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200B1 - 비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200B1
KR102415200B1 KR1020200111170A KR20200111170A KR102415200B1 KR 102415200 B1 KR102415200 B1 KR 102415200B1 KR 1020200111170 A KR1020200111170 A KR 1020200111170A KR 20200111170 A KR20200111170 A KR 20200111170A KR 102415200 B1 KR102415200 B1 KR 10241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
band
engaging portion
extension
spok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171A (ko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2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26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comprising resilient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60B1/0253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the spoke being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 B60C7/18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disposed radially relative to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20Avoidance of
    • B60B2900/212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13Resil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25Relia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티이어는 내측밴드 및 외측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밴드는 상기 내측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부재, 상기 내측밴드와 상기 외측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밴드와 상기 외측밴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스포크부재 및 상기 외측밴드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포크부재에 연결되는 트레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재에는 외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요입되는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부재는 상기 지면에 접촉되고, 상기 스포크부재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내측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공기입 타이어{NON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형성되는 최대변형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소형 차량부터 중장비 차량까지 다양한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며, 차량의 동력을 지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능 및 제동기능 그리고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지면으로부터의 진동, 충격 등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량의 주행과 제동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타이어는 내부의 공기압이 구비되어 타이어의 기능을 수행하였었다. 그러나, 외부 물질에 의한 찔림이나 충격 등으로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 내부 공기압이 유지되지 못하여 주행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그로인해 타이어로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주행 중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 차량의 핸들링, 제동능력을 저하시켜 안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의 공기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경우, 기존 공기입 타이어의 내부 공기압이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트레드부와 휠 사이에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스포크부가 구비된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스포크부는 재료, 구조 및 형상에 따라 주행능력, 충격 완충효과, 승차감 등의 성능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저속 차량 또는 특수목적 차량에 적용되었다.
다만,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1)의 경우, 변형에너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고해보면,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1)는 내측밴드(11) 및 외측밴드(12)를 포함하는 밴드부(10), 내측밴드(11)와 외측밴드(12) 사이에서 구비되는 스포크부(20) 및 외측밴드(12) 외주면에 구비되어 지면에 첩촉되는 트레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트레드부(30)의 내주면은 스포크부(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좌우로 움직이기 위해 핸들 조향 시, 타이어는 지면에 대해 슬립(Slip)을 일으키게 되고, 타이어에는 변형에너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1)가 슬립될 경우,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1)에 형성되는 변형에너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타이어에 형성되는 최대 변형에너지는 394.84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변형에너지가 높게 형성된다면 트레드부(30) 및 스포크부(20) 연결부분이 발열될 수 있고, 발열에 따라 연결부분이 약해짐에 따라 트레드부(30)의 적어도 일부가 스포크부(20)에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써, 최대변형에너지를 줄여 트레드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스포크부재에서 이탈되어 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티이어는 내측밴드 및 외측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밴드는 상기 내측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부재, 상기 내측밴드와 상기 외측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밴드와 상기 외측밴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스포크부재 및 상기 외측밴드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포크부재에 연결되는 트레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재에는 외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요입 형성되는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부재는 상기 지면에 접촉되고, 상기 스포크부재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내측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포크부재에는 상기 내측밴드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 스포크 바디부, 상기 외측밴드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2 스포크 바디부 및 상기 제1 스포크 바디와 상기 제2 스포크 바디를 연결하고, 트래드부재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기 위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제2 스포크 바디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스포크부재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경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맞물림부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스포크부재의 외측면에서 요입 형성될 경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맞물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스포크부재의 반경 방향 길이에 8%이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스포크부재의 축 방향 길이에 2%이하로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재의 일부분을 스포크부재에 맞물리도록 형성함에 따라 최대변형에너지를 줄일 수 있어, 트레드부재가 스포크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의 변형에너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4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 및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연장부와 체결부를 구비한 트래드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 및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연장부와 체결부를 구비한 트래드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변형에너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에서 서술하는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 r)'은 타이어의 반경 방향을 의미한다. 축은 타이어의 회전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축 방향(Axial direction; a)'은 타이어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축 방향은 타이어의 회전축 중심을 반드시 지나는 것은 아니며, 타이어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포함한다. 또한,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 c)'은 타이어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반경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원주 방향은 타이어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상기 방향들은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 모두를 포괄한다. 또한, 축 방향 일측은 도 5에서 오른쪽 방향, 축 방향 타측은 도 5에서 왼쪽 방향일 수 있고, 반경 방향 일측은 도 4에서 타이어 둘레에서 타이어 중심부로 향하는 방향, 반경 방향 타측은 도 4에서 타이어 중심부에서 타이어 둘레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원주 방향 일측은 도 4에서 축 방향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원주 방향 타측은 도 4에서 축 방향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의 일측과 타측은 위와 같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일측과 타측의 방향은 서로 바뀔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보하여 본 발명의 비공기입 타이어(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00)는 차량의 자중 또는 적재 하중을 지지하고, 주행하면서 구동력 및 제동력을 노면에 전달하며,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러한 비공기입 타이어는 차량의 차축과 연결되는 림(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100)는 밴드부재(110), 트레드부재(130) 및 스포크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재(110)는 비공기입 타이어(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밴드부재(110)는 스포크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부재(110)는 내측밴드(112), 외측밴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밴드(112)는 림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림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밴드(112)의 형상은 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외측밴드(114)는 내측밴드(112)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측밴드(112)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밴드(114)의 내주면과 내측밴드(112)의 외주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외측밴드(114)와 내측밴드(112)는 후술할 스포크부재(1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밴드부재(110)는 쉐어밴드(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쉐어밴드(116)는 비공기입 타이어(100)에 작용하는 초기 응력을 1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쉐어밴드(116)는 외측밴드(114)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밴드(1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외측밴드(11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쉐어밴드(116)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재나 스틸코드를 포함하는 복합재를 사용하여 1개 이상의 층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쉐어밴드(116)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제조되거나 공기입 타이어에 사용되는 스틸 코드, 나일론 코드, 아라미드 코드 벨트로 구성된 1개 이상의 층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스포크부재(120)는 내측밴드(112)와 외측밴드(11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포크부재(120)는 내측밴드(112)와 외측밴드(114)를 연결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재(120)는 비공기입 타이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함으로써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비공기입 타이어(100)가 결합되는 임의의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크부재(120)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Thermo 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열가소성 올리핀 탄성체(Thermo 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열가소성 아마이드, 탄성체(Thermo Plastic Polyamide Elastomer, TPA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 Plastic Elastomer, TPE)로 제조될 수 있다.
스포크부재(120)에는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트레드부재(13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함으로써 완충재 역할을 하기 위하여 복수의 홀(122)이 형성될 있으며, 복수의 홀(122)은, 스포크부재(120)의 축 방향 또는 스포크부재(12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홀(122)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육각형 형상, 육가형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분산할 수 있다면 타원,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재(120)에는 맞물림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맞물림부(124)는 후술할 트레드부재(130)의 체결부(136)와 맞물리도록 스포크부재(120)의 외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24)는 스포크부재(120)에서 돌출 형성되어 체결부(136)와 맞물리도록 연결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크부재(120)에서 요입되어 형성되어 체결부(136)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맞물림부가 돌출 형성되더라도 체결부(136)는 맞물림부(124)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맞물림부(124)는 체결부(136) 형상에 대응하여 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포크부재(120)에 형성되거나, 복수 개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스포크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포크부재(120)는 제1 스포크 바디부(126), 제2 스포크 바디부(127) 및 스포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포크 바디부(126)는 내측밴드(112)의 외주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쌀 수 있으며, 내측밴드(112)의 외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포크 바디부(126)은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포크 바디부(126)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스포크 바디부(126)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이격 배치된 제1 스포크 바디부(126)는 내측밴드(112)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2 스포크 바디부(127)는 외측밴드(112)의 내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포크 바디부(127)의 외주면은 외측밴드(114)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외측밴드(114)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포크 바디부(127)의 내주면과 내측밴드(112)의 외주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포크 바디부(127)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포크 부디부에는 전술한 맞물림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맞물림부(124)는 제2 스포크 바디부(127)의 외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포크부(128)는 스포크부재(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제1 스포크 바디부(126)와 제2 스포크 바디부(127)를 연결하고, 전술한 복수의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128)는 복수의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스포크 바디부(126)와 제2 스포크 바디부(127)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스포크와 복수의 연결스포크를 연결하는 복수의 이음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레드부재(130)는 비공기입 타이어(100)의 최외측에 배치되며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드부재(130)는 외측밴드(114)의 외주면을 감싸며 스포크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밴드부재(110)에 쉐어밴드(116)가 더 구비될 경우, 트레드부재(130)는 쉐어밴드(116)의 외주면을 감싸며 스포크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드부재(130)의 내주면 중 일부가 스포크부재(120)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트레드부재(130)의 내주면의 폭은 스포크부재(1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드부재(130)는 본체(132), 연장부(134), 체결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32)는 지면에 접촉되고 스포크부재(1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32)는 외측밴드(114)를 감싸도록 외측밴드(114) 외주면에 구비되고, 본체(132)의 내주면의 일부분은 스포크부재(120)의 외주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쉐어밴드(116)가 더 구비될 경우, 본체(132)는 쉐어밴드(116)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132)의 내주면의 폭은 스포크부재(120)의 외주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4)는 본체(132)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장부(143)는 본체(132)의 내주면에서 스포크부재(12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36)는 연장부(134)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포크부재(120)에 형성된 맞물림부(124)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는 맞물림부(124)에 연결되거나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24)가 스포크부재에서 돌출 형성될 경우, 연장부는 맞물림부(124)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부는 맞물림부(124)보다 본체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맞물림부(124)에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맞물림부(124)는 본체와 체결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체결부는 스포크부재(120)에서 돌출 형성된 맞물림부(124)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24)가 스포크부재(120)에서 요입되어 형성될 경우, 연장부(134)는 제2 스포크 바디부(127)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부(136)는 맞물림부(12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6)는 전술한 맞물림부(124) 대신 복수의 홀(122) 중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홀(122) 중 체결부(136)가 삽입되는 홀은 스포크부재(120)의 외측면에 위치한 홀일 수 있다.
한편, 체결부(136)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4)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드부재(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체결부(13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부(134)에 나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트레드부재(1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체(132)의 적어도 일부, 연장부(134) 및 체결부(13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00)는 연장부(134)와 체결부(136)를 구비함에 따라 종래 대비 최대변형에너지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장부(134)의 반경 방향 길이는 스포크부재의 반경 방향 길이에 8% 이하로 연장되고, 체결부(136)의 축 방향 길이(폭)는 스포크부재의 축 방향 길이(폭)에 2%이하로 형성함에 따라 타이어에 형성되는 최대변형에너지를 종래에 비해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음 표 1은 연결부와 채결부 길이에 따라 비공기입 타이어에 형성되는 최대변형에너지를 나타낸 표이다.
번호 연결부 길이 채결부 폭 최대변형에너지
종래의 타이어 - - 349.84
1번 타이어 1(0.8%) - 337.17
2번 타이어 5(4%) - 321.56
3번 타이어 10(8%) - 336.62
4번 타이어 15(8% 초과) - 345.02
5번 타이어 10(8%) 1(0.6%) 317.26
6번 타이어 10(8%) 2(1.26%) 314.23
7번 타이어 10(8%) 3(2%) 327.37
위 사항에 따라 연장부(134)의 반경 방향 길이가 스포크부재의 반경 방향 길이에 8%를 초과하면, 최대변형에너지가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에 근접하게되어 효과는 줄어들고, 타이어의 중량이 증가되어 타이어의 성능이 악화될 수 있다. 연장부(134)의 반경 방향 길이를 스포크부재의 반경 방향 길이에 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채결부(136)의 폭이 스포크부재의 폭 길이에 2%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체결부의 깊이가 깊어져 스포트부재의 응력 값이 높아지고, 강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2(a) 및 표 1의 1번 타이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34)의 반경 방향 길이를 스포크부재의 반경 방향 길이에 0.8%로 형성했을 경우, 최대변형에너지는 337.17로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1)의 최대변형에너지인 394.84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b) 및 표 1의 3번 타이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장부(134)의 반경 방향 길이를 스포크부재의 반경 방향 길이에 8%로 형성했을 경우, 최대변형에너지는 336.62로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1)의 최대변형에너지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c) 및 표 1의 5번 타이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체결부(136)의 축 방향 길이(폭)을 스포크부재의 축 방향 길이에 0.6%로 형성했을 경우, 최대변형에너지는 317.26으로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1)의 최대변형에너지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d) 및 표 1의 6번 타이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체결부(136)의 축 방향 길이(폭)을 스포크부재의 축 방향 길이(폭)에 1.25%로 형성했을 경우, 최대변형에너지는 314.28으로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1)의 최대변형에너지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e) 및 표 1의 7번 타이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체결부(136)의 축 방향 길이(폭)을 스포크부재의 축 방향 길이(폭)에 2%로 형성했을 경우, 최대변형에너지는 327.37으로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1)의 최대변형에너지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00)는 복수의 홀(122)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시킬 수 있고, 연장부(134) 및 체결부(136)를 구비함에 따라 최대변형에너지를 종래에 비해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트레드부재(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비공기입 타이어 110: 밴드부재
112: 내측밴드 114: 외측밴드
116: 쉐어밴드 120: 스포크부재
122: 홀 124: 맞물림부
126: 제1 스포크 바디부 127: 제2 스포크 바디부
128: 스포크부 130: 트레드부재
132: 본체 134: 연장부
136: 체결부

Claims (7)

  1. 내측밴드 및 외측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밴드는 상기 내측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부재;
    상기 내측밴드와 상기 외측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밴드와 상기 외측밴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스포크부재; 및
    상기 외측밴드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포크부재에 연결되는 트레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재에는 외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요입 형성되는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부재는,
    지면에 접촉되고, 상기 스포크부재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내측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스포크부재의 반경 방향 길이에 8%이하로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재는
    상기 내측밴드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 스포크 바디부;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2 스포크 바디부; 및
    상기 제1 스포크 바디와 상기 제2 스포크 바디를 연결하고, 트래드부재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기 위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제2 스포크 바디부에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스포크부재의 외측면에서 돌출될 경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맞물림부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위치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스포크부재의 외측면에서 요입 형성될 경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맞물림부에 삽입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스포크부재의 축 방향 길이에 2%이하로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1020200111170A 2020-09-01 2020-09-01 비공기입 타이어 KR102415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170A KR102415200B1 (ko) 2020-09-01 2020-09-01 비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170A KR102415200B1 (ko) 2020-09-01 2020-09-01 비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71A KR20220029171A (ko) 2022-03-08
KR102415200B1 true KR102415200B1 (ko) 2022-07-01

Family

ID=8081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170A KR102415200B1 (ko) 2020-09-01 2020-09-01 비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2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7116A1 (en) 1999-12-10 2007-11-22 Rhyne Timothy B Non-Pneumatic Tire
KR101293843B1 (ko) 2013-03-19 2013-08-07 손영일 비공기압 타이어
KR200483086Y1 (ko) 2016-01-21 2017-04-03 박중화 비공기압식 발포고무타이어
KR101977349B1 (ko) 2017-11-16 2019-05-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제작방법
JP6633948B2 (ja) * 2016-03-14 2020-0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レスタイヤ、並びに、その製造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436B1 (ko) * 2012-06-27 2014-03-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에어리스 타이어
KR101714401B1 (ko) * 2015-04-13 2017-03-09 인에이블 주식회사 에어리스 타이어
KR200483121Y1 (ko) * 2015-04-21 2017-04-05 김하늘 에어리스 타이어
JP6613716B2 (ja) * 2015-08-24 2019-12-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アレスタイ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7116A1 (en) 1999-12-10 2007-11-22 Rhyne Timothy B Non-Pneumatic Tire
KR101293843B1 (ko) 2013-03-19 2013-08-07 손영일 비공기압 타이어
KR200483086Y1 (ko) 2016-01-21 2017-04-03 박중화 비공기압식 발포고무타이어
JP6633948B2 (ja) * 2016-03-14 2020-0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レスタイヤ、並びに、その製造装置及び方法
KR101977349B1 (ko) 2017-11-16 2019-05-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71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9326B2 (en) Rim for non-pneumatic tire and wheel including the same
KR101924107B1 (ko) 반 공기입 타이어
US10654318B2 (en) Non-pneumatic tire
JP4506853B2 (ja) 非空気式タイヤ
KR101859741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7414825B2 (ja) 補剛構造を含む車両用のためのタイヤ
KR102183211B1 (ko) 비공기압 타이어
KR10172271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41520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US11571932B2 (en) Non-pneumatic tire
KR10181866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211026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20210017212A (ko) 비공기입 타이어용 림 및 이를 포함하는 휠
KR102254477B1 (ko) 트레드부내 구조보강재를 구비한 비공기입 타이어
KR102519881B1 (ko) 차량용 비공기입 타이어
KR102437390B1 (ko) 비공기압 타이어
KR101866499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84647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656639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327709B1 (ko) 보강구조부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20220014989A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125937B1 (ko) 턴다운 에이펙스를 적용한 공기입 타이어
KR20230109825A (ko) 비공기입 타이어
WO2004054822A1 (en) Wheel and tubeless tire assembly
KR20240018157A (ko) 비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