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991A -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991A
KR20090111991A KR1020080037631A KR20080037631A KR20090111991A KR 20090111991 A KR20090111991 A KR 20090111991A KR 1020080037631 A KR1020080037631 A KR 1020080037631A KR 20080037631 A KR20080037631 A KR 20080037631A KR 20090111991 A KR20090111991 A KR 20090111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inflammatory
fraction
c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은숙
이혜자
문지영
유병삼
김재우
윤명석
김철수
김대신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991A/ko
Publication of KR2009011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잎 추출물이 산화질소(nitric oxide : NO),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OX-2(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및 IL-6(interleukin-6)와 같은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 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타나내므로, 본 발명의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항염 효과가 있는 화장료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항염효과, 개서어나무, 화장료

Description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arpinus tschonoskii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본 발명은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잎 추출물이 산화질소(nitric oxide : NO),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OX-2(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및 IL-6(interleukin-6)와 같은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타나내므로, 본 발명의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항염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우리의 피부는 여러 가지 유해 물질들에 의하여 자극을 받게 된다. 장기간 태양광선에 노출되게 되면 피부에 홍반이 생기는데 이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 자극이 일어났음을 의미한다(Kim et al., J.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4), 2006). 태양의 자외선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유발하는데 과량의 ROS발생은 산화 환원 불균형 상태를 일으켜 표피와 진피를 구성하는 세포와 세포 사이의 기질, 혈관 등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cytokine(TNF-α, IL-1b, IL-6, 1L-8)과 효소(iNOS, COX-2) 및 이들 효소의 산물들인 PGE2, 산화질소(NO)들이 생성되어 만성 염증상태가 된다(Son et al., J.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3), 2005).
피부는 해부학적으로 외부와의 경계면에 위치하여 미생물, 화학물질 및 자외선과 같은 인자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주변 환경과의 생화학적 방어기전과 함께 면역학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가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의하여 자극을 받게 되면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세포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등과 같은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적인 경우 이러한 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치유의 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작용하게 되면 알러지 반응이나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만성염증 반응을 초래하게 된다 (대한병리학회, 간추린 병리학, 26-69, 1998;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피부과학, 1994; Son et al., J.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3), 2005).
그람-음성 세균(Geam-negative bacteria)의 세포 외막에 존재하는 lipopolysaccharide(LPS)는 내독소로 잘 알려져 있으며, 박테리아가 죽으면서 세포 외막으로부터 방출되어 패혈증(gram-negative sepsis)과 패혈증성 쇼크(septic shock)를 일으킨다. LPS는 RAW264.7과 같은 단핵식세포(macrophage 또는 monocyte) 로부터 다양한 염증 반응 인자로 알려진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eukin-6), IL-1β(interleukin-1β)와 같은 염증 전구 사이토킨(pro-inflammatory cytokines)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n et al. INt. Immunopharmacol., 2, 2002, Scott et al., Crit. Rev. Immunol., 20, 2000, Ashutosh et al., Cell Immunol., 219, 2002). 특히 TNF-α, IL-1β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을 유도한다. iNOS는 평소에는 세포내에 존재하지 않으나 일단 유도되면 장시간 동안 다량의 산화질소(nitric oxide : NO)를 생성한다(Hyun et al., Yakhak Hoeji, 48(2), 2004). 일반적인 NO 형성은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NO형성은 염증을 유발시키게 되며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및 신경 손상 등을 유발한다(Weisz et al., Biochem J., 316, 1996).
시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COX)는 아라키돈 산(arachidonic acid)을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 PGs)로 전환시키는 효소로써 COX-1과 COX-2로 분류된다(Kim et al., Yakhak Hoeji, 46(5), 2002). COX-1은 체내에서 혈소판의 형성, 위벽보호, 신장기능의 유지, 혈소판의 형성에 필요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의 합성 등 정상적인 생체기능에 작용하며(Masferr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1(5), 1994), COX-2는 동물이나 인간의 염증 반응 부위에서 발견된다. COX-2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은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염증매개물질이 PGE2(prostaglandins E2)를 형성시킨다. PGE2는 염증반응, 면역반응 및 혈관신생(angiogenesis)촉진 등 암 발생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eibert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1(25), 1994, Masferr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1(5), 1994) 따라서, 아라키돈산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류를 합성하는데 관련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COX)는 염증을 차단하는데 주된 목표가 되고 있다.
항염 효능은 피부 진정과 여드름, 아토피에 관련하여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효능으로 피부 자극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류에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Czameck et al., Acta. Dermatovenerol. croat. 13(3), 2005). 항염증제에는 다양한 물질이 있으나 피부 안전성 면이나 화장품 배합시 안전성 면에서 부작용이 없는 항염 물질이 중요하다. 이에 안전하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의 자극완화소재 및 화장품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Jeong et al., Kor. J. Phamacogn, 29(169), 1998).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이 NO, iNOS, COX-2 및 IL-6와 같은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타나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는 중국, 일본, 우리나라 남부에 자생하며 낙엽 교목으로 높이 15m, 지름 1m.이다. 수피는 회색이며, 잎은 난형*타원형으로 길이 5~12cm, 너비 3~4cm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불규칙한 복거치가 있으며 뒷면에 털이 있고, 측맥은 14~16쌍이다. 수꽃은 처지고 각 포에 1개씩 달리며, 암꽃은 대가있고 처지고 2개씩 달리며 길이 4~8cm의 화서를 이루고 4~5월에 개화한다. 과수축에는 털이 있으며, 과포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2~3.2cm이며 첨두이고 가장자리 한측면만 거치가 있고, 견과는 삼각상 난형으로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주로 기구재·곡목(曲木)·세공·활자, 표고버섯 재배용 목재 등으로 쓰고 수형이 깔끔하여 공원수로 심는다. 개서어나무 잎의 주요 성분으로는 미리세틴(myricetin), 캄페롤(kaempferol) 및 쿠에르세틴(quercetin) 등이 동정되었다(Chang et al., Biochem. Syst. Ecol. 32, 35-44 (2004)).
개서어나무 추출물에 대한 선행 발명으로는 세포보호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10-2008-0009845)과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7-0045764)이 있다.
본 발명은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잎 추출물이 산화질소(nitric oxide : NO), iNOS, COX-2 및 IL-6와 같은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타나내므로, 본 발명의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항염 효과가 있는 화장료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서어나무 잎을 60~95중량%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에탄올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용매로는 에탄올 이외에도 메탄올, 1,3-부틸렌글리콜, 증류수,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또는 정제 분획물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계에서 제조되는 일반 화장수, 유액, 크림제,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 통상적인 제제화 방법에 따라 제형화 할 수 있다.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은 초기-염증성인자인 산화질소(NO), iNOS, COX-2 및 IL-6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타나내어 피부에서 염증 유발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개서어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개서어나무 잎은 한라수목원에서 채취, 동정되었다. 시료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분쇄하였다. 건조 분쇄된 개서어나무 잎 150g을 80% 에탄올 5L로 상온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어드반텍 NO. 4 (Toyo Roshi Kaisha, Ltd.)여과포로 여과한다. 여액을 감압회전농축기를 이용하여 건조중량 19.3g 을 얻었다.
실시예 2: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개서어나무 잎 에탄올추출물에 대해 용매분획을 실시하였다.
개서어나무 잎 에탄올추출물 12g을 물 1L에 분산시킨 후 헥산과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각 1L씩을 이용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헥산분획 1.29g, 클로로포름 분획 0.82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98g, 부탄올 분획 2.53g, 물 분획 1.74g을 얻었다.
실험예 1: 대식세포 배양
RAW264.7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 (Korean Cell Line Bank; KCLB)으로부터 분양 받아 100 단위/㎖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과 10% 소 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 계대 배양은 3일에 한 번씩 시행하였다.
실험예 2: 세포독성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RAW264.7 세포 생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RAW264.7 세포 (1.5×106 cells/㎖)를 18 시간 전 배양하고 각 시료와 LPS (1 ㎍/㎖)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3-(4,5-dimehtylthiazo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igma) 100 ㎍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Plate를 1000 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고 조심스럽게 배지를 제거한 다음, dimethylsulfoxide(DMSO, Sigma) 150 ㎕를 가하여 MTT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 formazan 침전물을 용해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 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성장억제정도를 조사하였다.
세포 생존율
시료 세포생존율(%)
대조군(LPS, 시료 무처리) 100.0
LPS(1㎍/㎖) 100.0
LPS +개서어나무 잎 에탄올추출물(100㎍/㎖) 103.8
LPS + 헥산 분획물(100㎍/㎖) 109.5
LPS + 클로로포름 분획물(100㎍/㎖) 118.0
LPS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0㎍/㎖) 107.8
LPS +부탄올 분획물(100㎍/㎖) 106.9
LPS + 물 분획물(100㎍/㎖) 99.1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개서어나무 잎 에탄올추출물 및 정제 분획물 모두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제 분획물 중 물 분획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은 세포 증식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 하였다.
실험예 3: RAW 264.7 세포에서 산화질소(NO) 생성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RAW264.7 세포에서 산화질소(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RAW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5 × 105 cells/㎖로 조절한 후 24 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험물질과 LPS(1 ㎍/㎖)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그리즈(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아질산염 (NO2-)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 ㎕와 그리즈 시약 [1 % (w/v) sulfanilamide, 0.1 % (w/v) naphylethylenediamine in 2.5 % (v/v) phosphoric acid] 100 ㎕를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농도 곡선은 아초산 나트리움(sodium nitrite; NaNO2)을 연속희석(serial dilution)하여 얻는다 (1-100 μM).
산화질소(NO) 생성에 미치는 영향
시료 NO 생성량(%)
대조군(LPS, 시료 무처리) 2.0
LPS(1㎍/㎖) 100.0
LPS +개서어나무 잎 에탄올추출물(100㎍/㎖) 77.0
LPS + 헥산 분획물(100㎍/㎖) 78.5
LPS + 클로로포름 분획물(100㎍/㎖) 38.3
LPS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0㎍/㎖) 65.5
LPS +부탄올 분획물(100㎍/㎖) 83.5
LPS + 물 분획물(100㎍/㎖) 89.9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개서어나무 잎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23% 정도 산화질소(NO) 생성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경우 개서어나무 잎 에탄올추출물보다 2배 정도 생성량이 더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정제 분획물 중 산화질소(NO)생성량 억제 효과가 가장 좋은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도 1참조).
실험예 4: RAW 264.7 세포에서 iNOS, COX-2 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iNOS 와 COX-2 단백질 양에 대한 억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4-1. 단백질 분리
RAW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5 × 105 cells/㎖로 조절한 후 60 mm 디쉬(dish)에 접종하고, 시험물질과 LPS(1 ㎍/㎖)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2 내지 3회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 후, 1 ㎖의 용해 완충액(lysis buffer)을 첨가, 30분내지 1시간동안 용해(lysis) 시킨 다음 12,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막 성분 등을 제거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SA (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화하여 바이오-레드 단백질 어세이 키트(Bio-Rad Protein Assay Kit)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4-2. 웨스턴 블롯 분석(western blot analysis)
20 내지 30㎍의 세포용해물(lysate)을 8% 미니 겔(mini gel) SDS-PAGE(Poly Acrylamide GelElectrophoresis)로 변성 분리하여, 이를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세포막(BIO-RAD)에 200mA로 2시간 동안 전이하였다. 그리고 세포막의차단(blocking)은 5% 탈지유(skim milk)가 함유된 TTBS (TBS + 0.1% 트윈 20) 용액에서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iNOS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항-마우스 iNOS (1: 1000) (Santa-Cruz)를, COX-2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항-토끼 COX-2 (1: 2000) (Santa-Cruz)을 TTBS 용액에서 희석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TTBS로 3회 세정하였다. 2차 항체로는 HRP (Horse 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항-토끼 IgG(Amersham Co.)를 1: 50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30분 간 반응시킨 후, TTBS로 4회 세정하여 ECL 기질(AmershamCo.)과 1~3분 간 반응 후, X-ray 필름에 감광하였다.
그 결과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iNOS의 발현이 현저히 저해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개서어나무 잎 에탄올추출물,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COX-2의 단백질 발현이 현저히 저해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발현 억제 정도가 가장 좋았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확인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도 2b).
실험예 5: RAW 264.7 세포에서 iNOS, COX-2, IL-6 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단백질 발현 저해가 mRNA발현(expression) 저해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RAW264.7세포에서 LPS(1㎍/㎖)를 사용하여 iNOS, COX-2 및 IL-6의 생성을 유도한 후 RT-PCR 방법을 통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Mu, M. M. et al., J. Endotoxin Res., 7, p431, 2001).
5-1. RNA 분리
RNA를 분리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를 18 시간 전 배양하고 10배 농도로 조제된 시료와 LPS (최종농도 1 ㎍/㎖)를 동시 처리하여 시간별로 배양 한 후 총 RNA 추출은 TRI-시약(reagent)(MRC)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세포에 TRI-시약을 500 ㎕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chloroform을 첨가하여 원심분리시킨 다음, 상층액에 동량의 2-propanol을 첨가하여 원심 분리시켜 RNA를 침전시키고 75 %의 DEPC(diethylpyrocarbonate) 처리된 에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DEPC 처리된 증류수에 녹인 다음, 2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RNA를 정량하였다. A260/A280 nm의 비율이 1.7~1.9 범위 내의 값을 갖는 RNA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RNase-free한 조건 하에서 시행하였다.
5-2. cDNA 합성
수득한 1 ㎍의 총 RNA를 oligo(dT)18 primer, dNTP(0.5 μM), 1 unit RNase inhibitor 및 M-MuLV reverse transcriptase(2 U)로 70 ℃ 5 분, 25 ℃ 5 분, 37 ℃ 60 분, 및 70 ℃에서 15 분 가열 시킴으로서 반응을 중지시켰다.
5-3.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은 합성된 cDNA로부터 iNOS, COX-2, IL-6, β-액틴(Actin)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2 ㎕ cDNA, 4 μM의 5′와 3′primer, 10x 완충용액(10 mM Tris-HCl, pH 8.3, 50 mM KCl, 0.1 % Triton X-100), 250 μM dNTP, 25 mM MgCl2, 1 unit Taq polymerase(Promega, USA)를 섞고 증류수로 전체를 25 ㎕로 맞춘 다음 유전자 증폭기(Thermal Cycler, Perkin-Elmer, USA)를 이용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이때 PCR 조건은 94 ℃/45초, 55∼60 ℃/45초, 72 ℃/60초, 30회이며, PCR에 의하여 생성된 산물은 1.2 %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특정 밴드를 확인하였다(표 3 참조).
유전자 프라이머 염기서열 단편사이즈 (bp)
IL-6 F 5'-GTACTCCAGAAGACCAGAGG-3' 308
R 5'-TGCTGGTGACAACCACGGCC-3'
iNOS F 5'-CCCTTCCGAAGTTTCTGGCAGCAGC-3' 496
R 5'-GGCTGTCAGAGCCTCGTGGCTTTGG-3'
COX-2 F 5'-CACTACATCCTGACCCACTT-3' 696
R 5'-ATGCTCCTGCTTGAGTATGT-3'
β-액틴 F 5'-GTGGGCCGCCCTAGGCACCAG-3' 603
R 5'-GGAGGAAGAGGATGCGGCAGT-3'
그 결과 도 3a, 3b, 3c에서 볼 수 있듯이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iNOS, COX-2, IL-6의 mRNA 발현을 가장 강하게 억제하였다.
도 1은 RAW264.7 세포에서 개서어나무 잎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산화질소(NO)생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RAW 264.7 세포에서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및 정제 분획물들의 iNOS, COX-2 생성 단백질 발현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RAW 264.7 세포에서 개서어나무 잎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iNOS, COX-2 생성 단백질 발현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RAW 264.7 세포에서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및 정제 분획물들의 iNOS의 mRNA 발현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RAW 264.7 세포에서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및 정제 분획물들의 COX-2의 mRNA 발현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RAW 264.7 세포에서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및 정제 분획물들의 IL-6의 mRNA 발현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항염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가한 후 분획하여 얻은 1종이상의 항염효과를 갖는 용매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용매분획물이 클로로포름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은 에탄올추출물이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또는 용매분획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중량의 0.01 내지 10 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염효과가 초기-염증성인자인 산화질소(NO),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OX-2(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및 IL-6(interleukin-6)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37631A 2008-04-23 2008-04-23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90111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631A KR20090111991A (ko) 2008-04-23 2008-04-23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631A KR20090111991A (ko) 2008-04-23 2008-04-23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991A true KR20090111991A (ko) 2009-10-28

Family

ID=4155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631A KR20090111991A (ko) 2008-04-23 2008-04-23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9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376A (ko) * 2012-05-30 2013-03-13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증성 조성물
WO2019059484A1 (ko) * 2017-09-20 2019-03-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017043B1 (ko) * 2018-10-31 2019-09-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갈나무 및 개서어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38290B1 (ko) 2018-10-05 2019-10-30 대한민국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376A (ko) * 2012-05-30 2013-03-13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증성 조성물
WO2019059484A1 (ko) * 2017-09-20 2019-03-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038290B1 (ko) 2018-10-05 2019-10-30 대한민국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43B1 (ko) * 2018-10-31 2019-09-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갈나무 및 개서어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469B1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768238B2 (ja) プロフィラグリンmRNA発現促進剤
KR102098388B1 (ko) 피부 항상성 유지 및 항염성 천연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6588A (ko)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1494B1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를 위한 추출물 및 조성물
KR101151093B1 (ko) 항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2894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1991A (ko)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587264B1 (ko) 홍조류 미소섬유상 셀룰로오스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10091430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20180087479A (ko) 감꼭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16853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2313B1 (ko) 항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1272B1 (ko)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0768085B1 (ko) 생리활성을 가지는 비쑥추출물
KR102105672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9317A (ko) 선복화 단백다당체 또는 선복화 올리고당/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0904B1 (ko) 천년초 및 용설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41777A (ko) 체세포 배아가 풍부한 식물 세포 배양물 유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 및 이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8591B1 (ko) 모란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5362326B2 (ja) Mif分泌抑制剤
KR101764806B1 (ko) 석송 및 쇠뜨기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8592B1 (ko) 발효아마인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