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100A - 격납식 훅장치 - Google Patents

격납식 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100A
KR20090097100A KR1020090004277A KR20090004277A KR20090097100A KR 20090097100 A KR20090097100 A KR 20090097100A KR 1020090004277 A KR1020090004277 A KR 1020090004277A KR 20090004277 A KR20090004277 A KR 20090004277A KR 20090097100 A KR20090097100 A KR 20090097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ver member
case
engaged
hoo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035B1 (ko
Inventor
다카히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9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16B45/024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and having means biasing the closing member about the piv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물품류의 걸어놓음과 떼어냄을 한 손으로 또한 원터치 조작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격납식 훅장치(8)는 케이스(1)와,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격납상태와 케이스 밖으로 훅부(22)를 돌출시킨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훅부재(2)와, 케이스 또는 훅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훅부(22)와의 사이에 폐쇄루프공간(M)을 형성하며 상기 훅부에 걸려 있는 물품류의 빠짐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용 커버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부재(3)는, 통상시에는 탄지수단(5)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폐쇄루프공간(M)을 형성하는 폐쇄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사용상태에서는 훅부(22)에 물품류를 걸어놓거나 떼어낼 때에 훅부(22)와 대향하고 있는 커버부재(30)가 물품류에 의해서 폐쇄루프공간(M)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누름 조작됨으로써 상기 폐쇄위치에서 그 각 누름방향으로 각각 자동복귀 가능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격납식 훅장치{HOUSING TYPE HOOK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수송수단에 적합한 훅장치 중, 미사용시에는 케이스 내에 격납하여 두고 사용시에는 케이스 밖으로 돌출시켜서 행거나 봉지형상물 등의 각종 물품류를 걸어놓는 격납식 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격납식 훅장치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격납상태와 선단측 훅부를 케이스 밖으로 돌출시킨 사용상태로 회동 전환되는 훅부재와, 케이스 또는 훅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훅부와의 사이에 폐쇄루프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훅부에 걸려 있는 물품류의 빠짐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용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물품류가 훅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하로 진동되더라도 커버부재에 의해서 탈락되지 않도록 한 구조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커버부재는 스프링부재에 의해서 훅부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훅부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유지되거나(이하, 이것을 제 1 구조라 한다), 스프링부재에 의해서 훅부와 맞닿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훅부로부터 이간 조작되는(이하, 이것을 제 2 구조라 한다) 것 중의 어느 하나로 되어 있다.
제 1 구조에서는 커버부재가 훅부재에서 떨어져 있는 통상상태에서 물품류를 걸어놓은 후, 커버부재를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훅부 상으로 눌러내렸을 때에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폐쇄루프공간을 유지한다. 제 2 구조에서는 커버부재가 탄지력에 의해서 폐쇄루프공간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걸어맞춤수단을 생략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를 탄지력에 저항하여 훅부재에서 들어올려 떨어지게 한 상태에서 물품류를 훅부에 걸어놓은 후, 상기 커버부재를 들어올린 조작을 해제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2-264729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훅장치에서는 훅부재와 함께 커버부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훅부에 걸려 있는 물품류가 차량의 주행진동 등에 의해서 상하로 흔들림으로써 훅부에서 물품류의 피부착부가 순간적으로 떠오르더라도 커버부재와의 맞닿음에 의해서 훅부에서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한 것이지만, 조작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아직도 만족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제 1 구조에서는 물품류를 걸어놓거나 떼어낼 경우, 물품류를 훅부에 걸어놓거나 떼어내는 조작과 커버부재를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훅부 측에 걸어맞추거나 해제하는 조작이 필수로 되어 있어 원터치 조작이 불가능하다. 또, 제 2 구조에서는 커버부재를 탄지력에 저항하여 훅부재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물품류를 훅부에 걸어놓거나 떠어내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어, 원터치 조작성이 결여됨과 아울러 한 손 조작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훅부재 및 커버부재를 가진 격납식 훅장치에 있어서 물품류의 걸어놓음과 떼어냄을 한 손으로 또한 원터치 조작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이것에 의해서 사용의 편리성 및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 중에서 순차적으로 밝혀 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격납상태와 케이스 밖으로 선단측 훅부를 돌출시킨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훅부재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훅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상기 훅부와의 사이에 폐쇄루프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훅부에 걸려 있는 물품류의 빠짐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용 커버부재를 구비한 격납식 훅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통상시에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폐쇄루프공간을 형성하는 폐쇄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훅부에 물품류를 걸어놓거나 떼어낼 때에 상기 훅부와 대향하고 있는 대응부(커버부재)가 물품류에 의해서 상기 폐쇄루프공간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누름 조작됨으로써 상기 폐쇄위치에서 그 각 누름방향으로 각각 자동복귀 가능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격납식 훅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훅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폐쇄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력과 함께,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폐쇄루프공간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눌러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폐쇄위치로 각각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력으로서 작용하는 구성이다(청구항 2).
(b) 상기 훅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그 상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훅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4).
(c) 상기 훅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맞닿는 시트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루프공간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눌려져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양 시트부의 맞닿는 각도가 변화하는 구성이다(청구항 5).
(d) 상기 훅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시트부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수단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6).
(e)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훅부재는 상기 훅부재의 격납상태와 사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서로 걸어맞춰지고 벗겨지는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 중 어느 일방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의 누름조작이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피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상태에서 행해지는 구성이다(청구항 7, 8, 9).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우선 커버부재가 누름조작되지 않는 한 훅부재의 훅부 상에 접근한 폐쇄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외관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물품류를 걸어놓을 때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류를 대응부(커버부재)에 외측에서 갖다 대면서 누르면, 커버부재가 그 누름방향으로 복귀 가능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물품류(물품류의 피부착부)를 한 손으로 또한 원터치 조작으로 훅부에 걸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물품류를 떼어낼 때에는 물품류를 대응부(커버부재)에 내측에서 갖다 대면서 누르면, 커버부재가 그 누름방향으로 복귀 가능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물품류(물품류의 피 부착부)를 한 손으로 또한 원터치 조작으로 훅부에서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훅장치는 특허문헌 1의 커버부재를 가지는 이점에 부가하여, 외관 특성 및 물품류를 걸어놓거나 떼어내는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커버부재를 폐쇄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력과 커버부재를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눌러서 이동시켰을 때에 폐쇄위치로 각각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력을 같은 탄지수단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부재수를 줄여 간략화할 수 있다.
청구항 3, 4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훅부재가 케이스에 대해서 상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즉 진자(振子)와 같이 회동하기 때문에, 하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타입에 비해서 격납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훅부재의 회동량 내지는 케이스로부터의 돌출량이 억제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가 폐쇄루프공간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눌려져서 이동되었을 때에 훅부재의 시트부와 커버부재의 시트부가 서로 다른 각도에서 맞닿게 함음으로써 커버부재를 같은 탄지수단에 의해서 각각 복귀 가능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훅부재 및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상기 시트부를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수단(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의 슬라이드부재 및 그 관련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훅부재와 커버부재를 작동 연결하기 용이하게 되어 설계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청구항 7, 8, 9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훅부재가 격납상태와 사용상태에서 각각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확실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실시형태와 같이 사용의 편리성이 좋은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격납식 훅장치의 구성부재를 나타내고, 도 2와 도 3은 훅부재의 격납상태와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도 4 내지 도 6은 물품류를 걸어놓거나 떼어낼 때의 조작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요, 장치구조, 조립, 작동의 순서로 설명한다.
(개요)
본 실시형태의 훅장치(8)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실을 구획 형성하고 있는 내벽에 설치되어 의복이나 비닐봉투 등의 물품류를 걸어놓는 것이다.
구성부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에 수용되는 격납상태와 케이스(1) 밖으로 선단측을 돌출시킨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훅부재(2)와, 케이스(1) 또는 훅부재(2)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훅부재(2)에 걸려 있는 물품류의 피부착부(N)의 빠짐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용 커버부재(3)와, 훅부재(2) 및 커버부재(3) 중 적어도 일방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드수단인 슬라이드부재(4)와, 커버부재(3)를 슬라이드부재(4)를 통해서 탄지하는 탄지수단인 코일스프링(5)과, 회전지지용 샤프트(6)와, 케이스(1)의 테두리를 덮는 틀부재(7)로 이 루어진다.
구조의 특징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훅부재(2)와 함께 탈락방지용 커버부재(3)를 구비한 격납식 훅장치(8)에 있어서, 커버부재(3)는 샤프트(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훅부재(2)의 선단측 훅부(22)와의 사이에 폐쇄루프공간(M)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3)는 통상시에는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폐쇄루프공간(M)을 형성하는 폐쇄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사용상태에서는 훅부(22)에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걸어놓거나 떼어낼 때에, 훅부(22)와 대향하고 있는 대응부로서의 커버부재(3)가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통해서 폐쇄루프공간(M)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누름 조작됨으로써 폐쇄루프공간(M)을 형성하는 폐쇄위치에서 그 각 누름방향으로 각각 자동복귀 가능하게 이동한다.
또한, 피부착부(N)는 예를 들면, 물품류가 의복이라면 의복측의 걸이부나 의복에 사용되는 행거의 훅부, 물품류가 비닐봉지라면 비닐봉지측의 파지부 등에 대응하고 있다.
(장치구조)
케이스(1), 훅부재(2), 커버부재(3), 슬라이드부재(4), 틀부재(7)는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단, 재질은 수지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케이스(1)는 상하벽(10,11)과 양 측벽(12,12)과 후벽(14)에 의해서 구획된 전방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용기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하벽(10,11)에는 구멍(13a)을 가진 지지벽부(13)가 전방측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벽(10)은 지지벽부(13)의 후방측에 형성된 비교적 큰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하벽(1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오목형상 걸어맞춤부(11a)와 이 걸어맞춤부(11a)보다 전방측에 형성된 작은 슬릿(11b)을 가지고 있다. 양측의 각 측벽(12,12)에는 전방측의 좌우 외면에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고, 또 상측에 축구멍(12a)이 대향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측에 있어서 측단부의 상하부에 걸림구멍(12b)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15)에는 배면측으로 돌출되며 나사 등이 내부공간에서 후방측을 향해서 끼워지는 나사구멍을 가진 부착부(15a,15b)와, 상측 부착부(15a)의 후면에 돌출되어 있는 위치결정용 보스부(16)와, 돌출부(15)와 측벽(12)의 사이에 관통된 슬릿형상 걸어맞춤구멍(17,17)이 형성되어 있다. 후벽(14)에는 그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오목형상 걸어맞춤부(11a)와 유사한 오목형상 걸어맞춤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14a)는 폭방향의 홈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에는 틀부재(7)가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장착된다. 틀부재(7)는 케이스(1)의 전방측 개구부의 테두리를 덮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며, 배면의 양측에 상하 2단으로 돌출형성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걸림편(19)과 배면의 상하부에 돌출형성된 걸어맞춤축부(18)를 가지고 있다. 걸림편(19)에는 선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돌조(19a)와 기단부 내벽에 돌출된 리브(19b)가 형성되어 있다.
훅부재(2)는 상기 케이스(1) 내에 샤프트(6)에 의해서 조립되는 부착판부(20)와, 부착판부(20)의 하단에서 후방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되 이 부착판부(20) 와 간격을 두고 있는 연결판부(21)와, 부착판부(20)의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형성된 선단측 훅부(22)로 이루어진다. 부착판부(20)에는 축구멍(12a)에 대응한 축구멍(23)이 상단에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부(21)는 부착판부(2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수평판 및 이 수평판의 후단에서 세워진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며, 수평판과 수직판의 하반부와 부착판부(20)의 하반부를 일체화되게 연결하는 보강부(24)와, 상기 수직판의 상측 내면에 돌출형성되되 전체가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25)와, 상기 수직판의 배면 중앙 및 하단에 각각 돌출형성된 걸어맞춤돌기(27a,27b) 및 배면 상단 양측에 돌출형성된 걸어맞춤돌조(28,28)를 가지고 있다. 각 지지부(25)는 슬릿(26)에 의해 구획되어 있음과 아울러 기단측에 형성된 규제구멍(29)을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돌기(27a,27b) 및 걸어맞춤돌조(28,28)는 본 발명의 피걸어맞춤부이다.
커버부재(3)는 전방측의 커버부(30)와, 커버부(30)의 배면 상부 양측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 1쌍의 부착부(31)와, 양 부착부(31)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로 형성된 시트부(32)로 이루어진다. 커버부(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재(2)의 훅부(22)와 함께 케이스(1)의 전방측 개구부를 거의 폐색하는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22)와의 사이에 폐쇄루프공간(M)을 형성하며 상기 훅부(22)에 걸려 있는 물품류의 피부착부(N)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각 부착부(31)는 훅부재(2)의 부착판부(20)의 상부가 삽입 가능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동일 축선상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축구멍(23)과 겹쳐지는 구멍(33)을 가지고 있다. 시트부(32)는 상하 길이치수가 커버 부(30)보다 작은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4)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시트부(40)와, 시트부(40)의 배면측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다리부(41)로 이루어진다. 시트부(40)는 시트부(32)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으며, 시트부(32)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면이 면접촉하거나, 시트부(32)가 도 4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져서 그 하단 또는 상단이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리부(41)는 지지부(25)와 같은 개수만큼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돌출단부에 형성된 걸림돌조(42)를 가지고 있다.
(조립)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각 부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립된다.
우선, 슬라이드부재(4)가 훅부재(2)에 대해서 코일스프링(5)과 함께 조립된다. 이 조립조작에서는 코일스프링(5)을 각 지지부(25)의 외경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4)의 각 다리부(41)를 지지부(25)의 내측으로 눌러 끼운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드부재(4)는 그 시트부(40)가 코일스프링(5)을 압축함과 동시에, 각 다리부(41)가 대응하는 지지부(25)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서 우선 지지부(25)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누름접촉되고 최종적으로는 걸림돌조(42)가 규제구멍(29)에 끼워맞춰지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돌조(42)가 규제구멍(29)의 전단에 맞닿아서 규제될 때까지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전방측으로 슬라이드됨과 아울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커버부재(3)에 의해서 눌려지면 상기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하면서 후방측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훅부재(2)는 케이스(1)에 대해서 샤프트(6)에 의해서 커버부재(3)와 함께 조립된다. 이 조립조작에서는 훅부재(2)의 부착판부(20)의 상측에 커버부재(3)를 배치한 상태로, 즉 커버부재(3)의 내측에 부착판부(20)의 상측을 끼운 상태로 케이스(1) 내에 끼워넣는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6)의 축부(6b)를 일방의 축구멍(12a), 일방의 구멍(33), 축구멍(23), 타방의 구멍(33), 타방의 축구멍(12a)에 순차적으로 끼우고 또한 축부(6b)의 선단을 도시하지 않은 부재로 빠짐방지되게 처리함으로써 훅부재(2) 및 커버부재(3)가 케이스(1)에 조립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틀부재(7)는 케이스(1)에 대해서 그 상하의 걸어맞춤축부(18)를 대응하는 지지벽부(13)의 구멍(13a)에 삽입함과 아울러 각 걸림편(19)을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17)에 삽입함으로써 일체화된다. 즉, 각 걸림편(19)은 그 돌조(19a)가 걸어맞춤구멍(17)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리브(19b)가 걸림구멍(12b)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빠짐방지된다.
또한, 샤프트(6)는 대경의 머리부(6a) 및 축부(6b)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축부(6b)의 선단이 빠짐방지용 너트 등과 걸어맞춰지는 타입의 것이나, 빠짐방지용 E링 등과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홈 타입의 것이 적합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훅부재(2)와 커버부재(3)를 공통의 샤프트(6)에 의해서 케이스(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거나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고 있는데, 훅부재(2) 및 커버부재(3)는 케이스(1)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여도 된다.
(작동)
이상과 같이 조립된 훅장치(8)의 사용요령과 함께 동작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a) 도 2는 훅부재(2)가 케이스(1) 내에 수용된 격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격납상태에 있어서, 훅부재(2)는 그 연결판부(21)가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케이스(1)의 후벽(14)의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또한 그 걸어맞춤돌기(27)가 오목형상 걸어맞춤부(14a)에 걸어맞춰져 있다. 커버부재(3)는 그 상측이 샤프트(6)에 의해서 케이스(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고, 시트부(32)가 상기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전방측으로 슬라이드된 슬라이드부재(4)의 시트부(40)와 면접촉한 상태에서 전체가 가볍게 전방측으로 내밀림으로써, 커버부(30)가 케이스(1)의 전방측 개구부에 있어서의 훅부(22)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폐색한다.
(b) 도 3은 훅부재(2)의 훅부(22)를 케이스(1) 밖으로 돌출시킨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 사용상태로의 전환조작에서는, 조작자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9)으로 커버부재(3)의 커버부(30)를 외측에서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르게 되면, 커버부재(3)가 샤프트(6)를 지지점으로 하여 부착판부(20)에 맞닿을 때까지 회동하게 됨으로써 손가락(9)을 훅부(22)에 걸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따라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9)으로 커버부(30)를 누르면서 상기 훅부(22)에 걸고, 이 상태에서 상기 훅부(22)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전방측 개구부로부터 꺼내고, 그 후 손가락(9)을 훅부(22)에서 빼낸다.
이와 같이 하면, 훅부재(2)가 샤프트(6)를 지지점으로 하여 진자처럼 회동하게 됨으로써 훅부(22)가 케이스(1) 내에서 케이스(1) 밖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걸어맞춤돌기(27a)와 오목형상 걸어맞춤부(14a)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고, 그 후 걸어맞춤돌조(28,28)가 오목형상 걸어맞춤부(14a)에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걸어맞춤돌기(27b)가 케이스(1)의 하벽(11)의 오목형상 걸어맞춤부(11a)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또, 손가락(9)을 훅부(22)에서 빼내면, 커버부재(3)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시트부(32)가 상기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전방측으로 슬라이드된 슬라이드부재(4)의 시트부(40)와 면접촉한 상태에서 전체가 가볍게 전방측으로 내밀리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커버부(30)가 훅부(22)와의 사이에 폐쇄루프공간(M)을 형성하게 된다.
훅부재(2)는 걸어맞춤돌기(27b)와 걸어맞춤부(11a)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돌조(28,28)와 걸어맞춤부(14a)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연결판부(21)가 코일스프링(5)의 경사방향으로의 탄지력을 받는 상태로 안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c) 도 5(b)는 사용상태에 있는 훅부재(2)에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걸어놓을 때까지의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조작자가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도 5(a)의 폐쇄위치에 있는 커버부재(1)의 커버부(30)에 외측에서 갖다 대면서 누르면, 커버부재(3)가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6)를 지지점으로 하여 내측으로 회동함으로써 훅부(22)와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부(30)에 갖다 댄 물품류의 피부 착부(N)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30)에서 떨어지면서 훅부(22)에 걸리게 된다. 물품류의 피부착부(N)가 커버부(30)에서 떨어지게 되면, 커버부재(3)는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원래의 폐쇄위치까지 회동하게 된다. 도 6(a)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물품류의 피부착부(N)가 훅부(22)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훅장치(8)에서는, 커버부재(3)가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름조작되지 않는 한 훅부재(2)의 훅부(22) 상에 접근한 폐쇄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외관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 할 수 있으며, 또 물품류의 피부착부(N)가 상하방향으로의 진동을 받아 훅부(22)에서 순간적으로 떠오르더라도 커버부(30)의 존재에 의해서 훅부(22)에서 부주의하게 빠진다고 하는 우려를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d) 도 6(b)는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훅부(22)에서 빼낼 때까지의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조작자가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들어올리도록 하여 커버부재(2)의 커버부(30)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갖다 대면서 누르면, 커버부재(3)가 도 5(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샤프트(6)를 지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동함으로써 훅부(22)와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부(30)에 갖다 댄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상기 간격을 통해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품류의 피부착부(N)가 커버부(30)에서 떨어지게 되면, 커버부재(3)는 코일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원래의 폐쇄위치까지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훅장치(8)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물품류를 걸어놓을 때에 는,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커버부(30)에 외측에서 갖다 대면서 누르면, 커버부재(3)가 그 누름방향으로 코일스프링(5) 및 시트부(32)와 시트부(40)의 맞닿음을 통해서 복귀 가능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한 손으로 또한 원터치 조작으로 훅부(22)에 걸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물품류를 떼어낼 때에는,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커버부(30)의 내측에서 갖다 대면서 누르면, 커버부재(3)가 그 누름방향으로 코일스프링(5) 및 시트부(32)와 시트부(40)의 맞닿음을 통해서 복귀 가능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물품류의 피부착부(N)를 한 손으로 또한 원터치 조작으로 훅부(22)에서 떼어낼 수 있다. 그 후에는 도 5(a)의 상태로 된다.
또한, 훅부(22)를 케이스(1) 내측으로 누르면, 상기 도 2에 나타낸 격납상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훅장치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어떠한 제약을 받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 1에서 특정된 요건을 제외하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격납식 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구성도
도 2의 (a)와 (b)는 도 1의 훅장치를 격납상태로 나타내는 외관도와 단면도
도 3의 (a) 와 (b)는 도 1의 훅장치를 사용상태로 나타내는 외관도와 단면도
도 4의 (a) 와 (b)는 훅부재를 격납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할 때의 조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의 (a) 와 (b)는 물품류를 매달 때의 조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a) 와 (b)는 물품류를 떼어낼 때의 조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12a - 축구멍
17a,17b - 걸어맞춤구멍 2 - 훅부재
20 - 부착판부 21 - 연결판부
22 - 훅부 3 - 커버부재(대응부)
30 - 커버부 31 - 부착부
32 - 시트부 4 - 슬라이드부재(슬라이드수단)
40 - 시트부 41 - 다리부
42 - 돌조 5 - 코일스프링(탄지수단)
7 - 틀부재 8 - 훅장치
M - 폐쇄루프공간 N - 물품류의 피부착부

Claims (9)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격납상태와 케이스 밖으로 선단측 훅부를 돌출시킨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훅부재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훅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훅부와의 사이에 폐쇄루프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훅부에 걸려 있는 물품류의 빠짐을 방지하는 탈락방지용 커버부재를 구비한 격납식 훅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통상시에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폐쇄루프공간을 형성하는 폐쇄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훅부에 물품류를 걸어놓거나 떼어낼 때에 상기 훅부와 대향하고 있는 대응부가 물품류에 의해서 상기 폐쇄루프공간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누름 조작됨으로써 상기 폐쇄위치에서 그 각 누름방향으로 각각 자동복귀 가능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훅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폐쇄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력과 함께,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폐쇄루프공간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눌러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폐쇄위치로 각각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력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훅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그 상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훅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훅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훅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그 상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훅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훅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맞닿는 시트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루프공간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눌려져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양 시트부의 맞닿는 각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훅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시트부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훅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훅부재는 상기 훅부재의 격납상태와 사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서로 걸어맞춰지고 벗겨지는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 중 어느 일방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의 누름조작이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피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상태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훅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훅부재는 상기 훅부재의 격납상태와 사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서로 걸어맞춰지고 벗겨지는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 중 어느 일방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의 누름조작이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피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상태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훅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훅부재는 상기 훅부재의 격납상태와 사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서로 걸어맞춰지고 벗겨지는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 중 어느 일방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의 누름조작이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피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상태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훅장치.
KR1020090004277A 2008-03-10 2009-01-19 격납식 훅장치 KR100968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59000 2008-03-10
JP2008059000A JP5038195B2 (ja) 2008-03-10 2008-03-10 格納式フ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100A true KR20090097100A (ko) 2009-09-15
KR100968035B1 KR100968035B1 (ko) 2010-07-07

Family

ID=4110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277A KR100968035B1 (ko) 2008-03-10 2009-01-19 격납식 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38195B2 (ko)
KR (1) KR100968035B1 (ko)
CN (1) CN101531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6790B2 (ja) * 2010-05-20 2014-10-1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車両用フック装置
JP5897875B2 (ja) * 2011-11-15 2016-04-0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車両用フック装置
CN103253206B (zh) * 2013-05-15 2017-02-08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隐形挂钩
GB2552240B (en) * 2014-10-07 2021-05-05 Piolax In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CN105163536B (zh) * 2015-08-28 2018-06-22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挂物架模组及电子装置
CN106585505A (zh) * 2015-10-20 2017-04-26 福特环球技术公司 可用于车辆上的物体接插总成
US9914399B2 (en) * 2015-11-10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go management system and multifunction hoo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3327Y1 (ko) * 1968-11-26 1973-04-11
JP3305237B2 (ja) * 1997-07-10 2002-07-22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座席のフック構造
US6874210B1 (en) * 1999-10-25 2005-04-05 Whitmar, Inc. Clipping device and method of use
JP2002264729A (ja) * 2001-03-07 2002-09-18 Nifco Inc 車両用格納式フック装置
JP4106233B2 (ja) 2002-05-10 2008-06-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格納式小物掛け
JP3966842B2 (ja) 2003-08-25 2007-08-2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制動装置
JP2005282848A (ja) 2004-03-30 2005-10-13 Kaoru Kurita 壁付けハンガー掛け装置
CN2923557Y (zh) * 2006-06-23 2007-07-18 周华坤 带挂扣的瓶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1164A (zh) 2009-09-16
JP2009214643A (ja) 2009-09-24
JP5038195B2 (ja) 2012-10-03
CN101531164B (zh) 2012-06-13
KR100968035B1 (ko)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035B1 (ko) 격납식 훅장치
US5850996A (en) Mobile telephone hanging device
US5794902A (en) Shelf bracket for use with a grooved shelf
AU2014302999A1 (en) Compliance bracket bottle strap lock
AU2006312409B2 (en) Support assembly
KR101681752B1 (ko) 선반고정장치
KR100883310B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JPH11146995A (ja) 棚並びに伸縮容器及び収納庫付き洗濯機
US20040201338A1 (en) Self-opening waste bin manager
KR101816923B1 (ko) 서랍의 레일조립장치
KR101828795B1 (ko) 서랍의 레일조립장치
CN215445838U (zh) 一种锁紧装置及具有该装置的支架
KR101707803B1 (ko) 서랍이탈이 방지되는 수납함
US20180298655A1 (en) Latch Hook-type Positioning Device
US20180220750A1 (en) Fastener
JP2014079319A (ja) ストラップ用係止具
JP3228505U (ja) 小物入れ
KR100931262B1 (ko)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JP3274299B2 (ja) ゴミ容器
JP4301090B2 (ja) キャビネット用ハンギング構造
JP4574886B2 (ja) 引き出しのラッチレバー取付構造
KR200183395Y1 (ko) 집게의 시건 장치
CN219524814U (zh) 罐体组件
JPH08112130A (ja) 携帯品のストラップ着脱具
JP3245023U (ja) 伸縮式突っ張りポー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