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736A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736A
KR20090117736A KR1020097016796A KR20097016796A KR20090117736A KR 20090117736 A KR20090117736 A KR 20090117736A KR 1020097016796 A KR1020097016796 A KR 1020097016796A KR 20097016796 A KR20097016796 A KR 20097016796A KR 20090117736 A KR20090117736 A KR 20090117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gents
serotonin reuptake
solvent
seroto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045B1 (ko
Inventor
순일 바스카란
모한 비시와라만
Original Assignee
인두스 바이오텍 프라이빗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두스 바이오텍 프라이빗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두스 바이오텍 프라이빗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1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4Esters of 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신규한 상조적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선택적으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형제;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신규한 상조적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a) 식물 센텔라 아시아티카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그 추출물을 용매로 처리하여 지방 물질, 클로로필 및 기타 착색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c) 추출물을 HPLC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용출된 용매를 얻는 단계, 및 (d) 용출된 용매를 농축하여 조성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과,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임의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을 세로토닌 재흡수의 억제가 필요한 환자의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아시아티코시드, 마데카소시드, 센텔라 아시아티카.

Description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A COMPOSITION FOR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ION AND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조성물은 오환(pentacyclic)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를 부형제와 함께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로토닌이 매개된 작용이 포함되는 기분 상승이나 기타 그런 용도를 위한 감각 화합물로서 우울증을 조절하는 데 상기의 식물성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세로토닌은 신경전달물질로서, 많은 생리적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로토닌은 식품 섭취와 관련된 포만감에 포함된다. 세로토닌의 이런 기능은 섭식 장애의 치료 및 그것과 관련된 비만의 조절에 활용될 수 있다. 세로토닌은 또한 기분 상승에 포함되며 웰빙감을 갖게 한다. 이런 생리적 특성은 세로토닌이 기분과 웰빙감을 상승시키기 위한 감각 성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용도에서 활용될 수 있다. 세로토닌의 가장 중요한 용도는 생리적인 장애인 우울증의 치료에서 나타난다. 이 신경전달물질은 우울증과 같은 질병의 관리에 실질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이것과는 별개로 세로토닌은 또한 위 공복에도 역할을 한다.
NIM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국립 정신건강 연구소) USA에 따르면, 전 국민의 9.5%를 차지하는 약 1880만 명의 미국 성인이 우울증으로 고생하고 있다. 이 장애의 경제적 비용은 매우 높다. 그러나 질병으로 고생하는 사람의 비용은 평가할 수 없다. 우울 장애는 신체, 기분 및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병이다. 우울증에는 여러 유형이 있는데, 예를 들면 주요 우울증, 덜 심각한 우울증 유형인 기분부전장애, 그리고 심각하게 높거나 (조증) 낮은 (울증) 것이 특징인, 기분이 오르락 내리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성 장애가 있다.
우울증의 보편적인 증상은 지속적인 슬픔, 불안 또는 텅 빈 기분, 좌절감, 죄책감, 무가치함, 기력 감소, 집중의 어려움, 불면, 과식, 체중 증가, 죽고 싶은 생각, 안절부절 및 조급함 등이다. 우울증의 주요 원인은 아민 의존성 시냅스성 전달에서 기능성 뇌 모노아민의 감소이다. 이것은 노르에피네프린 (NE), 세로토닌 (5HT) 및 도파민과 같은 뇌의 모노아민을 포함한다.
현재 우울증의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다:
삼환 항우울제( Tricyclic Anti - depressants )
이들 약물은 신경전달물질의 신경 말단부로의 흡수를 방지함으로써 수용체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상승시킨다. 이것은 더 많은 양의 아민이 신경세포 밖에 남아있도록 함으로써 신경세포가 이제는 수용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된다. 삼환 약물들(tricyclic drugs)은 주로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는 세포에 영향을 미친 다.
많은 삼환 약물들은 아세틸콜린에 대한 수용체를 차단하여 구강 건조, 초점 잃은 시력, 둔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일부 삼환 약물은 진정 효과, 졸음, 및 저혈압의 위험의 증가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 SSRI )
이 그룹의 약물은 세로토닌으로도 불리는 5 히드록시트립트아민을 방출하는 세포에 영향을 준다. 이들 약물은 뇌의 어떤 영역에서 정상적인 양보다 적은 양의세로토닌을 보상하는데, 그것은 우울증의 치료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만든다. 이들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은 두통, 불면, 설사로 인한 체중 감소, 및 성기능의 감소를 포함한다.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
약물 치료의 두 번째 그룹은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이다. 모노아민 옥시다제는 신경전달물질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이들 효소 억제제 약물은 신경 말단부에서의 아민 파괴를 유도함으로써 신경세포에 의한 저장과 방출에 더욱 활용될 수 있게 한다. 이들 약물에 의해 유발된 부작용으로는 혈압의 감소, 구강 건조, 초점 잃은 시력 및 둔화를 포함한다. 이들 약물은 치즈와 맥주에 매우 심각한 반응을 나타내고, 그것은 혈압의 상당한 증가를 유도하며 뇌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우울증은 그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고, 현재 이 질병을 다루기 위한 방법들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명백하다. 이 장애는 본질상 만성적이고 장기간의 관리 치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 장애를 장기간 관리하기 위해 식물성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된 더 사려깊고 적절한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 목표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30mg/kg의 시험 약물 용량으로 처리된 동물의 위를 도시한다.
도 2는 60mg/kg의 시험 약물 용량으로 처리된 동물의 위를 도시한다.
도 3은 120mg/kg의 시험 약물 용량으로 처리된 동물의 위를 도시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와 선택적으로 부형제를 포함하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울증 및 세로토닌이 매개된 장애의 조절에 유용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가 필요한 환자에게서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하기 위해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 다른 목적은 조절이 필요한 환자에게서 세로토닌 매개된 장애, 즉 우울증, 비만, 위 공복, 기분 상승 및 세로토닌과 관련되는 다른 장애의 조절에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와,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또한 본 발명은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도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식물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단계, 그 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추출물을 용매에 녹여서 용액을 얻는 단계, 그 용액을 용매로 처리하여 지방성 물질, 클로로필 및 다른 색소들을 제거하는 단계, 처리된 용액을 흡착제를 통과시킴으로써 투명한 용액을 얻는 단계, 그리고 그 투명한 용액을 농축시켜서 조성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또한 본 발명은 부형제와 함께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의 제조 및 세로토닌 매개된 장애의 조절이 필요한 환자에게서 세로토닌 매개된 장애의 조절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그리고 환자에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선택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는 식물 또는 동물 공급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식물 센텔라 아시아티카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아시아티코시드의 농도는 15 내지 50% 범위이고, 마데카소시드의 농도는 20 내지 50%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부형제는 과립화제, 결합제, 윤활제, 붕괴제, 감미제, 유동화제, 항고착제, 정전기 방지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점성물질, 코팅제, 착색제, 풍미제, 코팅제, 가소제, 보존제, 현탁제, 유화제 및 구형 과립화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트로키, 당의정, 수성 또는 유성 현탁제, 연고, 패치, 겔, 로션, 치약, 캡슐, 에멀션, 크림, 분무제, 점적액,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경질 또는 연질 겔 캡슐 중의 에멀션, 시럽, 엘릭시르제, 파이토슈티칼(phytoceutical), 기능식품 및 영양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양한 단위용량 형태로 제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a. 식물 센텔라 아시아티카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단게;
b. 그 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
c. 농축된 추출물을 용매에 녹여서 용액을 얻는 단계;
d. 그 용액을 용매로 처리하여 지방 물질, 클로로필 및 다른 착색물질들을 제거하는 단계;
e. 처리된 용액을 흡착제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투명한 용액을 얻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투명한 용액을 농축하여 조성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용매는 헤테로고리형 방향족 화합물, 지방족 화합물, 케톤, 알코올, 니트릴, 에스테르, 에테르 및 그것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추출에 사용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알코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추출은 20℃ 내지 38℃의 온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30℃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추출은 6시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농축은 40℃ 내지 50℃의 온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45℃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탈이온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용매는 핵산, 석유 에테르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흡착제는 수지, 챠콜, 실리카겔 및 그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농축은 50℃ 내지 65℃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세로토닌 매개 장애 조절이 필요한 환자의 세로토닌 매개 장애 조절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부형제와 선택적으로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환자는 동물 또는 사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동물에서는 15 내지 150mg/kg 체중의 범위, 그리고 사람에서는 1 내지 15mg/kg 체중의 범위의 단위용량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세로토닌 매개된 장애는 우울증, 비만, 위 공복, 기분 상승 및 세로토닌과 관련된 다른 장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비독성이며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선택적으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으로,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의 농도는 보통 아시아티코시드는 15 내지 50%의 범위, 그리고 마데카소시드는 20 내지 5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신규한 조성물은 우울증과 세로토닌 매개된 기능의 조절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우울증과 세로토닌 매개된 기능의 조절이 필요한 환자에게서 우울증과 세로토닌 매개된 기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를 임의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이다. 이 구체예의 한 측면으로 환자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이다.
우울증은 그것의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약물 치료를 필요로 한다. 현재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방법들은 어떠한 효과든지 나타나기까지는 약 2 내지 4주가 걸린다. 이렇게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환자들은 그 심각성과 기간이 다양한 범위의 부작용을 경험한다. 본 발명은 우울증 및 다른 세로토닌 매개된 기능의 조절을 위한 조성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부작용만을 유발하면서 우울증 및 다른 세로토닌 매개 기능의 조절과 관련된다. 아래에서 설명된 시험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시험 약물은 표준 SSRI 약물과 비교하여 흥분과 설사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게서 진정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세로토닌 매개 장애 조절이 필요한 환자의 세로토닌 매개 장애 조절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부형제와 선택적으로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는 우울증 및 세로토닌 매개된 기능의 조절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환자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분말 또는 액체이며, 최소한의 부작용을 나타내는데, 상기 조성물은 동물에서는 15 내지 150mg/kg의 단위용량 범위로, 그리고 사람에서는 1 내지 15mg/kg의 단위용량 범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줄기와 잎을 포함한 식물 센텔라 아시아티카의 땅위에 나와있는 전체 부분은 흐르는 물로 세척되어 달라붙어 있는 모든 토양 및 오염물이 제거되고 그늘에서 건조된다. 건조된 물질은 16 메쉬 크기를 통해 지나갈 수 있는 물질의 유출 입자 크기를 가지는 해머밀에서 분쇄된다. 분쇄된 물질은 상부와 바닥 두 군데의 단부에 필터를 가지고 있는 수직 여과기에 채워진다. 사용된 용매는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그것들을 단독 용매로서 또는 특정 조합으로, 바람직하게는 에틸 알코올 단독으로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과의 조합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일 수 있으며, 20℃ 내지 38℃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30℃에서 8시간 내지 24시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의 시간 주기 동안 역 흐름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의 추출물은 80 메쉬 필터를 통해 어떠한 가시적인 입자로 깨끗하게 여과되고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에서 혹은 그 온도 주변에서 진공 농축 설비를 사용하여 저온에서 페이스트로 농축된다. 그 결과의 페이스트는 탈이온수에 녹여 균일한 용액이 얻어진다. 이 용액은 석유 에테르 용매 혹은 핵산으로 추출되어 모든 지방 물질이 제거된다. 지방이 제거된 추출물은 다시 여기서 사용된 수성 추출물의 부피보다 여러 배 (바람직하게는 4배)의 메틸 이소부틸케톤으로 추출되어 클로로필과 기타 착색물질들이 제거된다. 그런 다음 투명한 수성 추출물은 흡착제 등급의 수지 상을 통해 통과되면서 5 내지 15부피 또는 바람직하게는 8부피의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모든 색과 오염물질이 수지상 밖으로 빠져나가 세척된다. 물로 세척된 상은 탄소 원자 범위가 C-1 내지 C-4인 알코올 용매,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상기에서 언급된 알코올의 혼합물로 용출된다.
용출된 용매는 다시 활성화된 챠콜 층과 60 내지 120 메쉬 입자 크기를 가지는 실리카겔을 포함하는 상(bed) 위에서 정화되었다. 용출된 용매는 수집되고, 상은 반복적으로 세척되어서 상 밖으로 모든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를 얻게 된다. 용매 용출물은 저온에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에서 진공하에 분말로 농축되고, 생성된 분말은 동일한 양의 탈이온수에 현탁되고 분무 건조되어 수용성이 매우 큰 분말이 얻어지는데, 그 조성은 HPLC에 의하면 주로 15 내지 50% 범위의 아시아티코시드와 20% 내지 50% 사이에서 변하는 마데카소시드의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된 추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 센텔라 아시아티카는 흐르는 물로 세척되어 붙어있는 모든 토양 및 오염물이 제거되고 그늘에서 건조된다.
2. 건조된 물질은 16 메쉬 크기를 통하여 물질이 통과하도록 유출 입자 크기를 가지는 해머밀에서 분쇄된다.
3. 분쇄된 물질은 수직 여과기에 채워지고 20 내지 38℃ 범위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역흐름 방식으로 지방족 알코올로 추출된다.
4. 그 결과의 추출물은 80 메쉬 필터를 통해 어떠한 가시적인 입자로 투명하게 여과되고 저온에서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에서 혹은 그 주변의 온도에서 진공 농출 설비를 사용하여 페이스트로 농축된다.
5. 그 결과 생성된 페이스트는 탈이온수에 녹여져서 균질한 용액이 얻어진다.
6. 그 용액은 석유 에테르 용매 또는 핵산으로 추출되어 모든 지방 물질이 제거된다.
7. 상기 액체는 다시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추출되어 클로로필과 기타 착색물질이 여러 번, 바람직하게는 수성 추출물의 부피의 4배 부피를 사용하여 제거된다.
8. 그런 다음 투명한 수성 추출물은 흡착제 등급의 수지 상을 통해 통과한다.
9. 상은 모든 착색물질과 오염물질이 상 밖으로 모두 세척되도록 5부피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8부피의 탈이온수로 세척된다.
10. 물로 세척된 상은 탄소 원자 범위가 C-1 내지 C-4인 알코올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상기 알코올들의 혼합물로 용출된다.
11. 용출된 용매는 다시 활성화된 챠콜 층과 60 내지 120 메쉬 입자 크기를 가지는 실리카겔을 포함하는 상 위에서 정화되었다.
12. 용출된 용매는 수집되고, 상은 반복해서 세척되어 모든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가 상 밖으로 세척되어 나왔다.
13. 용매 용출물은 진공하에서 저온에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에서 분말로 농축되었다.
14. 그 결과 생성된 분말은 동일한 양의 탈이온수에 현탁되고 분무건조되어 수용성이 매우 큰 분말이 얻어지는데, 그 조성은 HPLC에 의하면 주로 15 내지 50% 범위의 아시아티코시드와 20% 내지 50% 사이에서 변하는 마데카소시드의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로 이루어진다.
HPLC 방법:
칼럼: 250mm X 4.6mm 역상 C-1 입자 크기 5μ
검출기의 파장: 220nm
유속: 1.4ml/분
사용된 표준: Chromadex
시간 아세토니트릴
초기 75% 25%
30분 45% 55%
40분 75% 25%
생성된 정제된 시험 화합물은 다음의 시험을 거쳐 화합물의 항-우울 활성이 확인되고 그것의 작용 방식이 수립된다.
꼬리 현수 시험(Tail Suspension Test)에서 시험 화합물은 활동이 정지된 마우스의 정지상태의 백분율 감소로서 측정되는 상당한 항-우울 활성을 나타냈다. 30mg/kg의 단위용량을 경구로 공급했을 때, 시험 화합물은 부동성에서 40.3%의 감소를 나타냈다. 이것은 이 화합물의 항-우울제로서의 가능한 능력을 나타낸다.
약물의 또 다른 항-우울제 활성의 증거는 강제 수영 시험(Forced Swim Test)에서 부동성이 감소하는 동안 나타났다. 시험 약물은 100mg/kg으로 투약된 표준 약물 삼환 항-우울제의 71.44%에 비교하여 30mg/kg으로 경구 투여되었을 때 부동성에서 68.76% 감소를 나타냈다.
운동 활성 시험(Locomotor Activity Test)에서, 시험 화합물은 마우스에 대해 아무런 진정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것은 마우스의 운동 활성의 증가에 의해 증명된다. 이 약물의 항-우울 활성에는 진정작용과 졸음이 수반되지 않는다.
시험 화합물은 5-히드록시트립토판 (5-HTP) 강화 시험을 하는 동안 그것의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능력을 증명하였는데, 시험에서 그것은 마우스에서 관찰된 머리 경련의 횟수를 상당히 증가시켰다. 100mg/kg 용량의 시험 화합물은 100mg/kg 용량의 표준 SSRI, 즉 플루옥세틴과 비교할만하였다. 이것 외에도 시험 약물은 또한 표준 SSRI 약물과 비교하여 최소한의 부작용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시험 화합물은 MAO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 활성의 통상적인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것은 콜린 억제성 부작용이 없다. 그것은 마우스에서 꼬리 현수 시험에서 상당한 용량 의존성 항-우울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추가로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주로 묘목 센텔란 아시아티카의 잎과 줄기를 포함한 땅 위의 부분 1kg을 깨끗하고 건조된 형태로 취하여 20 메쉬 크기의 해머밀을 100% 확실하게 통과할 수 있을 크기로 분쇄한다. 이 물질을 30℃에서 8시간의 기간에 걸쳐 고정상 역흐름 추출장치에서 반복적으로 5리터의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추출하였다. 8시간 후에 추출물을 여과하여 모든 현탁된 덩어리를 제거하였다. 투명한 여과액을 진공하에 회전 증발기에서 40℃에서 반고체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덩어리에 3리터의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균질한 액체를 얻었다. 그 액체를 2리터의 핵산으로 2회 세척함으로써 추 출하고, 바닥의 수성층을 분리해냈다. 수성층을 다시 1리터의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2회 추출하였다. 바닥의 수성층을 분리하고 흡착제 수지인 암버라이트 XADI180 (400ml) 상을 통해 통과시키는 한편 유속을 25ml/분으로 유지하고, 유출물을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의 부재에 대해 모니터하였다.
칼럼을 5리터의 광물질이 제거된 물로 세척액이 무색이 될 때까지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흡착제 칼럼을 TLC 시험을 모니터링한 결과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의 부재를 나타낼 때까지 에틸 알코올로 용출하였다. 그 결과의 용출물을 100g의 활성화된 챠콜과 250g의 60 내지 120 메쉬 크기의 실리카겔을 포함하고 있는 칼럼을 통하여 통과시켰다. 그 결과의 용출물을 수집하고, 칼럼을 에틸 알코올로 철저히 세척하여 모든 세척물을 용출물과 조합하여 진공 증류 장치에서 45℃ 내지 50℃에서 농축하여 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을 300ml의 광물질이 제거된 물에 녹여서 20%의 고체 함량을 가지는 투명한 용액을 얻은 후, 다음의 조건하에서 병렬-흐름 간접 고온공기 분무 건조기에서 분무 건조하였다.
유입 온도: 140℃
유출 온도: 80℃
수율은 30gm의 담황색의 수용성 분말이었고, 분말의 조성은 HPLC 방법에 의해 40%의 아시아티코시드와 36%의 마데카소시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주로 묘목 센텔란 아시아티카의 잎과 줄기를 포함한 땅 위의 부분 1kg을 깨끗하고 건조된 형태로 취하여 20 메쉬 크기의 해머밀을 100% 확실하게 통과할 수 있을 크기로 분쇄한다. 이 물질을 30℃에서 8시간의 기간에 걸쳐 고정상 역흐름 추출장치에서 반복적으로 5리터의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였다. 8시간 후에 추출물을 여과하여 모든 현탁된 덩어리를 제거하였다. 투명한 여과액을 진공하에 회전 증발기에서 40℃에서 반고체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덩어리에 3리터의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균질한 액체를 얻었다. 그 액체를 2리터의 핵산으로 2회 세척함으로써 추출하고, 바닥의 수성층을 분리해냈다. 수성층을 다시 1리터의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2회 추출하였다. 바닥의 수성층을 분리하고 흡착제 수지인 암버라이트 XADI180 (400ml) 상을 통해 통과시키는 한편 유속을 25ml/분으로 유지하고, 유출물을 센텔로 사포닌의 부재에 대해 모니터하였다.
칼럼을 5리터의 광물질이 제거된 물로 세척액이 무색이 될 때까지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흡착제 칼럼을 TLC 시험을 모니터링한 결과 센텔로 사포닌의 부재를 나타낼 때까지 에틸 알코올로 용출하였다. 그 결과의 용출물을 100g의 활성화된 챠콜과 250g의 60 내지 120 메쉬 크기의 실리카겔을 포함하고 있는 칼럼을 통하여 통과시켰다. 그 결과의 용출물을 수집하고, 칼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철저히 세척하여 모든 세척물을 용출물과 조합하여 진공 증류 장치에서 45℃ 내지 50℃에서 농축하여 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을 300ml의 광물질이 제거된 물에 녹여서 10%의 고체 함량을 가지는 투명한 용액을 얻은 후, 다음의 조건하에서 병렬-흐름 간접 고온공기 분무 건조기에서 분무 건조하였다.
유입 온도: 140℃
유출 온도: 80℃
수율은 28gm의 담황색의 수용성 분말이었고, 분말의 조성은 HPLC 방법에 의해 40%의 아시아티코시드와 34%의 마데카소시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주로 묘목 센텔란 아시아티카의 잎과 줄기를 포함한 땅 위의 부분 1kg을 깨끗하고 건조된 형태로 취하여 20 메쉬 크기의 해머밀을 100% 확실하게 통과할 수 있을 크기로 분쇄한다. 이 물질을 30℃에서 8시간의 기간에 걸쳐 고정상 역흐름 추출장치에서 반복적으로 5리터의 메틸 알코올로 추출하였다. 8시간 후에 추출물을 여과하여 모든 현탁된 덩어리를 제거하였다. 투명한 여과액을 진공하에 회전 증발기에서 40℃에서 반고체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덩어리에 3리터의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균질한 액체를 얻었다. 그 액체를 2리터의 핵산으로 2회 세척함으로써 추출하고, 바닥의 수성층을 분리해냈다. 수성층을 다시 1리터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2회 추출하였다. 바닥의 수성층을 분리하고 흡착제 수지인 암버라이트 XADI180 (400ml) 상을 통해 통과시키는 한편 유속을 25ml/분으로 유지하고, 유출물을 센텔로 사포닌의 부재에 대해 모니터하였다.
칼럼을 5리터의 광물질이 제거된 물로 세척액이 무색이 될 때까지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흡착제 칼럼을 TLC 시험을 모니터링한 결과 센텔로 사포닌의 부재를 나타낼 때까지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용출하였다. 그 결과의 용출물을 100g의 활성화된 챠콜과 250g의 60 내지 120 메쉬 크기의 실리카겔을 포함하고 있는 칼럼을 통하여 통과시켰다. 그 결과의 용출물을 수집하고, 칼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철저히 세척하여 모든 세척물을 용출물과 조합하여 진공 증류 장치에서 45℃ 내지 50℃ 에서 농축하여 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을 300ml의 광물질이 제거된 물에 녹여서 20%의 고체 함량을 가지는 투명한 용액을 얻은 후, 다음의 조건하에서 병렬-흐름 간접 고온공기 분무 건조기에서 분무 건조하였다.
유입 온도: 140℃
유출 온도: 80℃
수율은 32gm의 담황색의 수용성 분말이었고, 분말의 조성은 HPLC 방법에 의해 39%의 아시아티코시드와 34%의 마데카소시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주로 묘목 센텔란 아시아티카의 잎과 줄기를 포함한 땅 위의 부분 1kg을 깨끗하고 건조된 형태로 취하여 20 메쉬 크기의 해머밀을 100% 확실하게 통과할 수 있을 크기로 분쇄한다. 이 물질을 30℃에서 10시간의 기간에 걸쳐 고정상 역흐름 추출장치에서 반복적으로 5리터의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였다. 10시간 후에 추출물을 여과하여 모든 현탁된 덩어리를 제거하였다. 투명한 여과액을 진공하에 회전 증발기에서 40℃에서 반고체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덩어리에 3리터의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균질한 액체를 얻었다. 그 액체를 2리터의 핵산으로 2회 세척함으로써 추출하고, 바닥의 수성층을 분리해냈다. 수성층을 다시 1리터의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2회 추출하였다. 바닥의 수성층을 분리하고 흡착제 수지인 암버라이트 XADI180 (400ml) 상을 통해 통과시키는 한편 유속을 25ml/분으로 유지하고, 유출물을 센텔로 사포닌의 부재에 대해 모니터하였다.
칼럼을 5리터의 광물질이 제거된 물로 세척액이 무색이 될 때까지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흡착제 칼럼을 TLC 시험을 모니터링한 결과 센텔로 사포닌의 부재를 나타낼 때까지 에틸 알코올로 용출하였다. 그 결과의 용출물을 100g의 활성화된 챠콜과 250g의 60 내지 120 메쉬 크기의 실리카겔을 포함하고 있는 칼럼을 통하여 통과시켰다. 그 결과의 용출물을 수집하고, 칼럼을 에틸 알코올로 철저히 세척하여 모든 세척물을 용출물과 조합하여 진공 증류 장치에서 45℃ 내지 50℃에서 농축하여 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을 300ml의 광물질이 제거된 물에 녹여서 20%의 고체 함량을 가지는 투명한 용액을 얻은 후, 다음의 조건하에서 병렬-흐름 간접 고온공기 분무 건조기에서 분무 건조하였다.
유입 온도: 140℃
유출 온도: 80℃
수율은 30gm의 담황색의 수용성 분말이었고, 분말의 조성은 HPLC 방법에 의해 41%의 아시아티코시드와 36%의 마데카소시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마우스에서 꼬리 현수법에 미치는 시험 화합물의 효과
이 시험은 설치류에서의 부동성의 백분율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잠재적인 항우울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다. 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붙잡혀 있는 설치류에 의해 나타난 부동성은 절망행동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그것은 우울 장애로 고생하는 사람의 마음 상태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항우울제는 꼬리가 붙들려있을 때 도망가기 위한 능동적이고 성공하지 못한 시도 후에 마우스가 나타내는 부동성을 감소시킨다.
과정:
성별과 관계없이 체중이 25 내지 30g인 스위스 알비노 마우스를 플라스틱 우리 안에 최소한 10일 동안 가두어두었다가 시험에 사용하였다. 동물들을 시험 전에 1시간 동안 시험 환경에 적응하도록 놓아두어야 했다. 6마리씩의 동물로 된 그룹을 시험 약물, 부형제 또는 표준 약물로 시험 전 60분 전에 경구로 처리하였다. 시험을 위해 마우스를 꼬리 끝으로부터 대략 1cm 지점에 접착테이프로 테이블 표면보다 58cm 위에 있는 선반의 가장자리에 붙들어놓았다. 부동성 기간은 계속해서 6분 주기 동안 기록하였다. 마우스들은 수동적으로 매달려 있을 때 움직이지 않았고 최소한 1분 동안은 완전히 정지상태였다. 64mg/kg, p.o.의 이미프라민을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수동 행동을 나타내는 동물의 백분율을 계산하고 다양한 용량을 사용하여 부형제로 처리한 대조표준과 비교하였다.
부동성 시간에 미치는 시험 약물의 효과
처리 총 부동성 시간 (SEC) 부동성의 % 감소
부형제 188.91±7.412 -
시험 약물 (3mg/kg) 163.27±12.240 13.57
시험 약물 (10mg/kg) 132.10±8.201** 30.08
시험 약물 (30mg/kg) 112.69±10.620** 40.34
이미프라민 (64mg/kg) 90.90±7.690** 51.88
데이터는 평균±SEM (n=8)을 나타낸다.
** P<0.01 대 부형제, 데이터는 ANOVA와 이어서 듀넷 시험에 의해 분석한다.
이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3, 10, 및 30mg/kg 용량으로 p.o.로 주어지는 시험 약물에 의해 부동성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나타냈다. 10과 30mg/kg 용량에서 부동성의 감소는 상당하였다 (P<0.01). 부동성의 % 감소를 부형제 군에 대해 계산하였다. 표준 약물인 이미프라민 (64mg/kg, p.o.)은 부동성의 상당한 (P<0.01) 감소를 나타냈다.
실시예 6: 마우스에서 운동 활성에 미치는 시험 화합물의 효과
이 시험은 항우울제의 진정 측면을 배제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그 외에도 이 시험은 또한 약물의 특정 근육 이완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스위스 알비노 마우스를 레이저 센서가 달린 운동 챔버에서 시험하여 마우스의 움직임을 체크하였다. 운동 기록은 동물의 이동성의 직접적인 기능이다. 이동성의 감소는 진정 효과와 근육 이완 효과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과정:
성별과 관계없이 체중이 25 내지 30g인 스위스 알비노 마우스를 플라스틱 우리 안에 최소한 10일 동안 가두어두었다가 시험에 사용하였다. 동물들을 시험 전에 1시간 동안 시험 환경에 적응하도록 놓아두었다. 6마리씩의 동물로 된 그룹을 시험 약물 (10, 30 100mg/kg, p.o.) 또는 부형제 또는 표준 약물로 시험 전 60분 전에 경구로 처리하였다. 시험을 위해 마우스를 개별적으로 악토포토미터(Actophotometer)에 놓았다. 운동 활성을 10분 기간 동안 개별적으로 계수하였다. 이미프라민 64mg/kg,p.o.를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부동성 시간에 미치는 시험 약물의 효과
처리 총 운동 활성 계수 운동 활성의 % 증가
부형제 207.50±21.88 -
시험 약물 (3mg/kg) 220.75±11.25 6.39
시험 약물 (10mg/kg) 233.13±15.80 12.35
시험 약물 (30mg/kg) 289.38±15.51** 39.46
이미프라민 (64mg/kg) 127.00±06.90** -38.80
데이터는 평균±SEM (n=8)을 나타낸다.
** P<0.01 대 부형제, 데이터는 ANOVA와 이어서 듀넷 시험에 의해 분석한다.
이미프라민은 포지티브 대조표준으로 운동 활성의 감소를 유발한다. 이것은 약물의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반면에 시험 약물은 운동 활성에 있어서 용량 의존성 증가를 나타내고, 따라서 진정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이 증명된다. 이미프라민은 진정작용을 유도한다는 것을 주의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므로 시험 화합물은 삼환 항우울제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진정작용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시험 약물은 30mg/kg,p.o.로 주어질 때 운동 활성에 상당한 (P<0.01) 증가를 나타냈다. 3과 10mg/kg 용량에서도 운동 활성에 증가가 있었지만 유의미하지 않았다. 운동 활성의 % 증가를 부형제 그룹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표준 약물인 이미프라민 (64mg/kg,p.o.)도 운동 활성에 상당한 (P<0.01) 증가를 나타냈지만, 부형제와 시험 약물보다 적었다.
실시예 7: 강제 수영 시험
도망갈 수 없는 제한된 공간에서 수영하도록 강요된 마우스들은 특징적인 부동성 행동을 유발한다.
과정:
체중이 25 내지 30g인 수컷 스위스 알비노 마우스를 실험하기 전 최소한 하루 전에 실험실로 가져와 개별적으로 우리 안에 넣었다. 마우스를 개별적으로 25℃로 유지되고 있는 12cm의 물을 담고 있는 수직 플렉스 유리 실린더 (25x23cm)안에서 강제로 수영하도록 하였다. 실린더 안에 놓여있는 마우스들은 처음에는 매우 활 동적이어서 격렬하게 원을 그리며 수영하면서 벽을 기어오르려 하거나 바닥으로 다이빙하려고 하였다.
2, 3분 후에 활동은 잦아들기 시작하였고, 부동성 양상이 보이기 시작하거나 몸 전체가 길게 늘어지면서 떠다녔다. 5, 6분 후에는 부동성이 고원상태에 이르렀고, 그 상태에서 마우스는 대략 80%의 시간 동안 부동상태를 유지하였다. 물속에서 15분 후에 마우스를 꺼내어 가열된 엔클로저 (32℃)에서 건조되도록 놓아둔 후에 원래 우리로 복귀시켰다. 그들을 다시 실린더에서 24시간 동안 놓아둔 후에 총 부동성 기간을 6분의 시험 회기의 마지막 4분 동안 계수하였다. 동물을 그것이 약간 등을 구부린 채로, 그러나 직립 자세로 물에 수동적으로 떠다니는 채로, 그것의 코가 수면 바로 위에 있을 때 부동성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시험 약물 (10, 30 & 100mg/kg, p.o.) 또는 부형제 또는 표준 약물인 이미프라민 (100mg/kg, p.o.)을 시험하기 한 시간 전에 투여하였다.
부동성 시간에 미치는 시험 약물의 효과
처리 총 부동성 시간 (SEC) 부동성의 % 감소
부형제 158.17±8.991 -
시험 약물 (3mg/kg) 142.50±3.847 9.90
시험 약물 (10mg/kg) 86.32±15.920** 45.42
시험 약물 (30mg/kg) 49.43±3.584** 68.75
이미프라민 (100mg/kg) 45.17±4.450** 71.44
데이터는 평균±SEM (n=6)을 나타낸다.
** P<0.01 대 부형제, 데이터는 ANOVA와 이어서 듀넷 시험에 의해 분석한다.
이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시험 약물이 3, 10 및 30mg/kg, p.o.로 주어질 때 부동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및 30mg/kg 용량일 때 부동성의 감소는 상당하였다 (P<0.01). 부동성의 % 감소는 부형제 군에 대해 계산하였다. 개별적인 동물의 판독은 부록 II, 페이지 113에서 찾아볼 수 있다. 부동성의 감소는 30mg/kg 용량에 의해 나타났다.
레서핀 길항작용( Reserpine antagonism )
뇌에서 생명유지에 필요한 아민의 고갈은 설치류에서 강직증 뿐만 아니라 저체온증을 유발한다. 레서핀에 의해 유도된 체온의 감소는 항우울제, MAO-억제제 및 중추 자극제에 의해 길항된다. 레서핀은 또한 세로토닌과 같은 뇌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항우울제는 레서핀의 효과를 반전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실시예 8: 레서핀 투여 후 강요된 수영 시험
과정:
체중이 25 내지 30g인 수컷 스위스 알비노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모든 동물을 사전 훈련시켜서 25℃에서 유지된 12cm의 물이 담겨있는 수직 플렉시 유리 실린더 (25x23cm)에서 15분 동안 수영하도록 하였다. 그들에게 5mg/kg의 레서핀을 예비훈련 후 20시간 후에 복강내 주사하였다. 레서핀을 투여하고 4시간 후에, 시험 약물 (10, 30 & 100mg/kg) 또는 부형제 또는 표준 약물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그런 다음 이 처리 후 60분 후에 동물을 개별적으로 6분 동안 수영하도록 하고, 그 시간 동안에 부동성을 기록하였다. 이미프라민 64mg/kg, p.o.를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레서핀 투여 후 부동성 시간에 미치는 시험 약물의 효과
처리 총 부동성 시간 (SEC) 부동성의 % 감소
부형제 146.29±12.07 -
레서핀 (5mg/kg) 221.60±6.793# -
시험 약물 (10mg/kg) 185.72±10.30 15.99
시험 약물 (30mg/kg) 139.92±13.54** 36.71
시험 약물 (100mg/kg) 096.72±7.529** 56.25
이미프라민 (100mg/kg) 063.57±3.320** 71.24
데이터는 평균±SEM (n=6)을 나타낸다.
# P<0.05 대 부형제.
** P<0.01 대 레서핀, 데이터는 ANOVA와 이어서 듀넷 시험에 의해 분석한다.
이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시험 약물의 10, 30 및 100mg/kg 용량, p.o.에서 부동성의 용량 의존성 감소를 나타냈다. 그러나 30과 100mg/kg 용량은 레서핀 군과 비교하여 상당한 (P<0.01) 감소를 나타냈다. 부동성의 % 감소를 레서핀 군에 대해 계산하였다. 표준 약물인 이미프라민 (64mg/kg) 또한 부동성의 상당한 (P<0.01) 감소를 나타냈다.
실시예 9: 레서핀 투여 후 운동 활성 시험
뇌에서 생명유지에 필요한 아민의 고갈은 설치류에서 강직증, 하수증, 저체온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운동 활성을 감소시킨다. 마우스에서 레서핀 (5mg/kg, i.p.)을 복강내 투여한 것은 항우울제, MAO-억제제 및 중추 자극제에 의해 길항될 수 있는 운동 활성의 감소를 유발한다.
과정:
체중이 25 내지 30g인 수컷 스위스 알비노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모든 동물에게 5mg/kg의 레서핀을 복강내 투여하였다. 레서핀을 투여하고 4시간 후에, 시험 약물 (10, 30 & 100mg/kg) 또는 부형제 또는 표준 약물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그런 다음 이 처리 후 60분 후에 동물을 개별적으로 악토포토미터에 10분 동안 넣고, 그 기간 동안에 운동 활성을 계수하였다. 이미프라민 64mg/kg, p.o.를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레서핀 투여 후 운동 활성에 미치는 시험 약물의 효과
처리 총 운동활성 계수 운동 활성의 % 증가
부형제 280.5±31.79 -
레서핀 (5mg/kg) 121.17±06.112# -
시험 약물 (10mg/kg) 242.33±04.372* 100.00
시험 약물 (30mg/kg) 282.17±08.662*** 132.87
시험 약물 (100mg/kg) 214.33±18.33 076.88
이미프라민 (64mg/kg) 218.00±21.48 079.91
데이터는 평균±SEM (n=6)을 나타낸다.
# P<0.01 대 부형제.
* P<0.05 대 레서핀.
*** P<0.001 대 레서핀, 데이터는 ANOVA와 이어서 듀넷 시험에 의해 분석한다.
이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시험 약물의 10, 30 및 100mg/kg 용량, p.o.에서 운동 활성의 증가에 있어 용량 의존성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10mg/kg (P<0.05) 및 30mg/kg (P<0.001) 용량은 레서핀 군과 비교하여 상당한 활성을 나타냈다. 운동 활성의 % 증가를 레서핀 군에 대해 계산하였다. 표준 약물인 이미프라민 (64mg/kg) 또한 운동 활성의 상당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10: 마우스에서 5- 히드록시트립토판 (L 5- HTP ) 강화
여러 항우울제는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차단함으로써 세로토닌 효과를 강화한다. 5-히드록시트립토판을 세로토닌의 전구체로서 사용한다.
과정:
6마리씩의 스위스 알비노 마우스 (25 내지 30g)로 이루어진 군을 사용하였다. 마우스를 시험 약물 (10, 30 & 100mg/kg, p.o.) 또는 부형제 또는 표준 약물로 75mg/kg의 L-5-히드록시트립토판 (5-HTP)을 복강내 투여하기 전에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마우스를 유리로 된 종모양의 항아리에 넣고 머리 경련의 횟수를 5회에 걸쳐 2분 간격으로 (14분과 16분 사이, 24분과 26분 사이, 34분과 36분 사이, 44분과 46분 사이, 그리고 54분과 56분 사이) 계수하였다. 플루옥세틴 100mg/kg,p.o.를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5- HTP 강화에서 머리 경련에 미치는 시험 약물의 효과
처리 총 머리 경련 횟수 평균±SEM 운동 활성의 % 증가
부형제 21.625±1.752 -
시험 약물 (10mg/kg) 52.625±6.050 143.35
시험 약물 (30mg/kg) 62.250±6.239 187.86
시험 약물 (100mg/kg) 95.375±4.617*** 341.04
플루옥세틴 (100mg/kg) 108.750±3.702*** 402.89
이미프라민 (64mg/kg) 13.25±2.477 -38.73
데이터는 평균±SEM (n=8)을 나타낸다.
*** P<0.001 대 부형제, 데이터는 ANOVA와 이어서 던의 다중 비교 시험에 의해 분석한다.
이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시험 약물을 100mg/kg,p.o.의 용량으로 투여할 때 머리 경련에 상당한 (P<0.001) 증가가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효과는 용량 의존적이었다. 머리 경련의 % 증가를 부형제 군에 대해 계산하였다. 표준 약물인 플루옥세틴 (100mg/kg, p.o.)도 머리 경련에 상당한 (P<0.001) 증가를 나타냈지만, 이미프라민 (64mg/kg, p.o.)은 머리 경련에 상당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플루옥세틴을 투여한 동물들은 설사를 하고 흥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시험약물을 투여한 동물군은 설사를 하지 않았고, 이들 동물은 흥분도 하지 않았다. 시험 약물은 통상적인 부작용이 없이 플루옥세틴과 동일하게 강력하였다.
실시예 11: 위점막의 구조에 미치는 시험 약물의 효과
6마리의 비스타 쥐를 시험 약물로 처리하였다. 시험 약물을 3가지의 용량으로 투약하였다. 즉 30, 60 및 120mg/kg으로 경구로 투약하였다. 투여 후 6시간 후에 동물을 경부 전위(cervical dislocation)에 의해 희생시키고 위를 절개하였다. 그것을 좀 더 큰 만곡을 따라 절단하고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도 1은 30mg/kg의 시험 약물 용량으로 처리된 동물의 위를 도시한다.
도 2는 60mg/kg의 시험 약물 용량으로 처리된 동물의 위를 도시한다.
도 3은 120mg/kg의 시험 약물 용량으로 처리된 동물의 위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위의 선성(glandular) 부분에서 "마루(ridge)"를 보인다. 마루는 시험 약물을 사용하여 용량 의존적인 양상으로 증가한다. 60mg/kg 및 120mg/kg의 시험 약물 용량은 보다 현저한 마루 형성을 나타낸다. 이들 마루는 위의 수축성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마루 형성의 증가는 위의 증가된 연동 운동을 의미한다. 이런 움직임은 더 높은 비율의 위 공복을 가리키는 지수이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를 설명한 것으로,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해 명백한 많은 변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우울증 및 세로토닌 매개된 장애의 조절에 유용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얻음으로써 세로토닌 매개된 장애의 조절이 필요한 환자에게서 세로토닌 매개된 장애, 즉 우울증, 비만, 위 공복, 기분 상승 및 세로토닌과 관련되는 다른 장애의 조절에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선택적으로 함께 포함하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용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는 식물이나 동물 공급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식물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로부터 얻어지는 것인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용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시아티코시드의 농도는 15 내지 50% 범위이고, 마데카소시드의 농도는 20 내지 50% 범위인 것인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용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과립화제, 결합제, 윤활제, 붕괴제, 감미제, 유동화제, 항고착제, 정전기 방지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점성물질, 코팅제, 착색제, 풍미제, 코팅제, 가소제, 보존제, 현탁제, 유화제 및 구형 과립화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용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트로키, 당의정, 수성 또는 유성 현탁제, 연고, 패치, 겔, 로션, 치약, 캡슐, 에멀션, 크림, 분무제, 점적액,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경질 또는 연질 겔 캡슐 중의 에멀션, 시럽, 엘릭시르제, 파이토슈티칼(phytoceutical), 기능식품 및 영양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양한 단위용량 형태로 제형되는 것인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용 조성물.
  6.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식물 센텔라 아시아티카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
    c. 농축된 추출물을 용매에 녹여서 용액을 얻는 단계;
    d. 상기 용액을 용매로 처리하여 지방 물질, 클로로필 및 다른 착색물질들을 제거하는 단계;
    e. 처리된 용액을 흡착제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투명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f. 상기 투명한 용액을 농축시켜 조성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헤테로고리형 방향족 화합물, 지방족 화합물, 케톤, 알코올, 니트릴, 에스테르, 에테르 및 그것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6 항의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출을 위해 사용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알코올인 것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6 항의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20℃ 내지 38℃의 온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30℃에서 수행되는 것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6 항의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6시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6 항의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농축은 40℃ 내지 50℃의 온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45℃에서 수행되는 것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6 항의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탈이온수인 것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6 항의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핵산, 석유 에테르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6 항의 (e) 단계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수지, 챠콜, 실리카겔 및 그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 6항의 (f) 단계에 있어서,
    상기 농축은 50℃ 내지 65℃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세로토닌 매개 장애 조절이 필요한 환자의 세로토닌 매개 장애 조절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오환 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바람직하게는 아시아티코시드 및 마데카소시드를 부형제와 선택적으로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동물 또는 사람인 것인, 조성물의 용도.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물에서는 15 내지 150mg/kg 체중의 단위용량 범위로, 그리고 사람에서는 1 내지 15mg/kg 체중의 단위용량 범위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의 용도.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토닌 매개 장애는 우울증, 비만, 위 공복, 기분 상승 및 기타 세로토닌과 관련된 장애인 것인, 조성물의 용도.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독성이며 부작용이 없는 것인, 조성물의 용도.
KR1020097016796A 2007-02-12 2008-02-11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3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55MU2007 2007-02-12
IN00255/MUM/2007 2007-02-12
PCT/IN2008/000132 WO2008099426A1 (en) 2007-02-12 2008-02-11 A composition for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ion and proces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736A true KR20090117736A (ko) 2009-11-12
KR101183045B1 KR101183045B1 (ko) 2012-09-20

Family

ID=3940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796A KR101183045B1 (ko) 2007-02-12 2008-02-11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669043B2 (ko)
EP (1) EP2117560B1 (ko)
JP (1) JP5266254B2 (ko)
KR (1) KR101183045B1 (ko)
CN (1) CN101652143B (ko)
AT (1) ATE495749T1 (ko)
AU (1) AU2008215743B2 (ko)
BR (1) BRPI0806793B8 (ko)
CA (1) CA2677872C (ko)
DE (1) DE602008004625D1 (ko)
ES (1) ES2358306T3 (ko)
WO (1) WO20080994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82A1 (ko) 2020-05-29 2021-12-02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N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5원자의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41875A1 (ko) 2020-05-29 2021-12-02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41876A1 (ko) 2020-05-29 2021-12-02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카복사미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31095B1 (pt) * 2010-06-10 2020-05-05 Indus Biotech Private Ltd método para preparação de uma composição de asiaticoside altamente pura a partir de centella asiatica de um método para seu uso
FR2964570A1 (fr) * 2010-09-09 2012-03-16 Burgundy Procede de preparation d'un extrait de centella asiatica
CN101983966B (zh) * 2010-11-19 2012-08-15 浙江大学 低积雪草苷含量总苷出发同时制备积雪草苷和羟基积雪草苷的工艺
WO2012164356A1 (en) * 2011-06-02 2012-12-06 Indus Biotech Private Limited A method of managing hypercortisolemia, headache disorders, neuropathic pain and related disorders
SG11201900408RA (en) * 2016-07-17 2019-02-27 Oneness Biotech Co Ltd Topical formulation for promoting wound healing
CN108002997B (zh) * 2017-12-15 2020-10-23 中国医学科学院药用植物研究所海南分所 一种具有止呕作用的沉香提取物及其应用
CN111329866B (zh) * 2020-04-12 2023-04-07 云南民族大学 一种五环三萜类化合物在制备抗偏头痛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3171A3 (en) * 1989-02-11 1991-07-24 Hoechst Aktiengesellschaft 2,3,23-trihydroxy-urs-12-ene derivatives for treating cognitive disorders
KR100228873B1 (ko) * 1997-03-24 1999-11-01 강재헌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JP4497566B2 (ja) * 1998-09-02 2010-07-07 株式会社 日本薬用食品研究所 アルドース還元酵素阻害剤並びに新規サポニン及び新規サポゲノール
CN1211098C (zh) * 2001-05-29 2005-07-20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积雪草总甙抗抑郁症的用途
JP2004002335A (ja) * 2002-03-28 2004-01-08 Ortho Corporation 不定愁訴症状改善剤及び食品とその組成物
CN1121862C (zh) * 2002-04-16 2003-09-24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羟基积雪草甙用于制备治疗抑郁症药物的用途
FR2848117B1 (fr) * 2002-12-10 2006-08-04 Roche Consumer Health Ltd Procede de preparation d'un extrait de centella asiatica riche en madecassoside et en terminoloside
CN100467025C (zh) * 2004-06-09 2009-03-11 北京苏里曼医药科技有限公司 积雪草总苷、积雪草苷或羟基积雪草苷在制备防治心、脑血管疾病药物中的用途
CN1583127A (zh) 2004-06-11 2005-02-23 张正生 一种治疗抑郁症和肿瘤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0441201C (zh) 2005-06-08 2008-12-10 浙江省医学科学院 含积雪草水溶性有效组分的中药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82A1 (ko) 2020-05-29 2021-12-02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N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5원자의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41875A1 (ko) 2020-05-29 2021-12-02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41876A1 (ko) 2020-05-29 2021-12-02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카복사미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95749T1 (de) 2011-02-15
CA2677872A1 (en) 2008-08-21
AU2008215743A1 (en) 2008-08-21
KR101183045B1 (ko) 2012-09-20
EP2117560B1 (en) 2011-01-19
BRPI0806793A2 (pt) 2011-09-13
CN101652143B (zh) 2013-11-06
JP2010530841A (ja) 2010-09-16
JP5266254B2 (ja) 2013-08-21
WO2008099426A1 (en) 2008-08-21
US9669043B2 (en) 2017-06-06
CN101652143A (zh) 2010-02-17
DE602008004625D1 (de) 2011-03-03
EP2117560A1 (en) 2009-11-18
BRPI0806793B1 (pt) 2021-03-09
CA2677872C (en) 2012-04-03
BRPI0806793B8 (pt) 2021-05-25
US20080194499A1 (en) 2008-08-14
AU2008215743B2 (en) 2010-10-07
ES2358306T3 (es)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045B1 (ko)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1657194B (zh) 包含葫芦巴碱和4-羟基异亮氨酸的药物组合物及其方法
CN110300581B (zh) 具有奇数碳的脂类化合物及其作为医药组合物或者营养补充剂的用途
RU2385160C2 (ru) ЭКСТРАКТ Piper Laetispicum C.DC.,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KR101071894B1 (ko) 카바크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및 당뇨병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99513B1 (ko)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472335B (zh) 用以治療腸激躁症之山薑屬植物萃取物
KR102037719B1 (ko) 이오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제, 항우울제 또는 항불안제 조성물
US20220040122A1 (en) Composition for allergy prevention, atopic dermatitis alleviation or skin regenera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undecane or undecanal
WO2019167297A1 (ja) アミロイドβ蛋白の生成阻害剤
KR20180129692A (ko) 홍경천 및 연자육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2544229B1 (ko) 천연물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내지 이의 용도
KR102493641B1 (ko) 신곡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6953B1 (ko) 이카리시드 ii의 남성 또는 여성 성기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 제조에서의 용도
KR20170005873A (ko)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CN117503828A (zh) 一种防治阿尔茨海默症的组合物及其应用
WO2021220793A1 (ja) オートファジー活性化剤
KR20210135834A (ko) 헤스페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00074868A (ko) 발기부전 치료용 조성물 (3)
WO2006005219A1 (fr) Composition pharmaceutique pour traiter la depression, et procede pour la preparer
KR20000074869A (ko) 발기부전 치료용 조성물 (4)
JP2003128558A (ja) アレルギー性鼻炎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