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274A -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 Google Patents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274A
KR20090101274A KR1020097015290A KR20097015290A KR20090101274A KR 20090101274 A KR20090101274 A KR 20090101274A KR 1020097015290 A KR1020097015290 A KR 1020097015290A KR 20097015290 A KR20097015290 A KR 20097015290A KR 20090101274 A KR20090101274 A KR 2009010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age
signal
infrared signal
radio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834B1 (ko
Inventor
마나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9010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63F13/23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infrared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43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involving concurrently two or more players on the same game device, e.g. requir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controllers or of a specific view of game data for each p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into a haptic signal, e.g. usin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2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a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a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mput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6Shoo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어가 접근전을 하는 경우 보다 박진감 넘치는 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 피해치 판단수단(35), 전파신호 발신수단(37), 전파신호 수신수단(39), 전파강도 판단수단(41), 피해상태 판단수단(49) 및 피해상태 발현수단(51)를 포함한다.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의한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변화한다.
적외선, 총격게임, 플레이어, 장난감 총

Description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TOY FOR SHOOTING TWO-PLAYER GAME}
본 발명은 적외선신호를 발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완구를 이용하여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 간에 총격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2006-34823호 공보(특허문헌1)에는, 적외선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장난감 로봇(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을 무선조종하고 서로의 장난감 로봇이 총격전을 할 수 있는 총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특허문헌1에 따르면 일측 로봇이 타측 로봇으로부터 적외선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공격을 받은 것을 나타내 보이는 충격신호(전파신호)를 게임판단장치에 전송한다.
그리고 일본특허공개 2004-24584호 공보(특허문헌2)에는,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는 플레이어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는 광선총 장난감(두 명 또는 그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광선총 장난감은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는 플레이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제공되고 상기 표시부에는 공격한 플레이어의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 제2006-34823호
특허문헌2 : 일본특허공개 제2004-24584호
[발명이 해결하기 위한 과제]
두 명 또는 그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종래기술에 의한 장난감 총은, 적외선신호로 형성된 가상탄을 맞았는지, 누가 공격한 가상탄인지 그리고 어느 정도의 피해를 받았는지를 검출하는 부분에 촛점이 맞추어져 개발되었다. 종래기술에 의한 장난감 총에서는, 플레이어들이 상대방 플레이어가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도, 또 먼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도 같은 감각으로 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장난감 총를 가지고 플레이하는 플레이어들은 접근전을 하고 있을 때의 박진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플레이가 단조롭게 느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근전을 실감할 수 있는 두 명 또는 그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난감 총간의 피해크기에 장난감 사이의 거리를 반영할 수 있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 플레이어와 타측 플레이어 간에 장난감 총 사이의 거리를 느낄 수 있고,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을 인식할 수 있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 플레이어와 타측 플레이어의 거리에 따라 변 화하는 피해를 인식할 수 있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 플레이어가 근거리로부터의 공격을 성공시켰을 경우에 플레이 상태를 유리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과 타측플레이어의 장난감 총 사이의 거리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은, 접근전의 박진감을 실감할 수 있도록, 적외선신호 발생수단, 적외선신호 수신수단, 피해치 판단수단, 피해상태 판단수단, 피해상태 발현수단, 전파신호 발신수단, 전파신호 수신수단, 전파강도 판단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은, 사격용 적외선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이 광선총이면, 방아쇠를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적외선신호 발생수단은 적외선신호를 발생한다. 적외선신호는, 상대방 플레이어 또는 상대방 플레이어의 총에 피해를 주기 위해 발신되는 가상탄이다.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은, 타측 플레이어가 발신한 적외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의 구성은 제한이 없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은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센서부와 상기 수신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센서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신센서부와 상기 신호처리부가 서로 분리되는 분리형 구조인 경우에, 상기 수신센서부는 장난감 총 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 예컨대 플레이어의 가슴과 머리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신센서부는 장난감 총 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은, 타측 플레이어가 발신한 적외선신호를 수신하고 피해치 판단수단에 보고한다.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이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면 파라미터치에 근거해 피해치를 판단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해치는, 일측 플레이어 또는 일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이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으로부터 발신된 적외선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피해량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파라미터치는 피해치를 연산하는데 이용하는 매개변수이다.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연산식은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해치 판단수단이 전파강도 판단수단의 판단결과에 따른 매개변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해상태 판단수단은, 피해치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피해치에 따라 피해상태를 판단한다. 피해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한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피해상태는 피해치의 적산치에 따라 판단될 수 있거나 소정치로부터 피해치를 감산해 얻은 감산치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플레이어 또는 장난감 총이 받은 피해치량 또는 플레이어 또는 장난감 총이 받을 수 있는 피해의 잔량이 피해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피해상태는 피해상태 발현수단에 의해 외부에 발현된다. 상기 피해상태 발현수단은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에 의해서 피해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시각적인 확인을 위해서는, 표시화면이 이용될 수 있다. 청각적인 확인을 위해서는 부저와 같은 소리발생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피해값 및/또는 피해상태를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수단이 피해상태 발현수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피해치 및/또는 피해상태를 플레이어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플레이 동안에 플레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파신호 발신수단은 소정의 전파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소정의 전파신호는 미리 정한 주파수의 전파신호이다. 동일한 주파수가 모든 장난감 총에 탑재될 수 있지만 주파수는 각각의 장난감 총 마다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장난감 총이 게임에서 이용되는 경우에 상기 장난감 총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그룹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파신호의 주파수가 각각의 그룹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주파수가 모든 장난감 총에 탑재되는 경우에 식별정보가 각각의 플레이어 전파신호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전파신호에 포함된다.
상기 전파신호 수신수단은,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으로부터 발신된 전파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다른 주파수가 이용되는 경우에 다수 주파수의 식별기능을 갖는 전파신호 수신수단이 이용된다. 동일한 주파수가 장난감 총에 탑재되는 경우에, 전파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갖는 전파신호 수신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파신호 발신수단은 상시적으로 주기적으로 또는 소정 조건하에서 전파신호를 발신하고 있다: 이하의 조건이 고려될 수 있다. 장난감 총은 소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되면서 전파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장난감 총은 적외선 신호 발생수단이 적외선 신호를 발생할 때 동시에 전파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은, 전파신호 수신수단이 수신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를 판단한다. 상기 전파신호는, 전파신호 발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이후에 전파신호 발신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만큼 감쇠해 나간다. 때문에 전파신호 발신수단이 발신하는 전파신호의 강도를 미리 알고 있으면, 수신한 전파신호의 강도의 판단은 전파신호를 발신한 장난감 총의 전파신호 발신수단과 상기 전파신호를 수신한 다른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의 전파신호 수신수단과의 사이의 대략의 거리(rough distance)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파강도 판단수단의 판단결과를 이용하면, 상대방 또는 상대방의 장난감 총이, 자신 또는 자신의 장난감 총의 근처에 오고 있는 것, 즉 접근전이 상황에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피해치 판단수단이 전파강도 판단수단의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변경한다. 그 결과, 접근전이 되었을 때에는, 접근전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와 비교해서, 피해치가 다르다.
예를 들어 접근전에서 상대의 공격의 위력이 증가하는 설정이면, 전파강도 판단수단의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크게 한다. 반대로, 접근전에서 상대의 공격의 위력을 저감하는 설정이면,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작게 한다. 어쨌든 파라미터치가 바뀌어 피해치의 증감량이 바뀌는 것으로, 플레이어는 접근전을 의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접근전을 의식한 박진감 넘치는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임의의 방법으로 파라미터치를 변경할 수 있지만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판단한 전파강도에 따라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덧붙여 본 발명에서 "비례"는 정비례 및 역비례의 쌍방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피해치는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으로부터의 거리만큼 커진다. 또한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판단한 전파강도가 미리 설정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레벨 범위 중에서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된 레벨범위에서 파라미터치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레벨 범위에서 소정 값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피해치 판단수단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갑자기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는 진동을 일으킬 수 있고 아울러 박진감을 보다 더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의 판단결과는 접근전 상태의 플레이어를 직접적으로 인식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판단결과를 외부에 발현하는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표시화면이 시각적으로 판단결과를 발현하는 경우에 전파강도표시 지령발생수단이 이미지 표시수단에 제공된다. 상기 전파강도표시 지령발생수단은 표시화면에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전파강도를 표시하는 것이 필요한 명령어를 주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장난감 총을 진동하는 진동발생수단이, 전파강도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전파강도가 미리 정한 레벨을 넘는 동안 플레이어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진동발생수단을 마련하면, 플레이에 열중하고 있는 동안에, 진동에 의해 접근전 상태에 들어간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박진감을 만끽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가 진동을 받았을 때에는, 곧바로 접근전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비교해서 속도감있게 플레이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진동발생수단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전파강도가 강해질수록, 진동이 강해지는 기능을 진동발생수단에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진동의 힘에 의해서, 상대방과의 거리를 촉각으로 알 수 있어 한층 더 박진감을 느낄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은 적외선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은 전파신호의 발신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플레이어들이 장난감 총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는 경우에 누구로부터의 공격으로 피해를 받았는지를 아는 기능이나, 누가 자신의 근처에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기능, 자신의 피해량을 상대에게 알리는 기능 등과 같이, 여러가지 기능을 장난감 총에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적외선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전파신호 발신수단이, 식별정보가 적외선신호 및 전파신호의 쌍방으로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장난감 총에 의해 많은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적외선신호의 발생원 또는 전파신호의 발신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피해치 판단수단은 식별정보를 판단하는 기능과 식별정보에 따른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파라미터치는 식별자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예컨대 주변의 장난감 총이 아군의 장난감 총인 경우에 파라미터치를 변경하지 않고 주변의 장난감 총이 적군의 장난감 총인 경우에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설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치는 각 장난감 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파라미터치가 접근전인 경우 뿐만 아니라 각 총의 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플레이어가 한층 더 작전을 세우는 즐거움을 더할 수 있다.
상기 전파신호 발신수단이 식별정보를 포함한 전파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경우에, 식별정보 검사수단이 각 장난감 총에 구비된다. 이 경우에는 전파신호 발신수단이 피해상태를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일측 플레이어의 식별정보 검사수단이 식별정보를 발신한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을 식별할 수 있고 일측 플레이어의 피해상태를 타측 플레이어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타측 플레이어는 피해를 가한 정도와 피해정도를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파신호가 적외선신호를 발신한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을 알리는데 이용될 때, 타측 플레이어는, 타측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으로부터 발신된 적외선신호에 의한 일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의 피해상태 또는/및 피해치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흥미지진한 플레이가 될 수 있다.
다수의 플레이어가 적과 아군으로 나뉘어져 플레이하는 경우에, 총에 의한 연계 또는 연합공격이 장난감 총 또는 아군이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장난감 총을 갖는 플레이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해제신호가 전파강도판단수단에 부가될 수 있다.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미리 정한 전파강도 레벨 이상 있는 것을 판단하면 해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해제신호는, 수신한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미리 정한 전파강도 레벨 이상인 경우에, 후술하는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에 설치된 출력대기기능 및/또는 피해치 판단수단에 설치된 판단대기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출력된다.
이하의 설명에서와 같이 출력대기기능 및 불가능기능이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에 부가된다. 상기 출력대기기능은 새로운 적외선신호를 수신해도 이전의 적외선신호의 수신으로부터 수신 이후의 소정 시간 경과 때까지 시간 사이에 적외선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불가능기능은, 해제신호가 전파강도 판단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안에 출력대기기능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소정 거리 이내에 다수의 적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제신호가 전파강도 판단수단으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플레이어 근처의 적에 의해 동시에 공격이 이루어질 때 해제신호는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의 출력대기기능을 불가능으로 하며, 적군의 다수의 장난감 총으로부터 적외선신호의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피해량은 몇 분 내에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플레이어가 작전을 세워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미리 정한 전파강도 레벨 이상 있는 것을 판단하면 해제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 판단대기기능과 불가능기능이 피해치 판단수단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판단대기기능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이 주기동안에 새로운 적외선 신호를 수신해도,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이 이전의 적외선신호를 수신할 때의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수신 이후의 경과될 때까지 피해치를 판단하지 않는다.
상기 불가능기능은, 해제신호가 전파강도 판단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안에 판단대기기능을 불가능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다수의 아군들과의 연합공격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본 발명에 의한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의 특징은,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에 있어서, 사격을 위한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신호 발생수단과; 다른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장난감 총에 의해 발생한 상기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이 상기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면 파라미터치에 따라 피해치를 판단하는 피해치 판단수단과; 상기 피해치에 따라 피해상태를 판단하는 피해상태 판단수단; 및 상기 피해치 및 피해상태를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피해상태 발현수단을 포함하되,
소정의 전파신호를 발신하는 전파신호 발신수단과; 다른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의해 발신되는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전파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전파신호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를 판단하는 전파강도 판단수단; 및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소정 레벨 또는 소정 레벨 보다 높은 레벨에서 전파강도를 인식하는 동안에 장난감 총을 진동하는 진동발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며,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변경한다.
(2) 상술한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전파강도에 따라 연속 또는 단계적으로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술한 (1)에 의하면,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전파강도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소정 레벨범위 사이에 떨어지는(fall) 범위에서 판단되고, 판단된 레벨범위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술한 (1)에 의하면, 상기 피해상태 판단수단은, 피해치의 적산치 또는 소정치로부터 피해치를 감산한 감산치에 따라 피해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술한 (1)에 의하면,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은 적외선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상술한 (1)에 의하면, 상기 전파신호 발생수단은 전파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상술한 (1)에 의하면,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은 적외선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전파신호 발생수단은 전파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상술한 (6) 또는 (7)에 의하면,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식별정보에 따라 파라미터리치를 변경하는 기능과 식별정보를 검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상술한 (6) 또는 (7)에 의하면, 식별정보를 검사하는 식별정보 검사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전파신호발생수단은 식별정보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되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거나 발신하는 다른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피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기능을 전파신호에 포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상술한 (6) 또는 (7)에 의하면, 상기 전파신호 발생수단은 식별정보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되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거나 발신하는 다른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피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기능을 전파신호에 포함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전파신호 발생수단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이 적외선신호를 수신할 때 식별정보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되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거나 발신하는 다른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피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기능을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상술한 (1)에 의하면,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은,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전파강도 레벨 또는 소정 레벨 보다 높은 레벨에 있는지를 판단할 때, 불가능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은, 적외선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지속적인 적외선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이전의 적외선신호가 수신된 후에 소정 시간 경과 때까지 대기하는 대기기능과,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불가능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대기기능을 불가능으로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상술한 (1)에 의하면,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은,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전파강도 레벨 또는 소정 레벨 보다 높은 레벨에 있는지를 판단할 때, 불가능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지속적인 적외선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피해치를 판단하지 않고, 이전의 적외선신호가 수신된 후에 소정 시간 경과 때까지 대기하는 대기기능과,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불가능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대기기능을 불가능으로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상술한 (1)에 의하면, 상기 피해상태 발현수단은 표시화면을 구비하는 이미지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표시화면에 피해상태를 또는 피해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 상술한 (12)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표시수단은,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되는 전파강도를 나타내는 표시화면에 표시하도록 필요한 명령을 출력하는 전파강도표시 명령발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 상술한 (1)에 의하면,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소정 레벨 또는 소정 레벨 이상에서 전파강도를 인식하는 동안에, 장난감 총을 진동하는 진동발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45]
(16) 상술한 (14)에 의하면,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진동이 전파강도를 증가하도록 진동을 변화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의 사시도이고,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의한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의 주요부를 표시한 블럭도이고,
도4는 도1의 실시예에서 식별정보를 이용하지 않은 장난감 총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5는 도1의 실시예에서 식별정보를 이용한 장난감 총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 용하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6은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장난감 총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전파광도의 레벨범위를 식별정보와 같이 판단하여 기억하는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7은 전파강도의 레벨범위와 식별정보에 따른 파라미터치의 설정을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8A 내지 도8C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한 결과 플레이어가 수신한 피해치 또는 피해상태를 도시한 표시화면의 예를 블럭도이고,
도9는 적그룹의 플레이어가 다수인 일정 거리 내에 있는 경우 프로그램 알고리즘을 표시한 순서도이고,
도10A 내지 도10C는 적그룹의 플레이어와의 거리에 대해 정보를 외부발현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2(A) 및 (B)는 도1에 도시된 장난감 총의 우측면도 및 표시수단을 세운 상태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난감 총(1)은 일측 단부에 적외선신호를 발신하는 적외선신호 발생수단(3)을 갖는 총본체(5)와, 상기 총본체(5)의 타측 단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그립부(7)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3)은 임의의 구조이다. 적외선 LED가 적외선신호의 발신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3)은 적외선신호의 발신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이다. 적외선신호 LED와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구성부품이 상기 총본체(5)에 탑재된다.
상기 그립부(7)를 쥐는 집게손가락에 의해 작동되는 방아쇠(9)가 상기 그립부(7) 근처의 총본체(5)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미지표시수단(11)을 하우징하기 위한 오목부(미도시)는 총본체(5)의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이미지표시수단(11)은 그립부(7) 주변의 이미지표시수단(11)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에 의해 총본체(5)에 고정된다. 도1과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표시수단(11)은 오목부에 하우징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표시수단(11)은 총본체(5)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힌지에 회전된다. 도2(A)에 도시된 그립부(7)를 쥐는 플레이어는 플레이 동안에 이미지표시수단(11)의 표시화면(13)을 볼 수 있다. 타측 플레이어(1)의 장난감 총(1)으로부터 발신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신호 수신수단(15)은 총본체(5)의 타측에 상부벽에 고정된다. 적외선신호를 수신할 때, 적외선신수 수신수단(15)은 수신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를 적외선신호 수신수 단(31)으로 발신한다. 상기 전파신호 발신수단(17)은 총본체(5)의 일측 단부의 상부벽에 고정된다. 상기 전파신호 수신수단(19)은 총본체(5)의 일측단부의 하부벽에 고정된다. 상기 전파신호 발신수단(17)과 상기 전파신호 수신수단(19)의 각각은 전파신호를 발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서 기능한다. 물론 하나의 안테나는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전파신호 발신수단(17)과 상기 전파신호 수신수단(19) 사이에 공유될 수 있다. 총본체에 결합되는 스피커로부터 음향을 발신하는 음향발신수단(21)은 총본체(5)의 상부벽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난감 총은 총신이 짧은 피스톨형이지만, 총신이 긴 라이플형이나 머신건형의 역시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장난감 총에 결합되는 신호처리회로의 구조를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방아쇠(9)가 작동될 때,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발신명령을 출력하는 발신지령 발생수단(23)과, 상기 발신지령 발생수단(23)이 발신지령을 출력할 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신호 발생수단(3)으로부터 적외선신호를 발신하도록 활성되는 적외선신호 발생수단(25)을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25)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적외선LED와, 상기 적외선LED에 제공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적외선LED의 발신을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25)은, 발신지령을 수신하는 동안에 소정주파수의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25)은, 발신지령을 수신한 후에 발신지령의 수신후에 소정시간 동안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또는 적외 선신호를 간헐적으로 발생하도록 형성된 후에 적외선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상기 적외선신호는 적군 또는 적군의 장난감 총에서 발신되는 가상탄으로 제공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의 적외선신호(25)는 적외선신호의 발신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신호를 발생한다. 각각의 장난감 총은 식별정보 저장수단(27)에 자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장난감 총은 자신의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적군의 장난감 총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적군의 식별정보는 식별정보 설정수단(29)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플레이 참여하는 모든 장남감 총의 식별정보는 이전에 식별정보 저장수단(27)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식별정보는 적외선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적외선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기본 주파수의 적외선신호에서 식별정보 신호를 중첩하여 적외선신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장난감 총(1)이 아군과 적군으로 나뉘어진 경우에, 아군 또는 적군을 나타내는 정보는 식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식별정보 설정수단(29)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적외선신호를 처리하는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을 포함하고, 도1에 도시된 적외선신호 수신수단(15)은 적군의 장난감 총으로부터 발신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은 수신된 적외선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적외선신호를 수신할 때,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은 식별정보 검사수단(33)과 피해치 판단수단(35)으로 변환된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주변영역으로 소정 주파수를 갖는 전파신호를 상시적으로 발신하는 전파신호 발신수단(37)을 포함한다. 플레이에서 사용되는 모든 장난감 총(1)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전파신호이다. 또한 전파신호의 발신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도록 전파신호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파신호 발신수단(37)은 식별정보 저장수단(27)에 저장되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신한다. 따라서 자신의 장난감 총(1)이 발신하는 전파신호와, 적군의 장난감 총(1)이 발신하는 전파신호 사이에서 분명하게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전파신호 발신수단(37)은 플레이 동안에 전파신호를 발신한다. 또한 상기 전파신호 발신수단(37)은 소정조건 하에서 또는 주기적으로 전파신호를 발신한다. 소정 조건에 따르면 이하의 조건이 고려될 수 있다. 장난감 총(1)에 탑재되는 가속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소정 속도 또는 소정 가속 보다 크게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전파신호 발신수단(37)은 적외선신호 발생수단(25)이 적외선신호를 발생할 때 동시에 또는 총이 타측 플레이어의 총(1)이 발생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할 때 동시에 전파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타측 플레이어의 총(1)이 발신하는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전파신호 수신수단(39)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전파신호 수신수단(안테나,19)는, 전파신호 수신수단(39)에 포함된다. 장난감 총(1)마다 사용되는 전파신호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 다수종류의 주파수를 판별할 수 있는 기능이 전파신호 수신수단(39)에 부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주파수가 모든 장난감 총(1)에서 이용될 때, 전파신호 수신수단(39)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신호는 식별정보 검사수단(33)에 입력된다. 상기 식별정보 검사수단(33)은 전파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에 따라 전파신호의 발신원을 식별한다. 상기 수신된 전파신호는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입력된다.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41)은, 전파신호 수신수단(39)이 수신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를 판단한다.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으로부터 발신된 전파신호는,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포함되는 전파신호 발신수단(37)으로부터 출력된 후에, 전파신호 발신수단(37)으로부터 멀어져서 감쇠한다. 따라서 전파신호 발신수단(37)으로 발신되는 전파신호의 강도가 이전에 알려졌다면, 수신된 전파신호의 강도 판단은, 피해치 판단수단(35), 진동발생수단(43), 음향 발생수단(45) 및 이미지 표시수단(47)에 제공된다.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면 파라미터치에 근거해 피해치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의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변경한다.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임의의 방법으로 파라미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의해 판단되는 전파강도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피해치는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1)으로부터의 감소하는 거리 만큼 커진다. 또한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판단되는 전파강도를 이전에 설정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레벨 범위 중의 하나를 판단하는 구조 가 될 수 있고 판단된 레벨범위에서 파라미터치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레벨 범위에서 소정 값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피해치 판단수단(35)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갑자기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는 진동을 일으킬 수 있고 아울러 박진감을 보다 더 느끼게 할 수 있다.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에 의한 피해치의 판단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치는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따라 변경되고, 판단치는 접근전 경우와 비접근전 경우와 다르다. 예를 들어 접근전에서 공격의 위력을 증가하는 설정이면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의해 판단되는 전파강도를 증가하면서 파라미터치를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대로, 접근전에서 상대의 공격의 위력을 저감하는 설정이면,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작게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파라미터치는 증가 또는 감소를 하는 피해치를 일으키는 전파강도 판단수단(41)의 판단결과에 따라 변화하며 플레이어는 접근전을 의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접근전을 의식한 박진감 넘치는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동발생수단(43), 음향발생수단(45) 및 이미지 표시수단(47)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의 판단결과에 따라 접근전에 있는 플레이어를 직접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43)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7)에 구비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43)은, 진동의 크기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으며, 진동크기는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따라 전파강도를 증가시키면서 증가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43)을 제공하여, 플레이어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의해 판단되는 전파강도는 소정 레 벨을 초과한다. 그 결과로 플레이 동안에 플레이어는 진동에 의해 접근전을 알아차릴 수 있다. 특히 진동의 크기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 진동발생수단(43)은, 진동의 크기는 전파강도를 증가하면서 증가하도록 구비되며, 적군으로부터의 거리는 진동의 크기로 확인될 수 있고 박진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파강도 판단수단(41)의 판단결과는 음향발생수단(45)에 의해 음향으로 발현된다. 즉 음향발생수단(45)은, 전파강도가 전파강도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의한 판단결과(41)에 따라 소정 레벨 보다 커질 때, 총본체(5)에 제공되는 스피커로부터 소정 음향을 발신한다. 상기 음향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발신수단(21)으로부터 외측으로 발신된다. 진동발생수단(43)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음향발생수단(45)에 의해 발신되는 음향을 부가하여, 현실감 분위기를 더욱 조성한다.
부가하여 실시예에서 전파강도표시 지령발생수단(46)이 구비된다. 상기 전파강도표시 지령발생수단(46)은 전파강도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파강도 판단수단(41)의 판단결과에 따라 도1에 도시된 표시화면(13)을 갖는 이미지 표시수단(11)을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수단(47)에 필요한 지령을 한다. 상기 전파강도표시 지령발생수단(46)으로부터 지령에 따라 이미지 표시수단(47)은 바 그래프(bar graph)와 같은 적절한 표시모드에 표시화면(13)에 전파강도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플레이어는 진동발생수단(43)과 음향발생수단(45)의 동작 전에 표시화면(13)을 보고 적군으로부터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플레이어는 전략을 계획하면서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에 의해 판단되는 피해치는 피해상태 판단수단(49)에 입력된다. 상기 피해상태 판단수단(49)은 피해치 판단수단(35)에 의해 판단되는 피해치에 따라 피해상태를 판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피해상태는 피해치의 적산치에 따라 판단된다. 상기 피해상태는 소정치로부터 피해치를 감산하여 얻어지는 감산치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플레이어 또는 장난감 총(1)이 수신하는 피해치량 또는 플레이어 또는 장난감 총(1)이 받을 수 있는 피해의 잔량이 피해상태로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피해상태는 피해상태 발현수단(51)에 의해 발현된다. 예를 들어 피해상태를 가시적으로 발현하는 이미지 표시수단(47), 피해상태를 청각적으로 발현하는 음향발생수단(45) 및/또는 피해상태를 촉각적으로 발현하는 진동발생수단(43)이 피해상태 발현수단(51)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해상태 판단수단(49)에 의해 판단되는 피해상태 및 피해상태 판단수단(49)에 입력되는 피해치가 이미지 표시수단(47)에 포함되는 표시화면(13)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피해치 및/또는 피해상태를 플레이어가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한다. 그러므로플레이어는 플레이 동안에 접근전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전략에 따라 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식별정보 검사수단(the identifier examining section, 33)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수신한 적외선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정보 및 전파신호 수신수단(39)이 수신한 전파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정보를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determination result)를 피해치 판단수단(35) 및 전파강도 판단수단(41) 에게 제공한다.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수신된 적외선신호가 아군의 장난감 총으로부터 발신된 것인지 적군으로 발신된 것인지 검사된 식별정보에 따른 판단기능과 판단결과에 따른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적군에 의해 맞았을 때 파라미터치는 패널티로써 보다 커지게 설정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수신한 적외선신호에 의해 식별되는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1)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 저장수단(27)으로부터 얻는다. 이 때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얻어진 식별정보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판단한다. 또한 피해치 판단수단(35)은 피해치를 판단하도록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의해 판단되는 전파강도의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변경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전파강도 판단수단(41)은 인접한 아군의 총의 경우와 인접한 적군의 총의 경우 사이에서 식별정보 검사수단(33)의 검사결과 따라 구별기능과, 식별정보 검사수단(33)으로부터의 검사결과에 구별결과를 부가하는 기능 및 구별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수단(43), 음향발생수단(45) 및/또는 전파강도표시 지령발생수단(46)은 접근한 상대방이 아군인지 적군인지를 구별하는 기능과, 구별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는 방법으로 작동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결과로 다수의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즐기는 경우에 적군과 아군이 구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신호처리회로가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신호처리회로가 적외선신호, 전파신호 발신수단(37)으로부터의 전파신호, 피해치 판단수단(35)에 의해 판단되는 피해치 또는 피해상태 판단수단(49)에 의해 판단되는 피해 상태 및 수신된 적외선신호를 발신하는 장난감 총(1)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때, 발신기능이 신호처리수단에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플레이어는 상대방의 피해를 확인하면서 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파신호에 포함되는 적군의 피해량을 나타내는 판단정보의 기능이 식별정보 검사수단(33)에 부가된다. 상기 적군피해표시 지령발생수단은 이미지 표시수단(47)에 식별정보 검사수단(33)의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지령을 발생한다. 또한 다른 부가적인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가적인 구조는, 적군의 장난감 총(1)이 일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1)에 의해 발신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했을 때, 일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1)의 정보를 알리는데 이용되는 구조이다. 즉 적군의 장난감 총(1)이 일측 플레이어에 적외선 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신할 때, 일측 플레이어는 적군의 적외선 총(1) 또는 적군의 피해상태 및/또는 피해치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도4는 두 명의 플레이어가 식별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플레이하는 경우에 장난감 총(1)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3의 신호처리회로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1단계(ST1)에서 장난감 총(1)은 전파신호를 발신하는 전파신호 발신수단(37)을 작동한다. 상기 전파신호 발신수단(37)으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신호는 장난감 총(1)의 전파신호 수신수단(39)에 의해 수신되고 처리된다(2단계). 상기 전파신호는 전파신호 발신수단(37)로부터 상시적으로 발신된다. 그리고 전파신호 수신수단(39)은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파신호의 강도를 판단한다. 이 때 발신지 령이 출력되는지 출력되지 않는지가 판단된다(3단계). 구체적으로 3단계에서 발신지령 발생수단(23)이 발신신호를 출력하도록 플레이어가 트리거부(8)를 동작할지가 3단계에서 판단된다. 상기 3단계에서 플레이어가 트리거부(8)를 동작할지가 판단될 때 발신지령이 출력되면 4단계로 진행되고 적외선신호가 적외선신호 발생수단(25)으로부터 발신된다. 상기 적외선신호가 4단계에서 발신된 후에 1단계로 귀환되고, 전파신호는 다시 발신된다. 상기 3단계에서 플레이어가 트리거부(8)를 동작할지가 판단될 때 발신지령이 출력되지 않으면 5단계로 진행되고 다른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1)으로부터 발신된 적외선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안되었는지가 판단된다. 상기 5단계의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1단계로 귀환되고 전파신호는 다시 발신되며, 발신지령이 출력할 때까지 또는 적외선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전파신호의 발신과 수신이 반복된다.
상기 5단계의 판단결과가 "예"이면 6단계로 진행되고 2단계에서 수시된 전파신호의 강도의 판단결과에 따라, 피해치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파라미터치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파강도가 소정 레벨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파라미터치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그렇지 않으면 파라미터치의 변경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파라미터치가 변경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파라미터치가 8단계에서의 피해치의 계산에 의해 변경된다(7단계). 파라미터치의 변경이 불필요한 것으로 6단계에서 판단되었을 때 상기 파라미터치는 변경되지 않고 피해치가 8단계에서 계산된다. 9단계에서 8단계에서 계산된 피해치의 적산치가 계산되고 피해상태가 적산치에 따라 결정된다. 10단계에서 피해상태가 외부로 발현되고 피해에 관한 연산을 종료한다. 단계11에서 피해치의 적산치가 소정치를 초과하는지 또는 플레이의 종료를 나타내는 입력이 플레이어에 의해 발생되는지 그렇지 않은지가 판단된다. 입력이 발생되지 않았을 때 1단계로 귀환되고 전파신호가 다시 발신된다. 플레이의 종료를 나타내는 입력이 발생하면 플레이는 종료된다. 상술한 알고리즘은 실시예로서 적외선신호의 출력처리와 입력처리 사이의 명령이 역전(reverse) 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알고리즘이라도 파라미터치가 전파강도에 따라 변경되는 한 이용될 수 있다.
도5는 식별정보가 플레이를 진행하는 아군과 적군으로 나뉘어진 장난감 총(1)과 플레이어에 부가된 경우에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도5의 순서도에서 수행될 수 있는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단계에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가 발신된다. 상기 식별정보는 장난감 총(1)의 플레이어가 속해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정보 및 장난감 총(1)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는 전파신호 발신수단(37)으로부터 상시적으로 발신된다. 또한 전파신호 수신수단(39)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102단계에서, 전파신호 수신수단(39)은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1)의 전파신호 발신수단(37)으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파신호의 강도가 판단된다. 또한 102단계에서 전파강도의 레벨범위가 전파신호의 판단된 강도에 따라 판단되고 식별정보와 같이 저장된다. 103단계에서 105단계로의 처리(processing)는 도4의 103단계에서 105단계로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105단계에서 식별정보를 포함한 적외선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106단계로 진행하고 파라미터치가 식별정보에 따라 판단된다. 또한 106단계에서 파라미터치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 102단계에서 판단된 전파강도의 레벨범위에 따라 판단된다.
도6은 도5의 106단계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06a단계에서 목표 또는 적군이 아군 또는 적군인지 적외선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따라 판단된다. 실시예에서 플레이어의 피해치가 아군에 의해 공격 받았을 때 증가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106a단계에서 판단될 때 공격이 적군에 의한 것이라면 106단계로 이행된다. 다른 한편으로 공격이 아군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면 도5의 108단계로 진행된다. 106b단계에서 전파신호의 강도가 소정 강도 Jy1 보다 클 때, 전파강도의 레벨범위는 1로 판단되고(Lr=1), 파라미터치는 1로 설정된다(106c단계). 전파신호강도가 Jy1 보다 크지 않다면, 106d 단계로 진행된다. 106d 단계에서 적외선신호에서 포함되는 것과 같은 동일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의 강도가 소정강도 Jy2 보다 크거나 크지 않은지를 판단한다. 전파신호강도가 Jy2 보다 크면, 전파강도의 레벨범위가 2로 판단되고(Lr=2), 그리고 파라미터치가 2로 설정된다(106e 단계). 상기 전파신호강도가 Jy2 보다 크지 않다면 106f단계로 진행한다. 106f단계에서 적외선신호에 포함되는 것과 같은 식별정보를 포하는 전파신호의 강도가 소정강도 Jy3 보다 크거나 크지 않은지를 판단한다. 전파신호강도가 Jy3 보다 크다면 전파강도의 레벨범위가 3으로 판단되고(Lr=3), 그리고 파라미터치가 3으로 설정된다(106g 단계). 상기 전파신호강도가 Jy3 보다 크지 않다면 106h단계로 진행하고, 전파강도의 레벨검위가 4가 되면(Lr=4), 파라미터치는 4로 설정된다. 107단계에서 각 식별정보에 대해 판단된 전파강도의 레벨범위는 106c단계, 106e단계, 106g단계 및 106h의 파라미터치 세트(set)로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도록 판단된다. 상기 "각 식별정보에 대해"의 표현은 "각 플레이어에 대해" 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다수의 적이 존재하는 경우 전파신호강도의 레벨범위가 적외선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에 따라 각 플레이어에 대해 판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로, 피해가 누구의 공격에 의해 발생되는지가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공격결과가 적군에에 알려질 수 있다. 108단계에서 111단계까지의 처리는 도4의 8단계에서 11단계까지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소프트웨어의 구조는, 아군 장난감 총의 적외선신호가 수신될 때, 피해치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치가 패널티로써 0으로 설정되도록 또는 적외선신호가 적군의 장난감 총(1)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파라미터치 세트(set) 보다 크도록 설정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파강도의 레벨범위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적절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파라미터의 변경패턴이 식별정보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7은 다수의 파라미터치의 변경패턴이 장난감 총(1)의 형태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에 파라미터치의 변경패턴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에서 상기 파라미터치의 변경패턴이 A 부터 C 까지 세 개의 식별정보에 따라 설정된다. 수신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정보가 A 또는 B인 경우에 파라미터치는 전파강도증가와 같이 보다 점점 커진다. 이러한 설정에서 적군의 장난감 총(1)으로부터 거리가 점점 짧아지고 피해 는 점점 커진다. 반대로 식별정보C의 경우에 파라미터치는 전파강도가 증가하는 것과 같이 보다 작아질 수 있다.
표시화면(13)에서의 피해치 및/또는 피해상태를 표시하는 적합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8(A) 내지 (C)는 구조 및 게이지(gauge)를 이용하여 피해치 및/또는 피해상태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식별정보가 도5의 알고리즘에 의해 도시된 경우에서와 같이 적외선신호 및/또는 전파신호에 포함될 때, 적외선신호를 발신하는 적군 그룹의 플레이어의 식별정보는 피해치 및/또는 피해상태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9는, 원거리에서 다수의 적군으로부터의 연속공격은 무효이고, 근거리에서 다수의 적군으로부터의 연속공격이 유효한 공격으로 인정해서 피해상태가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9의 알고리즘에서 112단계에서 114단계까지가 도5의 알고리즘의 102단계와 103단계에 삽입된다. 다수의 적군이 플레이어와의 원거리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112단계에서 판단되면,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1)의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이하에 설명되는 "출력대기 가능상태"로 들어가며 114단계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으로, 다수의 적군이 플레이어와의 근거리에 존재할 때, 112단계에서 판단되며,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1)의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출력대기 불가능상태"로 들어가며 113단계로 진행한다.
112단계에서 판단이 도3에 도시된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이 실현되면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전파강도레벨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기능이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출력대기기능과 불가능기능이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에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출력대기기능은, 새로운 적외선신호가 소정 주기 동안에 수신되지 않을지라도 소정 시간이 수신후에 경과될 때 까지 이전의 적외선신호의 수신으로부터 소정 주기 동안에 적외선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불가능기능은, 취소신호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으로부터 출력하는 동안에 출력대기기능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취소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에 부여된다. 상기 기능으로, 다수의 수신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전파강도 레벨 보다 큰지를 판단할 때, 전파강도 판단수단(41)은 취소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취소신호는 다수의 수신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의 출력대기기능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소정 레벨 보다 클 때, 출력이다. 상기 취소신호는, 다수의 수신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의 출력대기 기능을 불가능으로 하도록 소정 레벨 보다 클 때, 출력된다. 다수의 수신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레벨 보다 크지 않을 때,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에서 제공되는 출력대기기능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출력대기 가능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대기 가능상태"에서,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적외선신호를 받으면, 소정시간이 제1 적외선신호의 수신후에 경과할 때까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연속적인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연속의 적외선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즉 "출력대기 가능상태"에서, 적외선신호의 수신은 소정 시간 주기 동안에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출력대기 가능상태" 동안에 다수의 적군으로부터의 연속적인 공격은 무효이다. 다른 한편으로,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레벨 보다 클 때(적군이 인접해 있을 때), 전파강도 판단수단(41)으로부터 출력되는 취소신호출력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불가능기능을 작동하게 한다. 상기 불가능기능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출력대기 불가능상태"에서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을 유지하도록 취소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 출력대기기능을 불가능하게 한다. "출력대기 불가능상태"에서 "소정 시간주기"의 제한이 취소된다. 즉 다수의 적군에 의한 연속적인 공격에서,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은 적외선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피해치는 모든 수신된 적외선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적군이 인접해 있을 때 다수의 아군에 의한 협동 또는 협력공격이 접근전에서 행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은 일반적으로 "출력대기 가능상태"로 설정되고 "출력대기 불가능 상태"로 만들어지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으로부터 취소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출력대기기능과 불가능기능을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에 부가하는 것 대신에 판단대기기능과 불가능기능은 피해치 판단수단(35)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판단대기기능은,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 이전의 적외선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상기 시간주기에서 새로운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시간주기 동안에 피해치를 판단하지 않는다. 상기 불가능기능은, 상기 취소신호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으로부터 출력되는 동안에 판단대기기능을 불가능하게 한다. 수신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전파강도 레벨보다 크지 않 을 때(적군이 인접하게 있지 않을 때),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에 제공되는 판단대기기능은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이 "판단대기 가능상태"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판단대기 가능상태"에서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적외선신호를 받으면, 소정시간이 제1 적외선신호의 수신후에 경과할 때까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31)이 연속적인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연속의 적외선신호의 수신에 대한 피해치를 판단하지 않는다. 즉 "판단대기 가능상태"에서, 피해치는 소정 시간 주기 동안에 불가능하거나 무효하다. 그러므로 "판단대기 가능상태" 동안에 다수의 적군으로부터의 연속적인 공격은 무효이다. 다른 한편으로,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레벨 보다 클 때(적군이 인접해 있을 때), 전파강도 판단수단(41)으로부터 출력되는 취소신호출력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이 불가능기능을 작동하게 한다. 상기 불가능기능은, 피해치 판단수단(35)이 "판단대기 불가능상태"에서 피해치 판단수단(35)을 유지하도록 취소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 판단대기기능을 불가능하게 한다. "판단대기 불가능상태"에서 "소정 시간주기"의 제한이 취소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적군이 인접해 있을 때 다수의 아군에 의한 협동 또는 협력공격이 접근전에서 행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일반적으로 "판단대기 가능상태"로 설정되고 "출력대기 불가능상태"로 만들어지며 피해치 판단수단(35)은 전파강도 판단수단(41)으로부터 취소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즉, 도9의 113단계 "불가능 출력상태"와 114단계 "가능 출력상태"를 "가능 판단대기"와 "불가능 판단대기"로 변경하는데 필요하다.
보다 바람직한 모드가, 적군이 자신의 주변에 있는 상태를 플레이어에게 발현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10(A) 내지 도10(C)는, 플레이어들의 두 개의 장난감 총(1)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가 표시화면(13)에 표시되고 전파강도정보에 따라 진동으로 발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A)는 두 개의 장난감 총(1) 사이의 거리(D)가 클 때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10(B)는 두 개의 장난감 총(1) 사이의 거리(D)가 짧을 때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약한 진동이 발생된다. 도10(C)는 두 개의 장난감 총(1)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까울 때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진동이 강하다. 상기 표시화면(13)에는 특징, 구조, 게이지 또는 컬러의 변화와 같은 정보 또는 모드가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음향 발생수단(45)이 음향발현을 할 수 있는 경우에, 피해치, 피해상태, 타측 플레이어의 피해치, 타측 플레이어의 피해상태 또는 전파강도표시지령에 따른 전파강도가 외부로 발현될 수 있으며, 길이, 톤 또는 음향의 볼륨으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진동발생수단(43)이 이용되는 경우에 피해치, 피해상태, 타측 플레이어의 피해치, 타측 플레이어의 피해상태가 시간의 길이, 레벨 진동의 패턴의 변화에 따라 외부로 발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타측 플레이어 또는 타측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으로부터 발신된 전파신호의 강도를 판단하여 타측 플레이어 또는 타측 플레이어의 총으로부터의 거리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플레이에 판단된 거리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어는 접근전에서의 박진감을 실감할 수 있고 단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해치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라미터치가 장난감 총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로 플레이어는 피해상태 발현수단을 통해 피해치 또는 피해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접근전의 박진감을 만끽할 수 있다.

Claims (21)

  1.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에 있어서,
    사격을 위한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신호 발생수단과;
    다른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장난감 총에 의해 발생한 상기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이 상기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면 파라미터치에 따라피해치를 판단하는 피해치 판단수단과;
    상기 피해치에 따라 피해상태를 판단하는 피해상태 판단수단; 및
    상기 피해치 및 피해상태를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피해상태 발현수단을 포함하되,
    소정의 전파신호를 발신하는 전파신호 발신수단과;
    다른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의해 발신되는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전파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전파신호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를 판단하는 전파강도 판단수단; 및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소정 레벨 또는 소정 레벨 보다 높은 레벨에서 전파강도를 인식하는 동안에 장난감 총을 진동하는 진동발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며,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 터치를 변경하고,
    상기 피해상태 판단수단은 소정치로부터 피해치를 감산하여 얻은 감산치에 따라 또는 피해치의 적산치에 따라 판단하고,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적외선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진동이 전파강도를 증가하도록 진동을 변화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식별정보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고 식별정보에 따라 소정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를 검사하는 식별정보 검사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전파신호 발생수단은, 식별정보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되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거나 발신하는 다른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피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기능을 전파신호에 포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신호발생수단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이 적외선신호를 수신할 때, 식별정보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되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거나 발신하는 다른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피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기능을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은,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전파강도 레벨 또는 소정 레벨 보다 높은 레벨에 있는지를 판단할 때, 불가능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은, 적외선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지속적인 적외선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이전의 적외선신호가 수신된 후에 소정 시간 경과 때까지 대기하는 대기기능과,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불가능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대기기능을 불가능으로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6.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에 있어서,
    사격을 위한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신호 발생수단과;
    다른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장난감 총에 의해 발생한 상기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이 상기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면 파라미터치에 따라피해치를 판단하는 피해치 판단수단과;
    상기 피해치에 따라 피해상태를 판단하는 피해상태 판단수단; 및
    상기 피해치 및 피해상태를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피해상태 발현수단을 포함하되,
    소정의 전파신호를 발신하는 전파신호 발신수단과;
    다른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의해 발신되는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전파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전파신호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를 판단하는 전파강도 판단수단; 및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소정 레벨 또는 소정 레벨 보다 높은 레벨에서 전파강도를 인식하는 동안에 장난감 총을 진동하는 진동발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며,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전파강도에 따라 연속 또는 단계적으로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전파강도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소정 레벨범위 사이에 떨어지는(fall) 범위에서 판단되고, 판단된 레벨범위에 따라 파라미터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상태 판단수단은, 피해치의 적산치 또는 소정치로부터 피해치를 감산한 감산치에 따라 피해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은 적외선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신호 발생수단은 전파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신호 발생수단은 적외선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전파신호 발생수단은 전파신호의 발생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식별정보에 따라 파라미터리치를 변경하는 기능과 식별정보를 검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식별정보를 검사하는 식별정보 검사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전파신호발생수단은 식별정보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되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거나 발신하는 다른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피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기능을 전파신호에 포함하 는 기능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신호 발생수단은 식별정보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되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거나 발신하는 다른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피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기능을 전파신호에 포함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전파신호 발생수단은,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이 적외선신호를 수신할 때 식별정보 검사수단에 의해 검사되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거나 발신하는 다른 플레이어의 장난감 총에 피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기능을 포함하는 전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은,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전파강도 레벨 또는 소정 레벨 보다 높은 레벨에 있는지를 판단할 때, 불가능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적외선신호 수신수단은, 적외선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지속적인 적외선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이전의 적외선신호가 수신된 후에 소정 시간 경과 때까지 대기하는 대기기능과,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불가능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대기기능을 불가능으로 하 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강도 판단수단은, 다수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가 소정 전파강도 레벨 또는 소정 레벨 보다 높은 레벨에 있는지를 판단할 때, 불가능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피해치 판단수단은, 지속적인 적외선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피해치를 판단하지 않고, 이전의 적외선신호가 수신된 후에 소정 시간 경과 때까지 대기하는 대기기능과,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불가능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대기기능을 불가능으로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상태 발현수단은 표시화면을 구비하는 이미지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표시화면에 피해상태를 또는 피해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수단은,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전파강도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되는 전파강도를 나타내는 표시화면에 표시하도록 필요한 명령을 출력하는 전파강도표시 명령발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20. 제6항에 있어서,
    전파강도 판단수단이 소정 레벨 또는 소정 레벨 이상에서 전파강도를 인식하는 동안에, 장난감 총을 진동하는 진동발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진동이 전파강도를 증가하도록 진동을 변화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KR1020097015290A 2006-12-22 2007-12-21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KR100987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45455 2006-12-22
JP2006345455A JP4146874B2 (ja) 2006-12-22 2006-12-22 シューティング対戦用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274A true KR20090101274A (ko) 2009-09-24
KR100987834B1 KR100987834B1 (ko) 2010-10-13

Family

ID=3956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290A KR100987834B1 (ko) 2006-12-22 2007-12-21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06195B2 (ko)
JP (1) JP4146874B2 (ko)
KR (1) KR100987834B1 (ko)
CN (1) CN101600483B (ko)
WO (1) WO2008078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442A1 (en) * 2008-07-07 2010-08-05 Matthew Morman Carmel Proprioceptively determining a relative orientation of a firearm and firearm providing for same
US8540571B2 (en) * 2010-03-31 2013-09-24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stimulus based on position
JP5214751B2 (ja) * 2011-02-15 2013-06-1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
US9011250B2 (en) * 2012-10-05 2015-04-21 Qfo Lab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game play with multiple remote-control flying craft
US20140364180A1 (en) * 2013-06-10 2014-12-11 Edward Olivar Predator 80 systems
US20150024815A1 (en) * 2013-07-19 2015-01-22 Acmos Technology Co., Ltd. Hit recognition electronic target shooting system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CN104225909B (zh) * 2014-09-11 2018-04-06 广州名动贸易有限公司 一种兼具射击功能的电子飞镖机以及射击时的处理方法
KR20160050833A (ko) *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 퓨어스마트 완구 및 완구의 동작 방법
US10569165B2 (en) * 2016-08-18 2020-02-25 Activision Publishing, Inc. Tactile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systems
CN107137942A (zh) * 2017-06-05 2017-09-08 石剑峰 一种模拟实战的遥控玩具和维修装置
JP7208482B2 (ja) * 2018-11-20 2023-01-19 株式会社Mixi ゲーム装置、制御方法
JP7094998B2 (ja) * 2020-01-20 2022-07-04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
USD1017726S1 (en) * 2021-12-13 2024-03-12 MerchSource, LLC Laser tag shoo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9945B2 (en) * 2001-02-08 2003-08-26 Plexus, Inc. Radio-controlled toy blimp with infrared beam weapons for staging a gun battle
US6814667B2 (en) * 2001-07-27 2004-11-09 Robert W. Jeffway, Jr. eTroops infrared shooting game
US7338375B1 (en) * 2002-02-21 2008-03-04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Integrated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for laser tag systems
JP2004024584A (ja) 2002-06-26 2004-01-29 Tomy Co Ltd 光線銃型玩具および銃弾ユニット
JP3970128B2 (ja) 2002-08-21 2007-09-05 富士通株式会社 レーザ受信器
JP3905440B2 (ja) 2002-08-26 2007-04-1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射撃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4376661B2 (ja) 2004-03-02 2009-12-02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2006034823A (ja) 2004-07-29 2006-02-09 Speecys Kk 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834B1 (ko) 2010-10-13
US20100062678A1 (en) 2010-03-11
CN101600483A (zh) 2009-12-09
US8206195B2 (en) 2012-06-26
JP4146874B2 (ja) 2008-09-10
JP2008154713A (ja) 2008-07-10
CN101600483B (zh) 2011-10-26
WO2008078712A1 (ja)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34B1 (ko)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장난감 총
JP4179162B2 (ja) 情報処理装置、ゲーム装置、画像生成方法、ゲーム画像生成方法
JP5101622B2 (ja) 動作判断装置、ゲーム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73570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27343B2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KR100537977B1 (ko) 비디오 게임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EP1762286A1 (en) Electronic game machine, data processing method in electronic game machine,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KR20020038454A (ko) 대전식 3d 비디오 게임 장치 및 그 컨트롤러
JP5783686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KR100929995B1 (ko)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 게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및 정보 기억 매체
KR101494012B1 (ko)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JP2005312655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5307014B2 (ja) 画像処理装置、ゲーム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032054B2 (ja) ゲーム装置
JP4647245B2 (ja) 対戦用玩具
KR101119045B1 (ko) 착용형 슈팅 게임 시스템
KR200323983Y1 (ko) 슈팅게임 시스템
KR100479554B1 (ko) 게임장치의 무기체계 운영장치 및 그 방법
KR100268268B1 (ko) 슈팅 게임 장치
JP2008023359A (ja) ゲーム装置
JP2008079849A (ja) ゲーム用コントローラおよびサーバ装置
JP2007325763A (ja) ゲーム機
JPH09262370A (ja) 射撃ゲーム方法及び装置
KR20030039232A (ko) 시뮬레이션용 게임기의 충격발생용 자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