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067A -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067A
KR20090093067A KR1020080018382A KR20080018382A KR20090093067A KR 20090093067 A KR20090093067 A KR 20090093067A KR 1020080018382 A KR1020080018382 A KR 1020080018382A KR 20080018382 A KR20080018382 A KR 20080018382A KR 20090093067 A KR20090093067 A KR 2009009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display unit
image content
spee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승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8001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067A/ko
Publication of KR2009009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기 카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승강기 내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승강기 내 표시 장치는,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위치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승강기 탑승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A devic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contents in an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기 카(car 또는 cage)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승강기 카 내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승강기 탑승자에게 카의 움직임에 따라 외부를 직접 보는 듯한 효과를 통하여 시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한다.
현대 사회에서 고층 건물이 증가함에 따라, 승강기(elevator)는 현대인들이 생활하면서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기기가 되었다. 승강기는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승강기에 탑승하고 있는 실제 시간이 길지 않더라도, 탑승자는 답답함과 지루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승강기 탑승자들에게 갇힌 느낌을 없애고, 탑승 느낌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승강기 카 내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카의 위치에 대응되게 표시함으로써, 승강기 탑승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기 카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승강기 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내 표시 장치는,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 카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내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은, 영상 컨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a);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b); 상기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상기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에 설치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가 카의 위치에 동기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승강기 카 내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위치 또는 속도를 제어하여 영상 컨텐츠를 카의 위치에 대응되게 표시함으로써, 승강기 탑승자가 카에서 직접 외부를 보고 있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내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승강기 내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승강기 내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승강기 내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승강기 카 제어반 3 : 승강기 카 내부의 벽면
10 : 데이터 수집부 20 : 표시부
30 : 구동부 40 : 메모리
45 : 영상 컨텐츠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내 영상 컨텐츠 표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내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승강기 카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승강기 내 표시 장치는,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기 카 제어반(1)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0); 상기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3)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20);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10)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위치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구동부(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표시부(20)는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3)에 설치되며,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PDP, LCD, 프로젝터, 또는 스크린 등이 표시부(20)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승강기 내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승강기 카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하여, 우선 승강기 카 내에서 표시할 영상 컨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10).
이후,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1)으로부터 현재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 데이터를 수집한다(S20).
이후, 상기 수집된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상기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3)에 설치된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위치 또는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20)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한다(S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승강기 내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승강기 내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폭포 풍경의 영상 컨텐츠(45)를 메모리(40)에 저장한다.
데이터 수집부(10)에 의하여 현재 승강기 카가 "A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승강기 카의 벽면(3)에 설치된 표시부(20)에는 상기 영상 컨텐츠 전체(45) 중에서 승강기의 현재 위치인 "위치 A"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도록 구동부(30)가 제어한다.
이후, 승강기 카가 상승하여 "B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표시부(20)에는 상기 영상 컨텐츠 전체(45) 중에서 승강기의 현재 위치인 "위치 B"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도록 구동부(30)가 제어한다. 즉, 승강기 카가 A 위치에서 B 위치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20)에는 전체 영상 컨텐츠(45) 중 A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B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내 영상 표시 장치는,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대응되어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승강기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탑승자가 실제로 근경의 풍경을 보는 것처럼 표시부에 풍경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전체 영상 컨텐츠 중에서 승강기의 현재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이라 함은, 승강기의 현재 위치와 고도가 일치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표시 장치의 운영자가 전체 영상 컨텐츠 중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등을 고려하여 승강기의 현재 위치와 영상 컨텐츠의 일부분을 적절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승강기 내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메모리(40)에 저장되는 영상 컨텐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풍경을 촬영한 동영상 컨텐츠이다.
한편, 데이터 수집부(10)에 의하여 현재 승강기 카가 상기 카메라의 "C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승강기 카의 벽면(3)에 설치된 표시부(20)에는 카메라가 상기 "C 위치"에서 촬영한 부분이 표시되도록 구동부(30)가 제어한다.
이후, 승강기 카가 상승하여, 상기 카메라의 "D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표시부(20)에는 카메라가 "D 위치"에서 촬영한 부분이 표시되도록 구동부(30)가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내 영상 표시 장치는,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와 대응되어 움직이는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즉,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풍경을 바라보는 시선이 변화하게 되고, 이와 같이 시선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풍경을 동영상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승강기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탑승자는 실제로 전망용 승강기에서 원경의 풍경을 보는 것처럼, 표시부에 풍경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 탑승자가 열려 있는 공간에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승강기의 현재 위치와 대응되는 카메라의 위치라 함은, 승강기의 현재 고도와 카메라의 고도가 일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표시 장치의 운영자가 전체 동영상 중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 등을 고려하여 승강기의 현재 위치와 카메라의 위치 및 상기 카메라 위치에서 촬영된 부분을 적절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심 속의 건물에 구비되어 있는 승강기에서 폭포, 산, 절벽, 바다속, 또는 유명 관광지의 풍경을 재현함으로써, 승강기 탑승자의 탑승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는 풍경뿐만 아니라, 승강기의 운항 정보(예를 들어, 현재 층)을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재 표시되고 있는 풍경에 어울리는 음향(예를 들어, 폭포수 소리)도 함께 제공하여, 승강기 탑승자가 시청각적인 만족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승강기 카 내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위치 또는 속도를 제어하여 영상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승강기 탑승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8)

  1. 승강기 카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승강기 내 표시 장치로서,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위치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내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 전체 중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부분의 위치 또는 속도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영상 컨텐츠 전체 중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부분의 위치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는 카메라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촬영한 동영상 컨텐츠이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촬영된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표시 장치.
  4. 카메라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촬영한 동영상 컨텐츠를 승강기 카 내에서 표시하기 위한 승강기 내 표시 장치로서,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위치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촬영된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내 표시 장치.
  5. 승강기 카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영상 컨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a);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b);
    상기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따라, 상기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에 설치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위치 또는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내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영상 컨텐츠 전체 중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부분의 위치 또는 속도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영상 컨텐츠 전체 중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부분의 위치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내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영상 컨텐츠는 카메라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촬영한 동영상 컨텐츠이며,
    상기 단계(c)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촬영된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내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8. 카메라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촬영한 동영상 컨텐츠를 승강기 카 내에서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a);
    상기 승강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b);
    상기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승강기 카 내의 하나 이상의 벽면에 설치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촬영된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내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KR1020080018382A 2008-02-28 2008-02-28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93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382A KR20090093067A (ko) 2008-02-28 2008-02-28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382A KR20090093067A (ko) 2008-02-28 2008-02-28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067A true KR20090093067A (ko) 2009-09-02

Family

ID=4130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382A KR20090093067A (ko) 2008-02-28 2008-02-28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0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83A1 (ko) * 2009-12-28 2011-07-07 뷰모션 (주) 운송체의 가상 외부전경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69140A1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다지트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조립체 및 영상 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83A1 (ko) * 2009-12-28 2011-07-07 뷰모션 (주) 운송체의 가상 외부전경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49664B1 (ko) * 2009-12-28 2012-05-2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송체의 가상 외부전경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69140A1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다지트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조립체 및 영상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998B1 (ko) 놀이 공원 놀이물 제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6159903A (ja) 運送手段用表示装置
JP6877842B2 (ja) 車載表示システム
CN112406727B (zh) 车辆及多屏系统的控制方法、装置
JP201919934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表示装置と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表示装置据付方法
JPWO201912415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及び移動体
EP38483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abin operating panels in elevator cabs based on positions of passengers
KR20200085308A (ko) 속도 시뮬레이션 효과
KR20090093067A (ko) 승강기 내에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JP7103501B1 (ja) エレベータ用表示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05200203A (ja) エレベータかごの鏡付き表示装置
CN206532530U (zh) 一种车窗虚拟现实显示系统
JP3484731B2 (ja) エレベータ用映像情報システム
JP5941018B2 (ja) エレベータの情報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9244660A (ja) 運転研修装置
JP4728941B2 (ja) 運転研修装置
KR101892238B1 (ko) Hmd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739174B2 (ja) 運転研修装置
JP2012006760A (ja) エレベータの情報表示装置
JP4750816B2 (ja) 運転研修装置
JP2014141325A (ja) エレベーターの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047665A (ja) 乗務員用個人型シミュレータ
JPH1179580A (ja) エレベーターの外部映像表示装置
KR20110022758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카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1302127A (ja) エレベーター運行状態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