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125A -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기 공급류 조절 장치 및 공기 공급류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기 공급류 조절 장치 및 공기 공급류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125A
KR20090091125A KR1020097009571A KR20097009571A KR20090091125A KR 20090091125 A KR20090091125 A KR 20090091125A KR 1020097009571 A KR1020097009571 A KR 1020097009571A KR 20097009571 A KR20097009571 A KR 20097009571A KR 20090091125 A KR20090091125 A KR 2009009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air flow
air
duct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베르트 슈트루엔시에
Original Assignee
클링겐부르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링겐부르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링겐부르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9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08Rotary wheel comprising a by-pass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6Rotary wheel combined with another type of cooling principle, e.g. compression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에나멜 공정 라인 건조실의 공기 공급류 조절 장치(1)는, 신선한 공기류 또는 공급 공기류가 건조실(2)로 들어갈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신선한 공기 덕트(8) 및 이 신선한 공기 덕트에 연결된 공급 공기 덕트(10)와; 배출 공기류를 건조실(2)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과시키거나 유출 공기 덕트 밖으로 주변 환경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배출 공기 덕트(13) 및 이 배출 공기 덕트에 연결된 유출 공기 덕트(14)와; 유출 공기 덕트(14)와 공급 공기 덕트(10)에 배치되며 공급 공기류를 유출 공기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수분 함량까지 제습 및 가열하는 흡수 또는 흡착 장치(4)와; 유출 공기 덕트(14)에 있는 흡수 또는 흡착 장치(4)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공기 공급 덕트(10)에 있는 흡수 또는 흡착 장치(4)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수 또는 흡착 장치(4)에서 제습 및 가열된 공급 공기류를 건조실(2)로부터 나오는 유출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열 회수 장치(6)와; 상기 열 회수 장치(6) 하류측의 공기 공급 덕트(10)에 배치되며, 상기 열 회수 장치(6)에서 미리 냉각된 공급 공기류 건조실(2)로 들어갈 때 그 공급 공기류를 필요한 온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는 후냉각기(7)와; 열 회수 장치(6) 하류측과 흡수 또는 흡착 장치(4) 상류측의 유출 공기 덕트(14)에 배치되고, 유출 공기류를 흡수 또는 흡착 장치(4)의 재생(regeneration)에 적합한 온도까지 가열시킬 수 있는 후가열기(5)를 구비한다. 조절 장치(1)의 작동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순환 공기 덕트(11)가 제1 분기점(12)에서 건조실(2)로부터 나오는 배출 공기 덕트(13)로부터 분기되게 하는 것과; 상기 순환 공기 덕트를 통해서 건조실(2)로부터 나오는 배출 공기류의 일부분이 제2 분기점(9)에서의 신선한 공기류와 순환 공기류로서 합류될 수 있게 하고 이어서 공기 공급 덕트(10)를 통하여 건조실 안에 공급 공기류로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것과; 예비 냉각기(3)가 제2 분기점(9) 상류측에 신선한 공기 덕트(8)에 배치되게 하고, 이 예비 냉각기에 의해 신선한 공기류가 냉각되고 제습되게 하는 것을 제안한다.
Figure P1020097009571
조절 장치, 건조실, 배출 공기 덕트, 공급 공기 덕트

Description

에나멜 공정 라인의 건조실의 공기 공급류 조절 장치 및 공기 공급류 조절 방법{CONDITIONING APPARATUS FOR THE AIR SUPPLY STREAM OF A DRYING CHAMBER OF AN ENAMELING LINE AND METHOD FOR CONDITIONING THE AIR SUPPLY STREAM}
본 발명은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는, 외부 공기류와 공급 공기류를 건조실로 들어갈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외부 공기 덕트 및 이 외부 공기 덕트에 연결된 공급 공기 덕트와; 배출 공기류를 건조실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과시키며 유출 공기류를 주변 환경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배출 공기 덕트 및 이 배출 공기 덕트에 연결된 유출 공기 덕트와; 한편으로는 유출 공기 덕트에 배치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급 공기 덕트에 배치되며, 공급 공기류를 유출 공기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수분 함량까지 제습 및 가열하는 흡수 및 흡착 장치와; 한편으로는 유출 공기 덕트에 있는 흡수 및 흡착 장치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기 공급 덕트에 있는 흡수 및 흡착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수 및 흡착 장치에서 제습 및 가열된 공급 공기류를 건조실로부터 나오는 유출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열 회수 장치와; 상기 열 회수 장치 하류측의 공기 공급 덕트에 배치되며, 상기 열 회수 장치에서 미리 냉각된 공급 공기류가 건조실로 들어갈 때 그 공급 공기류를 필요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후냉각기(aftercooler)와; 열 회수 장치 하류측 과 흡수 및 흡착 장치 상류측의 유출 공기 덕트에 배치되고, 유출 공기류를 흡수 및 흡착 장치의 재생(regeneration)에 적합한 온도까지 가열시키는 후가열기(afterheater)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이에 상응하는 것으로서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한데, 이 방법에서는, 외부 공기 또는 공급 공기류가 건조실로 도입되고, 배출 공기류 또는 유출 공기류가 건조실로부터 주변 환경으로 배출되고, 공급 공기류가 흡수 및 흡착 장치에서 유출 공기류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수분 함량까지 제습되고 가열되며, 흡수 및 흡착 장치에서 제습되고 가열된 공급 공기류가 열 회수 장치에서 건조실로부터 나오는 유출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되고, 열 회수 장치에서 냉각된 공급 공기류가 건조실로 들어갈 때 필요한 온도까지 후냉각기에서 냉각되고, 유출 공기류가 열 회수 장치와 흡수 및 흡착 장치 사이의 후가열기에서 흡수 및 흡착 장치의 재생에 적합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출발해서, 일반적인 종류의 조절 장치 및 일반적인 종류의 조절 방법을 향상시키되 조절 장치의 작동 또는 조절 방법의 수행이 종래 기술에 비해 상당히 감소한 에너지를 사용하고도 행할 수 있도록 한 방식으로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조절 장치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달성된다. 즉, 제1 분기점에서, 건조실로부터 나오는 배출 공기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순환 공기 덕트를 통해서, 건조실로부터 나오는 배출 공기류의 일부분이 제2 분기점에서의 외부 공기류와 순환 공기류로서 합류될 수 있게 되고 이어서 공기 공급 덕트를 통하여 건조실 안에 공급 공기류로서 도입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점과, 예비 냉각기가 제2 분기점 상류측의 외부 공기 덕트에 배치되고 이 예비 냉각기에 의해 외부 공기류가 냉각되고 제습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일반적인 유형의 앞에서 언급한 방법과 관련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달성된다. 즉, 순환 공기류가 건조실로부터 나오는 배출 공기류로부터 분기되고, 이어서 외부 공기류와 합류하여 공급 공기류를 형성하고, 흡수 및 흡착 장치와 열 회수 장치와 후냉각기를 통과하여 건조실로 도입된다고 하는 점과, 외부 공기류가 순환 공기류와 합쳐지기 전에 예비 냉각기에서 미리 냉각된다고 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외부 공기류는 예비 냉각기에 의해 조절되는데, 그 외부 공기류가 배출 공기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순환 공기류와 함께, 외부 공기류 및 순환 공기류로 구성된 공급 공기류가 다음의 흡수 및 흡착 장치에서 소망하는 수분 함량까지 제습되게 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조절된다. 흡수 및 흡착 장치의 재생은 열 회수 장치 및 후가열기에 의한 유출 공기류의 예열에 이어서 배출 공기류로부터 분기되는 유출 공기류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방법에 있어서, 공급 공기류의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흡수 및 흡착 장치를 재생시키기 위해 유사-조절 배출 공기가 사용된다. 흡수 및 흡착 장치에서 발생하는 건조 공정 중 가열된 공급 공기류는 건조실로부터 나가는 가열되지 않은 유출 공기류의 냉각 잠열에 의해 열 회수 장치 내에서 예비 냉각된다. 이러한 예비 냉각 공정 후에, 공급 공기류는 후냉각기에서 건조실로 들어갈 때에 요구되거나 소망되는 온도까지 냉각된다.
본 발명의 흡수 및 흡착 장치의 재생뿐만 아니라 냉각에 있어서는 이러한 유형의 종래의 장치 및 방법에 비해 상당히 감소한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외부 공기류의 형태로 조절 장치 안으로 들어가는 공급 공기류 부분에 대해서만 완벽한 조절이 필요하다. 순환 공기류에 대해서는 부분적인 조절만이 필요하다. 게다가, 건조 공정용 건조실에서 필요한 공기의 교환은 공정 공학적 관점에서 필요한 정도까지로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공기 덕트에 마련한 예비 냉각기 및/또는 공급 공기 덕트에 마련한 후냉각기는 냉각/가열 네트워크 중의 유출 공기 덕트에 배치되는 후가열기에 연결된다.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유출 공기류가 예비 냉각기 및/또는 후냉각기에서 생성된 폐열에 의하여 흡수 및 흡착 장치 상류측의 흡수 및 흡착 장치의 재생에 적합한 온도까지 가열되고, 그 결과, 요구되는 재생 에너지의 추가적인 저감이 달성된다. 흡수 및 흡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수착(sorption) 로터 또는 휠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수착 로터 또는 휠의 한 구역은 유출 공기 덕트에 할당시키고 수착 로터 또는 휠의 다른 구역은 공급 공기 덕트에 할당시킨다.
열 회수 장치의 출력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의 작동 중이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방법이 실행되는 중에 조절될 수 있는 한은, 냉각 중에 생성된 폐열을 만족스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가 유출 공기 덕트에 통합되는데, 상기 열 교환기에 의하면 조절 장치에서의 냉각 중에 생성된 폐열이 조절 장치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의 상응한 개선점은, 생성된 폐열이 상기 열 교환기에 의해 유출 공기류에 전달되어서 제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열 회수 장치의 출력 조절 이외에도, 열을 조절 장치로부터 배출시키는 것도 추가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비 냉각기 및/또는 후냉각기가 직접 열 교환기(direct heat exchanger)로서 구성된다. 후가열기는, 요구 프로파일에 응하여서, 두 단계(stage)로 구성 될 수 있는데, 여기서 후가열기나 혹은 제1 단계 및/또는 제2 단계의 후가열기가 응축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비 냉각기, 후냉각기 및 후가열기를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외부 냉각제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게 되는데, 냉각 공정에서 방출된 공정 열은 동시에 건조 공정에 병합될 수 있다.
공급 공기류가, 약 25 내지 37%, 바람직하게는 약 31%의 순환 공기와 약 63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약 69%의 외부 공기로 구성될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생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순환 공기 덕트에 제어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 밸브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실현되는 동안에 순환 공기류의 체적 유량이 제어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순환 공기류와 외부 공기류 간의 비율 조정이 방법에서의 변수들 또는 요구 프로파일의 변화에 의존하여 외견상 무한하게(quasi-infinitely) 가변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조절 장치 또는 그에 대응하여 구성된 방법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비해 40%에 달하는 에너지 절약이 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장 설비의 건조실용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1)의 일 실시예가 도시하지 않은 도장 설비의 건조실(2)의 공급 공기류의 조절에 사용되는데, 상기 공급 공기류가 건조실(2)로 들어갈 때에 그 공급 공기가 건조실(2)에서 발생하는 건조 공정에 적합한 요건에 부합되고 특히 수분 함량 및 온도와 관련한 요건에 부합되도록 하게 해서 사용된다. 도면에 도시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는, 건조실(2)로 들어갈 때의 공급 공기의 공칭 수분 함량은 1.3g/kg이고, 공칭 온도는 30℃이다. 공급 공기류의 체적은 43,000㎥/h이다.
조절 장치(1)는 공급 공기류를 소망하는 방식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예비 냉각기(3)와, 흡수 및 흡착 장치(4)와, 후가열기(5)와, 열 회수 장치(6)와, 후냉각기(7)를 구비한다.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예비 냉각기(3)가 직접 열 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외부 공기 덕트(8)에 배치되는데, 외부 공기류가 상기 외부 공기 덕트를 통과하여 조절 장치(1) 안으로 들어간다.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공기류는 체적이 29,500㎥/h, 온도가 35℃, 수분 함량이 22g/kg이다. 후냉각기(7)의 하류측에서는 외부 공기 덕트(8)가 분기점(9)에서 공급 공기 덕트(10)로 변경된다. 분기점(9)에서, 외부 공기 덕트(8)와 순환 공기 덕트(11)가 합쳐져서 공급 공기 덕트(10)를 형성한다. 따라서, 외부 공기류는 분기점(9)에서 순환 공기류와 합해져서 공급 공기류를 형성한다. 순환 공기류는 그 부피가 13,500㎥/h, 수분 함량이 3.5g/kg, 온도가 25℃이다. 외부 공기류를 포함하는 공급 공기류는 예비 냉각기(3)에서 예비 냉각되고 제습되며, 순환 공기류는 분기점(9)의 하류측에서 약 17 내지 18℃ 온도와 약 8g/kg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순환 공기 덕트(11)는 다른 분기점(12)에 있는 분기점(9)의 반대측 단부에서 끝나고, 상기 분기점(12)에는 그 유입측에 배출 공기 덕트(13)가 개방되고, 상기 배출 공기 덕트는 상기 분기점(12)에서 순환 공기 덕트(11)와 유출 공기 덕트(14)로 분기된다. 배출 공기류는 건조실 밖으로 이송되어 배출 공기 채널(13)을 통하여 분기점(12)으로 이송된다. 분기점(12)에서, 배출 공기류가 유출 공기류와 순환 공기류로 나누어진다.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배출 공기류는 수분 함량이 3.5g/kg, 온도가 25℃, 부피가 35,000㎥/h이다. 공급 공기류와 배출 공기류 사이의 체적 차이는 건조실(2)에서의 건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손실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분기점(12)의 하류측에서, 유출 공기류는 약 21,500㎥/h의 체적으로 유출 공 기 덕트(14)를 통하여 유동한다.
흡수 및 흡착 장치(4)가 공급 공기 덕트(10)의 분기점(9)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흡수 및 흡착 장치(4)는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수착 로터 또는 휠로서 구성되는데, 공급 공기 채널(10)에도 설치되고 있는 상기 흡수 및 흡착 장치(4)는 유출 공기 덕트(14)에서는 후가열기(5)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흡수 및 흡착 장치(4) 중에서 공급 공기 덕트(10)에 할당된 구역에서, 공급 공기류는 약 50℃ 온도까지 가열되고 약 1.3g/kg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제습된다.
열 회수 장치(6)는 공급 공기 덕트(10)에서 흡수 및 흡착 장치(4)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열 회수 장치의 다른 구역은 유출 공기 덕트(14)의 후가열기(5)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열 회수 장치(6)에서, 공급 공기류는 그 수분 함량을 최대로 가능한 범위까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50℃에서부터 약 38 내지 40℃까지 냉각된다. 이를 위해, 열 회수 장치로 들어가기 전에 온도가 25℃인 유출 공기류를 열 회수 장치(6)에서 가열시킨다.
후냉각기(7)는 공급 공기 덕트(10)에서 열 회수 장치(6)의 하류측에 배치되는데, 상기 후냉각기에 의해서는 공급 공기류가 38 내지 40℃로부터 건조실(2)로 들어갈 때의 소망 온도인 약 30℃까지 냉각되고 그 동안에 수분 함량은 1.3g/kg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후냉각기(7)는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는 예비 냉각기(3)와 마찬가지로 직접 열 교환기로서 구성된다.
열 회수 장치(6)는, 냉각에 있어서 만족스런 열 제거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는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열 회수 장치(6)의 하류측과 흡수 및 흡착 장치(4)의 상류측에서 유출 공기 덕트에 배치된 후가열기는, 요구 프로파일에 대응하여서, 두 단계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후가열기(5)나, 혹은 그 두 단계의 후가열기를 응축기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후가열기(5)에서, 유출 공기류의 온도는 흡수 및 흡착 장치(4)의 재생에 충분하되 그 공급 공기류에 의해서 50℃까지 가열되도록 설정되며, 목표 수분 함량은 1.3g/kg이 되도록 설정된다.
흡수 및 흡착 장치(4)가 존재하는 경우에, 유출 공기류는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는 수분 함량이 17g/kg, 온도가 51℃이고, 부피가 이전처럼 21,500㎥/h이다.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는, 제어 밸브(15)가 순환 공기 덕트(11)에 제공되는데, 상기 제어 밸브에 의하면 순환 공기류의 부피가 설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출 공기류에서의 순환 공기류와 유출 공기류의 비율이 간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공기 덕트(8)에 마련된 예비 냉각기(3)와 공급 공기 덕트(10)에 마련된 후냉각기(7)가 냉각/가열 네트워크에서 유출 공기 덕트(14)에 배치된 후가열기(5)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흡수 및 흡착 장치의 상류측에서 유출 공기류를 가열하는 데에 냉각 중에 생성된 폐열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외부 공기류와 공급 공기류를 건조실(2)로 들어갈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외부 공기 덕트(8) 및 이 외부 공기 덕트에 연결된 공급 공기 덕트(10)와; 배출 공기류를 건조실(2)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과시키며 유출 공기류를 주변 환경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배출 공기 덕트(13) 및 이 배출 공기 덕트에 연결된 유출 공기 덕트(14)와; 한편으로는 유출 공기 덕트(14)에 배치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급 공기 덕트(10)에 배치되며 공급 공기류를 유출 공기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수분 함량까지 제습 및 가열하는 흡수 및 흡착 장치(4)와; 한편으로는 유출 공기 덕트(14) 에 있는 흡수 및 흡착 장치(4)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기 공급 덕트(10) 에 있는 흡수 및 흡착 장치(4)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수 및 흡착 장치에서 제습 및 가열된 공급 공기류를 건조실로부터 나오는 유출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열 회수 장치(6)와; 상기 열 회수 장치(6) 하류측의 공기 공급 덕트(10)에 배치되며, 상기 열 회수 장치(6)에서 미리 냉각된 공급 공기류 건조실(2)로 들어갈 때 그 공급 공기류를 필요한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후냉각기(7)와; 열 회수 장치(6) 하류측과 흡수 및 흡착 장치(4) 상류측의 유출 공기 덕트에 배치되고, 유출 공기류를 흡수 및 흡착 장치(4)의 재생(regeneration)에 적합한 온도까지 가열시키는 후가열기(5)를 구비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2)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에 있어서,
    제1 분기점(12)에서, 건조실(2)로부터 나오는 배출 공기 덕트(13)로부터 분 기되는 순환 공기 덕트(11)를 통해서, 건조실(2)로부터 나오는 배출 공기류의 일부분이 제2 분기점(9)에서의 외부 공기류와 순환 공기류로서 합류될 수 있게 되고 이어서 공기 공급 덕트(10)를 통하여 건조실(2) 안에 공급 공기류로서 도입될 수 있게 되고;
    예비 냉각기(3)가 제2 분기점(9) 상류측의 외부 공기 덕트(8)에 배치되고, 이 예비 냉각기에 의해 외부 공기류가 냉각되고 제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 덕트(8)에 마련한 예비 냉각기(3) 및/또는 공급 공기 덕트(10)에 마련한 후냉각기(7)는 냉각/가열 네트워크 중의 유출 공기 덕트(14)에 배치되는 후가열기(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및 흡착 장치(4)가 수착 로터 또는 휠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회수 장치(6)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 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가 유출 공기 덕트(14)에 통합되고, 조절 장치(1)의 냉각 중에 생성된 폐열이 상기 열 교환기에 의하여 조절 장치(1)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비 냉각기(3) 및/또는 후냉각기(7)가 직접 열 교환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가열기(5)가 두 개의 단계(stag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가열기(5)나, 혹은 제1 단계(stage) 및/또는 제2 단계(stage)의 후가열기(5)가 응축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공기 덕트(10)에 제어 밸브(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 조절 장치.
  10. 외부 공기 또는 공급 공기류가 건조실(2)로 도입되고, 배출 공기류 또는 유출 공기류가 건조실(2)로부터 주변 환경으로 배출되고, 공급 공기류가 흡수 및 흡착 장치(4)에서 유출 공기류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수분 함량까지 제습되고 가열되며, 흡수 및 흡착 장치(4)에서 제습되고 가열된 공급 공기류가 열 회수 장치(6)에서 건조실(2)로부터 나오는 유출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되고, 열 회수 장치(6)에서 냉각된 공급 공기류가 건조실(2)로 들어갈 때 필요한 온도까지 후냉각기(7)에서 냉각되고, 유출 공기류가 열 회수 장치(6)와 흡수 및 흡착 장치(4) 사이의 후가열기(5)에서 흡수 및 흡착 장치(4)의 재생에 적합한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2)의 공급 공기류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순환 공기류가 건조실(2)로부터 나오는 배출 공기류로부터 분기되고, 이어서 외부 공기류와 합류하여 공급 공기류를 형성하고, 흡수 및 흡착 장치(4)와 열 회수 장치(6)와 후냉각기(7)를 통과하여 건조실(2)로 도입되고;
    외부 공기류가 순환 공기류와 합쳐지기 전에 예비 냉각기(3)에서 미리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를 조절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유출 공기류가 예비 냉각기(3) 및/또는 후냉각기(7)에서 생성된 폐열에 의하여 흡수 및 흡착 장치(4) 상류측의 흡수 및 흡착 장치(4)의 재생에 적합한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를 조절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열 회수 장치(6)의 출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를 조절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성된 폐열이 상기 열 교환기에 의해 유출 공기류에 전달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를 조절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 공기류가, 약 25 내지 37%, 바람직하게는 약 31%의 순환 공기와 약 63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약 69%의 외부 공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를 조절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공기류의 체적 유량이 제어되거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급 공기류를 조절하는 방법.
KR1020097009571A 2006-11-20 2007-10-19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기 공급류 조절 장치 및 공기 공급류 조절 방법 KR200900911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4875A DE102006054875A1 (de) 2006-11-20 2006-11-20 Konditioniervorrichtung für den Zuluftstrom einer Trocknungskabine einer Lackieranlage und Verfahren zur Konditionierung des Zuluftstroms
DE102006054875.2 2006-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125A true KR20090091125A (ko) 2009-08-26

Family

ID=3896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571A KR20090091125A (ko) 2006-11-20 2007-10-19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기 공급류 조절 장치 및 공기 공급류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00146810A1 (ko)
EP (1) EP2092247A1 (ko)
JP (1) JP2010510472A (ko)
KR (1) KR20090091125A (ko)
CN (1) CN101535726A (ko)
BR (1) BRPI0719046A2 (ko)
CA (1) CA2669257A1 (ko)
DE (1) DE102006054875A1 (ko)
MA (1) MA30802B1 (ko)
MX (1) MX2009005198A (ko)
RU (1) RU2009123437A (ko)
WO (1) WO2008061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2300B1 (fr) * 2009-02-16 2012-01-06 Muller & Cie Soc Module de genie climatique
JP5679264B2 (ja) * 2010-06-07 2015-03-04 株式会社大気社 熱回収式の低湿空気供給システム
GB2499938B (en) 2010-12-22 2015-07-22 Ibm Solid sorption refrigeration
RU2615685C1 (ru) * 2015-12-14 2017-04-06 Владимир Евгеньевич Воскресенский Кондиционер с самонастраивающейся системой осушительного и испари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CN105546668B (zh) * 2016-01-22 2021-08-17 张家港市天源制漆涂装有限公司 喷漆房专用空气除湿机
RU2656671C1 (ru) * 2017-03-21 2018-06-06 Владимир Евгеньевич Воскресенский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приточного воздуха с линией отходящих газов и каскадной рекуперацией теплоты
CN106801969B (zh) * 2017-03-23 2022-12-27 福州鹏飞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节能新风系统
RU2656589C1 (ru) * 2017-05-03 2018-06-05 Владимир Евгеньевич Воскресенский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приточного воздуха с линией горячего воздуха и каскадной рекуперацией теплоты
RU2716552C1 (ru) * 2019-07-22 2020-03-12 Владимир Евгеньевич Воскресенский Кондиционер приточного воздуха с безжидкостным роторным нагреванием и охлаждением
CN112460970A (zh) * 2020-11-20 2021-03-09 万兹莱压缩机械(上海)有限公司 一种微热再生吸附式节能环保干燥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065A (en) * 1996-01-12 1998-10-06 Ebara Corporation Desiccant assisted air conditioning system
MY117922A (en) * 1996-12-27 2004-08-30 Ebara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US5839288A (en) * 1997-06-18 1998-11-24 Munters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nd dehumidifying system
US6557365B2 (en) * 2001-02-28 2003-05-06 Munters Corporation Desiccant refrigerant dehumidifier
ES2230422T3 (es) * 2001-06-29 2005-05-01 Paul Wurth S.A.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el tratamiento de aire interior.
JP2003139350A (ja) * 2001-10-31 2003-05-14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KR100504503B1 (ko) * 2003-01-14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5726A (zh) 2009-09-16
JP2010510472A (ja) 2010-04-02
CA2669257A1 (en) 2008-05-29
MA30802B1 (fr) 2009-10-01
DE102006054875A1 (de) 2008-05-21
WO2008061598A1 (de) 2008-05-29
BRPI0719046A2 (pt) 2013-11-05
US20100146810A1 (en) 2010-06-17
MX2009005198A (es) 2009-07-22
RU2009123437A (ru) 2010-12-27
EP2092247A1 (de)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1125A (ko) 도장 설비의 건조실의 공기 공급류 조절 장치 및 공기 공급류 조절 방법
CN106091175B (zh) 低露点干燥室用低温再生干燥除湿系统
KR101957260B1 (ko)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CN101311654A (zh) 一种用于粒状材料的变流速除湿设备和工艺
JP5268401B2 (ja) ヒートポンプ式乾燥装置
KR101805252B1 (ko)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퍼지 및 논퍼지 겸용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JP2021504665A (ja) 湿度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5059692A (ja) 空調システム
CN108592615B (zh) 一种空气源热泵除湿机及具有其的除湿系统和除湿方法
JP2011125826A (ja) 除湿装置
CN205547204U (zh) 一种用于茶叶萎凋的调温排湿系统
JP6971126B2 (ja) 外気処理装置
JP4168427B2 (ja) 圧縮空気の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KR102316774B1 (ko) 데시칸트 제습 시스템
JP6793430B2 (ja) 除湿装置
JP3500586B2 (ja) 空調機の運転方法
US11181294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3237792U (ja) 圧縮ガスを乾燥させるための乾燥装置
CN108139155A (zh) 用于控制物体温度的设备以及用于对控制物体温度的设备进行控制的方法
KR102625206B1 (ko) 외기조화기 및 이의 순수 공급량 제어방법
US20200400322A1 (en) Humidity control unit and method
JPS5930234Y2 (ja) 圧縮空気除湿装置
KR200188080Y1 (ko) 농산물 건조용 제습 열풍 공급장치
CN115779621A (zh) 工艺气体处理设备及工艺气体处理方法
JPH1024211A (ja) 乾燥空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