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309A - 자동차 데이터 버스용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데이터 버스용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309A
KR20090110309A KR1020097014882A KR20097014882A KR20090110309A KR 20090110309 A KR20090110309 A KR 20090110309A KR 1020097014882 A KR1020097014882 A KR 1020097014882A KR 20097014882 A KR20097014882 A KR 20097014882A KR 20090110309 A KR20090110309 A KR 20090110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rrangement
mode
data
bus
out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베크만
로만 뷔흐러
볼프강 페이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09011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41Flex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자동차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물리적 구현을 위한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 (12, 21, 21') 및 이의 이용으로서, 상기 회로는 하나 이상의 논리 상태의 상이한 물리적 구현인 복수의 구성 가능한 동작 모드를 갖고, 또한, 각 동작 모드에서 이용되는 전자 비트 생성 및/또는 비트 수신 회로 엘리먼트 (1, 2, 3, 4, 22, 22', 25, 25') 를 포함하고, 동작 모드들 사이에서 회로 장치를 변경하고/하거나 상이한 동작 모드에서 상기 회로 장치를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변경 및/또는 구조 수단 (11, 13, 14, 15, 16, 19, 19', 20, 20', 20") 이 존재한다.
자동차 데이터 버스, 회로 장치, 변경, 구조 수단

Description

자동차 데이터 버스용 회로 장치{CIRCUI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DATA BUS}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서와 같이 자동차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물리적 구현을 위한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 및 자동차 제어기에서 그 회로 장치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FlexRay(R) 은, 특히 데이터의 빠른 송신, 실시간-호환 가능한 송신 및 에러에 강한 (error-tolerant) 송신을 가능하게 하려고 하는 자동차 내의 전자 제어기에 대한 버스 표준이다. FlexRay(R) 은 많은 선도적 자동차 제조사들 및 그들의 공급자들에 의해 미래의 표준으로서 고려되며, 이 표준은 적어도 하위영역에서 사실상 모든 자동차에 이용된 CanBus(R) 데이터 송신 기술을 대체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CanBus(R) 기술, 또는 이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는 자동차 내에 점점 많이 존재하는 전자 제어기, 센서 및 액츄에이터 사이의 데이터 상호교환을 위해 이용된다. FlexRay(R) 은, 2 개의 채널 상에서 고정된 시간 창, 및 에러에 강하고 중복적인 송신의 이용을 통해, CAN 과 비교하여 본질적으로 개선되고 더 빠른 데이터 송신을 허용한다.
종래 기술에 기초한 전자 FlexRay(R) 구동기 회로 (물리 계층) 는 필수적으 로 2 개의 상측 구동기 스테이지 및 2 개의 하측 구동기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이 구동기 스테이지들은 버스 상에서 2 개의 상이한 도미넌트 (dominant), 즉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상태 (인버팅된 차이 전압) 를 생성할 수 있다. 상태 "0" 또는 "1" 에 따라, 상측 구동기 및 하측 구동기는 각각 직렬로 접속된다; 구동기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버스 라인 BP 및 버스 라인 BM 상의 접속에 의해 형성된다.
반면, CAN 구동기는 단지 하나의 도미넌트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상태만이 생성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측 구동기 스테이지 및 하측 구동기 스테이지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측 구동기의 출력은 CAN-H 버스 라인에 접속되고, 하측 구동기의 출력은 CAN-L 버스 라인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성 있게 구성 가능하고 간단한 설계의 자동차 데이터 버스의 물리적 구현을 위한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를 명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에 의해 이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문제를 다룬다: 보편적인 이용을 위해서 제어기는 CAN 버스 접속 및 FlexRay(R) 접속 양자 모두를 종종 제공해야 한다. 본래 알려진 FlexRay 송수신기는 통상적으로 커서, CAN 송수신기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든다. 본 발명은 2 개의 종래의 CAN 송수신기로부터 부분적으로 조합한 회로 엘리먼트가 복수의 버스 유형, 다시 말해 특히 CAN 및 FlexRay 를 위해 형성된 송수신기를 이용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아이디어를 포함한다. 또한,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FlexRay 접속과 2 개의 CAN 접속 사이에서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물리적 구현을 위한 송신 회로 장치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회로 장치는, 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버스 라인의 접속을 위한 단자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단자들은 CanBus 또는 FlexRay 버스에 접속된다. 또한, 회로 장치는, 예시의 방식으로 버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일 수도 있는, 예시의 방식으로 디지털 프로세싱 유닛이 접속되는 출력 단자들을 포함한다. 논리 레벨은 전송되거나 수신될 버스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출력 단자들에 적용된다. 회로 장치는 특히, 회로 장치의 행동을 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어 라인을 갖는다.
또한, 회로는, 하나 이상의 논리 상태들 (예를 들어, "0" 또는 "1") 의 상이한 물리적 구현으로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다. 이 경우, 물리적 구현은 2 진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회로는 각 동작 모드에서 이용되는 전자 비트 생성 및/또는 비트 수신 회로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구동기 및/또는 비교기인 이들 공통 회로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제 1 동작 모드에서 또는 추가적으로 특히 제 2 동작 모드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회로 장치는 또한 변경 (changeover) 및/또는 구조 (structure)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의 방식으로, 변경 수단은 제어 라인(들)상의 신호에 기초하여 모드 변경 및/또는 구성에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라인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제어 모듈에 접속된다. 추가로 전술된 바와 같이, 모드 변경 및/또는 구성은 또한 구조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조 수단은, 회로의 입력 및/또는 출력에 대해 상이한 외부 상호접속을 지칭하고, 또는 그 밖에 예를 들어 회로의 사용자에 의해 회로에 후속하여 솔더링될 수 있는 와이어 브리지 등을 지칭한다. 구조 수단의 다른 예는, 회로의 제어 입력 또는 버스 입력 (예를 들어, SPI 버스) 을 의미하고, 이 입력은 상이한 동작 모드로 회로를 변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메모리 (예를 들어, 플립 플롭, EEPROM) 가 회로 상에 존재하고, 가장 나중에 프로그래밍된 동작 상태를 저장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동작 모드에 따라 FlexRay(R) 및/또는 CanBus(R) 데이터 통신을 허용하는 유니버셜 (universial) 송수신기를 설명한다.
이미 2 개 이상의 CAN 접속 (및 이를 위한 적절한 전자 송수신기 엘리먼트) 을 갖는 제어기에서, 일 CAN 접속 (또는 그 밖에 양 CAN 접속들) 대신에 FlexRay 접속을 제공하는 것이 이로울 수도 있다. 이 FlexRay 접속에 속하는 송수신기 일렉트로닉스는 전술된 바와 같이 CanBus 로서 또한 동작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는 특히, 집적된 칩 상에 구현될 때 적은 칩 영역을 이용하게 된다. 이는 대량 생산에 있어서 상당한 비용 이점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동기 또는 수신 회로는 특히, ASIC 의 일부로서의 이용에 적절하고, 통상적으로 이들은 대량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컴포넌트 절감이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이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하게 달성되는 추가의 효과는, CAN 모드와 FlexRay(R) 모드 사이의 핀 호환성이 버스 접속 및 논리 입력과 출력을 위해 존재 한다는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이 종속항 및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발견될 수 있다.
도 1 은 FlexRay(R)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한 구동기 노드를 갖는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CAN 또는 FlexRay(R) 버스 상의 기능 블록의 단자에 대한 복수의 접속 예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기능 블록을 갖는 구동기 모듈을 나타낸다.
도 4 는 2 개의 동작 모드 (CAN 및 FlexRay(R)) 를 갖는 수신기 모듈을 나타낸다.
도 5 는 FlexRay(R) 및 CAN 양자 모두에 이용될 수 있는 도 4 의 수신기 모듈과 같은 수신기 모듈의 추가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6 은 CAN 칩으로서 이용되는 특정 작동/상호접속에 의한 종래의 상용 가능한 FlexRay(R) 표준 칩 (FlexRay(R) 송수신기) 을 나타낸다.
도 1 에서, 구동기들 (1 내지 4) (HS1, HS2, LS1, LS2) 은 단자들 (5 및 6) 에 의해 데이터 버스 (7) 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한다. 버스 (7) 는 FlexRay(R) 네트워크의 버스 라인들 (8; BP 및 9; BM) 을 포함한다. 버스 (7) 는, 버스 서브스크라이버, 예를 들어 버스에 접속된 수신기 노드 (미도시) 또는 버스 종단 (10) 을 더 갖는다. 제어 라인들 (11) 은 제어 일렉트로닉스 (미도시) 에 의해 이용되어, 구동기들 (1 내지 4) 을 작동시킬 수 있다. 구동기들 (1 내 지 4) 의 적절한 작동은 전류의 정의된 흐름이 노드 (5) 에서 노드 (6) 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FlexRay(R) 사양에 기초하여, 전류 방향은 버스를 통해 송신될 데이터 비트에 대해 2 진 상태 "1" 또는 "0" 을 결정한다. "1" 상태에서, 전류는 라인 (8) 을 통해 상측 구동기 (1) 로부터 종단 (10) 으로 (또는 수신기로) 흐른다. 거기에서부터, 전류는 라인 (9) 을 통해 하측 구동기 (4) 로 역류한다. "0" 상태가 송신되는 경우, 전류는 라인 (9) 을 통해 상측 구동기 (2) 로부터 종단 (9) 으로 흐르고, 거기에서부터 라인 (8) 을 통해 하측 구동기 (3) 로 역류한다. 이들 2 개의 2 진 상태 외에, FlexRay(R) 사양은, 단일 에지가 2 진 상태들 사이에서 변경될 때 획득되는 "IDLE" 상태로 알려진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알려져 있다.
도 2a 는 구동기 노드를 일반적으로 4 개의 버스 접속 단자들 (13 내지 16) 을 갖는 기능 블록 (12, 칩 또는 모듈) 으로서 나타낸다. 이미지 섹션 b) 는, FlexRay(R) 구동기로서 이용될 때 기능 블록 (12) 의 단자들 (13 내지 16) 의 상호접속을 나타낸다. 이미지 섹션 c) 는, CAN 구동기로서 이용될 때 기능 블록 (12) 의 단자들 (13 내지 16) 의 상호접속을 나타내며, 2 개의 CAN 구동기는 버스 "CAN1" 및 "CAN2" 에 대해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구동기들은 각각, 모든 4 개의 스테이지들의 접속들 (13 내지 16) 이 개별적으로 라우팅되도록, 2 개의 개별 상측 구동기 스테이지들 (1, 2) 및 2 개의 하측 구동기 스테이지들 (3, 4) 로부터 컴파일 (compile) 된다. 이제 외부 상호접속은, 핀 (13) 과 핀 (16) 을 단락시키고 핀 (14) 과 핀 (15) 을 단락시키며 버스 종단이 라인 (8) 과 라인 (9) 사이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FlexRay 구동기를 제공하거나 아니면, 핀 (14) 과 핀 (15) 사이에 버스 "CAN1" 에 대한 종단을 상호접속하고 핀 (13) 과 핀 (16) 사이에 버스 "CAN2" 에 대한 종단을 상호접속함으로써 2 개의 CAN 구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만든다. 외부 상호접속에 의해 동작 모드를 규정하는 옵션에 대한 대안으로서, 커플링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접속들 (13 내지 16) 을 자동으로 연관시키는 선택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며, 이 경우 커플링 모듈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일부이다.
도 3 의 구동기 모듈 (12) 은 도 2 에 도시된 구동기 스테이지들 뿐만 아니라 구동기 스테이지들 (1 내지 4) 에 대한 제어 신호 (11) 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구동기 제어 블록 (20) 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마이크로제어기 (미도시) 를 대면하는 측 (수신기는 더 아래에 분리되는 것으로 고려됨) 에서, 모듈 (12) 은 제어 라인 (19) 을 이용하여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는 2 개의 입력 접속들 (17 및 18) 을 갖는다. 라인들 (17 내지 19) 은 제어 블록 (20) 에 접속된다. 라인 (19) 은 제어 블록 (20) 에 대해 2 개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CAN" 모드에서, 라인 (17) 은 제 1 CanBus "CAN1" (도 2 참조) 를 위해 종래의 CAN 구동기의 접속 "TX" 의 기능성을 갖는다. 이 모드에서, 라인 (18) 은 제 2 CanBus "CAN2" (도 2 참조) 를 위한 접속 "TX" 와 연관된다. "FlexRay" 동작 모드에서, 라인 (17) 은 표준화된 FlexRay(R) 접속 "FR" 의 기능성에 접속된다. 그 다음에, 라인 (18) 은 마찬가지로 표준화된 접속 "FR-TXEN" 에 접속된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 (19) 는, 예를 들어, 메모리 비 트가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된 블록에서 설정된 상태에서, SPI 버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4 는 수신기 제어 블록 (20') 에 의해 도 3 의 구동기 (송신기) 와 유사한 방식으로, 2 개의 동작 모드가 이용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보편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신기 모듈 (21) 을 나타낸다. 수신기 (21) 는, 차이 전압 (예를 들어, 단자들 (13 및 14) 상의 전압 U) 으로부터 각각의 논리 신호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비교기들 (22, 25 및 25') 을 포함한다. 도시된 "FlexRay(R)" 동작 모드에서, 단자 (13) 와 단자 (16) 가 단락되고, 또한 단자 (14) 와 단자 (15) 가 단락된다 (브리지 35 및 36). 그 다음에, 차이 전압이 버스 라인 (8; BP) 및 버스 라인 (9; BM) 상에 있는 레벨로부터 획득된다. 비교기들 (22, 25 및 25') 의 영역에서, 차이 신호는 또한 기준 전압과 비교될 수 있다. 비교기 (22) 에서 차이 전압이 상위 스위칭 임계값 위이면, 수신기 (21) 는 RxEN=0 과 함께 "dominant 1" 신호를 출력한다. 차이 전압이 하위 스위칭 임계값 아래이면, 수신기는 RxEN=0 와 함께 "dominant 0" 신호를 출력한다. 이 출력들은 라인들 (23 및 24) 을 통해 이루어진다.
간단히 말하면, CAN 수신기 모듈은 기본적으로, 단자들 (14; CAN1H 및 15; CAN1L) 에 인가된 차이 전압을 공급받는 비교기 (또한, 비교기 25 참조) 를 포함한다. 차이 전압이 상위 스위칭 임계값 위이면, 수신기는 신호 "0" (도미넌트) 을 출력한다. 차이 전압이 하위 스위칭 임계값 아래이면, 수신기는 "1" 신호 (리세시브 (recessive)) 를 출력한다. 출력은 제 1 CanBus 에 대해 라인 (23) 을 통해서, 그리고 제 2 CanBus 에 대해 라인 (24) 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각 CAN 입력에 대해, 도 4 의 수신기 (21) 는 비교기 (25; "CAN1" 및 25'; "CAN2") 를 포함한다. 이들 비교기들은 입력 단자들 ("BP/CAN1H", "BM/CAN1L" 및 "CAN2H, CAN2L") 에 접속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 상호접속 (단락) 은, 제 1 동작 모드에서 FlexRay 수신기를 구현하거나 제 2 동작 모드에서 2 개의 CAN 수신기를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비교기들 (22, 25 및 25') 로부터의 디지털 출력 신호들 (26 내지 29) 은 마이크로제어기에 대한 적절한 접속을 위해 제어 블록 (20') 을 통해 단자들 (23, 24) 로 포워딩된다. FlexRay 수신기로서의 동작 모드에서, 신호 RX1 은 RX 로서 해석되고, 신호 RX2 는 RxEN 으로서 해석된다. CAN 수신기로서의 동작 모드에서, RX1 은 CAN1 에 대한 RX 로서 해석되고, RX2 는 CAN2 에 대한 RX 로서 해석된다.
도 5 는 2 개의 동작 모드를 갖는 유니버셜 수신기 (21') 를 위한 추가의 회로 예를 나타낸다. 버스 신호는 2 개의 비교기들 (22 및 22') 에 의해 디코딩되고, 비교기들의 입력은 버스 단자들 (13 내지 1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에도 역시, 단자들 (13 내지 16) 의 외부 상호접속은 "FlexRay(R)" 동작 모드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비교기 (22) 의 제 1 입력 (37) 은 변경 스위치 (38) 에 공급되어서, 이 비교기 입력 (37) 은 동작 모드에 따라 단자 (13) 또는 단자 (14) 에 접속될 수 있다. 디코더 (20") 로부터 변경 스위치 (38) 로 라우팅되는 제어 라인 (39) 은 스위치 (38) 의 포지션을 선택하기 위한 기초로서 동작 모 드를 취한다. "CAN" 모드에서, 단자들 (14 및 15) 은 버스 라인 "CAN1" 에 접속되고, 단자들 (13 및 16) 은 버스 라인 "CAN2" 에 접속되며, 스위치 (38) 는 라인 (37) 으로부터 단자 (13) 로의 접속을 설정한다. FlexRay(R) 수신기로서의 동작 모드에서, 단자들 (13 및 16) 은 단락되고, 단자들 (14 및 15) 도 마찬가지로 단락된다 (점선의 브리지들 (35 및 36)). 이 동작 모드에서, 스위치 (38) 는 라인 (37) 으로부터 단자 (14) 로의 접속을 설정한다. 디코더 (20") 는, 디코더의 동작 모드를 프로그래밍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SPI 입력 (19') 을 포함한다. 프로그래밍된 동작 모드를 갖는 라인에서, 디지털 출력들 (23 및 24) 은, FlexRay(R)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모드 1: "FR" 및 "FR-RXEN" 을 출력), 2 개의 CAN 접속들이 "CAN" 동작 모드에서 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CAN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모드 2: "CAN1" 및 "CAN2" 를 출력) 이용된다.
도 6 에 도시된 종래의 상용 가능한 FlexRay(R) 송신/수신 칩 (30, FlexRay(R) 송수신기) 은 순전히 조정되는 작동/상호접속 덕분에 CAN 칩으로서 이용된다. 이는 놀랍게도, FlexRay(R) 연결부들 (31 및 32) 에 접속되는 CAN 네트워크의 버스 라인 "CAN-H" 및 "CAN-L" 의 덕분으로, 신호 품질의 면에서 과도한 손실 없이 가능하다. 또한, FlexRay(R) 송수신기 (30) 의 출력 "RXEN" 은 CAN 제어기 (33) 의 입력 "RX"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FlexRay(R) 송수신기 (30) 의 입력 TXEN 은 CAN 제어기 (33) 의 출력 "RX"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FlexRay 송수신기 (30) 의 입력 "TX" 에서 전위는 포지티브 전압 V+ 에 접속된다. FlexRay(R) 송수신기 (30) 의 입력 "RX" 에서 전위는 기준-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된다. FlexRay 송수신기 (30) 의 상호접속은 CanBus 의 기능성이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재생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본적으로 FlexRay 를 위해 제공된 회로의 다수의 이용은 양 버스 표준들을 위해 제공될 필요가 있는 제어기에서 상당한 절감 효과가 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CanBus 수신기로서 FlexRay(R) 수신기, 또는 CanBus 송신기로서 FlexRay(R) 송신기, 또는 CanBus 송수신기로서 FlexRay(R) 송수신기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용된 FlexRay(R) 칩은 바람직하게, 표준으로서 이용된 FlexRay(R) 칩과 비교하여 변경 없이, 오직 FlexRay(R) 표준에 제공된 상호접속과 비교하여 연결부들의 외부 상호접속만이 변경되어 이용된다.
모듈 기반에서 이용될 수 있는 조합된 송신기/수신기 회로 (송수신기) 의 실시예 (미도시) 에 기초하면, 상기 회로는 도 3 에 도시된 송신 회로 (12) 및, 필수적으로 비교기들 (22, 25 및 25') 을 포함하는 도 4 에 도시된 수신 회로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히, 송신 및 수신 회로 엘리먼트가 조합되어, 통상의 모듈 또는 전자 칩을 형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조합된 송신/수신 회로를 위한 대안의 구현 옵션은 도 5 에 도시된 수신 회로와 도 3 의 송신기를 조합함으로써 달성된다. 블록들 (20 및 20' 또는 20") 의 제어 논리는 적당히 조합되어 통상의 블록을 형성한다.

Claims (7)

  1. 데이터 버스 라인 (7, 34, 34') 의 접속을 위한 단자들 (13, 14, 15, 16) 및 디지털 프로세싱 유닛의 접속을 위한 출력 단자들 (17, 18, 23, 24) 을 갖는 자동차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물리적 구현을 위한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 (12, 21, 21') 로서,
    전송 또는 수신될 버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단자들에 논리 레벨들이 인가되고,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는 특히,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의 행동을 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어 라인들을 가지며,
    a)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는 하나 이상의 논리 상태들의 상이한 물리적 구현인 복수의 구성 가능한 동작 모드들을 갖고,
    b)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는 각 동작 모드에서 이용되는 전자 비트 생성 및/또는 비트 수신 회로 엘리먼트들 (1, 2, 3, 4, 22, 22', 25, 25') 을 포함하며,
    c) 상기 동작 모드들 사이에서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를 변경하고/하거나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를 상이한 동작 모드에서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변경 및/또는 구조 수단 (changeover and/or structure means) (11, 13, 14, 15, 16, 19, 19', 20, 20', 20") 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는 조합된 송신 및 수신 회로, 특히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2 개의 상측 구동기 (1, 2) 및 2 개의 하측 구동기 (3, 4) 를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상측 구동기 (1, 2) 및 2 개의 하측 구동기 (3, 4) 는,
    - 제 1 동작 모드에서, 전류의 흐름이 상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생성될 수 있고, 전류 방향에 의해 논리 상태 "0" 및 "1" 이 규정되며,
    - 제 2 동작 모드에서, 제 1 논리 상태 (예를 들어, "1") 를 위한 전압 또는 전류 레벨이 상기 데이터 버스 상에 생성될 수 있고, 제 2 논리 상태 (예를 들어, "0") 를 위한 기준 전위 (예를 들어, 그라운드, 전류의 흐름이 없음) 가 상기 데이터 버스에 인가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서 2 개의 신호 라인들을 통한 수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비교기들 (22, 22', 25, 25') 을 포함하 며, 상기 비교기들의 입력들은 상기 버스 라인에 대한 연결부들에 접속되고, 상기 비교기들의 출력들은 제어 블록 (20, 20') 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의 하나 이상의 출력들 (23, 24) 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동작 모드에서, 특히 정확히 하나의 FlexRay(R) 버스가 상기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에 의해 동작되고, 제 2 동작 모드에서 CanBus 가 동작되며,
    특히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2 개의 독립적인 CanBus 들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 (20, 20', 20") 은 제 1 동작 모드에서, 2 개의 데이터 출력들 (23, 24) 에서 FlexRay(R)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 2 동작 모드에서, 상기 2 개의 데이터 출력들 중 일 데이터 출력 (23) 에서 CAN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2 개의 데이터 출력들 중 다른 데이터 출력에서 추가적 CanBus 로부터 추가적 CAN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및/또는 수신 회로 장치의, 자동차 제어기, 특히 브레이킹 제어기, 및/또는 능동 및/또는 수동 안전 시스템을 위한 제어기에서의 이용.
KR1020097014882A 2007-01-17 2008-01-15 자동차 데이터 버스용 회로 장치 KR20090110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3326.7 2007-01-17
DE102007003326 2007-01-17
DE102008004551.9 2008-01-15
PCT/EP2008/050379 WO2008087131A2 (de) 2007-01-17 2008-01-15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n kraftfahrzeugdatenbus
DE102008004551A DE102008004551A1 (de) 2007-01-17 2008-01-15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n Kraftfahrzeugdaten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309A true KR20090110309A (ko) 2009-10-21

Family

ID=3953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882A KR20090110309A (ko) 2007-01-17 2008-01-15 자동차 데이터 버스용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22766A1 (ko)
EP (1) EP2122924A2 (ko)
JP (1) JP2010516535A (ko)
KR (1) KR20090110309A (ko)
CN (1) CN101584154A (ko)
DE (1) DE102008004551A1 (ko)
WO (1) WO200808713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389B1 (ko) * 2013-05-28 2015-01-09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Can 액티브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4105B2 (en) * 2009-08-21 2012-07-03 Metra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detection of steering wheel control signals
DE102012014724B3 (de) * 2012-04-14 2013-09-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m Betreiben eines Datenbussystems eines Kraftfahrzeugs
EP2713559B1 (de) * 2012-07-16 2015-02-18 ELMOS Semiconducto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Transceivers eines an einen Datenbus angeschlossenen Bus-Teilnehmers
US9330045B2 (en) 2013-10-02 2016-05-03 Nxp B.V. Controller area network (CA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N traffic
US10452504B2 (en) 2013-10-02 2019-10-22 Nxp B.V. Controller area network (CAN) device and method for emulating classic CAN error management
EP2940935B1 (en) * 2014-04-30 2017-08-02 Nxp B.V. Controller area network (CA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N traffic
US10385796B2 (en) * 2014-08-22 2019-08-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nboard electronic control unit
DE102015211033A1 (de) 2015-06-16 2016-12-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betreffend ein Gateway, insbesondere ein selbstlernendes Gateway für Fahrzeug-(CAN)Bus-Systeme
FR3038807B1 (fr) * 2015-07-09 2017-07-2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metteur-recepteur apte a etre connecte sur un reseau de communication par bus de type can ou flexray
JP6528845B2 (ja) * 2015-07-31 2019-06-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整合回路、アンテナ回路、フロントエンド回路および通信装置
US10361934B2 (en) * 2015-09-28 2019-07-23 Nxp B.V. Controller area network (CA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N traffic
US10042807B2 (en) 2016-04-05 2018-08-07 Infineon Technologies Ag Differential bus receiver with four-quadrant input circuit
DE102016008957B4 (de) * 2016-07-13 2018-01-25 Audi Ag Direkter Zugriff auf Bussignale in einem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4351B1 (en) * 2000-03-08 2003-11-25 Motorola Inc. Configurable multi-protocol vehicle communication circuit and method
US6853645B1 (en) * 2000-11-17 2005-02-08 Advanced Micro Devices, Inc. PCI and MII compatible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HPNA) interface device
DE10153085A1 (de) * 2001-10-30 2003-05-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ogrammierung einer Steuereinheit
US6839790B2 (en) * 2002-06-21 2005-01-04 Smar Research Corporation Plug and play reconfigurable USB interface for industrial fieldbus network access
DE10243783A1 (de) * 2002-09-20 2004-03-25 Sick Ag Elektronische Vorrichtung für ein Bussystem
DE10311395A1 (de) * 2003-03-13 2004-09-23 Robert Bosch Gmbh Kommunikationsvorrichtung mit asynchroner Datenübertragung über eine symmetrische serielle Schnittstelle
JP4401239B2 (ja) * 2004-05-12 2010-01-20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メッセージ変換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DE102004042380A1 (de) * 2004-09-02 2006-03-09 Robert Bosch Gmbh Datenbus-Interface für ein Steuergerät und Steuergerät mit einem Datenbus-Interface
JP4376862B2 (ja) * 2005-12-20 2009-12-0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通信メッセージ変換装置及び通信メッセージ変換方法
JP4932328B2 (ja) * 2006-05-29 2012-05-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信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JP4917394B2 (ja) * 2006-09-15 2012-04-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出力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389B1 (ko) * 2013-05-28 2015-01-09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Can 액티브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2924A2 (de) 2009-11-25
CN101584154A (zh) 2009-11-18
WO2008087131A3 (de) 2008-10-02
US20110022766A1 (en) 2011-01-27
JP2010516535A (ja) 2010-05-20
DE102008004551A1 (de) 2008-07-24
WO2008087131A2 (de)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0309A (ko) 자동차 데이터 버스용 회로 장치
US7188207B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via symmetrical serial interface
KR100192073B1 (ko) 디지탈 이선 버스 자료 통신시스템 고장-허용 출력스테이지
EP3691197B1 (en) Bus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us device
JP2006512842A (ja) ツーワイヤ導線の導線終端用の装置
US9166910B2 (en) Data relay apparatus
US20160277208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2012235427A (ja) バスコントローラの接続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EP2362570B1 (en) Communication circuit,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ing apparatus
US20210036884A1 (en) User station for a serial b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 a serial bus system
US11516043B2 (en) Monolithic high-voltage transceiver connected to two different supply voltage domains
CN108353016B (zh) 中继装置、电子控制装置以及车载网络系统
US11057239B2 (en) Vehicular network device
JP2007135011A (ja) 中継接続ユニットおよび仮想車載lanシステム
US5809077A (en) Circuit for signal-transmitting connection of data networks
WO2020121390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11115236B2 (en) Subscriber station for a b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bus system
US7899071B2 (en) Serial bus structure
KR20180094417A (ko) 광통신을 이용한 캔 버스 간의 장거리 전송 장치
EP1989630B1 (en) Interface between busses of different physical layers
EP1233577B1 (en) A circuit module for interconnection between local networks in a distributed electronic system for motor vehicles
WO2020012928A1 (ja) 車載電子制御装置
WO2022207707A1 (en) Electronic control units and communication in an electronic control arrangement
KR100736771B1 (ko) 캔 통신버스 인터페이스 장치
WO2021235250A1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