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768A - 단락 단자, 커넥터 및 단락 방법 - Google Patents

단락 단자, 커넥터 및 단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768A
KR20090113768A KR1020090035644A KR20090035644A KR20090113768A KR 20090113768 A KR20090113768 A KR 20090113768A KR 1020090035644 A KR1020090035644 A KR 1020090035644A KR 20090035644 A KR20090035644 A KR 20090035644A KR 20090113768 A KR20090113768 A KR 20090113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pair
terminal fittings
contac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968B1 (ko
Inventor
유우지로우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4Insulating plug or plate inserted between normally closed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빈 공간의 수를 줄임으로써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조 커넥터(11)에 수직 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암형 단자 피팅(20) 중에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과 각각 접촉하게 되어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을 단락시키는 한 쌍의 접촉 부재(41)를 구비하는 단락 단자(40)로서, 접촉한 채로 유지된 접촉 부재(41)와 암형 단자 피팅(20) 사이를 해제 리브(35)가 밀고 들어가서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을 떼어 놓는 것인 단락 단자에 관한 것이다. 양측 접촉 부재(41)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암형 단자 피팅(20)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단락 단자, 커넥터 및 단락 방법{SHORTING TERMINAL, CONNECTOR AND SHORTING METHOD}
본 발명은 단락 단자, 커넥터 및 단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락 단자를 구비한 종래의 커넥터는, 단자 피팅(도시 생략)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2)가, 예컨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직층 각각에 횡방향으로 8열로 배치되어 있는 보조 커넥터(1)와, 이 보조 커넥터(1)에 횡방향으로 대칭인 보조 커넥터(도시 생략), 그리고 캐비티(2)가 3개의 수직층 각각에 횡방향으로 10열로 배치되어 있는 보조 커넥터(도시 생략)를 구비하며, 이들 3개의 보조 커넥터(1)는 홀더(도시 생략)에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도 24에 도시된 회로 기판 커넥터의 피팅 리세스(4)에 끼워질 수 있다.
피팅 리세스(4)의 후벽에는, 단자 피팅의 배치와 대응하게, 수형 탭(5)이 3개의 수직층 각각에 26열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해제 리브(6)가 피팅 리세스(4)의 후벽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각 해제 리브(6)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대응하는 한 쌍의 수형 탭(5) 아래에 배치된다. 상층에 배치된 모든 수형 탭(5)(총 13쌍)을 따라 13개의 해제 리브(6)가 배치되고, 중간층에 배치된 8쌍의 수형 탭(5) 을 따라 8개의 해제 리브가 배치되며, 이로써 총 21개의 해제 리브가 배치된다.
한편, 단락 단자(도시 생략)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단자 수용부(3)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커넥터(1)에 배치된다. 각 단자 수용부(3)는, 보조 커넥터(1)의 상층과 중간층에 배치된 모든 캐비티(2) 중에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대응하는 한 쌍의 캐비티(2)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두 커넥터의 접속 시에 해제 리브(6)의 단자 수용부(3)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 구멍(3A)이 보조 커넥터(1)의 접속면에 형성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단락 단자는,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접촉 부재를 포함하며, 단자 수용부(3)에 장착된 이후에는, 캐비티(2)에 삽입된 단자 피팅과 양측 접촉 부재와의 접촉을 통해,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을 단락시킨다. 단락 단자는 모든 단자 수용부(3)에 장착되는 것은 아니며, 수형 커넥터의 해제 리브(6)에 대응하는 단자 수용부(3)에만 장착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두 커넥터가 접속될 때, 해제 리브(6)는 진입 구멍(3A)을 통해 단자 수용부(3)에 진입하여, 접촉한 채로 유지된 단자 피팅과 접촉 부재 사이를 밀고 들어가고, 이에 의해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을 단락 상태로부터 해제시킨다. 이러한 커넥터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249304호에 개시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전술한 커넥터에서 단락 단자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경우, 단락 단자가 배치되는 수직층의 수를 줄여서 수직 치수를 줄이는 것, 또는 단락 단자가 배치되는 횡방향 배치열의 수를 줄여서 횡방향 치수를 줄이는 것이 고 려된다. 여기서, 수직층의 수를 줄이려고 하는 경우, 단락 단자는 우선 제1층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2층이 제1층에 배치 가능한 수를 상회하게 세팅되며, 이러한 제2층에 단락 단자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단락 단자가 제2층의 모든 가능 위치에 반드시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단 하나의 단락 단자가 제2층에 배치되더라도, 제2층이 세팅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락 단자가 배치되지 않은 제2층의 영역이 쓸모없는 빈 공간이 된다.
여기서, 상기 빈 공간을 도 2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위로부터 두 번째 층에 배치된 4개의 단자 수용부(3) 중에서, 3개의 단자 수용부(3)만이 실제로 사용된다[도 24에서 위로부터 두 번째 층에는 좌측으로부터 3개의 해제 리브(6)가 마련되지만, 좌측으로부터 네 번째 단자 수용부(3)에는 해제 리브(6)가 마련되지 않는다]. 따라서, 나머지 1개의 단자 수용부(3)가 빈 공간이 된다.
다시 말하자면, 전술한 구성에서 빈 공간을 가능한 많이 줄이려고 시도하는 경우, 단락 단자가 배치되는 수직층의 수를 줄이는 것보다 단락 단자가 배치되는 횡방향 열의 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횡방향 열의 수의 감소는 수직층의 수의 증대를 반드시 의미하지만, 이는 빈 공간의 수의 감소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 결과, 쓸모없는 빈 공간이 줄어들어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과제는 빈 공간의 수를 줄여서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청구 대상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하우징에 수직 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단자 피팅 중에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과 각각 접촉하게 되어 한 쌍의 단자 피팅을 단락시키는 한 쌍의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단락 단자로서, 접촉한 채로 유지된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들)와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들) 사이를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가서 한 쌍의 단자 피팅을 떼어 놓거나 혹은 이들 단자 피팅의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며, 양측 접촉 부재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단락 단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 양태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수직 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 그리고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과 각각 접촉하게 되어 한 쌍의 단자 피팅을 단락시키는 한 쌍의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단락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접촉한 채로 유지된 접촉 부재(또는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와 단자 피팅(또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 사이를 하나 이상의 해제 리 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가서 한 쌍의 단자 피팅(의 단락)을 떼어 놓으며(해제시키며), 양측 접촉 부재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락 단자가 배치될 수 있는 수직층의 수가 증대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는 빈 공간의 수를 줄이는 것에 의해 소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양태는 이하의 구성 중 하나 이상을 갖도록 구현된다.
양측 접촉 부재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양측 접촉 부재의 선단은 각각 안쪽으로 접힐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 및 횡방향 모두와 교차하는 전후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양측 접촉 부재의 선단은 서로 간섭하지 않으면서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고, 커넥터의 횡방향 치수가 줄어들 수 있다.
양측 접촉 부재는 해제 리브용 진입 경로에 배치될 수 있고, 해제 리브와 미끄럼 접촉하게 됨으로써 해제 리브용 진입 경로로부터 물러난 위치로 이동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양측 접촉 부재는 하나의 해제 리브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해제 리브가 양측 접촉 부재에 대해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해제 리브를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해제 리브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해제 리브가 양측 접촉 부재를 구성하는 일측 접촉 부재 및 타측 접촉 부재 중의 일측 접촉 부재와 단자 피팅과의 사이만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가서 한 쌍의 단자 피팅(의 단락)을 떼어 놓는(해제시키는) 커넥터에서, 일측 접촉 부재는 해제 리브로부터 응력을 받을 때에 응력이 집중되기 어렵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일측 접촉 부재와 단자 피팅 사이를 밀고 들어가는 해제 리브로부터 응력을 받는 것에 의해, 일측 접촉 부재가 탄성 변형된다. 그러나, 일측 접촉 부재는 해제 리브로부터 응력을 받을 때에 응력이 집중되기 어렵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촉 부재의 재료로서 우수한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양측 접촉 부재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는 V자 또는 U자 형상일 수 있으며, 양측 접촉 부재의 기단을 연결하는 이음부가, 한 쌍의 단자 피팅 중에서 일측 접촉 부재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단자 피팅보다 타측 접촉 부재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단자 피팅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음부가 타측 접촉 부재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단자 피팅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일측 접촉 부재는 그 선단을 향하여 이음부로부터 완만하게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완만한 원호형 부분에서 응력이 분배될 수 있다.
양측 접촉 부재의 기단을 연결하는 이음부로부터 일측 접촉 부재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이음부로부터 타측 접촉 부재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일측 접촉 부재가 타측 접촉 부재보다 길게 되어 있 으므로, 해제 리브에 의해 타측 접촉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경우보다 일측 접촉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경우에, 이음부의 변위량이 더 억제될 수 있다.
단락 단자는, 양측 접촉 부재의 기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지지함으로써 양측 접촉 부재를 하우징에 유지시키고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 사이에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락 단자는 지지 베이스에 의해 하우징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혹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하기 위한, 인접 단자 피팅의 단락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하우징에 수직 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단자 피팅 중에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과 각각 접촉하게 되어 한 쌍의 단자 피팅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한 쌍의 접촉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와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 사이에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한 쌍의 단자 피팅의 단락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양측 접촉 부재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인접한 두 단자 피팅 사이에 배치되어 두 단자 피팅을 단락시키는 단락 단자에 관한 것으로, 이 단락 단자에서는,
두 단자 피팅과 접촉한 채로 각각 유지되는 양측 접촉 부재 중 하나가, 제1 지지점으로부터 제2 지지점까지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2 지지점에서 실질적으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접촉점을 향해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접촉점에서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제1 지지점과 제2 지지점, 두 지지점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며,
접촉한 채로 유지된 접촉점과 단자 피팅 사이를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가서 두 단자 피팅을 떼어 놓고,
제2 지지점의 탄성력은 제1 지지점의 탄성력보다 작게 세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지지점과 접촉점 사이에 있는 부분이 해제 리브용 안내면의 기능을 하고, 해제 리브가 이 안내면과 접촉하게 될 때에는, 제2 지지점의 탄성력이 제1 지지점의 탄성력보다 작으므로, 제2 지지점은 제1 지지점보다 일찍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안내면의 경사각이 더 완만해지고, 이로써 해제 리브에 의한 접촉 부재의 좌굴이 방지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접촉 부재의 좌굴을 방지하면서도 안내면의 경사각을 더 가파르게 할 수 있으므로, 안내면의 전후 방향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그 후에, 해제 리브는 안내면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접촉점과 단자 피팅 사이를 밀고 들어간다. 따라서, 두 단자 피팅이 전기적으로 해제되고, 또는 두 단자 피팅의 단락이 해제되거나 혹은 중단된다. 이때, 접촉점이 해제 리브로부터 받는 힘은 제2 지지점에 전달되고, 제1 지지점은 제2 지지점을 힘 인가 지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된다. 제1 지지점으로부터 제2 지지점까지의 거리가 제1 지지점으로 부터 접촉점까지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접촉점이 해제 리브로부터 받는 힘보다 작은 힘으로 제1 지지점이 접촉 부재를 지지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게 접촉 부재의 스프링 탄성이 줄어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이하의 구성 중 하나 이상을 갖도록 구현된다.
단락 단자는 바닥벽과, 이 바닥벽의 후방 엣지로부터 세워진 혹은 돌출된 후벽, 그리고 양측 접촉 부재 중 대응하는 것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대향하는 측벽은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바닥벽의 횡방향 대향 엣지로부터 세워지거나 혹은 돌출될 수 있으며, 후벽은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대향하는 측벽은 후벽에 의해 내측에서부터 지지되므로, 대향하는 측벽이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수직 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 그리고 전술한 단락 단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양측 접촉 부재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두 단자 피팅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락 단자는 하우징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은 소형화될 수 있다.
하우징은 해제 리브의 전방으로부터의 진입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진입 구멍과, 이 진입 구멍의 내부와 연통하며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부터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락 단자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단자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2 지지점은 해제 리브용 진입 경로를 피하도록 단자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해제 리브를 진입 구멍에 전방으로부터 삽입할 때, 해제 리브와 제2 지지점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양측 접촉 부재가 서로 가까이 있는 근접 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단락 단자는 단자 수용부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일측 접촉 부재는 근접 자세의 양측 접촉 부재 중 타측 접촉 부재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락 단자를 단자 수용부에 후방으로부터 삽입할 때 양측 접촉 부재가 근접 자세에 이르게 되더라도, 양측 접촉 부재의 상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인접한 두 단자 피팅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제2 양태 혹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락 단자를 인접한 두 단자 피팅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접촉점과 단자 피팅 사이에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R)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밀어 넣어, 단자 피팅의 단락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빈 공간의 수를 줄여서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 명확해질 것이다. 여러 실시예가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 특징들이 부가적인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의 예로서의) 커넥터(10)는, 바람직하게는 레버 타입 혹은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이고, 가동 부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레버(도시 생략)를 회전 혹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커넥터가 수형 커넥터(30)와 접속 및 분리될 수 있다(또는 커넥터의 접속/분리가 도움을 받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두 커넥터(10, 30)의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접속되는 측을 전후 방향과 관련하여 전방측이라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30)는 회로 기판 커넥터이고,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된 수형 하우징(31)을 포함한다. 수형 하우징(31)은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혹은 다각형 혹은 둥근) 리셉터클(32)을 포함하고, 암형 커넥터(10)는 이 리셉터클(3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캠 핀(34)이 리셉터클(32)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벽(구체적으로 상벽)(32B)으로부터 리셉터클(32)의 내부로 내향 혹은 하향 돌출된다.
후벽(32A)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탭 형상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리셉터클(32)에 마련되어 있다. 수형 단자 피팅(33)이 제1 매트릭스 혹은 격자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예컨대 4개의) 수직층 각각에 수형 단자 피팅이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예컨대 6개)의 열로 배치되어 있는] 제1(구체적으로 좌측)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L)과, 수형 단자 피팅(33)이 제2 매트릭스 혹은 격자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구체적으로 4개의 수직층 각각에 수형 단자 피팅이 횡방향으로 7열로 배치되어 있는) 제2(구체적으로 중앙 혹은 중간)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C), 그리고 수형 단자 피팅(33)이 제3 매트릭스 혹은 격자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구체적으로 4개의 수직층 각각에 수형 단자 피팅이 횡방향으로 6열로 배치되어 있는) 제3(구체적으로 우측)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R)이, (도 8의 좌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로써 구체적으로는 총 78개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배치된다.
제1(좌측)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L)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인접 열의(구체적으로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한 세트를 이루고,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예컨대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열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한 세트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막대 혹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기둥 형태인) 한 쌍의 해제 리브(35)가, 횡방으로 인접한 한 쌍(바람직하게는 각 쌍)의 수형 단자 피팅(33) 사이에서 후벽(32A)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혹은 암형 커넥터와의 접속 방향을 따라) 적 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한 쌍의 해제 리브(35)가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수형 단자 피팅(33)의 측방에 각각 배치된다.
제3(우측)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R)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구체적으로 우측으로부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한 세트를 이루고,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예컨대 우측으로부터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열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한 세트를 이룬다. 이러한(예컨대, 우측)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R)에서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해제 리브(35)가, 횡방으로 인접한 각 쌍의 수형 단자 피팅(33)의 사이에서 제1(좌측)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L)과 유사하게 마련된다.
제2(중앙 혹은 중간)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C)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예컨대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한 세트를 이루고,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예컨대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열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한 세트를 이루며,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예컨대 좌측으로부터 다섯 번째 열과 여섯 번째 열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한 세트를 이룬다. 제2(중앙 혹은 중간)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C)에서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해제 리브(35)가, 횡방으로 인접한 각 쌍의 수형 단자 피팅(33)의 사이에서 제1(좌측) 수형 단자 피팅 그룹(33L)과 유사하게 마련된다. 예컨대, 위로부터 네 번째 층에서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열의 사이에는, 한 쌍의 해제 리브(35) 대신에 1개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배치되고, 예컨대 위로부터 네 번째 층에서 좌측으로부터 다섯 번째 열과 여섯 번째 열의 사이에는, 한 쌍의 해제 리브(35) 대신에 1개의 수형 단자 피팅(33)이 배치된다.
한편, 암형 커넥터(10)는, 도 1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커넥터(11)와, 이 보조 커넥터(11)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대칭인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커넥터(도시 생략)와, 보조 커넥터(11)와 다른 수의 암형 단자 피팅(2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커넥터(도시 생략), 그리고 상기 3개의 보조 커넥터(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 혹은 프레임형 부재(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홀더를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홀더는 예컨대 합성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속이 비어 있으며,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프레임 형태이고, 레버 또는 가동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리세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하우징"이 복수 개(예컨대 3개)의 보조 커넥터(11)와 홀더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된다.
보조 커넥터의 구조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보조 커넥터(11)를 대표로 설명하고, 나머지 (2개의) 보조 커넥터는 그 구조가 보조 커넥터(11)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설명하지 않는다. 보조 커넥터(11)는 예컨대 합성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및/또는 전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또는 타원형 블록 형태이다. 복수 개의 캐비티(12)가 보조 커넥터(11)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의 예인) 암형 단자 피팅(20)이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각 공동(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암형 단자 피팅(20)에 고정된 와이어(W)가 보조 커넥터(11)의 인출면(바람직하게는 후방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거나 혹은 인출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11)는 끼움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져서 조립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보조 커넥터(11)의 전방면 및 후방면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홀더의 전방면 및 후방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조립된 상태의 보조 커넥터(11)는 하나 이상의 (도시 생략된) 유지 수단에 의해 홀더에 유지된다.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암형 단자 피팅(20)은 수형 커넥터(30)의 수형 단자 피팅(3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배치된다. 모든 보조 커넥터(11)가 홀더에 조립된 상태에서, 암형 단자 피팅(20)은 하나 이상의(예컨대 4개의) 수직층에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예컨대 19개의) 열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는 예컨대 합성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홀더에 형성된 레버 수용 공간에서 혹은 이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혹은 변위 가능하게(바람직하게는 회전 혹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레버에는, 두 커넥터(10, 30)의 접속 시에 적어도 하나의 캠 핀(34)과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캠 홈(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두 커넥터(10, 30)의 접속 작업의 초기에 캠 핀(34)이 캠 홈의 입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레버가 작동(예컨대 회전)될 때, 캠 핀(34)의 외주면과 캠 홈의 내벽이 맞물려서 캠 작용을 발휘하며, 이로써 두 커넥터(10, 30)는 적정 접속 상태를 향해 혹은 적정 접속 상태에 도달하게 서로를 향하여 끌어당겨진다(또는 두 커넥터는 도움을 받아 접속된다).
보조 커넥터(11)에서는, 한 쌍의 열의(예컨대,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의)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캐비티(12)가 한 세트를 이루고, 인접 쌍의 열의(예컨대,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열의)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캐비티(12)가 한 세트를 이룬다. 단락 단자(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단자 수용부(13)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캐비티(12)의 쌍들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 단자 수용부(13)는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캐비티(12)의 쌍에 마련되고, 단락 단자(40)는 단자 수용부(13)에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각 단자 수용부(13)의 내측과 외측의 연통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진입 구멍(14)이 보조 커넥터(11)에 (바람직하게는 보조 커넥터의 전방면에)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진입 구멍(14)이 실질적으로 수형 커넥터(30)의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35)와 일치하게 배치되어 있어, 두 커넥터(10, 30)가 접속될 때, 해제 리브(35)는 진입 구멍(14)을 통해 단자 수용부(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각 단락 단자(40)는 금속 등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며, 각 단락 단자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접촉 부재(41)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접촉 부재(41)의 기단을 연결하는 연결부(41B)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베이스(42)를 포함한다. 양측 접촉 부재(41)의 선단측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형상이 산 모양이거나 뾰족한 형상이도록) 약간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고, 이렇게 구부러진 부분의 외측 팁 부분은 암형 단자 피팅(22)과의 접촉점(41A)의 역할을 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42)는 실질적으로 양측 접촉 부재(41)에 평행한 자세로 배치된다. 또한, 바깥쪽으로 혹은 아래쪽으로[또는 접촉 부재(41) 혹은 그 종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유지 부재(43)가, 지지 베이스(42)의 바깥쪽 면 혹은 하면[양측 접촉 부재(41)의 반대측에 있는 면]에 마련된다. 여기서, 단자 수용부(13)는 지지 베이스(42)를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제1(하측) 수용부(13A)와, 양측 접촉 부재(4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상측) 수용부(13B)로 이루어진다. 유지 부재(43)는 제1(하측) 수용부(13A)의 면(바람직하게는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유지 돌기(도시 생략)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단락 단자(40)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43)와 유지 돌기의 맞물림에 의해 단자 수용부(13)에 유지되거나 혹은 유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수용부(13B)의 내부와 캐비티(12)의 내부의 연통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13C)이,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용부(13)의 제2(상측) 수용부(13B)와 캐비티(12)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에 형성된다. 암형 단자 피팅(20)이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지 않는다면, 양측 접촉 부재(41)의 접촉점(41A)은 삽입 구멍(13C)을 통해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암형 단자 피팅(20)이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양측 접촉 부재(41)는 실질적으로 암형 단자 피팅(20)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제2(상측) 수용부(13B)의 안쪽으로 탄성 변형되며, 이에 의해 접촉점(41A)이 암형 단자 피팅(20)의 바깥쪽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락 단자(40)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캐비티(12)가 서로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락 단자(40)가 배치될 수 있는 수직층의 수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종래의 구조[도 23에 도시된 보조 커넥터(1)의 구조]에서 캐비티(2)는 3개의 수직층으로만 배치될 수 밖에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 캐비티(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수직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조 커넥터(11)는 암형 단자 피팅(20)의 수가 종래의 구조의 것과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보조 커넥터(1)에 비해 수직 높이가 짧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구멍(13C)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진입 구멍(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진입 구멍(14)과 연통한다. 따라서, 해제 리브(35)는 진입 구멍(14)을 통해 삽입 구멍(13C)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해제 리브(35)는 삽입 구멍(13C)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접촉한 채로 유지된 접촉 부재(41)와 암형 단자 피팅(20)의 사이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가며, 이에 의해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이 떼어진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각 암형 단자 피팅(20)은 각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점(41A)은 삽입 구멍(13C)을 통해 혹은 삽입 구멍에 의해 캐비티(12) 내에 배치되므로, 암형 단자 피팅(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양 측 접촉 부재(41)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암형 단자 피팅(20)이 실질적인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한 경우, 양측 접촉 부재(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좌우) 측면에서 암형 단자 피팅(20)과 접촉한 채로 각각 유지되거나 혹은 유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이 단락 단자(40)를 통해 전기적으로 단락되거나 혹은 단락될 수 있다.
이어서, 각 보조 커넥터(11)가 홀더에 조립되고, 레버는 그 캠 홈이 캠 핀(34)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로 세팅되거나 혹은 위치 설정되거나 혹은 배향되며, 두 커넥터(10, 30)를 서로에 대해 약간 끼우는 것에 의해, 캠 핀(34)은 캠 홈의 입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레버가 작동(바람직하게는 회전 혹은 회동)될 때, 캠 핀(34)과 캠 홈의 맞물림의 캠 작용에 의해 두 커넥터(10, 30)가 서로를 향해 끌어 당겨지고(또는 두 커넥터는 도움을 받아 접속되고), 홀더가 리셉터클(32)에 삽입된다. 이러한 식으로, 두 커넥터(10, 30)가 적절히 접속된 경우, 암형 단자 피팅(20)과 수형 단자 피팅(33)이 전기 접속된다.
이러한 작동과 동시에, 해제 리브(35)는 삽입 구멍(13C)을 통해 단자 수용부(13)의 상측 수용부(13B)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고, 접촉한 채로 유지된 접촉 부재(41)와 암형 단자 피팅(20)의 사이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간다. 이러한 식으로, 횡방향으로 인접한 암형 단자 피팅(20)의 쌍은 더 이상 단락 단자(40)와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이로써 전기적으로 해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단락 단자(40)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 사이에 배치되므로, 수직층의 수를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쓸모없는 빈 공간을 줄여서 커넥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락 단자(40)는 지지 베이스(42)를 포함하므로, 지지 베이스(42)는 전후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용부(13)의 제1(하측) 수용부(13A)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및/또는 양측 접촉 부재(41)는 유지 부재(43)를 유지 돌기와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제2(상측) 수용부(13B)에 유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단락 단자(50)는 제1 실시예의 단락 단자(40)의 구성을 부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며, 공통(동일 혹은 유사)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그 밖의 공통 구성, 작용 및/또는 효과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단락 단자(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도시된) 제1 접촉 부재(51A)와 (우측에 도시된) 제2 접촉 부재(51B)의 길이 혹은 종방향 연장 범위가 서로 다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암형 단자 피팅(20)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이후에, 해제 리브(35)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구멍(14)을 통해 삽입 구멍(13C)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면, 양측 접촉 부재(51A, 51B)가 안쪽으로 변위된다. 이때, 제2(우측) 접촉 부재(51B)의 선단은 제1(좌측) 접촉 부재(51A)의 접촉점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우측) 접촉 부재(51B) 및 제1(좌측) 접촉 부재(51A)의 선단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거나 혹은 오프셋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양측 접촉 부재(51A, 51B)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서로 더 가까운 위치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이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수용부(13)는 횡방향으로 더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암형 커넥터(10)는 횡방향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한편, 수형 커넥터(30)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해제 리브(35)의 각 쌍들 사이에서 충분한 간격이 보장되며, 양측 해제 리브(35)는 단자 수용부(13)의 소형화에 대응하여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0)도 암형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소형화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도 12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단락 단자(40), 해제 리브(35) 및 단자 수용부(13)의 구성을 부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며, 공통(동일 혹은 유사)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그 밖의 공통 구성, 작용 및/또는 효과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단락 단자(60)는, 한 쌍의 접촉 부재(61)를 포함하고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접촉 부재(61)의 기단이 연결부(61A)에 의해 연결되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양측 접촉 부재(61)는 연결부(61A)로부터 선단을 향해 연장될 때 지지 베이스(62)로부터의 거리가 더 멀어지도록 경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측 접촉 부재(61)는 지지 베이스(6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각 단자 수용부(70)는, 바람직하게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상측) 수용부(70A)와, 바람직하게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2(하측) 수용부(70B), 그리고 이들 수용부(70A, 70B) 간의 연통을 허용하며 경사면을 갖는 안내부(70C)를 구비한다. 단락 단자(60)의 지지 베이스(62)는 안내부(70C)에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예컨대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안내부에 압입되거나 혹은 안내부와 맞물려서 고정된다.
보조 커넥터(11)의 전방면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인접한 캐비티(12)의 각 쌍의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어, 단일의 진입 구멍(71)을 형성한다. 이 진입 구멍(71)은 단자 수용부(70)의 상측 수용부(70A)와 연통한다. 한편, 수형 커넥터(30)에는, 진입 구멍(7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혹은 삽입될 수 있도록 진입 구멍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단일의 해제 리브(36)가 제1 실시예의 한 쌍의 해제 리브(35) 대신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자면, 본 실시예의 해제 리브(36)는 제1 실시예의 해제 리브(35)보다 두껍게 혹은 높은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혹은 형성될 수 있다.
단락 단자(60)가 단자 수용부(7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양측 접촉 부재(61)의 상측 엣지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구멍(71)을 통해 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때, 양측 접촉 부재(61)는 도 14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대향하는(좌우) 캐비티(12) 안으로 제1(상측) 수용부(70A)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여, 양측 접촉 부재(61)의 접촉점(61B)은 측방(좌우) 암형 단자 피팅(20)용 진입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암 형 단자 피팅(20)이 각각 양측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도 15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접촉 부재(61)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접촉점(61B)이 암형 단자 피팅(20) 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이때, 양측 접촉 부재(61)의 하측 엣지는 실질적으로 안내부(70C)의 경사면을 따라 연장되고, 양측 접촉 부재의 상측 엣지는 해제 리브(36)용 진입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에, 두 커넥터(10, 30)가 접속될 때 각 해제 리브(36)가 진입 구멍(71)을 통하여 제1(상측) 수용부(70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해제 리브의 선단은 양측 접촉 부재(61)의 상측 엣지와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되어, 양측 접촉 부재(61)를 바깥쪽으로 혹은 아래쪽으로[또는 인접한 암형 단자 피팅(20) 또는 그 종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해제 리브의 바깥쪽(하측) 엣지는 안내부(70C)의 경사면과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되어, 도 16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접촉 부재(61)를 실질적으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 혹은 변형시킨다. 그 결과, 단락 단자(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구멍(71)의 아래로 이동되어 해제 리브(36)용 진입 경로로부터 물러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해제 리브(3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에 양측 접촉 부재(61)는 해제 리브(36)의 진입 경로로부터 물러나게 되거나 혹은 물러나게 될 수 있으므로, 제1 실시예의 해제 리브(35)보다 두껍고 단단한 단일의 해제 리브(3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 간의 거리가 더 짧아지더라도, 해제 리브(36)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에서 더 많은 단자 피팅이 다뤄질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도 25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단락 단자(80)는 제1 실시예의 단락 단자(40)의 구성을 부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며, 공통(동일 혹은 유사)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그 밖의 공통 구성, 작용 및/또는 효과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와 뒤이어 설명하는 제5 실시예는, 해제 리브(35)가 일측 접촉 부재와 암형 단자 피팅(20)의 사이만을 밀고 들어가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다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타측 접촉 부재와 암형 단자 피팅(20)은 접촉한 채로 유지되지만, 일측 접촉 부재의 접촉점과 암형 단자 피팅(20) 만을 떼어 놓음으로써, 두 암형 단자 피팅(20)은 전기적으로 해제된다.
이러한 식으로, 일측 접촉 부재만이 탄성 변형되고 타측 접촉 부재는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되지 않거나 탄성 변형될 필요가 없다면, 해제 리브(35)로 타측 접촉 부재를 탄성 변형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해제 리브(35)로 일측 접촉 부재를 탄성 변형하기 위한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넓은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일측 접촉 부재가 해제 리브(35)로부터 응력을 받을 때에 응력을 분배하는 부분이 마련될 수 있고, 그 결과 일측 접촉 부재는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양측 접촉 부재를 탄성 변형하는 경우, 양측 해제 리브(35)로 양측 접촉 부재를 탄성 변형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각 접촉 부재에 있어서 응력 분배를 위한 부분이 작아지며, 이러한 이유로 응력의 집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각 접촉 부재는 보다 쉽게 소성 변형된다. 대책으로서, 예컨대 우수한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접촉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우수한 탄성을 갖는 재료가 사용된다면, 이는 비용의 증대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재료의 선택폭도 좁아지게 된다. 일측 접촉 부재만이 탄성 변형되고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지 않을 형상을 갖는다면, 우수한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재료의 선택폭이 넓어지고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의 단락 단자(80)는 도 28과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82)와 한 쌍의 접촉 부재(81A, 81B)를 포함한다. 양측 접촉 부재(81A, 81B)는 전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U자 혹은 V자 형상이고, 서로 대향하면서 절곡부(84)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8에서의 좌측 접촉 부재를 일측 접촉 부재(81A)라 하고 우측 접촉 부재를 타측 접촉 부재(81B)라 한다.
양측 접촉 부재(81A, 81B)의 기단은 이음부(8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이음부(83)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암형 단자 피팅(20)이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접촉 부재(81A)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좌측) 암형 단자 피팅(20)보다 타측 접촉 부재(81B)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우측) 암형 단자 피팅(20)에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음부(83)는 지지 베이스(82)[바람직하게는 지지 베이스의 측방(우측) 엣지]로부터 위로 세워지거나 혹은 돌출한다. 지지 베이스(82)의 중간 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U자형의) 절취부를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아래쪽으로 변형하거나, 구부리거나, 엠보싱 가공하거나, 혹은 해머링 가공하여, 약간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유지 부재(82A)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지 부재(82A)는, 단자 수용부(13)의 하측 수용부(13A)의 바닥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유지 돌기(도시 생략)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단락 단자(80)는 유지 부재(82A)와 유지 돌기의 맞물림에 의해 단자 수용부(13)에 유지되거나 혹은 유지될 수 있다.
일측 접촉 부재(81A)는 실질적으로 이음부(83)[바람직하게는 이음부의 상단의 전방 엣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후, 절곡부(84)를 지나 측방(좌측)으로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일측 접촉 부재(81A)의 선단측은 타측 접촉 부재(81B)를 향해 구부러져서 산 또는 뾰족한 모양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접촉점(85)이 마련된다. 한편, 타측 접촉 부재(81B)는 실질적으로 이음부(83)의 상단의 후방 엣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타측 접촉 부재(81B)의 선단 혹은 그 부근에는, 외측으로[일측 접촉 부재(81A)의 반대측을 향해] 돌출시킨 후에 내측으로[일측 접촉 부재(81A)를 향해] 접거나 혹은 구부리는 것에 의하여, 산 또는 뾰족한 모양의 접촉점(85)이 마련된다. 이음부(83)로부터 일측 접촉 부재(81A)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이음부(83)로부터 타측 접촉 부재(81B)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되어 있다.
절곡부(84)는, 일측 접촉 부재(81A)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때에 탄성 변형되고 또한 이러한 탄성 변형으로부터 초래되는 응력을 받는 부분이다. 절곡부(84)는 단자 수용부(13)의 전체 폭의 약 절반 이상(바람직하게는 약 2/3)에 걸쳐서 완 만한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 변형으로부터 초래되는 응력이 상기 완만한 원호형 부분에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접촉 부재(81A)가 해제 리브(35)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이러한 탄성 변형으로부터 초래되는 응력을 절곡부(84)가 받을 때, 응력은 전체 절곡부(84)에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84)의 소성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단락 단자(80)가 단자 수용부(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각 접촉점(85)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게 되거나 위치하게 될 수 있으며, 각 암형 단자 피팅(20)의 선단은 각 접촉점(85)으로부터 각 접촉 부재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경사면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각 암형 단자 피팅(20)이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면, 암형 단자 피팅의 선단은 실질적으로 각 접촉 부재(81A, 81B)의 선단에서 경사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각 접촉 부재(81A, 81B)는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각 접촉점(85)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암형 단자 피팅(20)의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양측 암형 단자 피팅(20)은 단락 상태로 유지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타측 접촉 부재(81B)는 이음부(83)와 연결되는 부분을 기단으로 하여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는 것을 유의하라.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각 암형 단자 피팅(20)을 각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각 접촉점(85)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구멍(13C)을 통해 캐비티(12) 내에 적어 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므로, 암형 단자 피팅(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양측 접촉 부재(81A, 81B)는 실질적으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암형 단자 피팅(20)이 실질적으로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접촉 부재(81A, 81B)는 횡방향(좌우) 측면에서 암형 단자 피팅(20)과 접촉한 채로 각각 유지되고, 이에 의해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20)은 단락 단자(8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이어서, 각 보조 커넥터(11)를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하고,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를, 레버의 캠 홈이 캠 핀(34)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세팅하며, 두 커넥터(10, 30)를 약간 서로에 대해 끼우는 것에 의해, 캠 핀(34)을 캠 홈의 입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를 작동 혹은 변위(바람직하게는 회전 혹은 회동)시키는 경우, 캠 핀(34)과 캠 홈의 맞물림의 캠 작용에 의해 두 커넥터(10, 30)가 서로를 향하여 끌어 당겨지고(또는 두 커넥터가 도움을 받아 접속되고), 홀더는 리셉터클(3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식으로, 두 커넥터(10, 30)가 적절하게 접속될 때, 암형 단자 피팅(20)과 수형 단자 피팅(33)이 전기 접속된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작동과 동시에, 해제 리브(35)는 진입 구멍(14)을 통해 삽입 구멍(13C)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고, 접촉한 채로 유지된 일측의 접촉 부재(81A)와 암형 단자 피팅(20)의 사이를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간다. 따라서, 일측(좌측) 암형 단자 피팅(20)은 단락 단자(80)와 접촉하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 두 암형 단자 피팅(20)은 전기적으로 해제된다. 이때, 일측 접촉 부재(81A)는 절곡부(84)(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절곡부의 전체 또는 대부분)의 탄성 변형을 통하여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일측 접촉 부재(81A)가 해제 리브(35)로부터 받는 응력이, 절곡부(84)의 대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절곡부(84)에 걸쳐서 분배될 수 있고, 일측 접촉 부재(81A)의 소성 변형이 회피될 수 있다. 한편, 타측 접촉 부재(81B)는 바람직하게는 타측(우측) 암형 단자 피팅(20)과 접촉한 채로 유지되며, 해제 리브(35)로부터 응력을 받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서는 이음부(83)를 우측 암형 단자 피팅(20)에 가까이 배치함으로써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이러한 넓은 공간에 완만한 원호형의 절곡부(84)를 마련하며, 이 절곡부(84)에 의해 일측 접촉 부재(81A)가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해제 리브(35)로부터 받은 응력이 전체 절곡부(84)에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84)의 소성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양측 접촉 부재(81A, 81B)용 재료의 선택폭이 넓어질 수 있다.
<제5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4 실시예의 변형례이며, 단락 단자의 구조는 제2 실시예의 단락 단자(5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단락 단자(50)의 작용에 중점을 두고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단락 단자(5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접촉 부재"의 예로서의) 바깥쪽(좌측) 접촉 부재(51A)가 ("타측 접촉 부재"의 예로서의) 우측 접촉 부재(51B)보다 길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양측 접촉 부재(51A, 51B)의 기 단을 연결하는 이음부(52)로부터 일측(좌측) 접촉 부재(51A)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이음부(52)로부터 타측(우측) 접촉 부재(51B)의 선단까지의 거리에 비해 길다. 이음부(52)는 실질적으로 단자 수용부(13)의 횡방향 중앙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단자 피팅(20)을 각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양측 접촉 부재(51A, 51B)의 선단측에 형성된 접촉점(53)이 측방(좌우) 암형 단자 피팅(20)의 측면과 각각 접촉하게 된다.
두 커넥터(10, 30)가 접속된다면, 해제 리브(35)는 일측(좌측) 접촉 부재(51A)와 (좌측) 암형 단자 피팅(20) 사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가고, 바람직하게는 일측(좌측) 접촉 부재(51A)만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양측 암형 단자 피팅(20)은 전기적으로 해제되거나 혹은 접속 해제된다. 한편, 타측(우측) 접촉 부재(51B)는 바람직하게는 (우측) 암형 단자 피팅(20)과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양측 접촉 부재(51A, 51B)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에 비해, 이음부(52)의 변위량을 바람직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긴 좌측 접촉 부재(51A)가 탄성 변형되므로, 짧은 우측 접촉 부재(51B)를 탄성 변형시키는 경우에 비해, 이음부(52)의 변위량이 더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52)의 소성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파손 등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해제 리브를 최대한 짧게 하는 것이 좋다. 해제 리브를 짧게 하기 위하여, 접촉점은 가능한 한 접촉 부재의 최전방의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지지점으로부터 접촉점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접촉 부재를 형성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이러한 단락 단자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58012호에 개시된 단락 단자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단락 단자의 접촉 부재에는, 접촉점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해제 리브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접촉 부재의 스프링 탄성을 줄이려고 한다면, 지지점으로부터 접촉점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대책으로서, 안내면의 경사각을 더 가파르게 만드는 것에 의해, 접촉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단축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안내면이 가팔라지면, 해제 리브와 안내면이 미끄럼 접촉하게 되기가 어려워지고, 접촉 부재의 좌굴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낮아진다. 따라서, 접촉 부재의 스프링 탄성의 감소와 접촉 부재의 단축을 모두 구현하기가 어렵다.
제6 실시예는 이러한 상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으며, 제6 실시예의 목적은 접촉 부재의 스프링 탄성을 감소시키고 접촉 부재를 단축시키는 것이다.
도 33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수직 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캐비티(111)가, 하우징(110)을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넥터의 접속 방향에 기초하여, 접속면측을 전후 방향에 관한 전방측이라 한다. 또한, 수직 방향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이고, 특히 도 33에서의 수직 방향이다. 횡방향은 전후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에 대하여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상대 커넥터를 간략히 설명한다. 상대 커넥터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된 상대 하우징(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상대 하우징은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는 후드 형상의 리셉터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이러한 리셉터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탭 형상의 단자(도시 생략)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해제 리브(R)가 상기 리셉터클의 후벽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 블록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 피팅(120)은 하우징(110)의 캐비티(111)에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캐비티(1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120)은 실질적으로 상대 커넥터의 탭 형상의 단자와 일치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두 커넥터가 접속될 때, 단자 피팅(120)과 탭 형상의 단자가 전기 접속된다.
하우징(110)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예컨대, 도 33의 우측으로부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의) 캐비티(111)가 한 세트를 이루고,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예컨대, 우측으로부터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열의) 캐비티(111)가 한 세트를 이룬다. 적어도 하나의 단락 단자(1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112)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111)의 쌍들(바람직하게는 각 쌍)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캐비티(111)에 대하여 1개의 단자 수용 부(112)가 마련되고, 단락 단자(130)는 단자 수용부(112)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각 단자 수용부(112)의 내측과 외측의 연통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진입 구멍(113)이 하우징(110)의 전방면에 형성된다. 진입 구멍(113)이 실질적으로 상대 커넥터의 해제 리브(R)와 일치하게 배치되어 있어, 두 커넥터가 접속될 때, 해제 리브(135)는 진입 구멍(113)을 통해 단자 수용부(1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진입 구멍(113)의 내부도 캐비티(111)의 내부와 연통된다.
단락 단자(130)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가공되거나 혹은 잘라 내어진 전도성(바람직하게는 금속) 평판에 굽힘, 절곡 및/또는 엠보싱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 단자(130)는 바닥벽 혹은 베이스 벽(131)과, 바닥벽(131)(바람직하게는 바닥벽의 횡방향 대향 엣지)으로부터 세워지거나 혹은 돌출되며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132)과, 바닥벽(131)(바람직하게는 바닥벽의 후방 엣지)으로부터 세워진 후벽(133), 그리고 양 측벽(132)의 전방 엣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접촉 부재(134, 135) 등을 포함한다.
도 39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바람직하게 배치된 긴 접촉 부재를 일측 접촉 부재(134)라 하고, 전방측에 혹은 그 부근에 바람직하게 배치된 짧은 접촉 부재를 타측 접촉 부재(135)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경우에 따라 도 39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혹은 그 부근에 배치된 측벽(132)을 우측벽(132)이라 하고, 전방측에 배치된 측벽(132)을 좌측벽(132)이라 한다.
바닥벽(131)의 전방 엣지의 양측 모서리부는 절단되며, 이러한 절단부의 상측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단부를 향해 갈수록 바닥벽(131)의 두께가 작아지게 하는 비탈면 혹은 경사면(131A)을 형성하도록 추가적으로 절단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수지에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부(131B)가, 바닥벽(131)의 하나 이상의 횡방향 대향 엣지 중에서 일측 접촉 부재(134)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엣지에, 융기 혹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향 측벽(132)은 바람직하게는 바닥벽(131)의 횡방향 대향 엣지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대향 측벽(132)의 후방 엣지의 하부는 바람직하게는 후벽(133)의 두께만큼 절단된다. 이러한 절단부(132B)에는, 후벽(133)의 실질적인 횡방향 양측 엣지의 하부(133A)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혹은 삽입된다. 후벽(133)의 횡방향 양측 엣지의 하부(133A)는 대향 측벽(132)의 절단부(132B)와 전후 방향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후벽(133)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후벽(133)의 횡방향 양측 엣지의 상부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측벽(132)의 두께만큼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단부(133B)에는, 대향 측벽(132)의 후방 엣지의 상부(132A)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혹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 측벽(132)의 후방 엣지의 상부(132A)는 절단부(133B)와 횡방향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대향 측벽(132)은 바람직하게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접촉 부재(134)는, 제1 지지점(134A)인 우 측벽(132)의 전방 엣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부(134B)와, 제2 지지점(134C)인 제1 메인부(134B)의 전방 엣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거나 혹은 구부러지고 제2 지지점(134C)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메인부(134D), 그리고 접촉점(134E)인 제2 메인부(134D)의 후방 에지에서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접촉점(134E)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메인부(134F)를 포함한다.
제2 지지점(134C)이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 경우, 제1 메인부(134B)는 제1 지지점(134A)을 기단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2 지지점(134C)은 바람직하게는 힘 인가점의 역할을 한다. 한편, 접촉점(134E)이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 경우, 제2 메인부(134D)는 제2 지지점(134C)을 기단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접촉점(134E)이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 경우, 제3 메인부(134F)는 실질적으로 제2 메인부(134D)와 함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의 경우, 제1 지지점(134A)으로부터 제2 지지점(134C)까지의 거리가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점(134A)으로부터 접촉점(134E)까지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접촉점(134E)이 받는 힘보다 작은 힘이 제2 지지점(134C)에 작용한다. 제1 지지점(134A)이 제2 지지점(134C)에 작용하는 힘을 충분히 지지하므로, 접촉점(134E)이 제1 지지점(134A)의 힘 인가점의 역할을 하는 경우[예컨대, 타측 접촉 부재(135)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 비해, 제1 지지점(134A)의 탄성력은 작게 세팅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점(134C)의 탄성력은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점(134A)의 탄성력보다 작게 세팅된다. 따라서, 접촉점(134E)이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을 때, 제2 메인부(134D)와 제3 메인부(134F)는 먼저 제2 지지점(134C)을 기단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함께 변위된 이후에, 제1 메인부(134B), 제2 메인부(134D) 및 제3 메인부(134F)가 제1 지지점(134A)을 기단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함께 변위된다. 이러한 식으로, 일측 접촉 부재(134)는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점(134A)과 제2 지지점(134C), 두 지지점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2 지지점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접촉 부재(135)는, 지지점(135A)인 좌측벽(132)의 전방 엣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부(135B)와, 제1 메인부(135B)의 전방 엣지에서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제1 메인부(135B)의 전방 엣지로부터 실질적으로 경사져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메인부(135C), 그리고 접촉점(135D)인 제2 메인부(135C)의 전방 에지에서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접촉점(135D)으로부터 경사져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메인부(134E)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접촉 부재(134)의 제1 메인부(134B)는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진 굽힘부(134G)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양측 접촉 부재(134, 135)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근하는 근접 자세에 이르게 될 때, 타측 접촉 부재(135)의 제3 메인부(135E)의 선단과 일측 접촉 부재(134)의 제1 메인부(134B)와의 간섭을 막기 위해, 이러한 굽힘부(134G)가 마련된다.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 상태의 일측 접촉 부재(134)의 제1 메인부(134B)는 제1 지지점(134A)으로부터 굽힘부(134G)까지 전방으로 연장되고, 굽힘부(134G)에서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지며, 굽힘부(134G)로부터 제2 지지점(134C)까지 실질적으로 경사져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양측 접촉 부재(134, 135)는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자세로 유지되는 동안에 단자 수용부(1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도 48에 도시된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그 자연 상태로 되돌아간다.
적정 삽입 위치에서는, 제2 지지점(134C)이 단자 수용부(112)에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해제 리브(R)용 진입 경로로부터 물러나게 되고 접촉점(134E)이 캐비티(111)에 위치하도록, 일측 접촉 부재(134)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메인부(134D)의 전방 경사면만이 진입 구멍(113)에 위치하며, 이 전방 경사면은 해제 리브(R)를 후방으로 안내하는 전방 안내면의 역할을 한다. 한편, 제3 메인부(134F)의 후방 단부는 진입 구멍(1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제3 메인부(134F)의 후방 경사면이 캐비티(111)에 위치하며, 이 후방 경사면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120)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후방 경사면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양측 접촉 부재(134, 135)는 바람직하게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 또는 베이스 벽(13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자세로 배치된다. 한편, 양측 접촉 부재(134, 13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112)는, 도 49 또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131)을 압입 상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하측 수용부(112A), 및/또는 양측 접촉 부재(134, 13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상측 수용부(112B)를 포함한다. 바닥벽(131)의 맞물 림부(131B)는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하측 수용부(112A)의 우측면에 맞물리기 시작한다. 상기 중간 위치는 도 47,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단락 단자(130)의 위치이다.
하측 수용부(112A)의 상면의 부분을 구성 혹은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벽(114)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수용부(112A)의 전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캔틸레버의 형태이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지지벽(114)이 바람직하게는 도 45 내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마련된다. 양측 지지벽(114)과 하측 수용부(112A)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바닥벽(131)의 두께와 동일하다.
바닥벽(131)을 양측 지지벽(114)과 하측 수용부(112A)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할 때, 바닥벽(131)은 경사면(131A)에 의해 양측 지지벽(114)과 하측 수용부(112A)의 바닥면 사이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중간 위치에서, 대향 측벽(132)의 상측 엣지는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용부(112)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단락 단자(130)는 단자 수용부(112)에서의 수직 방향의 요동이 방지됨으로써 적정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위치에서 바닥벽(131)이 하측 수용부(112A)에 압입될 때, 맞물림부(131B)는 하측 수용부(112A)의 횡방향(우측) 측면에 맞물리거나 결합되고, 이에 의해 바닥벽(131)은 후방으로 빠지지 않게 유지되며, 양측 지지벽(114)과 하측 수용부(112A)의 바닥면 사이에서 타이트하게 유지됨으로써 바닥벽의 전방 단부의 상향 이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식으로, 단락 단자(130)는 적정 자세로 유지되면서 적정 삽입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12)와 캐비티(111) 사이의 격벽(115)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116)이, 상측 수용부(112B)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반부)에 형성된다. 단락 단자(130)가 단자 수용부(1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양측 접촉점(134E, 135D)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격벽(115)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단락 단자(130)가 실질적인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할 때, (바람직하게는 양측) 접촉 부재(들)(134, 135)가 하나 이상의 각 삽입 구멍(116)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각 캐비티(111)에 들어가서 그 자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전개 상태의 단락 단자(130)를 간략히 설명한다. 단락 단자(130)의 치수를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단축시키는 관점에서는, 양측 접촉 부재(134, 135)가 도 43에서 후벽(13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횡방향 엣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측벽(132)의 제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단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양측 접촉 부재(134, 135)와 후벽(133)이 일체로 혹은 단일체로 형성된다면, 양측 접촉 부재(134, 135)는 도 41의 전개 상태에서 후벽(133)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횡방향(좌우) 측면에서 돌출하며, 이에 의해 단락 단자(130) 간의 피치가 커진다. 단위 면적당 단락 단자(130)의 확보 개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이는 좋은 방안이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향 측벽(132)이 바람직하게 마련되고, 양측 접촉 부재(134, 135)는 측벽(132)의 전방 엣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 써, 바닥벽(131)과 양측 접촉 부재(134, 135)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단락 단자(130) 간의 피치가 작아지며, 이에 따라 단위 면적당 단락 단자(130)의 확보 개수가 늘어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단자 피팅(120)이 모든 캐비티(111)에 수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자 피팅(120)은 캐비티(111) 중 일부에는 수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단락 단자(130)는 모든 단자 수용부(1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거나 혹은 수용될 수 있고, 해제 리브(R)는 모든 진입 구멍(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자 피팅(120)이 캐비티(1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경우와, 단자 피팅(120)이 캐비티(111)에 수용되지 않는 경우를 따로따로 설명한다.
먼저, 도 34와 도 35를 참조하여, 단자 피팅(120)이 캐비티(1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단자 피팅(120)이 캐비티(111)에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단자 피팅(120)의 전방 단부가 제3 메인부(134F)의 후방 경사면 상에서 실질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동안에, 제2 메인부(134D)와 제3 메인부(134F)는 제2 지지점(134C)을 기단으로 하여 제1 메인부(134B)보다 일찍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변위된다. 제2 지지점(134C)의 탄성 변형이 탄성 한계에 다다를 때, 제1 메인부(134B)는 제1 지지점(134A)을 기단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변위되기 시작한다. 그 결과, 접촉점(134E)이 단자 피팅(120)의 측면 상에서 이동할 때, 접촉점(134E)과 단자 피팅(120)은 두 지지점(134A, 134C)의 스프링 탄성에 의해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단자 피팅(120)이 도 34에 도시된 실질적인 적정 삽입 위치에 이르기까지 캐비티(1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두 단자 피팅(120)은 단락 단자(130)를 통해 전기적으로 단락된 채로 유지된다. 그 후에, 두 커넥터가 접속된다. 각 해제 리브(R)는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 구멍(113)에 들어가고, 바람직하게는 해제 리브(R)의 선단과 제2 메인부(134D)의 전방 경사면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진입 구멍(113)의 후방측으로 안내된다.
그 후에, 해제 리브(R)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점(134E)과 단자 피팅(120) 사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가거나 혹은 접촉점(134E)과 단자 피팅(120)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두 단자 피팅(120)은 전기적으로 해제 되거나 혹은 접속 해제된다. 여기서, 접촉점(134E)이 해제 리브(R)로부터 받는 힘이 제2 지지점(134C)에 전달되고, 이러한 제2 지지점(134C)을 힘의 인가점으로 하여 제1 지지점(134A)이 탄성 변형된다. 제2 지지점(134C)은 바람직하게는 접촉점(134E)보다는 제1 지지점(134A)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접촉점(134E)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은 힘이 제2 지지점(134C)에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구조[예컨대, 타측 접촉 부재(135)에서와 같이, 접촉점(135D)이 받는 힘이 지지점(135A)에 직접 작용하는 경우]에 비해 낮은 탄성을 갖는 접촉 부재(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단락 단자(130)의 소형화와 경량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단자 피팅(120)이 캐비티(111)에 수 용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자 피팅(120)이 캐비티(1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경우에 비해, 제2 메인부(134D)의 전방 경사면이 가파르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 제2 메인부(134D)는 해제 리브(R)에 의한 좌굴이 일어나기 쉬울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제2 지지점(134C)의 탄성력이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점(134A)의 탄성력보다 작거나 혹은 작게 세팅되어 있으므로, 제2 지지점(134C)은 보다 쉽게 탄성 변형되며 제2 메인부(134D)의 좌굴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2 메인부(134D)의 전방 경사면을 더 가파르게 할 수 있으므로, 제2 메인부(134D)의 전방 경사면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일측 접촉 부재(134)가 전후 방향으로 더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단자 피팅(120)이 도 36에 도시된 적정 삽입 위치에 이르기까지 캐비티(1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두 커넥터 접속될 때, 각 해제 리브(R)는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 구멍(113)에 들어가고, 바람직하게는 해제 리브(R)의 선단과 제2 메인부(134D)의 전방 경사면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진입 구멍(113)의 후방측으로 안내된다.
그 후에, 제2 지지점(134C)의 탄성 변형이 탄성 한계에 다다를 때, 제1 메인부(134B)는 제1 지지점(134A)을 기단으로 하여 내측으로 변위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식으로, 접촉점(134E)이 해제 리브(R)의 측면 상에서 이동할 때, 접촉점(134E)과 해제 리브(R)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지지점(134A, 134C)의 스프링 탄성에 의해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일측 접촉 부재(134)는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점(134A)과 제2 지지점(134C), 두 지지점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2 지지점 구조를 갖고, 제2 지지점(134C)의 탄성력은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점(134A)의 탄성력보다 작게 세팅된다. 따라서, 제2 메인부(134D)의 전방 경사면을 더 가파르게 하여 일측 접촉 부재(134)를 전후 방향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점(134A)의 힘 인가점의 역할을 하는 제2 지지점(134C)이 접촉점(134E) 앞에 배치되므로, 제1 지지점(134A)에 작용하는 힘이 감소될 수 있고, 낮은 스프링 탄성을 갖는 접촉 부재(1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향 측벽(132)과 후벽(133)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므로, 우측벽(132)은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좌측벽(132)은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후벽(133)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양측 접촉 부재(134, 135)는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두 단자 피팅(120)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므로, 단락 단자(130)는 하우징(110)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10)은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점(134C)은 바람직하게는 해제 리브(R)용 진입 경로를 피하도록 단자 수용부(112)에 배치되므로, 진입 구멍(1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 해제 리브와 제2 지지점(134C)과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부(134B)에는 굽힘부(134G)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측 접촉 부재(134, 135)가 근접 자세를 취할 때, 타측 접촉 부재(135)의 제3 메인부(135E)의 선단과 일측 접촉 부재(134)의 제1 메인부(134B)와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속한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락 단자는 지지 베이스를 포함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 접촉 부재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양측 접촉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단자 수용부의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한 쌍의 전벽(前壁)과 후벽이 마련될 수 있고, 후벽에는 양측 접촉 부재의 단자 수용부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2) 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30)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커넥터(30)는 와이어(W)에 직접 접속되거나 및/또는 [정션 박스(junction box) 등과 같은] 전기 혹은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커넥터일 수 있다.
(3) 제1 실시예에서는 2개의 해제 리브(35)를 사용하여 양측 접촉 부재(41)와 양측 암형 단자 피팅(20)을 접촉 해제시키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해제 리브(35)를 사용하여 접촉 부재(41)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암형 단자 피팅(20)을 접촉 해제시킬 수 있다.
(4) 제2 실시예에서 양측 접촉 부재(51A, 51B)의 선단은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혹은 임의의 다른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5) 제3 실시예에서 양측 접촉 부재(61)는 하향 변위되면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부(70C)는 양측 접촉 부재(61)가 아래쪽으로만 변위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향 변위된 양측 접촉 부재(61)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양측 접촉 부재(61)의 지지 베이스(62)에 대한 탄성력을 보다 강하게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제4 실시예에서는 이음부(83)가 지지 베이스(82)에 연결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부(83) 이외의 부분이 지지 베이스(82)에 연결될 수 있다. 간략히 말하면, 본 발명에서 "연결부" 및 "이음부"는 동일한 것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7) 제4 실시예에서는 절곡부(84)가 탄성 변형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부(84)로부터 일측 접촉 부재(81A)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8) 제5 실시예에서는 이음부(52)가 실질적으로 단자 수용부(13)의 횡방향 중앙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부는 지지 베이스에 연결됨으로써 단자 수용부(13)에서 우측으로 옮겨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9) 제4 실시예 또는 제5 실시예에서는, 일측 접촉 부재(81A)의 형상을 둥글게 하거나 좌측 접촉 부재(51A)를 더 길게 함으로써, 응력 집중을 회피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부재의 두께 및/또는 폭을 조정함으로써 접촉 부재를 응력 집중이 일어나기 어려운 형상을 갖게 할 수 있다.
(10) 제6 실시예에서 제1 지지점(134A)은 제2 지지점(134C)의 탄성 한계에 다다른 이후에 탄성 변형되기 시작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지지점(134C)의 탄성 변형 정도가 제1 지지점(134A)보다 크면 충분하고, 두 지지점(134A, 134C)이 동시에 탄성 변형되기 시작할 수 있다.
(11) 제6 실시예에서 대향 측벽(132)은 바닥벽(131)에 지지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벽(131)을 마련하지 않고서, 대향 측벽을 후벽(133)으로 연결할 수 있다.
(12) 제6 실시예에서 후벽(133)은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대향 측벽(132)에 의해 방지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후벽(133)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구조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13) 제6 실시예에서 단락 단자(130)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두 단자 피팅(120) 사이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단락 단자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두 단자 피팅(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14) 제6 실시예에서 제2 지지점(134C)은 단자 피팅(120)의 진입 이전에도 해제 리브용 진입 경로를 피해서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지지점(134C)은 해제 리브(R)용 진입 경로에 배치될 수 있고, 단자 피팅(120)의 삽입 시에 제2 지지점(134C)이 해제 리브(R)용 진입 경로로부터 물러나게 되도록 제2 메인부(134D)가 내측으로 변위될 수 있다.
(15) 제6 실시예에서 제1 메인부(134B)를 중간 위치에서 내측으로 구부려서 굽힘부(134G)를 형성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메인부(134B)를 중간 위치에서 외측으로 구부린 이후에 내측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굽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라 단락 단자가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단락 단자가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암형 단자 피팅이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해제 리브가 보조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단락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단락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단락 단자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수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락 단자가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0은 암형 단자 피팅이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1은 해제 리브가 보조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서 단락 단자가 보조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해제 리브가 보조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단락 단자가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5는 암형 단자 피팅이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6은 해제 리브가 보조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7은 단락 단자가 단자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8은 암형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9는 해제 리브가 단자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20은 단락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단락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단락 단자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보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수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제4 실시예에서 단락 단자가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26은 암형 단자 피팅이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27은 해제 리브가 보조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28은 단락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단락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제5 실시예에서 단락 단자가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31은 암형 단자 피팅이 보조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32는 해제 리브가 보조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33은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제6 실시예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해제 리브가 진입 구멍에 삽입되기 이전의 측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5는 해제 리브가 진입 구멍에 삽입된 이후의 측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6은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해제 리 브가 진입 구멍에 삽입되기 이전의 측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7은 해제 리브가 진입 구멍에 삽입되는 동안의 측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8은 해제 리브가 진입 구멍에 삽입된 이후의 측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9는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단락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단락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전개된 상태의 단락 단자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2는 단락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43은 단락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44는 단락 단자의 후면도이다.
도 45는 단락 단자가 단자 수용부에 삽입되고 양측 접촉 부재가 서로 가까워지기 이전의 상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46은 양측 접촉 부재가 서로 가까워진 이후의 상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47은 단락 단자가 단자 수용부에 삽입되는 동안의 상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48은 단락 단자가 단자 수용부에 삽입된 이후의 상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9는 단락 단자가 단자 수용부에 삽입되기 이전의 후방 도시 상태를 보여 주는 후면도이다.
도 50은 단락 단자가 단자 수용부에 삽입된 이후의 후방 도시 상태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51은 도 47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암형 커넥터(커넥터)
11 : 보조 커넥터(하우징)
13, 70 : 단자 수용부
20 : 암형 단자 피팅(단자 피팅)
35, 36 : 해제 리브
40, 50, 60, 80 : 단락 단자
41, 61 : 접촉 부재
41B, 61B : 연결부
42, 62, 82 : 지지 베이스
51A : 좌측 접촉 부재(일측 접촉 부재)
51B : 우측 접촉 부재(타측 접촉 부재)
52, 83 : 이음부
81A : 일측 접촉 부재
81B : 타측 접촉 부재
110 : 하우징
112 : 단자 수용부
113 : 진입 구멍
120 : 단자 피팅
130 : 단락 단자
131 : 바닥벽
132 : 측벽
133 : 후벽
134 : 일측 접촉 부재
134A : 제1 지지점
134C : 제2 지지점
134E : 접촉점
134G : 굽힘점
135 : 타측 접촉 부재
R : 해제 리브

Claims (15)

  1. 하우징(11)에 수직 방향과 횡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단자 피팅(20) 중에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20)과 각각 접촉하게 되어 한 쌍의 단자 피팅(20)을 단락시키는 한 쌍의 접촉 부재(41; 51; 61; 81)를 포함하는 단락 단자로서, 접촉한 채로 유지된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41; 51; 61; 81)와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 사이를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35; 36)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고 들어가서 한 쌍의 단자 피팅(20)의 단락을 해제시키며, 양측 접촉 부재(41; 51; 61; 81)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단락 단자.
  2.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에 수직 방향과 횡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20), 그리고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20)과 각각 접촉하게 되어 한 쌍의 단자 피팅(20)을 단락시키는 한 쌍의 접촉 부재(41; 51; 61; 81)를 구비하는 단락 단자(40; 50; 60; 80)
    를 포함하고, 접촉한 채로 유지된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41; 51; 61; 81)와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 사이를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35; 36)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고 들어가서 한 쌍의 단자 피팅(20)의 단락을 해제시키며, 양측 접촉 부재(41; 51; 61; 81)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양측 접촉 부재(51; 81)는 횡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양측 접촉 부재(51; 81)의 선단은 각각 안쪽으로 절곡되며,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인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양측 접촉 부재(61)는 해제 리브(36)용 진입 경로에 배치되고, 해제 리브(36)와 미끄럼 접촉하게 됨으로써 해제 리브(36)용 진입 경로로부터 물러난 위치로 이동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인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해제 리브(35)는 양측 접촉 부재(81)를 구성하는 일측 접촉 부재(81A) 및 타측 접촉 부재(81B) 중의 일측 접촉 부재(81A)와 단자 피팅(20)과의 사이만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고 들어가서 한 쌍의 단자 피팅(20)의 단락을 해제시키고,
    일측 접촉 부재(81A)는 해제 리브(35)로부터 응력을 받을 때에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기 어려운 형상을 갖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양측 접촉 부재(81)는 전체적으로는 U자 형상이고,
    상기 양측 접촉 부재의 기단을 연결하는 이음부(83)가, 한 쌍의 단자 피팅(20) 중에서 일측 접촉 부재(81A)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단자 피팅(20)보다 타측 접촉 부재(81B)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단자 피팅(20)에 가까이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양측 접촉 부재(81)의 기단을 연결하는 이음부(83)로부터 일측 접촉 부재(81A)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이음부(83)로부터 타측 접촉 부재(81B)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인 커넥터.
  8. 제2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락 단자(40; 60; 80)는, 양측 접촉 부재(41; 61; 81)의 기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1B; 61A)를 지지함으로써 양측 접촉 부재(41; 61; 81)를 하우징(11)에 유지시키고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20) 사이에서 하우징(11)에 고정되는 지지 베이스(42; 62; 82)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9. 인접 단자 피팅(20)의 단락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하우징(11)에 수직 방향과 횡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단자 피팅(20) 중에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20)과 각각 접촉하 게 되어 한 쌍의 단자 피팅(20)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한 쌍의 접촉 부재(41; 51; 61; 81)를 마련하는 단계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41; 51; 61; 81)와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 사이에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35; 36)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한 쌍의 단자 피팅(20)의 단락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양측 접촉 부재(41; 51; 61; 81)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단자 피팅 사이(20)에 배치되는 것인 단자 피팅의 단락 제어 방법.
  10. 인접한 두 단자 피팅(120) 사이에 배치되어 두 단자 피팅(120)을 단락시키는 단락 단자(130)로서,
    두 단자 피팅(120)과 접촉한 채로 각각 유지되는 양측 접촉 부재(134, 135) 중 하나(134)가, 제1 지지점(134A)으로부터 제2 지지점(134C)까지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2 지지점(134C)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접촉점(134E)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되며, 접촉점(134E)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제1 지지점(134A)과 제2 지지점(134C), 두 지지점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며,
    접촉한 채로 유지된 접촉점(134E)과 단자 피팅(120) 사이를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R)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고 들어가서 두 단자 피팅(120)을 떼어 놓고,
    제2 지지점(134C)의 탄성력이 제1 지지점(134A)의 탄성력보다 작게 세팅되는 것인 단락 단자.
  11. 제10항에 있어서, 단락 단자(130)는 바닥벽(131)과, 이 바닥벽(131)의 후방 엣지로부터 세워진 후벽(133), 그리고 양측 접촉 부재(134, 135) 중 대응하는 것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132)을 포함하고,
    대향 측벽(132)은 서로 대향하면서 바닥벽(131)의 횡방향 대향 엣지로부터 세워지며,
    후벽(133)은 대향 측벽(13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단락 단자.
  12.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에 수직 방향과 횡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120), 그리고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단락 단자(130)
    를 포함하고, 양측 접촉 부재(134, 135)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두 단자 피팅(1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하우징(110)은 해제 리브(R)의 전방으로부터의 진입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진입 구멍(113)과, 이 진입 구멍(113)의 내부와 연통하며 내부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된 단락 단자(130)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단자 수용부(112)를 포함하고,
    제2 지지점(134C)은 해제 리브(R)용 진입 경로를 피하도록 단자 수용부(112) 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양측 접촉 부재(134, 135)가 서로 가까이 있는 근접 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단락 단자(130)는 단자 수용부(112)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일측 접촉 부재(134)는 근접 자세의 양측 접촉 부재(134, 135) 중 타측 접촉 부재(135)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부러지는 것인 커넥터.
  15. 인접한 두 단자 피팅(120)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단락 단자(130)를 인접한 두 단자 피팅(120)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와,
    접촉한 채로 유지된 접촉점(134E)과 단자 피팅(120) 사이에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R)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밀어 넣어, 단자 피팅(120)의 단락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자 피팅의 단락 방법.
KR1020090035644A 2008-04-28 2009-04-23 단락 단자, 커넥터 및 단락 방법 KR101073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7658 2008-04-28
JP2008117658 2008-04-28
JP2008189037 2008-07-22
JPJP-P-2008-189037 2008-07-22
JPJP-P-2008-298482 2008-11-21
JP2008298482 2008-11-21
JP2009003545A JP5218074B2 (ja) 2008-04-28 2009-01-09 コネクタ
JPJP-P-2009-003545 2009-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768A true KR20090113768A (ko) 2009-11-02
KR101073968B1 KR101073968B1 (ko) 2011-10-17

Family

ID=4085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644A KR101073968B1 (ko) 2008-04-28 2009-04-23 단락 단자, 커넥터 및 단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50471B2 (ko)
EP (1) EP2113970A1 (ko)
JP (1) JP5218074B2 (ko)
KR (1) KR101073968B1 (ko)
CN (1) CN10164034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73A1 (ko)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6302B (zh) * 2009-01-22 2014-07-09 Ls电线有限公司 夹式弹性接触件和具有该接触件的屏蔽连接器壳体组件
JP5199967B2 (ja) * 2009-08-28 2013-05-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ターミナル部材
JP5783918B2 (ja) * 2012-01-18 2015-09-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JP2015060628A (ja) * 2013-09-17 2015-03-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15119B2 (ja) 2014-04-11 2017-10-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Usbレセプタクル
JP6500723B2 (ja) * 2015-03-18 2019-04-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7498063A (zh) * 2015-04-30 2024-02-02 菲尼克斯亚太电气(南京)有限公司 分体式电连接装置、插头和继电测试端子
EP3402001B1 (en) * 2017-05-10 2021-02-17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urrent transformers
JP6969469B2 (ja) * 2018-03-23 2021-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7318311B2 (ja) * 2019-05-29 2023-08-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
DE102020104022B3 (de) * 2020-02-17 2021-08-12 Md Elektronik Gmbh Kurzschlussstift,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Kurzschlussstift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urzschlussstifts
CN113097770B (zh) * 2021-03-31 2023-09-19 东莞立德精密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01560U1 (de) * 1988-11-04 1990-03-15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eines Airbags
DE3909912A1 (de) * 1989-03-25 1990-09-27 Bosch Gmbh Robert Vielpolige steckvorrichtung
US5266043A (en) * 1992-01-31 1993-11-30 Augat Inc. Fully programmable connector
US5273448A (en) * 1993-03-16 1993-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Shorting spring concept
DE4323839A1 (de) * 1993-07-16 1995-01-19 Kabelmetal Electro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Sprengladung mit einer Stromquelle
GB9316839D0 (en) * 1993-08-13 1993-09-29 Amp Gmbh Short circuit spring terminal
JPH0864309A (ja) * 1994-08-25 1996-03-08 Sumitomo Wiring Syst Ltd 短絡コネクタ
JPH09171864A (ja) * 1995-12-21 1997-06-30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に使用される短絡用端子
JP3149794B2 (ja) * 1996-07-25 2001-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用端子金具
DE69622720T2 (de) * 1996-11-04 2003-03-13 Molex Inc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mit Kurzschlussvorrichtung
DE19702373B4 (de) * 1997-01-23 2008-02-21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einer Kurzschlußfeder und Kurzschlußfeder
JP3598811B2 (ja) * 1998-05-14 2004-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端子とこれを組み込んだ嵌合検知用コネクタ
US6257910B1 (en) * 1999-07-02 2001-07-10 Trw Inc. Shorting clip for air bag inflator
JP3987736B2 (ja) 2002-02-26 2007-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6786747B1 (en) * 2002-09-11 2004-09-07 Yazaki North America, Inc. Axial adjustable connector shorting assembly
DE102005041472A1 (de) * 2005-09-01 2007-03-08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er oder Kuppler einer Steckverbindung für die Anwendung im Fahrzeugbereich mit einer Kurzschlussbrücke
JP4682032B2 (ja) * 2005-12-07 2011-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7258012A (ja) 2006-03-23 2007-10-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73A1 (ko)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139155B2 (en) 2016-01-04 2018-11-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69975A1 (en) 2009-10-29
CN101640343A (zh) 2010-02-03
JP5218074B2 (ja) 2013-06-26
EP2113970A1 (en) 2009-11-04
CN101640343B (zh) 2013-02-27
KR101073968B1 (ko) 2011-10-17
JP2010153341A (ja) 2010-07-08
US7850471B2 (en)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968B1 (ko) 단락 단자, 커넥터 및 단락 방법
EP1560298B1 (en) A divid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2345108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7311561B2 (en) Connecting terminal
EP2369687B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EP2779317A1 (en) Connector
US7553203B2 (en) Connecting terminal
US8388364B2 (en) Joint connector and busbar
WO1991009436A1 (en) Modular telephone connector
US10700462B2 (en) Connector housing
WO1988007776A1 (en) Solder post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KR101453709B1 (ko) 단부고정형 랜스를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용 분리 지그
US9640922B2 (en) Connector
EP1418649B1 (en) A connector
US739323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connector housings
CN206542009U (zh) 电连接装置
KR102499444B1 (ko) 전기 커넥터
KR20050072075A (ko) 커넥터
US20040253881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6629864B2 (en) Electrical contact for plug-in connector
EP0955695A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of the contact terminals
US6109982A (en) Press-connectin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H07220811A (ja) コネクタ
KR20230048816A (ko) 위치 보정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JP2000353558A (ja) 低挿入力・高抜去力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