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875A -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휠 및 그를 사용하는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휠 및 그를 사용하는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875A
KR20090111875A KR1020097019313A KR20097019313A KR20090111875A KR 20090111875 A KR20090111875 A KR 20090111875A KR 1020097019313 A KR1020097019313 A KR 1020097019313A KR 20097019313 A KR20097019313 A KR 20097019313A KR 20090111875 A KR20090111875 A KR 20090111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im
hub
spokes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쿄스께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9011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5/00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 B60B5/02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of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 B60B3/08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with disc body formed by two or more axially spaced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26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comprising resilient spo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휠은 허브(10), 림(30), 허브(10)와 림(30)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링형 스포크(20), 및 림(30)의 외부 주연부 둘레에 배열되는 타이어(40)를 구비하며, 각각의 링형 스포크(2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내부 주연부에서 허브(10)와 연결되며, 외부 주연부에서 림(30)에 연결되고, 응력을 받지 않을 때의 치수를 넘어 신장된 상태로 부착된다.
휠, 카트, 허브, 림, 스포크, 타이어

Description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휠 및 그를 사용하는 운반 장치{WHEELS HAVING SUPERIOR SHOCK ABSORPTION AND TRANSPORT DEVICES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07년 2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902,231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스포크(spoke)를 포함하는 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슈트케이스(suitcase), 캐리어 카트(carrier cart), 푸시 카트(push cart), 쇼핑 카트 또는 휠체어와 같은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슈트케이스, 캐리어 카트, 푸시 카트, 쇼핑 카트 또는 휠체어와 같은 운반 장치는 보통 2개 내지 4개의 휠을 이용한다. 종래의 운반 장치에 이용된 휠의 거의 전부는 충격 흡수 기능이 없다. 따라서, 도로 또는 바닥 표면과의 휠의 접촉 또는 충돌로부터 발생되는 힘은 운반 장치의 본체로 직접 전달되며, 그럼으로써 손상 받기 쉬운 정밀 기계류 또는 다른 운반되는 물품의 손상 위험성을 초래한다. 또한, 바닥 표면 상에서의 휠의 주행은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면, 전술한 운반 장치가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 및 우수한 주행 정숙성(running quietness)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충격 흡수 장치는 운반 장치에 충격 흡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통 운반 장치의 본체와 휠 사이에 배열된다. 충격 흡수 장치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 완충 고무(cushioning rubber) 및 기타 탄성체(elastic body)를 포함한다. 그러나, 충격 흡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운반 장치의 중량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몇몇 운반 장치에서, 특히 작은 직경의 휠을 사용하는 운반 장치에서는, 충격 흡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이 불충분할 수 있다.
일본 공개 출원 공개 제2006-103394호에서, 휠의 충격 흡수 기능 및 주행 정숙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신장부(stretching portion) 및 그 신장부의 신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신장 제어부를 구비하는 휠이 설명되었다.
발명의 개요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허브, 림, 허브와 림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링형 스포크, 및 림의 외부 주연부 둘레에 배열되는 타이어를 구비하는 휠이며, 각각의 링형 스포크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내부 주연부에서 허브와 연결되며, 외부 주연부에서 림에 연결되고, 부착될 때 상기 스포크는 정상 치수를 넘어 신장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휠의 중량 또는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간단한 구조 및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흡수 장치를 위한 공간이 없는 작은 직경의 휠을 구비한 운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주행 정숙성을 갖는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휠을 포함하는 운 반 장치이다. 본 발명의 운반 장치는, 예를 들어 슈트케이스, 캐리 카트(carry cart), 푸시 카트, 쇼핑 카트 또는 휠체어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의도된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즉 별도의 충격 흡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 충격 흡수 기능 및 주행 정숙성을 제공하는 운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휠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화살표(1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휠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휠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휠을 도시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휠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휠의 반경방향 평면의 중심을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1b)(도 1a)의 방향에서 본, 본 발명의 휠의 다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휠은 허브(10), 림(30), 허브(10)와 림(30)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링형(도넛형)의 스포크(20), 및 림(30)의 외부 주연부 둘레에 배열되는 타이어(40)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링형 스포크(2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내부 주연부에서 허브(10)와 연결되며, 외부 주연부에서 림(30)과 연결되고, 응력을 받지 않을 때의 치수를 넘어 신장된 상태로 부착된다.
허브(10)는 휠의 중심에 배열되는 대체로 원통형의 구성요소이고, 링형 스포크(20)의 일 단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그의 중심을 통해 차축(axle)(50)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한다. 차축(50)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은 관통 구멍 또는 비-관통 구멍일 수 있다. 도 1은 차축(50)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관통 구멍의 형태이고, 링형 스포크(20)를 체결시키기 위한 스포크 체결 유닛이 허브의 양 측면(원통의 바닥) 상에 제공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허브(10)는 수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아미드(예컨대, 나일론), 또는 공지된 그리고 종래의 임의의 공학 재료(engineering material)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허브(1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수지는 허브(10)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강화 재료(reinforcing material), 예컨대 유리 섬유 또는 유기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섬유의 예는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예컨대, 듀폰(DuPont)으로부터 구매가능한 케블라(Kevlar)(등록상표)) 및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 섬유(예컨대, 듀폰으로부터 구매가능한 자일론(Zylon)(등록상표))를 포함한다. 전술한 수지들은 우수한 내크리프성(creep resistance)을 갖기 때문에, 이들 수지로 형성된 허브(10)는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는 스포크로부터의 연속적인 하중에 대해 장기간에 걸쳐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허브(10)는 차축(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거나, 허브(10)의 중심에 존재하는 차축(50)을 유지하기 위한 관통 구멍 내에 배열되는 베어링(도시 안됨)을 통해 차축(50)과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베어링은 롤링 베어링(rolling bearing), 예컨대 볼(ball) 베어링 또는 롤(roll) 베어링과 슬라이딩 베어링(sliding bearing), 예컨대 슬리브(sleeve) 베어링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베어링일 수 있다.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수지로 제조된다. 베어링이 수지로 제조됨으로써, 부식 및 윤활제 누출의 발생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고, 휠 중량의 감소가 또한 실현될 수 있다.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수지는 큰 하중을 받을 때 우수한 슬라이딩 특성을 갖기 때문에, 차축(50)의 직경이 감소될 수 있고, 회전 중의 마찰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림(30)은 링형 스포크(20)의 일 단부를 체결시키기 위해 휠의 외부 주연부 둘레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도 1은, 그의 외부 주연부 표면 상에서 타이어(40)를 지지하고 링형 스포크(20)를 체결시키기 위한 스포크 체결부를 그의 양 측면 상에 구비하는 림(30)의 일례를 도시한다. 림(30)은 링형 스포크(20)를 신장된 상태로 유지하는 데 알맞은 강도를 갖는다. 림(30)은 수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아미드(예컨대, 나일론)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림(30)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는 림(30)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강화 재료, 예컨대 유리 섬유 또는 유기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섬유의 예는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예컨대, 케블라(등록상표)) 및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 섬유(예컨대, 자일론(등록상표))를 포함한다. 전술한 수지들은 우수한 내크리프성을 갖기 때문에, 이들 수지로 형성된 림(30)은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는 스포크로부터의 연속적인 하중에 대해 장기간에 걸쳐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휠을 조향 휠(steering wheel)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휠이 지면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비틀림 모멘트가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지면으로부터 휠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발생된다. 조향 휠이란 운반 장치의 안내를 돕는 휠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 유발되는 휠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의 휠의 강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방향으로의 휠의 강성을 개선하기 위해 허브(10)와 림(30)을 링크연결시키는 복수의 링크연결 부재(linking member)(도시 안됨)가 배열될 수 있다. 이들 링크연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휠의 반경방향으로는 쉽게 변형되지만 축방향으로는 쉽게 변형되지 않는 가변 단면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링형 스포크(20)에 의해 유발되는 충격 흡수 기능과 축방향으로의 휠의 강성 둘 모두를 개선할 수 있다. 복수의 링크연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차축(50)이 2가지 회전 또는 그 이상의 회전 대칭 차축으로서 역할하도록 위치들에 대칭으로 배열된다.
타이어(40)는, 휠의 최외측 주연부 둘레에 배치되고 림(30)의 외부 주연부 표면 상에 배열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부재이다. 타이어(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림(30)과 접촉하는 내부 타이어와 지면과 접촉하는 외부 타이어를 조합함으로써)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타이어(40)는 응용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수지, 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40)는 지면과 접촉하는 표면에 트레드(tread)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타이어는 공지되어 있으며, 휠 제조 업계의 종래의 것일 수 있다.
링형 스포크(20)는 허브(10)와 림(30)을 연결함으로써 충격 흡수 기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역할한다. 링형 스포크(20)는 탄성 재료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6 내지 60 ㎫의 응력을 받을 때 정상(신장되지 않은) 치수와 비교하여 5 내지 20%의 팽창률(expansion ratio)을 갖는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6 내지 60 ㎫의 응력을 받을 때 5 내지 20%의 팽창률을 갖는다는 것은, 응력을 X축 상에 및 연신율(elongation ratio)을 Y축 상에 플로팅함으로써 링형 스포크에 대한 응력 대 팽창률 곡선을 그렸을 때, X = 6 ㎫, X = 60 ㎫, Y = 5% 및 Y = 20%의 4개의 선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경계 포함)과 교차 또는 접촉하는 것을 말한다. 바람직한 팽창률은 스포크의 요구되는 강도 및 스포크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슈트케이스에서와 같이 작은 휠 및 비교적 큰 하중의 경우에, 예를 들어 60 ㎫의 응력을 받을 때 5 내지 20%의 팽창률을 나타내도록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슈트케이스 휠이 이러한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될 수 있는 탄성 재료의 예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폴리아미드(나일론) 탄성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이들 재료의 섬유 또는 이들 재료의 필름으로 구성된 직포(woven fabric)가 링형 스포크(2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직포 또는 필름은 원하는 형상 및 치수를 갖는 링형 스포크(20)를 얻기 위해 블랭킹(blanking) 처리 등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도 1은 림(30)과 허브(10)의 일 측면(예컨대, 외측면)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외부 스포크(20a) 및 림(30)과 허브(10)의 다른 측면(예컨대, 내측면)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내부 스포크(20b)로 이루어진 2개의 링형 스포크(20)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허브(10)와 림(30)은 또한 다른 위치(예컨대, 허브(10)의 외부 주연부 표면 또는 림(30)의 내부 주연부 표면)에서 링형 스포크(20)와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허브(10)와 림(30)은 또한 3개 이상의 링형 스포크(20)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링형 스포크(20)는 응력을 받지 않을 때의 치수를 넘어 신장된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팽창률을 갖는 상태로 허브(10)와 림(30)을 연결한다. 본 발명에서 "팽창률"이라는 용어는 신장된 상태와 응력이 없는 상태 사이의 치수 차이를 응력이 없을 때의 치수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을 말한다. 허브와 림이 강성 디스크에 의해 연결되는 소위 "디스크 휠"과는 달리, 본 발명의 휠은 링형 스포크(20)를 구성하는 탄성 재료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지면으로부터 휠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우수한 주행 정숙성을 실현할 수 있다. 목표로 하는 응용의 흡수할 충격과 휠에 의해 지지할 하중에 좌우되기는 하지만, 링형 스포크(20)를 형성하는 탄성 재료의 탄성도(본 발명에서 6 내지 60 ㎫의 응력을 받을 때의 팽창률에 의해 정의됨)와 부착될 때의 링형 스포크(20)의 팽창률을 전술한 범위 내에 있게 함으로써, 알맞은 충격 흡수 기능과 정숙한 주행이 휠에 부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자전거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 스포크와는 달리, 본 발명의 링형 스포크(20)는 개구를 갖지 않기 때문에, 그에 의해 손가락 등이 우발적으로 끼일 위험성이 감소되어, 안전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링형 스포크(20)가 개구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휠의 측면들은 대체로 평탄하여, 복잡한 형상의 와이어 스포크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휠의 세척 용이성을 개선시킨다. 대안적으로, 우수한 설계 및 경량의 휠을 제공하고자 할 때,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가 본 발명의 링형 스포크(2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휠의 다른 태양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태양에서, 림(30)의 측면 상에서 단부들이 연결된 단부-연결형(end-connected) 스포크(22)가 2개의 링형 스포크 대신에 사용된다. 이들 단부-연결형 스포크(22)의 연결된 부분은 림(30)의 외부 주연부 표면 상에 위치되고, 타이어(40)는 상기 연결된 부분의 외부 주연부 표면에 부착된다. 이들 단부-연결형 스포크(22)는 6 내지 60 ㎫의 응력을 받을 때 5 내지 20%의 팽창률을 갖는 탄성 재료로부터,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 재료의 예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폴리아미드(나일론) 탄성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또한, 본 태양에서, 단부-연결형 스포크(22)는 단부-연결형 스포크(22)의 연결된 부분의 단부로부터 허브(10)로의 부분(즉, 휠의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의 치수가 응력을 받지 않을 때의 상기 부분의 치수보다 큰 신장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팽창률을 갖는 상태에서 허브(10)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휠의 다른 태양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타이어(40)와 통합된 타이어-통합형 스포크(24)가 2개의 링형 스포크 대신에 사용된다. 이들 타이어-통합형 스포크(24)는 6 내지 60 ㎫의 응력을 받을 때 5 내지 20%의 팽창률을 갖는 탄성 재료로부터, 예를 들어 중공 성형(blow mold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 재료의 예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폴리아미드(나일론) 탄성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또한, 본 태양에서, 타이어-통합형 스포크(24)는 타이어-통합형 스포크(24)의 타이어 부분의 단부로부터 허브(10)로의 부분(즉, 휠의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의 치수가 응력을 받지 않을 때의 상기 부분의 치수보다 큰 신장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팽창률을 갖는 상태에서 허브(10)에 체결된다.
또한, 단부-연결형 스포크(22) 또는 타이어-통합형 스포크(24)를 사용하는 태양에서의 림(30)은 프로파일 압출 부재(profile extruded member)를 절곡시킴으로써 절결부를 갖는 링형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절결부로서 역할하는 림(30)의 일 단부는 스포크 중심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스포크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휠은 운반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휠은 슈트케이스, 캐리 카트, 푸시 카트, 쇼핑 카트 및 휠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운반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운반 장치의 캐리어 부분을 구성하는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휠,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휠(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휠)이 부착되는 경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운반 장치는 상품 또는 사람의 운반과 같은 많은 응용에 그리고 많은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제의 응용은 휠의 중량 용량(weight capacity) 및 운반 장치의 설계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운반 장치의 캐리어 부분을 구성하는 본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재료 및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4개의 휠을 부착하는 경우(예컨대, 푸시 카트 또는 휠체어의 경우), 각각 상이한 직경을 갖는 2세트의 휠이 사용될 수 있다. 휠 자체가 충격 흡수 기능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운반 장치는 편안하면서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주행 정숙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휠로부터 분리된 충격 흡수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운반 장치는 경량이고, 우수한 주행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모든 구성요소에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휠의 총 중량이 감소되고, 비탄성 질량체(unsprung mass)는 단지 스포크의 외부 주연부 둘레에 배치되는 림과 타이어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6 ㎫의 응력을 받을 때 5%의 팽창률을 가짐)의 메시 재료(mesh material)로 구성된 2개의 링형 스포크의 각각의 외부 주연부 에지를, 유리-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제조되고 60 ㎝ (약 20 인치)의 직경을 갖는 림의 각각의 측면에 체결시켰다. 2개의 링형 스포크의 각각의 내부 주연부 에지를, 유리-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제조된 허브에 체결시켰다. 허브는 차축의 삽입을 위해 그의 중심부에 관통 구멍을 구비하였으며, 폴리이미드 수지로 제조된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을 상기 관통 구멍 내부에 가압식으로 끼웠다. 2개의 링형 스포크 각각을 응력을 받지 않을 때의 치수를 넘어 5%로 신장시켰다.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타이어를 림의 외부 주연부 표면에 체결시킴으로써 휠을 얻었다. 본 실시예의 휠은 휠체어의 주 휠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유연성 시트 재료(30 ㎫의 탄성 계수를 갖고 30 ㎫의 응력을 받을 때 10%의 팽창률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에 상당함)로 구성된 2개의 링형 스포크의 각각의 외부 주연부 에지를, 유리-강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되고 10 ㎝의 직경을 갖는 림의 각각의 측면에 체결시켰다. 2개의 링형 스포크의 각각의 내부 주연부 에지를, 유리-강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되고 차축의 삽입을 위해 그의 중심부에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허브에 체결시켰다. 2개의 링형 스포크 각각을 응력을 받지 않을 때의 치수를 넘어 10%로 신장시켰다.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타이어를 림의 외부 주연부 표면에 체결시킴으로써 휠을 얻었다. 본 실시예의 휠은 슈트케이스, 캐리 카트 또는 푸시 카트 등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허브, 림, 허브와 림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링형 스포크, 및 림의 외부 주연부 둘레에 배열되는 타이어를 구비하는 휠로서,
    각각의 링형 스포크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내부 주연부에서 허브와 연결되며, 외부 주연부에서 림에 연결되고, 부착될 때 상기 스포크는 정상 치수를 넘어 신장되는 휠.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재료는 6 내지 60 ㎫의 응력을 받을 때 5 내지 20%의 팽창률(expansion ratio)을 갖고, 부착된 링형 스포크는 5 내지 10%의 팽창률을 제공하도록 신장되는 휠.
  3.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폴리아미드 탄성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휠.
  4. 제1항에 있어서, 허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형성되는 휠.
  5. 제4항에 있어서, 수지는 유리 섬유 또는 유기 섬유로 강화되는 휠.
  6. 제1항에 있어서, 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형성되는 휠.
  7. 제6항에 있어서, 수지는 유리 섬유 또는 유기 섬유로 강화되는 휠.
  8. 제1항에 있어서, 허브는 차축의 삽입을 위해 그 중심에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관통 구멍과 차축 사이의 접촉 표면에 수지 베어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운반 장치에 부착되는 휠.
  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장치는 슈트케이스, 캐리 카트, 푸시 카트, 쇼핑 카트 및 휠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휠.
KR1020097019313A 2007-02-20 2008-02-20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휠 및 그를 사용하는 운반 장치 KR20090111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223107P 2007-02-20 2007-02-20
US60/902,231 2007-02-20
PCT/US2008/002192 WO2008103358A1 (en) 2007-02-20 2008-02-20 Wheels having superior shock absorption and transport device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875A true KR20090111875A (ko) 2009-10-27

Family

ID=3946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313A KR20090111875A (ko) 2007-02-20 2008-02-20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휠 및 그를 사용하는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97695A1 (ko)
EP (1) EP2125388A1 (ko)
JP (1) JP2010519128A (ko)
KR (1) KR20090111875A (ko)
CN (1) CN101616812A (ko)
WO (1) WO2008103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531360T3 (pl) 2010-02-01 2015-03-31 Galileo Wheel Ltd Odkształcalny zespół kołowy
RU2581315C2 (ru) 2011-07-27 2016-04-20 Галилео Вил Лтд. Шина для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6457646A (zh) * 2013-11-24 2017-02-22 I·本梅尔 新颖车轮和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700C (de) * 1953-05-07 Press Chemie G M B H Rad aus Kunststoff
US1177294A (en) * 1915-12-15 1916-03-28 Bauer Mfg Company Inc Can-opener.
US1476968A (en) * 1921-01-18 1923-12-11 Bessteel Products Company Inc Wheel
US1789084A (en) * 1927-04-18 1931-01-13 Frank A Duckett Wheel
US2491698A (en) * 1945-09-07 1949-12-20 Henry W Walden Shock-absorbing wheel
DE2328794C2 (de) * 1973-06-06 1984-02-09 Bayer Ag, 5090 Leverkusen Fahrzeugrad aus Kunststoff
US4350196A (en) * 1976-09-13 1982-09-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Non-pneumatic structurally resilient integrated wheel-tire
EP0051996B1 (en) * 1980-11-10 1986-11-26 Wheel Developments Limited Wheel with resilient spokes
IT1176689B (it) * 1984-09-10 1987-08-18 Micromag Spa Ruota a disco per bicilette e procedimento per fabbricarla
US5445456A (en) * 1992-11-26 1995-08-29 Sony Corporation Bearing assembly
US5871286A (en) * 1997-03-27 1999-02-16 Rehrig International, Inc. Molded wheel and bearing assembly
US6075113A (en) * 1998-10-05 2000-06-13 Mirror Image Technologies, Inc. Wheel composition
US6422656B2 (en) * 2000-06-09 2002-07-23 Standex International Molded wheel and bear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7695A1 (en) 2008-08-21
EP2125388A1 (en) 2009-12-02
CN101616812A (zh) 2009-12-30
JP2010519128A (ja) 2010-06-03
WO2008103358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0103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6092046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4530231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6025315B2 (ja) 非空気圧タイヤ
US20180029419A1 (en) Non-pneumatic tire
US20090173421A1 (en) Flatless Hybrid Isolated Tire
EP1225063A2 (en) Compliant rim and wheel assembly
JP6378625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6013899B2 (ja) 非空気圧タイヤ
WO2019089726A1 (en) Non-pneumatic tire carcass
JP2011183894A (ja) 非空気圧タイヤ
JP6076704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5774905B2 (ja) 非空気圧タイヤ
KR20090111875A (ko) 우수한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휠 및 그를 사용하는 운반 장치
JP6535498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6153463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6092045B2 (ja) 非空気圧タイヤ
US20220227173A1 (en) Airless Wheel
JP6754686B2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2211026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254477B1 (ko) 트레드부내 구조보강재를 구비한 비공기입 타이어
WO2023002176A1 (en) Omnidirectional wheel apparatus
KR10241520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WO2000041900A1 (en) Wheels
KR20160136853A (ko) 비공기압 바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