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563B1 -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563B1
KR100736563B1 KR1020050040912A KR20050040912A KR100736563B1 KR 100736563 B1 KR100736563 B1 KR 100736563B1 KR 1020050040912 A KR1020050040912 A KR 1020050040912A KR 20050040912 A KR20050040912 A KR 20050040912A KR 100736563 B1 KR100736563 B1 KR 10073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host device
music file
portable devic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290A (ko
Inventor
권오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56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 또는 호스트 기기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끊김 없이 다른 기기로 연결해서 재생하기 위한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호스트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되었을 경우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파일의 동기화를 수행한 후, 재생중인 음악파일을 선택된 시점부터 정지시키는 휴대용 기기; 상기 휴대용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되었을 경우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파일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해당 음악파일을 선택된 시점부터 이어서 재생하는 호스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스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음악파일을 읽어서 재생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음악파일을 재생중인 휴대용 기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 또는 호스트 기기간에 현재 재생되는 음악 파일 정보를 교환하고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끊김 없이 다른 기기로 연결해서 계속 재생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호스트, 음악, 연결, 재생, 유선, 무선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Music play system of mobile and host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사용례로서 유선연결을 통한 음악재생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례로서 무선연결을 통한 음악재생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용 기기 101, 102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호스트 기기 201, 202 : 퍼스널 컴퓨터
110, 210 : 음악파일 저장수단 120, 220 : 파일재생 제어수단
130, 230 : 파일동기화 관리수단 140 : 연결수단
141 : 케이블 142, 143 : 커넥터 플러그
144 : 무선통신수단 240 : 연결감지수단
SPK : 스피커
본 발명은 음악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 또는 호스트 기기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끊김 없이 다른 기기로 연결해서 재생하기 위한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음악을 재생하는 휴대용 기기 예로서, 디지털 음악 전용 플레이어나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방식으로 기록한 파일형식으로는 MP3파일, wav파일, ra파일, rm파일 등이 있으나 이 가운데 MP3파일이 압축기술도 우수하고 음질도 깨끗해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휴대용 음악 재생 기기의 용량이 커지면서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음악을 휴대용 기기와 서로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악재생 시스템은, 휴대용 기기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호스트 기기로 연결해서 재생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현재 휴대용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정지시킨 후, 호스트 기기에서 같은 음악화일을 찾아 재생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복잡하고 재생하던 음악이 끊어짐으로 현재 듣고 있던 음악을 연속하여 들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기기 또는 호스트 기기간에 현재 재생되는 음악 파일 정보를 교환하고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끊김 없이 다른 기기로 연결해서 계속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 간의 음악재생 시스템은,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호스트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되었을 경우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파일의 동기화를 수행한 후, 재생중인 음악파일을 선택된 시점부터 정지시키는 휴대용 기기; 상기 휴대용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되었을 경우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파일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해당 음악파일을 선택된 시점부터 이어서 재생하는 호스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스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음악파일을 읽어서 재생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음악파일을 재생중인 휴대용 기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한다.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는 해당 음악파일을 재생위치, 음색 및 음량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 간의 음악재생 방법은, 휴대용 기기 또는 호스트 기기중 어느 한 기기에서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되었을 경우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파일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한 기기에서 재생중인 음악파일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다른 기기에서 해당 음악파일의 선택된 시점부터 이어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음악파일을 읽어서 재생하고, 상기 다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음악파일을 재생중인 기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한다.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는 해당 음악파일을 재생위치, 음색 및 음량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의 동기화시 휴대용 기기에서의 음악 재생 상태를 호스트 기기로 전달하여 호스트 기기에서 사용자가 끊김 없이 같은 음악을 계속해서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휴대용 기기는 현재 재생 중인 파일의 이름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유지해야 하며, 호스트 기기에 연결된 것이 감지되면 호스트 기기로 재생 파일 정보를 전달한다. 호스트 기기에서는 전달받은 재생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에서의 재생 상태를 이어받아 같은 파일을 재생한다. 혹은 반대로 호스트 기기에서 재생하는 음악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에서 음악을 이어서 재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100), 호스트 기기(200), 음악파일 저장수단(100)(210), 파일재생 제어수단(120)(220), 파일동기화 관리수단(130)(230), 연결감지수단(240), 스피커(SPK) 및 연결수단(140)으로 구성된다.
휴대용 기기(100)는 디지털 음악파일만을 전용을 재생하는 휴대용 음악 재생 기기 또는 후술할 음악파일 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1)(102)등이 적용되고, 호스트 기기(200)는 외부 스피커로 음악 파일을 출력하는 퍼스널 컴퓨터(201) 등이 적용된다.
휴대용 기기(100)는 음악파일 저장수단(110), 파일재생 제어수단(120), 파일동기화 관리수단(130)을 포함한다.
음악파일 저장수단(110)은 휴대용 기기(100)에서 재생할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이곳에 저장된 모든 파일은 호스트 기기(200)의 음악파일 저장수단(210)에도 존재하며, 서로 대응하는 인덱스가 부여되어 파일 검색시 이용된다.
파일재생 제어수단(120)은 휴대용 기기(100)에서 음악 파일의 재생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호스트 기기(200)와 휴대용 기기(100)가 연결될 때 현재 재생중인 음악의 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동기화 관리자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동기화 관리수단(130)은 호스트 기기(200)와 연결되어, 음악 재생 상태를 교환하고, 파일 동기화를 수행한다.
아울러, 연결수단(140)은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를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소정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호스트 기기(200)는 음악파일 저장수단(210), 파일재생 제어수단(220), 파일동기화 관리수단(230), 연결감지수단(240)을 포함한다.
음악파일 저장수단(210)은 휴대용 기기(100)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음악 파일 전부를 저장해두는 저장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기기(100)의 음악파일 저장수단(110)에 저장 가능한 파일 용량보다 많은 음악 파일을 가지고 있다.
파일재생 제어수단(220)은 호스트 기기(200)에서 음악 파일의 재생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외부 스피커(SPK)에 연결되어 외부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파일동기화 관리수단(230)은 휴대용 기기(100)와 연결되어, 음악 재생 상태를 교환하고, 파일 동기화를 수행한다. 기본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파일 재생 제어수단(220)을 통해 상대편에서 재생 중인 파일을 재생한다.
연결감지수단(240)은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간의 연결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유선 접속의 경우에는 연결 여부만을 감지하고, 연결된 경우 음악 파일동기화 관리수단(230)을 호출한다.
상기 연결수단(140)은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방식의 경우, 상기 연결수단(140)은 통상의 케이블(141)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상기 호스트 기기(200)를 연결하며, 케이블(141)의 접속 여 부를 통하여 상기 기기(100)(200)간의 연결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무선 방식의 경우 상기 연결수단(140)은 통상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상기 호스트 기기(200)를 연결하며, 상기 무선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기기간의 연결상태를 판단한다.
무선 연결의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100)가 호스트 기기(200)의 무선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고, 연결된 상태에서는 무선 송수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연결이 종료되는 시점을 예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100) 또는 호스트 기기(200)중 어느 한 기기에서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단계(S301∼S302);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되었을 경우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파일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S303∼S304); 상기 어느 한 기기(100)에서 재생중인 음악파일을 저장시킴과 동시에, 다른 기기(200)에서 해당 음악파일의 선택된 시점부터 이어서 재생하는 단계(S30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른 기기(200)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음악 파일을 읽어서 재생하고, 상기 다른 기기(200)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음악파일을 재생중인 기기(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한다(S305∼S307).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는 해당 음악파일을 재생위치, 음색 및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기기(100)에는 호스트 기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파일중 일부의 음악파일을 저장한다. 즉, 일반적으로 호스트 기기(200)에는 대용량의 음악파일 저장수단(210)을 갖고 있으며, 여기에 저장된 음악파일의 일부를 상기 휴대용기기(100)의 음악파일 저장수단(110)에 다운로드 받아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된 음악파일이 저장된 휴대용 기기(100)만을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는 원하는 음악을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기기(1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의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집이나 사무실에 도착한 경우 재생되는 음악을 호스트 기기(200)에서 연속적으로 듣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를 연결시킨다(S301).
이때, 호스트 기기(200)의 연결감지수단(240)은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의 연결상태를 감지하고, 연결되었을 경우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간에 현재 재생되는 음악 파일정보를 교환하고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현재 재생하고 있는 음악을 끊김 없이 계속 연결하여 재생하도록 한다(S302~S304).
상기 음악 파일의 재생 상태 전달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호스트 기기(200)와 휴대용 기기(100)에서의 재생 파일의 종류나 위치정보를 서로 교환한다. 이런 교환은 두 기기(100)(200)간의 연결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버튼(미도시)이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동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호스트 기기(200)와 휴대용 기기(100)의 연결은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먼저, 유선 케이블 연결 감지에 의한 음악 파일 재생 상태 전달 과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재생중인 음악 파일 동기화 전에 음악 재생 상태를 주고 받음으로써, 현재 재생중인 음악에 관련된 정보 예로서, 음량, 음색 및 이퀼라이저정보 등도 함께 전달하여 세팅할 수 있다.
한편, 무선 방식은 무선 송수신 상태 또는 거리 등을 감지하여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서, 무선 방식에 의한 음악 파일 재생 상태 전달 과정을 살펴보면, 호스트 기기(200)는 무선신호의 송수신 상태 또는 거리 등을 감지하여 휴대용 기기(100)가 무선 범위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고, 호스트 기기(200)와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음악 재생 상태를 호스트 기기(200) 측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휴대용 기기(100)가 호스트 기기(200)의 무선 범위로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다음 절차를 따른다.
a) 휴대용 기기(100)는 주기적으로 무선 연결 가능성을 점검한다.
b) 무선 연결이 가능한 경우 호스트 기기(200)를 찾는 메시지를 보낸다.
c) 호스트 기기(200)가 휴대용 기기(100)로 정해진 응답을 보낸다.
d) 휴대용 기기(100)의 음악 재생 상태를 호스트 기기(200)로 전달한다.
e) 사용자가 정한 옵션에 따라 호스트 기기(200)가 재생 중인 음악을 이어서 재생한다.
또한,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의 연결 종료를 예측하여 호스트 기기(200)에서의 재생 정보를 휴대용 기기(100)로 전달한다. 상기 연결 종료 예측을 위해 다음 절차를 따른다.
a) 휴대용 기기(100)가 주기적으로 무선 송수신 상태(주파수의 수신강도 등)를 점검한다.
b) 정해진 값 이하로 무선 송수신 상태가 나빠지거나 거리가 멀어진 경우 호스트 기기(200)로 신호를 보낸다.
c) 호스트 기기(200)는 재생중인 음악 정보를 휴대용 기기(100)로 전달한다.
d) 옵션에 따라 재생 중인 음악을 이어서 재생하거나 재생 상태 정보를 보관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0의 연결이 감지 되었을 때, 휴대용 기기(100)에서 음악을 재생하고 있으며 자동 연결 재생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파일동기화 관리수단(130)(230)은 파일을 동기화 하기 전에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의 이름과 재생 위치 등의 정보를 호스트 기기(200)로 전달한다.
호스트 기기(200)는 받은 음악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음악파일 저장수단(21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악 파일을 읽어내고, 파일재생 제어수단(220)을 통해 음악을 재생하여 스피커(SPK)로 출력시킨다(S305~S306).
한편, 재생중인 음악파일이 호스트 기기(2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100)로부터 호스트 기기(200)로 음악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재생하거 나 또는 휴대용 기기(100)로부터 음악파일을 실시간으로 읽어 호스트 기기(200)에서 재생할 수 있다(S307~S308).
이와 같이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의 연결이 끊어질 때에, 유선 연결의 경우 연결 종료를 미리 알 수 없지만 무선을 통해 휴대용 기기(100)와 호스트 기기(200)가 연결되는 경우 무선 신호 강도를 이용하여 연결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과정과 반대로 호스트 기기(200)의 재생 상태를 휴대용 기기(100)가 받아서 설정에 따라 재생하거나 상태를 보관해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사용례로서 유선연결을 통한 음악재생과정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을 통한 동기화시, 휴대용 기기(100)로서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호스트 기기(200)로서 퍼스널 컴퓨터(210)가 구비된다. 또한, 연결수단(140)으로서, 커넥터 플러그(142)(143)와 케이블(141)이 구비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음악을 재생 중 파일 동기를 위해 각각의 커넥터플러그(142)(143)와 케이블(141)을 퍼스널 컴퓨터(201)로 연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1)에서 재생 중인 음악을 퍼스널 컴퓨터(201)로 연결하여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악을 찾아서 재생하는 특별한 동작 없이 케이블(141)을 연결하기만 하면 현재의 음악 및 그 재생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례로서 무선연결을 통한 음악재생과정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을 통한 동기화시, 무선을 통해 휴대용 기기(100)로서 음악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호스트 기기(200)로서 퍼스널 컴퓨터(202)가 동기화가 가능한 경우 확장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140)으로서 무선통신수단(144)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퍼스널 컴퓨터(202)의 무선통신수단(144)과 무선 동기가 가능한 범위로 들어가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퍼스널 컴퓨터(202)가 작동하여 외부 스피커를 통해 음악이 끊어지지 않고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신호 강도를 추적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퍼스널 컴퓨터(202)의 무선 범위에서 벗어나려고 할 때, 퍼스널 컴퓨터(202)의 재생 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휴대용 기기 또는 호스트 기기간에 현재 재생되는 음악 파일 정보를 교환하고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끊김 없이 다른 기기로 연결해서 계속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호스트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되었을 경우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파일의 동기화를 수행한 후, 재생중인 음악파일을 선택된 시점부터 정지시키는 휴대용 기기;
    상기 휴대용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되었을 경우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파일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해당 음악파일을 선택된 시점부터 이어서 재생하는 호스트 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음악파일을 읽어서 재생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음악파일을 재생중인 휴대용 기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는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통상의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방식으로 상기 휴대용 기기와 상기 호스트 기기를 연결하며, 상기 케이블의 접속 여부를 통하여 상기 기기간의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휴대용 기기와 상기 호스트 기기를 연결하며, 상기 무선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기기간의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6. 휴대용 기기 또는 호스트 기기중 어느 한 기기에서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되었을 경우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파일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한 기기에서 재생중인 음악파일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다른 기기에서 해당 음악파일의 선택된 시점부터 이어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음악파일을 읽어서 재생하고, 상기 다른 기기에 해당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음악파일을 재생중인 기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 정보는
    해당 음악파일을 재생위치, 음색 및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방법.
KR1020050040912A 2005-05-16 2005-05-16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73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912A KR100736563B1 (ko) 2005-05-16 2005-05-16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912A KR100736563B1 (ko) 2005-05-16 2005-05-16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290A KR20060118290A (ko) 2006-11-23
KR100736563B1 true KR100736563B1 (ko) 2007-07-09

Family

ID=3770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912A KR100736563B1 (ko) 2005-05-16 2005-05-16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885B1 (ko) * 2008-03-03 2012-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728A (ko) * 2001-04-10 2002-10-19 블루텍 주식회사 시각설정 시스템 및 시각설정방법
KR20030008732A (ko) * 2001-07-19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KR20030008731A (ko) * 2001-07-19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정된 파일을 자동으로 재생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것을이용한 파일자동 재생방법
KR20040067242A (ko) * 2003-01-22 2004-07-30 고재목 엠피쓰리음악파일 재생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060000172A (ko) * 2004-04-27 2006-01-06 우종식 위치정보를 이용한 자막, 정지영상, 동영상의 동기화생성/재생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728A (ko) * 2001-04-10 2002-10-19 블루텍 주식회사 시각설정 시스템 및 시각설정방법
KR20030008732A (ko) * 2001-07-19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KR20030008731A (ko) * 2001-07-19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정된 파일을 자동으로 재생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것을이용한 파일자동 재생방법
KR20040067242A (ko) * 2003-01-22 2004-07-30 고재목 엠피쓰리음악파일 재생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060000172A (ko) * 2004-04-27 2006-01-06 우종식 위치정보를 이용한 자막, 정지영상, 동영상의 동기화생성/재생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290A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9867B (zh) 在对等配置中共享多媒体内容
US9369945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witching a wireless network mode
US7747338B2 (en) Audio system employing multiple mobile devices in concert
JP4843038B2 (ja) 楽曲プレイリストを提供する移動無線通信端末、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23889B1 (ko) 오디오 동시 재생 방법, 장치, 및 설비
CN102104680A (zh) 音频播放方法、外挂播放终端及移动终端
KR101120019B1 (ko) 무선 통신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CN104867513A (zh) 一种播放控制方法及设备
CN110290441A (zh) 一种无线耳机控制方法、装置及无线耳机和存储介质
JP2007323789A (ja) 携帯型オーディオ機器用再生継続方法及び装置
KR20060106299A (ko) 이어폰 장착 여부의 감지를 통한 자동 멈춤 및 전원 오프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287486A1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EP1267523B1 (en) Extended user interface in a wireless headset
KR100736563B1 (ko)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CN104883391A (zh) 一种数据传输控制方法及设备
EP1793556A2 (en) Cont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content reproducing terminal
US20080167738A1 (en) Media connect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010026378A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한 엠피3 플레이어 시스템
JP5137745B2 (ja) データ再生システム
KR20000031937A (ko) 무선통신과 음악파일재생이 가능한 미디어통신 단말장치 및 그방법
EP1942409B1 (en) Media connect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693589B1 (ko) 음원 데이터의 동시 재생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00031936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수신하기위한 미디어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1479B1 (ko) 디지털 오디오 공동 재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4702046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