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320A -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320A
KR20090123320A KR1020080049320A KR20080049320A KR20090123320A KR 20090123320 A KR20090123320 A KR 20090123320A KR 1020080049320 A KR1020080049320 A KR 1020080049320A KR 20080049320 A KR20080049320 A KR 20080049320A KR 20090123320 A KR20090123320 A KR 20090123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riker
handle
bus
emergenc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135B1 (ko
Inventor
송영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13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버스의 차체 측면에 힌지(120)로 연결설치된 비상구 도어(100)를 차체와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해 마련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로서, 도어(100)에 복원력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2스트라이커(340,540); 회전시 제1스트라이커(340)를 당겨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일단이 제1스트라이커(340)에 연결되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핸들(320); 및 제1핸들(32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제2스트라이커(540)를 당겨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제1와이어(940)를 통하여 제2스트라이커(5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핸들(320)에 연결된 링크(360);를 포함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가 소개된다. 그 로킹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핸들을 작동시킬 경우에도 2개의 로킹이 모두 해제되어 안정적인 로킹과 편리한 해제가 가능하다.
버스 비상구, 도어 로킹

Description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Locking Unit For Emergency Door For A Bus}
본 발명은 버스의 차체 측면에 힌지로 연결설치된 비상구 도어를 차체와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해 마련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버스의 경우 운전석측에 출입구가 마련되고, 탑승자는 그 출입구를 통하여 승차 또는 하차를 하였다. 그러나 최근 일부 국가의 법규의 경우 고속버스의 경우에도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차체의 측면에 비상구를 만들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버스 비상구에 관한 기술로는 비상구의 로킹에 관한 기술보다는 비상구의 위치와 비상계단에 관한 기술만이 제시되었다. 일 예로, 공개실용신안 제20-1996-58264호는 버스 비상구용 출몰계단으로써 비상시 단순히 비상구가 개방되며 계단을 전개하는 것이고, 공개특허 제10-2001-40079호는 버스의 비상구용 보조계단으로써 이 역시 비상구의 개폐장치에 대하여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비상구의 로킹과 해제는 실내측 또는 실외측 모두에서 가능해야하며, 안정적으로 로킹을 하고, 비상시에는 용이하게 열려야하는 조건을 모두 만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로킹장치를 개발하여 상품성을 높이고, 법규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버스 비상구의 로킹과 해제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더불어 상품성과 다국의 법규를 모두 만족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는, 차체에 힌지로 연결설치된 비상구 도어; 상기 도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복원력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2스트라이커; 회전시 상기 제1스트라이커를 당겨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일단이 제1스트라이커에 연결되며 도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핸들; 및 상기 제1핸들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제2스트라이커를 당겨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제1와이어를 통하여 제2스트라이커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핸들에 연결된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스트라이커는 도어의 좌측하단,상단부에 각각 마련된 제1,2스트라이커 브라켓에 스프링으로 지지되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는 제2스트라이커 브라켓에 저지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제2스트라이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핸들은 회전축을 통해 도어에 설치되고,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회전력을 가하는 제1그립부와, 링크 및 제1스트라이커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와 제1스트라이커는 각각 연결부에 형성된 장공에 힌지를 통하여 연결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는 링크의 일단에 마련된 회전 조인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핸들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도어의 로킹을 해제하고자,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핸들과 제2와이어로 연결된 제2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핸들은 도어의 외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2그립부, 도어의 내측에서 제2와이어의 단부가 결합되는 작동부 및 제2그립부와 작동부 사이를 연결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와이어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그 제1,2와이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에 따르면, 실내측과 실외측 모두에서 로킹과 해제가 가능하며, 2개의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좀 더 안정적으로 로킹함이 가능하다. 또한, 이로 인하여 상품성이 개선되고 다국의 교통안전법규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킹장치가 장착된 버스의 비상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로킹장치는 측방의 제1로킹부(300), 상방의 제2로킹부(500) 및 각 로킹부를 잇는 와이어(900)로 구성되며, 로킹장치가 설치되는 도어(100)는 차체에 힌지(120)로 연결설치된다.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는, 도어(10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복원력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2스트라이커(340,540); 회전시 상기 제1스트라이커(340)를 당겨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일단이 제1스트라이커(340)에 연결되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핸들(320); 및 상기 제1핸들(32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제2스트라이커(540)를 당겨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제1와이어(940)를 통하여 제2스트라이커(5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핸들(320)에 연결된 링크(360);를 포함한다. 즉, 제1로킹부(300)의 제1핸들(320)을 회전시킬 경우 제1스트라이커(340)가 복원력을 이기고 도어 내측으로 후퇴되어 제1로킹이 해제되고, 제1핸들(320)의 회전에 따라 링크(360)가 회전되고, 링크(360)의 회전에 따라 제1와이어(940)가 당겨져 제2로킹부(500)의 제2스트라이커(540)가 도어 내측으로 후퇴된다. 따라서, 도어에 마련된 2개의 로킹부(300,500)가 제1핸들(320)의 회전으로 모두 해제 또는 로킹되는 구조이다. 또한, 각 스트라이커(340,540)는 차체에 마련된 홈(도면 미도시)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로킹 또는 해제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2 및 3은 제1로킹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1로킹부(300)는 제1핸들(320)과 제1스트라이커(340) 및 링크(360)로 구성된다. 제1스트라이커(340)는 도어의 좌측하단에 마련된 제1스트라이커 브라켓(341)에 스프링(343)으로 지지되며 설치된다. 제1스트라이커(340)는 제1스트라이커 브라켓(341)의 내측에서 후퇴 또는 전진된다.
제1핸들(320)은 회전축(321)을 통해 도어에 설치되고, 그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회전력을 가하는 제1그립부(323)와, 링크(360) 및 제1스트라이커(340)와 연결되는 연결부(327)가 연장형성된다. 또한, 링크(360)와 제1스트라이커(340)는 각각 연결부(327)에 형성된 장공에 힌지(324,325)를 통하여 연결설치된다.
링크(360)는 꺾인 형태로써 일단은 연결부(327)에 힌지(325)로 연결되고, 타단은 제1와이어(940)에 연결된다. 제1와이어(940)와 링크(360)의 연결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1와이어(940)는 링크(360)의 일단에 마련된 회전 조인트(944)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제1와이어(940)는 회전 조인트(944)에 설치되어 링크(360)의 회전시에도 안정적으로 제1와이어(940)가 안내되도록 한다. 또한, 제1스트라이커(340)는 제1로드(342)에 의해 제1핸들(320)에 연결되고, 제1로드(342)의 단부는 제1핸들(320)에 힌지(324)로 연결되도록 한다.
링크(360)와 제1스트라이커(340)의 제1로드(342)는 제1핸들(320)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통해 힌지(324)로 연결되어 제1핸들(320)의 반시계방향 회전시(이하, 도 2 기준임.) 제1스트라이커(340)를 당겨 로킹이 해제되도록 하고, 링크(3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와이어(940)를 당기도록 한다. 한편, 제1핸들(320)과 링크(360)의 회전축(321,361)은 도어에 마련되며, 각각 브라켓(322,362)을 통하여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회전중심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5를 참고하여 제2로킹부를 살펴본다. 제2로킹부(500)는 제2핸들(520) 및 제2스트라이커(540)로 구성된다. 제2스트라이커(540)는 도어의 상단부에 마련된 제2스트라이커 브라켓(541)에 스프링(543)으로 지지되며 설치된다. 제2스트라이커(540)는 상기 살핀 제1와이어(940)의 당김에 의해 제2스트라이커 브라켓(541)의 내측으로 당겨진다. 또한, 제1와이어(940)는 제2스트라이커 브라켓(541)에 저지되는 스토퍼(943)를 구비하며 제2스트라이커(540)에 연결되어 소음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로킹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핸들(32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도어의 로킹을 해제하고자, 제2핸들(520)은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핸들(320)과 제2와이어(920)로 연결된다. 제2핸들(52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핸들(520)은 도어의 외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2그립부(524), 도어의 내측에서 제2와이어(920)의 단부가 결합되는 작동부(522) 및 그 제2그립부(524)와 작동부(522) 사이를 연결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힌지축(521)으로 구성된다. 힌지축(521)은 별도의 핸들브라켓(523)에 의해 도어(100)에 마련된다. 제2그립부(52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이하, 도 4 기준임.) 그에 따라 힌지축(521)이 회전되고, 힌지축(521)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522)가 회전된다. 작동부(522)의 단부에는 제2와이어(920)가 연결되고, 제2와이어(920)의 타단부는 상기 살핀 제1핸들(320)에 연결되어, 제2와이어(920)가 상방으로 당겨질 때 제1핸들(320)이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2로킹의 해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핸들(320)의 반시계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1,2와이어(920,940)가 서로 간섭되지 않 도록, 그 제1,2와이어(920,9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950)이 마련된다. 패킹(950)은 제1와이어(940) 또는 제2와이어(920) 또는 양자 모두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각 와이어(920,940)의 마찰소음을 방지한다. 패킹(950)은 EPDM 합성고무를 사용한다.
상기 살핀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살펴본다. 먼저 제1핸들(320)을 회전시킬 경우(도 2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임.) 제1스트라이커(340)가 제1스트라이커 브라켓(341) 내측으로 후퇴되어 로킹이 해제된다. 링크(360)는 반대 방향으로 연동회전되어 제1와이어(940)를 당기고, 제1와이어(940)의 당김에 의해 제2스트라이커(540)가 제2스트라이커 브라켓(541) 내측으로 후퇴하여 로킹이 해제된다. 제2핸들(520)을 회전시킬 경우(도 4 기준으로 시계방향임.) 제2와이어(920)에 의해 제1핸들(3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핸들(320)을 회전시킨 경우와 같이 작동되어 양 로킹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하나의 핸들을 작동시킬 경우에도 모든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가 장착된 버스의 비상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킹장치의 제1로킹부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로킹부의 타측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로킹장치의 제2로킹부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로킹부의 타측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각 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로킹장치의 링크와 제1와이어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 120 : 힌지
300 : 제1로킹부 320 : 제1핸들
340 : 제1스트라이커 360 : 링크
500 : 제2로킹부 520 : 제2핸들
540 : 제2스트라이크 920 : 제2와이어
940 : 제1와이어 950 : 파킹

Claims (9)

  1. 버스의 차체 측면에 힌지(120)로 연결설치된 비상구 도어(100)를 차체와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해 마련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로서,
    상기 도어(10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복원력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2스트라이커(340,540);
    회전시 상기 제1스트라이커(340)를 당겨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일단이 제1스트라이커(340)에 연결되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핸들(320); 및
    상기 제1핸들(32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제2스트라이커(540)를 당겨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제1와이어(940)를 통하여 제2스트라이커(5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핸들(320)에 연결된 링크(360);를 포함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스트라이커(340,540)는 도어의 좌측하단,상단부에 각각 마련된 제1,2스트라이커 브라켓(341,541)에 스프링(343,543)으로 지지되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940)는 제2스트라이커 브라켓(541)에 저지되는 스토퍼(943) 를 구비하며 제2스트라이커(54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320)은 회전축(321)을 통해 도어에 설치되고, 그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회전력을 가하는 제1그립부(323)와, 링크(360) 및 제1스트라이커(340)와 연결되는 연결부(327)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360)와 제1스트라이커(340)는 각각 연결부(327)에 형성된 장공에 힌지(325,324)를 통하여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940)는 링크(360)의 일단에 마련된 회전 조인트(944)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도어의 로킹을 해제하고자,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핸들(320)과 제2와이어(920)로 연결된 제2핸들(520)을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핸들(520)은 도어의 외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2그립부(524), 도어의 내측에서 제2와이어(920)의 단부가 결합되는 작동부(522) 및 그 제2그립부(524)와 작동부(522) 사이를 연결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힌지축(5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2와이어(920,94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그 제1,2와이어(920,9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95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KR1020080049320A 2008-05-27 2008-05-27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KR10096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20A KR100962135B1 (ko) 2008-05-27 2008-05-27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20A KR100962135B1 (ko) 2008-05-27 2008-05-27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20A true KR20090123320A (ko) 2009-12-02
KR100962135B1 KR100962135B1 (ko) 2010-06-10

Family

ID=4168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320A KR100962135B1 (ko) 2008-05-27 2008-05-27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481A (zh) * 2018-10-26 2019-03-22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地铁列车的逃生门解锁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402Y1 (ko) 1997-12-12 2000-04-15 정몽규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481A (zh) * 2018-10-26 2019-03-22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地铁列车的逃生门解锁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135B1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8853B (zh) 滑动门的保持开启锁定结构
CN103161360A (zh) 用于车辆的门锁装置
US6273174B1 (en) Garage door opener security system
CN106401325B (zh) 一种汽车车门锁止装置
CN101519037B (zh) 一种加油口盖与滑门之间的锁止机构
CN201530285U (zh) 快速逃生车窗
CN106437349A (zh) 一种开启汽车加油口门锁和发动机盖锁的装置
CN105019789B (zh) 轨道交通车辆应急逃生窗户及轨道交通车辆
CN107700973B (zh) 一种汽车前门门锁装置
KR100962135B1 (ko)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US20020063440A1 (en) Vehicle including a door
CN103015814B (zh) 汽车门锁及用于汽车门锁的保险锁
CN206957397U (zh) 列车的车门及其紧急解锁装置
KR100916425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CN210888422U (zh) 一种站台门门锁装置
KR100980717B1 (ko)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록킹 어셈블리
KR101929575B1 (ko)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US20150082703A1 (en) Remote control mechanism for sliding door
KR100405606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CN206309165U (zh) 一种汽车车门锁止装置
KR200173679Y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래치 해제장치
CN218368015U (zh) 一种车用翻转翼子板
KR100851734B1 (ko) 차량의 후드 래치 장치
CN113338724B (zh) 一种车辆及门锁系统
CN110107169B (zh) 一种汽车门锁对调布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