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991A -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991A
KR20090122991A KR1020097021369A KR20097021369A KR20090122991A KR 20090122991 A KR20090122991 A KR 20090122991A KR 1020097021369 A KR1020097021369 A KR 1020097021369A KR 20097021369 A KR20097021369 A KR 20097021369A KR 20090122991 A KR20090122991 A KR 2009012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hannel
antennas
downlink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타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12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04B7/081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based on current reception conditions, e.g. switching to different antenna when signal level is below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장치와 통신하는 유저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와, 주파수에 따라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한다. 선택수단은,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예를 들면, 1GHz)보다도 큰 경우에, 복수의 안테나 중의 모든 안테나를 선택하고,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의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한다.
이동통신시스템, 안테나, 임계값

Description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 {USER DEVICE, BASE ST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나 HSDPA, HSUPA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이,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에 의해 검토되어,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검토되어 있다.
OFDM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여,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멀티캐리어 방식이며,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상에, 일부 서로 겹치면서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 촘촘히 나열함으로써, 고속 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릴 수 있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싱글캐리어 방식이다. SC-FDMA에서는, 송신전력의 변동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므로,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넓은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LTE는, 상향링크, 하향링크 모두 하나 내지 2개 이상의 물리채널을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유되는 채널은, 일반적으로 공유채널(shared channel)이라고 불리며, LTE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상향공유물리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며,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Sub-frame)(LTE에서는 1ms. TTI(Time Transmission Interval)라고 불려도 좋다)마다, 어느 이동국에 대해서 상기 공유채널을 할당할지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고, 상기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되는 제어채널은, LTE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Downlink L1/L2 Control Channel(DL L1/L2 Control Channel)이라 불린다.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다운링크 스케줄링 인포메이션(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ACK/NACK),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 송신전력 제어커맨드 비트(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 등이 포함된다. 상기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ACK/NACK)는,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PHICH)이라고도 불려도 좋다. 상기 PHICH는, 상기 PDCCH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PDCCH와는 병렬의 관계에 있는, 다른 물리채널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상기 하향 스케줄링 정보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가, 어느 이동국에 대해서 상기 공유채널을 할당할지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정보에 상당한다. 상기 하향 스케줄링 정보에는,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하향링크의 리소스블록(RB:Resource Block)의 할당정보, UE의 ID, 스트림의 수,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관한 정보, 데이터사이즈, 변조방식,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하향 스케줄링 정보는, Downlink Assignment Information 또는 Downlink Scheduling Grant라고 불려도 좋다. 또, 상기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상향링크의 Resource Block의 할당정보, UE의 ID, 데이터사이즈,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 Uplink MIMO에 있어서의 디모듈레이션 레퍼런스 시그널(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하향 스케줄링 정보와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는, 묶어서 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이라고 불려도 좋다.
그런데,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전송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2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WCDMA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에 있어서는, 옥내 등에서 사용되는 간이한 기지국장치 이외는, 2개의 안테나에 의한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동국이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한 경우에는, 이동국의 사이즈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이동국이, 2개의 안 테나를 구비하는 경우, 2개의 안테나의 스페이스와, 2개의 RF부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게 되어, 이동국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신 다이버시티에 의한 전송특성의 개선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2개의 안테나의 거리를, 적어도 3분의 1 파장에서 2분의 1 파장 정도, 떨어뜨릴 필요가 있다. 즉,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가 2GHz(파장:15cm)인 경우, 5cm에서 7.5cm 정도의 안테나간 거리가 필요하며,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가 800MHz(파장:37.5cm)인 경우, 12.5cm에서 19cm 정도의 안테나간 거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이 송신된다. 파일럿채널은, 이동국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에 이용되거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의 지표로서 이용되거나 한다. LTE에 있어서는, 상기 파일럿채널은, 하향 레퍼런스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라 불린다. 또, 공통채널은, 예를 들면, 알림정보의 송신이나 페이징에 이용되는 채널, 동기신호 등이다. LTE에 있어서의 알림정보가 송신되는 공통채널은, CCPCH(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또는 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이라고 불린다. 또, Dynamic BCH라고 불리는 알림정보는, PDSCH에 맵핑되어도 좋다. 상기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에어리어인 셀 내의 모든 이동국이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셀 내의 모든 이동국이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에 대해서, 무선리소스가 할당된다. 여기서, 무선리소스란, 전력 리소스나 주파수 리소스를 말한다. 주파수 리소스란, LTE에 있어서는, 리소스블록의 수나 서브캐리어의 수에 상당한다.
여기서, 셀 내에,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과,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즉,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이 혼재하는 경우, 상기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에 관한 설계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에 기초하여 수행되게 된다. 이것은, 상기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은, 셀 내의 모든 이동국이 수신할 수 없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비율이 80%이고,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비율이 20%인 경우에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에 맞추어,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의 설계가 수행된다. 이것은,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에 맞추어, 보다 많은 무선리소스를,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선용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이버시티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은, 파일럿채널 등에 그렇게 많은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아도 소요품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의 설계의 관점에서는, 모든 이동국이,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배경기술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은, 그 사이즈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가 작은 경우, 예를 들면, 2GHz의 경우보다도, 800MHz의 경우에, 보다 현저해진다.
한편,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의 설계의 관점에서는, 모든 이동국이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수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그 목적은, 주파수마다 수신 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설정함으로써, 이동국의 사이즈 증대를 저감하면서, 파일럿채널이나 공통채널의 효율적인 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국, 기지국장치, 무선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장치와 통신하는 유저장치가 사용된다. 유저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와, 주파수에 따라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의 부분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부분 블록도이다.
도 4는 기지국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에서 사용되는 동작 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동작 예의 흐름도 이다.
부호의 설명
50 셀
1001, 1002, 1003, 100n 유저장치
1021, 1022 송수신 안테나
1041, 1042 앰프부
1061, 1062 송수신부
107 전환부
108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112 호처리부
114 애플리케이션부
200 기지국장치
202 송수신 안테나
204 앰프부
206 송수신부
208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210 호 처리부
212 전송로 인터페이스
2081 레이어1 처리부
2082 MAC 처리부
2083 RLC 처리부
2084 송신전력 제어부
300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400 코어 네트워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부호를 이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를 갖는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기지국장치(eNB:eNode B)(200)와, 기지국장치(200)와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국(100n(1001, 1002, 1003, …100n, n은 n>0의 정수))을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이동국(100n)은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각 이동국(100n(1001, 1002, 1003, …100n)은,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이동국(100n)으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것은 이동국이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단말도 고정단말도 포함하는 유저장치(UE:User Equipment)이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에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캐리어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이 이용된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하향 L1/L2 제어채널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 스케줄링 정보(다운링크 스케줄링 인포메이션), 송달확인정보(ACK/NACK), 하향 스케줄링 정보(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오버로드 인디케이터, 송신전력 제어커맨드 비트 등이 전송된다. 하향 스케줄링 정보에는, 예를 들면,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데이터사이즈, 변조방식, HARQ에 관한 정보나, 하향링크의 리소스블록의 할당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하향 스케줄링 정보는, Downlink Assignment Information 또는 Downlink Scheduling Grant라고 불려도 좋다.
또,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데이터사이즈,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나, 상향링크의 리소스블록의 할당정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전력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향링크의 리소스블록이란, 주파수리소스에 상당하고, 리소스 유닛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상기 하향 스케줄링 정보와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는, 묶어서 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이라고 불려도 좋다.
또, 송달확인정보(ACK/NACK)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송달확인정보를 말한다. 상기 송달확인정보(ACK/NACK)가 맵핑되는 물리채널은, Physical HARQ channel(PHICH)이라고 불려도 좋다. 상기 PHICH는, 상기 PDCCH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PDCCH와는 병렬의 관계에 있는, 다른 물리채널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이용된다. 상기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물 리채널의 스케줄링 처리나 적응변복조 및 부호화 처리(AMCS: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가 전송된다. 송달확인정보의 내용은, 송신신호가 적절히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긍정응답(ACK:Acknowledgement) 또는 그것이 적절히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정응답(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의 어느 하나로 표현된다.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에서는, CQI나 송달확인정보에 더하여,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리소스 할당을 요구하는 스케줄링 요구(Scheduling Request)나,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에 있어서의 릴리스 요구(Release Request) 등이 송신되어도 좋다. 여기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리소스 할당이란, 어느 서브프레임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후속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해도 좋음을 기지국장치가 이동국에 통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100n)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이동국(100n)은, 2개의 안테나(안테나(1021), 안테나(1022))와, 2개의 앰프부(앰프부(1041), 앰프부(1042))와, 2개의 송수신부(송수신부(1061), 송수신부(1062)와, 전환부(107)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와, 애플리케이션부(110)와, 호 처리부(112)를 구비한다.
이동국(100n)은, 2개의 안테나와, 2개의 앰프부와, 2개의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전환부(107)가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와, 2개의 앰프부와, 2개의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하향링크의 무선신호의 수신을 수행한다. 전환부(107)가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 중의 하나의 안테나와, 상기 2개의 앰프부 중의 하나의 앰프부와, 상기 2개의 송수신부 중의 하나의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하향링크의 무선신호의 수신을 수행한다. 또, 전환부(107)는, 호 처리부(112)로부터,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한다고 판단한다. 전환부(107)는,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전환부(107)가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한다고 판단한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전환부(107)에 있어서의 처리는 후술한다.
안테나(1021)에서 수신된 하향링크의 무선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41)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061)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또, 안테나(1022)에서 수신된 하향링크의 무선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42)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062)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2개의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 FFT 처리가 수행된 후, 합성 된다. 여기서, 그 합성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최대비 합성을 이용해도 좋다. 그리고, 합성된 후의 신호에 대해서, 오류정정복호,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전환부(107)가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전환부(107)에 있어서의 처리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 이용하는 안테나, 앰프부, 송수신부로서, 안테나(1021), 앰프부(1041), 송수신부(1061)를 이용한다.
안테나(1021)에서 수신된 하향링크의 무선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41)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061)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에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 FFT 처리, 오류정정복호,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PDCP 레이어의 수신처리 등이 실시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 있어서 상술한 처리가 수행된 후의 신호, 즉, 하향링크의 유저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110)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110)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 RL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상향링크의 송신에 대해서는, 상향링크의 유저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데이터의 분할·결합, 무선링크제어(RLC:radio link control)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나, 재송제어(H-ARQ(Hybrid ARQ))의 송신처리 등의 MAC 레이어의 송신처리, 채널 부호화, IFFT 처리 등이 수행되어 송수신부(1061)로 전송된다. 송수신부(1061)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 앰프부(1041)에서 증폭되어 안테나(1021)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2개의 송수신부, 2개의 앰프부, 2개의 안테나 중의 각각 하나를 이용하여 상향링크의 송신을 수행하였으나, 대신에, 2개의 송수신부, 2개의 앰프부, 2개의 안테나의 양방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유저데이터란, 예를 들면,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파일 전송(FTP), 음성패킷(VoIP) 등에 의한 IP 패킷이나, 무선리소스제어(RRC:Radio Resource Control) 의 처리를 위한 제어신호 등이다. 또, 상기 유저데이터는, 논리채널로서의 호칭법은, 예를 들면, DTCH나 DCCH이다.
전환부(107)는, 호 처리부(112)로부터,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통신을 수행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주파수대의 중심주파수이어도 좋으며, 주파수의 번호이어도 좋다. 3GPP에 있어서의 주파수 번호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TS25.101, 5.4.3)에 정의되어 있다. 혹은, 상기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Frequency bands이어도 좋다. 3GPP에 있어서의 Frequency bands(Ⅰ, Ⅱ, Ⅲ, Ⅳ,…)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TS 25.101, 5.2)에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부(107)는, 소정의 임계값을 보유하고,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한다고 판단하고, 통신중인 주파 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1GHz의 경우에 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통신중인 주파수의 중심주파수가 890MHz인 경우에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통신중인 주파수가 2120MHz인 경우에,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한다고 판단해도 좋다.
혹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이, 밴드 VI(상향링크 830-840MHz, 하향링크 875-885MHz)인 경우에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밴드 Ⅰ(상향링크 1920-1980MHz, 하향링크 2110-2170MHz)인 경우에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한다고 판단해도 좋다.
호 처리부(112)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 처리, 즉, 통신상태의 제어나, 이동국(100n)의 상태관리를 수행한다.
또, 호 처리부(112)는,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전환부(107)에 통지한다. 여기서,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통신을 수행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주파수대의 중심주파수이어도 좋으며, 주파수의 번호이어도 좋다. 3GPP에 있어서의 주파수 번호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TS25.101, 5.4.3)에 정의되어 있다. 혹은, 상기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이어도 좋다. 3GPP에 있어서의 주파수대역(Ⅰ, Ⅱ, Ⅲ, Ⅳ,…)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TS 25.101, 5.2)에 정의되어 있다.
호 처리부(112)는, 발신시, 혹은, 착신시에, 기지국장치(200)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가 확정된 타이밍에서, 확정된 주파수를 전환부(107)에 통지해도 좋다. 혹은, 호 처리부(112)는, 핸드오버 등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가 변화한 타이밍에서, 변화 후의 주파수를 전환부(107)에 통지해도 좋다. 혹은, 호 처리부(112)는,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주파수를, 전환부(107)에 통지해도 좋다.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송수신 안테나(202)와, 앰프부(204)와, 송수신부(2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와, 호 처리부(210)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구비한다.
하향링크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이동국(100n)으로 송신되는 유저데이터는, 기지국장치(200)의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PDCP 레이어의 처리, 유저데이터의 분할·결합, 무선링크제어(RLC:radio link control)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제어, 예를 들면 HARQ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가 수행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또,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나 역 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송수신부(2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 앰프부(2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02)로부터 송신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이동국(100n)으로부터 기지국장치(200)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2)에서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가 앰프부(204)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206)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데이터에 대해서,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정정복호,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 전송된다.
또,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향링크의 각 채널의 송신전력제어를 수행한다.
호 처리부(210)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 처리나, 무선기지국(200)의 상태관리나, 무선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호 처리부(210)는,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송신전력 제어부(2084)에 통지한다. 여기서,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통신을 수행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주파수대의 중심주파수이어도 좋으며, 주파수의 번호이어도 좋다. 3GPP에 있어서의 주파수 번호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TS25.101, 5.4.3)에 정의되어 있다. 혹은, 상기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이어도 좋다. 3GPP에 있어서의 주파수대역(Ⅰ, Ⅱ, Ⅲ, Ⅳ,…)은,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TS 25.101, 5.2)에 정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레이어1 처리부(2081)와, MAC 처리부(2082)와, RLC 처리부(2083)와, 송신전력 제어부(2084)를 구비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있어서의 레이어1 처리부(2081)와 MAC 처리부(2082)와 호 처리부(210)와 송신전력 제어부(2084)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레이어1 처리부(2081)에서는, 햐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채널 부호화와 IFFT 처리,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채널 복호화와 IDFT 처리, FFT 처리 등이 수행된다. 상기 하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란,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유저데이터나 알림정보, 페이징에 관한 신호,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메시지 2(Message2), 메시지 4(Message4), 개별제어신호(DCCH:Dedicated Control channel) 등을 말한다. 또한, 상기 알림정보가 맵핑되는 물리채널은 CCPCH(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이라고 불려도 좋다. 혹은, 상기 알림정보가 맵핑되는 물리채널은 P-BCH라 불려도 좋다. 혹은, 상기 알림정보 중의 일부는, PDSCH에 맵핑되어도 좋다. PDSCH에 맵핑되는 알림정보란, 예를 들면, Dynamic BCH라고 불려도 좋다.
또, 레이어1 처리부(2081)는, 하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나 동기신호에 관해서도, 상기 하향링크에 송신되는 데이터에 다중하여, IFFT 처리 등의 송신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레이어1 처리부(2081)에서는, 송신전력 제어부(2084)로부터 통지된 송신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레퍼런스 신호나 동기신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유저데이터, 알림정보, 페이징에 관한 신호,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Message 2, Message 4가 맵핑되는 서브캐리어 또는 리소스블록의 송신전력을 설정한다.
레이어 처리부(2081)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하향 스케줄링 정보,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MAC 처리부(2082)로부터 수신한다. 또, 레이어 처리부(2081)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하향 스케줄링 정보,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서, 채널 부호화와 IFFT 처리 등의 송신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하향 스케줄링 정보,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맵핑된다.
또,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맵핑되는 CQI나 송달확인정보의 복조 및 복호도 수행하고, 상기 복호결과를, MAC 처리부(2082)에 통지한다.
MAC 처리부(2082)는, 하향링크의 유저데이터의 MAC 재송제어, 예를 들면 HARQ의 송신처리나, 스케줄링 처리, 전송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처리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처리란, 해당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을 선별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또, 전송포맷의 선택처리란,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이동국이 수신하는 유저데이터에 관한 변조방식이나 부호화율, 데이터사이즈를 결정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상기 변조방식, 부호화율, 데이터사이즈의 결정은,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보고되는 CQI의 좋고 나쁨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리소스의 할당 처리란,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이동국이 수신하는 유저데이터에 이용되는 리소스블록을 결정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상기 리소스블록의 결정은,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보고되는 CQI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되는 CQI는,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된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상술한 스케줄링 처리, 전송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리소스의 할당처리에 의해 결정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 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하향 스케줄링 정보를 레이어1 처리부(2081)에 통지한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상술한 하향링크의 유저데이터에 관한 스케줄링 처리, 전송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리소스의 할당처리 등을, 알림정보나 페이징에 관한 신호,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Message 2, Message 4, 제어신호에 대해서 수행해도 좋다.
또, MAC 처리부(2082)는, 상향링크의 유저데이터의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와, 스케줄링처리, 전송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리소스의 할당 처리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처리란,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을 선별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또, 전송포맷의 선택처리란,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이동국이 송신하는 유저데이터에 관한 변조방식과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상기 변조방식,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의 결정은,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사운딩용 레퍼런스신호의 SIR과 패스로스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처리란,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이동국이 송신하는 유저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블록을 결정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상기 리소스블록의 결정은,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사운딩용 레퍼런스신호의 SIR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상술한 스케줄링 처리, 전송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리소스의 할당 처리에 의해 결정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ID와, 그 유저데 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생성하고, 레이어1 처리부(2081)에 통지한다.
RLC 처리부(2083)에서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에 관한, 분할·결합, RLC 재송 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와, 상향링크의 데이터에 관한, 분할·결합, RLC 재송 제어의 수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RLC 처리부(2083)에 있어서, 추가로, PDCP 레이어의 처리가 수행되어도 좋다.
송신전력 제어부(2084)는, 호 처리부(210)로부터,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통신을 수행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주파수대의 중심주파수이어도 좋으며, 주파수의 번호이어도 좋다. 3GPP에 있어서의 주파수 번호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TS25.101, 5.4.3)에 정의되어 있다. 혹은, 상기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이어도 좋다. 3GPP에 있어서의 주파수대역(Ⅰ, Ⅱ, Ⅲ, Ⅳ,…)은,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TS 25.101, 5.2)에 정의되어 있다.
송신전력 제어부(2084)는, 하향링크의 채널의 송신전력을, 통신중인 주파수에 기초하여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향링크의 채널로서, 알림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하, 알림채널이라고 부른다)을 생각한다.
송신전력 제어부(2084)는, 소정의 임계값을 보유하고,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알림채널의 송신전력을 4W로 설정하고,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알림채널의 송신전력을 6W로 설정해도 좋다. 즉,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의 송신전력을,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의 송신전력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혹은, 송신전력 제어부(2084)는,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이 밴드 Ⅵ(상향링크 830-840MHz, 하향링크 875-885MHz)인 경우에는, 알림채널의 송신전력을 6W로 설정하고,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이 밴드 Ⅰ(상향링크 1920-1980MHz, 하향링크 2110-2170MHz)인 경우에는, 알림채널의 송신전력을 4W로 설정해도 좋다.
즉,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부(2084)는, 통신중인 주파수에 따라서, 알림채널의 무선리소스의 하나인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알림채널에 관한 예는 일 예이며, 알림채널 이외에, 하향링크의 유저데이터, 페이징에 관한 신호,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Message2, Message4, 개별제어신호(DCCH), 하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나 동기신호의 송신전력에 대해서, 동일한 처리가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통신중인 주파수에 기초하여, 각 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였으나, 대신에, 통신중인 주파수에 기초하여, 각 채널의 송신 포맷, 즉, 유저데이터에 관한 변조방식이나 부호화율, 데이터사이즈를 제어해도 좋다. 이 경우, MAC 처리부(2082)가 상기 처리를 수행한다. 즉, MAC 처리부(2082)는, 상술한 전송포맷의 선택처리에 있어서,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의 데이터사이즈를,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의 데이터사 이즈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혹은, MAC 처리부(2082)는, 데이터사이즈를 고정으로 하고, 상술한 전송포맷의 선택처리에 있어서,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의 리소스블록의 수를, 통신중인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의 리소스블록의 수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호 처리부(210)는, 통신중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MAC 처리부(2082)에 통지한다.
즉,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MAC 처리부(2082)는, 통신중인 주파수에 따라서, 상술한 각 채널 또는 신호의 무선리소스의 하나인 주파수리소스, 즉, 리소스블록의 수를 제어한다. 혹은, 리소스블록의 수뿐만 아니라, 변조방식이나 데이터사이즈 등도 동시에 제어해도 좋다. 즉,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MAC 처리부(2082)는, 통신중인 주파수에 따라서, 상술한 각 채널 또는 신호의 송신포맷을 제어해도 좋다.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에서 사용되는 통신제어방법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이동국이 어느 셀에 핸드오버하여 들어왔다고 한다. 단계 S502에서는, 이동국이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는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가 확인된다. 임계값은 예를 들면 1GHz이어도 좋다. 주파수가 1GHz보다 큰 경우, 흐름은 단계 S504로 진행한다. 이 경우, 이동국은,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하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다이버시티를 수행한다. 한편, 주파수가 1GHz보다 크지 않은 경우, 흐름은 단계 S506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이동국은 하나의 안테나에서 하향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이동국이 어느 셀에 핸드오버하여 들어온 경우를 나 타내었으나, 대신에, 이동국이 어느 셀에 있어서 통신을 개시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통신제어방법이 적용된다. 또한, 어느 셀에 있어서 통신을 개시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발신을 수행한 경우나 착신을 받은 경우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통신제어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S602에서는, 유저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가 확인된다. 임계값보다 큰 경우, 흐름은 단계 S604로 진행한다. 단계 S604에 이르는 경우는, 주파수가 임계값보다 크므로, 유저장치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수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알림채널 등의 송신전력이 다소 낮았다고 해도, 유저장치에서 소요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 예상된다. 때문에, 알림채널 등의 송신전력은, 유저장치에서 1안테나 수신이 상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작게 설정된다. 한편, 주파수가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유저장치는 1안테나 수신을 수행한다. 때문에, 알림채널 등의 송신전력은, 유저장치에서 다이버시티 수신이 상정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크게 설정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의 이동통신시스템(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모든 이동국이, 상술한, 주파수에 기초하여 수신 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전환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이동국의 수신특성에 관한 퍼포먼스를 규정할 때, 1GHz 이하인 경우의 퍼포먼스 규정은 수신 다이버시티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의 퍼포먼스를 규정하고, 1GHz 이상인 경우의 퍼포먼스 규정은 수신 다이버시티가 있는 경우의 퍼포먼스를 규정함으로써 실현된다. 혹은, 예를 들면, 시스템으로서는, 1GHz 이상인 경우에는, 수신 다이버시티는 맨더토 리(mandatory)의 기능으로서 규정되고, 1GHz 이상인 경우에는, 수신 다이버시티는 옵셔널(optional)의 기능으로서 규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1GHz 이하인 경우는, 수신 다이버시티가 적용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알림정보나 레퍼런스신호의 설계, 즉, 송신전력의 설정을 수행하고, 1GHz 이상인 경우는, 수신 다이버시티가 적용되고 있는 것을 전제로, 알림정보나 레퍼런스신호 등의 설계, 즉, 송신전력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로서, 효율적인 무선리소스의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하는 주파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단말 설계시에, 수신 다이버시티에 대비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어느 정도 이간시킬지에 대해서는, 주파수가 2GHz인 경우의 안테나간 거리밖에 고려를 요하지 않는다. 즉, 주파수가 작은 경우, 예를 들면, 800 MHz인 경우의 안테나간 거리를 고려하지 않아도 좋다. 때문에, 이동국의 사이즈가 커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예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은,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 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3월 23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077899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8)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장치와 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안테나;
    주파수에 따라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의 모든 안테나를 선택하고,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의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주파수에 따라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장치는,
    주파수에 따라서, 제1 채널의 무선리소스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채널은, 레퍼런스신호, 동기신호, 알림채널, 페이징채널,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메시지 2 또는 메시지 4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유저장치와, 상기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주파수에 따라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장치는,
    주파수에 따라서, 제1 채널의 무선리소스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의 모든 안테나를 선택하고,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의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7.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장치와 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주파수에 따라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선택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의 모든 안테나를 선택하고,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의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KR1020097021369A 2007-03-23 2008-03-12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 KR20090122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77899 2007-03-23
JPJP-P-2007-077899 2007-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991A true KR20090122991A (ko) 2009-12-01

Family

ID=3986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369A KR20090122991A (ko) 2007-03-23 2008-03-12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86070A1 (ko)
EP (1) EP2139244A1 (ko)
JP (1) JPWO2008126604A1 (ko)
KR (1) KR20090122991A (ko)
CN (1) CN101682388A (ko)
WO (1) WO2008126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7167A1 (ja) * 2008-06-23 2009-12-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参照信号割当方法
RU2491780C2 (ru) 2008-11-04 2013-08-27 Рокстар Бидко, Лп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используемые в нем станция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US8811922B2 (en) 2011-04-18 2014-08-19 Apple Inc. LTE/1X dual-standby with single-chip radio
JP5651092B2 (ja) * 2011-09-28 2015-01-07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US9130634B2 (en) * 2013-08-30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antenna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4941A (en) * 1972-05-08 1974-02-26 Hughes Aircraft Co Automatic antenna impedance tuner including digital control circuits
US3950757A (en) * 1975-03-12 1976-04-13 Beam Systems Israel Ltd. Broadband whip antennas
US4131895A (en) * 1976-09-14 1978-12-26 Robinson Ralph O Apparatus for isolating from ground and exciting a conductive tower for use as a vertical antenna
US4213131A (en) * 1979-05-14 1980-07-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cannable beam forming interferometer antenna array system
DE3684521D1 (de) * 1985-06-21 1992-04-30 Toyota Motor Co Ltd Fahrzeugantennensystem.
GB0113271D0 (en) * 2001-06-01 2001-07-2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tenna diversity arrangement
SE524688C2 (sv) * 2001-12-06 2004-09-14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anordningar för att allokera kanal till en mobilstation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US6826391B2 (en) * 2002-03-15 2004-11-30 Nokia Corpor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system for space diversity reception
US6686892B1 (en) * 2002-04-26 2004-02-03 Bae Systems-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witchable length whip antenna
JP4157506B2 (ja) * 2003-07-29 2008-10-01 株式会社東芝 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受信方法
JP2005217590A (ja) * 2004-01-28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アンテナ切替え方法
JP2005236666A (ja) * 2004-02-19 2005-09-02 Murata Mfg Co Ltd Ofdm復調装置
US7697449B1 (en) * 2004-07-20 2010-04-13 Marvell International Ltd. Adaptively determining a data rate of packetized information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channel
US8019303B2 (en) * 2004-09-28 2011-09-13 Intel Corporation Multi-antenna multicarrier receiver and methods for adaptively adjusting a receive data rate based on channel utilization
JP2006174355A (ja) * 2004-12-20 2006-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機
US7890133B2 (en) * 2005-02-09 2011-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pattern/frequency control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9461859B2 (en) *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077899A (ja) 2005-09-15 2007-03-29 Hino Motors Ltd 二段過給システム
JP4541414B2 (ja) * 2006-04-28 2010-09-08 富士通株式会社 受信ダイバシチ機能を有するw−cdma方式による移動機、及びそのシステム
US7653024B2 (en) * 2006-07-20 2010-01-26 Alcatel-Lucent Usa Inc. Allocating channels in multi-user or multi-service real-time transmissions of wireless packet data
JP2008085867A (ja) * 2006-09-28 2008-04-10 Sony Corp 受信機および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9244A1 (en) 2009-12-30
WO2008126604A1 (ja) 2008-10-23
US20100086070A1 (en) 2010-04-08
JPWO2008126604A1 (ja) 2010-07-22
CN101682388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6799B2 (en) Method for terminal transmitting 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that uses the method
US10615947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8496387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DK2327263T3 (en) MULTI CARRIER DESIGN FOR CONTROL AND PROCEDURES COMPREHENSIVE CARRIING OF CARRIERS
US919195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optimal CFI control in a cross-carrier scheduling environment
CN108496388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WO2016163502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EP3174347B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 uplink control information signal
US20120113942A1 (en) Uplink receiving method for a base station and uplink transmitting method for a terminal using a shared wireless resource
KR1021872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2011020749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KR20100017152A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및 방법
CN114270754A (zh) 针对侧链路通信的配置的许可
US10827493B2 (en)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wideband long-term evolution (LTE) uplink transmission
CN105580471A (zh) 用户终端、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CN114303405A (zh) 用于nr双活动协议栈(daps)切换的传输配置指示(tci)状态/波束确定
KR20090122991A (ko)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
CN114930941A (zh) 鲁棒的基于下行链路控制信息的快速波束指示
WO2016163501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AU2015201988B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uplink control inform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CN115885486A (zh) 超宽带宽波束成形系统中调度偏移确定的方法
JP2012124967A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