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830A - 식사기구 - Google Patents

식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830A
KR20090094830A KR1020097013461A KR20097013461A KR20090094830A KR 20090094830 A KR20090094830 A KR 20090094830A KR 1020097013461 A KR1020097013461 A KR 1020097013461A KR 20097013461 A KR20097013461 A KR 20097013461A KR 20090094830 A KR20090094830 A KR 2009009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ting utensil
rod
shaped member
eat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루 미사와
Original Assignee
미쓰루 미사와
가부시키가이샤 산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루 미사와, 가부시키가이샤 산와 filed Critical 미쓰루 미사와
Publication of KR2009009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 A47G2400/067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for pasta or nood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젓가락 사용에 의한 자연 파괴를 방지하는 것과 함께 일본의 전통적 문화를 유지할 수 있고, 일본의 임업의 재생에 공헌할 수 있고, 게다가 식기의 사용형태의 다양화 및 요리의 다양화에 대응한 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사기구(100)를, 막대형상 부재(102)로 이루어지고, 손으로 쥐는 파지부(104)와 파지부(104)의 선단에 설치되어, 식품(106)을 입으로 옮기기 위해서 식품(106)을 유지 또는 절단하는 기구부(108)를 구비하고 구성하였다. 기구부(108)가, 2개의 포크(110)로 이루어지고, 2개의 포크(110)중의 1개의 바깥쪽에 복수의 홈(112)이 형성되어 나이프부(114)를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식사기구{EATING TOOL}
본 발명은, 식사를 하기 위한 식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양식에 포크와 나이프가 사용되고, 일식에 젓가락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젓가락의 여러 가지 형상에 대해 안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외식 또는 중식에 있어서는, 한번의 식사를 위해서 일회용의 나무젓가락이 사용되고 있다. 이 나무젓가락은, 연간에 일본내에서 260억개, 중국에서 450억개 사용되는 등, 연간에 800억개 사용되고, 사용 후에는 대량의 쓰레기로서 폐기되고 있다.
여기서, 일본의 나무젓가락은, 본래, 자연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것이었다. 즉, 나무젓가락은, 간벌재(間伐材)나 제재에서 남은 목편을 폐기하지 않고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나무젓가락의 사용은 일본의 좋은 전통적 문화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에 기초하여 현재에도 일본내에서 나무젓가락이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일본제의 나무젓가락은 약 5엔/1개로 비용이 높은 반면, 중국제의 나무젓가락은 약 1엔/1개로 비용이 낮기 때문에, 현재는, 사용되는 나무젓가락의 98% 가까이가 중국제이다. 이 중국제의 나무젓가락은, 그 때문에 산림을 개벌(皆 伐)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 때문에, 나무젓가락의 제조를 위해서 중국 등의 삼림이 감소되어 간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삼림의 감소는 지구 온난화를 악화시켜, 이산화탄소 흡수의 방해가 되고 있다. 그 반면, 일본의 인공림은 간벌되지 않고 방치되어 죽어 버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나무젓가락 제조를 위한 자연 파괴를 방지하여, 지구 온난화 방지 및 이산화탄소 흡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중국 등에 있어서의 삼림의 벌채(伐採)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폐기할 목재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나무젓가락을 제조한다고 하는 일본의 좋은 전통을 지켜갈 필요가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일본산의 나무젓가락이 보급될 때까지의 동안,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사기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러한 내용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을 음식점포 혹은 외식점포 스스로가 행하는 것에 의해, 간벌재 및 단재(端材)의 재이용에 의한 자연 보호에 관해서 점포에 의한 국민운동의 지원을 행하여 갈 수 있다.
또한, 근래, 이탈리아 요리인 파스타를 젓가락으로 먹거나, 일식에 포크를 사용하거나, 식기의 사용형태가 다양화되어 오고 있고, 또한, 양식 또는 일식의 어느 한쪽이 아니라 일본식과 서양식의 절충 요리가 보급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식기의 사용형태의 다양화 및 요리의 다양화에 대응한 식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2006-20700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나무젓가락 사용에 의한 자연 파괴를 방지하는 것과 함께 일본의 전통적 문화를 유지할 수 있고, 일본의 임업의 재생에 공헌할 수 있고, 게다가 식기의 사용형태의 다양화 및 요리의 다양화에 대응한 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글로벌 사회에 있어서는 세계 각국의 경제, 문화 및 식생활 등의 교류가 빈번히 도모되고 있기 때문에, 서양의 나이프 및 포크와 동양의 젓가락과의 융합을 도모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막대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손으로 쥐는 파지부(把持部)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식품을 입으로 옮기기 위해서 식품을 유지 또는 절단하는 기구부를 구비한 식사기구이며, 상기 기구부가, 복수개의 포크로 이루어지고, 나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가, 복수개의 포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포크의 바깥쪽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이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홈이, 정면측 표면으로부터 바깥쪽면에 걸쳐서 형성되고, 배면측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막대형상 부재를 상기 막대형상 부재의 중심선의 둘레를 180° 비튼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막대형상 부재를 상기 막대형상 부재의 중심선의 둘레를 360° 비튼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막대형상 부재를 상기 막대형상 부재의 중심선의 둘레를 비튼 나선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장방형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 부재를 비튼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가, 상기 막대형상 부재에 대해서 90° 비튼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비튼 부분을 탁상면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기구부를 탁상면으로부터 떠오르게 한 상태에서, 탁상면에 얹어놓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가 스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가, 복수개의 포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포크중의 1개의 바깥쪽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이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홈이, 정면측 표면으로부터 바깥쪽면에 걸쳐서 형성되고, 배면측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상기 식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막대형상 부재를 상기 막대형상 부재의 중심선의 둘레를 비튼 나선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에 의하면, 기구부가 포크로 이루어지고 나이프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포크로서도 나이프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2개 사용하면 젓가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가 나선 형상으로 구성된 경우, 나이프로서 사용한 경우도 포크로서 사용한 경우도 젓가락으로서 사용한 경우도, 굵기 일정한 파지부를 용이하게 쥘 수 있는 것과 함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에 의하면, 1 종류의 식사기구에 의해서 다수 종류의 식품의 식사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스 요리에 대해서, 1종류의 식사기구에 의해서, 수프나 샐러드 등의 전채, 생선요리나 고기요리 등의 메인요리, 과일이나 과자 등의 디저트 등의 모든 식사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를 보급시켜 나무젓가락의 사용을 감소시키면, 연간 120만톤이나 되는 나무젓가락 사용에 의한 폐기 쓰레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삼림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삼림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사기구를 국민이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자연 보호에 기여할 수 있고,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는, 자연 보호에 관해서 국민운동을 지원해 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동 도면(a) 는 정면도이고, 동 도면(b)는 배면도이고, 동 도면(c)는 좌측면도이고, 동 도면(d)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동 도면(a)는 확대 정면도이고, 동 도면(b)는 확대 우측면도이고, 동 도면(c)는 A-A선 절단부 단면도이고, 동 도면(d)는 홈(112)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사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식사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식사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동 도면(a)는 정면도이고, 동 도면(b)는 우측면도이고, 동 도면(c)는 확대 배면도이고, 동 도면(d)는 이쑤시개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 도면(a)는 정면도이고, 동 도면(b)는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식사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식사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 도면(a)는 정면도이고, 동 도면(b)는 배면도이고, 동 도면(c)는 좌측면도이고, 동 도면(d)는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식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동 도면(a)는 확대 정면도이고, 동 도면(b)는 D-D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 도면(a)는 정면도이고, 동 도면(b)는 배면도이고, 동 도면(c)는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 도면(a)는 파지부를 180° 비튼 형상의 식사기구의 정면도이고, 동 도면(b)는 D-D선 절단부 확대 단면도이고, 동 도면(c)는 파지부를 360° 비튼 형상의 식사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40,50,60,70,80,100,130 : 식사기구
12,102,140 : 막대형상 부재
14,104,132 : 파지부
16,108 : 식품
18,122,134 : 기구부
20 : 중심선
22,110,136 : 포크
24 : 나이프부
26 : 평면
28 : 검지
30 : 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식사기구이다. 이 식사기구(100)는, 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사용된다. 이 식사기구(1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테인리스이면 세정하여 반복하여 재사용하는 것에 의해, 비용저감의 면에서, 공헌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위생상 바람직하도록, 항균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이더라도 좋다. 한편, 식사기구(100)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로 구성하여, 자석 부착의 플라스틱제 케이스내에 넣어 들고 다니는 것에 의해, 식사기구(100)가 케이스내에 부착되어 소리가 나지 않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의 경우에는, 투명한 산화 피막으로 덮여 있는 부분의 두께를 0.1μ 단위로 변화시켜, 빛의 간섭 현상에 의해, 스테인리스 표면이 아름답게 발색되어 의장성, 디자인성이 높게 구성되어, 색채가 풍부하도록 스테인리스 표면을 처리해도 좋다. 또한, 식사기구(100)는, 중식, 외식시에 개인전용의 소위 자기젓가락으로서 네임 각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사기구(100)는, 막대형상 부재(102)로 이루어지고, 손으로 쥐는 파지부(104)와, 파지부(104)의 선단에 설치되어, 식품(106)을 입으로 옮기기 위해 서 식품(106)을 유지 또는 절단하는 기구부(108)를 구비하고 있다. 기구부(10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포크(110)로 이루어지고, 2개의 포크(110)중의 1개의 바깥쪽에 복수의 홈(112)이 형성되어 나이프부(114)를 구성하고 있다. 홈 (112)은, 정면측 표면(116)으로부터 바깥쪽 면(118)에 걸쳐서 형성되고, 배면측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홈(112)은, 도 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삼각면{120(a),120(b),120(c),120(d)}을 갖는 사각추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나이프부(114)는, 톱날 형상이 아니어서, 식품(106)을 입으로 옮길 때 등에 안전상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전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은, 식사기구(100)가 나이프로서 뿐만이 아니라 포크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톱날 형상에 비해 강도가 높다. 한편으로, 삼각면{120(a),120(c),120(d)}을 갖는 것에 의해, 식품(106)을 자를 수 있다. 즉, 홈(112)의 형상은, 안전성을 고려하면서도 나이프로서 사용할 수 있기 위한 최선의 형상이다. 한편, 2개의 포크(110)는, 길이방향을 따른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포크(110)는, 단조(鍛造)에 의해서 끝이 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어, 나이프로서 사용했을 때에 구부러지는 일이 없다.
또한, 기구부(108)의 배면측 표면에는,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양 (122)이 실시되어, 2개의 포크(110)를 귀로 하는 토끼를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상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부(104)에는 모양(124)이 새겨져, 외관상 바람직한 것과 함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04)의 후단 부근에는 복수의 선(126)이 새겨져, 후단측에서 식품(106)을 유지할 수도 있도록 구성되 어 있다.
식사기구(100)는, 2개 세트로 사용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젓가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구부(108)가 막대형상 부재(102)에 대해서 90°비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쪽의 기구부(108)의 면과 다른쪽의 기구부(108)의 면이 겹쳐 맞춰져 갖기 쉽다. 한편, 2개의 식사기구(100)의 나이프부(114)를 위로 하고, 우동이나 소바 등의 면을 먹기 위해서 젓가락으로서 사용하면, 면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식사기구(100)를 나이프로서 오른손에 쥐고, 다른 1개의 식사기구(100)를 포크로서 왼손에 쥐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이프와 포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기구부(108)를 막대형상 부재(102)에 대해서 90° 비튼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불룩해져 있기 때문에, 정면측 또는 배면측을 아래를 향하여 테이블 위에 두면, 기구부(108)가 테이블 상면에 접촉하지 않고, 젓가락을 올려놓는 받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식사기구(100)는, 아이가 스푼으로부터 포크 그리고 3세 이상으로부터의 젓가락의 사용법을 기억하는 연습을 위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는 상술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식사기구(130)이더라도 좋다. 이 식사기구(130)는, 주로, 소매점포에서 식품 판매시에 반포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주로 수지로 형성된다.
이 식사기구(130)는, 파지부(132)와 기구부(134)를 구비하고 있다. 기구부 (134)는, 도 5(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포크(136)로 이루어지고, 스푼부(138)를 구비하고 있다. 나이프부(144)를 구성하는 복수의 홈의 형상은, 홈 (112)의 형상과 동일하다. 식사기구(130)는, 2개 세트로 사용하면, 도 3에 도시하는 경우와 같이, 젓가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식사기구(130)를 나이프로서 오른손에 쥐고, 다른 1개의 식사기구(130)를 포크로서 왼손에 쥐면, 도 4에 도시하는 경우와 같이, 나이프와 포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푼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2개의 측면을 서로 밀착시켜 사용하면, 보다 많은 수프 등의 식품을 떠올릴 수 있다. 또한, 기구부(134)를 막대형상 부재(140)에 대해서 90° 비튼 부분은, 다른 부분에 대해서 불룩해져 있기 때문에, 젓가락을 올려 놓는 받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 식사기구(130)에 있어서,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대형상 부재(140)의 보강 부재(142)가 중심선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보강 부재(142)에 절취선을 실시해 두는 것에 의해, 보강 부재(142)의 1조각(144)을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잘라내어 이쑤시개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6 내지 도 10에 있어서, 부호 10은 본 발명의 식사기구이다. 식사기구 (10)의 재질은, 금속, 목재, 대나무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목의 벌채에 의한 자연 파괴를 고려하여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사기구(10)는, 막대형상 부재(12)로 이루어지고, 손으로 쥐는 파지부(14)와 파지부(14)의 선단에 설치되어, 식품(16)을 입으로 옮기기 위해서 식품(16)을 유지 또는 절단하는 기구부(18)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부(14)는, 장방형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 부재(12)를 막대형상 부재(12) 의 중심선(20)의 둘레에 여러 차례 비튼 나선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방형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 부재(12) 자체는, 도 6(a)의 정면도에 있어서는 가늘고, 도 6(b)의 측면도에 있어서는 굵은 것에도 불구하고, 파지부(14)는 도 6(a)의 정면도에 있어서도 도 6(b)의 측면도에 있어서도 같은 굵기가 된다.
기구부(18)는, 2개의 포크(22)로 이루어지고, 2개의 포크(22)중의 1개의 바깥쪽에 나이프부(24)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식사기구(10)는, 식품(16)에 찔러 유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나이프로서 식품(16)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식사기구(10)는, 젓가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구부(18)는, 막대형상 부재(12)에 대해서 90° 비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12)의 좌측면측의 평면(26)에 검지(28)를 댄 경우에 나이프부(24)가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식사기구(10)를 젓가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식사기구(10)를 손(30)으로 파지부(14)를 쥐고 사용한다. 파지부(14)는, 도 6(a)의 정면도에 있어서도 도 6(b)의 측면도에 있어서도 같은 굵기이며,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같은 굵기이기 때문에, 손(30)으로 쥐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파지부(14)는, 나선 형상으로 비틀어져 있기 때문에, 손(30)이 미끄러지는 일 없이, 확실히 손(30)으로 쥘 수 있다. 한편, 파지부(14)는, 막대형상 부재(12)를 나선 형상으로 비틀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식사기구(10)를 나이프와 포크로서 사용하는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식사기구(10)를 나이프로서 오른손에 쥐고, 다른 1개의 식사기구 (10)를 포크로서 왼손에 쥐고 사용한다. 오른손의 식사기구(10)의 경우, 기구부 (18)가 막대형상 부재(12)에 대해서 90° 비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12)의 평면(26)에 검지(28)를 댄 경우에 나이프부(24)가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검지(28)를 평면(26)에 꽉 누르고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기구부(18)의 나이프부(24)에 의해 식품(16)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여 식품(16)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4)가 나선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도, 기구부 (18)의 나이프부(24)에 의해 식품(16)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여 식품(16)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왼손의 식사기구(10)의 경우, 나선 형상의 파지부(14)를 쥐는 것에 의해, 손(30)이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기구부(18)의 포크(22)에 의해 확실히 식품(16)에 찌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 기구부의 포크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포크(22)를 갖는 식사기구(50)이라도 좋다. 이 식사기구(50)는, 통상의 포크에 본 발명에 관한 파지부(14) 및 기구부(18)의 특징점을 추가한 형태이다.
또한, 파지부(14)는 막대형상 부재(12)의 중간 부근을 비틀어 구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대형상 부재(12)의 끝단부 부근을 비틀어 파지부(14)로 한 식사기구(60)이더라도 좋다. 이 식사기구(60)는, 치수가 작기 때문에, 과일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용의 포크로서 사용하면서, 젓가락의 사용법을 연습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사기구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구부(18)가 오 목부로 이루어지는 스푼부(82)를 갖는 식사기구(80)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식사기구(80)에 의하면, 스푼부(82)에 의해서 식품을 떠올릴 수도 있다.
또한, 식사기구(100)에 있어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포크(110)의 바깥쪽에 복수의 홈(112)이 형성되어 나이프부(114)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나이프, 포크 또는 젓가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나이프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잡는 방향으로 배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5, 도 6, 도 9, 도 10 및 도 11의 식사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포크의 바깥쪽에 나이프부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사기구(100)에 있어서, 정면측 및 배면측에 나이프부(114)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식사기구(100)에 있어서,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 (104)가, 막대형상 부재(102)를 막대형상 부재(102)의 중심선의 둘레를 180° 비튼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식사기구(100)에 있어서,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104)가, 막대형상 부재(102)를 막대형상 부재(102)의 중심선의 둘레를 360°비튼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파지부(104)를 비튼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2개의 식사기구(100)를 손으로 유지했을 때에, 기구부(108)의 평면 (150)끼리를 맞추면서도, 위에 위치하는 한쪽의 식사기구(100)에 대해서는, 검지 및 중지로 위치 P1 부근의 장변측 평면(152)을 누르고, 위치 P2 부근의 장변측 평면(152)을 검지 및 엄지의 근원에 댈 수 있다. 또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쪽의 식사기구(100)에 대해서는, 약지로 위치 P1 부근의 장변측 평면(152)을 지지하고, 위치 P2 부근의 장변측 평면(152)을 검지 및 엄지의 근원에 댈 수 있다. 이 때문에, 장방형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 부재(102)의 단변측 평면(154)이 아니라 면적이 넓은 장변측 평면(152)에 손을 접촉시켜서 안정된 상태에서 식사기구(100)를 유지하면서도, 확실히 식품을 끼울 수 있다. 또한, 4개 포크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한편, 파지부(104)를 180° 비튼 형상의 식사기구(100)는, 젓가락을 통상 잡는 방법으로 이용한다. 한편, 360° 비튼 형상의 식사기구(100)는, 기구부(108)에 가까운 위치에서 잡아도 기구부(108)로부터 먼 위치에서 잡아도 좋아, 잡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식사기구(100)를 구입하는 사람은, 비틀기부의 길이 H도, 6cm 또는 8cm 등, 선택하면 좋다.
또한, 식사기구(100)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104)를 비틀어져 있지 않은 막대형상 부재(102)의 주위에 첨부 부재(160), 쉬링크부(162) 및 수지 코팅부(164)를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파지부(104)를 통상의 젓가락과 같은 정도의 굵기로 하는 것에 의해, 사용시에 잡기 쉬워진다. 한편, 코팅부(164)의 끝단부(166)는, 손가락 등이 걸리지 않도록, 막대형상 부재(102)와 대략 면일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식사기구(100)에 있어서, 파지부(104)를 커버(156)로 가리더라도 좋다. 커버(156)는, 예를 들면, 안쪽에 발포 수지를 바깥쪽에 열경화성 수지를 배치하여 가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커버(156)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파지부(104)가 막대형상 부재(102)보다 조금 굵어져, 손으로 쥐기 쉬워진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식사기구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식사기구를 사용하는 요리는, 일식, 중화, 양식 등,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식사기구의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개량, 수정, 변형을 가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사기구에 의하면, 기구부가 포크로 이루어지고 나이프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포크로서도 나이프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2개 사용하면 젓가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식, 중화, 양식 등, 요리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식사를 하기 위한 식기로서 넓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막대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손으로 쥐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식품을 입으로 옮기기 위해서 식품을 유지 또는 절단하는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구부가, 복수개의 포크로 이루어지고, 나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크의 바깥쪽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이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정면측 표면으로부터 바깥쪽면에 걸쳐서 형성되고, 배면측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막대형상 부재를 상기 막대형상 부재의 중심선의 둘레를 180°비튼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막대형상 부재를 상기 막대형상 부재의 중심선의 둘레를 360° 비튼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가 상기 막대형상 부재에 대해서 90°비틀어져 형성된 비틀기부를 탁상면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기구부를 탁상면으로부터 떠오르게 한 상태에서, 탁상면에 얹어 놓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가 스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길이방향에 따른 오목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기구.
KR1020097013461A 2006-12-28 2007-12-26 식사기구 KR200900948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4134 2006-12-28
JP2006354134 2006-12-28
JPJP-P-2007-197718 2007-07-30
JP2007197718 2007-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830A true KR20090094830A (ko) 2009-09-08

Family

ID=3958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461A KR20090094830A (ko) 2006-12-28 2007-12-26 식사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99932A1 (ko)
JP (1) JP5209500B2 (ko)
KR (1) KR20090094830A (ko)
CN (1) CN101557739A (ko)
WO (1) WO20080818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00B1 (ko) * 2010-04-06 2012-01-31 정미선 젓가락
KR20180002144U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코스틱 치킨용 포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1620A1 (en) * 2009-05-27 2010-12-02 Don Mei Tow Multi-Function Chopsticks
CN101803851A (zh) * 2010-04-20 2010-08-18 计加义 中西餐多功能筷
JP4676023B1 (ja) * 2010-06-23 2011-04-27 村田 喜彦 麺用箸
WO2012023002A1 (en) * 2010-08-17 2012-02-23 Don Mei Tow Multi-functional chopsticks
ES2398043B1 (es) * 2011-06-02 2014-01-20 Rosa ROJAS RIENDA Conjunto de varillas para aplicado en patchwork.
US8782907B2 (en) * 2012-12-20 2014-07-22 Edward Chong All-in-one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dapted to be separated into pieces
JP5883095B1 (ja) * 2014-09-01 2016-03-09 しづ子 佐藤 パスタ用フォーク
CN104398109A (zh) * 2014-11-26 2015-03-11 韦江华 一种多功能筷子
US20160338364A1 (en) * 2015-05-20 2016-11-24 Anthony Jeffery Bread Boring Tool
CN106510393A (zh) * 2016-12-31 2017-03-22 陈留香 一种餐具及与餐具配套的筷枕
US10136745B1 (en) 2017-12-25 2018-11-27 Vista Mountain Gear, Llc Eating utensil
US20230033302A1 (en) * 2021-07-28 2023-02-02 Mary Ellison Food Preparation Utensil
USD1000224S1 (en) * 2022-02-17 2023-10-03 Yuzhao Chen Spo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5942A (en) * 1939-04-11 1940-01-02 Frank Charles William Table service
US3481037A (en) * 1968-04-22 1969-12-02 Spaghetti Factory Inc Throwaway spaghetti fork
JPS4842879U (ko) * 1971-09-22 1973-06-01
JPS55125179U (ko) * 1979-03-01 1980-09-04
US4334355A (en) * 1981-02-19 1982-06-15 Kalt H Worthington Spaghetti eating utensil
JPH0345774U (ko) * 1989-09-13 1991-04-26
US5005293A (en) * 1989-10-30 1991-04-09 Amico Paul A Di Twisting pasta fork
US5056173A (en) * 1990-08-31 1991-10-15 Brincat Frank J Combination fork and chopsticks
JPH0584268U (ja) * 1992-04-17 1993-11-16 日本フアームウエア株式会社 スパゲッティ用フォーク
JPH09252910A (ja) * 1996-03-26 1997-09-30 Toshio Kunikata フォーク形状をした箸
US20030110644A1 (en) * 2001-12-18 2003-06-19 Miller Michael D. Universal fork
JP2003199663A (ja) * 2001-12-28 2003-07-15 Fumio Hanzawa フォーク付き割り箸
JP2006247086A (ja) * 2005-03-10 2006-09-21 Shunpei Kataoka 飲食用フォーク
US20080201959A1 (en) * 2007-02-28 2008-08-28 Barry Leonard Kent Eating utens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00B1 (ko) * 2010-04-06 2012-01-31 정미선 젓가락
KR20180002144U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코스틱 치킨용 포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7739A (zh) 2009-10-14
JP5209500B2 (ja) 2013-06-12
WO2008081826A1 (ja) 2008-07-10
US20100299932A1 (en) 2010-12-02
JPWO2008081826A1 (ja)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4830A (ko) 식사기구
US9132559B2 (en) Cutlery having improved gripping ergonomics
US20150113703A1 (en) Glove for Meat Preparation
Capon The Supper of the Lamb: A Culinary Reflection
JP3143055U (ja) 携帯用のカトラリーセットおよびその容器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JP3203738U (ja) ツリー状フードピック
JPH09252910A (ja) フォーク形状をした箸
KR20130051055A (ko) 분리 사용을 가능케 한 일체형 다용도 식사도구
GB2512090A (en) An item of cutlery
Hoving Tiffany's Table Manners for Teenagers
KR920006335Y1 (ko) 코리아 포오크
KR200343580Y1 (ko) 치킨용 집게
WO2023031754A1 (en) Clamp-finger fork spoon
CN216060133U (zh) 一种凤钗形状的开柚器
KR20140004057U (ko) 숟가락 겸용 젓가락
Rush The mere mortal's guide to fine dining: From salad forks to sommeliers, how to eat and drink in style without fear of faux pas
CN204382327U (zh) 一种安全防切护手美指装置
CN1666690A (zh) 指式西餐餐具与中餐筷子
CN205552596U (zh) 一种切菜护手器
Hertzmann Knife Skills Illustrated: A Users Manual
JP5754790B1 (ja) 押さえ格子盤付イカ千切り器
CN203539004U (zh) 一种双箍鸟嘴仿生指喙子食品夹
JP3201878U (ja) フライドチキン提供皿
JPS6028280Y2 (ja) 食事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