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444A - 손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손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444A
KR20090088444A KR1020097014316A KR20097014316A KR20090088444A KR 20090088444 A KR20090088444 A KR 20090088444A KR 1020097014316 A KR1020097014316 A KR 1020097014316A KR 20097014316 A KR20097014316 A KR 20097014316A KR 20090088444 A KR20090088444 A KR 20090088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ozzle
drip tray
wat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031B1 (ko
Inventor
켄지 사와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Abstract

세면 볼에 물 등이 고여있는 상태에서, 세면대 위에 부착된 손 건조 장치를 사용한 경우라도, 물 등이 주위로 비산하는 일이 없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는 손 건조 장치를 얻는 것. 상자체(2)와, 상자체(2)의 내부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고압 공기류 발생기와, 고압 공기류 발생기로부터의 공기를 고속 공기로서 취출하는, 상자체(2)의 상부에 마련되는 노즐(7)을 구비하고, 세면대(13)의 세면 볼(12)의 측방에 설치되는 손 건조 장치로서, 노즐(7)이 마련되는 측의 상자체(2)의 측면으로부터 세면 볼(12)에 걸쳐서 경사부를 갖는 물받이부(11)를 구비하고, 물받이부(11)는, 물받이부(11)에 부착한 물방울을 세면 볼(12)로 유도함과 함께, 노즐(7)로부터의 고속 공기가 물받이부(11)를 통하여 세면 볼(12) 내의 물을 비산시키지 않는 수분 비산 방지/수절 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손 건조 장치{HAND DRYER}
본 발명은, 세정 후의 젖은 손을 바람에 의해 건조시키는 손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세면대에 손을 씻은 후에 손 건조 장치의 설치 장소까지 이동하여, 손의 건조를 하여야 하는 번거롭고, 또한 손이 젖은 상태로 세면대에서 떨어진 손 건조 장치까지 이동할 때에, 손에 묻어 있는 물이 흘러 떨어져서 바닥을 적신다는 문제 때문에, 종래로부터, 손 건조 장치를 세면대의 위, 또는 세면대의 측면에 부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 특개평6-31965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손 건조 장치를 세면대의 측부 상방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세면 볼 내에 물 등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손 건조 장치의 사용에 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노즐로부터 취출(吹出)되는 고속 공기가, 손 건조 장치의 하방 위치에 마련된 물받이부를 통하여, 또는 직접 세면 볼에 충돌한다. 그 결과, 세면 볼에 물 등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 또는 세면 볼이 물 등으로 적셔져 있는 상태에서 손 건조 장치를 사용하면, 노즐로부터 취출된 고속 공기에 의해, 세면 볼 내의 물 등이 주위로 비산하고, 세면대나 세면대 전방의 세면경 등을 더럽히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물받이부는 평평한 형상이고, 손으로부터 불어 날린 물방울이 고속 공기류에 의해, 측면이나 배면측으로 비산하고, 세면대를 더럽혀 버린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것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세면 볼에 물 등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세면대 위에 부착된 손 건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물 등이 주위로 비산하는 일이 없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는 손 건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손 건조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고압 공기류 발생부와, 상기 고압 공기류 발생부로부터의 공기를 고속 공기로서 취출하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노즐을 구비하여, 세면대의 세면 볼의 측방에 설치되는 손 건조 장치로서, 상기 노즐이 마련되는 측의 상기 본체 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면 볼에 걸쳐서 경사부를 갖는 물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물받이부에 부착한 물방울을 상기 세면 볼로 유도함과 함께, 상기 노즐로부터의 고속 공기가 상기 물받이부를 통하여 상기 세면 볼 내의 물을 비산시키지 않는 수분 비산 방지/수절(水切)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손 건조 장치를 세면대의 측부 상방 위치에 설치하고, 세면 볼 내에 물 등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 건조 장치를 사용한 경우라도, 물 등이 주위로 비산하는 것을 막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손으로부터 불어 날린 물방울이 세면대나 바닥 등에 적하(滴下)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물받이부의 배수 처리를 할 필요성을 배제하고,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 건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내부 단면도.
도 2는 손 건조 장치를 세면대에 설치한 경우의 개략도.
도 3은 물받이부의 실시의 형태 1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물받이부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물받이부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물받이부의 실시의 형태 2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단면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손 건조 장치를 세면대에 설치한 경우의 실시의 형태 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 삽입 공간 2 : 상자체(본체)
3 : 고압 공기류 발생기 3a : 모터
3b : 터보 팬 4 : 히터
5 : 배기 덕트 6 : 흡기 덕트
7 : 노즐 7a : 분출구
8 : 에어 필터 9 : 흡기구
11 : 물받이부 11a : 상자체 부착부
11b : 경사부 11c : 수평 하단부
11d : 측벽부 11e : 바람받이벽
11f : 바람받이벽 개구부 11g : 굴곡부
12 : 세면 볼 13 : 세면대
14 : 배수구 15 : 단차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손 건조 장치의 알맞은 실시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실시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손 건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내부 단면도이고, 도 2는 손 건조 장치를 세면대에 설치한 경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물받이부의 실 시의 형태 1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에서, 세면대와 세면 볼은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해 종단면도로 하고 있다.
손 건조 장치는, 상자체(2)중에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고압 공기류 발생기(3)를 구비한다. 고압 공기류 발생기(3)는, 모터(3a)와, 모터(3a)에 의해 회전하는 터보 팬(3b)으로 이루어진다. 이 도 1의 예에서는, 터보 팬(3b)의 회전축이 수평선과 평행이 되도록 고압 공기류 발생기(3)가 배치되어 있다. 터보 팬(3b)측이 공기 흡입측이 되고, 터보 팬(3b)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모터(3a)측으로 보내진다.
이 고압 공기류 발생기(3)의 터보 팬(3b)측의 상자체(2)의 일부에는, 상자체(2) 밖으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흡기구(9)가 마련되고, 이 흡기구(9)에는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 필터(8)가 장착되어 있다. 에어 필터(8)로서,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나 살균 필터를 이용하여도 좋고, 에어 필터(8)의 하류측에, HEPA 필터나 살균 필터가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흡기구(9)로부터 고압 공기류 발생기(3)의 공기 흡입측까지는, 흡기구(9)로부터 흡기한 공기를 고압 공기류 발생기(3)까지 보내기 위한 흡기 덕트(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자체(2)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본체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상자체(2)의 고압 공기류 발생기(3)의 상자체(2)의 상부에는, 고압 공기류를 상자체(2) 외에 취출하기 위한 노즐(7)이, 그 분출구(7a)를 아래를 향하게 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압 공기류 발생기(3)의 모터(3a)측으로부터 송기(送氣)되는 고압 공기류를 노즐(7)까지 유도하기 위한 배기 덕트(5)가, 상자체(2) 상 부에 마련되어 있다. 배기 덕트(5) 내에는, 고압 공기류 발생기(3)에서 발생된 고압 공기류를 가열하는 히터(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노즐(7)의 속에는, 손을 씻은 사용자가 손을 손 건조 장치에 접근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로, 사용자의 손이 손 건조 장치의 노즐(7)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검지되면, 고압 공기류 발생기(3)가 구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손 건조 장치는, 세면대(13)의 세면 볼(12)의 측방에 설치된다. 이 도 2의 예에서는, 세면 볼(12)의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자체(2)의 세면 볼(12)측(노즐(7)이 설치되는측) 측면으로부터, 그 하부가 세면 볼(12)의 윗면 이하에 위치하도록 가공된 물받이부(11)가 상자체(2)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 물받이부(11)는, 상자체(2)에 고정되는 상자체 부착부(11a)와, 상자체 부착부(11a)로부터 세면 볼(12)을 향하여 각도를 갖고서 형성되는 경사부(11b)와, 경사부(11b)의 하단부터 개략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수평 하단부(11c)와, 상자체 부착부(11a)와 경사부(11b)와 수평 하단부(11c)의 세면대(13)의 속측에 마련되는 측벽부(11d)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평 하단부(11c)(또는 수평 하단부(11c)의 세면대(13) 앞쪽측의 단부(端部))는, 물받이부(11)중에서 가장 하위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노즐(7)의 고속 공기 분출축(噴出軸)은 세면 볼(12)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물받이부(11)는, 노즐(7)의 고속 공기 분출축선에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수평 하단부(11c)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수분 비산 방지/수절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받이부(11)를, 세면 볼(12)의 측면에 설치된 손 건조 장치에 부착함에 의해, 손에서 불어 날린 물방울이 세면대(13)나, 세면대(13)의 정면측에 마련되는 세면경 등으로 비산하는 것을 막는다. 또한, 노즐(7)의 고속 공기 분출축은 물받이부(11)와 겹쳐지기 때문에, 세면 볼(12)에 물 등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 건조 장치가 작동하여도, 세면 볼(12) 내의 물 등이 세면대(13)나 바닥 등으로 비산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면대(13)상에 부착된 손 건조 장치에 있어서, 노즐(7)의 하부와, 물받이부(11)와 상자체(2)의 물받이부(11) 설치측 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이 손 삽입 공간(1)이 된다. 이 손 삽입 공간(1)은, 손 건조 장치의 노즐(7)을 정면에서 본 때에, 그 양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손을 내민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화감이나 불안감을 갖는 일이 없는,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손을 넣고 뺄 수 있는 개구와 높이와 깊이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 씻기를 끝낸 사용자는, 손 삽입 공간(1)에서의 노즐(7)의 선단 부분 부근에 손을 두면, 노즐(7)의 속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손을 검지하고, 고압 공기류 발생기(3)가 구동된다. 즉, 모터(3a)의 회전에 의해 터보 팬(3b)이 회전하고, 이로써, 흡기구(9)로부터 에어 필터(8)에서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흡기 덕트(6)를 통하여 고압 공기류 발생기(3)에 받아들여진다. 흡기된 공기는, 고압 공기류 발생기(3)에 의해 고압화 되고, 배기 덕트(5) 내에 설치되는 히터(4)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배기 덕트(5)를 통하여 노즐(7)에 달하고, 노즐(7)에서 고속화되고, 상자체(2)의 외부의 손 삽입 공간(1)에 하향으로 고속 공기가 분출한다. 이 때, 고압 공기류 발생기(3)는, 노즐(7)의 하방에 배치된 손 삽입 공간(1) 내에 수분을 날리는데 충분한 건조용 작동 기류로서의 고속 공기류를 형성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손에 부착한 물방울이 제거된다.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제거된 물방울은, 손 삽입 공간(1)의(측방의) 물받이부(11), 보다 구체적으로는, 및 물받이부(11)의 상자체 부착부(11a), 경사부(11b), 수평 하단부(11c), 및 이들의 세면대(13)의 정면 속측에 마련되는 측벽부(11d)에서 회수되고, 각각 중력에 의해 물받이부(11) 하방으로 흘러 내린다. 이 때, 물받이부(11)의 상자체 부착부(11a), 경사부(11b), 및 측벽부(11d)의 각각에 부착한 물방울은, 수평 하단부(11c)가 가장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이 수평 하단부(11c)로 흘러 내린다. 물받이부(11)의 수평 하단부(11c)로 흘러 내린 물방울은, 그곳으로부터 세면 볼(12) 내로 적하하고, 세면 볼(12) 내의 배수구(14)로부터 배수된다.
또한, 물받이부(11)의 수평 하단부(11c)가, 거의 수평 방향을 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노즐(7)로부터 취출된 고속 공기가, 물받이부(11)를 통하여 수평 하단부(11c)로부터 개략 수평 방향으로 취출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세면 볼(12) 내에 저장된 물에 대해, 고속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노즐(7)로부터 취출되는 고속 공기의 고속 공기 분출축은 물받이부(11)에 겹쳐지기 때문에, 고속 공기는 물받이부(11)를 흘러 내려가고, 물받이부(11)에 흘러내린 손으로부터 제거된 물방울은, 물받이부(11)에 고이는 일 없이, 세면 볼(12) 내로 적하한다.
도 4는 물받이부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물받이부 형 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물받이부(11)의 수평 하단부(11c)가 개략 세면 볼(12)의 상측의 높이와 같은 위치에 마련됨과 함께, 그 시작 위치(경사부(11b) 라는 경계 위치)도 세면 볼(12)의 상부의 주연부(周緣部)와 개략 일치하고 있다. 즉, 경사부(11b)는, 상자체(2)와 세면 볼(12)의 상부 주연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물받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물받이부(11)의 경사부(11b)의 하단이 세면 볼(12)의 윗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수평 하단부(11c)도 세면 볼(12)의 윗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 5의 예에서는, 경사부(11b)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가 도 4의 경우보다 작고, 수평 하단부(11c)의 길이(도면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도 4의 경우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들의 도 4와 도 5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물받이부(11)의 세면 볼(12) 내에 걸치는 부분은, 노즐(7) 선단부터의 거리가 1OO㎜ 이상으로 되도록 설치하여, 세면 볼(12) 윗면에서의 고속 공기의 속도를 2Om/s 이하로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세면 볼(12)에 물 등이 고여 있는 상태에서, 손 건조 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도, 물 등이 사용자나 주위로 비산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세면 볼(12)의 측면에 설치되는 손 건조 장치에 있어서, 손 건조 장치의 상자체(2)로부터 세면 볼(12)에 걸쳐서, 물받이부(11)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손을 물로 씻은 후의 사용자가 손 건조 장치에서 손을 말릴 경우에, 그 물방울을 물받이부(11)에 부착시키고, 그 물방울이 세면 볼(12)로 흘러 내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손 건조 장치가 설치되는 주변의 세면 경이나 세면대(13), 바닥 등에 물방울이 튀는 일 없이, 자연스럽게 물방울이 세면 볼(12)로 흐르기 때문에, 물받이부(11)에 관한 특별한 배수 처리를 할 필요성이 없다. 또한, 물받이부(11)에 닿은 손 건조 장치로부터의 고속 공기는, 수평 하단부(11c)에서, 수평 방향으로 방향이 변화되기 때문에, 세면 볼(12)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등, 손 건조 장치로부터의 고속 공기로 세면 볼(12) 내의 물이 비산하는 일이 없다는 효과도 갖는다.
실시의 형태 2
도 6은 물받이부의 실시의 형태 2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이 물받이부(11)는, 상자체(2)에 부착되는 상자체 부착부(11a)와, 상자체(2)로부터 세면 볼(12)을 향하여 배치되는 경사부(11b)와, 상자체 부착부(11a)와 경사부(11b)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는 측벽부(11d)와, 경사부(11b)의 하단부에 손 건조 장치로부터의 바람을 받는 바람받이벽(11e)으로 이루어진다. 바람받이벽(11e)은, 경사부(11b)와 측벽부(11d)를 흘러 내려온 물방울을 세면 볼(12)로 흐르기 위한 바람받이벽 개구부(11f)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바람받이벽 개구부(11f)는, 그 단면(斷面)(개구부의 크기)이 고속 공기 유입측(IN측)과 고속 공기 유출측(OUT측)에서, 같은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바람받이벽(11e)과 바람받이벽 개구부(11f)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수분 비산 방지/수절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람받이벽(11e)에 의해, 손 건조 장치의 노즐(7)로부터의 고속 공기가 바람받이벽(11e)에 닿아서, 되튀겨짐과 함께 일부는 바람받이벽 개구 부(11f)로부터 유출되어지지만, 그 바람은, 노즐(7)로부터의 고속 공기에 비하여 풍속이 억제된 것으로 된다. 또한, 물받이부(11)에서 받은 손으로부터의 물방울은, 바람받이벽 개구부(11f)로부터 세면 볼(12) 내로 흘러내린다. 또한, 손 건조 장치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바람받이벽(11e)과 바람받이벽 개구부(11f)의 형상은, 도 6이나 도 7에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부터 불어 날린 물방울을 세면 볼(12)로 유도할 수 있음과 함께, 손 건조 장치의 노즐(7)로부터 취출된 고속 공기가 고속인 채 세면 볼(12) 내로 불어넣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도 8은, 도 6의 단면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이 도 8에서는, 바람받이벽 개구부(11f)는, 그 단면(개구부의 크기)이, 고속 공기류 입구측(IN측)의 쪽이, 고속 공기 유출측(OUT측)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고속 공기 유출측(OUT측)으로부터 취출되는 풍속을, 고속 공기류 입구측(IN측)에 유입하는 속도보다도 느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경우에 비하여, 고속 공기 유출측(OUT측)으로부터 취출하는 풍속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물받이부(11)의 하단측에 바람받이벽(11e)과, 물받이부(11)에 부착한 물방울을 세면 볼(12)로 유도하는 바람받이벽 개구부(11f)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손 건조 장치의 노즐(7)로부터의 고속 공기를 세면 볼(12)에 그 속도인 채로 도달하는 것을 막음과 함께, 손으로부터 적하한 물방울을 바람받이벽 개구부(11f)로부터 세면 볼(12)로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의 형태 3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손 건조 장치를 세면대에 설치한 경우의 실시의 형태 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도 9에서는, 손 건조 장치와 세면 볼(12) 사이에 마련되는 물받이부(11)의 상자체 부착부(11a)와 경사부(11b) 사이에 굴곡부(11g)가 마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경사부(11b)가, 지면(紙面)에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을 중심으로 상자체 부착부(11a)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물받이부(11)에 굴곡부(11g)를 마련함에 의해, 경사부(11b)와 수평 하단부(11c)의 각도를, 세면대(13)나 세면 볼(12)의 형상에 맞추어서, 최적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와 같이, 세면대(13)의 우측 측방에 단차(15)가 있고, 단차(15) 부분의 하측에는 손 건조 장치를 둘 수 없고, 단차(15) 부분의 상측에는 손 건조 장치를 둘 수 있는 경우에는, 단차(15) 부분의 상측에 손 건조 장치를 두게 된다. 이 경우, 물받이부(11)의 경사부(11b)가 가동인 경우에는, 그 단차(15)에 따라 경사부(11b)를 임의의 위치에(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면대(13)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물받이부(11)를 접어 갤 수가 있다.
이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물받이부(11)의 경사부(11b)를 상자체 부착부(11a)에 대해 가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손 건조 장치의 설치 위치에 의하지 않고 물받이부(11)를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물받이부(11)를 접어 갤 수 있기 때문에, 물받이부(11)를 떼어내는 일 없이 더러워진 세면대(13)를 청소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 1 내지 3에서는, 손 건조 장치를 세면대(13)의 위에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고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세면대(13)에 인접하는 벽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실시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부(11)를 상자체(2)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냄이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물받이부(11)를 떼어냄으로써, 손으로부터 불어 날린 물방울에 의한 오염 등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부(11)에는, 측벽부(11d)가 한쪽에 마련되는 것이라도 좋고, 양측에 마련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손 건조 장치는, 오피스 빌딩, 호텔, 패밀리 레스토랑, 어뮤즈먼트 시설, 종합 슈퍼마켓, 식품·의약품·화장품·그 밖에 일반적인 공장, 학교, 공공시설 등의 토일렛 및 손씻는 장소의 세면대 또는 세면 볼에 나중에 붙여서 설치되는 손 건조 장치에 적용하고 있다.

Claims (7)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고압 공기류 발생부와,
    상기 고압 공기류 발생부에서의 공기를 고속 공기로서 취출하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노즐을 구비하고, 세면대의 세면 볼의 측방에 설치되는 손 건조 장치로서,
    상기 노즐이 마련되는 측의 상기 본체 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면 볼에 걸쳐서 경사부를 갖는 물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물받이부에 부착한 물방울을 상기 세면 볼로 유도함과 함께, 상기 노즐로부터의 고속 공기가 상기 물받이부를 통하여 상기 세면 볼 내의 물을 비산시키지 않는 수분 비산 방지/수절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그 공기 분출축선이 상기 세면 볼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노즐의 공기 분출축선에 겹쳐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본체 부착부와,
    상기 본체 부착부의 하단에서 상기 세면 볼에 이르도록 경사를 갖고서 배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수평 하단부와,
    상기 본체 부착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수평 하단부의 연직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의 양측 단부 또는 편측 단부에 마련되는 측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본체 부착부와,
    상기 본체 부착부의 하단에서 상기 세면 볼에 이르도록 경사를 갖고서 배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본체 부착부, 및 상기 경사부의 연직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의 양측 단부 또는 편측 단부에 마련되는 측벽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측에,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고속 공기를 받는 바람받이벽과,
    상기 바람받이벽의 하부에 상기 본체 부착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의 물방울을 상기 세면 볼에 흐르는 바람받이벽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받이벽 개구부는,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고속 공기의 입구측의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고속 공기의 출구측의 개구부의 크기보다도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물받이부가 부착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상의 수평 방향으로 평행한 축의 주위에, 상기 본체 부착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KR1020097014316A 2007-04-26 2008-03-13 손 건조 장치 KR101132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17304 2007-04-26
JP2007117304 2007-04-26
PCT/JP2008/054652 WO2008136214A1 (ja) 2007-04-26 2008-03-13 手乾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444A true KR20090088444A (ko) 2009-08-19
KR101132031B1 KR101132031B1 (ko) 2012-04-02

Family

ID=3994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316A KR101132031B1 (ko) 2007-04-26 2008-03-13 손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937345B2 (ko)
KR (1) KR101132031B1 (ko)
CN (1) CN101594812B (ko)
HK (1) HK1135004A1 (ko)
TW (1) TWI350156B (ko)
WO (1) WO20081362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81A1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클린엠테크 고압수를 이용한 손 수세(水洗)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921A (ja) * 2012-01-30 2013-08-15 Toto Ltd 洗面台
JP2015523126A (ja) * 2012-06-14 2015-08-13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手乾燥の又は手乾燥に関する開発
WO2021152656A1 (ja) * 2020-01-27 2021-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473U (ja) * 1983-12-21 1985-07-16 東陶機器株式会社 手洗器
JPS6270887A (ja) * 1985-09-24 1987-04-01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5300847A (ja) * 1992-04-28 1993-11-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手乾燥器
CN2169361Y (zh) * 1993-03-20 1994-06-22 刘智军 洗手、热风干手器
JPH06319658A (ja) * 1993-05-14 1994-11-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乾燥装置付き洗面台
JP3878274B2 (ja) * 1997-03-18 2007-02-07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温風乾燥機
JP2000271038A (ja) * 1999-03-25 2000-10-03 Toto Ltd 洗面装置、送風装置、流体供給装置及びそれら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2001218698A (ja) * 2000-02-08 2001-08-14 Toshiba Tec Corp エアタオル
JP4101456B2 (ja) * 2000-12-14 2008-06-18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2002271038A (ja) * 2001-03-12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多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部品
JP3882850B2 (ja) 2006-03-03 2007-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81A1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클린엠테크 고압수를 이용한 손 수세(水洗)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37345B2 (ja) 2012-05-23
TW200911189A (en) 2009-03-16
JPWO2008136214A1 (ja) 2010-07-29
KR101132031B1 (ko) 2012-04-02
CN101594812A (zh) 2009-12-02
CN101594812B (zh) 2011-11-16
WO2008136214A1 (ja) 2008-11-13
TWI350156B (en) 2011-10-11
HK1135004A1 (en)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063B1 (ko) 손 건조 장치
JP4776584B2 (ja) 手乾燥装置
TWI457103B (zh) 手乾燥裝置
KR101132031B1 (ko) 손 건조 장치
KR102073631B1 (ko) 증기배출을 유도하는 위생적인 조리실
JP2004357820A (ja) 手乾燥装置
JP6833306B2 (ja) 布団用電気掃除機
JP2008220726A (ja) 手乾燥装置
JP3832509B2 (ja) 手乾燥装置
JP6840121B2 (ja) 電気掃除機
TWI661800B (zh) Hand dryer
KR200466657Y1 (ko) 핸드 드라이어의 물 튀김 방지 및 물받이 수위 정보 제공 시스템
EP2901907B1 (en) Vacuum cleaner with wet scrubber
JP2001299636A (ja) 手乾燥装置
JPH0128141Y2 (ko)
JP6944434B2 (ja) 電気掃除機
JP6944435B2 (ja) 電気掃除機
JP2005185646A (ja) 手乾燥装置
JPWO2018158796A1 (ja) 洗面設備
JP6840122B2 (ja) 電気掃除機
JP3832224B2 (ja) 手乾燥装置
TWI671050B (zh) 烘手裝置
JP2005160839A (ja) 手乾燥装置
JP4099949B2 (ja) 手乾燥装置
JP2000225073A (ja) 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