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603A -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603A
KR20090094603A KR1020080019659A KR20080019659A KR20090094603A KR 20090094603 A KR20090094603 A KR 20090094603A KR 1020080019659 A KR1020080019659 A KR 1020080019659A KR 20080019659 A KR20080019659 A KR 20080019659A KR 20090094603 A KR20090094603 A KR 20090094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audio file
audio output
transmitte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885B1 (ko
Inventor
강일동
마사키 오구로
최영규
곽정헌
아키히코 호사카
김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885B1/ko
Priority to US12/210,423 priority patent/US8320832B2/en
Priority to CN2009801074349A priority patent/CN101965690A/zh
Priority to EP09718327.1A priority patent/EP2250736B1/en
Priority to PCT/KR2009/000699 priority patent/WO2009110685A2/en
Publication of KR2009009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장치로 음악을 듣고 있던 사용자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에 가까이 가면,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하여 휴대용 장치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감지되면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고,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면 휴대용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출력한다.

Description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AUDIO OUTPUT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AUDIO OUTPUT SYSTEM IN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휴대용 장치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들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폰, 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기기들은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휴대용 기기 사용자들은 휴대용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음악 감상을 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가정이나 회사에 있는 고출력 스피커를 통해 듣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었으며, 또한 휴대용 기기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쉽게 전달받아 출력하는 스피커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휴대용 기기와 스피커 내에 블루투스 모듈이나 적외선 송수신 모듈을 각각 설치하여 두 기기간에 페어링(통신인증)이 이루어지게 하고, MP3 등과 같은 각종 파일을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휴대용 기기에 저장된 음악을 스피커를 통해 근거리 내에서 들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휴대용 기기에서 재생 중인 음악을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버튼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블루투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불편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페어링을 위해 휴대용 기기의 버튼을 조작하면, 휴대용 기기에서 재생 중인 음악이 끊어지기 때문에 다시 음악을 재생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휴대용 장치로 음악을 듣고 있던 사용자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에 가까이 가면, 자동으로 휴대용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휴대용 장치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로 음악을 듣던 중에 휴대용 장치로 전화가 걸려 오면,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볼륨을 자동으로 낮춰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것을 안내할 수 있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감지되면,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고,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면, 휴대용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출력한다.
여기서,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는 것은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휴대용 장치로부터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가 전달되면, 휴대용 장치와 기 저장된 휴대용 장치를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면, 전달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고,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지 않으면, 오디오 파일을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외부 연결단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기한다.
그리고, 오디오 파일의 출력 시 LED를 구동하여 알파파를 방출한다.
한편, 휴대용 장치에서 전화가 걸려 오는지 감지하고, 휴대용 장치에서 전화가 걸려 오면, 스피커의 볼륨을 낮추어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것을 안내한다.
또,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컨으로부터 오디오 파일의 제어명령이 전달되면, 오디오 파일의 제어명령을 휴대용 장치로 전달하여 오디오 파일의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오디오 파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오디오 파일을 빨리 감기 하거나 되감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 감지 센서부와, 사용자가 감지되면,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는 무선통신부와,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면, 휴대용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휴대용 장치로부터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가 전달되면, 휴대용 장치와 기 저장된 휴대용 장치를 비교하여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는지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는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제어부는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면, 전달된 오디 오 파일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지 않으면, 오디오 파일을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기한다.
또, 제어부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 시 LED를 구동하여 알파파를 방출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착신신호를 수신하는 전화회로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의 볼륨을 낮추어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것을 안내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와, 사용자가 감지되면,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고,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면, 휴대용 장치에서 무선으로 전달되는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휴대용 장치로부터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가 전달되면, 휴대용 장치와 기 저장된 휴대용 장치를 비교하여 휴대용 장치를 검색한다.
또한,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면, 전달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고,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지 않으면, 오디오 파일을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외부 연결단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기한다.
또,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 시 LED를 구동하여 알파파를 방출한다.
한편,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고,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리모컨으로부터 오디오 파일의 제어명령이 전달되면, 오디오 파일의 제어명령을 휴대용 장치로 전달하여 오디오 파일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휴대용 장치에서 전화가 걸려 오는지 감지하고, 휴대용 장치에서 전화가 걸려 오면, 스피커의 볼륨을 낮추어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것을 안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휴대용 장치로 음악을 듣고 있던 사용자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에 가까이 가면, 휴대용 장치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하여 휴대용 장치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장치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통신연결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둘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로 음악을 듣던 중에 휴대용 장치로 전화가 걸려 오면,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볼륨을 자동으로 낮춰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것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3차원 입체 음향을 통해 사용자에게 웅장하고 입체감 있는 음악을 제 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무대 위에서 실제로 음악을 듣는 듯한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넷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로 음악을 재생 시 LED를 구동하여 알파파를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와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휴대용 장치가 없으면, 마지막으로 음악을 입력받은 외부 연결단자와 오디오구동부를 연결하여 대기함으로써 이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음악을 재생할 경우, 좀 더 빠르게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휴대용 장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장치를 직접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100)은 휴대용 장치(200),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 및 리모컨(400)으로 이루어진다.
휴대용 장치(200)는 노트북, MP3 플레이어, 휴대용 단말기인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스마트 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말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무선통신부(210), 저장부(220), 키 입력부(230), 표시 부(240), 오디오구동부(250), 전화회로부(260) 및 제어부(270)로 이루어진다.
무선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 Band)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은 근거리, 일대다, 음성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RF)에 대한 표준으로 약 10㎝에서 10m에 이르는 거리 내에서 선이 없이 휴대용 단말기와 그 외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통신기기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기술이다.
무선통신부(210)는 RF부(212)와 베이스밴드부(214)로 이루어지는데, RF부(212)는 블루투스 통신의 최종 송수신을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베이스밴드부(214)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기저대역을 이루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베이스밴드부(214)는 원래의 데이터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 대역인 2.4GHz로 실어서 보내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블루투스 어플리케이션과, 음악 재생을 위한 MP3(MPEG Audio Layer-3) 어플리케이션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2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용 단말기(2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능 예컨데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 그램을 저장하며, 블루투스, MP3, DMB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이 휴대용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사용에 따라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MP3 기능 활성화를 위한 오디오 파일 등을 저장한다.
키 입력부(2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한다.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키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설정 및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표시부(24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24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무선통신부(210)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연결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구동부(250)는 통화에 필요한 음성 등의 오디오 파일을 포함하는 소리 정보를 재생하거나 MP3 기능의 활성화에 따른 소리 정보를 재생할 수 있도록 오디오 재생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화회로부(260)는 유무선 통신망을 매개로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위한 음성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즉, 전화회로부(260)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연계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전달한 착신신호(상대방의 음성)를 수 신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7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용 단말기(200)의 내부 블록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에서 블루투스로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200)를 찾기 위한 요청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270)는 이 요청신호를 전달받아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을 생성하여 RF부(212)를 통해 다시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로 전달한다. 이때, 응답신호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식별정보(고유번호)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200)의 동작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제어부(270)는 RF부(212)를 통해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이 전달되면, 이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재생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을 빨리 감기(FF)하거나 되감기(REW)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는 센서부(310), 무선통신부(320), 저장부(330), 키 입력부(340), 표시부(350), 오디오구동부(360), 제어부(370) 및 전원부(380)로 이루어진다.
우선, 센서부(310)는 인 감지 센서부(312) 및 리모컨 센서부(314)를 포함한다.
인 감지 센서부(312)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사람의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적외선을 카메라 필름처럼 감지하여 사용자를 감지한다. 이 외에 인 감지 센서부(312)는 초음파를 발사해 그 반동으로 사용자가 다가오는 것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및 온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모컨 센서부(314)는 리모컨(400)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고, 이 적외선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한다.
무선통신부(320)는 RF부(322)와 베이스밴드부(324)로 이루어지는데, RF부(322)는 블루투스 통신의 최종 송수신을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베이스밴드부(324)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기저대역을 이루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베이스밴드부(324)는 원래의 데이터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 대역인 2.4GHz로 실어서 보내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330)는 롬(Read Only Memory:ROM)과 램(Random Access Memory:RAM)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응용 프그램과,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블루투스 응용 프로그램과, 음악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 저장부(330)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한 식별정보(고유번호)를 저장하며, USB 포트(392), 광 포트(394), AUX 포트(396)와 같은 외부 연결단자(390)를 통해 USB, DVD 기기로부터 오디오 파일을 전달받은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330)는 오디오 파일의 각 장르에 해당하는 진폭을 저장하고, 오디오 파일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스피커(362,364.366)의 출력 위치를 저장한다.
키 입력부(340)는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한다. 기능키들은 전원을 온 하도록 설정된 전원 키, 스피커(362,364,366)의 볼륨을 높이 거나 낮추기 위한 볼륨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340)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한다.
표시부(350)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수단(352)과 다수 개의 LED(Luminescent diode)(354)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다수 개의 LED(354)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 시, 발광되어 알파파를 방출한다.
오디오구동부(360)는 3개 이상의 스피커(362,364,366)와 연결되어 3차원 입체음향을 재생한다. 여기서, 입체음향이란 사용자가 음악을 들었을 때 방향성과 거리감을 지각할 수 있도록 공간정보가 부가된 음향신호를 말한다. 즉, 오디오구동부(36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스피커의 출력 위치를 이용하여 좌우 2개 채널의 스테레오 음원을 3개 채널을 가진 3차원 입체음향으로 변환한다.
제어부(370)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내부 블록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70)는 인 감지 센서부(310)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200)가 검색되는지 판단하고, 휴대용 단말기(200)가 검색되면 검색된 휴대용 단말기(2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370)는 RF부(322)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200)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이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를 전달받아 저장부(330)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식별정보와 비교한 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비교결과 두 정보가 동일하면, 이 휴대용 단말기(200)를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200)로 판단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370)는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200)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 연결단자(390)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는지 판단하고, 외부 연결단자(390)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면, 이 오디오 파일을 오디오구동부(360)로 전달하여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외부 연결단자(390)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37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외부 연결단자(390)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연결단자(390)로 오디오 파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외부 연결단자(390)와 오디오구동부(360)를 연결하여 대기한다.
예를 들어, USB 포트(392), 광(Optical) 포트(394), AUX 포트(396) 중에서 가장 최근에 오디오 파일이 입력된 포트가 USB 포트(392)라면, 제어부(370)는 USB 포트(392)와 오디오구동부(360)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온(On) 시켜 USB 포트(392)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오디오구동부(3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70)는 이 외의 포트(394,396)는 스위치 오프(Off) 시켜 다른 오디오 파일이 오디오구동부(360)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게다가, 제어부(370)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 시 다수 개의 LED(354)를 구동시켜 알파파가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7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각 장르에 따른 진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파일의 장르에 따라 LED(354)의 세기를 다르게 해주거나 깜빡임을 다르게 하여 알파파가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제어부(370)는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화가 걸려 오면,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362,364,366)의 볼륨이 낮춰지도록 제어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화가 걸려 오면, 제어부(370)는 RF부(322)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오디오구동부(360)를 제어하여 스피커(362,364,366)의 볼륨이 낮춰지도록 한다.
전원부(380)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로 전원을 공급하여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내부 블록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컨(400)은 통신부(410), 키 입력부(420), 제어부(430)로 이루어진다.
통신부(410)는 리모컨 센서부(314)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며, 키 입력부(420)는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설정 및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430)로 전달한다.
제어부(430)는 통신부(410)를 이용하여 리모컨 센서부(314)로 오디오 파일의 제어명령을 전달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이 빨리 감기(FF)하거나 되감기(REW)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전원을 온(On) 하고, 소정시간 동안에 입력이 없으면, 대기모드로 진입한다.
다음으로, 인 감지 센서부(31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200).
사용자가 감지되면(200단계의 '예'), 대기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다(S201).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에서는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200)가 검색되는지 판단(S202)하여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200)가 있으면(202단계의 '예'), 검색된 휴대용 단말기(2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203).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제어부(370)는 RF부(322)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200)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이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부(330)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식별정보와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비교결과 두 정보가 동일하면,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200)로 판단하고,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와 휴대용 단말기(200)간에 페어링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200)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조작의 통해 휴대용 장치(200)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가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저장부(330)에 휴대용 장치(200)의 식별정보가 등록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다음으로, 오디오구동부(36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을 블루투스를 통해 전달받아 3차원 입체 음향에 상응하는 오디오 재생신호 로 변환한다(S204). 이때,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오디오구동부(36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스피커의 출력 위치를 이용하여 좌우 2개 채널의 스테레오 음원을 3개 채널을 가진 3차원 입체음향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오디오 재생신호를 3개의 스피커(362,364,366)로 출력한다(S205).
한편, 202단계에서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200)가 검색되지 않으면(202단계의 '아니오'), 외부 연결단자(390)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는지 판단한다(S206).
외부 연결단자(390)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면(206단계의 '예'), 외부 연결단자(390)를 통해 전달된 오디오 파일을 오디오구동부(360)를 통해 3차원 입체 음향에 상응하는 오디오 재생신호로 변환한다(S207).
그 후, 변환된 오디오 재생신호를 스피커(362,364,366)로 출력한다(S205).
만약, 206단계에서 외부 연결단자(390)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지 않으면, 저장부(330)에 저장된 외부 연결단자(390)의 날짜 및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외부 연결단자(390)를 검색(S208)하고, 검색된 외부 연결단자(390)와 오디오구동부(360)를 연결하여 오디오 파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기한다(S209).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 후,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전화가 걸려 오는지 판단(S210)하여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화가 걸려 오면, 무선 오디오 출력장 치(300)의 스피커(362,364,366) 볼륨을 낮추어서(S211)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것을 안내한다(S212).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화가 걸려 오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알림신호가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무선통신부(320)로 전달되며, 무선통신부(320)는 이 알림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하여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화가 걸려 온 것을 알린다. 그러면, 제어부(370)는 오디오구동부(36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오디오구동부(360)에서 스피커(362,364,366)의 볼륨이 낮춰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휴대용 장치(200)에서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을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300)의 옵션이 수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휴대용 장치(200)에서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이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200...휴대용 장치
210, 320...무선통신부 260...전화회로부
270...제어부
300...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310...센서부
330...저장부 350...표시부
360...오디오구동부 400...리모컨

Claims (24)

  1. 사용자가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면, 상기 휴대용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휴대용 장치와 기 저장된 휴대용 장치를 비교하는 것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오디오 파일을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기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면, 상기 전달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 시 LED를 구동하여 알파파를 방출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에서 전화가 걸려 오는지 감지하고,
    상기 휴대용 장치에서 전화가 걸려 오면, 스피커의 볼륨을 낮추어 상기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것을 안내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제어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제어명령을 상기 휴대용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 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오디오 파일을 빨리 감기 하거나 되감기하는 것인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10.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 감지 센서부;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면, 상기 휴대용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휴대용 장치와 기 저장된 휴대용 장치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는지 판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오디오 파일을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기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면, 상기 전달된 오디오 파일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 시 LED를 구동하여 알파파를 방출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착신신호를 수신하는 전화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착신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의 볼륨을 낮추어 상기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것을 안내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17.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사용자가 감지되면,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면, 상기 휴대용 장치에서 무선으로 전달되는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휴대용 장치와 기 저장된 휴대용 장치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용 장치를 검색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휴대용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오디오 파일을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기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외부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전달되면, 상기 전달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 시 LED를 구동하여 알파파를 방출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휴대용 장치에서 전화가 걸려 오는지 감지하고,
    상기 휴대용 장치에서 전화가 걸려 오면, 스피커의 볼륨을 낮추어 상기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온 것을 안내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고,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제어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제어명령을 상기 휴대용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시스템.
KR1020080019659A 2008-03-03 2008-03-03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KR101195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59A KR101195885B1 (ko) 2008-03-03 2008-03-03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US12/210,423 US8320832B2 (en) 2008-03-03 2008-09-15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wireless audio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09801074349A CN101965690A (zh) 2008-03-03 2009-02-13 无线音频输出装置、包括该装置的无线音频输出系统及其控制方法
EP09718327.1A EP2250736B1 (en) 2008-03-03 2009-02-13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wireless audio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09/000699 WO2009110685A2 (en) 2008-03-03 2009-02-13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wireless audio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59A KR101195885B1 (ko) 2008-03-03 2008-03-03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03A true KR20090094603A (ko) 2009-09-08
KR101195885B1 KR101195885B1 (ko) 2012-10-30

Family

ID=4101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659A KR101195885B1 (ko) 2008-03-03 2008-03-03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20832B2 (ko)
EP (1) EP2250736B1 (ko)
KR (1) KR101195885B1 (ko)
CN (1) CN101965690A (ko)
WO (1) WO200911068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061B2 (en) 2012-06-08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nd output apparatus, audio processing apparatus, sound output method, and audio processing method
US11016724B2 (en) 2018-12-17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hanging audio signal path according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EM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6914B1 (en) * 2007-06-01 2011-07-26 At&T Mobility Ii Llc Vehicle-based message control using cellular IP
US8873523B2 (en) * 2009-09-30 2014-10-28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olicited activation for protected wireless networking
US8830866B2 (en) * 2009-09-30 2014-09-09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olicited activation for protected wireless networking
TWM374628U (en) * 2009-10-05 2010-02-21 Wen-Chun Chen Control device capable of executing different actions by determining human body approaching distance
US8464061B2 (en) 2010-08-30 2013-06-11 Apple Inc. Secure wireless link between two devices using probes
WO2012098452A1 (en) * 2011-01-18 2012-07-26 Rtc Vision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haracter recognition in distorted images
JP5724602B2 (ja) * 2011-05-10 2015-05-2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受信装置
US9094706B2 (en) 2011-10-21 2015-07-28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music playback
KR20150009698A (ko) * 2013-07-17 2015-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100944B2 (en) 2013-08-28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nnecting mobile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CN103888905A (zh) * 2014-04-08 2014-06-25 江苏惠通集团有限责任公司 无线设备及其与控制设备的配对方法
KR102325338B1 (ko) 2014-12-05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US9743219B2 (en) * 2014-12-29 2017-08-22 Google Inc. Low-power wireless conten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N106572418A (zh) * 2015-10-09 2017-04-19 芋头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语音助手的扩展设备及其工作方法
CN105928039A (zh) * 2016-06-15 2016-09-07 朱森 一种浴室用frp取暖器
KR101848665B1 (ko) * 2016-08-17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JP6919429B2 (ja) * 2016-12-21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CN109644181B (zh) * 2017-12-29 2021-02-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媒体信息分享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11197054B2 (en) 2018-12-05 2021-12-07 Roku, Inc. Low latency distribution of audio using a single radio
US20220196871A1 (en) * 2019-03-28 2022-06-23 Zkteco Us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bjects
TWM604178U (zh) * 2020-05-28 2020-11-21 國防醫學院 耳部生理穿戴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0332B1 (en) * 2000-02-21 2006-03-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Publ) Wireless headset with automatic power control
KR20030009927A (ko) * 2001-07-24 2003-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디오 제어 시스템
KR20030020031A (ko) * 2001-08-29 2003-03-08 육정환 음향/음성 자동 송출시스템
US20130097302A9 (en) * 2003-10-01 2013-04-18 Robert Khedouri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KR20060023923A (ko) 2004-09-10 2006-03-15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단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휴대전화와 외장형 스피커 사이의음성 송수신장치
JP4540439B2 (ja) * 2004-10-01 2010-09-0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波時計放送波の受信回路
JP4515895B2 (ja) * 2004-12-08 2010-08-04 株式会社東芝 オーディオ装置
KR100736563B1 (ko) * 2005-05-16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EP1891848B1 (en) * 2005-06-13 2015-07-22 Intelligent Mechatronic Systems Inc. Vehicle immersive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22771A1 (en) * 2006-03-21 2007-09-27 Brask Kenneth A Proximity sensor display assembly and method
KR20070120665A (ko) * 2006-06-20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오디오 방송을 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735413B1 (ko) 2006-08-08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 재생 중 음성을입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성 입출력 방법
JP5001028B2 (ja) * 2007-03-02 2012-08-15 株式会社デンソー 運転環境設定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用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061B2 (en) 2012-06-08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nd output apparatus, audio processing apparatus, sound output method, and audio processing method
US11016724B2 (en) 2018-12-17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hanging audio signal path according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EM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22116A1 (en) 2009-09-03
EP2250736A2 (en) 2010-11-17
EP2250736B1 (en) 2020-04-01
US8320832B2 (en) 2012-11-27
WO2009110685A2 (en) 2009-09-11
CN101965690A (zh) 2011-02-02
EP2250736A4 (en) 2013-04-24
WO2009110685A3 (en) 2009-11-26
KR101195885B1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885B1 (ko)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US20170083284A1 (en) Wireless speaker system
KR102393815B1 (ko) 무선 스피커 시스템
US8068882B2 (en) Portable media player emulator for facilitating wireless use of an accessory
KR20080065879A (ko) 오디오신호의 에프엠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90081136A (ko)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의 멀티포인트 페어링 방법
JP2010056684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スピーカ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20130064393A1 (en)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sound reproducing method
JP2015139215A (ja) ブルートゥース送受信機、リモコン付イヤホンモジュール及び携帯装置モジュール
US10194242B2 (en) Content playback device, content playback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7306286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動作制御方法
US20210007202A1 (en) Voice communication between lamp and remote device plus lighting control via remote device
KR20160119722A (ko) 전자장치
JP2007306285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
JP2009506471A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制御
JP2012191611A (ja) 通信装置及び切替方法
KR102178272B1 (ko) 다양한 전자기기에 접속 가능한 헤드셋 어셈블리
KR20110057968A (ko) 휴대단말기의 오디오 재생 장치
KR102282922B1 (ko)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JP3173995U (ja) デジタルワイヤレス送受信機
KR100708255B1 (ko) 인공지능형 리모콘 장치
KR101367566B1 (ko) 두 개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테레오 기능 제공 방법 및 스테레오 기능 제공을 위한 단말기
JP2013229842A (ja) 音響システム
JP5266968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スピーカ装置、映像表示装置、通信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200408527Y1 (ko) 휴대용 fm 트랜스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