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845A -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 Google Patents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845A
KR20080009845A KR1020060069532A KR20060069532A KR20080009845A KR 20080009845 A KR20080009845 A KR 20080009845A KR 1020060069532 A KR1020060069532 A KR 1020060069532A KR 20060069532 A KR20060069532 A KR 20060069532A KR 20080009845 A KR20080009845 A KR 20080009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arpinus
tschonoskii
cells
r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진원
유병삼
김주호
문지영
함영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9845A/ko
Publication of KR2008000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abet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besity (AREA)
  • Rheu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ROS 청소 활성을 나타내고, 세포 생존율을 증진시키고, ERK 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카탈라제 활성을 증진시키므로, ROS에 의한 조직 손상을 개선하여, 염증, 노화, 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의 치료 뿐 아니라, 주름 개선 및 피부 염증 완화 등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서어나무 추출물, 세포 보호 작용, 반응성 산소종, 산화적 스트레스.

Description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Carpinus tschonoskii EXTRACT HAVING CYTOPROTECTIVE EFFECT}
도 1은 H2O2 처리에 의해 발생된 세포내 반응성 산소종(ROS)을 청소하는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작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a는 ROS를 DCF-DA 염색 후 유동세포분석기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1b는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배율×400).
도 2는 지방 과산화 저해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작용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V79-4 세포의 H2O2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보호 작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MTT 분석으로 측정한 V79-4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V79-4 세포의 H2O2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보호 작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Hoechst 33342 염색 후의 형광 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결과이다(배율×400).
도 5는 카탈라제 활성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작용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는 phospho-ERK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작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and Mitchell, J.B.,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1 (1987).
Chang, C.S., and Jeon, J.I., Foliar flavonoids of the most primitive group, sect. Distegocarpus within the genus Carpinus. Biochem . Syst. Ecol. 32, 35-44 (2004).
Cooke, M.S., Mistry, N., Wood, C., Herbert, K.E., and Lunec, J., Immunogenicity of DNA damag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implications for anti-DNA antibodies in lupus. Free Radic . Biol . Med . 22, 151-159 (1997).
Cui, X. Y., Fu, P. F., Pan, D. N., Zhao, Y., Zhao, J., and Zhao, B. C., The antioxidant effects of ribonuclease inhibitor. Free Radic . Res. 37, 1079-1085 (2003).
Darley-Usmar, V., and Halliwell, B., Blood radicals: reactive nitrogen species,reactive oxygen species, transition metal ions, and the vascular system. Pharm . Res. 13, 649-662 (1996).
Doctrow, S. R., Huffman, K., Marcus, C.B., Tocco, G., Malfroy, E., Adinolfi, C.A., Kruk, H., Baker, K., Lazarowych, N., Mascarenhas, J., and Malfroy, B., Salen-manganese complexes as catalytic scavengers of hydrogen peroxide and cytoprotective agents: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tudies. J. Med . Chem . 45, 4549-4558 (2002).
Farinati, F., Cardin, R., Degan, P., Rugge, M., Mario, F.D., Bonvicini, P., and Naccarato, R., Oxidative DNA damage accumulation in gastric carcinogenesis. Gut 42, 351-356 (1998).
Hachiya, M., and Akashi, M., Catalase regulates cell growth in HL60 human promyelocytic cells: evidence for growth regulation by H2O2. Radiat . Res. 163, 271-282 (2005).
Jang, H.H., and Surh, Y.J., Protective effects of resveratrol on b-amyloid induced oxidative PC12 cell death. Free Radic . Biol . Med . 34, 1100-1110 (2003).
Kim, H.J., So, Y.J., Jang, J.H., Lee, J.S., Oh, Y.J., and Surh, Y.J., Differential cell death induced by salsolinol with and without copper: possible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Mol . Pharmacol . 60, 440-449 (2001).
Laurindo, F.R., da Luz, P.L., Uint, L., Rocha, T.F., Jaeger, R.G., and Lopes, E.A. Evidence for superoxide radical-dependent coronary vasospasm after angioplasty in intact dogs. Circulation 83, 1705-1715 (1991).
Lee, P.W., Kim, H.S., and Eom, Y.G., Wood anatomy of Genus Carpinus grown in Korea. Seoul Natl . Univ. J. Agric . Sci . 14, 41-48 (1989).
Misra, H.P., and Fridovich, I., The role of superoxide anion in the autoxidation of epinephrine and a simple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J. Biol. Chem . 247, 3170-3175 (1972).
Nakazono, K., Watanabe, N., Matsuno, K., Sasaki, J., Sato, T., and Inoue, M., Does superoxide underlie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Proc . Natl. Acad . Sci . USA. 88, 10045-10048 (1991).
Ohkawa, H., Ohishi, N., and Yagi, K.,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 95, 351-358 (1979).
Palinski, W., Miller, E., and Witztum, J.L., Immuniz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LDL) receptor-deficient rabbits with homologous malondialdehyde-modified LDL reduces atherogenesis. Proc . Natl . Acad . Sci . USA. 92, 821-825 (1995).
Parthasarathy, S., Steinberg, D., and Witztum, J.L., The role of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s in the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Annu. Rev. Med. 43, 219-225 (1992).
Pietarinen, P., Raivio, K., Devlin, R.B., Crapo J.D., Chang L.Y., Kinnula V.L., Catal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protection of human alveolar macrophages during oxidant exposure in vitro. Am. J. Respir . Cell. Mol . Biol . 13, 434-441 (1995).
Rosenkranz, A.R., Schmaldienst, S., Stuhlmeier, K.M., Chen, W., Knapp, W., and Zlabinger, G.J., A microplate assay for the detection of oxidative products using 2',7'-dichlorofluorescein-diacetate. J. Immunol . Meth. 156, 39-45 (1992).
Sun, C., Shan, C.Y., Gao, X.D., and Tan, R.X., Protection of PC12 cells from hydrogen peroxide-induced injury by EPS2, an exopolysaccharide from a marine filamentous fungus Keissleriella sp. YS4108. J. Biotechnol . 115, 137-144 (2005).
Kohen, R., Skin antioxidants: their role in aging and in oxidative stress-new approaches for their evaluation. Biomed . Pharmacother . 53(4), 181-192 (1999)
Tanaka, H., Okada, T., Konishi, H., Tsuji, T., The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on the biosynthesis of collagen and glycosaminoglycans in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Arch Dermatol Res. 285(6), 352-355 (1993)
Briganti, S., Picardo, M., Antioxidant activity, lipid peroxidation and skin diseases. What's new. J. Eur . Acad . Dermatol . Venereol . 17(6), 663-669 (2003)
Nakamura, Y., Murakami, A., Ohto, Y., Torikai, K., Tanaka, T., Ohigashi, H., Suppression of tumor promoter-induc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mouse skin by a superoxide generation inhibitor 1'-acetoxychavicol acetate, Cancer Res. 1;58(21), 4832-4839 (1998)
본 발명은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잎의 추출물이 ROS 청소 활성을 나타내고, 세포 생존율을 증진시키고, ERK 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카탈라제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밝혀, 염증, 노화, 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의 치료뿐 아니라, 주름 개선 및 피부 염증 완화 등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반응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은 조직 손상과 관련되고 염증, 노화, 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의 원인이 되는 인자이다(Laurindo et al., 1991; Nakazono et al., 1991; Parthasarathy et al., 1992; Palinski et al., 1995; Darley-Usmar and Halliwell, 1996; Cooke et al., 1997; Farinati et al., 1998). 또한, 자외선과 같은 외부 환경인자로부터 유도되는 ROS가 피부에서 발생할 경우, 이들은 피부조직에 변형을 유발하여 주름(Kohen, 1999; Tanaka et al., 1993) 또는 피부질환(Briganti et al., 2003; Nakamura et al., 1998) 등을 일으킬 수 있다.
ROS에 대한 세포보호를 위한 다양한 항산화 방어 기전이 개발되어 있다. 카 탈라제는 퍼옥시좀(peroxisome)에 위치하고 과산화수소를 분자 산소 및 물로 전환하여,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Pieterinen et al., 1995; Doctrow et al., 2002; Cui et al., 2003; Sun et al., 2005). 또한, 카탈라제는 세포외 신호 조절된 키나제(ERK;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 성장을 조절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저해된 세포 성장의 가속화를 야기한다(Hachiya and Akashi, 2005).
산화적 스트레스는 ROS 생산과 ROS에 대항하는 세포의 능력 사이에서 산화환원 평형의 불균형을 의미한다.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하이드록실 라디칼, 및 과산화수소와 같은 ROS는 호기적 대사 중에 형성되는 원치 않는 독성 부산물이다. ROS는 많은 종류의 세포에서 세포사멸(apoptosis) 및/또는 괴사(necrosis)를 통해 세포의 죽음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항산화제 및 항산화 단백질/효소에 의하여 차단 또는 지연될 수 있다(Kim et al., 2001; Jang et al., 2003).
한편, Carpinus 속은 40 종으로 구성되며 북반구의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데, C. tschonoskii, C. laxiflora, C. cordata, C. turczaninowiC. coreana의 5 종만이 한반도에 분포한다(Lee et al., 1989). Carpinus 속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를 분리하였다는 보고가 있으며, 여기에는 플라보놀(flavonols) 미리세틴(myricetin), 캄페롤(kaempferol) 및 쿠에르세틴(quercetin), 그리고 플라본(flavones) 아피게닌(apigenin) 및 루테올린(luteolin)이 존재한다(Chang et al., 2004). 그러나,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하는 세포 손상에 대한 Carpinus 속의 세포 보호 작용 및 그 기전에 대해서는 어떠한 보고도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손상에 대하여 세포 보호 작용이 있어, 염증, 노화, 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의 치료 뿐 아니라, 주름 개선 및 피부 염증 완화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은 0.01∼1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의 추출물이 세포내 반응성 산소종(ROS)을 청소하는 것을 유동세포분석기(flow cytometry)와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를 사용하여 발견하였다. 이 추출물은 지방 과산화를 저해하고, 이에 따라 H2O2 처리에 의해 유도된 차이니즈 햄스터 폐 섬유모세포(V79-4)의 세포사멸을 감소시켰다. 또한, 이 추출물은 카탈라제 활성과 세포외 신호 조절된 키나제(ERK)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이들 결과로부터,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은 ROS의 청소를 통해 H2O2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ROS가 조직 손상과 관련되고 염증, 노화, 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의 원인이 되는 인자임이 밝혀졌으며(Laurindo et al., 1991; Nakazono et al., 1991; Parthasarathy et al., 1992; Palinski et al., 1995; Darley-Usmar and Halliwell, 1996; Cooke et al., 1997; Farinati et al., 1998),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은 ROS에 의한 조직 손상을 개선함으로써, 염증, 노화, 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개서어나무 추출물은 ROS에 의한 조직손상을 극복하는 데 탁월한 효능을 갖고 있으므로, 생체내에서 ROS의 작용으로 유발되는 염증, 노화, 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ROS는 피부조직에 변형을 유발하여 주름(Kohen, 1999; Tanaka et al., 1993) 또는 피부질환(Briganti et al., 2003; Nakamura et al., 1998) 등을 일으킬 수 있음이 연구 보고되어 왔으므로, 개서어나무 추출물의 ROS의 제거와 피부세포의 보호능력을 통하여 피부의 주름 개선 및 피부 염증 완화 작용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의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개서어나무 잎을 완전히 건조하여 파쇄한 후, 건조중량의 약 10 배에 해당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상온, 암 조건에서 최대의 수득율로 추출될 수 있는 시간인 약 1 주일 동안 추출한다. 이때, 용매는 물과 혼합된 80 %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여과지를 사용하는 진공여과법에 의해 개서어나무 잎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농축 장치에서 용매를 제거한 추출물을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동 결 건조에 의해 완전히 건조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최종 추출물은 건조 분말 상태로 제조된다. 이 방법으로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 수득율은 약 15∼25 %(추출물 건조중량/추출에 사용된 생체시료 건조중량)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성인의 경우 1 일 0.1∼10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의 양을 1∼3 회에 나누어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주사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정제, 액제 등으로, 또는 크림제, 연고제, 로션 등 피부 외용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 제조
제주도에 자생하는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로부터 잎을 채취하여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먼저, Carpinus tschonoskii 잎을 완전히 건조하여 파쇄한 후, 건조 생약 1 kg에 80 % 메탄올 약 10 ℓ를 넣고 상온에서 1 주일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 상에서 진공 여과하고 감압 농축기에서 증발 건조하여 건조 분말 약 200 g을 얻었다.
(2) 세포배양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입수한 차이니즈 햄스터 폐 섬유모세포(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s; V79-4)를 5 % CO2, 37 ℃의 인큐베이터 중 10 % 열-불활성화된 송아지 태아 혈청(fetal calf serum), 스트렙토마이신(100 ㎍/㎖) 및 페니실린(100 단위/㎖)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3) 세포내 반응성 산소종(ROS) 측정 및 이미지 분석
세포내 ROS 농도를 검출하는 데에는 DCF-DA 방법이 사용되었다(Rosenkranz et al., 1992). DCF-DA는 세포 내로 확산된 후 세포내 에스테라제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극성의 2',7'-디클로로디하이드로플루오레세인으로 된다. 이 비-형광성 플루오레세인 동족체는 세포 내로 포획되어 세포내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어 매우 형광성인 2',7'-디클로로플루오레세인으로 된다.
V79-4 세포를 1×105 cells/㎖로 접종하고 16 시간 후, 세포를 추출물 10 ㎍/㎖로 30 분간 처리하고 1 mM H2O2를 플레이트에 가하였다. 세포를 37 ℃에서 추가로 30 분간 배양하였다. 25 μM의 DCF-DA 용액을 가한 후, 2',7'-디클로로플루오레세인의 형광을 485 ㎚(여기) 및 535 ㎚(방출)에서 유동세포분석기(flowcytometer; Becton Dickinson, Mountain View, CA, USA)로 검출하였다.
세포내 ROS 생산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위해, V79-4 세포를 6 개 웰 플레이트를 갖는 커버 글라스에 1×105 cells/㎖로 접종하였다. 배양 16 시간 후, 세포를 추출물로 처리하고 30 분 후 1 mM H2O2를 플레이트에 가하였다. 배지를 교환한 후, 100 μM의 DCF-DA를 웰에 가하고 37 ℃에서 추가로 30 분간 배양하였다. PBS로 세척한 후, 염색된 세포를 마운팅 배지(DAKO, Carpinteria, CA, USA) 중 현미경 슬라이드에 놓았다. 이미지는 자이스 공초점 현미경(Zeiss confocal microscope) 상에서 LSM 5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도 1은 H2O2 처리에 의해 발생된 세포내 반응성 산소종(ROS)을 청소하는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작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a는 ROS를 DCF-DA 염색 후 유동세포분석기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1b는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배율×400).
도 1a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이 H2O2 처리에 의해 발생된 세포내 ROS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유동세포분석기를 사용하여 검출된 ROS 농도는, 추출물 10 ㎍/㎖로 처리된 세포에서는 DCF-DA 형광 염료로 염색한 ROS로부터 얻어진 형광 강도값 130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H2O2 처리된 세포에서의 형광 강도값 142와 비교하여 낮은 값이다.
또한, 도 1b의 공초점 이미지에서 보면, H2O2 처리된 V79-4 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ROS에 의해 생산된 DCF의 적색 형광 강도가 증가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을 10 ㎍/㎖ 농도로 H2O2 처리한 V79-4 세포에서는 형광 강도의 저하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ROS 발생의 감소를 반영하는 것이다.
(4) 지방 과산화 저해 활성
여기에서는, H2O2 처리된 V79-4 세포에서 지방 과산화를 저해하는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작용을 조사하였다. 지방 과산화는 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성 물질(TBARS)의 양을 측정하여 분석하는 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에 의하여 측정하였다(Ohkawa et al., 1979).
V79-4 세포를 배양접시에 1×105 cells/㎖로 접종하였다. 배양 16 시간 후, 세포를 추출물 10 ㎍/㎖로 처리하였다. 1 시간 후, 1 mM H2O2를 플레이트에 가하고 추가로 1 시간 더 배양하였다. 다음에 세포를 냉 PBS로 세척하고 빙냉 1.15 % KCl 내에서 균질화하였다. 세포 분해물 100 ㎕를 0.2 ㎖의 8.1 % SDS, 1.5 ㎖의 20 % 아세트산(pH 3.5로 조정) 및 1.5 ㎖의 0.8 % 티오바르비투르산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증류수로 최종 용적 4 ㎖로 하고 95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5 ㎖의 n-부탄올과 피리딘 혼합물(15:1, v/v)을 각 샘플에 가하고 혼합물을 잘 교반하였다. 1000×g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분리하여 532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는 지방 과산화 저해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작용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는 대조군과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이고, **는 H2O2 처리군과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을 의미한다(p<0.05). 여기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에 의해 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성 물질(TBARS)의 발생이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 세포 생존능
V79-4 세포의 생존능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효과를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브로마이드(MTT)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생존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데하이드로게나제에 의한 테트라졸리움 염의 감소에 기초한다(Carmichael et al., 1987).
V79-4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로 접종하였다. 배양 16 시간 후, 세포를 추출물 10 ㎍/㎖로 처리하였다. 1 시간 후, 1 mM H2O2를 플레이트에 가하고 37 ℃에서 추가로 24 시간 더 배양하였다. 다음에 50 ㎕의 MTT 스톡 용액(2 ㎎/㎖)을 각 웰에 가하여 총 반응 용적 200 ㎕가 되도록 하였다. 4 시간 배양 후, 플레이트를 800×g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흡인하였다. 각 웰의 포르마잔 결정을 150 ㎕ 디메틸설폭시드(DMSO)에 용해시키고 A540을 스캐닝 멀티-웰 분광계 상에서 판독하였다.
도 3은 V79-4 세포의 H2O2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보호 작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MTT 분석으로 측정한 V79-4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10 ㎍/㎖ 농도로 처리할 때 세포 생존율이 7 %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6) Hoechst 33342로 핵 염색
H2O2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세포 보호 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V79-4 세포의 핵을 DNA 특이적 형광염료인 Hoechst 33342로 염색하고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V79-4 세포를 1×105 cells/㎖로 24 웰 플레이트에 넣었다. 배양 16 시간 후에, 세포를 추출물 10 ㎍/㎖로 처리하고 1 시간 동안 더 배양한 다음, 1 mM H2O2를 배양물에 첨가하였다. 24 시간 후, 1.5 ㎕의 Hoechst 33342(스톡 10 ㎎/㎖)를 각 웰에 가하고(1.5 ㎖) 37 ℃에서 10 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에 염색된 세포를 형광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는데, 이 현미경은 핵 농축 정도를 검사하기 위한 CoolSNAP-Pro color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있다.
도 4는 V79-4 세포의 H2O2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보호 작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Hoechst 33342 염색 후의 형광 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결과이다(배율×400). 여기에서 보면, 대조군 세포는 원래의 핵을 갖고 있지만, H2O2 처리된 세포에서는 세포사멸의 특징인 유의적인 핵 절단을 보여주고 있다(세포 사멸체의 형성은 화살표로 표시되어있다). 그러나, 세포를 H2O2 처리 1 시간 전에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핵 절단의 극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7) 카탈라제 활성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라디칼 청소 활성이 항산화 효소에 의해 중개되는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추출물 처리된 V79-4 세포에서 카 탈라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V79-4 세포를 1×105 cells/㎖로 접종하고, 배양 16 시간 후, 세포를 추출물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수확된 세포를 10 mM 인산 완충액(pH 7.5)으로 현탁한 다음, 얼음 위에서 15 초간 2 회의 초음파로 분해하였다. 다음에, Triton X-100(1 %)을 분해물에 가하고 얼음 위에서 10 분 동안 배양하였다. 분해물을 4 ℃에서 5000×g로 3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파편을 제거하였다. 100 mM(v/v) H2O2를 함유하는 50 mM 인산 완충액(pH 7)에 50 ㎍의 단백질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7 ℃에서 2 분 동안 배양하고 240 ㎚에서 5 분 동안 흡광도를 모니터링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흡광도 변화는 H2O2의 분해에 비례한다(Misra and Fridovich, 1972). 카탈라제 활성은 단위/㎎ 단백질로 표시되고, 효소 활성 1 단위는 1 μM H2O2의 분해에 요구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된다.
도 5는 카탈라제 활성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작용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p<0.05). 여기에서 보면, 대조군의 카탈라제 활성은 18 U/㎎ 단백질인 반면, 추출물을 10 ㎍/㎖ 농도로 처리한 경우의 카탈라제 활성은 24 U/㎎ 단백질로,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은 카탈라제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8) 웨스턴 블롯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V79-4 세포에 대한 보호 기 전을 더욱 이해하기 위해, 웨스턴 블롯 분석에 의해 ERK 단백질의 활성화를 phospho-ERK 특이적 항체와 함께 검사하였다.
V79-4 세포를 1×105 cells/㎖로 플레이트에 넣었다. 배양 16 시간 후, 세포를 추출물 10 ㎍/㎖로 처리하였다. 세포를 지시된 시간에 수확하고 PBS로 2 회 세척하였다. 다음에 수확된 세포를 100 ㎕의 분해 완충액[120 mM NaCl, 40 mM Tris(pH 8), 0.1 % NP 40] 중에 30 분 동안 얼음 위에서 분해시키고, 13,000×g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분해물로부터 상등액을 모으고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분해물 등분(40 ㎍ 단백질)을 5 분 동안 끓이고 10 %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서 전기영동하였다. 겔 내의 블롯을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Bio-Rad, Hercules, CA, USA)으로 옮기고, 이를 1차 토끼 모노클로날 항 ERK2, 항 포스포 ERK1/2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멤브레인을 염소 항-토끼 이뮤노글로불린 G-호스래디쉬 퍼옥사이드 결합체(Pierce, Rockland, IL, USA)와 함께 배양한 다음, X-선 필름에 노출시켰다. 개선된 화학발광 웨스턴 블롯 검출 키트(Amersham, Little Chalfont, Buckinghamshire, UK)를 사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검출하였다.
도 6는 phospho-ERK에 대한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의 작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인산화된 ERK를 6 시간째에 극적으로 활성화시키지만, 총 ERK 단백질 농도에는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9) 통계적 분석
모든 측정치는 3회 측정한 것이고 모든 값은 means±S.E.로서 표시된다. 결 과는 Tukey test를 사용한 편차 분석(ANOVA)을 받았다. p<0.05는 유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은 ROS 청소 활성을 나타내고, 세포 생존율을 증진시키고, ERK 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카탈라제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추출물은 ROS에 의한 조직 손상을 개선하여, 염증, 노화, 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의 치료 뿐 아니라, 주름 개선 및 피부 염증 완화 등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Claims (5)

  1.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추출물을 0.01∼10 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잎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염증, 노화, 암, 동맥경화, 고혈압 또는 당뇨병 치료 작용을 갖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주름 개선 및 피부 염증 완화 작용을 갖는 조성물.
KR1020060069532A 2006-07-25 2006-07-25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KR20080009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532A KR20080009845A (ko) 2006-07-25 2006-07-25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532A KR20080009845A (ko) 2006-07-25 2006-07-25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845A true KR20080009845A (ko) 2008-01-30

Family

ID=3922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532A KR20080009845A (ko) 2006-07-25 2006-07-25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984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50B1 (ko) * 2006-12-18 2008-09-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KR100901078B1 (ko) * 2007-10-23 2009-06-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기위한 조성물
KR100913917B1 (ko) * 2008-08-27 2009-08-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KR100967073B1 (ko) * 2008-04-04 2010-07-01 코스맥스 주식회사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개선 화장료조성물
KR101437647B1 (ko) * 2012-11-14 2014-09-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까치박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WO2019059484A1 (ko) * 2017-09-20 2019-03-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038290B1 (ko) 2018-10-05 2019-10-30 대한민국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50B1 (ko) * 2006-12-18 2008-09-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KR100901078B1 (ko) * 2007-10-23 2009-06-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기위한 조성물
KR100967073B1 (ko) * 2008-04-04 2010-07-01 코스맥스 주식회사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개선 화장료조성물
KR100913917B1 (ko) * 2008-08-27 2009-08-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KR101437647B1 (ko) * 2012-11-14 2014-09-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까치박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WO2019059484A1 (ko) * 2017-09-20 2019-03-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서어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CN111107861A (zh) * 2017-09-20 2020-05-05 济州大学校产学协力团 包含昌化鹅耳枥叶提取物的防止脱发或毛发生长促进用组合物
CN111107861B (zh) * 2017-09-20 2022-05-24 济州大学校产学协力团 昌化鹅耳枥叶的乙醇提取物在制备用于防止脱发的药学组合物中的用途
KR102038290B1 (ko) 2018-10-05 2019-10-30 대한민국 개서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g et al.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 TLH-3 from Tricholoma lobayense
Lee et al.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Paeonia lactiflora
Heo et al. Inhibitory effect of diphlorethohydroxycarmalol on melanogenesis and its protective effect against UV-B radiation-induced cell damage
Kang et al. Triphlorethol-A from Ecklonia cava protects V79-4 lung fibroblast against hydrogen peroxide induced cell damage
Moliner et al. Viola cornuta and Viola x wittrockiana: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activities on Caenorhabditis elegans
KR20080009845A (ko)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Fuji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in young sesame leaves (Sesamum indicum L.) and changes in iridoid and polyphenol content at different growth stages
Chae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jionoside D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Asadi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antioxidant, antiglycating activities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S. choloroleuca, S. mirzayanii and S. santolinifolia from Iran
Shaerzadeh et al. Antioxidant and antiglycating activities of Salvia sahendica and its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neuron-like PC12 cells
Kang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Callophyllis japonica
KR101083275B1 (ko) 미백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KR101661203B1 (ko) 말채나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광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hae et al. Trichotomoside: a new antioxidative phenylpropanoid glycoside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Ragab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elilotus messanensis (L.) all.: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mutagenic effects in alloxan induced diabetic rats
Nawwar et al. Constitutive phenolics of Harpephyllum caffrum (Anacardiaceae) and their biological effects on human keratinocytes
KR101435260B1 (ko) 애기마디잘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및 치료용 조성물
Zhang et al. In vitro antioxidant and in vivo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Ophioglossum thermale
Rochette et al. Effect of the pretreatment with acerola (Malpighia emarginata DC.) juice on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mice–Hepatoprotective potential of acerola juice
Baran et al. Assessment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genotoxicity of the extracts and isolated glycosides with a new flavonoid from Lotus aegaeus (Gris.) Boiss
Al-Shami et al. Pharmacological effects of Clinacanthus nutans Lindau and its potential cosmeceutical values: A comprehensive review
US8399033B2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barks of Alnus pendula Matsum
KR100379984B1 (ko)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503051B1 (ko) 무궁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Zhang et al. Cytoprotective Activity of Carpinus tschonoskii against H $ _2 $ O $ _2 $ Induced Oxidative S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