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302A - 동영상 녹화 장치와,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및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녹화 장치와,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및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302A
KR20090095302A KR1020080020571A KR20080020571A KR20090095302A KR 20090095302 A KR20090095302 A KR 20090095302A KR 1020080020571 A KR1020080020571 A KR 1020080020571A KR 20080020571 A KR20080020571 A KR 20080020571A KR 20090095302 A KR20090095302 A KR 2009009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zoom lens
video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5302A/ko
Publication of KR2009009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동영상 녹화 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복수 개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광학 줌렌즈와, 광학 줌렌즈에 의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취득부와,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취득부와, 화상 취득부의 화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와, 음성 취득부의 소리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와, 구동수단이 구동될 때의 시간을 기록할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구동소음 연동부와,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동영상파일로 기록하며 구동소음 연동부의 설정에 따라 구동수단이 구동되는 시간의 정보를 동영상파일에 기록하는 동영상 파일 기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 녹화 장치와,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Video recorder, video recording method with zoom lens operation, and video replaying method}
본 발명은 동영상 녹화 장치와,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녹화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녹화하는 동안 줌렌즈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 정보를 동영상 파일에 연동시킬 수 있고, 줌렌즈의 구동 소음이 포함된 소리의 재생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동영상 녹화 장치와,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동영상 녹화 장치에 장착되는 줌렌즈는, 복수 개의 렌즈군과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렌즈들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줌렌즈의 액추에이터에는 DC 모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DC 모터는 일반적으로 PWM(pulse width modulation) 전압에 의해 구동되므로, 줌렌즈의 줌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PWM 구동에 의한 특유의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동영상을 녹화하는 중에 줌렌즈를 구동하면, 동영상과 함께 줌렌즈의 구동 소음이 녹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동영상을 녹 화하는 동안 광학 줌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해 녹화되는 동영상에는 줌렌즈의 줌 동작으로 인한 소음이 녹음되지는 않지만, 촬영이 이루어지는 동안 광학 줌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 중에는 동영상을 녹화하는 동안 광학 줌 기능이 사용되면, 모든 소리가 녹음되지 않도록 묵음 처리함으로써 줌의 구동 소음이 녹음되는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사용자가 녹음 여부에 대해 선택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화면만 기록되고 소리는 전혀 녹음되지 않은 동영상으로 만족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소리가 녹음되지 않은 동영상을 확인한 사용자가 이것을 카메라의 고장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녹화할 때 줌 기능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에서 동영상을 녹화하며 줌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줌렌즈의 구동 소음에 대한 처리를 사용자가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를 사용하여 녹화된 동영상에 줌렌즈의 구동 소음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가 구동 소음의 청취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을 동영상 파일에 연동시킬 수 있는 동영상 녹화 장치 및 동영상 녹화 방법과, 줌렌즈의 구동소음의 재생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동영상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동영상 녹화 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복수 개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광학 줌렌즈와, 광학 줌렌즈에 의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취득부와,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취득부와, 화상 취득부의 화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와, 음성 취득부의 소리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와, 구동수단이 구동될 때의 시간을 기록할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구동소음 연동부와, 화상데이 터와 음성데이터를 동영상파일로 기록하며 구동소음 연동부의 설정에 따라 구동수단이 구동되는 시간의 정보를 동영상파일에 기록하는 동영상 파일 기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영상파일은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영역과, 구동수단이 구동되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방법은, 동영상 녹화시 줌 구동시간 정보의 저장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와, 줌렌즈의 영상광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및 음성 취득 단계와, 화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고 소리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와, 줌렌즈가 구동되고 줌 구동시간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경우 동영상 파일에 화상데이터, 음성데이터,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에 관한 줌 구동시간 정보를 기록하여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와, 줌렌즈가 구동되지 않거나 줌렌즈가 구동되어도 줌 구동시간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 동영상 파일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만을 기록하여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동영상 재생 방법은,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영역과 사용자 영역을 갖는 동영상 파일을 읽는 단계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 영역의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데이터 영역의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 영역에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 영역에 줌렌즈 구동시간 정보가 존재하면 줌렌즈 구동시간 정보의 종료 시간까지 데이터 영역의 화상데이터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영상 녹화 장치와 동영상 녹화 방법은 동영상을 녹화하는 중에 광학 줌 기능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녹화 장치를 이용해 동영상을 녹화하는 동안 줌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줌렌즈의 구동소음의 시간 정보와 동영상 파일을 연동하는 것을 사용자가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목적은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녹화된 동영상에 줌렌즈의 구동 소음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가 구동 소음의 청취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녹화 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서로에 대한 위치가 조정되는 복수 개의 렌즈들(11)을 갖는 광학 줌렌즈(10)와, 영상광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취득부(13)와,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취득부(14)와, 화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 부(15)와, 소리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16)와, 구동수단이 구동되는 시간을 기록할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구동소음 연동부(19)와, 동영상파일을 기록하는 동영상 파일 기록부(18)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동영상 녹화 장치는, 동영상 녹화 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동영상 녹화 장치는, 화상을 취득하여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과 외부소리를 취득하여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어부(30)는 동영상 녹화 장치의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화상 변환부(15)와 음성 변환부(16)와 줌 구동부(17)와 동영상 파일 기록부(18)와 구동소음 연동부(19)를 포함한다. 제어부(30)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30)에 포함되는 화상 변환부(15) 등의 각 구성요소들은 제어부(3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화상 취득부(13)는 CCD(charge coupled device)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광학 줌렌즈(10)를 통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화상신호로 변환시킨다. 영상광이 전기적 화상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은, 먼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등의 세부 단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줌렌즈(10)는 복수 개의 렌즈들(11)을 포함하여, 외부의 영상광을 화상 취득부(13)의 광전 변환 소자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들(11)은 서로의 간격이 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들(11)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도 1의 동영상 녹화 장치에서는 구동수단의 예로 줌 모터(12)가 도시되었다. 줌 모터(12)는 줌 구동부(1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사용자가 줌 구동버튼(22)을 조작하면 조작신호가 제어부(30)에 입력되어 이를 기초로 줌 구동부(17)가 줌 모터(12)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화상 변환부(15)는 전기적인 화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코더(encoder)의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음성 취득부(14)는 마이크(microphone)와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전기적인 소리신호는 음성 변환부(16)에 의해 음성데이터로 변환된다.
동영상 파일 기록부(18)는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동영상 파일의 형태로 변환하여 기록매체(2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영상 파일 기록부(18)는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이나 MJPEG(Motion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과 같은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로 압축하고,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기능을 한다.
기록매체(20)는 동영상 녹화 장치에 내장되는 메모리나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소음 연동부(19)는 동영상을 녹화하는 중에 구동수단이 광학 줌렌즈(10)를 구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동영상 파일과 연동시킬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 을 하는 부분이다. 구동소음 연동부(19)는 구동소음을 동영상 파일과 연동시키도록 기본적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 입력 유닛(21)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구동소음 연동부(19)에 의해 구동소음과 동영상 파일을 연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동영상 파일 기록부(18)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광학 줌렌즈(10)가 구동되는 시간의 정보를 동영상 파일에 기록한다.
도 2는 도 1의 동영상 녹화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동영상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동영상 녹화 장치의 동영상 파일 기록부(18)에 의해 생성되는 동영상 파일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 영역(30)과 사용자 영역(33)을 갖는다. 데이터 영역(30)에는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31)와 제어데이터(32)가 저장되고, 사용자 영역(33)에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에서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31)는 동영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과 같은 스트림(stream) 데이터일 수 있고, 제어데이터(32)는 파일의 재생 시간, 코덱에 대한 정보, 화면의 크기, 용량 등의 헤더 정보와 파일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영역(33)에는 구동소음 연동부(19)에 의해 구동소음과 동영상 파일을 연동시키도록 설정된 경우, 동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광학 줌렌즈(10)가 구동되는 시간의 정보를 기록한다. 그러므로 동영상 파일에는 광학 줌렌즈(10)가 구동되는 동안의 외부 소리가 음성데이터로 포함되지만 광학 줌렌즈(10)가 구동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영역(33)에 기록되므로, 이후에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때에는 광학 줌렌즈(10)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재생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녹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동영상 녹화 방법은, 줌구동 시간정보를 저장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S100)와, 화상 및 음성을 취득하는 단계(S110)와,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S120)와, 줌 구동시간 정보와 함께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60)와, 줌 구동시간 정보 없이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줌구동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가 메뉴를 조작하여 줌렌즈가 구동될 때의 시간 정보가 동영상 파일과 연동될지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줌구동 시간정보블 저장하도록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동영상이 촬영된 이후에 줌렌즈가 구동되는 소리의 재생을 선택할 수 있다.
화상 및 음성을 취득하는 단계(S110)는, 화상 취득부가 줌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광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취득부가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변환 단계(120)는 화상 변환부가 화상 취득부의 화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고, 음성 변환부가 음성 취득부의 소리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화상 및 음성을 취득하는 단계(S110)와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S120)가 진행되면 이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가 수행되어야 하는데, 줌렌즈가 구동되는지와 줌 구동시간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단계 가 구분된다. 따라서 줌렌즈가 구동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줌렌즈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줌 구동시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줌렌즈가 구동되더라도 줌 구동시간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줌 구동시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줌렌즈가 구동될 때에, 줌 구동시간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줌 구동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60)가 수행된다. 이 때에 저장되는 동영상 파일의 사용자 영역에는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므로, 녹화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때에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재생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재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동영상 재생 방법은, 동영상 파일을 읽는 단계(S200)와, 동영상 파일의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S220)와, 사용자 영역에 줌 구동시간 정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와, 줌렌즈 구동시간 정보가 존재하면 동영상 파일의 화상데이터만을 재생하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
동영상 재생 기능이 수행되기 이전에 동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기기의 설정 메뉴나 스위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줌 구동소음의 재생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줌 구동소음(동영상이 녹화되는 중에 줌렌즈가 구동되는 동 안에 녹음된 소리)이 항상 재생되기를 원하여 줌 구동소음이 재생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동영상 파일을 읽는 단계(S200)와, 줌 구동소음이 재생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10)와,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S270)를 포함한다.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S270)에서는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모두 재생한다. 그리고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S270)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종료를 판단하는 단계(S280)에서 종료로 판단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만일, 사용자가 줌 구동소음이 재생되도록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S220)가 수행된다. 이 때에는 동영상 파일의 데이터 영역의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 영역에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230)가 수행된다. 사용자 영역에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에 관한 줌렌즈 구동시간 정보가 존재하면, 동영상 파일에서 화상데이터만 재생하는 단계(S240)가 수행된다. 이 때에는 줌렌즈가 구동되는 동안 녹음된 음성데이터가 재생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줌렌즈의 구동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화상데이터만을 재생하는 단계(S240)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영역의 구동시간 정보가 종료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50)가 계속 수행되고, 사용자 영역의 구동시간 정보가 종료한 경우 동영상 파일의 화상데이터와 음성테이터를 모두 재생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단계(S220)가 반복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들에서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종료하는지를 계속 판단(S260)함으로써, 동영상 파일 재생(S220)이 계속 진행된다.
이와 같이 동영상 파일의 사용자 영역에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재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동영상 녹화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동영상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녹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재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광학 줌렌즈 19: 구동소음 연동부
11: 렌즈들 20: 기록매체
12: 줌 모터 21: 사용자 입력 유닛
13: 화상 취득부 22: 줌 구동버튼
14: 음성 취득부 30: 데이터 영역
15: 화상 변환부 31: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16: 음성 변환부 32: 제어데이터
17: 줌 구동부 33: 사용자 영역
18: 동영상 파일 기록부 35: 제어부

Claims (5)

  1. 구동수단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복수 개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광학 줌렌즈;
    상기 광학 줌렌즈에 의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취득부;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취득부;
    상기 화상 취득부의 화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
    상기 음성 취득부의 소리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
    상기 구동수단이 구동될 때의 시간을 기록할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구동소음 연동부; 및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를 동영상파일로 기록하며, 상기 구동소음 연동부의 설정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이 구동되는 시간의 정보를 상기 동영상파일에 기록하는, 동영상 파일 기록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파일은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구동수단이 구동되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
  3. 동영상 녹화 시 줌 구동시간 정보의 저장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줌렌즈의 영상광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및 음성 취득 단계;
    상기 화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소리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상기 줌렌즈가 구동되고, 상기 줌 구동시간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경우, 동영상 파일에 상기 화상데이터, 상기 음성데이터, 상기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에 관한 줌 구동시간 정보를 기록하여,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줌렌즈가 구동되지 않거나, 상기 줌렌즈가 구동되어도 상기 줌 구동시간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만을 기록하여,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파일은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줌 구동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5.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영역과, 사용자 영역을 갖는 동영상 파일을 읽는 단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데이터 영역의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영역의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영역에 줌렌즈가 구동되는 시간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영역에 줌렌즈 구동시간 정보가 존재하면, 줌렌즈 구동시간 정보의 종료 시간까지 상기 데이터 영역의 화상데이터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KR1020080020571A 2008-03-05 2008-03-05 동영상 녹화 장치와,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및재생 방법 KR20090095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71A KR20090095302A (ko) 2008-03-05 2008-03-05 동영상 녹화 장치와,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및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71A KR20090095302A (ko) 2008-03-05 2008-03-05 동영상 녹화 장치와,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및재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302A true KR20090095302A (ko) 2009-09-09

Family

ID=4129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571A KR20090095302A (ko) 2008-03-05 2008-03-05 동영상 녹화 장치와,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및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53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9120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1250340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111518A (ja)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画像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KR101345290B1 (ko)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07266659A (ja) 撮像再生装置
JP4743084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プログラム
JP2006261953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516461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901673B2 (ja) 撮像装置、記録装置、再生装置、撮像方法、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05450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20060123857A (ko)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JP5058780B2 (ja) 画像処理装置
JP4991496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JP501298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067660A (ja) 撮像装置、再生制御方法
WO2007029832A1 (ja) 撮像画像記録装置、撮像画像記録方法、撮像画像再生装置、撮像画像再生方法及び撮像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KR20090095302A (ko) 동영상 녹화 장치와, 줌렌즈 동작 시의 동영상 녹화 및재생 방법
JP2015122731A (ja) 動画再生装置及び動画再生方法
JP2006094200A (ja) 撮像装置、合焦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236508A (ja) 画像記録装置
JP4179961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100627070B1 (ko) 화상 음성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KR100297817B1 (ko) 재생동작시특수효과처리기능을갖는비디오카메라
JP4179960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20050090807A (ko) 촬영모드 및 출력모드에 따라 영상신호의 출력경로 및출력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출력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