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137A -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 Google Patents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137A
KR20090102137A KR1020080027400A KR20080027400A KR20090102137A KR 20090102137 A KR20090102137 A KR 20090102137A KR 1020080027400 A KR1020080027400 A KR 1020080027400A KR 20080027400 A KR20080027400 A KR 20080027400A KR 20090102137 A KR20090102137 A KR 20090102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er
support
blade
shaf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136B1 (ko
Inventor
한정식
김경희
Original Assignee
한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식 filed Critical 한정식
Priority to KR102008002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13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 B26B17/006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having cutting edges parallel to a pivot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발톱 주변의 굳은살(cuticle)을 제거하거나, 전자부품의 리드 선 등을 자르는데 사용하는 니퍼에 관한 것으로,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한쪽으로부터 형성된 축지지부에 축홀이 형성되고 이 축지지부의 끝단에는 굽힘으로 니퍼날체의 누름편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와; 중앙에 'U'자 형으로 굽힘된 탄성부와, 이 탄성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강성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와, 이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로부터 연장된 끝에 서로 맞물리는 절단날과, 상기 제1지지체의 상부 일측에서 굽힘으로 하여 제2지지체를 향해 형성된 축지지편에 축홀을 갖는 니퍼날체와; 상기 한 쌍의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를 축홀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하고, 하측으로 상기 니퍼날체의 축홀과 축 조립하여 니퍼날체의 누름편이 상기 니퍼날체의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의 외측면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를 움켜쥐면 니퍼날체의 누름편이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의 외측면을 누르는 것으로 절단날이 맞물려 절단작용을 하게 되고, 절단 후에는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Nipper blade body and the Nipp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손, 발톱 주변의 굳은살(cuticle)을 제거하거나, 전자부품의 리드 선 등을 자르는데 사용하는 니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발명하여 2008.03.13자로 공개된 국제공개특허공보 WO/2008/030017(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23104)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6147호(2007.06.29)를 개선하여 니퍼날체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니퍼날체가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한 것으로, 일체로 형성된 니퍼날체의 탄성부가 절단날과의 거리가 멀어져 더욱 부드럽게 작동되고, 상기 니퍼날체의 탄성부 보다 앞쪽으로 손잡이의 축홀이 위치되어 손잡이의 누름편과 거리를 더욱 가깝게 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니퍼날체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고, 프레스 성형에 의한 니퍼날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 케어에서 사용되는 니퍼는, 손톱 및 발톱 주변의 굳은살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고,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니퍼는, 철사나 전자부품의 리드 선을 자를 때나 배선 시 주로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니퍼는 절단날과 축홀 및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두 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교차하여 축으로 조립된 것으로, 두 손잡이를 움켜쥐면 절단날이 맞물려 절단작용을 하고, 별도로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손잡이와 절단날이 벌어져 원위치 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작용 후 손잡이를 놓으면 손잡이와 날이 저절로 벌어지도록 한 미국특허 제4,739,552호 및 미국특허 제5,214,854호 및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98547호가 개시된다. 이는 손잡이 사이에 스프링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니퍼를 구성하는 절단날을 사용 후 버릴(disposable)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미국특허 제5,331,73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손톱을 자르는 니퍼로서 절단부재를 핸들에서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나 절단부재가 핸들 몸체에서 설치구조가 취약하고 강한 절단력을 적용하기가 어려우며 사용 중 절단부재가 움직일 수 있어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66092호의 니퍼는, 간단한 절단날편 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특별한 기능이나 장점은 없고 오히려 실제 사용상 날이 맞지 않는 문제점이 예측되며, 스프링 수단도 별도로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자가 발명하여 공개된 국제공개특허공보 WO/2008/030017(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23104)의 '니퍼날체와 누름손잡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6147호의 '니퍼용 탄성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는, 니퍼날체에 형성된 축홀과 손잡이에 형성된 누름부의 거리가 멀어 손잡이를 부여잡고 절단날을 맞물리게 하는 동작에 힘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니퍼날체의 프레스 형성이 매우 까다로워 대량생산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톱 및 발톱 주변의 굳은살을 제거하거나 전자부품의 리드 선 등을 자르는데 사용하는 니퍼로서, 니퍼날체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니퍼날체가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한 것으로, 일체로 형성된 니퍼날체의 탄성부가 절단날과의 거리가 멀어져 더욱 부드럽게 작동되고, 상기 니퍼날체의 탄성부 보다 앞쪽으로 손잡이의 축홀이 위치되어 손잡이의 누름편과 거리를 더욱 가깝게 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니퍼날체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니퍼날체의 축 조립구조를 간단히 하여 프레스 성형에 의한 니퍼날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한쪽으로부터 형성된 축지지부에 축홀이 형성되고 이 축지지부의 끝단에는 굽힘으로 니퍼날체의 누름편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와; 중앙에 'U'자 형으로 굽힘된 탄성부와, 이 탄성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강성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와, 이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로부터 연장된 끝에 서로 맞물리는 절단날과, 상기 제1지지체의 상부 일측에서 굽힘으로 하여 제2지지체를 향해 형성된 축지지편에 축홀을 갖는 니퍼날체(Nipper blade body)와; 상기 한 쌍의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를 축홀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하고, 하측으로 상기 니퍼날체의 축홀과 축 조립하여 니퍼날체의 누름편이 상기 니퍼날체의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의 외측면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를 움켜쥐면 니퍼날체의 누름편이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의 외측면을 누르는 것으로 절단날이 맞물려 절단작용을 하게 되고, 절단 후에는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퍼날체의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의 측면에는 니퍼날체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엠보스(embos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의 하부를 통해 조립되어 적절한 폭과 길이를 가지고, 니퍼날체 내측의 절단날 상측으로 위치되어, 튀어 오르는 절단물을 막아주는 비산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니퍼는, 니퍼날체를 'U'자 형으로 굽힘하여 일체로 만들 수가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 향상에 따른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체로 된 니퍼날체의 탄성부가 절단날로부터 거리가 멀어 더욱 부드럽게 작동되고, 손잡이의 축홀이 니퍼날체의 탄성부 보다 앞쪽으로 위치하고 있어 손잡이의 누름편과 거리를 더욱 가깝게 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니퍼날체의 누르는 힘이 적게 들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에 편의성을 갖는다.
또한, 니퍼날체를 손잡이를 통해 움켜쥐어 대상물을 절단한 후 손잡이를 놓으면 니퍼날체의 탄성부에 의해 저절로 탄성 복원됨으로써 기존의 니퍼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날 벌림 스프링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니퍼날체를 손잡이와 분리하여 제조함으로써 니퍼날체의 대량 자동화 생산으로 인해 품질의 균질화 및 생산성 향상에 따른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니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니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니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니퍼날체가 벌어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니퍼날체가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로서 비상방지판을 설치한 니퍼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니퍼 20 : 제1손잡이
30 : 제2손잡이 40 : 축
50 : 니퍼날체 51, 52 : 절단날
53 : 탄성부 54 : 제1지지체
55 : 제2지지체 56 : 축홀
57 : 축지지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기 바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과 대체되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니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니퍼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니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니퍼날체가 벌어진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니퍼날체가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면부호 10은 너퍼의 전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니퍼(10)는, 손톱 및 발톱 주변의 굳은살을 제거하거나, 전자부품의 리드 선 등을 자르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로 한 쌍의 제1손잡이(20)와 제2손잡이(30) 및 축(40)과 니퍼날체(50)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1손잡이(20)와 제2손잡이(30)가 축(40)을 중심으로 교차 조립되고 상기 니퍼날체(50)가 상기 축(40)을 통해 조립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손잡이(20)와 제2손잡이(30)를 손으로 잡고 움켜쥐면 니퍼날체(50)의 절단날(51)(52)이 맞물려 절단작용을 한다.
상기 한 쌍의 제1손잡이(20)와 제2손잡이(30)는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를 갖는 손잡이(21)(31)의 한쪽으로부터 형성된 축지지부(24)(34)에 축홀(22)(32)이 형성되고, 이 축지지부(24)(34)의 끝단에는 하향으로 하여 거의 직각으로 굽힘된 니퍼날체(50)의 누름편(23)(3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1)(31)의 한쪽으로부터 형성된 축지지부(24)(34)는 손잡이(21)(31)와 함께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분리하여 연결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1)(31)는 이로부터 형성된 축지지부(24)(34)와 단일체로 형성하고 손잡이(21)(31)에 잡기 편하도록 부드러운 소재를 덧씌울 수 있다. 즉, 상기 축지지부(24)(34)를 포함한 손잡이(21)(31) 전체를 합금 강(Alloy Steel),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이나 고강도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손잡이(21)(31)만 플라스틱 소재로 덧씌울 수 있다.
상기 니퍼날체(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U'자 형으로 굽힘된 탄성부(53)와, 이 탄성부(53)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강성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체(54) 및 제2지지체(55)와, 이 제1지지체(54) 및 제2지지체(55)로부터 연장된 끝에 서로 맞물리는 절단날(51)(52)과, 상기 제1지지체(54)의 상부 일측에서 굽힘으로 하여 제2지지체(55)를 향해 형성된 축지지편(57)에 축홀(56)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니퍼(10)는, 한 쌍의 제1손잡이(20) 및 제2손잡이(30)에 형성된 축지지부(24)(34)의 축홀(22)(32)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하고 축(40)을 통해 상기 니퍼날체(50)의 축지지편(57)에 형성된 축홀(56)과 조립하여 축지지부(24)(34)의 누름편(23)(33)이 상기 니퍼날체(50)의 제1지지체(54) 및 제2지지체(55)의 외측면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한 쌍의 제1손잡이(20) 및 제2손잡이(30)를 잡고 움켜쥐면 축지지부(24)(34)의 누름편(23)(33)이 니퍼날체(50)의 제1지지체(54) 및 제2지지체(55)의 외측면을 누름으로써 니퍼날체(50)의 탄성부(53)에 의해 절단날(51)(52)이 탄성적으로 맞물려 절단작용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니퍼날체(50)의 제1지지체(54)와 제2지지체(55)의 측면에는 니퍼날체(5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엠보스(58)를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니퍼날체(50)의 소재는 프레스 성형이 용이한 금속재를 사용하며 성형 후 열처리에 의해 날의 강도와 탄성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합금 강(Alloy Steel)이나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니퍼(10)는 도 4a와 같이 니퍼날체(50)의 제1지지체(54)와 제2지지체(55)가 탄성부(53)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손잡이(21)(31)를 움켜쥐면 축(40)을 중심으로 양 누름편(23)(33)이 동시에 제1 및 제2지지체(54)(55)의 외측면을 누르게 되어, 도 4b와 같이 절단날(51)(52)이 서로 맞물리면서 대상물을 자르게 되고, 손잡이(21)(31)를 놓으면 탄성부(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4a와 같이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21)(31)를 잡고 움켜쥐면 축(40)을 중심으로 니퍼날체(50)의 절단날(51)(52)이 맞물림 작용을 하게 되는바, 이때 축(40)의 중심으로부터 제1 및 제2지지체(54)(55)의 외측면을 누르는 누름편(23)(33)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지렛대 원리에 의해 적은 힘으로 손잡이(21)(31)를 움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21)(31)를 적으로 힘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축(40)과 연결되는 니퍼날체(50)의 축지지편(57)에 형성된 축홀(56)이 제1지지체(54)의 절단날(51)과 탄성부(53)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편(23)(33)과 축(40)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로서 비산방지판을 설치한 니퍼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니퍼의 절단날은 칼날과 달리 비교적 큰 각도를 가진 웨지(Wedge)작용으로 절단을 하는 것으로 네일 큐티클이나 철사 또는 구리선을 자를 때 잘린 물체가 튈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40)의 하부를 통해 조립되어 적절한 폭과 길이를 가지고, 니퍼날체(50) 내측의 절단날(51)(52) 상측으로 위치되어, 튀어 오르는 절단물을 막아주는 비산방지판(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손톱 및 발톱의 굳은살을 제거하거나, 전자부품의 리드 선 등을 자르는데 사용하는 니퍼는, 현재 네일샵(Nail Shop)에서나 전자업계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공구이다.
일반적으로 니퍼를 제조하는 데는 복잡한 공정은 물론 많은 수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작업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원천적으로 니퍼의 구조나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니퍼날체의 생산성 향상은 물론 이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하여 소비자에게 기여할 수 있음에 따라 산업상의 이용은 매우 높을 수밖에 없다.

Claims (4)

  1.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한쪽으로부터 형성된 축지지부에 축홀이 형성되고 이 축지지부의 끝단에는 굽힘으로 니퍼날체의 누름편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와;
    중앙에 'U'자 형으로 굽힘된 탄성부와, 이 탄성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강성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와, 이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로부터 연장된 끝에 서로 맞물리는 절단날과, 상기 제1지지체의 상부 일측에서 굽힘으로 하여 제2지지체를 향해 형성된 축지지편에 축홀을 갖는 니퍼날체와;
    상기 한 쌍의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를 축홀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하고, 하측으로 상기 니퍼날체의 축홀과 축 조립하여 니퍼날체의 누름편이 상기 니퍼날체의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의 외측면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를 움켜쥐면 니퍼날체의 누름편이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의 외측면을 누르는 것으로 절단날이 맞물려 절단작용을 하게 되고, 절단 후에는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의 하부를 통해 조립되어 적절한 폭과 길이를 가지고, 니퍼날체 내측의 절단날 상측으로 위치되어, 튀어 오르는 절단물을 막아주는 비산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퍼.
  3. 중앙에 'U'자 형으로 굽힘된 탄성부와, 이 탄성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강성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와, 이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로부터 연장된 끝에 서로 맞물리는 절단날과, 상기 제1지지체의 상부 일측에서 굽힘으로 하여 제2지지체를 향해 형성된 축지지편에 축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퍼날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니퍼날체의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의 측면에는 니퍼날체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엠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퍼.
KR1020080027400A 2008-03-25 2008-03-25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KR10095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00A KR100953136B1 (ko) 2008-03-25 2008-03-25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00A KR100953136B1 (ko) 2008-03-25 2008-03-25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37A true KR20090102137A (ko) 2009-09-30
KR100953136B1 KR100953136B1 (ko) 2010-04-19

Family

ID=4135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00A KR100953136B1 (ko) 2008-03-25 2008-03-25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1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703U (ko) * 2019-09-19 2021-03-29 유광현 네일 케어용 니퍼
KR102479747B1 (ko) * 2021-06-28 2022-12-20 손태환 1회용 네일아트용 니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1561C2 (de) * 1997-11-20 1999-11-25 Udo Rieser Manikürzange
KR100736147B1 (ko) 2006-08-11 2007-07-06 한정식 니퍼용 탄성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KR20080023104A (ko) * 2006-09-07 2008-03-12 한정식 니퍼날체와 누름손잡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703U (ko) * 2019-09-19 2021-03-29 유광현 네일 케어용 니퍼
KR102479747B1 (ko) * 2021-06-28 2022-12-20 손태환 1회용 네일아트용 니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136B1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6542B2 (ja) 爪切り及び爪切り用刃体と、梃子、そして支持軸
US5438759A (en) Button removal device
WO2007027789A3 (en) Rose pruning and stripping device
US20080148572A1 (en) Nail clipper
EP1656893A2 (en) Combined grip-cut tool
KR100953136B1 (ko)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JP2003199984A (ja) 自立型鋏
JP6858491B2 (ja) 手持ち式成形工具
WO2012004885A1 (ja) 毛抜き
US7363712B1 (en) Cutting tool having detachable grips
JP2009083053A (ja) プライヤ−
KR100736147B1 (ko) 니퍼용 탄성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KR20080023104A (ko) 니퍼날체와 누름손잡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JP4343843B2 (ja) グリップ
JP2008011977A (ja) 手動工具
US6477884B1 (en) Reciprocating saw blade repair device
JPS60500240A (ja) クリップ取外しはさみ具
KR100497063B1 (ko) 손톱깎이 및 손톱깎이용 날체와 지렛대 그리고 지지축
JP3118904U (ja) 医療用カッター
JP3206877U (ja) 爪切り
JP2008079433A (ja) 電線被覆切具及びその取扱方法
JP2002355776A (ja) 利器・工具類の柄
JP4801425B2 (ja) 手動切断具
KR200413828Y1 (ko) 집게의 장력을 조절 가능한 집게형 가위
JP3192686U (ja) カップシール剥が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