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917B1 -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 Google Patents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917B1
KR100913917B1 KR1020080083883A KR20080083883A KR100913917B1 KR 100913917 B1 KR100913917 B1 KR 100913917B1 KR 1020080083883 A KR1020080083883 A KR 1020080083883A KR 20080083883 A KR20080083883 A KR 20080083883A KR 100913917 B1 KR100913917 B1 KR 10091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tree
leaf
outpost
sn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955A (ko
Inventor
권대혁
신연균
정창화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3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917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2Juglandaceae (Walnu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전달물질 배출 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SNARE 복합체 형성의 저해제로서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함으로써 SNARE가 관여하는 세포내 반응의 조절제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SNARE 복합체 형성 저해제는 피부 통증 완화용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천연물 추출물, SNARE, 신경전달물질, 막융합

Description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Plant Extracts Modulating Neurotransmitter Release}
본 발명은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전달물질 배출 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SNARE 복합체 형성의 저해제로서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함으로써 SNARE가 관여하는 세포내 반응의 조절제로 유용하여, 피부 통증 완화용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신경전달물질의 배출 시에 신경전달물질을 담고 있는 시냅스 소포 (synaptic vesicle)는 시냅스전막 (presynaptic membrane)과 융합되어야 두 경계 간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막융합의 근원적인 힘을 제공하는 단백질은 SNARE (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라고 불리는 3종의 단백질 복합체이다.
시냅스 소포와 시냅스전막 간의 막융합에 의해 신경전달물질 배출 통로가 열리게 되는데 표적 막 (target membrane)에 부착되어 있는 t-SNARE 복합체와 소포 (vesicle)에 부착되어 있는 v-SNARE가 관여한다. t-SNARE는 신탁신 (Syntaxin) 1a라고 하는 단백질과 SNAP-25라고 하는 단백질 2종의 복합체이다. 이들 SNARE 단백 질은 꽈배기처럼 꼬여 있다. 상기 막융합시에는 당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지질이중층 (lipid bilayer)의 재배열이 일어나게 된다. 생체막들은 서로 강하게 밀어내고 있으므로 이들 막은 자발적으로 융합되지 않고 외부에서 강한 힘이 주어져 막들간의 반발력을 극복하여야 하는데, 이때 막들간의 반반력을 이겨낼 정도의 강한 힘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SNARE 단백질이다. 즉 SNARE 복합체의 형성은 막간 반발력을 극복하는 힘의 원천이며,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을 포함하는 세포외 배출작용 (exocytosis)의 핵심 현상인 것이다.
한편, 근육의 이완과 수축을 조절하기 위하여 근육의 상층에는 신경근육 접합부 (neuromuscular junction)가 있으며, 이 신경 말단 (nerve terminal)에는 시냅스 소포가 장전되어 있다.
BoNT (Botulinum neurotoxin, 이하 보톡스로 약술함)은 신경전달물질 배출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인 SNARE 단백질을 절단하는 프로테아제 (protease)이다. 보톡스는 SNARE 단백질을 절단함으로써 신경전달을 차단하고 결과적으로 보톡스가 침투된 근육세포가 마비되도록 한다.
보톡스가 SNARE 단백질을 비가역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신경의 전달을 차단하는 반면, 소위 "바르는 보톡스"는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신경전달을 방해하는 일종의 "경쟁적 저해제"이다.
"바르는 보톡스"의 핵심 성분은 아르기렐린 (Argireline) 이라고 불리는 헥사펩타이드 (hexapeptide)이며, EEMQRR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다 (참고 문헌: Blanes-Mira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24, 303- 310, 2002). 이는 SNAP-25의 N-말단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과 일치하는 부위이다. 즉 무손상 (intact) SNAP-25가 결합하여야 할 부위에 작은 헥사펩타이드가 대신 끼어듦으로써 무손상 SNAP-25가 다른 SNARE 단백질인 신탁신 (Syntaxin) 1a 및 VAMP2와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바르는 보톡스 제품의 주성분인 아르기렐린은 효과가 불확실하고, 합성 펩타이드의 특성상 가격적으로 불리하며, 소비자 친화적이지도 않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천연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신경전달 억제를 개발하는 것은 펩타이드 소재에 비하여 월등히 저렴한 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천연물 소재이므로 최종 제품 개발 시 소비자에게 친화적으로 접근 가능하므로 펩타이드 소재에 비해 산업적 응용이 수월한 형태라 사료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막 융합현상 저해와 SDS-PAGE 상에서 SNARE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통제 또는 피부 통증 완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을 대상으로 우수한 SNARE 복합체 형성 조절제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천연물 중 개서어나무, 굴피나무, 기린초, 나도밤나무, 다릅나무, 딱지꽃, 말오줌때, 모시풀, 물양지 꽃, 바위수국, 밤나무, 보리수 나무, 복분자 딸기, 붉나무, 비목나무, 산딸기, 산딸나무, 아까시나무, 호두나무로부터 얻은 추출물이 신경 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저해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효능검정 대상인 천연물(표 1) 중 신경전달물질 배출 조절에 가장 효능이 뛰어난 19종의 천연물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개서어나무(학명: Carpinus tschonoskii)는 자작나무과(Betulaceae)의 식물로 잎과 꽃 부위를, 굴피나무(학명:Platycarya strobilacea)는 가래나무과(Juglandaceae)로 화서부위를, 기린초(학명: Sedum kamtschaticum)는 돌나물과(Crassulaceae)로 전초부위를, 나도밤나무(학명: Meliosma myriantha)는 나도밤나무과(Sabiaceae)로 화서부위를, 다릅나무는(학명:Maackia amurensis) 콩과(Leguminosae)로 잎 부분을, 딱지꽃(학명:Potentilla chinensis)은 장미과(Rosaceae)로 전초를, 말오줌때(학명: Euscaphis japonica)는 고추나무과(Staphyleaceae)로 줄기와 수피 부분을, 모시풀 (학명:Boehmeria nivea )은 쐐기풀과 (Urticaceae)로 지하부를, 물양지꽃(학명: Potentilla cryptotaeniae)은 장미과(Rosaceae)로 전초를, 바위수국(학명: Schizophragma)은 범의귀과(Saxifragaceae)로 잎을, 밤나무(학명: Castanea crenata)는 참나무과(Fagaceae) 식물로 꽃을, 보리수나무(학명: Elaeagnus umbellata)는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로 줄기, 잎 부위를, 복분자 딸기(학명:Rubus coreanus)는 장미과 (Rosaceae)로 잎, 줄기부위를, 붉나무(Rhus chinensis)는 옻나무과(Anacardiaceae)로 잎, 줄기부위를, 비목나무(Lindera erythrocarpa)는 녹나무과(Lauraceae)로 잎, 줄기 부위를,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는 장미과(Rosaceae)로 잎, 줄기 부위를, 산딸나무(Cornus kousa)는 층층나무과(Cornaceae)로 줄기, 수피부위를,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 -accacia)는 콩과(Leguminosa)로 잎, 줄기 부위를, 호두나무(학명: Juglans sinensis)는 가래나무과(Juglandaceae)로 줄기, 수피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천연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구입한 천연물 (100g)에 무수 메탄올 1000ml를 가하여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 (모델명:HB 4 basic, 제조사:IKA)를 사용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가온추출하였다. 추출물을 Whatman No.2여지로 여과한 후 남은 잔사물 (Residue)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1회 이상 더 추출하고, 얻은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모델명:Rotavapor, 제조사:Buchi, 온도: 40℃)한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물 중 개서어나무, 굴피나무, 기린초, 나도밤나무, 다릅나무, 딱지꽃, 말오줌때, 모시풀, 물양지 꽃, 바위수국, 밤나무, 보리수 나무, 복분자 딸 기, 붉나무, 비목나무, 산딸기, 산딸나무, 아까시나무, 호두나무 추출물이 신경 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한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01 내지 50 % 중량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천연물 추출물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한 천연물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또는 약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물 추출물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약학조성물을 위해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을 위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 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 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벤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추출물 조성물은 SNARE 복합체 형성의 저해제로서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함으로써 SNARE가 관여하는 세포내 반응의 조절제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SNARE 복합체 형성 저해제는 주름개선용, 피부 통증 완화용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모든 문헌은 참조로서 통합된다.
실시예
실시예 1: 개서어나무로부터 천연물 추출물의 제조
개서어나무 [학명: Carpinus tschonoskii, 자작나무과(Betulaceae)] 잎과 꽃을 한국식물추출물은행 (Plant Extract Bank, 대한민국 대전)에서 구입하였다. 구입한 개서어나무(100g)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에 무수 메탄올 1000ml를 가하여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모델명:HB 4 basic, 제조사:IKA)를 사용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가온추출하였다. 추출물을 Whatman No.2여지로 여과한 후 남은 잔사물(Residue)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1회 이상 더 추출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모델명:Rotavapor, 제조사:Buchi, 온도:40℃)한 후 동결건조(모델명:FD5518, 제조사:본듸로, 온도:-45℃, 압력:50 mTorr)하여 건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2.63%).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00: 나머지 천연물들로부터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되, 하기 표 1에 기재한 천연물들로부터 추출하였다.
표 1. 실시예 2-100에 사용한 천연물
실시예 번호 국 명 학 명 부 위 FAMILY 과 명 추출수율 (%)
2 개나리 Forsythia koreana 줄기 Oleaceae 물푸레나무과 11.40
3 개망초 Erigeron annuus 전초 Compositae 국화과 8.49
4 개머루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ar. heterophylla Vitaceae 포도과 8.54
5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잎,꽃 Betulaceae 자작나무과 12.63
6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줄기-수피 Betulaceae 자작나무과 -
7 개옻나무 Rhus trichocarpa 종자 Anacardiaceae 옻나무과 6.30
8 개키버들 Salix purpurea var. multinervis 잎,줄기 Salicaceae 버드나무과 10.01
9 개키버들 Salix purpurea var. multinervis 화서 Salicaceae 버드나무과 6.27
10 검정말 Hydrilla verticillata 전초 Hydrocharitaceae 자라풀과 4.36
11 고욤나무 Diospyros lotus 열매 Ebenaceae 감나무과 9.46
12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줄기 Rosaceae 장미과 5.80
13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화서 Juglandaceae 가래나무과 20.15
14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전초 Fumariaceae 현호색과 6.20
15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전초 Crassulaceae 돌나물과 11.91
16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전초 Urticaceae 쐐기풀과 5.61
17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화서 Sabiaceae 나도밤나무과 6.63
18 나도승마 Kirengeshoma koreana 잎,줄기 Saxifragaceae 범의귀과 5.77
19 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7.86
20 누리장나무 Clerodendrum trichotomum 잎,줄기,꽃 Verbenaceae 마편초과 4.78
21 눈갯버들 Salix graciliglans 잎,줄기 Salicaceae 버드나무과 8.01
22 눈갯버들 Salix graciliglans 화서 Salicaceae 버드나무과 7.86
23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Leguminosae 콩과 10.24
24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줄기-수피 Leguminosae 콩과 3.52
25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잎,줄기 Moraceae 뽕나무과 5.48
26 달맞이꽃 Oenothera odorata 전초 Onagraceae 바늘꽃과 5.58
27 당단풍 Acer pseudo - sibolianum Aceraceae 단풍나무과 13.86
28 당단풍 Acer pseudo - sibolianum 줄기-수피 Aceraceae 단풍나무과 3.15
29 대가래 Potamogeton malaianus var. latifolius 전초 Potamogetonaceae 가래과 4.31
표 1. (계속)
30 대팻집나무 Ilex macropoda 잎,줄기 Aquifoliaceae 감탕나무과 8.95
31 대팻집나무 Ilex macropoda 줄기-수피 Aquifoliaceae 감탕나무과 7.78
32 독활 Aralia continentalis 전초 Araliaceae 두릅나무과 6.32
33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잎,줄기 Rosaceae 장미과 9.90
34 동자꽃 Lychnis cognata 전초 Caryophyllaceae 석죽과 6.45
35 둥근배암차즈기 Salvia japonica 지상부 Labiatae 꿀풀과 3.20
36 딱지꽃 Potentilla chinensis 전초 Rosaceae 장미과 7.28
37 딱총나무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잎,줄기 Caprifoliaceae 인동과 10.09
38 땅비싸리 Indigofera kirilowi 지상부 Leguminosae 콩과 4.17
39 떡쑥 Gnaphalium affine 전초 Compositae 국화과 4.06
40 뚱딴지 Helianthus tuberosus 전초 Compositae 국화과 6.41
41 만삼 Codonopsis pilosula 지상부 Campanulaceae 초롱꽃과 6.72
42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줄기-수피 Staphyleaceae 고추나무과 9.53
43 머위 Petasites japonicus 전초 Compositae 국화과 10.75
44 명아주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지상부 Chenopodiaceae 명아주과 7.49
45 모시풀 Boehmeria nivea 지하부 Urticaceae 쐐기풀과 5.34
46 물봉선 Impatiens textori 전초 Balsaminaceae 봉선화과 3.77
47 물양지꽃 Potentilla cryptotaeniae 전초 Rosaceae 장미과 5.55
48 미역줄나무 Tripterygium regelii 잎,줄기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11.50
49 바위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지상부 Compositae 국화과 6.76
50 바위수국 Schizophragma hydrangeoides Saxifragaceae 범의귀과 4.42
51 바위채송화 Sedum polystichoides 전초 Crassulaceae 돌나물과 8.84
52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전초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8.98
53 밤나무 Castanea crenata Fagaceae 참나무과 10.24
54 배초향 Agastache rugosa 지상부 Labiatae 꿀풀과 3.68
55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줄기-수피 Salicaceae 버드나무과 13.24
56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줄기-수피 Rosaceae 장미과 6.41
57 벽오동 Firmiana simplex 줄기-수피 Sterculiaceae 벽오동과 6.69
58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잎,줄기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4.36
59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잎,줄기 Rosaceae 장미과 7.43
60 붉나무 Rhus chinensis 잎,줄기 Anacardiaceae 옻나무과 12.37
61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잎,줄기 Lauraceae 녹나무과 5.55
62 비수리 Lespedeza cuneata 전초 Leguminosae 콩과 6.70
표 1. (계속)
63 산가막살나무 Viburnum wrightii 잎,줄기,꽃 Caprifoliaceae 인동과 8.60
64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a 전초 Fumariaceae 현호색과 12.48
65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잎,줄기 Rosaceae 장미과 9.83
66 산딸나무 Cornus kousa Cornaceae 층층나무과 10.26
67 산딸나무 Cornus kousa 줄기-수피 Cornaceae 층층나무과 4.10
68 산수국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전초 Saxifragaceae 범의귀과 9.52
69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줄기-수피 Fagaceae 참나무과 5.33
70 신나무 Acer ginnala 잎,줄기 Aceraceae 단풍나무과 23.18
71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잎,줄기,꽃 Rosaceae 장미과 10.34
72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 - accacia 잎,줄기 Leguminosae 콩과 5.20
73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전초 Papaveraceae 양귀비과 3.84
74 얼치기완두 Vicia tetrasperma 전초 Leguminosae 콩과 11.40
75 익모초 Leonurus sibiricus 전초 Labiatae 꿀풀과 3.98
76 일본목련 Magnolia obovata Magnoliaceae 목련과 4.42
77 일본잎갈나무 Larix leptolepis 줄기-수피 Pinaceae 소나무과 15.56
78 장구채 Melandryum firmum 전초 Caryophyllaceae 석죽과 8.82
79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잎,줄기,꽃 Rosaceae 장미과 8.69
80 족제비싸리 Amorpha fruticosa 잎,줄기 Leguminosae 콩과 7.09
81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전초 Violaceae 제비꽃과 14.82
82 줄딸기 Rubus oldhamii 잎,줄기,열매 Rosaceae 장미과 6.15
83 쥐오줌풀 Valeriana fauriei 전초 Valerianaceae 마타리과 6.75
84 지칭개 Hemistepta lyrata 전초 Compositae 국화과 10.69
85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전초 Rosaceae 장미과 15.53
86 찔레꽃 Rosa multiflora 잎,줄기 Rosaceae 장미과 7.74
87 참빗살나무 Euonymus sieboldiana 잎,줄기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4.28
88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잎,줄기 Ericaceae 진달래과 8.63
89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잎,줄기 Rutaceae 운향과 7.69
90 층층이꽃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전초 Labiatae 꿀풀과 15.76
91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잎,줄기 Rosaceae 장미과 15.05
92 푼지나무 Celastrus flagellaris 잎,줄기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6.66
93 풀싸리 Lespedeza thunbergii var. intermedia 잎,줄기 Leguminosae 콩과 6.33
표 1. (계속)
94 풍선덩굴 Cardiospermum halicacabum 전초 Sapindaceae 무환자나무과 6.35
95 호두나무 Juglans sinensis 줄기-수피 Juglandaceae 가래나무과 14.33
96 호랑버들 Salix hultenii 잎,줄기 Salicaceae 버드나무과 6.08
97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잎,줄기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5.76
98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전초 Cannabinaceae 삼과 5.54
99 회솔나무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Taxaceae 주목과 17.16
100 회솔나무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줄기 Taxaceae 주목과 5.72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0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물 중 개서어나무, 굴피나무, 기린초, 나도밤나무, 다릅나무, 말오줌때, 모시풀, 물양지 꽃, 바위수국, 밤나무, 보리수 나무, 복분자 딸기, 붉나무, 비목나무, 산딸기, 산딸나무, 아까시나무, 호두나무 추출물이 신경 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막융합 저해 효과
막융합현상 저해제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0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대해 막융합 저해 효과를 시험하였다.
SNARE 단백질들을 생산하기 위해 생물학 기법으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E.coli Codon (+) RIL, Novagen)으로부터 각각 SNAP25 (NM011428), Syntaxin 1a (AF217197) 및 VAMP2 (NM012663)라 불리는 SNARE단백질들을 정제하였다. 우선 형광물질이 표지된 미세한 피막입자인 라이포좀(liposome)을 만들기 위해 POPC(62mol%), DOPS(35mole%), NBD-PS(1.5mol%) 및 형광물질인 로다민(Rhodamin- PE, 1.5mol%)을 혼합하여 10mM 라이포좀(v-vesicle)을 만들었고, 형광물질이 표지되지 않은 라이포좀을 만들기 위해 DOPS와 POPC를 몰농도가 35:65가 되도록 혼합하여 50mM 라이포좀(t-vesicle)을 만들었다. 정제된 SNAP25와 Syntaxin 1a로 구성된 복합체를 만들기 위해 몰농도가 1:1이 되도록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물질이 표지되지 않은 라이포좀과 몰비율이 100:1이 되도록 혼합하였고, VAMP2는 형광물질이 들어있는 라이포좀과 몰비율이 50:1로 결합시켰다. 그리고 나서 상기 두 종류의 라이포좀은 10 KDa 투석막을 이용하여 4℃에서 24시간 교반 하면서 투석과정을 거친 후 3:7 (v-vesicle:t-visicle)의 비율로 섞어 형광강도 측정기기 (모델명: SpectraMax M2, 제조사: 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 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형광강도는 SNARE 단백질간의 막 융합 현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형광강도가 낮다는 것은 그 만큼 막융합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빨간색 원형은 대조구 반응 (control reaction)이 진행되는 경로이며, 추출물 대신 메탄올만 첨가되었을 때에는 최대 형광 강도 (fluorescence intensity)의 60% 정도까지 진행되었으며, 추출물의 대부분은 거의 대조구와 유사한 반응 경로를 따랐다.
도 1은 천연물 추출물에 의한 막 융합현상 저해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일부 천연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실험에 사용된 굴피나무(13), 기린초(15), 딱지꽃(36), 말오줌때(42), 밤나무꽃(53), 산딸기(65), 산딸나무(67), 호두나무(95)는 막 융합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외에도 개 서어나무, 나도밤나무, 다릅나무, 모시풀, 물양지 꽃, 바위수국, 보리수 나무, 복분자 딸기, 붉나무, 비목나무, 산딸기, 아까시나무 추출물이 막 융합현상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각종 추출물의 막융합 저해 효과를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대조구의 반응인 약 43%를 기준으로 표시하였으며, 30~60%를 보이는 추출물은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간주하였을 때 개서어나무, 굴피나무, 기린초, 나도밤나무, 다릅나무, 딱지꽃, 말오줌때, 모시풀, 물양지 꽃, 바위수국, 밤나무, 보리수 나무, 복분자 딸기, 붉나무, 비목나무, 산딸기, 산딸나무, 아까시나무, 호두나무 추출물 (19종)이 효과적이었다.
표 2. 식물추출물의 막융합 저해 효과
실시예 번호 국 명 학 명 부 위 % Maximum
0 Control DDW 42.9
1 가시오갈피 Acanthopanax senticosus 열매 35.7
2 개나리 Forsythia koreana 줄기 40.4
3 개망초 Erigeron annuus 전초 39.5
4 개머루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ar. heterophylla 45.5
5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잎,꽃 45.8
6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줄기-수피 25.9
7 개옻나무 Rhus trichocarpa 종자 32.5
8 개키버들 Salix purpurea var. multinervis 잎,줄기 35.7
9 개키버들 Salix purpurea var. multinervis 화서 39.9
10 검정말 Hydrilla verticillata 전초 72.1
11 고욤나무 Diospyros lotus 열매 34.6
12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줄기 35.6
13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화서 23.3
14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전초 47.7
15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전초 24.7
16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전초 64.6
17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화서 30.0
18 나도승마 Kirengeshoma koreana 잎,줄기 100.0
19 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49.6
20 누리장나무 Clerodendrum trichotomum 잎,줄기,꽃 97.4
21 눈갯버들 Salix graciliglans 잎,줄기 35.6
22 눈갯버들 Salix graciliglans 화서 39.4
23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29.9
24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줄기-수피 32.9
25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잎,줄기 53.1
26 달맞이꽃 Oenothera odorata 전초 41.5
27 당단풍 Acer pseudo - sibolianum 34.5
28 당단풍 Acer pseudo - sibolianum 줄기-수피 40.3
29 대가래 Potamogeton malaianus var. latifolius 전초 100.0
표 2. (계속)
30 대팻집나무 Ilex macropoda 잎,줄기 65.6
31 대팻집나무 Ilex macropoda 줄기-수피 40.3
32 독활 Aralia continentalis 전초 47.4
33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잎,줄기 35.2
34 동자꽃 Lychnis cognata 전초 80.0
35 둥근배암차즈기 Salvia japonica 지상부 73.8
36 딱지꽃 Potentilla chinensis 전초 31.9
37 딱총나무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잎,줄기 43.3
38 땅비싸리 Indigofera kirilowi 지상부 42.4
39 떡쑥 Gnaphalium affine 전초 46.1
40 뚱딴지 Helianthus tuberosus 전초 81.5
41 만삼 Codonopsis pilosula 지상부 55.5
42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줄기-수피 -7.0
43 머위 Petasites japonicus 전초 42.1
44 명아주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지상부 50.5
45 모시풀 Boehmeria nivea 지하부 28.3
46 물봉선 Impatiens textori 전초 100.0
47 물양지꽃 Potentilla cryptotaeniae 전초 22.1
48 미역줄나무 Tripterygium regelii 잎,줄기 48.9
49 바위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지상부 54.3
50 바위수국 Schizophragma hydrangeoides -66.1
51 바위채송화 Sedum polystichoides 전초 32.0
52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전초 47.2
53 밤나무 Castanea crenata -41.2
54 배초향 Agastache rugosa 지상부 59.0
55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줄기-수피 35.0
56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줄기-수피 37.8
57 벽오동 Firmiana simplex 줄기-수피 39.1
58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잎,줄기 -1.3
59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잎,줄기 6.3
60 붉나무 Rhus chinensis 잎,줄기 28.1
61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잎,줄기 28.9
62 비수리 Lespedeza cuneata 전초 41.2
63 산가막살나무 Viburnum wrightii 잎,줄기,꽃 43.8
64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a 전초 71.9
표 2. (계속)
65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잎,줄기 15.3
66 산딸나무 Cornus kousa 41.1
67 산딸나무 Cornus kousa 줄기-수피 19.8
68 산수국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전초 46.3
69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줄기-수피 32.4
70 신나무 Acer ginnala 잎,줄기 42.8
71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잎,줄기,꽃 30.1
72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 - accacia 잎,줄기 19.2
73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전초 35.7
74 얼치기완두 Vicia tetrasperma 전초 78.3
75 익모초 Leonurus sibiricus 전초 39.9
76 일본목련 Magnolia obovata 100.0
77 일본잎갈나무 Larix leptolepis 줄기-수피 35.7
78 장구채 Melandryum firmum 전초 55.6
79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잎,줄기,꽃 42.5
80 족제비싸리 Amorpha fruticosa 잎,줄기 36.1
81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전초 55.2
82 줄딸기 Rubus oldhamii 잎,줄기,열매 49.7
83 쥐오줌풀 Valeriana fauriei 전초 40.8
84 지칭개 Hemistepta lyrata 전초 48.3
85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전초 34.2
86 찔레꽃 Rosa multiflora 잎,줄기 32.6
87 참빗살나무 Euonymus sieboldiana 잎,줄기 71.6
88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잎,줄기 36.8
89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잎,줄기 56.6
90 층층이꽃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전초 40.1
91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잎,줄기 36.7
92 푼지나무 Celastrus flagellaris 잎,줄기 37.1
93 풀싸리 Lespedeza thunbergii var. intermedia 잎,줄기 58.1
94 풍선덩굴 Cardiospermum halicacabum 전초 47.1
95 호두나무 Juglans sinensis 줄기-수피 27.0
96 호랑버들 Salix hultenii 잎,줄기 39.9
97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잎,줄기 45.0
표 2. (계속)
98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전초 48.8
99 회솔나무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49.9
100 회솔나무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줄기 41.5
실험예 2: SDS - PAGE
SNARE 복합체는 SDS에 의하여 풀어지지 않을 정도로 강한 복합체 (complex)를 형성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SNARE 복합체 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DS-PAGE를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에서 정제한 SNARE 단백질인 SNAP25, syntaxin 1a와 VAMP2 단백질을 각각 1:1:1의 몰농도 (40 μM)로 혼합했을 경우 형성되는 복합체를 천연물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억제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단백질 10 ul을 1ml 튜브에 일정한 간격으로 점적한 후 천연물 추출물 2 ul을 넣고 vortex를 사용하여 재빨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되면 12% SDS-PAGE상에서 전기영동하여 SNARE 복합체 형성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의 상단 숫자는 표 2의 일련번호이며, 하단 숫자는 융합 어세이의 결과와 비교 용이하도록 제시한 것이다.
그 결과 (도 2 참조)는 도 1의 실험결과와 일부 일치하지 않는 것도 있었으나 굴피나무(13), 기린초(15), 나도밤나무(17), 딱지꽃(36), 말오줌때(42), 밤나무(53), 산딸나무(67), 호두나무(95), 복분자딸기(59) 등의 추출물은 SNARE 복합체 형성을 저해하였다.
도 3은 상기 도 2의 결과에서 SNARE 복합체 형성을 저해한 기린초(15), 밤나무꽃(53), 산딸기(65) 추출물을 대상으로 농도별 SNARE 복합체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들 추출물들은 농도 의존적으로 SNARE 복합체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4는 상기의 천연물 추출법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기린초를 물, 에탄올 또는 헥산을 사용하여 각각 추출한 추출물에 대한 SNARE 복합체 형성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기린초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SNARE 복합체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개서어나무, 굴피나무, 나도밤나무, 다릅나무, 딱지꽃, 말오줌때, 모시풀, 물양지 꽃, 바위수국, 밤나무, 보리수 나무, 복분자 딸기, 붉나무, 비목나무, 산딸기, 산딸나무, 아까시나무, 호두나무 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신경 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주름개선 효과
실험예 3은 주름완화 측정실험을 행하였다. 각 제조예 별로 20-40세 20명을 대상으로 1일 2회 비교제조예 2와 제조예 3을 눈주위에 도포한 후, 눈주위 부위를 측정대상으로 하였다. 실리콘고무(Silflo사)를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제작 하고 0, 30, 60일 되는 당일에 Skin Visiometer(C+ K사)를 이용하여 영상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주름이 확실 히 개선(1), 약간의 주름개선(2), 주름개선 없음(3)의 3가지 주름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였다. 천연물 추출물 중 기린초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5는 눈주위 부위의 주름 완화 정도를 사진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표 3
제제예 주름완화 (1) 약간의 주름완화 (2) 효과없음 (3)
제제 1 5 10 5
제제 2 5 8 7
제제예 1.
말오줌때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화장수(스킨 로션)의 제제예는 다음과 같다.
1. 말오줌때 추출물 0.5-2.5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1번에 2,3,4,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정 도 가열하여 용해시킨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6,7,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제제예 2.
말오줌때 추출물이 함입된 입자를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로숀의 제제예는 다음과 같다.
1. 말오줌때 추출물 0.5-2.5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파라핀 5.0
6. 스쿠알란 5.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0
8.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0
9.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0
10. 스테아린산 1.50
11. 부틸렌글리콜 5.00
12. 프로필렌글리콜 5.00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14. 트리에탄올아민 0.2
15. 방부제 미량
16. 색소 미량
17. 향료 미량
18.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1,12,13,15,18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8,9,10,14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7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 에 1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상기 조성비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물 추출물로부터 SNARE 복합체 (complex) 형성 저해제를 탐색하기 위한 막 융합현상 (membrane fusion assay) 저해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빨간색 원형은 대조구 반응 (control reaction)이 진행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연물 추출물의 SNARE 복합체 형성 저해능을 알아보기 위한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amide gel electrophoresis)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겔 (gel) 사진 상단의 숫자는 표 2의 일련번호이며, 하단의 숫자는 융합 어세이 (fusion assay) 결과와 용이하게 비교하기 위해 제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린초 (15), 밤나무꽃 (53), 산딸기 (65) 추출물의 농도별 SNARE 복합체 형성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천연물 용매별 추출물 (기린초를 물, 에탄올 또는 헥산을 사용하여 추출)의 SNARE 복합체 형성 저해능을 알아보기 위한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amide gel electrophoresis)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형된 주름개선 화장품을 사용했을 때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1)

  1. 개서어나무의 줄기; 나도밤나무의 화서; 모시풀의 지하부; 바위수국의 잎; 밤나무의 꽃; 다릅나무의 잎 및 줄기; 산딸나무의 줄기 및 아까시나무의 잎 및 줄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피부 통증 완화용 약학 조성물.
KR1020080083883A 2008-08-27 2008-08-27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KR10091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83A KR100913917B1 (ko) 2008-08-27 2008-08-27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83A KR100913917B1 (ko) 2008-08-27 2008-08-27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644A Division KR100859950B1 (ko) 2006-12-18 2006-12-18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955A KR20080082955A (ko) 2008-09-12
KR100913917B1 true KR100913917B1 (ko) 2009-08-26

Family

ID=4002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883A KR100913917B1 (ko) 2008-08-27 2008-08-27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9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7036A (zh) * 2014-08-23 2015-08-26 福建农大科技开发总公司 一种圆齿野鸦椿活性物质的提取方法及产品
WO2020004709A1 (ko) * 2018-06-29 2020-01-0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망초 꽃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신경 근육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08B1 (ko) * 2013-10-02 2015-03-23 코스맥스 주식회사 모시풀(Boehmeria niv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859899B1 (ko) * 2018-02-05 2018-05-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리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9116B1 (ko) * 2019-02-22 2020-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신경전달물질 분비 억제 조성물
KR102316264B1 (ko) * 2019-10-22 2021-11-02 한국세라믹기술원 양친매성 고분자를 이용한 천연 풀러렌의 수분산성 개선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풀러렌의 용도
KR102146786B1 (ko) * 2020-02-13 2020-08-24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풀러렌을 포함하는 안티폴루션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0149B1 (ko) * 2021-06-04 2023-03-15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바위수국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845A (ko) * 2006-07-25 2008-01-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845A (ko) * 2006-07-25 2008-01-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 보호 작용을 갖는 개서어나무 추출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7036A (zh) * 2014-08-23 2015-08-26 福建农大科技开发总公司 一种圆齿野鸦椿活性物质的提取方法及产品
WO2020004709A1 (ko) * 2018-06-29 2020-01-0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망초 꽃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신경 근육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1065401A (zh) * 2018-06-29 2020-04-24 湖西大学校产学协力团 包括一年蓬花精油的神经肌肉相关疾病预防及治疗用组合物
US11224564B2 (en) 2018-06-29 2022-01-18 Hoseo Universit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comprising erigeron annuus flower essential oi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muscular disease
CN111065401B (zh) * 2018-06-29 2022-02-08 湖西大学校产学协力团 包括一年蓬花精油的神经肌肉相关疾病预防及治疗用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955A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917B1 (ko)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KR100859950B1 (ko)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KR100883757B1 (ko)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폴리페놀 화합물
KR101988675B1 (ko) 피부 및/또는 점막의 치료 및/또는 관리에 유용한 펩티드 및 화장품학적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의 용도
AU2012234370B2 (en) PGC-1alpha-modulating peptides
CN103717202B (zh) 用于增强皮肤细胞中胶原合成的化妆品组合物
US7419688B2 (en) Use of plant extracts for tinting the skin as a function of its phototype
KR20150090922A (ko) 피부, 모발 및/또는 점막의 치료 및/또는 관리에 유용한 화합물 및 이들의 미용적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CN110072875A (zh) 用于治疗和/或护理皮肤、毛发、指甲和/或粘膜的化合物
US20220183950A1 (en)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hair, nails and/or mucous membranes
AU2019317812B2 (en)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hair, nails and/or mucous membranes
TW201136614A (en) Paxillin stimulating compositions and cosmetic uses thereof
KR20150135425A (ko) 피부, 점막 및/또는 손톱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세포외 다당류
US10363212B2 (en) Aesculus hippocastanum extract
KR100901074B1 (ko)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폴리페놀 화합물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41071A (ko)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기위한 조성물
KR20190001724A (ko) 경피투과도가 향상된 신경전달물질 조절 펩타이드 화장료 조성물
KR100901638B1 (ko)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KR20110132209A (ko)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090297628A1 (en) Use of iron in the form of a stone extract as stimulus of the synthesis of collagen by skin fibroblasts
JP2011246354A5 (ko)
US20160235642A1 (en) Melanin Binding Agents for Targeted Topical Delivery
JP2011195494A (ja) プロトンポンプ阻害剤を含有する組成物
KR100901637B1 (ko)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