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59484A1 -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59484A1
WO2019059484A1 PCT/KR2018/004543 KR2018004543W WO2019059484A1 WO 2019059484 A1 WO2019059484 A1 WO 2019059484A1 KR 2018004543 W KR2018004543 W KR 2018004543W WO 2019059484 A1 WO2019059484 A1 WO 20190594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dyes
extract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45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희경
강정일
현진원
유은숙
고영상
안미정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1880061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107861B/zh
Publication of WO20190594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594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accelerating hair growth, which comprises a component extracted from an alfalfa leaf.
  • the human hair has about 100,000 to 150,000 hairs and is formed in "hair follicles". There is a nipple in the hair follicle, where small blood vessels are distributed to supply the nutrients needed to grow hair, and beside the papilla there is a bore hole that supplies the hair with shine oil.
  • Hair follicles are composed of several different epithelial cells and dermal papilla cells (DPCs). DPCs are mesenchymally-derived fibroblasts located at the base of hair follicl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hair growth. In particular, minoxidil has been reported to have proliferative and anti-apoptotic effects on DPCs. Similarly, several reports have shown an increase in hair growth through the proliferation of DPCs.
  • alopecia refers to an abnormal increase in the number of hair that has fallen due to a shortening of the percentage of growing hair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trogressive or resting hair among these cycles.
  • 5-fluorouracil is an antimetabolite that inhibits thymidylate synthase and induces DNA synthesis inhibition and cell death (Longley DB et al., 2003).
  • Carpinus tschonoskii Maxim. there is . tschonoskii is a deciduous broad-leaved arboreous tree with birch. (Koo JE, et al., 2012; Kim, MK, et al., 2010) (Registration No. 10-0866784) containing a leaf extract and a skin whitening improving cosmetic composition (Registration No. 10-0967073) including an extract of a Japanese apricot leaf tree.
  • a skin whitening improving cosmetic composition Registration No. 10-0967073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e hair loss prevention effect and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the extract of Cervus nipponensis Leaf, while searching for natural substances exhibiting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with little toxicity.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extract of Leuc Formica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which comprises an extract of Leuc Formica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xtracts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using water containing purified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a solvent selected from hexane,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glycerin, ethyl acetate, ether and chloroform, Or methanol mixed solvent.
  • pine tree leaf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obtained by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from the leaves of the pine tree.
  • the resultant product can be obtained by putting the leaves of anodontia sp. Into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nd eluting the active ingredient through means such as settling, stirring, pressing, or heating.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lyophilized product obtained by lyophilizing the liquid extract obtained as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extracted extracts regardless of the means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including those extracted and then subjected to lyophilization and the like.
  • Other examples include extracts obtained by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such as extracting by hot water or room temperature, or extracts obtained by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as described in Korean medicine or textbooks.
  • It also includes a fraction extract obtained through a Stass Otto extraction method or various column chromatography methods, which is a special extraction method for separating specific active compounds.
  • the extracts of Leuc Formicae leaf can be used without any limitation, such as collected and commercially available leaf extracts.
  • they may be collected by washing with wa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ollowed by drying and pulverizing.
  • the above-mentioned leaves of Leuc Formicae can be obtained by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such as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filtration method and a reflux extraction method.
  • it may be an extract obtained by dissolving a sample of the leaves of Leaf crocodile in ethanol.
  • hair loss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hair falls off from the scalp or hair is tapered or tapered.
  • hair loss prevention means prevention and suppression of the hair loss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promotes the production of hair but also allows the existing hair to grow healthily.
  • hair growth occurs in the growing phase, and is induced by the delay from the dormancy to the growth phase and from the growth phase to the regressor.
  • the hair cycle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stages known as growth phase, regressor phase, and quiescent phase.
  • growth phase a main stage in which hair growth takes place as the hair follicles grow deep into the skin with rapid cell proliferation.
  • the next phenomenon is the retrogressive period, which is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disruption of cell division is prominent, during which the hair follicles gradually regress and hair growth stops.
  • the regressive hair follicle contains germs with densely packed dermal papilla cells.
  • the onset of a new growth phase in dormancy is induced by rapid cell proliferation in the abdomen, swelling of the papilla and synthesis of basement membrane elements.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eventing hair An effect of improving the existing hair such as thickening, and an effect of generating new hair.
  • Dermal papilla cells are believ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hair growth through interactions with mosquito cells of hair follicles, which are mesenchymal-derived fibroblasts located at the base of hair follicles (Jahoda CA, et al. 1984; Oliver RF, et al., 1986).
  • the type 2 5 ⁇ -reductase inhibitor finasteride
  • improves hair loss by reducing DHT in patients with hair loss (Van Neste et al., 2000), which suggests that 5 ⁇ -reductase is an important target for hair loss treatment Tell me.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5 ⁇ -reductase and activates dermal papilla cells, thereby preventing hair loss and inducing hair growth.
  • the concentration of the above-mentioned leaves of the leaves is 0.001 to 10 ⁇ g / ml, but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racted from a natural product, it has little toxicity.
  • Said cedrus leaf extract may comprise 0.01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oral or parenteral formulations.
  •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or a surfactant is usually used.
  •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ntain one or more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simple diluents commonly used. hav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ding agent example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 suppository base examples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pap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in the form of thei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as well as in a suitable set.
  • the sal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o long as it i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nd includes,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hydrofluoric acid, hydrobrom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tartar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 , Benzenesulfonic acid, toluenesulfonic acid, and naphthalenesulfonic aci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or orally, and may be administered in one to several divided doses so as to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0.1 to 500 mg per kg of body weight per day.
  • the dosage for a particular pati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body weight, age, sex, health condition, diet, time of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severity of disease,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oral composi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ch as ointments and cream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nd may be formulated in any form suitable f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humans, and the like by various routes such as parenteral, oral, and the like, and all manner of administration can be expected.
  •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humans, and the like
  • routes such as parenteral, oral, and the like, and all manner of administration can be expected.
  •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mural or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humans, and the like.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serious toxicity and side effects, it can be safely used for prolonged use for preventive purpo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extract of Leaf te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ncentration of the above-mentioned leaves of the leaves is 0.001 to 10 ⁇ g / m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be used in hair cosmetics such as hair tonic, hair conditioner, hair essence, hair lotion, hair nutrition lotion, hair shampoo, hair conditioner, hair treatment, hair cream, hair nutrition cream, hair moisturizing cream,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moisturizers, Mousse, and hair spray.
  • hair cosmetics such as hair tonic, hair conditioner, hair essence, hair lotion, hair nutrition lotion, hair shampoo, hair conditioner, hair treatment, hair cream, hair nutrition cream, hair moisturizing cream,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moisturizers, Mousse, and hair spray.
  • hair cosmetics such as hair tonic, hair conditioner, hair essence, hair lotion, hair nutrition lotion, hair shampoo, hair conditioner, hair treatment, hair cream, hair nutrition cream, hair moisturizing cream,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hair dyes,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er, a thickening agent, a gelling agent, a softening ag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er, a thickening agent, a gelling agent, a softening ag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 Such as cosmetics or skin such as fillers, sequestering agents,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arrier agent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 agents, lipid vesicles or any other ingredient commonly used in cosmetics
  • adjuvants are introduced in amount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s or dermatological fields.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 example, a cosmetic composition, and the external form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a cosmetically or dermatolog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It may be in any form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for example, as a solution, a gel, a solid, a paste anhydrous product, an emulsion obtained by dispersing the oil phase in water, a suspension, a microemulsion, a microcapsule, In the form of a non-ionic follicle dispersing agent, or in the form of creams, skins, lotions, powders, ointments, sprays or conical sticks. These compositions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also be used in the form of a foam or in the form of an aerosol composition further containing a compressed propellant.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form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a softening agent, a convergent lotion, a nutritional lotion, a nutritional cream, a massage cream, an essence, Water, a pack, a powder, a body lotion, a body cream, a body oil and a body essence.
  • the cosmetic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skin, or may be applied to the skin using a micro needle or the like.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into a hair composition
  • a carrier or carrier mixture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hair
  • the carrier comprises a vehicle component commonly used in a carrier or other carrier or hair protective composition and is present in an amount ranging from about 0.5% to 99.5%, preferably from about 5.0% to 99.5%, and most preferably, About 10.0% to 90.0%.
  • the solvent is selected by the copolymer to be used, regardless of whether the formulated hair composition remains on the hair after use such as hair spray, mousse, tonic, etc., or whether it is cleaned, such as shampoos, conditioners and the like.
  • Suitable solvent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water, lower alcohols (ethanol, isopropanol, etc.), hydroalcoholic mixtures, hydrocarbons such as isobutane, hexane and decene, acetone,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Freon, Dibutyl phthalate and the like), volatile silicone derivatives, siloxane (phenylpentamethyldisiloxane, methoxypropylheptamethylcyclotetrasiloxane, chloropropylpentamethyldisiloxane, hydroxypropylpentamethyldisiloxane, octamethylcyclotetrasiloxane, decamethyl Cyclopentasiloxane, and the like), and mixtures thereof.
  • siloxane phenylpentamethyldisiloxane, methoxypropylheptamethylcyclotetrasiloxane, chloropropylpentamethyldisiloxa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extract of Leuc Formica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ncentration of the above-mentioned leaves of the leaves is 0.001 to 10 ⁇ g / m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preferably powder, granule, tablet, capsule or beve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t is, or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Leaf Leaf Leaf Extract examples include dairy products including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and other noodles, gums, ice cream, Tea, a drink, an alcoholic beverage, and a vitamin complex, and includes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 the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n additional ingredient such as ordinary beverages.
  • natural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sweeteners include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 mar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s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beverage, and the like. It may also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accelerating the proliferation of dermal papilla cells (DPCs) in the leaves of Leaf cv. Minoxidil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nd the treatment of dermal papilla cells with the extracts of O. cedar leaf (0.01, 0.1 and 1 ⁇ g / ml) was compared.
  • DPCs dermal papilla cells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extract of Leptocarcinoma sp.
  • Minoxidil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nd the growth of hair follicle was confirmed by treatment of the leaves of the leaves of O. cirrus (0.001, 0.01 and 0.1 ⁇ g / ml) on a vibrissa follicle.
  • Example 2 Dogwood tree Of leaf extract Dermal papilla cells (Dermal papilla cell, DPCs ) Confirmation of proliferation promoting effect
  • Immunized dermal papilla cells isolated from rat beard (Filsell W, et al., 1994) were mixed with 100 units / ml penicillin-100 ⁇ g / ml streptomycin (Gibco Inc, were cultured in DMEM (Hyclone Inc, USA) medium containing 37%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Inc, NY, USA) at 37 ° C in a 5% CO2 incubator and subcultured once every 3 days. Proliferation of dermal papilla cells was measured by MTT assay.
  • the dermal papilla cells (1.0 ⁇ 10 4 cells / ml) were cultur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BS, and cultured for 24 h in a 96-well plate. The cells were treated with a concentration of 0.01, 0.1 and 1 ⁇ g / ml .
  • the positive control, minoxidil (Sigma, MO, USA)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0 ⁇ M. After 4 days of incubation, 50 ⁇ L of 2 mg / ml MTT solution (Sigma, MO, USA) was added and reacted for 4 hour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200 ⁇ l of DMSO was added to dissolve the precipitate.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using a VERSAmax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CA, USA). The average absorbance of each sample group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absorbance of the control group.
  • mice Male Wistar rats, 3 weeks of age, were purchased from Orient Bio Inc. (Japan SLC, Hamamatsu, Janpan) and euthanized with CO 2 gas. The left and right mysticial pads of the rat were separated and the E / P buffer (EBSS, Sigma MO, USA) containing 100 units / ml penicillin-100 ⁇ g / ml streptomycin (Gibco Inc, USA) +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Sigma MO, USA). The vibrissa follicles were carefully removed by observation under a dissecting microscope.
  • E / P buffer containing 100 units / ml penicillin-100 ⁇ g / ml streptomycin (Gibco Inc, USA) +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Sigma MO, USA).
  •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 the hair follicles were placed in a Petri dish containing E / P buffer and incubated for 1 hour at 37 ° C in a 5% CO2 incubator.
  • E / P buffer E / P buffer
  • 10 ⁇ g / ml insulin Sigma MO, USA
  • 50 nM hydrocortisone Sigma MO, USA
  • 100 units / ml penicillin-100 500 ⁇ l of William E medium (Gibco Inc, NY, USA) containing 1 ⁇ g / ml streptomycin was added to each well and incubated at 37 ° C in a 5% CO 2 incubator.
  • the type of cultured vibrissa follicle was photographed using a microscope (Olympus, Japan). Follicular length was measured using an image analyzer (DP controller; Olympus, Japan). The average value of the hair follicle length changes was obtained and compared with the average length of the control group to measure the degree of growth.
  • the length of the hair follicles was measured and the hair follicle length was measured.
  • the hair follicles were cultured for 3 weeks at 3 weeks of age.
  • the hair follicle length was measured at 21 days and the difference in hair follicle length between control group and control group (P ⁇ 0.01), 147.9 ⁇ 17.5% (P ⁇ 0.05) and 142.7 ⁇ 19.9% (P ⁇ 0.05), respectively, when treated with 0.001, 0.01 and 0.1 ⁇ g / % (Fig. 2).
  • the concentrations of 0.001 and 0.01 ⁇ g / ml the effect of hair fiber growth on the growth of hair fiber was higher than that of minoxidil (10 ⁇ M),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t 121.9 ⁇ 19.6%.
  • the above ingredients were added in the prescribed amounts, uniformly mixed, stirred, and then granulated. After drying, the tablets were used to produce the desired tablets, each containing 1 mg of the effective ingredient perilla leaf extract.
  • the above ingredients are added in the prescribed amounts, uniformly mixed, and then packed in an appropriate size gelatin capsule so as to contain 1 mg of cedar leaf extract per capsule to prepare a desired capsule Respectively.
  • the above ingredients were added in the prescribed amounts and uniformly mixed to prepare an ointment.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 an airtight container to prepare a powder.
  • 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to prepare a liquid agent.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to prepare a hair tonic.
  • 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to prepare a hair conditioner.
  • Leaf Tree Leaf Extract 0.1 glycerin 3.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Carboxyvinyl polymer 0.1 Wax 4.0 Polysorbate 60 1.5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5.0 Squalane 5.0 Sorbitacecequioleate 1.5 Liquid paraffin 0.5 Cetearyl alcohol 1.0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s, coloring and flavoring Proper amount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up to 100)
  • the softening longevity was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above.
  • Leaf Tree Leaf Extract 0.1 glycerin 3.0 Butylene glycol 3.0 Liquid paraffin 7.0 Beta Glucan 7.0 Carbomer 0.1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3.0 Squalane 5.0 Cetearyl glucoside 1.5 Sorbitan stearate 0.4 Polysorbate 60 1.2 Triethanolamine 0.1 Preservatives, coloring and flavoring Proper amount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up to 100)
  • Nutritive cream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s shown in Table 2 in a conventional manner.
  • Leaf Tree Leaf Extract 0.1 glycerin 3.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Carboxyvinyl polymer 0.1 Wax 4.0 Polysorbate 60 1.5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5.0 Squalane 5.0 Sorbitacecequioleate 1.5 Liquid paraffin 0.5 Cetearyl alcohol 1.0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s, coloring and flavoring Proper amount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up to 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를 억제 및 예방하며 육모를 촉진하는 효능이 인정되므로, 약학, 화장품 및 미용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본 발명은 개서어나무 잎에서 추출한 성분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이며 "모낭"에서 형성된다. 모낭에는 유두가 있는데, 이 부위에는 작은 혈관이 분포되어 모발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유두 위의 옆으로는 모발에 윤기를 주는 기름을 공급해 주는 지루샘이 있다. 모낭(hair follicle)은 여러 다른 상피세포들(epithelial cells) 및 모유두 세포들(dermal papilla cells, DPCs)로 이루어진다. DPCs은 모낭의 기저부에 위치한 중간엽-유래 섬유아세포(mesenchymally-derived fibroblasts)이며 육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미녹시딜(minoxidil)은 DPCs에 증식 및 항-세포사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유사하게, 여러 보고서들은 DPCs의 증식을 통한 육모의 증가를 보여줬다.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서 성장하고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일일 평균 50~100 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 모발의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 모발이 많아져 탈락하는 모발의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항암 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는 백혈구감소, 구토, 설사 및 탈모가 있으며, 이중 항암 화학요법에 의한 탈모 (chemotherapy induced alopecia)는 약 65%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rueb RM, 2010). 항암 화학요법에 의한 탈모를 유발하는 약물중 5-fluorouracil은 대사길항제(antimetabolite)의 일종으로 thymidylate synthase를 억제하여 DNA 합성 저해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ongley DB et al.,2003).
이와 같이 탈모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탈모에 대한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오직 두 개의 약물들(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및 미녹시딜(minoxidil))만이 탈모 치료를 위해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A)에서 인가되었다. 5α-reductase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는 남성의 안드로겐성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에서 육모를 촉진시키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혈압강하제(anti-hypertensive agent)인 미녹시딜은 ATP-민감성 K+-채널 개방에 의해 육모를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약물의 효과는 예측불가능한 효과 및 부작용 때문에 제한적이고 일시적이다. 탈모를 예방하고 육모를 촉진시키는 더 나은 새로운 치료제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탈모를 방지하여 주고 발모촉진 및 모발에 생장에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미녹시딜(minoxidil)이나 트리코사카라이드(trichosaccharide)등의 제제들의 경우, 뚜렷한 효능의 부재 및 인체 안정성, 피부자극 유발 등의 부작용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안전성 및 효능이 확보된 조성물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Maxim. var . tschonoskii)은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개서어나무의 효능으로는 항염 및 신경보호 효과가 우수하다고 보고되어 있고 (Koo JE, et al., 2012; Kim MK, et al., 2010), 개서어나무 추출물의 선행 발명으로는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등록번호 10-0866784) 및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개선 화장료 조성물 (등록번호 10-0967073) 등이 있다. 하지만, 개서어나무의 발모 및 육모 효능에 대한 연구 및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독성이 거의 없이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물질들을 탐색하던 중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틸, 에테르, 클로로포름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메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개서어나무 잎추출물이라 함은, 개서어나무 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개서어나무 잎을 물이나 유기용매에 넣고 정치, 교반, 가압 또는 가열 등의 수단을 통해 유효성분을 용출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얻어진 액상 추출물을 동결건조함으로써 얻어진 동결건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그러한 동결건조물을 분쇄한 분말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이용 가능한 수단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리지 않고 추출된 모든 추출물을 포함하며, 추출된 후 동결 건조 등의 가공을 거친 것까지도 모두 포함된다. 기타, 중탕이나 상온에 의한 추출법과 같이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거나, 한의서 또는 교과서에 기재되어 있는 통상적인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 활성 화합물들을 분리하기 위한 특별한 추출방법인 Stass Otto 추출법이나 각종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등을 통하여 얻어진 분획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은 채취한 것,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채취한 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 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서어나무 잎 시료를 에탄올에 녹인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탈모는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탈모 방지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탈모 현상을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육모 촉진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의 생성의 촉진뿐만 아니라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육모는 성장기에서 이루어지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유도 및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에 의하여 촉진된다. 모발주기는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알려져 있는 3개의 주요 단계들로 나눌 수 있다. 성장기에는 세포의 빠른 증식과 함께 피부 안으로 깊이 모낭이 성장하면서 모발형성이 이루어진다. 다음 현상은 퇴행기인데 이것은 세포 분열의 중단이 두드러지는 과도기이며, 이 과정에서 모낭은 점차 퇴행하며 육모가 중단된다. 다음 현상인 휴지기에서는 퇴행 모낭은 조밀하게 찬 모유두(dermal papilla) 세포를 갖는 배(germ)를 포함한다. 휴지기에서 새로운 성장기 현상의 개시는 상기 배에서 빠른 세포 증식, 모유두의 팽창 및 기저막 요소의 합성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성장기의 촉진 또는 연장에 의해 모발의 손실 방지, 즉 탈모를 방지하거나 모발의 재성장을 유발, 즉 육모를 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모발이 빠지지 않게 하는 효과, 이미 존재하는 모발을 굵게 하는 등 개선시키는 효과, 및 새로운 모발을 생성하는 효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는 모낭의 기저에 위치한 중배엽유래의 섬유아세포로서, 모낭의 모기질 세포와 상호작용을 통해 모발의 성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Jahoda CA, et al., 1984; Oliver RF, et al., 1986). 또한, Type 2 5α-reductase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는 탈모환자에서 DHT를 감소시켜 탈모를 개선시킨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으며 (Van Neste et al., 2000), 그러한 사실은 5α-reductase가 탈모 치료를 위한 중요한 target임을 말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5α-reductase를 억제하고 모유두세포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성장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는 0.001 내지 10 μg/m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것이므로 독성이 거의 없다.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다지 심각한 독성 및 부작용은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는 0.001 내지 10 μg/m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폼(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바르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고, 마이크로 니들 등을 이용하여, 피부 내부로 흡수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에 도포하기에 적당한 캐리어 또는 캐리어 혼합물을 포함하여 모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캐리어는 용매와 다른 캐리어 또는 모발 보호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히클(vehicle)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의 조성물 중 약 0.5% 내지 99.5%,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99.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90.0%로 존재한다. 캐리어로서 용매는 제형화된 모발 조성물이 헤어 스프레이, 무스, 토닉 등과 같이 사용 후 모발에 남는 것이거나 샴푸, 컨디셔너 등과 같이 세정되는 것에 관계없이 사용하는 공중합체에 의해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적합한 용매는 물, 저급 알코올(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하이드로알콜계 혼합물, 탄화수소(이소부탄, 헥산, 데센등), 아세톤, 할로겐화 탄화수소(프레온 등), 탄화수소 에스테르(에틸 아세테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등), 휘발성 실리콘 유도체, 실록산(페닐 펜타메틸 디실록산, 메톡시프로필 헵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클로로프로필 펜타메틸 디실록산, 하이드록시프로필 펜타메틸 디실록산, 옥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는 0.001 내지 10 μg/m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은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은 육모에서 중요한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탈모를 억제하고 예방하며 육모를 촉진하는 효능이 인정되어, 약학, 건강식품, 화장품 및 미용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는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모유두세포(DPCs) 증식 촉진 효과를 농도별로 확인한 도이다. 미녹시딜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고,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0.01, 0.1 및 1 μg/ml)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한 것을 비교하였다.
도 2는 랫트의 성장기 vibrissa follicle를 분리하여 모낭의 길이 성장에 미치는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영향을 농도별로 확인한 도이다. 미녹시딜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고,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0.001, 0.01 및 0.1 μg/ml)를 vibrissa follicle에 처리하여 모낭의 길이 성장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모든 측정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 또는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test으로 검정하였으며, p-value가 0.05이하일 경우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igma Stat software (Jandel Scientific Software, USA)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1>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제조
제주도에 자생하는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Maxim. var. tschonoskii)로부터 채취한 잎의 건조분말 100 g을 1 liter의 80% EtOH을 가하여 실온에서 24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상층액을 회수하고 회전감압농축기 (rotary evaporator)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한 후 20.8 g의 80% EtOH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 시료는 제주 생물종다양성 연구소로부터 공급받았다 (분양번호 JBRI-10435). 분양받은 시료는 50% EtOH (1:1 mixture of PBS:EtOH)로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모유두세포 (Dermal papilla cell, DPCs ) 증식 촉진 효과 확인
흰쥐 수염에서 분리된 불멸화된 모유두세포(Rat vibrissa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 Filsell W, et al., 1994)를 100 units/ml penicillin-100 μg/ml streptomycin (Gibco Inc, NY, USA)과 10% 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DMEM (Hyclone Inc,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 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모유두세포의 증식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유두세포 (1.0×104 cells/ml)를 1% FBS를 포함한 DMEM 배지에 혼탁하여 96 well plate에 넣고 24시간 배양 후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0.01, 0.1 및 1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minoxidil (Sigma, MO, USA)는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4 일 동안 배양한 후 2 mg/ml의 MTT (Sigma, MO, USA)용액을 50 μL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층액은 제거하고 DMSO 200 μl을 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킨 후 VERSAmax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증식정도를 조사하였다.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이 육모효능이 있는지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0.01, 0.1 및 1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14.6±10.2% (p<0.05), 119.9±4.7% (p<0.001) 및 105.0±9.4%정도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도 1). 특히, 0.1 μg/ml의 농도에서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은 양성대조 물질로 사용한 10 μM 미녹시딜의 증식효과인 117.4±6.1% (p<0.01) 보다 높은 모유두 세포 증식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이 육모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실시예 3>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모낭 성장 유도 확인
생후 3주령인 Wistar rat 수컷을 (Japan SLC, Hamamatsu, Janpan) ㈜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여 CO2 가스로 안락사하였다. 랫트(rat)의 왼쪽과 오른쪽 mystacial pads를 분리하여 100 units/ml penicillin-100 μg/ml streptomycin (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E/P buffer [Earle's balanced salts solution (EBSS, Sigma MO, USA) +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Sigma MO, USA)]에 넣었다. 해부 현미경으로 관찰하며 vibrissa follicles을 조심스럽게 분리하였다. 모낭이 모두 분리될 때까지 E/P buffer를 넣은 Petri dish에 분리된 모낭을 넣고 37°C, 5% CO2 항온기에서 1시간 정도 배양하였다. 24 well plate의 각 well에 2 mM L-glutamine (Gibco Inc, NY, USA), 10 μg/ml insulin (Sigma MO, USA), 50 nM hydrocortisone (Sigma MO, USA)과 100 units/ml penicillin-100 μg/ml streptomycin을 포함하는 500 μl의 William E medium (Gibco Inc, NY, USA)을 넣고, 하나의 well에 하나씩의 모낭을 넣어서 37°C,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중에 배지는 3 일마다 교환하였고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0.001, 0.01 및 0.1 μg/ml의 농도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물질인 minoxidil을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중인 vibrissa follicle 형태는 현미경 (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모낭 길이는 image analyzer (DP controller; Olympus,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낭 길이 변화의 평균값을 구하고 대조군의 평균길이와 비교하여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생후 3 주령 랫트의 성장기 vibrissa follicles을 분리하여 3주간 배양하면서 모낭 길이를 측정하여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이 육모 효능 있는지 조사한 결과, 21일째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처리군과 대조군과의 모낭의 길이 차이 (%)를 비교한 결과, 0.001, 0.01 및 0.1 μg/ml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보다 hair fiber의 성장이 149.1±14.2% (P<0.01), 147.9±17.5% (P<0.05) 및 142.7±19.9%로 증가하였다 (도 2). 특히. 0.001 및 0.01 μg/ml의 농도에서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hair fiber 성장 증가 효과는 양성대조 물질로 사용한 minoxidil (10 μM)의 121.9±19.6% 성장 증가 효과보다 더 높았다.
<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1 mg
옥수수 전분 68 mg
락토오즈 90 mg
미세결정질 셀룰로즈 4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 mg
통상적인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교반한 후,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타정기를 사용하여 1 정당 유효 성분인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이 1 mg씩 포함되어 있는 목적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1 mg
옥수수 전분 68 mg
락토오즈 90 mg
미세결정질 셀룰로즈 4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 mg
통상적인 캅셀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1 캅셀 당 1 mg의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이 포함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젤라틴 캅셀에 충진하여 목적하는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피부 외용제 중 연고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1 중량%
글리세린 8 중량%
부틸렌글리콜 4 중량%
유동파라핀 15 중량%
베타글루칸 7 중량%
카보머 0.1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 중량%
스쿠알란 1 중량%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 1 중량%
밀납 4 중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up to 100)
통상적인 연고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산제의 제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1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유지 5 mg
통상적인 산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1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비타민 C 50 mg
세린 50 mg
유지 적당량
정제수 잔량
통상적인 액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액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6> 헤어토닉의 제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10 중량%
레노시놀 0.1 중량%
멘톨 0.05 중량%
판테놀 0.2 중량%
살리실산 0.1 중량%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1 중량%
피마자유 5.0 중량%
색소 적당량
향료 적당량
에탄올 적당량
통상적인 헤어토닉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헤어토닉을 제조한다.
< 제제예 7>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2.5 중량%
세탄올 3.5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5 중량%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25%) 7.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 중량%
색소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적당량
통상적인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헤어컨디셔너를 제조한다.
< 제제예 8>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 성분 함량 (중량%)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up to 100)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9> 영양크림
배합 성분 함량 ( 중량% )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up to 100)
상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 제제예 10> 팩
배합 성분 함량 (중량%)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up to 100)
상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Claims (9)

  1.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Maxim. var . tschonoskii)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는 0.001 내지 10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캅셀제, 주사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4.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Maxim. var . tschonoskii)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는 0.001 내지 10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7.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Maxim. var . tschonoskii)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는 0.001 내지 10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
PCT/KR2018/004543 2017-09-20 2018-04-19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WO201905948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61001.3A CN111107861B (zh) 2017-09-20 2018-04-19 昌化鹅耳枥叶的乙醇提取物在制备用于防止脱发的药学组合物中的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11A KR101918656B1 (ko) 2017-09-20 2017-09-20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017-0121111 2017-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484A1 true WO2019059484A1 (ko) 2019-03-28

Family

ID=6436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4543 WO2019059484A1 (ko) 2017-09-20 2018-04-19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18656B1 (ko)
CN (1) CN111107861B (ko)
WO (1) WO201905948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1174A (ja) * 2004-03-29 2005-10-13 Sanei Seiyaku Kk 活性酸素消去剤
KR20080009845A (ko) * 2006-07-25 2008-01-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US20090104295A1 (en) * 2005-08-12 2009-04-23 Kenji Kohno Agent for Hair Growth
KR20090111991A (ko) * 2008-04-23 2009-10-28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10101239A (ko) * 2009-02-05 2011-09-15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샴푸로서 적합한 수성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784B1 (ko) 2007-05-11 2008-11-04 코스맥스 주식회사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1174A (ja) * 2004-03-29 2005-10-13 Sanei Seiyaku Kk 活性酸素消去剤
US20090104295A1 (en) * 2005-08-12 2009-04-23 Kenji Kohno Agent for Hair Growth
KR20080009845A (ko) * 2006-07-25 2008-01-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KR20090111991A (ko) * 2008-04-23 2009-10-28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염 효과를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10101239A (ko) * 2009-02-05 2011-09-15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샴푸로서 적합한 수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07861B (zh) 2022-05-24
KR101918656B1 (ko) 2018-11-15
CN111107861A (zh)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833B1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8117725A1 (ko) 수산동물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20190013575A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6056781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2635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0039A1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WO201605678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23022540A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1215882A1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0256380A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0256381A1 (ko) 옥타데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9059485A1 (ko) 휴매닌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829514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WO2019059484A1 (ko)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WO2017135637A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육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529380B1 (ko) 적하수오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510939B1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WO2015005700A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9225891A1 (ko) 아이리린 b를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 조성물
WO2019164090A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609436B1 (ko) 갈고리가시우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777478B1 (ko) 클라이토사이빈 에이(Clitocybin A)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609437B1 (ko) 갈고리참곱슬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WO2018016783A1 (ko) 3-o-갈로일-3,3&#39;,5,5&#39;,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반을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
WO2024010255A1 (ko)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잭.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589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589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