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038A -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038A
KR20090109038A KR1020080073882A KR20080073882A KR20090109038A KR 20090109038 A KR20090109038 A KR 20090109038A KR 1020080073882 A KR1020080073882 A KR 1020080073882A KR 20080073882 A KR20080073882 A KR 20080073882A KR 20090109038 A KR20090109038 A KR 20090109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ever
lift
actuat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riority to KR102008007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038A/ko
Publication of KR2009010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승강대의 승강 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스무스하게 안정된 동작을 얻는다.
해결 수단
하내링크(4)에서의 센터축(6)보다도 상방 부위에, 상단에 지레 롤러(18)를 구비한 지레 링크(16)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하내링크(4)의 하단에 유압 실린더(20)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유압 실린더(20)의 상단을 지레 링크(16)의 상단에 지레 롤러(18)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유압 실린더(20)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지레 링크(16)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내링크(4)에서의 센터축(6)보다도 하방 부위에, 지레 롤러(18)가 맞닿고, 지레 링크(16)의 회전 및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의 신축 동작과 동시에 지레 롤러(18)가 전동하는 캠 면을 구비한 캠 레일을 마련하고, 차량 받침대(8)의 하한 위치로부터 유압 실린더(20)가 신장 동작함으로써, 지레 롤러(18) 및 캠 레일(23)을 통하여 상내링크(4)를 밀어올려서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를 상한 위치까지 신장 동작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리프트 장치{LIFT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정비용 리프트 등에 이용되고, X링크 기구를 이용하여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정비용 리프트 등의 리프트 장치에서는,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와, 그 내링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를 중앙부끼리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軸着)하여 이루어지는 X링크 기구를 가지며, 해당 X링크 기구를 유압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로 신축시킴으로써, 승강대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X링크 기구를 상하로 2단 겹친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도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 장치에서는, 컴팩트한 액추에이터의 동력으로 효율 좋게 상승시키기 위해 다양한 배력(倍力) 기구가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한쪽 링크의 중앙 축착부보다도 상방 위치에 연결 링크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다른 쪽 링크의 중앙 축착부보다도 상방 위치에 지레 링크의 중간부를 회전 가능하게 축착하고, 연결 링크의 타단과 지레 링크와의 일단을 볼 나사 기 구의 선단과 함께 연결하고, 볼 나사의 신장에 수반하여, 연결 링크를 통하여 한쪽 링크를 끌어올림과 함께, 지레 링크의 타단을 한쪽 링크의 단부(端部)에 따라 활주시킴으로써, 다른쪽의 링크도 기립시키도록 한 배력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2에는, 한쪽의 링크에 중간 암의 일단을 축착하고 그 타단에 마련한 가이드 롤러를 다른쪽의 링크에 마련한 가이드 홈 내에 수용하고, 가이드 롤러 사이의 연결 로드에 전동 실린더를 연결하고, 전동 실린더를 수축시켜서 중간 암을 기립시킴으로써, 가이드 롤러를 가이드 홈 내에서 전동(轉動)시켜 X링크 기구를 신장시키도록 한 배력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0-351590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개평8-21739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의 배력 기구에서는, 지레 링크의 타단이 링크의 단부에 활주한 상태와, 링크의 단부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승강 속도에 상위(相違)가 생기고, 특히 하강시에는 하한 위치 부근에서 하강 속도가 빨라져서 충격음을 발할 우려도 있다. 이것은 특허문헌2의 배력 기구에서도 마찬가지로서,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홈 내를 활주하는 상태와, 가이드 홈의 단부에 도달한 상태에서 승강 속도에 상위가 생겨 버려, 스무스한 승강 동작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이와 같은 승강 동작에 의해, 동력 효율이 저하되어 유압 펌프나 전동 실린더에서의 전기 사용량이 많아지고, 모터의 대형화에 이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배력 기구를 마련하여도,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경우는 필요한 양력(揚力)을 얻기 위해 어느 정도 대경(大徑)의 유압 실린더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으로는 이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승강대의 승강 속도가 일정하게 되고 스무스하고 안정된 승강 동작을 얻을 수 있고, 하한 위치에서의 충격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동력 효율이 양호하게 되어 모터의 소형화나 실린더의 소경화를 달성할 수 있고, 비용의 저감도 기대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은, 2단식 팬타그 래프트식 리프트를 구비하는 리프트 장치로서, 하단의 내링크에서의 외링크와의 축착 위치보다도 상방 부위에, 상단에 지레 롤러를 구비한 지레 링크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하단의 내링크의 하단에 액추에이터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액추에이터의 상단을 지레 링크의 상단에 지레 롤러와 동축(同軸)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액추에이터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지레 링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단의 내링크에서의 외링크와의 축착 위치보다도 하방 부위에, 지레 롤러가 맞닿고, 지레 링크의 회전 및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의 신축 동작과 동시에 지레 롤러가 전동하는 캠 면을 구비한 캠 레일을 마련하고, 승강대의 하한 위치로부터 액추에이터가 신장 동작함으로써, 지레 롤러 및 캠 레일을 통하여 상단의 내링크를 밀어올려서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를 상한 위치까지 신장 동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은, 1단(段)의 X링크 기구를 구비한 리프트 장치로서, 내링크에서의 외링크와의 축착 위치보다도 하방 부위에, 상단에 지레 롤러를 구비한 지레 링크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내링크의 하단에 액추에이터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액추에이터의 상단을 지레 링크의 상단에 지레 롤러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액추에이터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지레 링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외링크에서의 내링크와의 축착 위치보다도 상방 부위에, 지레 롤러가 맞닿고, 지레 링크의 회전 및 X링크 기구의 신축 동작과 동시에 지레 롤러가 전동하는 캠 면을 구비한 캠 레일을 마련하고, 승강대의 하한 위치로부터 액추에이터가 신장 동작함으로써, 지레 롤러 및 캠 레일을 통하여 외링크를 밀어올려서 X링크 기구를 상한 위치까지 신장 동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대의 승강 속도가 일정하게 되고 스무스하고 안정된 승강 동작을 얻을 수 있고, 하한 위치에서의 충격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 동작의 안정에 의해, 동력 효율이 양호해지고 모터의 소형화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를 적용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그 정면, 우측면, 배면을 각각 도시하는 것으로, 차량 정비용 리프트(1)는,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 2)를 좌우에 한 쌍 병설한 것으로, 이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는,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4, 4)와, 그 내링크(4, 4)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5, 5)를 중간부위끼리로 센터축(6)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한 X링크 기구(3, 3)를, 상하로 2단 겹쳐서, 외링크(5)의 단부끼리와 내링크(4)의 단부끼리를 각각 힌지핀(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각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에 있어서, 상측의 X링크 기구(3)의 상단에는, 승강대로서의 차량 받침대(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하의 내링크(4)와 외링크(5)를 구별하기 위해, 「하내 링크(4)」 「상내링크(4)」 「하외링크(5)」 「상외링크(5)」라고 상하를 붙여서 설명한다.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 2)에 있어서, 각 하내링크(4)의 하단은, 차량 받침대(8)가 끼워맞춤 가능한 베이스 프레임(9)의 전단(前端)(도 1의 좌하 방향을 전방이라고 한다.)에서, 동조축(10)에 의해 동조(同調)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하외링크(5)의 하단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에 마련한 활주 블록(11)이 베이스 프레임(9)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에 끼워맞춤하여 안내됨으로써, 전후로 활주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내링크(4)의 상단은, 차량 받침대(8)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는 한편, 상외링크(5)의 상단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에 마련한 활주 블록(13)이 차량 받침대(8)에 마련한 가이드 레일(14)에 끼워맞춤하여 안내됨으로써, 전후로 활주 가능하게 되어 있다.
15, 15는, 각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에 각각 마련되고 해당 리프트를 승강 작동시키는 배력 기구인데, 좌우 대칭의 구조이기 때문에, 한쪽의 배력 기구(15)에 관해 설명한다.
하내링크(4)에서의 힌지핀(7) 근처의 상단 끝에는, 도 3, 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레 링크(16, 16)의 하단이, 지레 링크축(17)에 의해 전후 방향의 면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지레 링크(16, 16)의 상단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한 쌍의 지레 롤러(18, 18)가, 지레 롤러축(1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각 하내링크(4, 4)의 사이에는, 유압 실린더(20)가 각각 배치되고, 하단이 동조축(10)에 연결되는 한편, 피스톤 로드(21)의 선단은, 지레 롤러(18, 18)의 사이에서 지레 롤러축(1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유압 실린더(20, 20)는, 오일 탱크와 펌프, 전자 전환 밸브 등을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유압 회로 내에서 직렬로 접속되고, 동조하여 신축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좌우의 상내링크(4, 4)의 하단 사이이는, 연결판(22)이 가설되고, 그 연결판(22)의 하면측에는, 한 쌍의 캠 레일(23, 23)이, 지레 롤러(18, 18)에 맞추어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착되어 있다. 이 캠 레일(23)은, 하측에, 센터축(6)측을 요곡면(凹曲面), 힌지핀(7)측을 철곡면(凸曲面)으로 하는 파형(波形)의 캠 면(24)을 가지며, 유압 실린더(20)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는 지레 링크(16)의 회전 및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도 4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레 롤러(18)가 캠 면(24)상을 전동(轉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25는, 지레 링크축(17)보다 센터축(6)측에서 하내링크(4, 4) 사이에 가설된 스토퍼판이고, 지레 링크(16)의 하단측의 측판부(26)는, 차량 받침대(8)의 하한시에 지레 링크(16)를 경사 자세로 지지하는 경사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차량 정비용 리프트(1)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차량 받침대(8)의 하한 위치에서는, 링크의 축선보다도 상대측 근처로 한 힌지핀(7)의 위치 설정에 의해, 상하의 내링크(4) 및 외링크(5)는 개략 수평 자세로 되어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를 수축시키고 있다. 이때, 유압 실린더(20)의 피스톤 로드(21)는 수축하고, 지레 롤러축(19)을 캠 레일(23)의 요곡면측에 위치시키고, 지레 롤러(18)를 캠 면(24)의 최심부(最深部)에 맞닿게 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지레 링크(16)는 스토퍼판(25)의 측판부(26)에 실리는 모양으로 경사 자세로 지지되고, 유압 실린더(20)도 경사 자세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20)의 피스톤 로드(21)를 신장시키면, 선단이 피스톤 로드(21)와 연결되는 지레 링크(16)가 동 도면에서 좌회전하고, 지레 롤러(18) 및 캠 레일(23)을 통하여 상내링크(4)를 경사 아래로부터 가압하기 때문에, 해당 가압력은 상하의 내링크(4, 4)를 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는, 그 구조상 일부의 링크의 신축에 동조하여 전체가 신축 동작하기 때문에, 동 도 (B) 내지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가 서서히 신장하고, 차량 받침대(8)를 수평 자세인 채로 상승시킨다. 이때, 유압 실린더(20)는 하단을 중심으로 도 5에서 우회전하면서 서서히 기립하고, 지레 롤러(18) 및 캠 레일(23)을 통하여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에 신장력을 주게 된다.
지레 링크(16)의 회전과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의 신장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동 도 (F) 내지 (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레 롤러(18)는 캠 면(24)의 최심부로부터 서서히 하측(철곡면측)으로 전동하고, 지레 롤러(18)를 항상 캠 면(24)에 가압시킨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21)의 신장이 최대 스트로크가 되면, 동 도 (J)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레 롤러(18)는 캠 레일(23)에 있어서의 캠 면(24)의 정상부에 위치하고, 신장한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에 의해 차량 받침대(8)는 상한 위치에서 수평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지레 롤러(18)가 파형의 캠 면(24)에 따라 전동함으로써,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는 하한 위치로부터 상한 위치까지 개략 등속으로 신장 동작하게 된다.
또한, 하강시는, 상승시와 반대의 동작이 되어, 피스톤 로드(21)의 수축에 수반하여, 지레 롤러(18)가 캠 면(24)을 상방에 이동하면서 지레 링크(16)를 우회전시킴과 함께, 유압 실린더(20)를 좌회전시키면서 서서히 도복(倒伏) 동작시켜서, 도 5의 (A)의 차량 받침대(8)의 하한 위치까지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를 수축시킨다. 이 경우도 상내링크(4)가 캠 레일(23) 및 지레 롤러(18)를 통하여, 서서히 수축하는 유압 실린더(20)에 지탱되면서 수축 동작하기 때문에, 상한 위치부터 하한 위치까지 개략 등속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하한 위치에 달할 때에 충격음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상기 형태 1의 차량 정비용 리프트(1)에 의하면, 하내링크(4)에서의 센터축(6)보다도 상방 부위에, 상단에 지레 롤러(18)를 구비한 지레 링크(16)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하내링크(4)의 하단에 유압 실린더(20)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유압 실린더(20)의 상단을 지레 링크(16)의 상단에 지레 롤러(18)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유압 실린더(20)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지레 링크(16)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내링크(4)에서의 센터축(6)보다도 하방 부위에, 지레 롤러(18)가 맞닿고, 지레 링크(16)의 회전 및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의 신축 동작과 동시에 지레 롤러(18)가 전동한 캠 면(24)을 구비한 캠 레일(23)을 마련하고, 차량 받침대(8)의 하한 위치로부터 유압 실린더(20)가 신장 동작함으로써, 지레 롤러(18) 및 캠 레일(23)을 통하여 상내링크(4)를 밀어올려서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2)를 상한 위치까지 신장 동작시키도록 함으로써, 차량 받침대(8)의 승강 속도가 일정하게 되어 스무스하고 안정된 승강 동작을 얻을 수 있고, 하한 위치에서의 충격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 동작의 안정에 의해, 동력 효율이 양호하게 되어 모터의 소형화도 달성할 수 있음과 함께, 유압 실린더(20)의 소경화도 가능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동력 효율이 양호하게 됨으로써, 좌우의 유압 실린더(20, 20)를 유압 회로 내에서 직렬로 접속하여도, 내링크(4) 사이에 수습되는 컴팩트한 타입으로 대응 가능해진다. 따라서, 편(片)하중에 강하게 되고, 좌우의 차량 받침대(8, 8)에 편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단차(段差)가 생기기 어렵고, 안전성이나 신뢰성도 확보 가능해진다.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단, 형태 1과 같은 구성부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를 적용한 테이블 리프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테이블 리프터(30)는, 베이터(30)상에,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32, 32)와, 내링크(2, 32)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33, 33)를 센터축(34)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한 X링크 기구(31)를 가지며, 그 X링크 기구(31)의 상단에서 승강대로서의 테이블(36)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의 배력 기구(15)는, 내링크(32)와 외링크(33)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즉, 지레 링크(16)는, 내링크(32)에서의 센터축(34)보다도 하방 부위에서 지레 링크축(17)에 의해 축착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20)는, 하단이 내링크(32)의 하단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21)의 상단이 지레 링크(16)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연결판(22) 및 캠 레일(23)은, 외링크(33)에서의 센터축(34)보다도 상방 부위에 마련되고, 캠 면(24)에, 지레 링크(16)의 회전 및 X링크 기구(31)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지레 롤러(18)가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판(25)은 베이스상에 세트되어 있다.
따라서, 이 테이블 리프터(30)에서도, 도 6의 (B)에 도시하는 테이블(36)의 하한 위치에서는, 유압 실린더(20)의 피스톤 로드(21)는 수축하고, 지레 롤러(18)를 캠 레일(23)의 요곡면측에 위치시켜서, 지레 롤러(18)를 캠 면(24)의 최심부에 맞닿게 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지레 링크(16)는 스토퍼판(25)의 측판부(26)에 실리는 모양으로 경사 자세로 지지되고, 유압 실린더(20)도 경사 자세로 되어 있다.
여기서부터 유압 실린더(20)의 피스톤 로드(21)를 신장시키면, 지레 링크(16)가 동 도면에서 우회전하고, 지레 롤러(18) 및 캠 레일(23)을 통하여 내링크(33)를 경사 아래로부터 가압하기 때문에, 해당 가압력은 X링크 기구(31)를 여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X링크 기구(31)를 신장 동작시킨다. 이때, 유압 실린더(20)는 하단을 중심으로 좌회전하면서 서서히 기립하고, 지레 롤러(18) 및 캠 레일(23)을 통하여 X링크 기구(31)에 신장력을 주게 된다.
지레 링크(16)의 회전과 X링크 기구(31)의 신장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지레 롤러(18)는 캠 면(24)의 최심부로부터 서서히 하측(볼록곡면측)으로 전동하고, 지레 롤러(18)를 항상 캠 면(24)에 가압시킨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21)의 신장이 최대 스트로크가 되면, 동 도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레 롤러(18)는 캠 레일(23)에서의 캠 면(24)의 정상부에 위치하고, 신장한 X링크 기구(31)에 의해 테이블(36)은 상한 위치에서 수평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지레 롤러(18)가 파형의 캠 면(24)에 따라 전동함으로써, X링크 기구(31)는 하한 위치로부터 상한 위치까지 개략 등속으로 신장 동작하게 된다.
또한, 하강시는, 상승시와 반대의 동작이 되어, 피스톤 로드(21)의 수축에 수반하여, 지레 롤러(18)가 캠 면(24)을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지레 링크(16)를 좌회전시킴과 함께, 유압 실린더(20)를 우회전시키면서 서서히 도복 동작시켜서, 동 도 (B)의 테이블(36)의 하한 위치까지 X링크 기구(31)를 수축시킨다. 이 경우도 내링크(32)가 캠 레일(23) 및 지레 롤러(18)를 통하여, 서서히 수축하는 유압 실린더(20)에 지탱되면서 수축 동작하기 때문에, 상한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까지 개략 등속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하한 위치에 달할 때에 충격음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상기 형태 2의 테이블 리프터(30)에서도, 내링크(32)에서의 센터축(34)보다도 하방 부위에, 지레 링크(16)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내링크(32)의 하단에 유압 실린더(20)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유압 실린더(20)의 상단을 지레 링크(16)의 상단에 지레 롤러(18)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유압 실린더(20)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지레 링크(16)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외링크(33)에서의 센터축(34)보다도 상방 부위에, 지레 롤러(18)가 맞닿고, 지레 링크(16)의 회전 및 X링크 기구(31)의 신축 동작과 동시에 지레 롤러(18)가 전동하는 캠 면(24)을 구비한 캠 레일(23)을 마련하고, 테이블(36)의 하한 위치로부터 유압 실린더(20)가 신장 동작함으로써, 지레 롤러(18) 및 캠 레일(23)을 통하여 외링크(33)를 밀어올려서 X링크 기구(31)를 상한 위치까지 신장 동작시키도록 함으로써, 테이블(36)의 승강 속도가 일정하게 되고 스무스하고 안정된 승강 동작을 얻을 수 있고, 하한 위치에서의 충격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 동작의 안정에 의해, 동력 효율이 양호하게 되어 모터의 소형화도 달성할 수 있음과 함께, 유압 실린더(20)의 소경화도 가능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형태 1, 2에서, 지레 롤러 및 캠 레일의 수를 늘려도 좋고, 폭(두께)인 큰 지레 롤러 및 캠 레일을 하나씩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캠 레일의 캠 면 형상은 상기 형태의 파형으로 한하지 않고, 액추에이터의 스트로크나 승강대의 승강량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액추에이터로서는 유압 실린더로 한하지 않고, 에어 실린더나 전동 실린더, 볼 나사 등도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를 구비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나, 1단의 X링크 기구를 구비한 테이블 리프터로 설명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형태 2와 같은 1단의 X링크 기구를 좌우 한 쌍 구비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나, 형태 1과 같은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를 구비한 테이블 리프 터는 물론, 단차 해소기 등의 다른 리프트 장치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형태 1의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형태 1의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설명도로서, (A)가 정면, (B)가 우측면, (C)가 배면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형태 1의 차량 정비용 리프트를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측면도.
도 4의 (A) 및 (B)는 모두 배력 기구의 설명도.
도 5의 (A) 내지 (J)는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의 승강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형태 2의 테이블 리프터의 측면도로서, (A)는 상한 위치, (B)는 하한 위치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정비용 리프트 2 :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
3 : X링크 기구 4 : 내링크
5 : 외링크 6 : 센터축
7 : 힌지핀 8 : 차량 받침대
9 : 베이스 프레임 15 : 배력 기구
16 : 지레 링크 17 : 지레 링크축
18 : 지레 롤러 19 : 지레 롤러축
20 : 유압 실린더 21 : 피스톤 로드
23 : 캠 레일 24 : 캠 면
25 : 스토퍼판 30 : 테이블 리프터
31 : X링크 기구 32 : 내링크
33 : 외링크 35 : 베이스
36 : 테이블

Claims (2)

  1.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와 그 내링크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를 서로의 중간부위끼리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한 X링크 기구를 상하로 2단 겹쳐서, 상하의 상기 내링크끼리와 외링크끼리를 각각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와, 상기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는 승강대와, 상기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를 상하 방향으로 신축 동작시켜서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갖는 리프트 장치로서,
    하단의 상기 내링크에서의 상기 외링크와의 축착 위치보다도 상방 부위에, 상단에 지레 롤러를 구비한 지레 링크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하단의 상기 내링크의 하단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액추에이터의 상단을 상기 지레 링크의 상단에 상기 지레 롤러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지레 링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단의 상기 내링크에서의 상기 외링크와의 축착 위치보다도 하방 부위에, 상기 지레 롤러가 맞닿고, 상기 지레 링크의 회전 및 상기 2단식 팬타그래프트식 리프트의 신축 동작과 동시에 상기 지례 롤러가 전동하는 캠 면을 구비한 캠 레일을 마련하고,
    상기 승강대의 하한 위치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가 신장 동작함으로써, 상기 지레 롤러 및 캠 레일을 통하여 상단의 상기 내링크를 밀어올려서 상기 2단식 팬타 그래프트식 리프트를 상한 위치까지 신장 동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2.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와 그 내링크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를 서로의 중간부위끼리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한 X링크 기구와, 상기 X링크 기구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는 승강대와, 상기 X링크 기구를 상하 방향으로 신축 동작시켜서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갖는 리프트 장치로서,
    상기 내링크에서의 상기 외링크와의 축착 위치보다도 하방 부위에, 상단에 지레 롤러를 구비한 지레 링크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내링크의 하단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액추에이터의 상단을 상기 지레 링크의 상단에 상기 지레 롤러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지레 링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기 외링크에서의 상기 내링크와의 축착 위치보다도 상방 부위에, 상기 지레 롤러가 맞닿고, 상기 지레 링크의 회전 및 상기 X링크 기구의 신축 동작과 동시에 상기 지레 롤러가 전동하는 캠 면을 구비한 캠 레일을 마련하고,
    상기 승강대의 하한 위치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가 신장 동작함으로써, 상기 지레 롤러 및 캠 레일을 통하여 상기 외링크를 밀어올려서 상기 X링크 기구를 상한 위치까지 신장 동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KR1020080073882A 2008-04-14 2008-07-29 리프트 장치 KR20090109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882A KR20090109038A (ko) 2008-04-14 2008-07-29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105049 2008-04-14
KR1020080073882A KR20090109038A (ko) 2008-04-14 2008-07-29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038A true KR20090109038A (ko) 2009-10-19

Family

ID=4155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882A KR20090109038A (ko) 2008-04-14 2008-07-29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0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80B1 (ko) * 2013-07-10 2015-01-02 주식회사 리비코 차량 정비용 리프팅 장치
CN110626987A (zh) * 2019-09-30 2019-12-31 平湖普英特高层设备有限公司 液压升降平台
CN111994828A (zh) * 2020-08-21 2020-11-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 一种军用装甲车装备维修辅助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80B1 (ko) * 2013-07-10 2015-01-02 주식회사 리비코 차량 정비용 리프팅 장치
CN110626987A (zh) * 2019-09-30 2019-12-31 平湖普英特高层设备有限公司 液压升降平台
CN111994828A (zh) * 2020-08-21 2020-11-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 一种军用装甲车装备维修辅助系统
CN111994828B (zh) * 2020-08-21 2021-09-21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 一种军用装甲车装备维修辅助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6103B2 (ja) リフト装置
CN110325077B (zh) 升降工作台
CA1302386C (en) Vehicle scissor lift
US6679479B1 (en) Scissor lift mechanism
JP5057387B2 (ja) Xリンク式昇降機構
US20120071299A1 (en) Folding treadmill
MXPA05007055A (es) Dispositivo de levantamiento de carga.
KR20090109038A (ko) 리프트 장치
JP2005170572A (ja) 昇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昇降ベッド
CN203506142U (zh) 可倾斜升降和平行升降床架的举升器
CN208502202U (zh) 一种房屋建筑施工用升降平台
JP2013075606A (ja) 移動台車の昇降台
JP6516575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CN109402970B (zh) 升降装置和包括升降装置的洗衣机
JP6318876B2 (ja) 段差解消昇降装置
JPH0416498A (ja) 昇降装置
KR100591364B1 (ko) 테이블 리프트
AU2018388926B2 (en) Lifting worktable
JP3164571B2 (ja) 昇降リフター
US11857474B1 (en) Bed that is movable from a low position to a high position with a load transfer assembly
CN218968755U (zh) 剪式升降装置
CN114988321A (zh) 一种剪刀杆升降台
KR101133635B1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CN216089366U (zh) 一种无级高度升降桌
KR200187400Y1 (ko) 시저스타입 리프트의 승하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