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703A -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703A
KR20090115703A KR1020090100369A KR20090100369A KR20090115703A KR 20090115703 A KR20090115703 A KR 20090115703A KR 1020090100369 A KR1020090100369 A KR 1020090100369A KR 20090100369 A KR20090100369 A KR 20090100369A KR 20090115703 A KR20090115703 A KR 2009011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ing
silica
water
powder
bas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성
샤라드 디. 브하갓
임종현
정영철
박종철
지승용
Original Assignee
엠파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워(주) filed Critical 엠파워(주)
Priority to KR102009010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5703A/ko
Publication of KR2009011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01J4/001Feed or outlet devices as such, e.g. feeding tubes
    • B01J4/007Feed or outlet devices as such, e.g. feeding tubes provided with moving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4/00Aspects relating to feed or outlet devices; Regulating devices for feed or outlet devices
    • B01J2204/005Aspects relating to feed or outlet devices; Regulating devices for feed or outlet devices the outlet side being of particular interes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90Other properties not specified abo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온 교환하지 않은 물유리 용액을 전구물질로 하고 알카리성 pH를 갖는 오가노실란(organosilane) 화합물과 무기산을 첨가하여 표면개질 및 겔화하여 히드로겔(hydrogels)을 생성하는 단계와, 히드로겔을 비극성 용매 내에 침지시켜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을 제거하는 단계, 및 용매 교환된 히드로겔을 상압 또는 감압 하에서 유동층 건조방식으로 건조시켜 에어로겔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그 과정이 매우 단순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을 가지므로, 산업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Description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Superhydrophobic Silica Chain Powders}
이 발명은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 교환하지 않은 물유리 용액을 이용하고 특히, 상압 내지 감압 하에서 유동층 건조방식을 통해 단순하고 경제성이 있는 초소수성 실리카계(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Silica aerogel powder)은 현존하는 가장 가벼운 고체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징은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이 갖는 90% 이상의 높은 기공률과 600m2/g 이상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나노 다공질 구조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은 단열 물질, 촉매 담체, 절연 물질 등으로서 많은 과학 분야 및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는 이러한 방대한 활용분야에 비해 그 사용이 극도로 제한적이었다. 이는 겔의 건조를 위한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technique)을 사용함에 따른 고비용 및 위험 요소들 때문이다.
반면에, 통상의 상압 건조법(ambient pressure drying ; APD)은 오가노실란 시약(organosilane reagents)을 이용한 히드로겔의 화학적 표면개질(APD의 실시 중 겔의 높은 기공성을 보존하는데 필수적임)을 사용함으로, 안전하고 경제적인 에어로겔의 제조방법이다. 그러나 상압 건조법은 건조과정중 건조응력과 모세관력에 의해 제로겔이라고 불리는 조밀한 구조의 입자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압 건조과정 중에 비극성 그룹을 접목함으로써 모세관력에 견딜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몇몇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상압 건조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실리카 에어로겔 제품은 물유리 용액을 전구물질로 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온 교환수지를 통해 물유리속의 Na+ 이온을 제거하도록 반응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방식을 이용하여 제품을 대량 생산할 경우에는 복잡한 처리 절차와 많은 투자비가 소요된다. 게다가 종래의 방식을 통해 표면 개질 및 용매 교환을 할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고가의 화학물질이 요구되고, 그로 인해 제조공정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생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유리 용액과 같은 저렴한 전구물질을 이용하고 상압 내지 감압 하에서 유동층 건조방식을 통한 습윤겔의 건조방식을 채택해 단순하고 경제성이 있는 초소수성 실리카계(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상압 내지 감압 하에서 유동층 건조방식을 이용해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발명은 기존의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technique)을 사용함에 따른 고비용 및 위험 요소를 제거하고, 근래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압 건조법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많은 비용과 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부차적으로는 건조된 에어로겔 분말을 밀도차에 따른 분리가 가능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성을 갖는다.
즉, 이 발명은 종래의 상압 건조법(APD)을 이용함에 따라 물유리계 에어로겔의 합성시 장시간 소요되는 표면개질 및 용매교환과 같은 문제점을, 코프리커서법(co-precursor method)에 의한 히드로겔의 신속한 표면개질을 위해 HNO3/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 HMDS)계를 이용하고, 습윤겔에 포함되어 있는 용 매 및 소량의 수분을 유동층 건조방식을 이용해 빠른 시간 안에 배출하여 에어로겔 분말의 처리시간을 총 5시간으로 단축시킴으로써 극복 가능하다. 이러한 에어로겔 분말의 제조방법은 대량생산의 관점 및 이들 물질의 상업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발명의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은 이온 교환하지 않은 물유리 용액을 전구물질로 하고 알카리성 pH를 갖는 오가노실란(organosilane) 화합물과 무기산을 첨가하여 표면개질 및 겔화하여 히드로겔(hydrogels)을 생성하는 제1 단계와, 히드로겔을 비극성 용매 내에 침지시켜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을 제거하는 제2 단계, 및 용매 교환된 히드로겔을 상압 내지 감압 하에서 유동층 건조방식을 이용해 건조시켜 에어로겔 분말을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물유리 용액은 실리카(29 중량%)의 무기질 전구물질이고, 전구물질을 탈이온수로 희석시켜 1 ~ 1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가노실란 화합물은 헥사메틸디시라잔(hexamethyldisilazane ; HMDS)이고, 무기산은 초산 또는 염산일 수 있다.
이 발명은 물유리 용액에 오가노실란 화합물을 첨가하여 코프리커서법에 의한 표면 개질을 하고, 코프리커서법에 의해 얻어진 히드로겔을 비극성 용매에 침지시켜 용매 교환과 Na+ 이온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발명은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의 제거를 상온 이상의 60℃ 미만 조건에서 10시간 이내에 행할 수 있고, 비극 성 용매로 헥산 또는 헵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습윤겔을 건조함에 있어 상압 내지 감압 하에서 유동층 건조방식을 이용해 100℃ 내지 200℃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극성 용매를 건조 과정 중에 증기의 응축에 의해 재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서 히드로겔을 물로 수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히드로겔에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발명은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서 히드로겔을 물로 수세한 다음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서 히드로겔에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한 후 유리구슬(Glass Bead)을 투입하고 100℃ 내지 200℃ 범위의 공기를 공급하여 유동화 및 마찰을 통해 용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유동층 건조방식으로 건조된 에어로겔 분말을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해 밀도별로 분리 포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공기의 공탑속도는 유동층 내에서의 유리구슬의 최소 유동화속도의 3 ~ 15배로 하고, 유리구슬의 무게비는 수분과 일부 헥산이 제거된 겔에 대해 2 ~ 6배로 할 수 있다. 또한, 유리구슬의 직경은 1.0mm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은 그 과정이 매우 단순할 뿐 만 아니라 경제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발명은 산업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실리카계(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실리에이트 히드로겔(silylated hydrogels)을 제조하는 단계 이전에 행해지는 이온교환을 통해 Na+ 이온을 제거하지 않고, 용매 교환을 통한 실리에이트 히드로겔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Na+ 이온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 실시예는 이온 교환하지 않은 물유리 용액에 무기산(초산 또는 염산)과 오가노실란 화합물을 첨가하고 코프리커서법을 이용하여 실리에이트 히드로겔(silylated hydrogels)을 제조한다(S110, S120). 이때 사용되는 오가노실란 화합물은 알칼리성 pH를 갖는 것으로 표면 개질 및 겔화 작용을 한다. 이 실시예의 물유리 용액은 실리카(29 중량%)의 무기질 전구물질로서, 전구물질을 탈이온수로 희석시켜 1 ~ 1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데, 이는 1 중량% 미만이거나 10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겔화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물유리 용액을 3.5 ~ 5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오가노실란 화합물에 의한 표면 개질의 반응결과를 보면, 간극수(pore water)가 히드로겔로부터 배출되는데, 이 실시예의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물과 혼합되지 않는 비극성 용매인 n-헥산 용액(n-hexane solution) 또는 헵탄 용액 내에 히드로겔을 침지시킨다. 그러면, 겔의 망상조직으로부터 물이 배출되고, 헥산이 간극(pores) 속으로 침투함으로써, 용매교환(solvent exchange)과 Na+ 이온의 제거가 한 번의 공정으로 완료된다(S130).
이러한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의 제거는 상온 이상의 60℃ 미만 조건에서 10시간 이내에 행한다. 이러한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의 제거는 겔의 망상구조에 있는 물을 헥산으로 치환하는 과정으로 상온 이상의 조건에서 가능하다. 즉,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의 제거는 상온에서는 10시간 이상이 소요되고, 60℃ 이상에서는 헥산의 휘발성에 의해 용매치환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기로는 휘발성이 강한 헥산의 성질을 고려해 40℃ 조건에서 3시간 이내에 행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의 제거 후에 겔을 물로 수세하는 과정을 더 수행함으로써, 겔에 일부 존재할 수 있는 Na+ 이온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의 제거 후에 겔에 진 공 또는 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하거나, 겔을 수세한 다음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즉, 후술할 건조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미리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고, 부수적으로는 일부 헥산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물의 배출과 습윤겔의 건조는 숙성단계(ageing)를 거치지 않고 상압 또는 감압 하에서 유동층 건조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습윤겔은 겔에 존재하는 헥산을 휘발시키기 위한 조건에 해당하는 100℃ 내지 200℃ 범위 내에서 건조할 수 있다. 이렇게 습윤겔을 건조함에 있어서, 100℃ 미만에서는 2일 이상의 장시간의 기간이 필요하고, 200℃ 초과할 경우에는 겔의 구조를 파괴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기로는 습윤겔은 유동층(fluidized bed) 건조로에서 건조되는데, 초기에는 습윤겔을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해 겔의 내부에 존재하는 소량의 수분과 헥산의 일부를 제거한 후, 유리구슬(Glass Bead)과 수분과 일부 헥산이 제거된 겔을 충분히 섞어 유리구슬의 표면에 겔이 부착될 수 있도록 교반한 다음 유동층 건조로 내에 투입한다(S140).
그런 다음, 100℃ 내지 200℃ 이내로 가열된 공기를 유동층 건조로 내에 공급하여 습윤겔과 유리구슬의 혼합체를 유동화 시킨다. 그러면, 습윤겔로부터 용매가 쉽게 배출되고, 혼합체간의 마찰에 의해 겔은 분말형태로 건조가 이루어져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이 된다(S150, S160). 이때 건조된 에어로겔 분말은 유입된 100℃ 내지 200℃ 공기에 의해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밀도차에 따라 분리 포집된다. 일반 건조로(furnace)를 이용할 경우에는 건조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조된 에어로겔 분말을 별도의 공정을 통해 분리해야 하지만, 이 실시예는 유동층 건조로를 이용함에 따라 건조 및 분리 공정을 단일 공정화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습윤겔을 건조하는 과정 중에 증기의 응축을 통해 비극성 용매를 재수집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동층 건조로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탑속도는 유동층 건조로 내에서의 유리구슬의 최소 유동화속도의 3 ~ 1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공기의 공탑속도가 유리구슬의 최소 유동화속도의 3배 미만일 경우에는 유동성이 떨어져 건조 및 배출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15배 초과할 경우에는 유입 속도가 과도하여 미 건조된 겔이 유출된 가능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리구슬의 무게비는 수분과 일부 헥산이 제거된 겔에 대해 2 ~ 6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유리구슬의 무게비가 2배 미만일 경우에는 겔과 유리 구슬이 균일하게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여 건조 효율 및 회수율 저하를 가져올 수 있고, 6배 초과할 경우에는 유리구슬에 고착되어 미 배출되는 겔에 의한 회수율 저하와 압력 저하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유리구슬의 직경은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0mm 이상일 경우 충진층을 유동화 시킬 수 있는 최소 유동화속도가 과도하여 에너지 소비가 크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조된 에어로겔 분말은 매우 낮은 밀도와 뛰어난 단열성을 지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에어로겔 분말은 초소수성을 갖는데, 이러한 특성은 450℃의 온도에 이르기까지 유지되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친수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업적인 측면에서 견지해 볼 때 대량생산에 필요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을 제시해 주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실시예]
이온교환 과정을 거치지 않은 4.35 중량%의 물유리 용액 50ml 내에 일정한 교반 조건하에서 5.8ml의 헥사메틸디시라잔(hexamethyldisilazane)과 4.4ml의 초산을 첨가하여 겔화시킨다. 그런 다음, 얻어진 히드로겔을 용매교환을 위해 n-헥산 용액(60ml) 내에 거의 3시간 동안 방치한다. 이러한 용매교환 후, 히드로겔을 비이커로부터 취출한 다음 상압 내지 감압 하에서 유동층 건조방식으로 건조시켰다. 이때, 건조는 200℃로 가열된 공기를 26cm/sec의 공탑속도로 유입시켜 30분간 실시하였다. 그로 인해 얻어진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은 낮은 태핑 밀도(0.04 ~ 0.12g/cm3) 및 초소수성을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에 대해 히드로겔의 코프리커서법에 의한 표면개질을 확인하기 위해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2는 이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에 대한 FTIR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Si-CH3 피크(Peak)가 존재하였고, 이로 인해 코프리커서법에 의한 표면개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의 특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실시예에 제시된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의 태핑밀도와 구조분석을 통해 에어로겔의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표 1은 건조된 에어로겔을 포집하는 단계별 함수로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의 태핑밀도 및 구조분석의 비교 데이터를 요약한 것이다.
Figure 112009064560149-PAT00001
또한, 상기 실시예에 제시된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을 FE-SEM(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통해 에어로겔의 나노 다공질 구조를 확인하였다. 도 3은 이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에 대한 FE-SEM의 이미지로서, (a)는 건조로를 이용하여 건조한 에어로겔 분말을 나타내고, (b)는 유동층 건조방식으로 건조한 에어로겔 분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건조로를 이용한 건조에 비하여 유동층 건조방식을 이용한 건조의 경우 일정한 입경으로 분포된 에어로겔 분말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유동층 건조방식만의 독특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 발명은 에너지 분야, 환경 분야, 전기/전자 분야 및 기타 분야에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에너지 분야에서는 투명/반투명 절연체, 폴리우레탄 대체품,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이 가능하고, 환경 분야에서는 기/액 분리용 필터, VOC/NOx 제거용 촉매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며, 전기/전자 분야에서는 반도체용 층간 절연막, 극초단파 회로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고, 기타 분야에서는 흡음 페인트, 흡음 패널, 기타 흡음 소재 및 냉광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이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에 대한 FTIR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이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에 대한 FE-SEM의 이미지이다.

Claims (18)

  1. 이온 교환하지 않은 물유리 용액을 전구물질로 하고 알카리성 pH를 갖는 오가노실란(organosilane) 화합물과 무기산을 첨가하여 표면개질 및 겔화하여 히드로겔(hydrogels)을 생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히드로겔을 비극성 용매 내에 침지시켜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을 제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용매 교환된 히드로겔을 상압 또는 감압 하에서 유동층 건조방식으로 건조시켜 에어로겔 분말을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유리 용액은 실리카(29 중량%)의 무기질 전구물질이고, 상기 전구물질을 탈이온수로 희석시켜 1 ~ 1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가노실란 화합물은 헥사메틸디시라잔(hexamethyldisilazane ; HMD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은 초산 또는 염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유리 용액에 상기 오가노실란 화합물을 첨가하여 코프리커서법에 의한 표면 개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커서법에 의해 얻어진 히드로겔을 비극성 용매에 침지시켜 용매 교환과 Na+ 이온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매 교환 및 Na+ 이온의 제거는 상온 이상의 60℃ 미만 조건에서 10시간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용매는 헥산 또는 헵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상압 또는 감압 하에서 100℃ 내지 200℃ 범위 내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용매는 상기 건조 과정 중에 증기의 응축에 의해 재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사이에서 상기 히드로겔을 물로 수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사이에서 상기 히드로겔에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사이에서 상기 히드로겔을 물로 수세한 다음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사이에서 상기 히드로겔에 진공 또는 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한 후 유리구슬(Glass Bead)을 투입하고 100℃ 내지 200℃ 범위의 공기를 공급하여 유동화 및 마찰을 통해 용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 건조방식으로 건조된 상기 에어로겔 분말을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이용해 밀도별로 분리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공탑속도는 상기 유동층 내에서의 상기 유리구슬의 최소 유동화속도의 3 ~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슬의 무게비는 상기 수분과 일부 헥산이 제거된 겔에 대해 2 ~ 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슬의 직경은 1.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090100369A 2009-10-21 2009-10-21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KR20090115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69A KR20090115703A (ko) 2009-10-21 2009-10-21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69A KR20090115703A (ko) 2009-10-21 2009-10-21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157A Division KR20090032707A (ko) 2007-09-28 2007-09-28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703A true KR20090115703A (ko) 2009-11-05

Family

ID=4155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369A KR20090115703A (ko) 2009-10-21 2009-10-21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570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63B1 (ko) * 2012-12-12 2014-07-17 주식회사 엠쓰리텍 초소수성 에어로겔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 장치
KR20170062261A (ko)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수성의 실리카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소수성의 실리카 에어로겔
US10336621B2 (en) 2015-11-27 2019-07-02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hydrophobic silica aerogel and hydrophobic silica aerogel prepared thereby
CN110088040A (zh) * 2016-12-31 2019-08-02 钛业有限公司 一种制备微米级球形二氧化硅气凝胶的方法
US10919772B2 (en) 2015-11-03 2021-02-16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hydrophobic metal oxide-silica composite aerogel, and hydrophobic metal oxide-silica composite aerogel prepared thereby
US10941897B2 (en) 2015-02-13 2021-03-09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of silica aerogel-containing blanket and silica aerogel-containing blanket prepared by using the same
US11279622B2 (en) 2016-09-12 2022-03-22 Lg Chem, Ltd. Method for producing silica aerogel and silica aerogel produced thereby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63B1 (ko) * 2012-12-12 2014-07-17 주식회사 엠쓰리텍 초소수성 에어로겔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 장치
US10941897B2 (en) 2015-02-13 2021-03-09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of silica aerogel-containing blanket and silica aerogel-containing blanket prepared by using the same
US10919772B2 (en) 2015-11-03 2021-02-16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hydrophobic metal oxide-silica composite aerogel, and hydrophobic metal oxide-silica composite aerogel prepared thereby
KR20170062261A (ko)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수성의 실리카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소수성의 실리카 에어로겔
US10294111B2 (en) 2015-11-27 2019-05-21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hydrophobic silica aerogel and hydrophobic silica aerogel prepared thereby
US10336621B2 (en) 2015-11-27 2019-07-02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hydrophobic silica aerogel and hydrophobic silica aerogel prepared thereby
US11279622B2 (en) 2016-09-12 2022-03-22 Lg Chem, Ltd. Method for producing silica aerogel and silica aerogel produced thereby
CN110088040A (zh) * 2016-12-31 2019-08-02 钛业有限公司 一种制备微米级球形二氧化硅气凝胶的方法
CN110088040B (zh) * 2016-12-31 2022-10-14 钛业有限公司 一种制备微米级球形二氧化硅气凝胶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2707A (ko)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KR100868989B1 (ko) 초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의 제조방법
KR101155431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의 제조방법
KR20090115703A (ko)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KR100796253B1 (ko)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US20080081014A1 (en) Rapid preparation process of aerogel
CN107381581A (zh) 疏水性二氧化硅气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434273B1 (ko) 표면개질된 실리카겔의 제조 방법
CN104194066B (zh) 氧化硅-壳聚糖复合气凝胶及其制备方法
JP6260916B2 (ja) シリカエアロゲルの製造方法
CN106629750A (zh) 一种透明二氧化硅块体气凝胶的常压制备方法
KR100785521B1 (ko) 표면개질된 에어로겔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개질된 에어로겔
JP2008208019A (ja) 多孔質材及びその調製方法
US8217087B1 (en) Aerogel with reduced dust, static charge, and having reduced fluidity when in granular form
WO2017002342A1 (ja) エアロゲ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材とその製造方法
KR20090030131A (ko) 영구적인 소수성을 갖는 고투광성 입상형 에어로겔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입상형 에어로겔
CN111484021B (zh) 二氧化硅气凝胶的制备方法
CN101817980A (zh) 一种氧化硅超疏水薄膜的溶胶凝胶制备方法
KR101498562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 제조방법
CN108751206B (zh) 一种变压加速溶剂萃取快速制备气凝胶的方法
KR101687952B1 (ko) 실리카 에어로겔의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CN116495774B (zh) 一种硅气凝胶及其制备方法
Yu et al. Aerogel materials for insulation in buildings
CN108862285B (zh) 一种常压加速溶剂萃取快速制备气凝胶的方法
Amirjana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porous silica aerogel granules on the basis of water glass via ambient pressure dry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