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936A -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936A
KR20090099936A KR1020080025243A KR20080025243A KR20090099936A KR 20090099936 A KR20090099936 A KR 20090099936A KR 1020080025243 A KR1020080025243 A KR 1020080025243A KR 20080025243 A KR20080025243 A KR 20080025243A KR 20090099936 A KR20090099936 A KR 20090099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strength reinforcing
frame
user ho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143B1 (ko
Inventor
한상선
김용우
이상혁
전재환
원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143B1/ko
Priority to US12/354,730 priority patent/US8008570B2/en
Priority to EP09000630A priority patent/EP2103986B1/en
Priority to DE602009000870T priority patent/DE602009000870D1/de
Priority to CN2009100064182A priority patent/CN101539675B/zh
Priority to JP2009066417A priority patent/JP5542353B2/ja
Publication of KR2009009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프론트 마운트 방식으로 커버에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틀의 지지부 및 측부가 형성하는 모서리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의 기저면에 제1 유저홀이 형성된다. 전면 수납틀의 상면부에는 제1 유저홀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들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수납틀의 바닥부에는 제1 유저홀에 대응하는 제2 유저홀이 형성된다. 절개부는 후면 수납틀의 측벽부를 상단으로부터 개구시켜 제2 유저홀을 노출시키며,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제2 유저홀의 주변부를 따라 절곡되며, 절개부로 인해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커버의 테두리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고, 후면 수납틀은 외력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다.
표시장치, 프론트 마운트, 지지틀, 절개부, 보강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DISPLAY ASSEMBLY AND DISPAL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커버를 프론트 마운트(front mount)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구조 및 이러한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평판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얇고, 가벼우며, 낮은 소비 전력 및 낮은 구동 전압을 갖는다는 이유로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TV와 같은 대형 전자 장치에 그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TV와 같은 대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와 우수한 디자인을 위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커버,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의 프론트 커버 및 리어 커버로 액정표시장치를 수납한다.
액정표시장치의 최외곽은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 해 금속재질의 새시에 의해 감싸여 진다. 새시와 커버가 결합되어 액정표시장치는 커버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액정표시장치를 커버에 결합시키는 방식에는 사이드 마운트 방식 또는 프론트 마운트 방식이 알려져 있다. 사이드 마운트 방식에서는 새시의 측면에 스크류 체결되는 브래킷이 추가적으로 사용되며, 프론트 커버 또는 리어 커버가 브래킷에 결합된다.
따라서 사이드 마운트 방식의 경우,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연결 부재로 인해 액정표시장치의 측면과 프론트 커버의 측면 간의 이격 간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표시화면을 정의하는 프론트 커버의 테두리의 폭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슬림화라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표시장치의 테두리의 폭을 감소시키는 것이 기술적 이슈로 되어 왔다. 이러한 추세에 대하여 전술한 사이드 마운트 방식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프론트 마운트 방식이 제시되었다. 프론트 마운트 방식에서는 브래킷을 제거하고 액정표시장치의 새시의 정면에 프론트 커버 및 리어 커버와의 체결구조가 형성된다.
그러나 프론트 마운트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액정표시장치의 새시의 측벽에 프론트 커버 또는 리어 커버로부터 연장된 체결보스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절개부들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새시의 측벽은 여러 곳에서 개구된 구조를 가져 외부의 충격, 특히 측벽에 대한 휨응력에 취약하다.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공정에서 새시들이 쉽게 변형되어 조립의 불량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프론트 마운트 결합을 위한 구조를 갖고,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모듈, 지지틀, 전면 수납틀 및 후면 수납틀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정보를 표시한다.
지지틀은 지지부, 측부,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 및 제1 유저홀을 포함한다. 지지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한다. 측부는 지지부에 연결된다. 결합홈은 지지부의 상면과 측부가 만나서 형성하는 모서리에 형성된다. 제1 유저홀은 결합홈의 기저면에 형성된다.
전면 수납틀은 상면부 및 측면부를 포함한다. 상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화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면부에는 제1 유저홀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측면부는 상면부로부터 측부와 마주보게 연장된다.
후면 수납틀은 바닥부, 측벽부, 절개부 및 제1 강도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바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rear face)을 지지하며, 바닥부에는 제1 유저홀에 대응하는 제2 유저홀이 형성된다. 측벽부는 측부와 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절개부는 측벽부를 상단으로부터 개구시켜 제2 유저홀을 노출시킨다.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제2 유저홀의 주변부를 따라 절곡되며, 절개부로 인해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결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측벽부의 에지들로부터 제1 유저홀 및 결합홈의 측면의 사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개구부는 측면부를 측면부의 하단까지 개구시키고, 전면 수납틀은 제1 개구부로 인해 형성된 측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 강도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제1 유저홀을 회피하도록 절곡되어 결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측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제1 유저홀을 기준으로 제1 강도 보강 부재와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는 측면부의 하단까지 개구시키며,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측벽부의 에지들로부터 측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제1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수납틀은 제1 개구부로 인해 형성된 측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 강도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제2 강도 보강 부재의 상측 에지에 걸쳐질 수 있다. 제1 강도 보강 부재의 상측 에지에는 제2 강도 보강 부재에 대해 측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제1 강도 보강 부재의 외측면에 겹쳐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제1 유저홀을 기준으로 제1 강도 보강 부재의 상측 및 반대편에 배치되어 결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지지틀은 제3 유저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저홀은 서로 다른 측부들이 서로 만나 형성하는 지지틀 코너부에 대응하여 지지부에 형성된다. 전면 수납틀은 제2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부는 지지틀 코너부에 대응하는 전면 수납 용기의 전면 코너부에 형성되어 제3 유저홀을 노출시킨다. 후면 수납틀은 제3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구부는 지지틀 코너부에 대응하는 후면 수납틀의 후면 코너부에 형성되어 제3 유저홀을 노출시킨다.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백라이트 파트 및 표시패널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파트는 후면 수납틀에 수납되어 광을 출사한다. 표시패널 파트는 전면 수납틀에 수납 및 지지부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표시패널 파트는 백라이트 파트가 출사한 광을 기초로 정보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파트는 복수의 램프 유닛들, 사이드 프레임 및 광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유닛들은 후면 수납틀의 측벽부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닥부에 배치된다. 사이드 프레임은 지지부와 바닥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사이드 프레임에는 램프 유닛들의 단부들을 수용하는 복수의 가이드홈들이 형성된다. 광학 부재는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과 지지부의 하면의 사이에 개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틀의 결합홈과 대향하는 지지틀의 측부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홈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 파트는 복수의 램프 유닛들 및 광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유닛들은 단부들이 가이드홈들에 각기 수용된다. 광학부재는 지지부의 상면과 표시패널 파트의 하면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지지틀, 전면 수납틀, 후면 수납틀, 프론트 커버, 리어 커버 및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틀은 지지부, 측부,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 및 제1 유저홀을 포함한다. 지지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한다. 측부는 지지부의 에지로부터 연장된다. 결합홈은 지지부의 상면과 측부가 만나 형성하는 모서리에 형성된다. 제1 유저홀은 결합홈의 기저면에 형성된다.
전면 수납틀은 상면부, 측면부 및 제1 개구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화면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측면부는 상면부로부터 지지틀의 측부와 마주보게 연장된다. 제1 개구부는 상면부와 측면부가 만나서 형성하는 모서리에 형성되어 제1 유저홀을 노출시킨다.
후면 수납틀은 바닥부, 측벽부, 절개부, 제1 강도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바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rear face)을 지지하며, 바닥부에는 제1 유저홀에 대응하는 제2 유저홀이 형성된다. 측벽부는 측부와 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절개부는 제2 유저홀과 교차하는 측벽부를 상단으로부터 개구시켜 제2 유저홀을 노출시킨다.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제2 유저홀을 회피하도록 절곡되며, 절개부로 인해 형성된 측벽부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프론트(front) 커버는 표시화면이 노출되도록 전면 수납틀을 수납한다. 리 어(rear) 커버는 프론트 커버와 대향하여 결합되며 후면 수납틀을 수납한다. 체결부재는 제1 유저홀 및 제2 유저홀을 관통하며 프론트 커버 및 리어 커버에 각각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론트 커버는 프론트 몸체 및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몸체는 전면 수납틀을 커버한다. 결합부는 프론트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1 개구부를 관통하여 기저면에 배치된다. 체결부재는 리어 커버, 제2 유저홀 및 제1 유저홀을 관통하여 결합부에 삽입된다.
실시예들에서, 전면 수납틀은 제2 강도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는 제1 개구부는 의해 하단까지 개구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제1 개구부로 인해 형성된 측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을 연결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 및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제1 유저홀을 회피하도록 절곡되어 결합홈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강도 보강 부재 및 제2강도 보강 부재는 제1 유저홀을 기준으로 결합홈의 측면의 반대편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제2 강도 보강 부재의 상측 에지에 걸쳐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제1 강도 보강 부재의 외측면에 겹쳐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강도 보강 부재 및 제2강도 보강 부재 중 하나는 제1 유저홀을 회피하도록 결합홈에 수용되고, 나머지 하나는 결합홈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후면 수납틀 및/또는 전면 수납틀의 측벽에는 프론트 마운트 방식의 결합을 위해 절개부가 형성되고, 강도 보강 부재는 절개부로 인해 형성된 측벽의 서로 마주보는 에지들을 연결하여 측벽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외부충격에 대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강성이 향상되며 표시장치의 테두리의 폭이 감소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는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프론트 마운트 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1), 지지틀(150), 전면 수납틀(210) 및 후면 수납 틀(25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1)은 평판형 표시장치이며, 표시화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1)은 백라이트 파트(110) 및 표시패널 파트(13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파트(110)는 광을 출사한다. 표시패널 파트(130)는 백라이트 파트(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파트(110)가 출사한 광을 기초로 정보를 표시한다.
백라이트 파트(110)는 복수의 램프 유닛(111)들, 사이드 프레임(113) 및 광학 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유닛(111)은 램프 및 램프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는 냉음극 형광램프일 수 있다. 램프 소켓은 램프의 단부를 감싸 램프의 전극부를 보호한다.
복수의 램프들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사이드 프레임(113)은 램프의 단부에 결합된 램프소켓들을 커버한다. 사이드 프레임(113)은 램프 유닛(111)들을 서로 나란하게 정렬시키며, 사이드 프레임(113)의 측면에는 램프들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113)의 상면에는 광학 부재(115)가 배치되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다.
광학부재(15)는 램프 유닛(111)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 및 집광시킨다. 광학부재(15)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확산판(112), 제1 집광시트(114), 제2 집광시트(116) 및 보호시트(118)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 파트(130)은 광학부재(115)로부터 출사된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 한다. 표시패널 파트(130)는 표시패널, 인쇄회로기판(135) 및 연성회로필름(137)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광학부재(115)의 상부에 배치된다. 표시패널은 하부 기판(131), 상부기판(133)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35)은 표시패널에 영상정보 신호를 출력한다.
연성회로필름(137)은 표시패널의 하부 기판(131)의 일측 에지에 형성된 패드와 인쇄회로기판(13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지지틀(15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지지틀(1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1)을 지지한다. 지지틀(150)은 지지부(151), 측부(153),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55) 및 제1 유저홀(157)을 포함한다.
지지부(151)는 상기 표시화면에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되어 사각형 액자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지지부(151)는 서로 대향하는 외측 단변들과 서로 대향하는 외측 장변들을 포함한다. 지지부(151)의 상면에는 표시패널이 배치되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지지부(151)의 하면은 사이드 프레임(113) 상에 배치된 광학부재의 가장자리를 누른다. 램프들은 지지틀(150)의 상기 장변과 대략 나란하게 배치된다.
측부(153)는 지지부(151)의 단변들로부터 지지부(151)와 대략 직교하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에서, 지지부(151)의 외측 장변들로부터는 단변들에서보다 측부(153)가 짧게 연장된다. 이와 다르게 지지부(151)의 외측 장변들로부터는 측부(153)가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결합홈(155)은 지지부(151)의 상면과 측부(153)가 만나서 형성하는 모서리들 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홈(155)은 상측 및 측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결합홈(155)은 지지부(151)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결합홈(155)의 측면들 및 결합홈(155)의 측면들에 연결되며 지지부(151)의 상면과 나란한 기저면을 포함한다.
제1 유저홀(157)은 결합홈(155)의 기저면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제1 유저홀(157)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를 커버에 프론트 마운트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면 수납틀 및 지지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후면 수납틀(250)은 바닥부(252), 측벽부, 절개부 및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를 포함한다.
바닥부(252)의 상부에는 지지틀(150)이 배치된다. 지지틀(150)의 지지부(151)는 바닥부(252)의 가장자리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지지틀(150)의 측부(153)의 하단은 바닥부(252)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틀(150)이 액자 형상을 가지므로 지지틀(150)에 의해 노출된 바닥부(252)에는 백라이트 파트(110)가 배치된다. 바닥부(252)에는 램프들이 배치되며, 램프들의 단부에는 사이드 프레임(113)이 배치된다.
바닥부(252)는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고, 바닥부(252)의 단변측 가장자리에는 지지부(151)에 형성된 제1 유저홀(157)에 대응하는 제2 유저홀(254)이 형성된다.
측벽부는 바닥부(252)로부터 연장된다. 측벽부는 제1 측벽(251), 제2 측벽(253), 제3 측벽(255) 및 제4 측벽(2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251) 및 제2 측벽(253)은 지지틀(150)의 단변측의 측부(153)와 마주보게 바닥부(252)로부터 연장되며, 서로 마주본다. 제1 측벽(251) 및 제2 측벽(253)에는 결합홈(155)에 대응하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제1 측벽(251) 및 제2 측벽(253)은 그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 1 측벽(251)을 중심을 설명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절개부는 제1 측벽(251)의 상단으로부터 바닥부(252)까지 제1 측벽(251)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251)에는 절개부로 인해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이 형성된다. 절개부는 결합홈(155)을 측방향으로 노출시키며, 제1 측벽(251)의 상기 에지들 사이의 바닥부(25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유저홀(254)이 제1 유저홀(157)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로 인해 형성된 제1 측벽(251)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는 절개부(258)로 인해 약화된 제1 측벽(251) 의 강성을 보강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는 제1 측벽(2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부(252)에 형성된 제1 유저홀(157)의 주변을 따라 절곡되어 제1 개구부(215)를 회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55)에 수용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는 제1 유저홀(157)이 상측으로 완전 히 노출되도록 결합홈(155)의 측면과 제1 유저홀(157)의 사이로 연장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55)의 측면을 대략 따르되 복수의 위치에서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는 제1 유저홀(157)을 회피하여 대략 결합홈(155)의 측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절곡될 수 있다.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는 결합홈(155)에 삽입되어 지지틀(150)과 후면 수납틀(250)의 결합시에 서로에 대해 결합될 위치를 가이드한다.
제3 측벽(255) 및 제4 측벽(257)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 측벽(251) 및 제2 측벽(253)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3 측벽(255) 및 제4 측벽(257)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51)는 제3 측벽(255)의 상단 및 제4 측벽(257)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수납틀과 전면 수납틀의 결합방식을 설명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면 수납틀(210)은 지지틀(150)을 수납한 후면 수납틀(250)을 수납한다. 전면 수납틀(210)은 상면부(211) 및 측면부(213)를 포함한다.
상면부(211)는 상기 표시화면에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된 사각 액자 형상을 갖는다. 상면부(211)는 지지틀(150) 상에 배치된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측면부(213)는 상면부(211)의 에지로부터 후면 수납틀(250)의 제1 내지 제4 측벽(251, 253, 255, 257)들의 외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면부(211)에는 지지틀(150)의 결합홈(155)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215)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215)는 측면부(213)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측면부(213)의 하단까지 개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부(215)에 의해 결합홈(155)의 기저면 및 제1 유저홀(157)이 노출된다.
사이드 프레임(113)은 지지틀(150)의 측부(153)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지지틀(150)의 지지부(151)는 사이드 프레임(113)에 의해 지지되는 광학부재의 가장자리를 누른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제2 유저홀(254), 제1 유저홀(157) 및 제1 개구부(215)를 관통할 수 있고, 체결부재는 프론트 마운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를 커버와 같은 외부의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틀(150)은 상기 프론트 마운트 방식의 결합을 강화시키기 위해 제3 유저홀(1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저홀(159)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틀(150)의 서로 다른 측부(153)들이 만나는 지지틀 코너부(158)에 대응하는 지지부(151)의 코너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면 수납틀(210)에는 지지틀 코너부(158)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 수납틀(210)의 서로 다른 측면부(213)들이 서로 만나는 전면 수납틀(210)의 코너부 및 이에 대응하는 전면 수납틀(210)의 상면부(211) 코너 영역이 제거되어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후면 수납틀(250)에는 지지틀 코너부(158)를 노출시키는 제3 개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면 수납틀(250)의 제1 측벽(251)과 제3 및 제4 측벽(257)이 서로 만나는 코너부 및 제2 측벽(253)과 제3 측벽(255) 및 제4 측벽(257)이 서로 만나는 코너부가 제거되어 상기 제3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 프론트 커버(270), 리어 커버(290) 및 제1 체결부재(23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커버(270)는 프론트 몸체 및 제1 결합부를 포함한다. 프론트 몸체는 테두리(271) 및 프론트 측벽(273)을 포함한다. 테두리(271)는 표시패널의 표시화면을 노출시키며 전면 수납틀(210)의 상면부(211)를 커버한다. 프론트 측벽(273)은 전면 수납틀(210)의 측면부(213)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275)는 프론트 몸체로부터 연장된 결합보스로서, 제1 개구부(215)를 통해 노출된 제1 유저홀(157)의 기저면 상에 배치된다.
리어 커버(290)는 리어 몸체 및 제2 결합부(295)를 포함한다.
리어 몸체는 배면부(291) 및 리어 측벽(293)을 포함한다. 배면부(291)는 바닥부(252)를 커버한다. 리어 측벽(293)은 전면 수납틀(210)의 측면부(213)와 마주 보게 배치되며, 프론트 커버(270)의 프론트 측벽(273)의 하단과 만난다.
제2 결합부(295)는 리어 몸체로부터 연장된 결합보스로서, 제2 유저홀(254)을 관통하여 제1 유저홀(157)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결합부(275) 및 제2 결합부(295)는 지지틀(15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다.
제1 체결부재(231)는 스크류일 수 있다. 제1 체결부재(231)는 배면부(291)로부터 제2 결합부(295), 제2 유저홀(254) 및 제1 유저홀(157)을 관통하여 제1 결합부(275)에 체결된다.
프론트 커버(270)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부는프론트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지지틀 코너부(158)에 형성된 제3 유저홀(159)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커버(290)는 제4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결합부는 리어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3 유저홀(159)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장치(200)는 제4 결합부 및 제3 유저홀(159)을 관통하여 제3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 수납틀(210), 지지틀(150) 및 후면 수납틀(250)의 특징적인 구조로 인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의 측면에 배치되어 프론트 커버(270) 및/또는 리어 커버(29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를 연결시키는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를 프론트 마운트 방식으로 프론트 커버(270) 및/또는 리어 커버(29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의 표시화면을 정의하는 프론트 커버(270) 의 테두리(271)의 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후면 수납틀(250)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강도 보강 부재(260)는 후면 수납틀(250)의 측벽에 형성된 절개부로 인한 후면 수납틀(250)의 강성의 저하를 보상하여 후면 수납틀(250)의 강성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한다.
실시예 2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401), 지지틀(450), 전면 수납틀(510) 및 후면 수납틀(55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0)는 전면 수납틀(510)이 제2 강도 보강 부재(5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수납틀(510)은 상면부(511), 측면부(513) 및 제2 강도 보강 부재(517)를 포함한다.
상면부(511)는 디스플레이 모듈(401)의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상면부(511)에는 지지틀(450)의 결합홈(455)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515)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515)는 측면부(513)의 하단까지 연장되며, 측면부(513)는 제1 개구 부(515)로 인해 하단으로 개구된다. 따라서 측면부(513)에는 제1 개구부(515)로 인해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이 형성된다.
제2 강도 보강 부재(517)는 측면부(513)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2 강도 보강 부재(517)(812)는 측면부(513)의 상기 에지들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2 강도 보강 부재(517)는 제1 개구부(515)로 인해 약화된 전면 수납틀(5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강도 보강 부재(517)는 결합홈(455)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홈(455)에 수용된다. 이때, 결합홈(455)의 측면에는 후면 수납틀(550)의 제1 강도 보강 부재(560)가 먼저 삽입되어 있고, 제2 강도 보강 부재(517)는 제1 강도 보강 부재(560)의 외측면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5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표시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500)에서 전면 수납틀(510), 지지틀(450) 및 후면 수납틀(550)은 프론트 마운트 방식의 결합을 위한 특징적 구조를 가지고, 상기 특징적 구조를 달성하면서 부재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3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 지지틀(750), 전면 수납틀(810) 및 후면 수납틀(8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0)는 전면 수납틀(810)이 제2 강도 보강 부재(8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수납틀(810)은 상면부(811), 측면부(813) 및 제2 강도 보강 부재(817)를 포함한다.
제2 강도 보강 부재(817)는 측면부(813)의 하단으로부터 측면부(813)와 일체로 형성되며, 일정한 폭으로 측면부(813)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2 강도 보강 부재(817)는 제1 유저홀(757)을 기준으로 제1 강도 보강 부재(860)와 반대편에 배치된다. 즉, 제1 강도 보강 부재(860)는 결합홈(755)에 수용되며, 제2 강도 보강 부재(817)는 지지틀(750)의 측부(753)를 커버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표시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
도 12는 실시예 4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0)는 디스플레이 모듈, 지지틀(950), 전면 수납틀(1010) 및 후면 수납틀(10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0)는 후면 수납틀(1050)의 제1 강도 보강 부재(106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수납틀(1050)은 제2 유저홀(1054)이 형성된 바닥부(1052), 측벽부, 절개부 및 제1 강도 보강 부재(1060)를 포함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1060)는 상기 절개부로 인해 형성된 측벽부의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제1 강도 보강 부재(10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수납틀(1010)의 측면부(1013)를 향하여 돌출되어 측면부(1013)에 형성된 제1 개구부(1015)에 삽입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1060)는 절개부로 인해 약화되는 후면 수납틀(1050)의 강성을 보강시킬 뿐만 아니라, 제1 개구부(1015)에 삽입되어 후면 수납틀(1050)과 전면 수납틀(1010)의 결합시에 서로에 대해 결합될 위치를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표시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5
도 13은 실시예 5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100)는 후면 수납틀(1250)의 제1 강도 보강 부재(1260)의 형상 및 전면 수납틀(1210)이 제2 강도 보강 부재(12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강도 보강 부재(12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수납틀(1210)의 측면부(1213)를 향하여 돌출되어 측면부(1213)에 형성된 제1 개구부(1215)에 삽입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1260)의 상측 에지에는 지지틀(1150)의 측부(1153)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부(126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강도 보강 부재(1260)는 절개부로 인해 약화되는 후면 수납틀(1250)의 강성을 보강시킬 뿐만 아니라, 제1 개구부(1215)에 삽입되어 후면 수납틀(1250)과 전면 수납틀(1210)의 결합시에 서로에 대해 결합될 위치를 가이드한다.
전면 수납틀(1210)의 제2 강도 보강 부재(1217)는 제1 개구부(1215)로 인해 형성된 측면부(1213)의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제2 강도 보강 부재(1217)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면 수납틀(1250)과 전면 수납틀(1210)이 결합될 때, 제1 강도 보강 부재(1260)의 경사부(1261)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그 결과, 제1 강도 보 강 부재(1260)는 제2 강도 보강 부재(1217)의 상측 에지에 걸쳐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10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표시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6
도 14는 실시예 6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300)는 후면 수납틀(1450)의 제1 강도 보강 부재(1460)의 형상 및 전면 수납틀(1410)이 제2 강도 보강 부재(14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강도 보강 부재(146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수납틀(1410)의 측면부(1413)를 향하여 돌출되어 측면부(1413)에 형성된 제1 개구부(1415)에 삽입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1460)는 절개부로 인해 약화되는 후면 수납틀(1450)의 강성을 보강시킬 뿐만 아니라, 제1 개구부(1415)에 삽입되어 후면 수납틀(1450)과 전면 수납틀(1410)의 결합시에 서로에 대해 결합될 위치를 가이드한다.
전면 수납틀(1410)의 제2 강도 보강 부재(1417)는 제1 개구부(1415)로 인해 형성된 측면부(1413)의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제2 강도 보강 부재(1417)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 강도 보강 부재(1460)의 외측면에 겹쳐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30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표시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7
도 15는 실시예 7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00)는 후면 수납틀(1650)의 제1 강도 보강 부재(1660)의 형상 및 전면 수납틀(1610)이 제2 강도 보강 부재(16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강도 보강 부재(166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수납틀(1610)의 측면부(1613)를 향하여 돌출되어 측면부(1613)에 형성된 제1 개구부(1415)에 삽입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1660)는 절개부로 인해 약화되는 후면 수납틀(1650)의 강성을 보강시킬 뿐만 아니라, 제1 개구부(1415)에 삽입되어 후면 수납틀(1650)과 전면 수납틀(1610)의 결합시에 서로에 대해 결합될 위치를 가이드한다.
전면 수납틀(1610)의 제2 강도 보강 부재(1617)는 지지틀(1550)의 결합홈(1555)에 형성된 제1 유저홀(1557)을 기준으로 제1 강도 보강 부재(1660)의 상측 및 반대편에 배치된다. 즉, 제2 강도 보강 부재(1617)는 결합홈(1555)에 수용되며, 대략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0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표시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8
도 16은 실시예 8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701), 지지틀(1750), 전면 수납틀(1810) 및 후면 수납틀(185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701)은 백라이트 파트(1710) 및 표시패널 파트(173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파트(1710)는 도 2에서 설명된 사이드 프레임(113)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백라이트 파트(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백라이트 파트(1710)는 램프 유닛(1711)들 및 광학부재(1715)를 포함한다.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패널 파트(173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표시패널 파트(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7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지지틀(150)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틀(1713)은 도 2에서 설명된 사이드 프레임(113)에 대응된다.
지지틀(1713)은 결합홈(1725)이 더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서 설명된 사이드 프레임(1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지지틀(1713)은 지지부(1721) 및 측부(1723)를 포함한다.
지지부(1721)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부재(1715)를 지지하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측부(1723)는 지지부(1721)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에 각기 형성된 외측부(1722) 및 내측부(1724)를 포함한다. 외측부(1722)와 내측부(1724)는 서로 이격되며, 외측부(1722)와 내측부(1724)의 사이에는 램프홀더가 배치된다. 외측부(1722)와 지지부(1721)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결합홈(1725)이 형성되며, 결합홈(1725)의 기저면에는 제1 유저홀(1727)이 형성된다. 내측부(1724)에는 램프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들이 형성된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후면 수납틀과 지지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후면 수납틀(1850)은 바닥부(1852), 측벽부 및 제1 강도 보강 부재(1860)를 포함한다.
후면 수납틀(1850)은 코너부에 제3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후면 수납틀(2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후면 수납틀(1850)은 바닥부(1852), 절개부가 형성된 제1 측벽(1851) 및 제2 측벽(1853)과 제3 측벽(1855) 및 제4 측벽(1857)을 포함한다.
제3 측벽(1855) 및 제4 측벽(1857)은 각각 제1 면(1861), 제2 면(1863) 및 제3 면(18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861)은 바닥부(185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제3 면(1865)은 제1 면(1861)과 나란하게 외측에 배치된다. 제2 면(1863)은 제1 면(1861) 및 제3 면(1865)의 상단을 연결한다.
제2 면(1863) 및 제3 면(1865)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프론트 마운트 방식의 결합을 위한 제4 개구(1856)들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틀(1713)은 바닥부(1852)에 배치되며, 측부(1723)는 바닥부(185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틀(1713)이 후면 수납틀(1850)에 수납됨에 따라 제1 강도 보강 부재(1860)는 지지틀(1713)에 형성된 결합홈(1725)에 수용된다. 제1 강도 보강 부재(1860)는 대략 결합홈(1725)의 측면을 따라 절곡되어 결합홈(1725)의 기저면에 형성된 제1 유저홀(1727)을 노출시킨다.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700)는 미들 몰드 프레임(17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몰드 프레임(175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지지틀(150)에 대응된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지지틀(1713), 후면 수납틀(1850) 및 미들 몰드 프레임(175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미들 몰드 프레임(1750)은 상면 프레임(1751) 및 측면 프레임(1753)들을 포함한다.
상면 프레임(1751)은 사각 액자 형상을 갖고, 표시패널을 지지한다. 상면 프레임(1751)은 지지부(1721)에 의해 지지된 광학 부재(1715)의 가장자리를 누른다. 상면 프레임(1751)은 지지틀(1713)의 지지부(1721), 후면 수납틀(1850)의 제3 측벽(1855) 및 제4 측벽(1857)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면 프레임(1751)은 서로 대향하는 단변들과 서로 대향하는 장변들을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1753)들은 상면 프레임(1751)의 상기 단변들로부터 상면 프레임(1751)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측으로 연장된다. 측면 프레임(1753)들은 후면 수납틀(1850)의 제1 측벽(1851) 및 제2 측벽(1853)을 커버한다. 상면 프레임(1751)의 상기 장변들에는, 도 16에 도시되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753)들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면 프레임(1751)의 에지들에는 지지틀(1713)의 결합홈(1725) 및 후면 수납틀(1850)의 제4 개구들(1856)을 노출시키는 제5 개구(1755)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5 개구(1755)는 측면 프레임(1753)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개구시킨다.
전면 수납틀(1810)은 코너부에 지지틀 코너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2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11에 도시된 전면 수납틀(8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도 16 내지 도 19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80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700), 프론트 커버(1870), 리어 커버(1890) 및 제1 체결부재(1831)를 포함한다.
표시장치(1800)는 도 16 내지 도 19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700)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표시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의하면,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프론트 마운트 방식으로 프론트 커버 및/또는 리어 커버와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표시화면을 정의하는 프론트 커버의 테두리의 폭 및 장치의 부피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후면 수납틀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후면 수납틀의 측벽에 형성된 절개부로 인한 후면 수납틀의 강성의 저하를 보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는 평판 표시장치의 사이즈 감소, 결합구조의 개선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면 수납틀 및 지지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수납틀과 전면 수납틀의 결합방식을 설명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4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5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6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7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8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후면 수납틀과 지지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지지틀, 후면 수납틀 및 미들 몰드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 내지 도 19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0 : 백라이트 파트 111 : 램프 유닛
133 : 사이드 프레임 130 : 표시패널 파트
131 : 하부 기판 150 : 지지틀
151 : 지지부 153 : 측부
155 : 결합홈 157 : 제1 유저홀
100 :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01 : 디스플레이 모듈
200 : 표시장치 210 : 전면 수납틀
211 : 상면부 213 : 측면부
215 : 제1 개구부 230 : 체결부재
250 : 후면 수납틀 252 : 바닥부
251, 253, 255, 257 : 측벽 254 : 제2 유저홀
260 : 강도 보강 부재 270 : 프론트 커버
290 : 리어 커버

Claims (25)

  1.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측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상기 측부가 만나서 형성하는 모서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기저면에 형성된 제1 유저홀을 포함하는 지지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화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유저홀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측부와 마주보게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전면(front) 수납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rear face)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유저홀에 대응하는 제2 유저홀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측부와 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를 상단으로부터 개구시켜 상기 제2 유저홀을 노출시키는 절개부와, 상기 제2 유저홀의 주변부를 따라 절곡되며, 상기 절개부로 인해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측벽부의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강도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후면 수납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에지들로부터 상기 제1 유저홀 및 상기 기저면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결합홈의 측면의 사이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측면부를 상기 측면부의 하단까지 개구시키며, 상기 전면 수납틀은 상기 제1 개구부로 인해 형성된 상기 측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 강도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유저홀을 회피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측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유저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와 반대편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측면부를 상기 측면부의 하단까지 개구시키며,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에지들로부터 상기 측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수납틀은 상기 제1 개구부로 인해 형성된 상기 측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 강도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제2 강도 보강 부재의 상측 에지에 걸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의 상측 에지에는 상기 제2 강도 보강 부재에 대해 상기 측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의 외측면에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유저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의 상측 및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홈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서로 다른 상기 측부들이 서로 만나서 형성하는 지지틀 코너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제3 유저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수납틀은 상기 지지틀 코너부에 대응하는 상기 전면 수납틀의 전면 코너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유저홀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 수납틀은 상기 지지틀 코너부에 대응하는 상기 후면 수납틀의 후면 코너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유저홀을 노출시키는 제3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후면 수납틀에 수납되어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파트; 및
    상기 전면 수납틀에 수납 및 상기 지지부의 상기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광을 기초로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패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파트는
    상기 측벽부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닥부에 배치된 복수의 램프 유닛들;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램프 유닛들의 단부들을 수용하는 복수의 가이드홈들이 형성된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지지부의 하면의 사이에 개재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과 대향하는 상기 측부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홈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백라이트 파트는 단부들이 상기 가이드홈들에 각기 수용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들과, 상기 지지부의 상기 상면과 상기 표시패널 유닛의 하면의 사이에 개재된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8.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상기 측부가 만나서 형성하는 모서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기저면에 형성된 제1 유저홀을 포함하는 지지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화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측부와 마주보게 연장된 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와 측면부가 만나서 형성하는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저홀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면(front) 수납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rear face)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유저홀에 대응하는 제2 유저홀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측부와 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된 측벽 부와, 상기 제2 유저홀과 교차하는 상기 측벽부를 상단으로부터 개구시켜 상기 제2 유저홀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제2 유저홀을 회피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절개부로 인해 형성된 상기 측벽부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강도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후면 수납틀;
    상기 표시화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면 수납틀을 수납하는 프론트(front)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와 대향하여 결합되며 상기 후면 수납틀을 수납하는 리어(rear) 커버; 및
    상기 제1 유저홀 및 제2 유저홀을 관통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 및 리어 커버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전면 수납틀을 수납하는 프론트 몸체 및 상기 프론트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기저면에 배치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리어 커버, 제2 유저홀 및 제1 유저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수납틀은 상기 제1 개구부에 의해 하단까지 개구된 상기 측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들을 연결하는 제2 강도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 및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유저홀을 회피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각각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 및 제2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유저홀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의 측면의 반대편에 모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제2 강도 보강 부재의 상측 에지에 걸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의 외측면에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도 보강 부재 및 제2강도 보강 부재 중 하나는 상기 제1 유저홀을 회피하도록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결합홈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80025243A 2008-03-19 2008-03-19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9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243A KR101394143B1 (ko) 2008-03-19 2008-03-19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12/354,730 US8008570B2 (en) 2008-03-19 2009-01-15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09000630A EP2103986B1 (en) 2008-03-19 2009-01-17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E602009000870T DE602009000870D1 (de) 2008-03-19 2009-01-17 Anzeigeanordnung und damit versehene Anzeigevorrichtung
CN2009100064182A CN101539675B (zh) 2008-03-19 2009-02-12 显示组件和具有该显示组件的显示装置
JP2009066417A JP5542353B2 (ja) 2008-03-19 2009-03-18 ディスプレー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243A KR101394143B1 (ko) 2008-03-19 2008-03-19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936A true KR20090099936A (ko) 2009-09-23
KR101394143B1 KR101394143B1 (ko) 2014-05-15

Family

ID=4057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243A KR101394143B1 (ko) 2008-03-19 2008-03-19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08570B2 (ko)
EP (1) EP2103986B1 (ko)
JP (1) JP5542353B2 (ko)
KR (1) KR101394143B1 (ko)
CN (1) CN101539675B (ko)
DE (1) DE602009000870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497A (ko) * 2013-07-19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랩탑 컴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5320B (en) * 2007-09-21 2012-06-01 Au Optronics Corp Mold frame and bez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ntaining the same
KR100949117B1 (ko) * 2008-05-21 201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바텀샤시
JP4679659B2 (ja) * 2009-01-20 2011-04-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の筐体構造
KR20110054091A (ko) * 2009-11-17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1028315B1 (ko) * 2009-11-27 2011-04-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JP5304628B2 (ja) * 2009-12-22 2013-10-02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
JP2011133545A (ja) * 2009-12-22 2011-07-07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モジュール
JP5505059B2 (ja) * 2010-04-22 2014-05-28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327743B1 (ko) * 2010-04-27 2013-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2375483B (zh) * 2010-08-18 2014-04-1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机构及采用该固定机构的电子装置
CN102375482A (zh) * 2010-08-18 2012-03-1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机构及采用该固定机构的电子装置
JP5660314B2 (ja) * 2011-02-10 2015-0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5073068B2 (ja) * 2011-02-14 2012-11-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101810998B1 (ko) * 2011-06-29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88600B1 (ko) * 2011-09-15 2013-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US20130141943A1 (en) * 2011-12-01 2013-06-06 Yajun Yu Slim Bezel Backlight Modul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698690B2 (ja) * 2012-02-24 2015-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2566104A (zh) * 2012-02-29 2012-07-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固定结构及液晶显示装置
US8842235B2 (en) 2012-02-29 2014-09-2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ixing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69548B1 (ko) * 2012-03-13 2019-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72752B1 (ko) * 2012-12-24 2014-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94879A (ko) * 2013-01-23 2014-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조립체 및 표시 장치
JP2014154931A (ja) * 2013-02-05 2014-08-25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EP4083697A1 (en) 2013-03-08 2022-11-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03235436B (zh) * 2013-04-25 2016-04-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前框和中框的组合结构
JP6163875B2 (ja) * 2013-05-23 2017-07-19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6232874B2 (ja) * 2013-09-18 2017-11-22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3473998B (zh) * 2013-09-18 2016-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和拼接屏
KR102142902B1 (ko) * 2013-12-12 2020-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9483071B2 (en) * 2013-12-17 2016-11-01 Compal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2135917B1 (ko) * 2013-12-20 2020-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형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10025127B2 (en) * 2014-01-22 2018-07-1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R3021602B1 (fr) * 2014-05-27 2016-07-15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affichage destine a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CN104216565A (zh) * 2014-09-04 2014-12-17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4267845A (zh) * 2014-09-17 2015-01-07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266192B1 (ko) * 2015-02-02 2021-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437338B2 (ja) * 2015-02-17 2018-12-12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筐体及び電子機器
CN105120190B (zh) * 2015-08-20 2019-01-04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电视机金属框体及其电视
KR102519862B1 (ko) * 2015-12-24 2023-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2618B1 (ko) * 2016-03-07 2023-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34786B1 (ko) * 2016-09-01 2021-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6646726B (zh) * 2017-03-13 2019-02-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块及具有该背光模块的液晶显示器
JP7014587B2 (ja) * 2017-12-15 2022-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208256180U (zh) 2018-04-11 2018-12-18 Abb瑞士股份有限公司 显示器、电子设备和用于机器人的示教器
KR20220073234A (ko) * 2020-11-26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28A (ja) * 1991-07-15 1993-01-29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モジユール
JP3296160B2 (ja) * 1995-10-24 2002-06-24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ユニット
US6292239B1 (en) * 1998-05-28 2001-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frame to hold the panel and the back light unit using notch and tabs
JP3794456B2 (ja) * 1998-06-17 2006-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20010001271A (ko) 1999-06-03 2001-01-05 이학성 항균섬유용 은-알긴산염 항균제
KR100619582B1 (ko) 1999-10-08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이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이들의 조립 방법
KR100757794B1 (ko) * 2001-09-03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30028970A (ko) 2001-10-05 2003-04-1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852167B1 (ko) 2002-03-08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100840715B1 (ko) * 2002-05-28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4258280A (ja) * 2003-02-26 2004-09-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液晶表示装置
KR100970264B1 (ko) * 2003-07-24 201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모듈용 수납유닛, 이를 갖는 표시모듈 및 표시장치
JP4059863B2 (ja) * 2004-03-30 2008-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5321614A (ja) * 2004-05-10 200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パネル支持体、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065654B1 (ko) * 2004-06-15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497A (ko) * 2013-07-19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랩탑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3986B1 (en) 2011-03-16
JP5542353B2 (ja) 2014-07-09
EP2103986A1 (en) 2009-09-23
CN101539675B (zh) 2013-07-24
US8008570B2 (en) 2011-08-30
US20090237586A1 (en) 2009-09-24
KR101394143B1 (ko) 2014-05-15
CN101539675A (zh) 2009-09-23
JP2009230137A (ja) 2009-10-08
DE602009000870D1 (de)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143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8692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261549B1 (ko) 분할형 샤시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JP5308720B2 (ja) 収納容器、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1385226B1 (ko)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140697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결합 방법
KR10151545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5143490B2 (ja) 一体型ランプソケット、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KR101533662B1 (ko) 표시 장치
WO2010021200A1 (ja) 電子パッケージ、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12664B2 (ja) ランプソケットと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の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を有する表示装置、並びにランプ接続端子の製造方法
KR200700232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99881A (ko) 표시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4019381B2 (ja)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6008247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402161Y1 (ko) 보강판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모듈
KR101016568B1 (ko) 평판 표시 장치
KR20060034044A (ko) 표시 장치
KR20080058796A (ko) 수납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0840258B1 (ko) 액정 표시 모듈
KR100738322B1 (ko) 액정 모듈
KR20060012859A (ko) 표시장치
KR10102784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KR20070029873A (ko) 표시 장치용 수납 모듈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70076294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