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094A - 기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094A
KR20090101094A KR1020090021269A KR20090021269A KR20090101094A KR 20090101094 A KR20090101094 A KR 20090101094A KR 1020090021269 A KR1020090021269 A KR 1020090021269A KR 20090021269 A KR20090021269 A KR 20090021269A KR 20090101094 A KR20090101094 A KR 20090101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hannel
connector
hood
botto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743B1 (ko
Inventor
히로유키 히라마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기판용 커넥터(10)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 하우징이 끼워질 수 있는 관형 후드(21)를 구비한다. 관형 후드(21)는 회로 기판(90)의 표면에 장착되어 있다. 관형 후드(21)의 바닥벽(22)에 채널(45, 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채널은 관형 후드(21) 내로 개구되는 홈을 형성하여 상대 하우징이 관형 후드(21)의 부적당한 삽입 오목부(28; fit-in concavity)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채널(45, 46)은, 회로 기판(90)에 접촉하고 회로 기판(90)을 따라 연장하는 평탄한 바닥면을 구비하여, 바닥벽(22)을 회로 기판(90)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관형 후드(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Description

기판용 커넥터{CONNECTOR FOR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85091호는 기판용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이 끼워질 수 있는 사각 기둥 형상의 후드를 구비한다. 후드는 회로 기판(인쇄 배선 기판)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이 후드에 장착된 단자 피팅이 솔더링에 의해 회로 기판의 도전 경로에 접속되어 있다.
후드의 바닥면의 후단에 형성된 지지벽이 후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벽의 하면은 회로 기판의 상면과 접촉하며, 지지벽의 폭 방향 단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가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되어, 후드를 회로 기판에 고정한다.
후드의 지지벽의 바닥면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42209호에 개시된 커넥터용의 전용 지지 구조를 형성하므로, 이러한 지지 구조를 위해서는 재료비가 요구된다. 전기 커넥터 산업은 매우 경쟁이 심하며, 과도한 비용이 항상 문제로 되고 있다. 후드의 전체 바닥면이 회로 기판과 접촉하도록 지지 구조를 생략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후드는 리플로우 솔더링 등이 사용되는 고온 환경에서는 회 로 기판으로부터 열적 영향을 받기 쉽다. 이에 따라, 후드가 열 팽창에 의해 변형될 수 있고, 회로 기판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후드를 회로 기판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보장하면서, 회로 기판용의 지지 구조를 위한 생산비가 많이 필요하지 않은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관형 후드를 구비한다. 관형 후드는 회로 기판의 표면에 장착되어 있다. 관형 후드는 바닥벽과, 관형 후드의 바닥벽의 폭 방향 양측에서 바닥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채널을 구비한다. 채널은 관형 후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관형 후드를 향하는 오목한 홈을 구비한다. 채널은 상대 하우징이 관형 후드의 부적당한 삽입(fit-in) 오목부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채널의 볼록한 외면은 외측을 향하고, 회로 기판의 표면과 접촉한다. 그 결과, 커넥터는 회로 기판용의 전용 지지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관형 후드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재료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관형 후드는, 관형 후드의 바닥면이 회로 기판과 전체적으로 접촉하는 구조보다 회로 기판에 의한 열적 영향을 작게 받는다. 이러한 구조는 회로 기판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관형 후드를 유지한다.
채널의 하면은 오목한 영역과, 채널의 하면 상의 오목한 영역으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는 관형 후드가 회로 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로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가 채널과 별도의 위치에 있는 구조보다 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의 돌출된 부분의 일부가 채널로 덮여 있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넓은 후드는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드는 후드의 폭 방향 중간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드의 폭 방향 중간 위치에 형성된 채널은 후드가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각 채널의 외면은 바람직하게는 평탄하고, 회로 기판의 표면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채널의 높이가 낮으며, 후드는 채널의 단부면이 호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컴팩트하다. 또한, 후드는 회로 기판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폭 방향으로 후드의 바닥벽의 바닥면의 중간 위치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의 바닥면은, 채널의 바닥면과 동일 높이로 있거나 그 바닥면보다 높이 있다. 보강부는 후드가 열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후드를 회로 기판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보장하면서, 회로 기판용의 지지 구조를 위한 생산비가 많이 필요하지 않은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8에서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고, 회로 기판(90; 인쇄 배선 기판)의 표면에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10)는 하우징(20)과 단자 피팅(60)을 구비한다. 하우징(20)은 상대 하우징(도시 생략)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제조되고, 후드(21)를 구비한다. 후드(21)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폭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고 협소하다. 후드(21)는 바닥벽(22), 상부벽(23), 좌우 측벽(24), 후방벽(25), 그리고 측벽(24) 사이에 배치된 격벽(26)을 구비한다. 격벽(26)은 양 측벽(24)보다 두껍고, 얇은 공간부(27)를 구비한다. 후드(21)는, 격벽(26)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좌우 삽입 오목부(28)를 구비한다. 좌우 삽입 오목부(28)에 대응하는 상대 하우징이 전방으로부터 끼워질 수 있다. 양 상대 하우징의 구조는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좌우 삽입 오목부(28)의 내부 구조는 상대 하우징의 구조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좌우 삽입 오목부(28)의 내부 구조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좌우 삽입 오목부(28) 각각의 상부벽(23; 도 2 참조)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로킹 볼록부(29)가 상대 하우징을 로킹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23)을 잘라냄으로써 삽입 오목부(28) 각각의 상부벽(23)의 전단에 탈출용 오목부(31; escape concavity)가 형성된다. 로킹 볼록부(29)가 탈출용 오목부(31)의 바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 안내 홈(32)이 삽입 오목부(28) 각각의 상부벽(23)에 형성되어 있고, 좌측 안내 홈(32) 사이에 좌측 로킹 볼록부(29)가 개재되어 있고, 우측 안내 홈(32) 사이에 우측 로킹 볼록부(29)가 개재되어 있다. 각 안내 홈(32)은, 안내 홈(32)을 후드(21)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시킴으로써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상대 하우징이 하우징(20)에 끼워지거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후드(21)의 상면 상에서 연장한다. 각 상대 하우징에 형성된 안내 리브가 각 안내 홈(32)에 끼워질 수 있다. 각 안내 홈(32)의 상면은, 길이 방향으로 후드(21)의 상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수평하고 평탄하다. 상부벽(2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보강 리브(33)는 상부벽(23)의 상면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약간 후방의 위치에서 후드(2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부 보강 리브(33)는 상부벽(23)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고, 대략 수직으로 각 안내 홈(32)과 교차한다. 상부 보강 리브(33)의 상단면은 대략 수평하고 평탄하며, 안내 홈(32)의 상단면과 연속해서 동일 높이로 있다.
단자 피팅(60)이 각각 장착되어 있는 각 삽입 오목부(28)의 후방벽(25)에 장착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3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후방벽(25)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형부(36)가 돌출한다. 관형부(36)로 인하여, 장착 구멍(35)의 길이가 효율적으로 길어져, 단자 피팅(60)을 보다 양호하게 지지한다. 하나의 삽입 오목부(28)에 있어서 장착 구멍(35)의 배치는 다른 삽입 오목부(28)에 있어서 장착 구멍(35)의 배치와 상이하다.
각 단자 피팅(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고 협소한 수평부(61)와 길고 협소한 수직부(62)를 형성하도록 전도성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단자 피팅(60)은 후방벽(25)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폭 방향으로 평탄하다. 단자 피팅(60)은 구부러지기 전에 전방으로부터 장착 구멍(35) 내로 삽입된 다. 그 후, 후방벽(25)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단자 피팅(60)의 부분을 구부려 수직부(62)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구멍(35)의 전방측에 넓은 제1 단면부(37)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분리 방지 부재(64)가 단자 피팅(6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고, 제1 단면부(37)에 끼워진다. 2개의 분리 방지 부재(64)를 제1 단면부(37)의 후방에 배치된 장착 구멍(35)의 단차부(step)와 접촉시킴으로써 단자 피팅(60)이 장착 구멍(3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구멍(35)의 전단에 형성된 제2 단면부(38)는 전방을 향할수록 수직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커지는 측단면을 갖는다. 제2 단면부(38)는 단자 피팅(60)을 장착 구멍(35) 내로 안내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장착 구멍(35)의 전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후방벽(25)의 전면(前面)에서 개방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구멍(35)의 후단에는 제3 단면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제3 단면부(41)는 제1 단면부(37)와 연속해서 있지만, 그로부터 단차를 두고 있다. 또한, 제3 단면부(41)는, 단자 피팅(60)의 대응부의 폭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갖는 긴 홈 형상의 횡단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단자 피팅(60)은 제3 단면부(41)에 억지 끼워맞춤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구멍(35)의 후단에 형성된 제4 단면부(42)가 제2 단면부(38)의 후단과 연속한다. 제4 단면부(42)는, 단자 피팅(6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긴 홈 형상의 측단면을 갖는다. 상 부 및 하부 클로(43; claw)가 제4 단면부(42)의 중간 위치에서 돌출하여 단자 피팅(60)과 간섭한다. 제4 단면부의 후단에 단차진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43)는 장착 구멍(35)의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클로(43)의 전면은 단자 피팅(60)을 장착 구멍(35)으로 안내하도록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반면에, 각 클로(43)의 후면은 장착 구멍(35)으로부터 단자 피팅(6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단자 피팅(60)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다. 이에 따라, 제4 단면부(42)는 클로(43)와 단자 피팅(60) 사이에 두께 방향의 오버랩 영역을 가져서, 단자 피팅(60)을 억지 끼워맞춤 상태로 클로(43)에서 유지할 수 있다. 클로(43)는 단자 피팅(60)이 관통할 때에 압착된다. 압착으로 인한 클로(43)의 부스러기(shavings)는 단자 피팅(60)의 단부면과 장착 구멍(35)의 내면 사이의 공간을 파고든다. 장착 구멍(35) 내로 단자 피팅(60)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부스러기의 영역은 넓은 범위로 후방으로 퍼진다. 후방벽(25)의 후단에 도달한 부스러기는 단차진 오목부(44)에 의해 수용되고, 그로부터 폐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피팅(60)은 두께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장착 구멍(35)의 후방측에서 억지 끼워맞춤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자 피팅(60)은 분리 방지 상태로 후드(21) 내에 확실히 유지되고,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느슨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클로(43)는 제4 단면부(42)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자 피팅(60)을 장착 구멍(35) 내로 삽입할 때의 삽입 저항은 크지 않다. 또한, 클로(43)는, 장착 구멍(35) 내로 단자 피팅(60)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클로(43)의 부스러기가 단자 피팅(60)의 단부면과 장착 구멍(35)의 내면 사이의 갭에서 퍼지도록 장착 구멍(35)의 길이 방향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 피팅(60)을 장착 구멍(35)에 유지하는 힘이 강화되어, 단자 피팅(60)이 두께 방향으로 느슨하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제한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채널(45)은 후드(21)의 바닥벽(22)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닥벽(22)으로부터 하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제1 채널(45)은, 각각의 제1 채널(45)이 대응 삽입 오목부(28)의 측벽(24)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과 동일 높이로 연속되는 내측면을 갖도록 각각 삽입 오목부(28)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채널(45)은 격벽(26)의 위치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후드(21)의 중심에 대하여 폭 방향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채널(46)은 후드(21)의 바닥벽(22)의 폭 방향 중심의 두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닥벽(22)으로부터 하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한 하면과, 각 삽입 오목부(28)를 향하는 오목한 내면을 갖는다. 우측 삽입 오목부(28; 이하에서는 28R로 지칭함)의 제2 채널(46)의 오목한 내면은 격벽(26)의 표면과 동일 높이로 연속되는 측면을 갖는다. 그러나 좌측 삽입 오목부(28; 이하에서는 28L로 지칭함)의 제2 채널(46)은 격벽(26)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
각 상대 하우징에는 제1 채널(45) 및 제2 채널(46)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 삽입 오목부(28R)의 채널(45, 46)은 좌측 삽입 오목부(28L)의 채널(45, 46)과 상이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삽입 오목부(28R)에 끼워지는 상대 하우징은 좌측 삽입 오목부(28L)에는 끼워질 수 없다. 마찬가지로, 좌측 삽입 오목부(28L)에 끼워지는 상대 하우징은 우측 삽입 오목부(28R)에는 끼워질 수 없다. 따라서 상대 하우징이 부적당한 삽입 오목부에 끼워질 수는 없다.
채널(45, 46)의 바닥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고 대략 수평하다. 각 제1 채널(45)의 바닥면의 폭 방향 중간 위치에 형성된 하향 개방된 오목한 홈(47; 도 4 참조)은 길이방향으로 제1 채널(4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각 제1 채널(45)의 오목한 홈(47)은 얇은 벽을 사이에 두고 대응 제1 채널(45)의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과 반대측에 있다. 오목한 홈(47)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약간 전방의 위치에서 각 제1 채널(45)의 오목한 홈(47)의 수평 베이스에서 하향 돌출하는 장착부(48)는, 회로 기판(90) 상에 후드(21)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장착 구멍(48)은 폭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는 카운터파트(49; 도 4 참조)를 구비하며, 이 카운터파트는 회로 기판(90)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92)의 둘레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로킹될 수 있다. 장착부(48)의 하단은 단자 피팅(60)의 수직부(62)의 하단 아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장착부(48)는, 수직부(62)가 대응 접속 구멍(93; 도 2 참조) 내로 삽입되기 전에 관통 구멍(92) 내로 삽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48)는 오목한 홈(47)의 베이스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장착부(48)의 돌출량은 오목한 홈(47)의 깊이만큼 증가한다. 이에 따라, 카운터파트(49)의 원활한 탄성 조작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하부 보강 리브(51; 도 1 및 도 3 참조)가 바닥벽(22)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약간 후방의 위치에서 바닥벽(22)의 바닥면을 따라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보강 리브(51)의 폭 방향 중간 영역은 제2 채널(46)과 수직으로 접속되어 있 다. 하부 보강 리브(51)의 폭 방향 단부는 제1 채널(45)과 대략 수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보강 리브(51)의 바닥면은 채널(45, 46)의 바닥면과 연속해서, 동일 높이로, 동일 평면에 있다. 사각형의 오목한 리세스(52; 도 4 참조)가 바닥벽(22)의 채널(45, 46)과 하부 보강 리브(5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다.
커넥터는 먼저 단자 피팅(60)을 전방으로부터 후방벽(25)의 장착 구멍(35) 내로 억지 끼워맞춤으로써 조립된다. 그 후, 후방벽(25)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단자 피팅(60)의 후방부가 하향으로 구부러진다. 그 후, 후드(21)가 회로 기판(90) 상에 배치되며, 장착부(48)가 대응 관통 구멍(92) 내로 삽입되고, 단자 피팅(60)이 대응 접속 구멍(93) 내로 삽입된다. 장착부(48)의 카운터파트(49)의 전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48)가 관통 구멍(92) 내로 충분히 삽입된 때에 회로 기판(90)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92)의 둘레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로킹된다. 이에 따라, 후드(21)는 분리 불가능한 상태로 회로 기판(90)에 고정된다. 그 후, 단자 피팅(60)은 수동 솔더링 또는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해 접속 구멍(93)의 도전 경로에 접속된다.
리세스(52)의 내면은, 후드(21)가 회로 기판(90) 상에 장착되어 있을 때 회로 기판(90)의 상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채널(45, 46)의 바닥면과 하부 보강 리브(51)의 바닥면은 회로 기판(90)의 상면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후드(21)는 회로 기판(90)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 후, 대응 상대 하우징이 후드(21)의 각 삽입 오목부(28)에 끼워져서 상대 하우징에 장착된 상대 단자 피팅을 대응 단자 피팅(60)에 접속한다. 이 때에, 상대 하우징을 삽입 오목부(28)에 끼우는 작업은 안내 홈(32)과 채널(45, 46)에 의해 안내되며, 채널(45, 46)은 각 상대 하우징이 부적당한 삽입 오목부(28)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대 하우징이 부적당한 삽입 오목부(28)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채널(45, 46)의 외면은 회로 기판(90)의 상면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에 회로 기판(90)용의 전용 지지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후드(21)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재료가 줄어들고 및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채널(45, 46)은 후드(21)의 바닥벽(22)의 폭 방향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닥벽(2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후드(21)가 회로 기판(9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보장하면서, 후드(21)의 전체 바닥면이 회로 기판(90)과 접촉하는 구조보다 회로 기판(90)에 의해 후드(21)에 가해지는 열적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장착부(48)는 채널(45, 46)의 오목한 홈(47)의 베이스면 상에서 돌출한다. 이에 따라, 장착부(48)가 채널(45, 46)과 별도로 있는 구조보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48)의 돌출된 부분이 채널(45, 46)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후드(21)는 넓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휘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외력은, 폭 방향으로 후드(21)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채널(45, 46)과 회로 기판(90) 사이의 접촉면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21)가 잘 휘어지지 않는다.
채널(45, 46)의 바닥면은 평탄하고 회로 기판(90)의 상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채널(45, 46)의 단부면이 호(arc)를 그리는 경우에 비교하여, 채널(45, 46)의 높이를 작게 하고 후드(21)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드(21)는 회로 기판(9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부 보강 리브(51)는 폭 방향으로 후드(21)의 바닥벽(22)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후드(21)는 열 또는 외력에 의해 잘 휘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제2 채널, 상부 보강 리브, 하부 보강 리브, 안내 홈 및 격벽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제2 채널 상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지 않고 제2 채널의 전체 단부면을 평탄면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 보강 리브는 후드의 바닥면 위에 하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채널은 길이 방향으로 후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부분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부는 제1 채널의 하부에 있는 오목한 홈의 베이스면 이외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채널은, 상대 하우징이 거꾸로 뒤집어진 상태로 부적당한 삽입 오목부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용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기판용 커넥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기판용 커넥터의 후면도이고,
도 4는 기판용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5는 기판용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단자 피팅이 삽입되는 장착 구멍의 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7은 장착 구멍의 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단자 피팅이 삽입되는 장착 구멍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상대 하우징이 끼워질 수 있는 개방 전단과, 이 개방 전단과 반대측의 후단을 갖는 관형 후드(21)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90)용 커넥터로서,
    상기 관형 후드(21)는, 바닥벽(22)과, 이 바닥벽(22)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양 측벽(24)과, 상기 관형 후드(21)의 바닥벽(2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45; 46)을 구비하고,
    각각의 채널(45; 46)은 관형 후드(21) 내측을 향하는 오목한 홈과, 바닥벽(22)의 아래에 간격을 둔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면을 갖고,
    상기 채널(45; 46)의 지지면은 회로 기판(90)의 표면 상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후드(21)가 상기 회로 기판(9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로 기판(90)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로킹되도록 채널(45)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장착부(48)를 더 포함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45) 중 하나 이상은 관형 후드(21)로부터 떨어져 아래를 향하는 오목한 홈(47)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48)는 오목한 홈(47)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45; 46)은 폭 방향으로 관형 후드(21)의 바닥벽(22)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채널(46)을 포함하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45; 46)은 관형 후드(21)를 회로 기판(90) 상에 지지하도록 동일 평면의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후드(21)의 바닥벽(2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채널(45; 4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51)를 더 포함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51)는 채널(45; 46)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으로 있는 바닥면을 갖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51)는 채널(45; 46)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22)에는 보강 리브(51)와 채널(45; 46)에 의해 구획되는 위치에 리세스(recess)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45; 46)은 각 측벽(24)에 인접한 제1 채널(45)과, 제1 채널(45) 사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채널(46)을 포함하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4) 사이의 위치에서 바닥벽(2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형 후드(21)에 2개의 오목부(28)를 형성하는 격벽(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채널(46)은 두 오목부(28)와 각각 정렬된 2개의 제2 채널(46)을 포함하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46)은 상기 격벽(26)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13. 바닥벽(22)과, 이 바닥벽(22)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양 측벽(24)과, 양 측벽(24)을 연결하고 바닥벽(22)과 반대측에 있는 상부벽(23)을 갖는 관형 후드(21)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90)용 커넥터로서,
    상기 관형 후드(21)는, 개방 전단 및 이 개방 전단과 반대측의 후방벽(25)과, 측벽(24) 사이의 위치에서 바닥벽(22)과 상부벽(23) 사이를 연장하여 측벽(24)과의 사이에 오목부(28)를 형성하는 격벽(26)과, 상기 측벽(24)에 인접한 위치에서 관형 후드(21)의 바닥벽(2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채널(45)과, 격벽(26) 근처의 위치에서 관형 후드(21)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제2 채널(46)을 더 구비하고,
    각각의 채널(45; 46)은 관형 후드(21) 내측을 향하는 오목한 홈과, 바닥벽(22)의 아래에 간격을 둔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면을 갖고,
    상기 채널(45; 46)의 지지면은 회로 기판(90)의 표면 상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후드(21)가 상기 회로 기판(9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로 기판(90)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로킹되도록 제1 채널(45)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장착부(48)를 더 포함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45) 각각은 관형 후드(21)로부터 떨어져 아래를 향하는 오목한 홈(47)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48)는 오목한 홈(47)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45; 46)은 관형 후드(21)를 회로 기판(90) 상에 지지하도록 동일 평면의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후드(21)의 바닥벽(2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 고 채널(45; 4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51)를 더 포함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
  18. 제17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51)는 채널(45; 46)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으로 있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51)는 채널(45; 46)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45; 46)이 회로 기판(90)에 장착되어 있을 때 회로 기판(9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바닥벽(22)에는 보강 리브(51)와 채널(45; 46)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
KR1020090021269A 2008-03-20 2009-03-12 기판용 커넥터 KR101498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72653A JP4985498B2 (ja) 2008-03-20 2008-03-20 基板用コネクタ
JPJP-P-2008-072653 2008-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94A true KR20090101094A (ko) 2009-09-24
KR101498743B1 KR101498743B1 (ko) 2015-03-04

Family

ID=4108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269A KR101498743B1 (ko) 2008-03-20 2009-03-12 기판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31527B2 (ko)
JP (1) JP4985498B2 (ko)
KR (1) KR101498743B1 (ko)
CN (1) CN1015404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257A (ja) * 2008-08-01 2010-02-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8535623B2 (en) * 2009-04-21 2013-09-1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Concave connecto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easuring kit, sensor substrate, and sensor substrate interprolated cylinder
JP2015049957A (ja) * 2013-08-30 2015-03-16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6103380B2 (ja) * 2013-09-03 2017-03-29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端子
JP6258115B2 (ja) * 2014-04-24 2018-01-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さ違いの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7352184B2 (ja) * 2020-02-20 2023-09-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302227A (nl) * 1993-12-21 1995-07-17 Connector Systems Tech Nv Elektrische connector met een de aansluitpennen positionerend lichaam.
JPH08148241A (ja) * 1994-11-22 1996-06-07 Sumitomo Electric Ind Ltd 基板用コネクタ
US5685739A (en) * 1996-02-14 1997-11-11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632023B1 (en) * 1998-08-04 2003-10-1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module connector adaptor
JP2001085091A (ja) 1999-09-20 2001-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2003142209A (ja) 2001-11-07 2003-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951777B2 (ja) * 2002-04-04 2007-08-01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2004192983A (ja) * 2002-12-12 2004-07-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の実装構造
JP2004296452A (ja) * 2004-07-21 2004-10-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7066614A (ja) * 2005-08-30 2007-03-15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0446B (zh) 2012-03-21
JP4985498B2 (ja) 2012-07-25
JP2009230941A (ja) 2009-10-08
CN101540446A (zh) 2009-09-23
US20090239414A1 (en) 2009-09-24
US7731527B2 (en) 2010-06-08
KR101498743B1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1094A (ko) 기판용 커넥터
JP4421644B2 (ja) 中間電気コネクタ
US7798863B2 (en) Modular jack having a lead-in configuration for a complementary mating plug
JP2008295261A (ja) 電気接続箱
US11355890B2 (en) Shield connector and outer conductor terminal
US8848387B2 (en) Shield case,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825244B1 (ko)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 및 분리를 안내해주는 기능이 있는쉘을 가진 커넥터
US11799237B2 (en) Terminal body for high-voltage connection, cable assembly and connector
CN108390173B (zh) 基板用连接器
JP2012049013A (ja) 電気コネクタ
JP5090508B2 (ja) 電気コネクタ
US1089258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pressing pins pressing on a terminal fitting
US10998654B2 (en)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circuit board and board connector
KR102239718B1 (ko)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US10971833B2 (en) Board connector
US20060154512A1 (en) Pressure-weldin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404879B2 (ja) コネクタ
CN214625490U (zh) 连接器
JP7001965B2 (ja) コネクタ
US779886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JP4426470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JP202311099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23111000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90012955U (ko) I/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