직의 증가를 통해 피부 미용 또는 성형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외용제 조성물은 사용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비자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중간엽줄기세포의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 추출물 함유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가 분화되면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이다. 또한, 상기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혈당을 낮춤으로써,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경구 투여이다.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01 mg/kg/일 내지 대략 2000 g/kg/일 범위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효성분으로서 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비자(생약명: Torreyae Semen, 중국산) 30 g을 에탄올(95.0 ~ 95.5v/v%) 200 ml에 넣은 다음, ASE300 ACCELERATED SOLVENT EXTRACOR(DIONEX Corporation) 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1500 psi 압력하에 20 분간 분쇄하였다. 또한 Ultrasonic cleaner(BRANSON Ultrasonics corporation) 소니케이터 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3 일 정도 추가 분쇄하였다. 분쇄된 비자 추출물을 Modul spin 40 (Biotron corporation) 기기를 이용하여 40℃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인간의 골수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에 대한 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효과
(1)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 배양 및 비자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촉진 효능 발견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를 론자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하여 론자사의 지침서에 따라 배양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는 인도메타신 (indomethacin) 대신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을 사용하여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점을 제외하고 론자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엽줄기세포의 배양액에 인슐린 1 μg/ml,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1 μM 및 이소부틸메틸잔틴 (isobutylmethylxanthine, IBMX) 0.5 mM 을 넣고 배양하여 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실험군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유도시에 비자 추출물 3, 10, 30 ppm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 10 μM 과 및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TRO) 2 μM 을 각각 사용하여, IDX 배지와 같이 처치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시작한 지 14일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10% 포르말린/PBS 용액 0.2 ml/cm2을 사용하여 세포를 10분간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60% 이소프로판올 용액 0.5 ml/cm2로 1회 세척하고, 오일레드오(Oil Red O)를 60% 이소프로판올에 녹인 염색액 0.2 ml/cm2로 10분간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를 염색하였다. 이어서, 헤마톡실린(hematoxylin) 으로 재염색을 행하여 세포핵을 쉽게 구분되도록 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지 않으면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였다.
(2) 비자 추출물의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촉진 효과의 정량적 측정
상기 (1)에서와 같이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되, 7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A 군에는 인슐린 1 μg/ml 만 처리하고(대조군), B 군에는 인슐린 1 μg/ml, DEXA 1 μM 및 IBMX 0.5 mM (하기 IDX)를 처리하였으며, C 군은, 양성 대조군으로서, IDX 외에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 10 μM을 처리하였다. D, E, F 군은 IDX 과 비자 추출물을 각각 3, 10, 30 ppm을 처리하였다. G 군은 또 다른 양성 대조군으로서 IDX 외에 Troglitazone 2 μM을 처리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1)에서와 같이 지방세포를 오일레드오로 염색한 후, 염색된 오일레드오를 100% 이소프로판올 용액으로 용출시킨 후 50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각 데이터 값은 인슐린 대조군으로 보정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IDX 에 의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 경우, 비자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것에 비해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가 각각 30 ppm의 비자 추출물이 처리된 실험군에서 41% 정도 증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를 10 M 처치 하였을 때는 29%,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2??M을 처치했을 때는 35%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이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용량 의존적으로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통계는 양측 student T test 로 검증하였고, p 값이 0.05 이하일 때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고 표시하였다.
[실험예 2] 인간의 골수 중간엽 줄기세포의 아디포넥틴 발현양에 대한 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효과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혈당을 낮춤으로써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방 분화 촉진의 마커인 동시에 항당뇨 효능을 나타내는 아디포넥틴의 양을 각 세포 배양 배지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2에서와 같이,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 되, 6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A 군에는 인슐린 1 μg/ml만 처리하였고(대조군), B 군에는 인슐린 1 μg/ml, DEXA 1 μM 및 IBMX 0.5 mM (하기 IDX)를 처리하였으며, C 군은 양성 대조군으로서 IDX 외에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 10 μM을 처리하였다. D, E, F 군은 IDX 와 비자 추출물을 각각 3, 10, 30 ppm을 처리하였다. 트로글리타존은 아디포넥틴의 양을 급격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양성 대조군에서 제외하였으며,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만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아디포넥틴의 발현양을 측정하기 위해 지방 분화 14 일 째 세포 배양 배지를 채취한 후, 아디포넥틴 ELISA Kit(R & D system, cat.no DY1065)를 이용하여 아디포넥틴의 양을 정량하였다(각 데이터 값은 인슐린 대조군으로 보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3을 참조하면, IDX 에 의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 경우, 비자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것에 비해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가 각각 3, 10, 30 ppm의 비자 추출물이 처리된 실험군에서 아디포넥틴의 발현양이 1.2 배, 1.6 배, 3.2 배 정도 증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를 10 M 처치 하였을 때는 3.3 배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이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 분화 과정에서 지방 분화의 대표적 마커인 아디포넥틴의 양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통계는 양측 student T test 로 검증하였으며, p 값이 0.05 이하일 때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고 표시하였다.
[실험예 3] 지방세포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 수준에 대한 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효과
상기 실험예 1, 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비자 추출물에 의해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분화가 촉진되고 분화된 아디포넥틴의 발현양이 증가한 사실을 바탕으로, 비자 추출물이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의 단계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에 비자추출물을 30 ppm 농도로 7 일간 처리한 후,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세포 내의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키아젠사의 RNA 키트(Qiagen RNeasy kit, Qiagen, Valencia, CA)로 한번 더 정제한 후, 애질런트사의 바이오어낼라이저 2100 모델 기기(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RNA의 질(quality)을 확인하였다. 인비트로젠사의 역전사키트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RT) II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상기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고, 이를 실시간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반응(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으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7 일째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현 패턴 변화를 플라이드바 이오시스템사의 택맨 유전자 발현 시스템(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아디포넥틴 (Hs00605917_m1), PPARγ (Hs00233423_m1)). 실험 결과를 하기 도 4에 나타내었으며, 도 4a는 PPARγ mRNA 발현량을 도 4b는 아디포넥틴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0 ppm의 비자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인 아디포넥틴(ADIPOQ) 및 PPAR의 전사 수준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비자 추출물이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들이 관여하는 세포 내 특정 기전을 조절하여 지방 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지방세포 내의 아디포넥틴의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비자 추출물................100 mg
옥수수 전분...............................68 mg
락토오즈..................................90 mg
미세결정질 셀룰로즈.......................4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2 mg
통상적인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교반한 후,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타정기를 사용하여 1 정당 유효 성분인 비자 추출물이 100 mg씩 포함되어 있는 목적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비자 추출물..................100 mg
옥수수 전분................................68 mg
락토오즈...................................90 mg
미세결정질 셀룰로즈........................4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2 mg
통상적인 캅셀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1 캅셀 당 100 mg의 비자 추출물이 적절한 크기의 젤라틴 캅셀에 충진하여 목적하는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정제수..........................255 mg
실시예 1의 비자 추출물..................0.3 mg
부틸렌글리콜......................................6.0 mg
프로필렌글리콜...................................6.0 mg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mg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0.6 mg
폴리솔베이트 80...................................1.2 mg
에탄올..........................30.0 mg
트리에탄올아민......................0.3 mg
방부제, 색소, 향료...................................소량
통상적인 유연화장수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목적하는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조
정제수..........................234 mg
실시예 1의 비자 추출물..................0.3 mg
밀납......................................12.0 mg
폴리솔베이트 60...................................4.5 mg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4.5 mg
유동파라핀......................1.5 mg
Montana 202 (제조사:Seppic)...................................15 mg
글리세린..........................9.0 mg
부틸렌글리콜......................9.0 mg
프로필렌글리콜...................................9.0 mg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mg
트리에탄올아민......................0.6 mg
방부제, 색소, 향료...................................소량
통상적인 영양화장수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목적하는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마사지크림의 제조
정제수..........................70 mg
실시예 1의 비자 추출물..................0.3 mg
밀납......................................30.0 mg
폴리솔베이트 60...................................4.5 mg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6.0 mg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2.4 mg
유동파라핀...................................120.0 mg
스쿠알란..........................15.0 mg
Montana 202 (제조사:Seppic)......................12.0 mg
글리세린......................15.0 mg
부틸렌글리콜...................................12.0 mg
프로필렌글리콜..........................12.0 mg
트리에탄올아민......................0.6 mg
방부제, 색소, 향료......................소량
통상적인 마사지크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목적하는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도 1은 비자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지방세포의 분화정도를 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한 모습이다.
도 2는 은 비자 추출물의 처리 농도를 달리한 실험군들에 대한 흡광도를 비교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비자 추출물의 처리 농도를 달리한 실험군들에 대하여, 아디포넥틴 ELISA kit를 이용하여, 아디포넥틴의 양을 정량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비자 추출물의 처리 농도를 달리한 실험군들에 대하여, 택맨 유전자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PPARγ mRNA의 발현량(도 4a)과 아디포넥틴 mRNA의 발현량(도 4b)을 비교 분석한 그래프이다.

Claims (9)

  1. 유효성분으로서 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세포의 분화를 통해 지방조직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세포는 포유 동물의 지방전구세포 또는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로부터 분화된 지방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 동물의 중간엽줄기세포는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는 인간의 골수로부터 유래한 중간엽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용 또는 성형 목적의 지방조직의 증가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간엽줄기세포의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의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 2 형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0080052915A 2008-06-05 2008-06-05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20090126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15A KR20090126692A (ko) 2008-06-05 2008-06-05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15A KR20090126692A (ko) 2008-06-05 2008-06-05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692A true KR20090126692A (ko) 2009-12-09

Family

ID=4168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915A KR20090126692A (ko) 2008-06-05 2008-06-05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66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8571A (zh) * 2012-02-20 2012-07-18 浙江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香榧软胶囊的生产方法
KR101426402B1 (ko) * 2011-12-30 2014-08-08 박영준 줄기세포 증식능 및 분화능 개선용 조성물
WO2014178676A1 (ko) * 2013-05-03 2014-11-06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수유래 줄기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402B1 (ko) * 2011-12-30 2014-08-08 박영준 줄기세포 증식능 및 분화능 개선용 조성물
CN102578571A (zh) * 2012-02-20 2012-07-18 浙江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香榧软胶囊的生产方法
WO2014178676A1 (ko) * 2013-05-03 2014-11-06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수유래 줄기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
US10342835B2 (en) 2013-05-03 2019-07-09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Medicine Institute Composition containing angelica extract for promoting proliferation of stem cells derived from bone marr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1824B2 (en) Method for inducing pluripotent stem cells and pluripotent stem cells prepared by said method
CN103893345B (zh) 含有天然提取物的组合物
TWI640317B (zh) 茯苓萃取物及其活性成分於保養肌膚及/或促進傷口癒合之用途
KR100611796B1 (ko) 십전대보단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022091A1 (ja) 脂肪幹細胞誘引剤を含む、真皮空洞化による皮膚のたるみ又は老化改善剤
KR101908221B1 (ko) 금방동사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090126692A (ko)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CN111356468A (zh) 包含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纤维化疾病的组合物
KR20100008541A (ko) 괄루인 또는 마자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간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1656682B1 (ko) (-)카테친, (-)에피카테친 갈레이트 및 (-)갈로카테친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 성형용, 및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6617B1 (ko) 호랑가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1679391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KR101722615B1 (ko) 산뽕나무, 한련초, 지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81166B1 (ko) 황칠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7762B1 (ko) 피뿌리뿔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JP2021176888A (ja) パープルコーン抽出物を含む皮膚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剤学的組成物
US11278748B2 (en) Endothel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KR20100025045A (ko) (-)카테친, (-)에피카테친 갈레이트 및 (-)갈로카테친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 성형용, 및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8864A (ko) 비피더스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증진용 및 피부세포 증식용 조성물
KR20120009183A (ko) 인간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1114006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 조성물
KR20120058830A (ko) 하이페리쿰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증진용 및 피부세포 증식용 조성물
KR20120058829A (ko) 세콰이어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증진용 및 피부세포 증식용 조성물
KR101517828B1 (ko)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704481B1 (ko) 흑축 추출물, 전호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슬리밍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22

Effective date: 2011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