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492A -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492A
KR20090091492A KR1020080016783A KR20080016783A KR20090091492A KR 20090091492 A KR20090091492 A KR 20090091492A KR 1020080016783 A KR1020080016783 A KR 1020080016783A KR 20080016783 A KR20080016783 A KR 20080016783A KR 20090091492 A KR20090091492 A KR 2009009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queflower
gujeolcho
dandelion
antimicrobial composition
eoseongch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203B1 (ko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마산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산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마산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2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민간 약재, 항균력, MRSA

Description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An antibacterial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연 물질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0년도 이후 최근에 이를수록, 생리 활성 물질의 개발에 있어서 항암과 항균 분야보다 면역, 심혈관 등의 기타 의약 생리 활성 분야가 더욱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 과거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던 항균 분야는 1980년대 후반에 잠시 그 중요성이 줄어들었으나, 최근 내성균에 의한 감염 및 병원 내 감염이 증가하면서 가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항균 약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베타-락탐(β-lactam) 계열의 항생제의 경우, 내성이 매우 급속한 추세로 증가하여 현재 국내에서는 전체 내성률이 약 80%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임상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진균제의 경우도 대부분 아졸(azole) 또는 알리아민(allyamine) 계열로, 상기 두 가지 항진균제도 시간이 지날수록 매우 많은 저항성 균주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점점 항균제들의 내성 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균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내성 문제뿐 아니라 약리 효능 면에서도, 항균 물질에 대한 새로운 표적의 발견이 필요하고 새로운 표적에 대한 특이적인 항균 소재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항균력이 증대되고 안정성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항균력이 증대되고 안정성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으로부터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 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혼합물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혼합물은 각각 별개로 수득한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천연 혼합물은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 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농축한 천연 농축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추출물은 예를 들어, 각각 5 내지 15 부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않고, 추출물마다 다양한 부피%로 이루어질 수 있음 물론이다.
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생활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초, 또는 전통적으로 전해오는 민간 치료제로부터 획득함으로써 대체의약으로의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실험예에서도 나타나듯이 천연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항균 능력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며, 베타-락탐 계열의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포도 상구균에 대해서도 항균 능력을 유지하는 등의 더욱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으로부터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먼저,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으로부터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각각의 추출물은 성질에 적합하도록 증류수, 또는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껍질, 고삼, 민들레, 및 벚나무 껍질을 개별적으로 증류수와 혼합하되, 예를 들어 1:5의 비율로 혼합하고, 예를 들어 약 100℃에서 약 2시간 정도 달이고 압착함으로써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등은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틸 알코올과 혼합하여 추출물들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에틸 알코올은 약 20% 내지 약 10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의 에틸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동꽃, 삼백초, 할미꽃 등을 유기 용매와 예를 들어, 1:5의 비율로 혼합하고, 예를 들어 약 25℃, 약 150rpm에서 약 일주일 동안 진탕하고 압착함으로써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껍질,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추출물을 혼합한다. 상기 추출물들을 혼합하는 것은 예를 들어, 마그네틱 핫 플레이트(magnetic hot plate) 및 마그네틱 바(magnetic bar)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혼합된 추출물들을 증발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 건조하고, 이를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용출시켜 천연 농축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구체적인 몇몇 실험예들을 통하여 설명하며,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하기의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실험예들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험예 1 - 천연 소재의 수집
천연 소재는 국내에서 감염증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지는 민간 요법 약제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민간 요법 약제들은 다음과 같다.
(1)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 latilobum)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늦가을 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에 꽃 이삭과 잎 줄기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렸다가 약재로 쓸 수 있다. 꽃 이삭 및 건초(乾草)는 폐렴, 기관지염, 기침 감기, 인두염, 두통, 또는 고혈압에 약용할 수 있고, 소화불량, 또는 위장질환의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다.
(2) 부처손(Selaginella tamariscina)은 부처손과의 늘 푸른 여러해살이 풀로, 마른 바위에 붙어서 자라는데 비가 와서 물기가 있으면 새파랗게 살아나고 가물면 잎이 공처럼 둥글게 말라 오그라들어 죽은 것처럼 보인다. 만성 간염, 간경화증, 황달, 기침, 신장결석, 정신분열증, 여러 종류의 암, 기관지염, 폐렴, 편도선염에도 효험이 있다. 또한, 노인들이 힘이 없고 몸이 나른할 때 부처손을 달여 먹으면 기운이 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암효과가 뛰어난 식물로도 알려져 있다.
(3) 삼백초(Saururus chinensis ( Lour ) Bail)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높이가 약 30 내지 90cm이고, 뿌리는 희고 줄기는 곧으며 잎 모양은 끝이 뾰족한 계란 모양이다. 삼백초는 초여름에 잎이 파랗게 자라다가 꽃 밑 잎 3개가 하얗게 변했다가 다시 초록색으로 되돌아오는 특이한 식물로, 아주 강인하게 자라고 병충해가 없는 깨끗한 식물이다. 변비와 숙변을 없애는데 효과가 있으며, 여러 가지 부인병에 효과적이다. 냉 대하, 자궁염, 생리불순, 자궁탈출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염증을 없애고 항암작용이 강하다. 삼백초는 뿌리, 잎, 줄기, 꽃 전체가 약으로 사용되며, 차로 달여 마시거나 술에 담가서 우려내 먹기도 한다.
(4)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는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인도, 유럽, 아메리카의 인디언들까지도 중요한 약으로 사용하였다. 옛 의서의 곳곳에 민들레에 대한 기록이 적지 않을 정도로 여러 질병에 효과가 뛰어난 약초이다. 위염, 위궤양 등의 위장병, 만성 간염, 지방간 등의 간질환, 및 만성 장염에, 예를 들어, 민들레 생잎을 깨끗하게 씻어서 씹어 먹거나, 뿌리째 캐서 그늘에 말려 진하게 달여서 먹으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천식이나 기침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5) 벚나무(Prunus serrulata var . spontanea ( Max .) Wils)는 장미과의 낙엽교목으로, 벚나무 껍질에 포함된 '사쿠라닌'이라는 물질을 추출하여 '프로틴'이라는 기침약으로 사용되며 벚나무 잎에 포함된 '쿠마린'이라는 물질은 음식물이 잘 상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해수, 기침에는 벚나무 껍질을 진하게 달여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벚나무의 속껍질은 식중독, 생선 중독, 버섯 중독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소화 불량이나 설사에는 지름이 약 3 내지 5cm 정도 되는 어린 가지의 녹색 속껍질을 칼로 벗겨 잘게 썰어 그늘에 잘 말려 두었다가 달여서 먹으면 효과적이라고 한다. 또한, 벚나무 잎도 피부병에 효과가 있으며, 그늘에 말린 벚나무 잎을 달여서 땀띠, 습진, 피부병 등에 바르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6) 인동초(Lonicera japonica Thunb)는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성 식물로, 초 여름에 각 마디에서 두 송이의 꽃을 피우는데 꽃의 색깔이 하얗다가 시간이 지나면 노랗게 변하여 "금은화"라고도 부른다. 인동초는 성질이 차갑고 맛을 달고 약간 쓰면서도 매우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염증을 삭이며 살균 작용이 있다. 여러 가지의 옹종, 악창, 옴, 이질, 열병, 연주창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대장염, 위궤양, 방광염, 인두염, 편도선염, 결막염 등의 여러 가지의 염증 질병에도 효과가 있다.
인동꽃은 꽃송이가 피기 직전에 따서 그늘에 말리고, 잎과 줄기는 가을철에 베어서 그늘에 말려 사용할 수 있다. 인동은 술로 담가 먹으면 약효가 더욱 빠르다. 초여름 금방 핀 흰 꽃을 따서 말려 약 1.8리터의 술에 인동꽃 약 100g 정도를 넣고 따뜻한 곳에 한 달간 숙성시켜 노랗게 우러나면 마신다. 여러 가지 종기, 부스럼, 각기, 매독,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7)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산속 음지 진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제주도, 울릉도 등에 자라며 약간의 독성이 있는 약초로 알려져 있다. 줄기와 잎에서 생선 비린내 같은 냄새가 난다는 뜻에서 어성초(魚腥草)라 하고, 항균과 해독작용이 강하여 항암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방광, 요도, 자궁, 치루, 악창, 탈홍, 여드름 등의 염증 치료, 폐렴, 중이염, 축농증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어성초 약 20 내지 30g을 500cc 물에 300cc 정도 될 때까지 달려 1일 3회 정도 나누어 마신다.
(8) 삿갓나물(Paris verticillata)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천식, 종기, 만성기관지염에 효과가 있으며, 외상 출혈과 어혈성 통증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9) 은행(銀杏)은 은행나무의 열매로, 진해, 거담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해수, 천식, 유정, 소변의 백탁, 잦은 소변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자양제로도 복용한다.
(10) 가막사리(Bidens tripartite)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논이나 개울에서 흔히 자란다. 결핵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하며 어린 순은 식용한다.
(11) 할미꽃(Pulsatilla cernua var . koreana)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체에 부드럽고 가는 털로 덮여 있으며 뿌리는 길고 곧으며 암갈색을 띤다. 할미꽃은 복통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두통, 부종, 이질, 심장병, 말라리아, 위염 등에 약으로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뇌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할미꽃 잎 약 500g을 물 약 3리터에 넣고 절반이 되도록 달여서, 달인 물과 찹쌀밥 한 그릇을 단지에 넣고 뚜껑을 덮어 10일 정도 보관하면 술이 된다. 이 술을 하루 세 번, 한 잔씩, 식전에 먹는다.
(12) 송진(松津)은 소나무과의 나무가 손상을 입었을 때 분비되는 분비액으로, 새살을 나게 하고 아픔을 멈추게 하며 살균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나무 껍질에 상처를 내어 흘러내린 송진을 물에 넣고 끓여 천에 걸러서 찬물에 넣고, 엉킨 덩어리를 그늘에 말려 가루로 만들어 사용한다. 습진, 화상, 옴 등의 외용약으로 사용된다. 이는 송진의 정유 성분이 피부 자극 작용, 항균 작용, 살균 작용을 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13) 백급(白급)은 난초과의 자란(Bletilla striata (Thunberg) Reichenbach fil.)의 덩이줄기를 말린 약재이다. 백급은 냄새가 없고 맛은 조금 쓰고 점액성이 있으며 약성은 쓰고 달며 떨고 서늘하다. 폐열로 인한 각혈, 위열로 인한 토혈에 사용하는 지혈약으로 사용하며, 외상에는 가루를 내어 환부에 바른다. 종기 등의 외과 질환에도 사용되며, 새 살을 돋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국부출혈 지혈, 위, 십이지장 치료, 억균, 혈압상승, 항암작용이 보고되었다.
(14)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 japonica)는 자작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깊은 산 양지쪽에서 자란다. 자작나무 껍질은 백화피(白樺皮)라고도 부르며 이뇨, 진통, 해열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 원추리(Hemerocallis fulva)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넘나물이라고도 한다. 원추리는 단백질, 포도당, 지방, 화분,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 외에도, 아데닌, 코린, 아르기닌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뇨, 해열, 진해, 진통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고, 빈혈이나 종기의 치료에도 사용된다, 마른 꽃은 술에 담가서 마시면 자양강장 및 피로회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16) 황경피나무(Phellodendron amurense)는 높이가 10m에 달하는 낙엽교목으로, 껍질은 연한 회색이다. 담즙 분비작용, 소염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황경피에 있는 알칼로이드(alkaloid)인 베르베린(berberine) 성분은 대장균, 적리균을 비롯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작용과 진정작용, 및 진통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균성 이질, 설사, 구강 궤양, 관절통 등에 황경피 10g을 달여 하루 3번 먹으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17) 고삼(Sophora flavescens)은 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양지 바른 풀밭에 서 주로 자란다. 고삼 뿌리를 끓여 만성 간염에 복용하면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그늘진 곳에서 주로 자란다. 맥문동은 폐를 튼튼하게 하고, 원기를 돋우며 기침과 천식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진해, 심신불안, 거담, 자양강장에도 효과적이라고 한다.
실험예 2 - 천연 물질의 추출
상기와 같이 수집한 민간 약제 중 물에 달여서 먹는 약제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술에 담가 먹는 약제는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을 이용하여 천연 물질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절초 10 g을 증류수 50ml에 넣어 밀봉하고, 100℃에서 2시간 달이고 압착하여 구절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부처손, 민들레, 벚나무 껍질, 어성초, 황경피, 및 고삼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을 진행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삼백초 추출물은 100%의 에틸 알코올 50ml에 삼백초 10g을 넣어 밀봉하고, 진탕기에서 25℃, 150rpm으로 일주일 간 진탕함으로써 수득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인동꽃, 및 할미꽃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벚나무 잎, 인동덩굴, 인동잎, 삿갓나물, 은행, 은행잎, 가막사리, 송진, 백급, 자작나무, 원추리 줄기, 맥문동 등은 증류수 50ml 및 에틸 알코올 50ml 각각에 대하여 10g씩 개별적으로 밀봉하였다. 이어서, 증류수와 혼합된 재료는 100℃에서 2시간 달이고 압착하였고, 에틸 알코올과 혼합된 재료는 진탕기에서 25℃, 150rpm 으로 일주일 간 진탕하였다.
실험예 3 - 항균 검정 시험
실험예 2에서 수득한 각각의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마산대학 임상병리과 미생물 실험실에 냉동 보관 중인 S. aureus를 비롯한 22개의 균에 대하여 Kirby-Bauer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세균 배양액을 뮐러-힌톤 한천 배지 위에 접종하고,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 당 각각의 추출물 100㎕를 분주한 후 건조하여 배지 위에 두었다. 각 페이퍼 디스크 주위로 생기는 억제환으로 항균력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균주명은 다음과 같았다.
a. Staphylococcus aureus (Gram positive cocci)
b. Shigella sonnei (Gram negative bacilli)
c. Staphylococcus xylosus (Gram positive cocci)
d. Klebsiella pneumonia (Gram negative bacilli)
e. Proteus vulgaris (Gram negative bacilli)
f. Morganella morganii (Gram negative bacilli)
g. Streptococcus agalactiae (Gram positive cocci)
h. Streptococcus pyogenes (Gram positive cocci)
i. Salmonella paratyphi B (Gram negative bacilli)
j.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 (Gram negative bacilli)
k. Alcaligenes xylosoxidans (Gram negative bacilli)
l. Enterobacter arengenes (Gram negative bacilli)
m. Enterobacter cloacae (Gram negative bacilli)
n. Pseudomonas aeruginosa (Gram negative bacilli)
o. Escherichia coli O 157 (Gram negative bacilli)
p. Escherichia coli (Gram negative bacilli)
q. Serratia marcescens (Gram negative bacilli)
r. Enterobacter faecalis (Gram positive cocci)
s.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Gram negative bacilli)
t. Bacillus cereus (Gram positive bacilli)
u. Corenebacterium spp . (Gram positive bacilli)
v. Bacillus licheniformis (Gram positive bacilli)
<표 1>
균주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구절초 + - - - - - - - - - - - - - - - - - - - - -
부처손 + - + - - - - - - - - - - - - - - - - - - -
삼백초 + - + - - - - - - - - - - - - - - - - - - -
민들레 + - + - - - - - - - - - - - - - - - - - - -
벚나무껍질 + - + - - - - - - - - - - - - - - - - - - -
벚나무잎 - - - - - - - - - - - - - - - - - - - - - -
인동덩굴 - - - - - - - - - - - - - - - - - - - - - -
인동꽃 + - + - - - - - - - - - - - - - - - - - - -
인동잎 - - + - - - - - - - - - - - - - - - - - - -
어성초 + - + - - - - - - - - - - - - - - - - - - -
삿갓나물 - - - - - - - - - - - - - - - - - - - - - -
은행 - - - - - - - - - - - - - - - - - - - - - -
은행잎 - - - - - - - - - - - - - - - - - - - - - -
가막사리 - - - - - - - - - - - - - - - - - - - - - -
할미꽃 + - - - - - - - - - - - - - - - - - - - - -
송진 - - + + - - - - - - - - - - - - - - - - - -
백급 - - - + - - - - - - - - - - - - - - - - - -
자작나무 - - - - - - - - - - - - - - - - - - - - - -
원추리줄기 - - + - - - - - - - - - - - - - - - - - - -
황경피 (껍질) + - + - - - - - - - - - - - - - - - - - - -
고삼 + - - - - - - - - - - - - - - - - - - - - -
맥문동 - - - - - - - - - - - - - - - - - - - - - -
표 1을 살펴보면, 각 천연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특히 S. aureus와 폐렴구균에 대하여 일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에서 +는 각 균주에 대하여 항균력을 보인 경우를 나타내고, -는 그렇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실험예 4 - 항균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3의 결과로부터, S. aureus에 대하여 항균력을 나타낸 구절초, 부처손, 삼백초, 민들레, 벚나무껍질, 인동꽃, 어성초, 할미꽃, 황경피, 및 고삼 추출물 25 내지 30ml을 각각에 대하여 500ml 비커에 넣고 마그네틱 핫 플레이트(magnetic hot plate)에서 마그네틱 바(magnetic bar)를 이용하여 약 20분 동안 혼합하였다. 증발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용매가 완전히 증발될 때까지 상기 추출물들의 혼합물을 건조하였다. 이어서, 농축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100% 에틸 알코올 20ml에 넣고 용출시켜 천연 농축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5 - 천연 농축 혼합물의 항균 검정 시험
상기 실험예 4에서 수득한 천연 농축 혼합물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3에서 실시한 Kirby-Bauer법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메티실린 내성 포도 상구균(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을 배양한 뮐러-힌톤 한천 배지 위에 각각 구절초, 부처손, 삼백초,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어성초, 할미꽃, 황경피, 및 고삼 추출물 100㎕를 단독으로 분주하여 건조시킨 페이퍼 디스크와, 상기 천연 농축 혼합물 100㎕를 분주하여 건조시킨 페이퍼 디스크를 두었다. 각 페이퍼 디스크 주위로 생기는 억제환을 토대로 항균력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4는 Kirby-Bauer법을 이용하여 구절초, 부처손, 인동꽃, 할미꽃, 및 천연 농축 혼합물의 MRSA에 대한 항균력 검정을 한 사진들이다.
<표 2>
천연 농축 혼합물 구절초 부처손 삼백초 민들레 벚나무껍질 인동꽃 어성초 할미꽃 황경피 고삼
항균력 ++ + + ± ± ± ± ± ± + ±
상기 표 2 및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천연 농축 혼합물의 억제환의 지름이 각각의 추출물의 억제환의 것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천연 농축 혼합물이 각각의 추출물보다 항균 능력이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천연 농축 혼합물의 항균력이 더욱 증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는 항균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며, '+'의 개수는 항균력의 정도를 나타낸다. 즉, '++'는 '+'의 경우보다 항균력이 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는 '+'의 경우보다 항균 력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MRSA는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포도 상구균 중의 하나에 해당하므로, MRSA에 대하여 천연 농축 혼합물이 각각의 추출물보다 양호한 항균력을 가진다는 것은 천연 농축 혼합물의 항균력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Kirby-Bauer법을 이용하여, 구절초, 부처손, 인동꽃, 할미꽃, 및 천연 농축 혼합물의 MRSA에 대한 항균력 검정을 한 사진들이다.

Claims (11)

  1.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으로부터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으로부터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은,
    상기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및 벚나무 껍질을 개별적으로 증류수와 혼합하여 추출하고,
    상기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을 개별적으로 유기 용매와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및 벚나무 껍질을 개별적으로 증류수와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은,
    상기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및 벚나무 껍질 각각과 상기 증류수를 1: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을 개별적으로 유기 용매와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은,
    상기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각각과 상기 유기 용매를 1: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틸 알코올인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 알코올은 100%인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한 후에,
    상기 혼합된 추출물을 농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추출물을 농축하는 것은,
    증발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된 추출물을 농축 건조하고,
    상기 농축 건조된 혼합 추출물을 유기 용매로 용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항 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틸 알코올인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상기 제1 항 내지 제9 항의 제조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항균 조성물.
  11. 구절초, 부처손, 어성초, 황경피, 고삼, 민들레, 벚나무 껍질, 인동꽃, 삼백초, 및 할미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080016783A 2008-02-25 2008-02-25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1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783A KR101013203B1 (ko) 2008-02-25 2008-02-25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783A KR101013203B1 (ko) 2008-02-25 2008-02-25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492A true KR20090091492A (ko) 2009-08-28
KR101013203B1 KR101013203B1 (ko) 2011-02-10

Family

ID=4120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783A KR101013203B1 (ko) 2008-02-25 2008-02-25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2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0913A (zh) * 2009-08-29 2011-03-30 夏焰明 中药空气消毒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190453A (zh) * 2013-03-16 2013-07-10 胡吉安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的空气过滤材料
KR20180023747A (ko) * 2016-08-26 2018-03-07 (주) 바이오에스텍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KR101877409B1 (ko) * 2016-09-01 2018-07-11 양미란 천연 약용식물 에센셜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용 항진균, 살균 및 탈취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94312A (zh) * 2020-12-29 2021-04-23 湖北格林森绿色环保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抗病毒无机装饰板材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898A (ko)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 코팅제가 처리된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0293B1 (ko) * 2020-12-10 2021-08-19 주식회사 프린테크엘피엠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을 갖는 멜라민 시트,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791B1 (ko) * 2000-08-14 2004-02-11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0913A (zh) * 2009-08-29 2011-03-30 夏焰明 中药空气消毒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190453A (zh) * 2013-03-16 2013-07-10 胡吉安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的空气过滤材料
KR20180023747A (ko) * 2016-08-26 2018-03-07 (주) 바이오에스텍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KR101877409B1 (ko) * 2016-09-01 2018-07-11 양미란 천연 약용식물 에센셜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용 항진균, 살균 및 탈취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94312A (zh) * 2020-12-29 2021-04-23 湖北格林森绿色环保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抗病毒无机装饰板材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203B1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203B1 (ko)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6359B1 (ko) 숨쉬는 산야초 효소의 제조방법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WO2015062392A1 (zh) 富硒小麦全芽苗饮品及其制备方法
KR102155710B1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KR20180137174A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1941753B1 (ko) 기능성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1535896B1 (ko) 비파 차 음료 제조방법
KR20050117974A (ko) 참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24033A (ko) 건강보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37387B1 (ko) 2차 발효 홍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Abbas et al. Herbal significance of horse mint (Mentha longifolia) a review
Bastola et al. Opuntia dillenii (Ker Gawl.) Haw
KR101884627B1 (ko) 천연식물 에센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6364B1 (ko) 항산화 효과가 있는 짚신나물 사탕 제조 방법
KR102474892B1 (ko) 남성 생식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13142343A (zh) 一种桂花白茶饮品
Nduche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four Nigerian medicinal plants
CN112998103A (zh) 一种金银花海棠茶的制备方法
KR101530007B1 (ko) 기능성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79289A (ko)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07549455A (zh) 一种抗病牛饲料
KR102239141B1 (ko) 기능성 도라지 정과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