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048A -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048A
KR20090097048A KR1020080022200A KR20080022200A KR20090097048A KR 20090097048 A KR20090097048 A KR 20090097048A KR 1020080022200 A KR1020080022200 A KR 1020080022200A KR 20080022200 A KR20080022200 A KR 20080022200A KR 20090097048 A KR20090097048 A KR 20090097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discharge device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758B1 (ko
Inventor
손창대
이근식
김경애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2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7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내솥 바닥면의 온도 및 내솥 상면의 온도를 감지하고, 내솥 바닥면의 온도 및 내솥 상면의 온도를 기준으로 히터 및 증기배출장치를 제어하여 불림 공정, 가열 공정, 뜸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불림 공정 및 가열 공정의 일부 구간, 뜸 공정에서 내솥으로부터 외부로 증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가열 공정의 나머지 구간에서 내솥으로부터 외부로 증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불림 공정 및 초기 가열 공정이 대기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솥 내부의 비등점을 낮추어 대류를 원활하게 하고, 가열 공정의 나머지 구간이 압력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솥 내부의 밥맛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찰진 밥맛을 높일 수 있다.
전기압력밥솥, 상부 온도 센서, 하부 온도 센서, 제어부, 가열 공정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본 발명은 물과 쌀이 담겨지는 내솥을 히터로 가열하여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솥의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온도에 의존하여 불림 공정 및 초기 가열 공정에서 내솥으로부터 외부로 증기를 배출되도록 하고, 나머지 가열 공정에서 내솥으로부터 외부로 증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밥의 찰기와 윤기 등이 개선되는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밀폐된 공간의 솥을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함으로 솥 안의 압력을 높여서 상압(常壓)에서는 잘 삶아지지 않는 식품을 단시간에 조리하는 조리기구이다.
보통, 전기압력밥솥은 다양한 취사코스가 있어 그 중에 선택할 수 있고, 각 취사코스에는 불림공정, 가열공정, 뜸공정 등과 같은 일련의 취사공정이 포함되는데, 각 취사코스에 포함된 일련의 취사공정은 서로 다른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기압력밥솥은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포함하는 취사 알고리즘에 의해 취사 공정이 제어되는데,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솥 바닥면과 근접하게 구비된 하부 온도 센서에 의해 내솥 바닥면의 온도가 측정되고, 내솥 바닥면의 온도에 따라 취사 알고리즘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내솥 바닥면의 온도에만 의존하여 취사 알고리즘이 수행되기 때문에 내솥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는 부분에 균일한 밥맛을 내기 어렵고, 불림 공정 및 가열 공정이 내솥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림 공정에서 내솥 내부의 비등점이 높아져 내솥 내부에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밥알을 크게 만들기 어려울 뿐 아니라 마찬가지로 균일한 밥맛을 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전기압력밥솥은 불림 공정 또는 가열 공정을 연장하여 밥의 찰기와 부드러움을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기도 하지만, 공정 별로 가열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전체적으로 취사되는 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솥의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온도에 의존하여 취사 알고리즘이 수행되도록 하여 밥솥의 상, 중, 하부의 밥맛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림 공정 및 초기 가열 공정이 대기압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머지 가열 공정이 고압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감(食疳) 및 식미(食味)를 높이는 동시에 취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수용 공간 주변에 각종 히터가 내장된 본체; 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솥;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솥을 밀폐시키는 뚜껑; 뚜껑에 설치되어 내솥에서 외부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장치; 내솥 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들; 그리고, 온도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내솥 측의 온도에 따라 불림 공정, 가열 공정, 뜸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히터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초기의 가열 공정 일부 구간에서 증기배출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온도 센서들은 내솥 바닥면의 온도(Tb)를 측정하는 하부 온도 센서와, 내솥 상면의 온도(Tt)를 측정하는 상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가열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하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바닥면의 온도(Tb)가 제1설정 온도(T1) 미만에서 증기배출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가열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하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바닥면의 온도(Tb)가 제1설정 온도(T1) 이상이면, 상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상면의 온도(Tt)가 제2설정 온도(T2) 미만에서 증기배출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가열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상면의 온도(Tt)가 제2설정 온도(T2) 이상이면, 상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상면의 온도(Tt)가 제3설정 온도(T3) 미만에서 증기배출장치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가열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상면의 온도(Tt)가 제3설정 온도(T3) 이상이면, 하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바닥면의 온도(Tb)에 따라 증기배출장치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불림 공정 및 뜸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증기배출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하부 온도 센서 및 상부 온도 센서를 구비하여 내솥의 바닥면 온도(Tb) 및 내솥의 상면 온도(Tt)에 의존하여 취사 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내솥 내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밥맛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내솥의 바닥면 온도(Tb) 및 내솥의 상면 온도(Tt)에 의존하여 불림 공정 및 초기 가열 공정이 대기압에서 이뤄지고, 나머지 가열 공정이 고압 상태에서 이뤄지도록 하기 때문에 내솥 내부의 대류를 원활하게 하여 밥맛을 균일하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취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제어 과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일예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히터가 내장된 본체(10)와, 본체(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20)과, 본체(10)에 수용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솥(30)과, 뚜껑(20)에 설치되어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취사 압력으로 유지하는 압력조절장치(40)와, 뚜껑(20)에 설치되어 내솥(3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증기배출장치(50)와, 본체(10)에 내장되어 히터들을 비롯하여 압력조절장치(40) 및 증기배출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 및 내솥 상면의 온도(Tt)에 의존하여 취사 알고리즘이 수행되되, 불림 공정 및 초기 가열 공정과 뜸 공정은 증기배출장치(50)가 개방되어 대기압에서 이뤄지도록 하고, 나머지 가열 공정은 증기배출장치(50)가 폐쇄되어 고온 고압 상태에서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체(10)는 내솥(30)이 안착되는 수용공간(11)이 구비되되, 수용공간(11) 주변에 메인 히터(12), 상부 히터(13), 측면 히터(14)가 구비된다. 이때, 메인 히터(12)는 일종의 열판으로 내솥(30)의 바닥면을 가열하도록 수용공간(11)의 바닥면에 내장되고, 상부 히터(13)는 일종의 열선으로 내솥(30)의 상면을 가열시키도록 수용공간(11)의 측면 상부 또는 뚜껑(20)에 내장되며, 측면 히터(14)는 일종의 열선으로 내솥(30)의 측면을 가열시키도록 수용공간(11)의 측면에 내장된다.
뚜껑(20)은 힌지장치(미도시)에 의해 본체(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외뚜껑(21)과, 외뚜껑(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솥(30) 상면을 덮어주는 내뚜껑(22)으로 이루어지되, 외뚜껑(21) 전방에는 취사 온도, 취사 시간, 취사 코스 등이 표시될 뿐 아니라 취사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3)가 구비되고, 외뚜껑(21) 중심에는 내뚜껑(22)을 내솥(30)에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뚜껑잠금장치(미도시)를 조절하는 핸들(24)이 구비된다. 물론, 외뚜껑(21)과 내뚜껑(22) 사이 에는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동시에 연통되는 유로를 구비하되, 유로 상에는 내솥(3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증기 배출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40) 및 증기배출장치(50)가 설치된다.
내솥(30)은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물과 쌀 등의 조리물이 담겨지도록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뚜껑잠금장치에 의해 내뚜껑(22)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내솥(30)의 상/하부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하부 온도 센서(31) 및 상부 온도 센서(32)가 구비되되, 하부 온도 센서(31)는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수용공간(11) 바닥면에 내장되고, 상부 온도 센서(32)는 내솥(30) 상면의 온도(Tt)를 측정하기 위하여 내뚜껑(22) 상면에 내장된다.
압력조절장치(40)는 내솥(30)과 연통되도록 외뚜껑(21)과 내뚜껑(22) 사이에 구비된 유로 상에 설치되되, 내솥(30)이 가열되더라도 증기 또는 밥물을 안전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취사 압력으로 유지한다. 이때, 압력조절장치(40)는 유로 상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 및 외뚜껑 측의 유로 단부에 설치된 무게추(41)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단순히 무게추(41)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무게추(41)는 증기 또는 밥물이 직접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뚜껑(21)에 구비된 저장홈(미도시) 또는 저장용기(미도시)로 안내하여 한꺼번에 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증기배출장치(50)는 압력조절장치(50)와 별도로 외뚜껑(21)과 내뚜껑(22) 사이에 구비된 유로 상에 설치된 일종의 솔레노이드 밸브로써, 내솥(30)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솥(30) 내부의 압력이 임계압력 이상이면 증기를 배출하여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낮춰준다. 이때, 증기배출장치(50)는 제어부(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이 제어되는데, 불림 공정 및 초기 가열 공정과 뜸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증기배출장치(50)는 개방되는 반면, 나머지 가열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30) 내부를 대기압보다 높은 고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증기배출장치(50)는 폐쇄된다. 물론, 가열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30) 내부의 압력이 임계압력 이상이면, 증기배출장치(50)는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제어부(60)는 본체(10)에 내장되되,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하여 취사 코스를 입력받은 다음, 입력받은 취사 코스에 따라 미리 내장된 취사 알고리즘이 선택되고, 선택된 취사 알고리즘에 따라 각종 히터들(12,13,14)과, 압력조절장치(40), 증기배출장치(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60)는 하부 온도 센서(31)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 및 상부 온도 센서(32)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상면의 온도(Tt)에 의존하여 각종 히터(12,13,14) 및 증기배출장치(50)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취사 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일예로, 제어부(60)는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 및 내솥(30) 상면의 온도(Tt)를 기준으로 불림 공정, 제1차 가열 공정, 제2차 가열 공정, 뜸 공정이 진행되도록 각종 히터(12,13,14)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각 공정 별로 증기배출장치(50)의 작동을 제어하되, 불림 공정, 초기 구간의 제1차 가열 공정, 뜸 공정에서 증기배출장치(50)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구간의 제1차 가열 공정, 제2차 가열 공정에서 증기배출장치(50)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과정이 도시된 도표인데,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과정 일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림공정은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를 기준으로 내솥(30)으로부터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대기압 상태에서 이뤄진다.(S1 참조) 즉, 제어부(60)는 하부 온도 센서(31)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가 미리 설정된 불림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각종 히터(12,13,14)를 작동시켜 불림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되, 불림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로를 개방하도록 증기배출장치(50)를 제어한다.
다음, 제1차 가열공정은 불림공정이 완료된 다음, 제1 가열과정, 제2 가열과정, 제3 가열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S2 참조)
제1 가열과정은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를 기준으로 내솥(30)으로부터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대기압 상태에서 이뤄진다.(S21 참조) 즉, 제어부(60)는 하부 온도 센서(31)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가 불림온도보다 높은 제1 설정온도(T1)에 도달할 때까지 각종 히터(12,13,14)를 작동시켜 제1 가열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되, 제1 가열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로를 개방하도록 증기배출장치(50)를 제어한다. 이때, 제1 가열과정은 대기압에서 이뤄짐에 따라 내솥(30) 내부의 비등점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내솥(30) 내부에서 대류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밥알을 포동하 도록 크게 하고, 윤기 있고 찰진 밥을 지을 수 있다.
제2 가열과정은 내솥(30) 상면의 온도(Tt)를 기준으로 내솥(30)으로부터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대기압 상태에서 이뤄진다.(S22 참조) 즉, 제어부(60)는 하부 온도 센서(31)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가 제1 설정온도(T1)인 시점부터 상부 온도 센서(32)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상면의 온도(Tt)가 내솥(30) 내부에서 비산이 일어나기 직전의 온도인 제2 설정온도(T2)에 도달할 때까지 각종 히터(12,13,14)를 작동시켜 제2 가열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되, 제2 가열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로를 개방하도록 증기배출장치(50)를 제어한다. 이때, 제2 가열과정은 제1 가열과정과 마찬가지로 대기압에서 이뤄짐에 따라 내솥(30) 내부의 비등점을 낮출 수 있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물론, 제1 가열과정은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가 제1 설정온도(T1)에 도달할 때까지 이뤄지고, 제2 가열과정은 내솥(30) 상면의 온도(Tt)가 제2 설정온도(T2)에 도달할 때까지 이뤄지기 때문에 내솥(3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열전달이 이뤄지도록 하여 내솥(30) 내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한 밥맛을 낼 수 있다.
제3 가열과정은 내솥(30) 상면의 온도(Tt)를 기준으로 내솥(30)으로부터 증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대기압 보다 높은 고압 상태에서 이뤄진다.(S23 참조) 즉, 제어부(60)는 상부 온도 센서(32)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상면의 온도(Tt)가 제2 설정온도(T2)인 시점부터 제2 설정온도(T2)보다 높은 제3 설정온도(T3)에 도달할 때까지 각종 히터(12,13,14)를 작동시켜 제3 가열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되, 제3 가열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로를 폐쇄하도록 증기배출장치(50)를 제어한다. 이때, 제3 가열과정은 제1,2 가열과정과 달리 고압에서 이뤄짐에 따라 내솥(30) 내부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 단시간에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 제2차 가열공정은 제1차 가열공정이 완료된 다음,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를 기준으로 내솥(30)으로부터 증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고압 상태에서 이뤄진다.(S3 참조) 즉, 제어부(60)는 상부 온도 센서(32)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상면의 온도(Tt)가 제3 설정온도(T3)인 시점부터 하부 온도 센서(31)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가 설정된 가열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각종 히터(12,13,14)를 작동시켜 제2차 가열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되, 제2차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로를 폐쇄하도록 증기배출장치(50)를 제어한다. 이때, 제2차 가열과정은 제3 가열과정과 같이 고압에서 이뤄짐에 따라 내솥(30) 내부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 단시간에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 뜸 공정은 제2차 가열공정이 완료된 다음,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를 기준으로 내솥(30)으로부터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대기압 상태에서 이뤄진다.(S4 참조) 즉, 제어부(60)는 하부 온도 센서(31)에 의해 측정된 내솥(30) 바닥면의 온도(Tb)가 가열온도인 시점부터 뜸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각종 히터(12,13,14)를 작동시켜 뜸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되, 뜸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3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로를 개방하도록 증기배출장 치(50)를 제어한다. 이때, 뜸 공정은 증기가 배출되더라도 내솥(30)에 잔류하는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해 밥알이 완전하게 익도록 한다.
다음, 뜸 공정이 완료되면, 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제어 과정이 도시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과정이 도시된 도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뚜껑
30 : 내솥 31 : 하부 온도 센서
32 : 상부 온도 센서 40 : 압력조절장치
50 : 증기배출장치 60 : 제어부

Claims (7)

  1. 수용 공간 주변에 각종 히터가 내장된 본체;
    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솥;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솥을 밀폐시키는 뚜껑;
    뚜껑에 설치되어 내솥에서 외부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장치;
    내솥 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들; 그리고,
    온도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내솥 측의 온도에 따라 불림 공정, 가열 공정, 뜸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히터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초기의 가열 공정 일부 구간에서 증기배출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들은 내솥 바닥면의 온도(Tb)를 측정하는 하부 온도 센서와, 내솥 상면의 온도(Tt)를 측정하는 상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하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바닥면의 온도(Tb)가 제1설정 온도(T1) 미만에서 증기배출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4.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하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바닥면의 온도(Tb)가 제1설정 온도(T1) 이상이면, 상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상면의 온도(Tt)가 제2설정 온도(T2) 미만에서 증기배출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상면의 온도(Tt)가 제2설정 온도(T2) 이상이면, 상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상면의 온도(Tt)가 제3설정 온도(T3) 미만에서 증기배출장치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열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상면의 온도(Tt)가 제3설정 온도(T3) 이상이면, 하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솥 바닥면의 온도(Tb)에 따라 증기배출장치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불림 공정 및 뜸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증기배출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KR1020080022200A 2008-03-10 2008-03-10 전기압력밥솥 KR100997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200A KR100997758B1 (ko) 2008-03-10 2008-03-10 전기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200A KR100997758B1 (ko) 2008-03-10 2008-03-10 전기압력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048A true KR20090097048A (ko) 2009-09-15
KR100997758B1 KR100997758B1 (ko) 2010-12-02

Family

ID=4135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200A KR100997758B1 (ko) 2008-03-10 2008-03-10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7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129A (ko) * 2015-12-15 2017-06-2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압력밥솥
KR20180131758A (ko) * 2017-06-01 2018-12-11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64808A (ko) 2017-12-01 2019-06-11 이한형 밥솥 구조
US20210388991A1 (en) * 2019-12-17 2021-12-16 Rimoo (Foshan) Electrical Appliance Tech Co., Ltd. Multifunctional appliance for cook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5114A1 (en) * 2013-03-13 2014-10-09 Hearthmark, Llc Automatic pressure steam canning appliance
KR101943392B1 (ko) * 2018-04-27 2019-01-30 (주)쿠첸 전기 압력 밥솥의 돌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441B1 (ko) * 1996-10-15 1999-03-20 구자홍 전기 압력 밥솥의 압력 가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221870B1 (ko) * 1997-11-19 1999-09-15 전주범 전기압력밥솥에서 압력조절장치의 구동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129A (ko) * 2015-12-15 2017-06-2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압력밥솥
KR20180131758A (ko) * 2017-06-01 2018-12-11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64808A (ko) 2017-12-01 2019-06-11 이한형 밥솥 구조
US20210388991A1 (en) * 2019-12-17 2021-12-16 Rimoo (Foshan) Electrical Appliance Tech Co., Ltd. Multifunctional appliance for cooking
US11841146B2 (en) * 2019-12-17 2023-12-12 Rimoo (Foshan) Electrical Appliance Tech Co., Ltd. Multifunctional appliance for coo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758B1 (ko)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758B1 (ko) 전기압력밥솥
JP2008067899A (ja) 炊飯器
US20050051160A1 (en) Steam oven
JP2006141978A (ja) 電気圧力炊飯ジャーの炊飯制御装置
CN103648337A (zh) 煮饭器
KR100835049B1 (ko) 전기밥솥 및 취반방법
KR100531770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현미발아 취반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8851940A (zh) 一种蒸煮器具及其控制方法
KR20140018709A (ko) 순대찜기
JP2007236730A (ja) 炊飯器
CN108158393B (zh) 煮饭器和使用该煮饭器进行保温的方法
KR100746441B1 (ko) 비산방지기능을 지닌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662889B1 (ko) 전기압력밥솥 및 그 취사방법
AU2012268875B2 (en) Multi function cooking device
JP2018068326A (ja) 炊飯器
JP2015202186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制御方法
KR20010084034A (ko)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식 증기배출장치
JP2005245821A (ja) 調理器
KR19990005367A (ko) 전기압력밥솥의 제어방법
KR102389578B1 (ko) 전기 압력밥솥
KR101594311B1 (ko) 전기 압력 조리기
KR102433974B1 (ko)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KR102029939B1 (ko) 즉석식품 가열 기능을 구비한 전기 압력 밥솥
KR20000008522A (ko) 전기 압력밥솥의 취사방법
KR101188214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보온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