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320A - 상변화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상변화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320A
KR20090107320A KR1020080032765A KR20080032765A KR20090107320A KR 20090107320 A KR20090107320 A KR 20090107320A KR 1020080032765 A KR1020080032765 A KR 1020080032765A KR 20080032765 A KR20080032765 A KR 20080032765A KR 20090107320 A KR20090107320 A KR 20090107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hange
pattern
change material
electrode
materi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환
하용호
강명진
박정희
권현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7320A/ko
Priority to US12/406,344 priority patent/US20090250682A1/en
Publication of KR2009010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Shaping switch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Shaping switching materials
    • H10N70/066Shaping switching materials by filling of openings, e.g. damascene metho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5Selenides, e.g. GeS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8Tellurides, e.g. GeSb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4Switching materials based on at least one element of group IIIA, IVA or VA, e.g. elemental or compound semiconduc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상변화 메모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상변화 물질 패턴이 위치한다.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도록 상변화 보조 패턴이 배치된다.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화학식 DaMb[GxTy]c(0≤a/(a+b+c)≤0.2, 0≤b/(a+b+c)≤0.1, 0.3≤x/(x+y)≤0.7)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D는 C, N 및 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M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G는 G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T는 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화 메모리, 칼코겐 화합물

Description

상변화 메모리 장치{PHASE CHANGE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변화 물질은 서로 구별 가능한 적어도 두 상태, 예컨대 결정질 상태, 비정질 상태 그리고 이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상태들을 나타낼 수 있어 메모리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비정질 상태는 결정질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저항을 나타내며, 중간상태들은 비정질 상태 및 결정질 상태 사이의 비저항을 나타낸다.
상변화 물질의 상태 전환은 제공되는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발생할 수 있는 데, 이 온도 변화는 예를 들어 상변화 물질에 연결된 도전체를 사용한 저항 가열에 의해서 유도될 수 있다. 저항 가열은 상변화 물질의 양단에 전기적인 신호, 예를 들어 전류를 흘려보내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저항값은 상변화 물질과 거기에 연결된 도전체 사이의 접촉 면적과 관련이 있는데, 접촉 면적이 작을수록 저항 값이 크며, 저항값이 높을수록 동일한 전류하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상변화 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 즉, 낮은 전력으로 동작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를 위해서는 상변화 물질과 거기에 연결된 도전체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가능한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고집적화가 진행될수록 상기 접촉 면적을 작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면적의 감소와 별도로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특성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개재하는 상변화 물질 패턴; 및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는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화학식 DaMb[GxTy]c(0≤a/(a+b+c)≤0.2, 0≤b/(a+b+c)≤0.1, 0.3≤x/(x+y)≤0.7)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D는 C, N 및 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M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G는 G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T는 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Gx는 Gex1G'x2(0.8≤x1/(x1+x2)≤1)일 수 있고, 상기 G'은 3A족 원소 내지 5A족 원소일 수 있다. 상기 G'는 Al, Ga, In, Si, Sn, As, Sb 또는 Bi일 수 있다. 상기 Ty는 Tey1Sey2(0.8≤y1/(y1+y2)≤1)일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과 상기 제 1 전극 사이 또는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과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과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 사이에 장벽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벽층은 Ti, Ta, Mo, Hf, Zr, Cr, W, Nb, V, N, C, Al, B, P,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벽층은 TiN, TiW, TiCN, TiAlN, TiSiC, TaN, TaSiN, MoN 및 C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은 칼코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코겐 화합물은 D1-Ge-Sb-Te, D2-Ge-Bi-Te, D3-Sb-Te, D4-Sb-Se 및 D5-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1은 C, N, Si, Bi, In, As 및 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2는 C, N, Si, In, As 및 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3은 As, Sn, SnIn, 5B족 원소 및 6B족 원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4는 5A족 원소 및 6A족 원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5는 Ge,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은 데이터 저장 요소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의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의 보유성(retention characteristic) 및 내구성(endurance characteristic)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기판 상의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의 상변화 물질 패턴;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 상의 상변화 보조 패턴; 및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 상의 상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화학식 DaMb[GxTy]c(0≤a/(a+b+c)≤0.2, 0≤b/(a+b+c)≤0.1, 0.3≤x/(x+y)≤0.7)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D는 C, N 및 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M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G는 G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T는 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Gx는 Gex1G'x2(0.8≤x1/(x1+x2)≤1)일 수 있고, 상기 G'은 Al, Ga, In, Si, Sn, As, Sb 또는 Bi일 수 있다. 상기 Ty는 Tey1Sey2(0.8≤y1/(y1+y2)≤1)일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을 둘러싸는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 및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의 폭이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은 플레이트 형태, 실린더 형태, 컵 형태 또는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과 상기 상부 전극 사이에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과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 사이에 장벽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벽층은 Ti, Ta, Mo, Hf, Zr, Cr, W, Nb, V, N, C, Al, B, P,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변화 보조 패턴에 의해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동작 전력이 감소할 수 있고, 데이터 보유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즉,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막 또는 영역들의 두께 등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이 설명된다. 도 1은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Ⅰ-Ⅰ'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하부 전극(25)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20)이 형성된다. 기판(10)은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기판, 소이(SOI) 기판 등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은 제 1 방향(DW)으로 신장하는 워드라 인(WL)을 포함할 수 있다. 또, 기판(10)은 하부 전극(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는 하부 전극(25)과 워드라인(W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층간절연막(20)은 예를 들어,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25)은 예를 들어, 화학기상증착 공정, 원자층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공정 또는 물리기상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층간절연막(20) 내 콘택홀을 채우는 도전막을 형성한 후 화학적기계적연마(CMP) 공정 또는 에치백 공정 등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25)은 도전물질 예를 들어, 티타늄, 질화티타늄(Ti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하부 전극(25)을 포함하여 층간절연막(20) 상에 상변화 물질막(40), 장벽층(50), 상변화 보조막(60), 접착층(70) 및 상부 전극막(80)이 형성된다. 상변화 물질막(40), 장벽층(50), 상변화 보조막(60), 접착층(70) 및 상부 전극막(80)은 화학기상증착 공정, 원자층증착 공정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은 물리기상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변화 물질막(40)은 100~10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장벽층(50)은 10~3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변화 보조막(70)은 100~10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접착층(70)은 10~1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변화 물질막(40)과 상변화 보조막(70) 사이의 장벽층(50) 및 상변화 보조막(70)과 상부 전극막(80) 사이의 접착층(70)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둘 다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변화 물질막(40)은 예를 들어, 칼코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코겐 화합물은 D1-Ge-Sb-Te, D2-Ge-Bi-Te, D3-Sb-Te, D4-Sb-Se 및 D5-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1은 C, N, Si, Bi, In, As 및 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2는 C, N, Si, In, As 및 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3은 As, Sn, SnIn, 5B족 원소 및 6B족 원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4는 5A족 원소 및 6A족 원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5는 Ge,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벽층(50)은 Ti, Ta, Mo, Hf, Zr, Cr, W, Nb, V, N, C, Al, B, P,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벽층(50)은 TiN, TiW, TiCN, TiAlN, TiSiC, TaN, TaSiN, MoN 및 C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벽층(50)은 상변화 물질막(40)과 상변화 보조막(60) 간 물질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상변화 보조막(60)은 화학식 DaMb[GxTy]c(0≤a/(a+b+c)≤0.2, 0≤b/(a+b+c)≤0.1, 0.3≤x/(x+y)≤0.7)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D는 C, N 및 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M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는 G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T는 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Gx는 Gex1G'x2(0.8≤x1/(x1+x2)≤1)일 수 있고, 상기 G'은 3A족 원소 내지 5A족 원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는 Al, Ga, In, Si, Sn, As, Sb 또는 Bi일 수 있다. 상기 Ty는 Tey1Sey2(0.8≤y1/(y1+y2)≤1)일 수 있다.
접착층(70)은 예를 들어,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70)은 상변화 보조막(60) 상에 상부 전극막(80)을 용이하게 증착할 수 있게 한다. 상부 전극막(80)은 도전물질 예를 들어, 티타늄, 질화티타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부 전극막(80), 접착층(70), 상변화 보조막(60), 장벽층(50) 및 상변화 물질막(40)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장벽 패턴(55) 및 상변화 물질 패턴(45)이 형성된다. 상부 전극(85) 상에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는 비트 라인(BL)이 형성될 수 있다. 비트 라인(BL)은 제 2 방향(DB)으로 배열되는 상부 전극들(8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장벽 패턴(55) 및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제 1 방향(DW) 및 제 2 방향(DB)을 따라 섬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장벽 패턴(55) 및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는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는 상부 전극(85)은 비트 라인(BL)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결정질 상태 또는 비정질 상태의 저항 크기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부 전극(45)과 상부 전극(85)은 상변화 물질 패턴(45)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상기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열(heat)에 의존하여 서로 다른 저항을 나타내는 결정질 상태 및 비정질 상태로 가역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상변화 물질 패턴(45)을 결정질 상태 또는 비정질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류, 전압 같은 전기적 신호, 광학 신호, 또는 방사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전극(25)과 상부 전극(80)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저항 가열에 의해 상변화 물질 패턴(45)에 열(heat)이 제공되고,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상기 제공된 열에 의해 용융된 후 냉각되면서 결정질 상태 또는 비정질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상변화 물질 패턴(45)이 어떠한 상태로 돌아오는지는 제공되는 열의 크기, 가열 시간, 냉각 속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변화 보조 패턴(65)은 상변화 물질 패턴(45)의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낮출 수 있다. 또, 상변화 보조 패턴(65)은 상변화 물질 패턴(45)의 보유성(retention characteristic) 및 내구성(endurance characteristic)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상변화 보조 패턴(65)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13a 내지 도 13c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상변화 물질 패턴 및 상변화 보조 패턴의 구성을 나타낸다. 즉, GST1000은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지 않고 상변화 물질 패턴을 1000Å으로 형성한 경우의 상변화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다. GST600/NGT400은 Ge-Sb-Te로 형성된 600Å의 상변화 물질 패턴과 N-Ge-Te로 형성된 400Å의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고, GST600/GT400은 Ge-Sb-Te로 형성된 600Å의 상변화 물질 패턴과 Ge-Te로 형성된 400Å의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다. 또, GST1000/CGT100은 Ge-Sb-Te로 형성된 1000Å의 상변화 물질 패턴과 C-Ge-Te로 형성된 100Å의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고, GST1000/GT100은 Ge-Sb-Te로 형성된 1000Å의 상변화 물질 패턴과 Ge-Te로 형성된 100Å의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각각 상변화 물질 패턴의 리셋 전류, 베이킹 시간, 동작 횟수를 나타낸다.
도 13a를 참조하면,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보다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서 상변화 물질 패턴의 리셋 전류가 낮게 나타났다. 도 13b를 참조하면,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150℃에서 최대 24시간 가열하여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도 13c를 참조하면,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보다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동작 횟수가 10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상기 도면들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가 동작 전력, 보유성 및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가 설명된다.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성 요소들인 기판, 하부 전극, 상변화 물질 패턴, 장벽층, 상변화 보조 패턴, 접착층 및 상부 전극, 층간절연막 각각의 구성 물 질, 형성 공정, 두께, 구조, 형상 및 구성 요소간 관계 등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이 설명된다. 도 3은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Ⅰ-Ⅰ'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하부 전극(25)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20)이 형성된다. 제 1 층간절연막(20) 상에 하부 전극(25)을 노출하는 개구부(32)를 갖는 제 2 층간절연막(30)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 2 층간절연막(30) 상에 개구부(32)를 채우고, 하부 전극(25)과 접속하는 상변화 물질막(40)이 형성된다. 상변화 물질막(40) 상에 장벽층(50), 상변화 보조막(60), 접착층(70) 및 상부 전극막(80)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부 전극막(80), 접착층(70), 상변화 보조막(60), 장벽층(50) 및 상변화 물질막(40)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장벽 패턴(55) 및 상변화 물질 패턴(45)이 형성된다.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개구부(32) 내의 하부와 제 2 층간절연막(30) 상의 상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의 폭은 상기 하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장벽 패턴(55) 및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는 상부 전극(85)은 비트 라인(BL)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이 설명된다. 도 5는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의 Ⅰ-Ⅰ'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하부 전극(25)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20)이 형성된다. 제 1 층간절연막(20) 상에 하부 전극(25)을 노출하는 개구부(32)를 갖는 제 2 층간절연막(30)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b를 참조하면, 개구부(32) 내에 상변화 물질 패턴(45)이 형성된다.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개구부(32)를 채우는 상변화 물질막을 형성한 후 제 2 층간절연막(30)의 상부면을 노출하는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예를 들어,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 또는 에치백 공정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c를 참조하면, 상변화 물질 패턴(45)을 포함하여 제 2 층간절연막(30) 상에 장벽층(50), 상변화 보조막(60), 접착층(70) 및 상부 전극막(80)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d를 참조하면, 상부 전극막(80), 접착층(70), 상변화 보조막(60), 및 장벽층(50)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이 형성된다.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의 폭은 상변화 물질 패턴(45)의 폭보다 클 수 있다.상변화 물질 패턴(45)은 개구부(32) 내의 하부와 제 2 층간절연막(30) 상의 상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의 폭은 상기 하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은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는 상부 전극(85)은 비트 라인(BL)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이 설명된다. 도 7은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Ⅰ-Ⅰ'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하부 전극(25)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20)이 형성된다. 제 1 층간절연막(20) 상에 하부 전극(25)을 노출하는 개구부(32)를 갖는 제 2 층간절연막(30)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b를 참조하면, 개구부(32)의 측벽 및 하부면, 제 2 층간절연막(30)의 상부면을 따라 상변화 물질막(40)이 형성된다. 상변화 물질막(40)은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변화 물질막(40) 상에 개구부(32)를 채우는 충진 절연막(34)이 형성된다. 충진 절연막(34)은 예를 들어, 화학기상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충진 절연막(34)은 산화티타늄, 산화탄탈륨, 산화지르코늄, 산화망간, 산화하프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인듐, 산화니오븀, 산화게르마늄, 산화안티몬, 산화텔루리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c를 참조하면, 제 2 층간절연막(30)의 상부면을 노출하는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여 개구부(32) 내에 상변화 물질 패턴(45) 및 충진 패턴(35)이 형성된다. 충진 패턴(35)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충 진 패턴(35)의 측벽 및 하부면을 둘러싸는 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진 패턴(35) 및 상변화 물질 패턴(45)을 포함하여 제 2 층간절연막(30) 상에 장벽층(50), 상변화 보조막(60), 접착층(70) 및 상부 전극막(80)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d를 참조하면, 상부 전극막(80), 접착층(70), 상변화 보조막(60), 및 장벽층(50)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이 형성된다.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은 상변화 물질 패턴(45) 및 충진 패턴(35)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은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는 상부 전극(85)은 비트 라인(BL)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이 설명된다. 도 9는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f는 도 9의 Ⅰ-Ⅰ'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9 및 도 10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하부 전극 콘택(25)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20)이 형성된다. 제 1 층간절연막(20) 상에 하부 전극 콘택(25)을 노출하는 개구부(32)를 갖는 제 2 층간절연막(30)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 콘택(25)은 도전 물질, 예를 들어 텅스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b를 참조하면, 개구부(32)의 측벽 및 하부면, 제 2 층간절연막(30)의 상부면을 따라 하부 전극막(23)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막(23)은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막(23) 상에 개구부(32)를 채우는 충진 절연막(34)이 형성된다. 충진 절연막(34)은 예를 들어, 화학기상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충진 절연막(34)은 산화티타늄, 산화탄탈륨, 산화지르코늄, 산화망간, 산화하프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인듐, 산화니오븀, 산화게르마늄, 산화안티몬, 산화텔루리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제 2 층간절연막(30)의 상부면을 노출하는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여 개구부(32) 내에 하부 전극 패턴(24) 및 충진 패턴(35)이 형성된다. 충진 패턴(35)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부 전극 패턴(24)은 충진 패턴(35)의 측벽 및 하부면을 둘러싸는 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d를 참조하면,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하부 전극 패턴(24)의 상부가 리세스되어 하부 전극(25)이 형성되고, 제 2 층간절연막(30)과 충진 패턴(35) 사이에 리세스 영역(42)이 형성된다. 상기 식각 공정에서 제 2 층간절연막(30) 및 충진 패턴(35)에 대해 하부 전극 패턴(24)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는 식각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e를 참조하면, 리세스 영역(42)에 상변화 물질 패턴(45)이 형성된다. 상변화 물질 패턴(45)은 리세스 영역(42)을 채우는 상변화 물질막을 형성한 후 제 2 층간절연막(30) 및 충진 패턴(35)의 상부면들을 노출하는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예를 들어,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 또는 에치백 공정일 수 있다.
상변화 물질 패턴(45) 및 충진 패턴(35)을 포함하여 제 2 층간절연막(30) 상에 장벽층(50), 상변화 보조막(60), 접착층(70) 및 상부 전극막(80)이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f를 참조하면, 상부 전극막(80), 접착층(70), 상변화 보조막(60), 및 장벽층(50)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이 형성된다.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은 상변화 물질 패턴(45) 및 충진 패턴(35)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은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는 상부 전극(85)은 비트 라인(BL)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이 설명된다. 도 11은 상기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f는 도 11의 Ⅰ-Ⅰ'라인 및 Ⅱ-Ⅱ'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11 및 도 12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개구부(26)를 갖는 층간절연막(20)이 형성된다. 개구부(26)는 기판(10)을 노출하며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b를 참조하면, 개구부(26)의 양 측벽들과 하부면, 층간절연막(20)의 상부면을 따라 하부 전극막(23)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막(23)은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6)의 측벽들과 하부면은 각각 개구부(26) 를 정의하는 층간절연막(20)의 측벽들과 노출되는 기판(10)의 상부면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c를 참조하면, 개구부(26)의 양 측벽들 상에 하부 전극 패턴(24)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 패턴(24)은 하부 전극막(23)을 전면 이방성 식각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방성 식각에 의해 층간절연막(20)의 상부면과 기판(10)의 상부면이 노출된다. 하부 전극 패턴(24)은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d를 참조하면, 개구부(26) 내에 제 1 충진 패턴(27)이 형성된다. 제 1 충진 패턴(27)은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할 수 있다. 제 1 충진 패턴(27)은 층간절연막(20) 상에 개구부(26)를 채우는 충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층간절연막(20) 및 하부 전극 패턴(24)의 상부면들을 노출하는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예를 들어,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 또는 에치백 공정을 일 수 있다. 제 1 충진 패턴(27)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부 전극막(23) 상에 개구부(26)를 채우는 충진 절연막을 형성한 후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하부 전극 패턴(24) 및 제 1 충진 패턴(27)이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충진 패턴(27) 및 하부 전극 패턴(24)을 포함하여 층간절연막(20) 상에 제 1 방향(DW)으로 신장하는 마스크 패턴(37)이 형성된다. 마스크 패턴(37)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하부 전극 패턴(24), 층간절연막(20) 및 제 1 충진 패턴(27)이 식각되어 제 1 방향으로 신장하는 개구부(28)가 형성된다. 하부 전극 패턴(24)은 패터닝되어 마스크 패턴(28) 아래에 하부 전극(25)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25)은 제 1 방향(DW) 및 제 2 방향(DB)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e를 참조하면, 개구부(28)에 제 2 충진 패턴(29)이 형성된다. 제 2 충진 패턴(29)은 제 1 방향(DW)으로 신장할 수 있다. 제 2 충진 패턴(29)은 개구부(28)를 채우는 충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층간절연막(20), 하부 전극(25) 및 제 1 충진 패턴(27)의 상부면들을 노출하는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예를 들어,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 또는 에치백 공정을 일 수 있다. 제 2 충진 패턴(29)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25), 제 1 충진 패턴(27) 및 제 2 충진 패턴(29)을 포함하여 층간절연막(20) 상에 장벽층(50), 상변화 보조막(60), 접착층(70) 및 상부 전극막(80)이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2f를 참조하면, 상부 전극막(80), 접착층(70), 상변화 보조막(60), 및 장벽층(50)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이 형성된다.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은 상변화 물질 패턴(45)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부 전극(85), 접착 패턴(75), 상변화 보조 패턴(65) 및 장벽 패턴(55)은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제 2 방향(DB)으로 신장하는 상부 전극(85)은 비트 라인(BL)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무선통신 장치 예를 들어, PDA, 랩톱(laptop)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웹 태블릿(web tSblet), 무선 전화기, 휴대폰, 디지털 음악 재생기(digital music player), 또는 정보를 무선환경에서 송신 그리고/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버스(110)를 통해서 서로 결합한 제어기(110), 키패드, 키보드, 화면(display) 같은 입출력 장치(120), 메모리(130), 무선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1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어 제어기(1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메모리(130)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130)는 또한 다른 종류의 메모리, 임의의 수시 접근이 가능한 휘발성 메모리, 기타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RF 신호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140)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140)는 안테나, 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CDMA, GSM, NADC, E-TDMA, WCDAM, CDMA2000 같은 3세대 통시 시스템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Claims (20)

  1.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개재하는 상변화 물질 패턴; 및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는 상변화 보조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화학식 DaMb[GxTy]c(0≤a/(a+b+c)≤0.2, 0≤b/(a+b+c)≤0.1, 0.3≤x/(x+y)≤0.7)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D는 C, N 및 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M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G는 Ge를 포함하고, 상기 T는 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x는 Gex1G'x2(0.8≤x1/(x1+x2)≤1)이고,
    상기 G'은 3A족 원소 내지 5A족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G'는 Al, Ga, In, Si, Sn, As, Sb 또는 B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 화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y는 Tey1Sey2(0.8≤y1/(y1+y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과 상기 제 1 전극 사이 또는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과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사이의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과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 사이의 장벽층을 더 포함하 고,
    상기 장벽층은 Ti, Ta, Mo, Hf, Zr, Cr, W, Nb, V, N, C, Al, B, P,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TiN, TiW, TiCN, TiAlN, TiSiC, TaN, TaSiN, MoN 및 C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은 칼코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칼코겐 화합물은 D1-Ge-Sb-Te, D2-Ge-Bi-Te, D3-Sb-Te, D4-Sb-Se 및 D5-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D1은 C, N, Si, Bi, In, As 및 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D2는 C, N, Si, In, As 및 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D3은 As, Sn, SnIn, 5B족 원소 및 6B족 원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D4는 5A족 원소 및 6A족 원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D5는 Ge,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은 데이터 저장 요소로 기능하고,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의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의 보유성(retention characteristic) 및 내구성(endurance characteristic)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3. 기판 상의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의 상변화 물질 패턴;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 상의 상변화 보조 패턴; 및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 상의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화학식 DaMb[GxTy]c(0≤a/(a+b+c)≤0.2, 0≤b/(a+b+c)≤0.1, 0.3≤x/(x+y)≤0.7)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D는 C, N 및 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M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G는 Ge를 포함하고, 상기 T는 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Gx는 Gex1G'x2(0.8≤x1/(x1+x2)≤1)이고,
    상기 G'은 Al, Ga, In, Si, Sn, As, Sb 또는 B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Ty는 Tey1Sey2(0.8≤y1/(y1+y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을 둘러싸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은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 및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의 폭이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은 플레이트 형태, 실린더 형태, 컵 형태 또는 고리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과 상기 상부 전극 사이의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전이금속, Al, Ga 및 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 패턴과 상기 상변화 보조 패턴 사이의 장벽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벽층은 Ti, Ta, Mo, Hf, Zr, Cr, W, Nb, V, N, C, Al, B, P,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KR1020080032765A 2008-04-08 2008-04-08 상변화 메모리 장치 KR20090107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765A KR20090107320A (ko) 2008-04-08 2008-04-08 상변화 메모리 장치
US12/406,344 US20090250682A1 (en) 2008-04-08 2009-03-18 Phase change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765A KR20090107320A (ko) 2008-04-08 2008-04-08 상변화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320A true KR20090107320A (ko) 2009-10-13

Family

ID=4113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765A KR20090107320A (ko) 2008-04-08 2008-04-08 상변화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250682A1 (ko)
KR (1) KR200901073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191A (ko) * 2014-06-16 2015-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WO2018225993A1 (ko) * 2017-06-07 2018-12-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역 상 변화 특성을 갖는 상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를 이용하여 고집적 3차원 아키텍처를 갖는 상 변화 메모리
CN109301064A (zh) * 2018-08-28 2019-02-01 江苏理工学院 一种Sb70Se30/C多层复合相变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950A (ja) * 2009-01-16 2010-07-29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146913A2 (en) * 2010-05-21 2011-11-24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Germanium antimony telluride materials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9054295B2 (en) * 2011-08-23 2015-06-09 Micron Technology, Inc. Phase change memory cells including nitrogenated carbon materials, methods of forming the same, and phase change memory devices including nitrogenated carbon materials
CN102832341B (zh) * 2012-09-12 2014-11-05 同济大学 一种Al-Sb-Se纳米相变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9640757B2 (en) 2012-10-30 2017-05-02 Entegris, Inc. Double self-aligned phase change memory device structure
US9419212B2 (en) * 2014-12-05 2016-08-16 Intel Corporation Barrier film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for phase-change memory elements
CN106960905A (zh) * 2016-01-08 2017-07-18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电子装置
US10580978B2 (en) * 2017-01-08 2020-03-03 Intermolecular, Inc. Current compliance layers and memory arrays comprising thereof
CN108346739B (zh) * 2018-01-31 2019-09-13 华中科技大学 一种Ge-Sb-C相变存储材料、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037438B (zh) * 2018-06-22 2022-07-29 杭州电子科技大学 用于人工神经网络中的N-Ti-Sb-Te基突触仿生器件
JP2021048258A (ja) * 2019-09-18 2021-03-25 キオクシア株式会社 抵抗変化素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145A (en) * 1994-06-14 1996-06-25 Syn-Tech Chem & Pharm Co., Ltd. Anticholesteremic compounds
US6507061B1 (en) * 2001-08-31 2003-01-14 Intel Corporation Multiple layer phase-change memory
US7115927B2 (en) * 2003-02-24 2006-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ase changeable memory devices
KR100687750B1 (ko) * 2005-09-07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티몬과 셀레늄 금속합금을 이용한 상변화형 메모리소자및 그 제조방법
US7692272B2 (en) * 2006-01-19 2010-04-06 Elpida Memory, Inc. Electrically rewritable non-volatile memory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191A (ko) * 2014-06-16 2015-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WO2018225993A1 (ko) * 2017-06-07 2018-12-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역 상 변화 특성을 갖는 상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를 이용하여 고집적 3차원 아키텍처를 갖는 상 변화 메모리
KR20180133771A (ko) * 2017-06-07 2018-12-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역 상 변화 특성을 갖는 상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를 이용하여 고집적 3차원 아키텍처를 갖는 상 변화 메모리
US11195996B2 (en) 2017-06-07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reversed phase-change characteristics and phase-change memory having highly integrated three-dimensional architecture using same
US11812661B2 (en) 2017-06-07 202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reversed phase-change characteristics and phase-change memory having highly integrated three-dimensional architecture using same
CN109301064A (zh) * 2018-08-28 2019-02-01 江苏理工学院 一种Sb70Se30/C多层复合相变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50682A1 (en)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7320A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
KR101486984B1 (ko)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방법
EP1684352B1 (en) Phase-chang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EP2034536B1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for multibit storage
KR101535653B1 (ko)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66504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19989B1 (ko)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2204860B1 (en) Forming a carbon passivated ovonic threshold switch
US20070272950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00072453A1 (en) Phase-Changeable Fuse Elements and Memory Devices Containing Phase-Changeable Fuse Elements and Memory Cells Therein
KR20090116500A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US7858961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604041B1 (ko)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20080110348A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CN102104055A (zh) 可变电阻存储器
KR20120134458A (ko) 적층형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KR20110022250A (ko)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20090117103A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
KR101598378B1 (ko)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US20100163826A1 (en) Method for active pinch off of an ovonic unified memory element
US20080173860A1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70018148A1 (en) Phase change memory with U-shaped chalcogenide cell
KR20120077505A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754516B2 (en) Fabricating sub-lithographic contacts
KR20130045682A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