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635B1 -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635B1
KR101133635B1 KR1020090121037A KR20090121037A KR101133635B1 KR 101133635 B1 KR101133635 B1 KR 101133635B1 KR 1020090121037 A KR1020090121037 A KR 1020090121037A KR 20090121037 A KR20090121037 A KR 20090121037A KR 101133635 B1 KR101133635 B1 KR 10113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nnecting rod
slider
connection portion
knuckle pr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428A (ko
Inventor
영 대 서
Original Assignee
영 대 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대 서 filed Critical 영 대 서
Priority to KR102009012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6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6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1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1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 B30B1/14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operated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4Control arrangements for mechanically-driven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더의 하강 행정시에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어 성형물의 성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전동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플라이휠,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 슬라이더를 승강시키도록 프레임상에 구성되는 링크기구, 상기 메인기어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팅로드를 구비한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메인기어와 접속되는 중앙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속부의 일측에 상기 링크기구와 접속되도록 형성된 제1 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속부의 타측에 제2 접속부가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하강시 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고 그 상승시 속도가 빨라지도록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어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동작을 제어하는 커넥팅로드 제어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의 하강 행정시에 제1 및 제2 접속부를 구비한 커넥팅로드, 커넥팅로드 지연링크, 및 연결링크의 상호작용으로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므로 성형물의 성형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의 상승 행정시에는 상승속도가 빨라져 상승시간이 단축되므로 성형시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너클 프레스, 구동장치, 제어링크, 슬라이드 하강속도

Description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DRIVING DEVICE OF KNUCKLE PRESS}
본 발명은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더의 하강 행정시에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어 성형물의 성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너클 프레스는 기계식 프레스 중에서 제품의 타발 성형시 상형이 하형에 부드럽게 장시간 접촉되므로 정밀 압축가공, 엠보싱, 압출, 단조 등을 위한 프레스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너클 프레스는 일명 토글 프레스라고도 호칭되고 있으며, 프레임, 프레임상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가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생성, 인가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구동장치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전동기, 전동기와 벨트로 연결되는 플라이휠, 프라이휠에 일단이 접속되는 커넥팅로드, 및 커넥팅로드의 타단이 접속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다.
링크 기구는 슬라이더의 상측에 해당되는 프레임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이 링크 기구의 상방향 또는 측방향에 전동기, 프라이휠, 등이 배치되어 전동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링크 기구가 회동 되면서 슬라이더를 승강시키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너클 프레스는 상형 및 하형 금형의 접촉시간이 길어서 다른 기계식 프레스에 비해 성형 품질이 뛰어나지만, 타발시 성형품질을 좌우하는 슬라이드의 하강동작(슬라이더의 하강시에 완만하게 하강되어야 크랙 등이 발생되지 않고 높은 성형품질이 얻어짐)은 다른 기계식 프레스와 마찬가지로 신속하게 수행된다. 이에 따라, 드로잉 가공이나 정밀한 가공과 평탄도가 요구되는 물품, 즉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폰 케이스 등의 성형시에는 불량품이 양산되거나 성형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73890호로 개시된 너클 프레스가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너클 프레스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휠에 접속되는 일측으로부터 일자형으로 형성된 커넥팅로드(50), 이 커넥팅로드에 하측이 접속되어 상방으로 배치되는 상링크(60), 커넥팅로드에 상측이 접속되어 하방으로 배치되고 상링크(60)의 길이(L3)에 비해 길이(L4)가 짧게 형성된 하링크(70)를 구비한다. 그리고, 타발시 판재를 압착, 고정하도록 하는 콘트롤러(140), 유압발생장치(150), 및 판재압착고정수단(160)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링크(60)의 길이(L3)와 하링크(70)의 길이(L4)의 길이 차이 로 인해 슬라이더(80)의 수직왕복속도는 하사점에 근접되면서 어느 정도 느려지기는 하지만, 슬라이더(80)가 커넥팅로드(50)에 의해 작동되는 상링크(60) 및 하링크(70)의 링크운동에 의해 작동되므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80)의 하강 행정(a 영역)과 상승 행정(b 영역)의 시간과 이동선도는 동일하게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 너클 프레스는 슬라이더의 하강시에 이동속도가 어느 정도 완만해지기는 하지만 성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정도로 완만하지는 않고, 성형품질과는 무관한 슬라이더의 상승행정시에도 이동속도가 길어져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 너클 프레스는 슬라이더의 하강에 따른 타발시 판재를 압착, 고정하도록 하는 콘트롤러(140), 유압발생장치(150), 및 판재압착고정수단(160)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장비가 복잡해지게 되고, 이로 인한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생산의 장애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슬라이더의 하강 행정시에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어 성형물의 성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더의 하강 행정시에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도록 하고, 슬라이더의 상승 행정시에는 상승속도가 증가되도록 한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전동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플라이휠,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 슬라이더를 승강시키도록 프레임상에 구성되는 링크기구, 상기 메인기어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팅로드를 구비한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메인기어와 접속되는 중앙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속부의 일측에 상기 링크기구와 접속되도록 형성된 제1 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속부의 타측에 제2 접속부가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하강시 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고 그 상승시 속도가 빨라지도록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어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동작을 제어하는 커넥팅로드 제어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는 일자 형의 연결링크; 상기 슬라이더에 하측이 접속되는 승강링크; 및 상측에 상기 연결링크가 접속되고, 하측에 상기 승강링크의 상측이 접속되며 상기 프레임에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크랭크 형상의 회전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중앙접속부를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속부의 길이가 상기 제2 접속부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로드 제어링크는 상기 프레임에 상측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측이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는 일자형 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 상기 승강링크, 및 상기 커넥팅로드 제어링크는 단수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링크와 상기 커넥팅로드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접속부위에 삽입되는 연결핀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라이휠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장치; 상기 클러치장치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및 상기 플라이휠과 대향되는 상기 구동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피니언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기어부와 상기 커넥팅로드의 중앙접속부에 접속되는 편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슬라이더의 하강 행정시에 제1 및 제2 접속부를 구비한 커넥팅로드, 커넥팅로드 지연링크, 및 연결링크의 상호작용으로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므로 성형물의 성형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의 상승 행정시에는 상승속도가 빨라져 상승시간이 단축되므로 성형시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전동기(2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더(30)를 승강시키도록 프레임(10)상에 구성되는 장치로서, 플라이휠(40), 플라이휠(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50), 슬라이더(30)를 승강시키도록 프레임(10)상에 구성되는 링크기구(60), 메인기어(50)와 링크기구(60)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력을 인가하는 커넥팅로드(70)를 구비하되, 링크기구(60)와 커넥팅로드(70)를 슬라이더(30)의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커넥팅로드(70)를 메인기어(50)와 접속되는 중앙접속부(71), 이 중앙접속부(71)의 일측에 링크기구(60)가 접속되도록 형성된 제1 접속부(72), 중앙접속부(7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접 속부(73)를 갖는 구조로 구성하고, 제2 접속부(73)에 접속되는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커넥팅로드(7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ㄴ"자 형상을 갖되,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 중앙에 후술되는 메인기어(50)에 형성된 편심부재(52)에 접속되는 접속홀(711)을 갖는 상기 중앙접속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중앙접속부(71)의 일측 및 타측으로 연결핀(91)의 삽입을 위한 핀삽입홀(721,731)이 형성된 상기 제1 접속부(72) 및 제2 접속부(7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접속부(72)의 길이는 제2 접속부(73)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동작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는 대략 일자형을 갖는 몸체의 상,하측에 연결핀(91)의 삽입을 위한 핀삽입홀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측이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하측이 제2 접속부(73)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는 제2 접속부(73)를 통해 접속되어 커넥팅로드(70) 전체를 회동 가능하게 잡아 지지하게 되므로 커넥팅로드(70)의 승강 운동시에 제1 접속부(72)의 불규칙적인 요동을 차단하는 작용을 수행하고, 커넥팅로드(70)의 하강시에는 제1 접속부(72)와 연결된 연결링크(61)를 완만하게 하강시켜 링크기구(60)의 링크운동 시간을 1차적으로 완만하게 지연되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링크기구(60)는, 커넥팅로드(70) 및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의 구동작용에 따라 슬라이더(30)의 하강시에 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도록, 연결링크(61), 회전링크(62), 및 승강링크(63)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링크(61)는 대략 일자형을 갖는 몸체의 상,하측에 연결핀(91)의 삽입을 위한 핀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된 구조로서, 제1 접속부(72)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측이 회전링크(62)측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링크(62)는 상측이 연결링크(61)의 타측에 접속되고, 하측이 승강링크(63)의 상측에 접속되며, 중앙부는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이 중앙부의 고정점(P4)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링크(62)는 대략 "ㄴ"자 형상을 갖되, 둔각을 이루도록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몸체의 상,하측 및 중앙에 연결핀(91)의 삽입을 위한 핀삽입홀(621)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링크(63)는 대략 일자형을 갖는 몸체의 상,하측에 연결핀(91)의 삽입을 위한 핀삽입홀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측이 회전링크(62)의 하측에 접속되고, 하측이 슬라이더(30)와 연결되어 있는 플런져(31)에 접속됨으로써 슬라이더(3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링크(62)와 커넥팅로드(70)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링크판(623,74)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결링크(61), 승강링크(63), 및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는 회전링크(62)와 커넥팅로드(70)의 사이에 접속되도록 단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편심부재(52) 및 연결핀(91)이 삽입되는 접속홀(711) 및 핀삽입홀에는 회동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회전 가이드부재로서 부싱 등이 삽입되어 있다.
한편, 도3을 참조하면, 플라이휠(40)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93)에 결합되어 전동기(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구동축(93)에는 플라이휠(40)에 접속 또는 이탈되면서 동력의 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장치(미도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93)의 타측에는 피니언(94)이 결합되어 메인기어(50)와 치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이휠(40)은 외주면에 형성된 벨트홈에 일측이 걸림되고 전동기(20)측 풀리(21)에 타측이 걸림되는 벨트(22)에 의해 회전되고, 이 플라이휠(40)의 회전력은 그 일측 면상에 설치되는 클러치장치의 클러칭 동작에 따라 구동축(93)으로 전달되거나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축(93)은 스러스트 베어링(미도시) 등의 지지기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회전력을 피니언(94)에 전달하게 되고, 피니언(94)은 메인기어(5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메인기어(50)는 피니언(94)과 치합되는 기어부(51)와, 커넥팅로드(70)의 중앙접속부(71)와 접속되는 편심부재(52)를 구비한다. 이때, 편심부재(52)는 기어부(51)의 일측 면에 돌출되어 그 외주면상에 삽입되는 편심캠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20)가 구동되면 벨트(22)를 매개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플라이휠(40)이 회전되고, 클러칭장치의 클러칭 동작으로 구동축(93)이 회전되면, 이 구동축(93)에 결합된 피니언(94)이 메인기어(50)를 회전시키게 된다.
메인기어(50)가 회전되면, 편심부재(52)가 연동되어 회전되므로 캠 작용에 의해 커넥팅로드(70)는 상하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하게 되면서 링크기구(60)를 작동시켜 슬라이더(30)의 하강 및 상승운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먼저, 도3 및 도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는 슬라이더(30)의 하강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커넥팅로드(70)가 캠 작용에 의해 하강되면 제1 접속부(72)와 연결된 연결링크(61)측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연동되어 연결링크(61)의 타측이 회전링크의 상측을 밀어 올리게 되므로 이 회전링크(62)는 중앙부 고정점(P4)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회전링크(62)의 하측에 결합된 승강링크(63)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펼쳐지면서 하강되므로, 이에 접속된 슬라이더(30) 또한 하강되면서 다이(12)에 올려진 금형(13)에 압축력을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슬라이더(30)의 하강시에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는 점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러한 작용을 수행하는 커넥팅로드(70),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 및 링크기구(60)의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52)가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회전되면 커넥팅로드(70)는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병진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접속부(72,73) 또한 함께 이동되게 된다.
이때, 커넥팅로드(70)가 종래의 일자형 커넥팅로드(도1 참조)와 같이 제1 접속부만 구비된 경우에는 편심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불규칙적으로 요동되면서 커넥팅로드의 전체 변위에 해당되는 각도만큼 신속하게 회동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접속부(73)에 접속된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에 의해 잡혀 지지되므로 제1 접속부(72)에는 요동이 발생되지 않고 제1 접속부(72)의 변위는 이 제1 접속부(72)와 연결링크(61)의 접속부위로 1차적으로 전달되고, 이후 연결링크(61)와 회전링크(62)의 접속부위로 순차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 접속부(72)와 연결링크(61)의 접속부위의 링크동작시에 1차적인 하강속도 지연효과가 발휘되고, 연결링크(61)와 회전링크(62)의 접속부위의 링크동작시에 2차적인 하강속도 지연효과가 발휘되므로 전체적인 슬라이더의 하강속도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의한 슬라이더 이동선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술한 구동동작에 따라 너클 프레스를 작동시켜 나타난 슬라이더의 이동선도를 도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프레스물의 성형품질을 좌우하는 슬라이더(30)의 하강영역(a 영역)의 이동속도는 완만하게 지연됨을 알 수 있고, 특히, 타발영역인 b영역으로 진입되는 부분에서 슬라이더의 하강속도가 더욱 완만해짐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도5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상태는 슬라이더(30)의 상승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커넥팅로드(70)의 상승으로 제1 접속부(72)와 연결된 연결링크(61)측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연동되어 연결링크(61)의 타측이 회전링 크(62)의 상측을 당기게 되므로 이 회전링크(62)는 중앙부 고정점(P4)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회전링크(62)의 하측에 결합된 승강링크(6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이 승강 링크(41)는 상승되고, 이에 접속된 슬라이더(30) 또한 상승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슬라이더(30)의 하강시에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는 특징 외에 슬라이더(30)의 상승시에는 이동속도가 종래 너클플레스에 비해 빨라져 상승시간이 단축되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이러한 슬라이더의 상승시간의 단축은 하강시 지연된 시간을 보상하게 되므로 성형작업의 전체적인 행정시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게 되어 생산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슬라이더 상승동작을 수행하는 커넥팅로드(70),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 및 링크기구(60)의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52)가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회전되면 커넥팅로드(70)는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병진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접속부(72,73) 또한 함께 이동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30)의 상승속도를 좌우하는 제1 접속부(72)는 기구적 메커니즘에 따라 제2 접속부(73)와 연결된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의 고정점(P3)을 기준으로 회동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커넥팅로드(70)는 편심부재(52)의 회동동작에 따라 상승되므로 제1 접속부(72)는 편심부재(52)으로부터 작용되는 상승력에 따라 고정점(P3)을 기준으 로 회동된다. 이때, 편심부재(52)의 중심점은 P1에서 P2로 이동되므로 고정점(P3)과의 거리(L1, L2) 중 슬라이더의 상승시의 거리(L2)가 하강시의 거리(L1) 보다 짧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심부재(52)의 중심점(P2)와 고정점(P3)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면 편심부재(52)로부터 상승력을 인가받는 제1 접속부(72)는 지랫대의 원리에 따라 슬라이더의 하강시에 비해 신속하게 상승 된다. 이에 따라, 제1 접속부(72)와 연결된 연결링크(61), 연결링크(61)와 접속된 회전링크(62)의 상승동작이 보다 신속하게 수행되면서 슬라이더(30)의 상승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30)의 상승동작을 이동선도로 나타낸 도6을 참조하면, 슬라이더(30)는 상승영역인 c영역에서 종래의 상승영역(도2의 c영역 참조)에 비해 슬라이더가 신속하게 상승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커넥팅로드(70)가 둔각을 이루도록 제1 및 제2 접속부(72,7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및 제2 접속부(72,73)에 연결링크(61) 및 커넥팅로드 제어링크(80)가 구성되어 있어서 슬라이더(30)의 하강시에는 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므로 현저히 성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0)의 상승동작은 반대로 신속하게 수행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성의 저하 없이 고품질의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은 종래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종래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의한 슬라이더 이동선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의한 슬라이더 이동선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20:전동기
30:슬라이더 40:플라이휠
50:메인기어 51:기어부
52:편심부재 60:링크기구
61:연결링크 62:회전링크
63:승강링크 70:커넥팅로드
71:중앙접속부 72:제1 접속부
73:제2 접속부 80:커넥팅로드 제어링크

Claims (5)

  1. 전동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플라이휠,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 슬라이더를 승강시키도록 프레임상에 구성되는 링크기구, 상기 메인기어와 상기 링크기구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팅로드를 구비한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는 기어부와 상기 커넥팅로드의 중앙접속부에 접속되는 편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메인기어의 편심부재에 접속되는 중앙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속부의 일측에 상기 링크기구와 접속되도록 형성된 제1 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속부의 타측에 제2 접속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중앙접속부를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속부의 길이가 상기 제2 접속부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하강시 속도가 완만하게 지연되고 그 상승시 속도가 빨라지도록 상측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측이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어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동작을 제어하는 커넥팅로드 제어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는 일자 형의 연결링크, 상기 슬라이더에 하측이 접속되는 승강링크, 및 상측에 상기 연결링크가 접속되고, 하측에 상기 승강링크의 상측이 접속되며 상기 프레임에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크랭크 형상의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의 길이가 상기 제2 접속부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로드 제어링크는 일자형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 상기 승강링크, 및 상기 커넥팅로드 제어링크는 단수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링크와 상기 커넥팅로드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접속부위에 삽입되는 연결핀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휠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장치;
    상기 클러치장치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및
    상기 플라이휠과 대향되는 상기 구동축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KR1020090121037A 2009-12-08 2009-12-08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Active KR101133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037A KR101133635B1 (ko) 2009-12-08 2009-12-08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037A KR101133635B1 (ko) 2009-12-08 2009-12-08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428A KR20110064428A (ko) 2011-06-15
KR101133635B1 true KR101133635B1 (ko) 2012-04-10

Family

ID=4439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037A Active KR101133635B1 (ko) 2009-12-08 2009-12-08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150A (ko) 2017-03-27 2018-10-08 한일너클프레스 주식회사 하 행정운동 지연특성을 갖는 너클프레스 구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148Y2 (ja) * 1989-12-13 1995-12-25 京利工業株式会社 プレス機の駆動装置
JPH09225686A (ja) * 1996-02-23 1997-09-02 Aida Eng Ltd ナックルプレス
KR100571590B1 (ko) * 1998-03-27 2006-04-17 아이다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너클 프레스용 슬라이드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148Y2 (ja) * 1989-12-13 1995-12-25 京利工業株式会社 プレス機の駆動装置
JPH09225686A (ja) * 1996-02-23 1997-09-02 Aida Eng Ltd ナックルプレス
KR100571590B1 (ko) * 1998-03-27 2006-04-17 아이다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너클 프레스용 슬라이드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150A (ko) 2017-03-27 2018-10-08 한일너클프레스 주식회사 하 행정운동 지연특성을 갖는 너클프레스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428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430B1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JP4903400B2 (ja) 荷物昇降装置
KR20090113972A (ko) 리니어 피어싱 프레스
TWI243093B (en) Mechanical punching device
KR101220165B1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KR101133635B1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KR101914617B1 (ko) 더블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CN103960380A (zh) 一种乌龙茶成型机
KR101348792B1 (ko) 프레스장치용 타발유니트
CN203752547U (zh) 一种压力机
CN103465619B (zh) 一种平压平自动模切烫金机动平台凸轮驱动装置
KR101939348B1 (ko) 하 행정운동 지연특성을 갖는 너클프레스 구동장치
KR100959150B1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JP2000254799A (ja) プレス機械
KR101998868B1 (ko) 분말야금 성형 프레스용 하부램 장치
KR100599182B1 (ko) 다단식 단조성형기의 이송유닛
KR100915885B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프레스장치
KR100961930B1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KR101774034B1 (ko) 스트로크 조절이 용이한 더블너클 프레스
CN109396713B (zh) 适用于前车架焊接的夹紧工装
CN203998039U (zh) 高低传送带衔接输送装置
KR101133636B1 (ko) 진동저감형 너클 프레스
KR100777245B1 (ko) 프레스
KR20110108801A (ko) 코깅 공정을 위한 프레스 금형 장치
CN216828237U (zh) 一种冲压支撑结构以及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