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349A -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349A
KR20090086349A KR1020090009727A KR20090009727A KR20090086349A KR 20090086349 A KR20090086349 A KR 20090086349A KR 1020090009727 A KR1020090009727 A KR 1020090009727A KR 20090009727 A KR20090009727 A KR 20090009727A KR 20090086349 A KR20090086349 A KR 20090086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ject
correlation
area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914B1 (ko
Inventor
데츠지 마키노
신이치 마츠이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피사체를 촬상하고 피사체 화상을 순차 생성하는 촬상장치(100)에 있어서, 피사체 화상을 복수의 에리어로 분할하는 처리, 복수의 에리어의 각각에 대해 그 화소값을 평가하고 해당 각 에리어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처리, 순차 생성된 복수의 피사체 화상간에 있어서의 평가값의 상관도를 각 에리어에 대해 산출하는 처리, 각 에리어의 상관도에 의거해서, 피사체 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CPU(21)를 구비한다.
Figure P1020090009727
촬상장치, 상관도, 제 1 산출수단, 제 1 제어수단, 제 1 취득수단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촬상장치에 있어서는 피사체의 떨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면, 라이브뷰 표시상태에 있어서, 화각의 변화를 검지하는 것으로 손떨림을 판단하고, 화각 변화가 없어진 시점에서 촬영을 실행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렇지만, 촬영자의 손떨림에 기인하는 촬영화상의 떨림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피사체의 섬세한 움직임까지도 고려한 촬영 제어는 불가능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촬영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한 촬상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피사체를 촬상하고 피사체 화상을 순차 생성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순차 생성되는 피사체 화상을 복수의 화상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수단과, 상기 분할수단에 의해서 분할된 상기 복수의 화상영역의 각각에 대해, 그 화소값을 평가하고 해당 각 화상영역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제 1 산출수단과, 상기 제 1 산출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서 순차 생성된 복수의 피사체 화상간에 있어서의 해당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제 2 산출수단과, 상기 제 2 산출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에 의거해서 상기 피사체 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 1 제어수단.
또,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한 촬상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고 피사체 화상을 순차 생성하는 촬상수단을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이용한 촬상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순차 생성되는 피사체 화상을 복수의 화상영역으로 분 할하는 처리, 분할된 상기 복수의 화상영역의 각각에 대해 그 화소값을 평가하고 해당 각 화상영역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처리,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서 순차 생성된 복수의 피사체 화상간에 있어서의 해당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처리, 및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에 의거해서, 상기 피사체 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처리.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촬영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서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1의 촬상장치(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형태 1의 촬상장치(100)는 피사체 화상(G1)을 분할한 복수의 에리어(i, …)의 복수의 블록(B, …)의 각각에 대해 그 화소값을 평가하고, 평균값을 산출한다. 그 후, 촬상장치(100)는 복수의 피사체 화상(G1)의 각 에리어(i)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해당 피사체 화상(G1)간의 각 에리어(i)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촬상장치(100)는 산출된 해당 각 에리어(i)의 상관도에 의거해서 피사체의 정지 상태를 판정하고, 피사체 화상(G1)의 기록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장치(100)는 화상 데이터 생 성부(1)와, 데이터 처리부(2)와, 유저 인터페이스부(3)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데이터 생성부(1)는 촬상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화상 데이터 생성부(1)는 CPU(21)의 제어 하에서 구동하고, 피사체를 연속해서 촬상하여 피사체 화상(G1)에 관한 복수의 화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는 광학 렌즈부(11)와, 전자 촬상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렌즈부(11)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는 복수의 촬상 렌즈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광학 렌즈부(11)는 피사체의 촬상 시에 CPU(21)의 제어 하에서 구동하며, 포커싱 동작이나 줌인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광학 렌즈부(11)는 예를 들면, 초점 조정, 노출 조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에 관한 각종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촬상부(12)는 광학 렌즈부(11)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이차원의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전자 촬상부(12)의 촬상영역에 축적된 화상 신호(화상 프레임)는 CPU(21)의 제어 하에서 소정의 프레임율로 판독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 생성부(1)는 프리뷰 화상용의 저해상도 화상촬영과, 기록화상(본 화상)용의 고해상도 화상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저해상도 화상촬영은 예를 들면, 화상의 해상도가 VGA(640×480 픽셀) 정도의 촬영이다. 이 저해상도 화상촬영은 해상도는 낮지만, 30fps(프레임/초)의 속도에서의 동화상 촬영과 화상 판독을 실행한다.
고해상도 화상촬영은 예를 들면, 전자 촬상부(12)의 촬상영역의 촬상에 유효한 전체 화소를 이용한 화상촬영을 실행한다.
데이터 처리부(2)는 CPU(21)와, 메모리(22)와, 비디오 출력부(23)와, 화상 처리부(24)와, 프로그램 메모리(25)를 구비하고 있다.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에 기억된 촬상장치(100)용의 각종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메모리(22)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 메모리(22)는 화상 처리용의 각종 데이터나 각종 플래그 등을 기억한다.
프로그램 메모리(25)는 CPU(2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메모리(2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분할 프로그램(25a),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25b), 상관도 산출 프로그램(25c), 촬영감도 취득 프로그램(25d), 임계값 설정 프로그램(25e), 제 1 기록제어 프로그램(25f), 이동량 취득 프로그램(25g), 제 2 기록제어 프로그램(25h) 등을 기억하고 있다.
화상분할 프로그램(25a)은 CPU(21)를 화상분할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화상분할 프로그램(25a)은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순차 생성되는 피사체 화상(G1)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해당 피사체 화상(G1)을 복수의 에리어(화상영역)(i, …)로 분할하는 화상분할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화상분할 프로그램(25a)을 실행하는 것으로,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순차 생성되고, 메모리(22)에 일시 기억되는 복수의 연속되는 피사체 화상(G1)에 관한 화상 프레임 중, 하나의 화상 프레임(화상 데이터)의 소정의 평가범위(A1)내의 화상을 m(가로)×n(세로)의 복수의 에리어(i, …)로 분할한다(도 3의 (a) 및 도 3의 (b) 참조).
또한, 도 3의 (b)에 있어서는 평가범위(A1)의 분할수로서, m(가로)을 4로 하고, 또한 n(세로)을 4로 하는 16개를 예시했지만, 평가범위(A1)의 분할수는 일례로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분할수는 셔터 버튼이 반 누름 조작일 때의 평가범위(A1) 외의 화상의 이동량에 의거해서 적당히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평가범위(A1)의 면적은 예를 들면, 피사체 화상(G1) 전체에 대해 25%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평가범위(A1)의 위치는 예를 들면, 피사체 화상 (G1)의 대략 중앙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대략 대칭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25b)은 CPU(21)를 평가값 산출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25b)은 화상분할처리로 분할된 복수의 에리어(i, …)의 각각에 대해 그 화소값을 평가하고, 해당 각 에리어(i)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 산출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25b)을 실행하는 것으로, 복수의 에리어(i, …)의 각각을 v(가로)×u(세로)의 복수의 블록(B, …)으로 분할한 후, 각 블록(B)(x(가로)화소×y(세로)화소)의 화소값의 평균값을 하기의 식 (1)에 의거해서 산출한다. 즉, CPU(21)는 화소 평가값 산출수단으로서, 복수의 블록(B, …)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에 의거해서 해당 블록(B)의 전체 화소의 화소값(p(f,i,j,k))을 산출한다. 그리고, CPU(21)는 산출된 블록(B)의 전체 화소의 화소값(p(f,i,j,k))을 평균내서 평균값(b(f,i,j))을 산출하고, 각 에리어(i)내의 복수의 블록(B, …)의 화소값의 평균값(b(f,i,j))을 해당 에리어(i)의 평가값으로 한다.
Figure 112009007500432-PAT00001
여기서, f는 화상 프레임의 번호이고, i는 각 화상 프레임에 있어서의 에리어 번호이며, j는 각 에리어(i)에 있어서의 블록 번호이고, k는 각 블록(B)에 있어서의 화소 번호이다.
또한, 도 3의 (b)에 있어서는 에리어(i)의 분할수로서 v(가로)를 3으로 하고, 또한 u(세로)를 3으로 하는 9개를 예시했지만, 에리어(i)의 분할수는 일례로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 블록(B)은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가로)가 12화소로 되고, 또한 y(세로)가 10화소로 되어 있지만, 블록(B)의 화소수는 일례로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관도 산출 프로그램(25c)은 CPU(21)를 상관도 산출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상관도 산출 프로그램(25c)은 평가값 산출처리로 산출된 각 에리어(i)의 평가값(복수의 블록(B, …)의 평균값(b))에 의거해서,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서 순차 생성된 복수의 피사체 화상(G1)간에 있어서의 해당 각 에리어(i)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상관도 산출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상관도 산출 프로그램(25c)을 실행하는 것으로, 연속되는 화상 프레임(예를 들면,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f-1), 이번의 화상 프레임 (f))간에 있어서의 복수의 에리어(i, …)의 각각의 상관도(a(f,i))를 하기의 식 (2)에 의거해서 산출한다. 즉, CPU(21)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가값 산출처리로 산출된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f-1)에 있어서의 소정 에리어(i)의 각 블록(B)의 평균값(b(f-1,i,j))과, 금번 화상 프레임(f)에 있어서의 소정 에리어(i)의 각 블록(B)의 평균값(b(f,i,j))을 이용해서, 소정 에리어(i)의 상관도 (a(f,i))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07500432-PAT00002
여기서, 상관도(a(f,i))는 1.0에 가까워질수록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과 이번의 화상 프레임의 에리어(i)에 있어서의 움직임이 적어진다.
촬영감도 취득 프로그램(25d)은 CPU(21)를 촬영감도 취득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촬영감도 취득 프로그램(25d)은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한 피사체 화상(G1)의 촬영 감도를 취득하는 촬영감도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킨 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촬영감도 취득 프로그램(25d)을 실행하는 것으로, 자동감도 조정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생성된 화상 프레임의 밝기에 의거해서, 피사체 화상(G1)의 촬영 감도(ISO 감도)를 취득한다.
임계값 설정 프로그램(25e)은 CPU(21)를 비교값 변경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임계값 설정 프로그램(25e)은 촬영감도처리로 취득된 촬영 감도에 따라 임계값 (Th)을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임계값 설정 프로그램(25e)을 실행하는 것으로, 임계값 설정용 테이블(T)(도 5 참조)을 참조해서, 촬영감도처리로 취득된 촬영 감도가 소정의 제 1 값 미만인 Low일 경우, 임계값(Th)을 0.98로 설정하고, 촬영 감도가 제 1 값 이상 제 2 값 미만인 Normal일 경우, 임계값(Th)을 0.96으로 설정하며, 촬영 감도가 제 2 값 이상인 High일 경우, 임계값(Th)을 0.94로 설정한다.
제 1 기록제어 프로그램(25f)은 CPU(21)를 상관도 기록 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제 1 기록제어 프로그램(25f)은 상관도 산출처리로 산출된 각 에리어 (i)의 상관도(a(f,i))에 의거해서,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G1)(본 화상)의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제 1 기록제어 프로그램(25f)을 실행하는 것으로, 상관도 산출처리로 산출된 각 에리어(i)의 상관도(a(f,i))와 임계값 설정처리로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Th)을 비교해서, 전체 에리어(i)에 관한 상관도(a(f,i))가 소 정의 임계값(Th)을 상회한 경우, 즉, 전체 에리어(i)에서 거의 일치했을 경우에 피사체가 정지 상태라고 판정하고,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피사체 화상 (G1)(본 화상)을 취득(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이동량 취득 프로그램(25g)은 CPU(21)를 이동량 취득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이동량 취득 프로그램(25g)은 피사체 화상(G1)의 평가범위(A1) 이외의 화상의 화소에 대해, 복수의 연속되는 피사체 화상(G1)간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취득하는 이동량 취득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이동량 취득 프로그램(25g)을 실행하는 것으로, 연속되는 화상 프레임(예를 들면,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f-1), 이번의 화상 프레임 (f)) 중, 하나의 화상 프레임(예를 들면,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f-1))에 있어서의 평가범위(A1) 이외의 화상의 비교대상 부분(예를 들면, 특징점 등)을 다른 화상 프레임(예를 들면, 이번의 화상 프레임(f))에서 탐색한 다음에, 연속되는 화상 프레임에 있어서의 비교대상 부분의 움직임 벡터를 이동량으로서 산출(취득)한다.
제 2 기록제어 프로그램(25h)은 CPU(21)를 이동량 기록 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제 2 기록제어 프로그램(25h)은 이동량 취득처리로 취득된 비교대상 부분의 움직임 벡터(이동량)에 의거해서,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G1)(본 화상)의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제 2 기록제어 프로그램(25h)을 실행하는 것으로, 이동량 취득처리로 산출된 비교대상 부분의 움직임 벡터와 소정값을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연속되는 화상 프레임간에서 피사체에 움직임이 있는지 없는지, 즉, 피사체가 정지 상태인지 정지 상태가 아닌지를 판정하며, 피사체가 정지 상태(움직임 벡터가 소정값 이하임)라고 판정됐을 경우에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피사체 화상(G1)을 취득(기록)하도록 제어한다.
또, 프로그램 메모리(25)에는 CPU(21)에 의한 임계값 설정처리에 이용되는 임계값 설정용 테이블(T)(도 5 참조)이 기억되어 있다.
임계값 설정용 테이블(T)은 촬영 감도와 임계값을 대응지워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감도 Low(소정의 제 1 값 미만)와 임계값(Th) 0.98(화상 프레임간의 일치도 98%)이 대응 지워지고, 촬영 감도 Normal(제 1 값 이상 제 2 값 미만)과 임계값(Th) 0.96(화상 프레임간의 일치도 96%)이 대응 지워지며, 촬영 감도 High(제 2 값 이상)와 임계값(Th) 0.94(화상 프레임간의 일치도 94%)가 대응 지워져 있다.
화상 처리부(24)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화상처리를 실시한다.
비디오 출력부(23)는 메모리(22)의 소정 영역에 일시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RGB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비디오 출력부(23)는 RGB 신호를 유저 인터페이스부(3)의 표시부(31)에 출력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3)는 표시부(31)와, 조작부(32)와, 외부 인터페이스부 (33)와, 외부 기억부(34)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31)는 비디오 출력부(23)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피사 체 화상(G1)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31)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화상 프레임에 의거해서 프리뷰 화상을 라이브뷰 표시하거나, 외부 기억부(34)에 기억되는 본 화상인 REC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1)는 비디오 출력부(23)로부터 적당히 출력되는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비디오 메모리(도시 생략)를 구비해도 좋다.
조작부(32)는 유저가 해당 촬상장치(100)의 소정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유저에 의한 소정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CPU(21)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32)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셔터 버튼, 선택 결정용 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다.
셔터 버튼은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을 지시한다. 또, 셔터 버튼은 예를 들면, 반 누름 조작 및 전체 누름 조작의 2 단계의 압압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 조작 단계에 따른 소정의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셔터 버튼은 유저에 의해 반 누름 조작됐을 경우에 자동초점처리(AF)나 자동노출처리(AE) 등의 실행 지시를 출력하고, 유저에 의해 전체 누름 조작됐을 경우에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한 피사체 화상(G1)(본 화상)의 기록(보존)의 실행 지시를 출력한다.
선택 결정용 버튼은 각종 항목의 선택을 실행하는 상하 좌우의 커서 버튼(도시 생략)과, 이들 커서 버튼의 조작에 의거해서 선택된 항목의 결정 버튼(도시 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부(33)는 PC, 텔레비전, 프로젝터 등의 외부 기기와의 접속 용 단자이고, 소정의 통신 케이블(도시 생략) 등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외부 기억부(34)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 화상(G1)의 화상 데이터를 복수 기억한다. 외부 기억부(34)는 예를 들면, 카드형의 불휘발성 메모리(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1의 촬상장치(100)에 의한 자동촬상처리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자동촬상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자동촬상처리에 있어서는 미리 자동감도 조정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이 개시되면, 비디오 출력부(23)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RGB 신호를 생성해서, 해당 RGB 신호를 유저 인터페이스부 (3)의 표시부(31)에 출력하고, 표시부(31)에 화상을 라이브뷰 표시시킨다(스텝S1).
다음에, CPU(21)는 유저에 의해 셔터 버튼이 반 누름 조작됐는지 반 누름 조작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스텝S2). 여기서, 셔터 버튼이 반 누름 조작됐다고 판정되면(스텝S2;YES),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촬영감도 취득 프로그램(25d)을 실행하고,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생성된 하나의 화상 프레임의 밝기에 의거해서 피사체 화상(G1)의 촬영 감도(ISO 감도)를 취득한다(스텝S3).
계속해서,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임계값 설정 프로그램(25e)을 실행하고, 촬영감도처리로 취득된 촬영 감도에 의거해서 임계값 설정용 테이블(T)(도 5 참조)을 참조하여 소정의 임계값(Th)을 설정한다(스텝S4).
또한, 스텝S2에서 셔터 버튼이 반 누름 조작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S2;NO), 해당 자동촬상처리는 스텝S1로 돌아온다.
다음에, CPU(21)는 유저에 의해 셔터 버튼이 전체 누름 조작됐는지 안됐는지를 판정한다(스텝S5). 여기서, 셔터 버튼이 전체 누름 조작됐다고 판정되면(스텝S5;YES), CPU(21)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생성된 하나의 화상 프레임의 평가범위(A1)내의 화상 및 평가범위(A1) 외의 화상을 취득한다(스텝S6).
또한, 스텝S5에서 셔터 버튼이 전체 누름 조작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S5;NO), 해당 자동촬상처리는 스텝S2로 돌아온다.
다음에,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화상분할 프로그램(25a)을 실행하고, 평가범위(A1)내의 화상을 m(가로)×n(세로)의 복수의 에리어(i, …)로 분할한다(스텝S7;도 3의 (a) 및 도 3의 (b)참조). 계속해서,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25b)을 실행하고, 복수의 에리어(i, …)의 각각을 v(가로)×u(세로)의 복수의 블록(B, …)으로 분할하며, 그 후, 식 (1)에 의거해서 복수의 블록(B, …)의 각각에 대해 전체 화소의 화소값(p(f,i,j,k))을 산출한 후, 해당 전체 화소의 화소값(p(f,i,j,k))을 평균내서 평균값(b(f,i,j))을 산출한다(스텝S8).
Figure 112009007500432-PAT00003
다음에, CPU(21)는 스텝S8에서 각 블록(B)의 평균값(b(f,i,j))을 산출한 화상 프레임이 최초의 화상 프레임인지 최초의 화상 프레임이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9).
여기서, 최초의 화상 프레임이라고 판정되면(스텝S9;YES),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21)는 각 블록(B)의 평균값(b(f,i,j))을 평균값(b(f-1,i,j))으로서 메모리(22)에 일시적으로 보존한 후(스텝S10), 다음의 하나의 화상 프레임의 화상을 취득하도록 스텝S6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9에서 최초의 화상 프레임이 아니라고 판정되면(스텝S9;NO),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상관도 산출 프로그램(25c)을 실행하고, 평가값 산출처리로 산출된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f-1)에 있어서의 소정 에리어(i)의 각 블록(B)의 평균값(b(f-1,i,j))과, 이번의 화상 프레임 (f)에 있어서의 소정 에리어(i)의 각 블록(B)의 평균값(b(f,i,j))을 이용해서, 해당 소정의 에리어(i)가 연속하는 화상 프레임간에 있어서의 상관도(a(f,i))를 식 (2)에 의거해서 산출한다(스텝S11).
Figure 112009007500432-PAT00004
계속해서,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제 1 기록제어 프로그램(25f)을 실행하고, 상관도 산출처리로 산출된 소정 에리어(i)의 상관도(a(f,i))와 임계값 설정처리로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Th)을 비교해서,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 이상인지 이상이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12).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 이상이라고 판정되면(스텝S12;YES), CPU(21)는 평가범위(A1)내의 화상의 전체 에리어(i)의 상관도(a(f,i))의 판단이 종료됐는지 종료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스텝S13).
여기서, 전체 에리어(i)의 상관도(a(f,i))의 판단이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S13;NO), CPU(21)는 상관도(a(f,i))의 판단에 관한 에리어(i)의 번호를 i=i+1로 하고(스텝S14), 스텝S11로 이행해서 다음의 에리어(i(i+1))에 대해 상관도(a(f,i+1))의 산출을 실행한다.
한편, 스텝S13에서 전체 에리어(i)의 상관도(a(f,i))의 판단이 종료되어 있다고 판정되면(스텝S13;YES), CPU(21)는 전체 에리어(i)의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 이상이라고 판단하고(즉, 전체 에리어(i)에서 거의 일치된 상태로 되고, 피사체가 정지 상태라고 판단하고),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G1)의 기록을 개시시킨다(스텝S15).
또한, 스텝S15에서 기록되는 피사체 화상(G1)은 한 장 또는 연사된 복수장의 정지 화상이어도 좋고, 동화상이어도 좋다.
또, 스텝S12에서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되면(스텝S12;NO), CPU(21)는 평가범위(A1) 외의 화상의 움직임 벡터가 소정값 이하인지 이하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16).
또한, 상기 스텝S16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와 같다.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이동량 취득 프로그램(25g)을 실행하고, 연속되는 화상 프레임 중, 예를 들면,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f-1)의 평가범위(A1) 이외의 화상의 비교대상 부분을 이번의 화상 프레임(f)에서 탐색함으로서, 연속되는 화상 프레임에 있어서의 비교대상 부분의 움직임 벡터를 이동량으로서 산출한다.
계속해서,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제 2 기록제어 프로그램(25h)을 실행하고, 비교대상 부분의 움직임 벡터와 소정값을 비교하며, 이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연속되는 화상 프레임간에서 피사체에 움직임이 있는지 움직임이 없는지, 즉, 피사체가 정지 상태인지 정지 상태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S16에서 움직임 벡터가 소정값 이하(피사체가 정지 상태임)라고 판정되면(스텝S16;YES), CPU(21)는 스텝S15로 이행하고,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G1)의 기록을 개시시킨다.
또한, 스텝S16에서 움직임 벡터가 소정값 이하가 아니라고(피사체가 정지 상 태가 아님) 판정되면(스텝S16;NO), 해당 자동촬상처리는 스텝S10으로 이행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의 촬상장치(100)에 따르면, 피사체 화상(G1)의 평가범위(A1)를 분할한 복수의 에리어(i, …)의 평가값으로서, 해당 에리어(i)의 복수의 블록(B, …)의 각각의 전체 화소의 휘도 성분 및 색차 성분에 의거해서 산출된 화소값을 평가하고, 평균값(b(f,i,j))을 산출한다. 그리고, 복수의 피사체 화상(G1)의 각 블록(B)의 화소값의 평균값(b(f,i,j))에 의거해서 해당 피사체 화상 (G1)간의 각 에리어(i)의 상관도(a(f,i))를 산출하고, 해당 각 에리어(i)의 상관도 (a(f,i))에 의거해서 피사체의 정지 상태를 판정하며, 피사체 화상(G1)의 기록을 제어하므로, 피사체의 미세한 움직임(변동)의 영향을 배제해서 해당 피사체가 정지 상태인지 정지 상태가 아닌지의 판정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사체로서 팔을 흔들고 있는 인물을 자동 촬영하는 경우, 팔이 흔들리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지 상태라고 판정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피사체 화상(G1)의 평가범위(A1)의 각 에리어 (i)의 상관도(a(f,i))에 의거해서 피사체의 정지 상태를 판정하면, “팔의 흔들림”의 영향을 배제하고, 해당 피사체가 정지 상태인지 정지 상태가 아닌지의 판정을 적정하게 실행한다. 또, “팔의 흔들림”이 평가범위(A1)에 대해 작아져도, 평가범위(A1)를 복수의 에리어(i, …)로 분할하는 것으로 변동 부분의 검출을 적정하게 실행한다.
따라서, 자동촬상처리로 피사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촬영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 피사체 화상(G1)의 평가범위(A1) 이외의 화상의 비교대상 부분에 대해서는 복수의 피사체 화상(G1)간에 있어서의 움직임 벡터를 취득하고, 해당 비교대상 부분의 움직임 벡터에 의거해서 피사체의 정지 상태를 판정하며, 피사체 화상 (G1)의 기록을 제어하므로, 피사체 화상(G1)간의 평가범위(A1)내의 각 에리어 (i)의 상관도(a(f,i))뿐만 아니라, 평가범위(A1) 외의 화상의 화소의 움직임 벡터에 의거해서 피사체의 정지 상태의 판정을 더욱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에리어(i)의 상관도(a(f,i))와 소정의 임계값(Th)을 비교해서, 전체 에리어(i)에 대해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을 상회한 경우에 피사체가 정지 상태라고 판정되므로, 정지 상태의 판정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촬영감도처리로 취득된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한 피사체 화상 (G1)의 촬영 감도에 따라서 임계값(Th)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촬영 감도에 따라서 피사체가 정지 상태인지 정지 상태가 아닌지의 판정을 엄격하게 하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정지 상태의 판정을 더욱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평가범위(A1)의 면적을 피사체 화상(G1) 전체에 대한 25% 정도로 설정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평가범위(A1)의 면적은 적당히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유저에 의한 조작부(32)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평가범위(A1)의 면적을 입력하고, CPU(21)가 입력된 면적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조작부(32) 및 CPU(21)는 소정의 평가범위(A1)의 면적을 지정하는 소정범위 지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평가범위(A1)를 넓게 하면 할수록, 피사체의 정지 상태의 판정을 더욱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지만, 연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처리속도의 저하를 초래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피사체의 정지 상태의 판정의 정확성이나 처리속도의 향상의 관점 등을 고려해서 적당히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평가범위(A1)의 위치를 피사체 화상(G1)의 대략 중앙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서 대략 대칭으로 되도록 설정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평가범위(A1)의 위치는 적당히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유저에 의한 조작부(32)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평가범위(A1)의 위치를 입력하고, CPU(21)가 입력된 위치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조작부(32) 및 CPU(21)는 소정의 평가범위(A1)의 위치를 지정하는 소정범위 지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덧붙여서, 피사체의 정지 상태의 판정을 피사체 화상(G1)의 평가범위(A1)내의 화상의 상관도(a(f,i))뿐만 아니라, 평가범위(A1) 외의 화상의 화소의 이동량에 의거해서 실행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평가범위(A1) 외의 화상의 화소의 이동량에 의거해서 피사체의 정지 상태를 판정하는지 판정하지 않는지는 적당히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에리어(i)의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을 상회한 경우에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G1)의 기록을 개시시키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피사체가 정지 상태인지 정지 상태가 아닌지의 판단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으면, 피사체 화상(G1)의 기록 개시할 때에 반드시 전체 에리어(i)의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을 상회할 필요는 없다. 즉, 복수의 에리어(i) 중, 소정수의 에리어(i)의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을 상회한 경우에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 (G1)의 기록을 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평가범위(A1)내의 화상의 상관도의 판정을 피사체가 정지 상태로 됐을 때에 자동적으로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장치(100)에 적용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손에 들고 촬영 시의 손떨림의 판정을 실행하는 것에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각 에리어(i)의 상관도(a(f,i))와 소정의 임계값(Th)을 비교해서,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 (Th)을 하회한 경우에는 유저에 대해 손떨림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리도록 해도 좋다.
[실시형태 2]
이하에, 실시형태 2의 촬상장치(200)에 대해 도 8∼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2의 촬상장치(200)의 프로그램 메모리 (25)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촬상장치(200)에 의한 자동촬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형태 2의 촬상장치(200)는 각 에리어(i)의 상관도(a(f,i))에 의거해서 특정의 피사체, 예를 들면, 자동차 등(도 9 참조)이 피사체 화상(G2)내의 미리 설정된 임의의 판정영역(A2)에 들어 온 순간을 판정하고, 피사체 화상(G2)의 기록을 제어한다.
또한, 실시형태 2의 촬상장치(200)는 피사체 화상(G2)의 기록 제어에 관한 구성 이외의 점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대략 똑같으므로, 똑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메모리(25)에는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화상분할 프로그램(25a),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25b), 상관도 산출 프로그램(25c), 촬영감도 취득 프로그램(25d), 임계값 설정 프로그램(25e), 이동량 취득 프로그램(25g)에 부가해서, 제 3 기록제어 프로그램(25i)이 기억되어 있다.
제 3 기록제어 프로그램(25i)은 CPU(21)를 상관도 기록 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제 3 기록제어 프로그램(25i)은 상관도 산출처리로 산출된 자동촬영에 관한 판정영역(A2)내의 복수의 에리어(i, …)의 각각의 상관도(a(f,i))에 의거해서,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본 화상)(G2)의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는, CPU(21)가 제 3 기록제어 프로그램(25i)을 실행하는 것으로, 판정영역(A2)내의 복수의 에리어(i, …)의 각각의 상관도(a(f,i))와 임계값 설정처리로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Th)을 비교해서, 어느 하나의 에리어(i)에 관한 상관도 (a(f,i))가 소정의 임계값(Th)을 하회한 경우에 특정 피사체가 판정영역(A2)에 들어와서, 피사체가 정지 상태로부터 변동 상태로 천이했다고 판정하여,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피사체 화상(G2)을 취득(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판정영역(A2)의 위치나 면적은 적당히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유저에 의한 조작부(32)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판정영역(A2)의 위치나 면적을 입력하고, CPU(21)가 입력된 위치나 면적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조작부 (32) 및 CPU(21)는 소정의 판정영역(A2)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지정하는 소정범위 지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2의 촬상장치(200)에 의한 자동촬상처리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자동촬상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자동촬상처리는 실시형태 1의 촬상장치(100)에 의한 자동촬상처리의 일부를 변형한 것이고, 동일한 처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이 개시되면, 비디오 출력부(23)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RGB 신호를 생성해서, 표시부(31)에 화상을 라이브뷰 표시시킨다(스텝S1).
그리고, 유저에 의한 조작부(32)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판정영역(A2)의 위치나 면적이 입력되면, CPU(21)는 입력된 판정영역(A2)의 위치나 면적을 설정한다(스텝S21).
그 후, 상기 실시형태 1과 똑같이 스텝S2∼스텝S4의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5에서 셔터 버튼이 전체 누름 조작됐다고 판정되면(스텝S5;YES), CPU(21)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생성된 하나의 화상 프레임(화상 데이터)의 판정영역(A2)내의 화상 및 판정영역(A2) 외의 화상을 취득한다(스텝S22). 또한, 스텝S5에서 셔 터 버튼이 전체 누름 조작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S5;NO), 해당 자동촬상처리는 스텝S2로 돌아온다.
계속해서,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화상분할 프로그램(25a)을 실행하고, 판정영역(A2)의 면적이나 위치에 의거해서 분할수를 설정한 후(스텝S23), 판정영역(A2)내의 화상을 m(가로)×n(세로)의 복수의 에리어(i, …)로 분할한다(스텝S24).
그 후, 스텝S11에서 판정영역(A2)내의 소정의 에리어(i)가 연속되는 화상 프레임간에 있어서의 상관도(a(f,i))가 산출된 후(스텝S11), CPU(21)는 프로그램 메모리(25)내의 제 3 기록제어 프로그램(25i)을 실행하고, 상관도 산출처리로 산출된 소정 에리어(i)의 상관도(a(f,i))와 임계값 설정처리로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Th)을 비교해서,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 이하인지 이하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25). 여기서,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 이하라고 판정되면(스텝S25;YES), CPU(21)는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 이하라고 판단하고(즉, 특정 피사체가 판정영역(A2)에 들어와서, 피사체가 정지 상태로부터 변동 상태로 천이했다고 판단하고),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G2)의 기록을 개시시킨다(스텝S15).
한편, 스텝S25에서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되면(스텝S25;NO), CPU(21)는 판정영역(A2)내의 화상의 전체 에리어(i)의 상관도 (a(f,i))의 판단이 종료됐는지 종료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스텝S13).
여기서, 전체 에리어(i)의 상관도(a(f,i))의 판단이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S13;NO), 해당 자동촬상처리는 스텝S14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13에서 전체 에리어(i)의 상관도(a(f,i))의 판단이 종료되어 있다고 판정되면(스텝S13;YES), 해당 자동촬상처리는 스텝S10로 이행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2의 촬상장치(200)에 따르면, 복수의 피사체 화상 (G2)의 판정영역(A2)에 관한 복수의 에리어(i, …)의 복수의 블록(B, …)의 각각의 화소값의 평균값에 의거해서 해당 피사체 화상(G2)간의 각 에리어(i)의 상관도 (a(f,i))를 산출하고, 해당 각 에리어(i)의 상관도에 의거해서 특정 피사체가 피사체 화상(G2)내의 임의의 판정영역(A2)에 들어 온 순간을 판단해서, 피사체가 정지 상태로부터 변동 상태로 천이했는지 천이하지 않았는지의 판단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판정영역(A2)에 대해 작은 특정 피사체가 해당 판정영역(A2)의 일부분을 통과했을 경우라도, 판정영역(A2)을 복수의 에리어(i, …)로 분할하는 것으로 특정 피사체의 검출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촬상처리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촬영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복수의 에리어(i) 중, 어느 하나의 에리어(i)의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을 하회한 경우에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G2)의 기록을 개시시키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피사체가 정지 상태로부터 변동 상태로 천이했는지 천이하지 않았는지의 판단을 적정하게 실행한 다음에는 복수의 에리어(i) 중, 두 개 이 상의 소정수의 에리어(i)의 상관도(a(f,i))가 소정의 임계값(Th)을 하회한 경우에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G2)의 기록을 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실시형태 3]
이하에, 실시형태 3의 촬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3의 촬상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의 평가값 산출처리에서 식 (1)을 대신해서 하기의 식 (3)을 이용하는 동시에, 상관도 산출처리에서 식 (2)를 대신해서 하기의 식 (4)를 이용한다.
또한, 실시형태 3의 촬상장치는 평가값 산출처리 및 상관도 산출처리에 관한 수식 이외의 점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 2과 대략 똑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프로그램 메모리(25)에는 상기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25b), 상관도 산출 프로그램(25c)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CPU(21)가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25b)을 실행하는 것으로, 평가범위 (A1)(판정영역(A2))의 복수의 에리어(i, …)의 각각을 v(가로)×u(세로)의 복수의 블록(B, …)으로 분할한 후, 각 블록(B)(x(가로)화소×y(세로)화소)의 화소값의 평균값을 하기의 식 (3)에 의거해서 산출한다. 즉, CPU(21)는 화소 평가값 산출수단으로서 복수의 블록(B, …)의 각각에 대해, 각 화소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에 의거해서 해당 블록(B)의 전체 화소의 화소값(p(f,i,j,k))을 산출한다. 또한, CPU(21)는 산출된 블록(B)의 전체 화소의 화소값(p(f,i,j,k))을 평균내서 평균값 (b(f,i,j))을 산출하고, 각 에리어(i)내의 복수의 블록(B, …)의 화소값의 평균값 (b(f,i,j))을 해당 에리어(i)의 평가값으로 한다.
Figure 112009007500432-PAT00005
여기서, f는 화상 프레임의 번호이고, i는 각 화상 프레임에 있어서의 에리어 번호이며, j는 각 에리어(i)에 있어서의 블록 번호이고, k는 각 블록(B)에 있어서의 화소 번호이다.
이와 같이,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25b)은 상기 식 (3)을 이용하는 것으로, 화상분할처리로 분할된 복수의 에리어(i, …)의 각각에 대해 그 화소값을 평가하고, 해당 각 에리어(i)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 산출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킬 수 있다.
또, CPU(21)가 상관도 산출 프로그램(25c)을 실행하는 것으로, 연속되는 화상 프레임(예를 들면,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f-1), 이번의 화상 프레임(f))간에 있어서의 복수의 에리어(i, …)의 각각의 상관도(a(f,i))를 하기의 식 (4)에 의거해서 산출한다. 즉, CPU(21)는 평가값 산출처리로 산출된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f-1)에 있어서의 소정 에리어(i)의 각 블록(B)의 평균값(b(f1, i, j))과, 이번의 화상 프레임(f)에 있어서의 소정 에리어(i)의 각 블록(B)의 평균값(b(f,i,j))을 이용해서 소정 에리어(i)의 상관도(a(f,i))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07500432-PAT00006
여기서, 상관도(a(f,i))는 1.0에 가까워질수록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과 이번의 화상 프레임의 에리어(i)에 있어서의 움직임이 적어진다.
이와 같이, 상관도 산출 프로그램(25c)은 상기 식 (4)를 이용하는 것으로, 평가값 산출처리로 산출된 각 에리어(i)의 평가값(복수의 블록(B, …)의 평균값 (b))에 의거해서, 화상 데이터 생성부(1)에 의해 순차 생성된 복수의 피사체 화상 (G1)간에 있어서의 해당 각 에리어(i)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상관도 산출처리에 관한 기능을 CPU(21)에 실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어도 실시형태 3의 촬상장치에 따르면, 상기 식 (3)에 의거해서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피사체 화상(G1)의 평가범위(A1)(피사체 화상 (G2)의 판정영역(A2))를 분할한 복수의 에리어(i, …)의 평가값으로서, 해당 에리어(i)의 복수의 블록(B, …)의 각각의 전체 화소의 휘도 성분 및 색차 성분에 의거해서 산출된 화소값을 평가하여 평균값(b(f,i,j))을 산출할 수 있다. 즉, 평가값 산출처리에서 상기 식 (3)을 이용할지, 또는, 실시형태 1, 2에 관한 식 (1)을 이용할지는 적당히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식을 이용해도 각 에리어(i)의 평가값의 산출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식 (4)에 의거해서,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피사체 화상(G1)(피사체 화상(G2))의 각 블록(B)의 화소값의 평균값(b(f,i,j))에 의거해서, 해당 피사체 화상(G1)(피사체 화상(G2))간의 각 에리어(i)의 상관도(a(f,i))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관도 산출처리에서 상기 식 (4)를 이용할지 또는, 실시형태 1, 2에 관한 식 (2)를 이용할지는 적당히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식을 이용해도 복수의 피사체 화상(G1)(피사체 화상(G2))간에 있어서의 해당 각 에리어(i)의 상관도의 산출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 (3), 식 (4)를 이용해도 상기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자동촬상처리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촬영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1∼3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실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 1∼3에 있어서는, 자동 설정된 촬영 감도에 의거해서 상관도(a(f,i))의 판정용의 임계값(Th)을 설정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저가 임의의 임계값(Th)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즉, 유저에 의한 조작부(32)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소정의 임계값(Th)을 임의로 입력하고, CPU(21)는 입력된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조작부(32) 및 CPU(21)는 임계값(비교값)(Th)을 임의로 입력하고 설정하는 비교값 설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있어서는, 상관도(a(f,i))의 판정용의 임계값 (Th)을 촬영 감도에 의거해서 설정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촬영 감도를 대신해서 셔터 속도에 의거하여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즉, 셔터 버튼의 반 누름 조작에 의거해서 설정된 셔터 속도에 따라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에서 임계값(Th)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덧붙여서,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특정 피사체가 갖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촬영된 복수의 피사체 화상(G2)에 관한 화상 프레임의 변동량에 의거해서 임계값 (Th)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있어서는, 평가범위(A1)나 판정영역(A2)내의 각 에리어(i)의 각 블록(B)의 전체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하고, 해당 전체 화소의 화소값의 평균값(b(f,i,j))을 각 에리어(i)의 평가값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평가범위(A1)나 판정영역(A2)내의 각 에리어(i)의 각 블록(B)의 전체 화소의 화소값의 평균값(b(f,i,j))을 산출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평가범위(A1)나 판정영역(A2)내의 각 에리어(i)의 각 블록(B)의 전체 화소 중, 소정 비율의 화소의 화소값을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각 에리어(i)의 평가값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 1∼3에 있어서는, 각 에리어(i)의 화소의 화소값은 각 화소의 휘도 성분 및 색차 성분에 의거해서 산출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휘도 성분이나 색차 성분 이외의 성분에 의거해서 산출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있어서는, 복수의 에리어(i, …)의 상관도 (a(f,i))의 판정을 피사체 화상(G1, G2)의 소정 범위의 화상, 즉, 평가범위(A1)내 나 판정영역(A2)내의 화상을 이용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피사체 화상(G1, G2) 전체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 촬상장치(100, 200)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3에 예시한 것은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서, 상기 실시형태 1∼3에 있어서는, 화상분할수단, 평가값 산출수단, 상관도 산출수단, 상관도 기록 제어수단, 비교값 설정수단, 촬영감도 취득수단, 비교값 변경수단, 화소 평가값 산출수단, 소정범위 지정수단, 이동량 취득수단, 이동량 기록 제어수단으로서의 기능을 CPU(21)에 의해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 회로 등으로부터 구성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1의 촬상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장치의 프로그램 메모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촬상장치에 의한 평가값 산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b)는 도 1의 촬상장치에 의한 평가값 산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c)는 도 1의 촬상장치에 의한 평가값 산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평가값 산출처리에 관한 지난번의 화상 프레임의 에리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평가값 산출처리에 관한 이번의 화상 프레임의 에리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임계값 설정용 테이블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촬상장치에 의한 자동촬상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자동촬상처리의 연속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2의 촬상장치의 프로그램 메모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촬상장치에 의한 자동촬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자동촬상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자동촬상처리의 연속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200: 촬상장치 1: 화상 데이터 생성부
21: CPU 32: 조작부
G1, G2: 피사체 화상 A1: 평가범위
A2: 판정영역

Claims (11)

  1. 피사체를 촬상하고 피사체 화상을 순차 생성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순차 생성되는 피사체 화상을 복수의 화상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수단과,
    상기 분할수단에 의해서 분할된 상기 복수의 화상영역의 각각에 대해, 그 화소값을 평가하고 해당 각 화상영역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제 1 산출수단과,
    상기 제 1 산출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서 순차 생성된 복수의 피사체 화상간에 있어서의 해당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제 2 산출수단과,
    상기 제 2 산출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에 의거해서, 상기 피사체 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 1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제 2 산출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와 소정의 비교값을 비교해서, 소정수의 화상영역에 대해 상기 상관도가 상기 소정의 비교값을 상회한 경우에, 상기 피사체 화상을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화상의 소정 범위 이외의 화상의 화소에 대해, 상기 복수의 피사체 화상간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취득하는 제 1 취득수단과,
    상기 제 1 취득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이동량에 의거해서, 상기 피사체 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 2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제 2 산출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와 소정의 비교값을 비교해서, 소정수의 화상영역에 대해 상기 상관도가 상기 소정의 비교값을 하회한 경우에, 상기 피사체 화상을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값을 임의로 입력해서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의 촬영 감도를 취득하는 제 2 취득수단과,
    상기 제 2 취득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촬영 감도에 따라 상기 비교값을 변경 하는 변경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수단에 의해서 분할된 각 화상영역의 전체 화소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제 3 산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산출수단은 상기 각 화상영역의 평가값으로서, 상기 제 3 산출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전체 화소의 평가값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산출수단은 상기 각 화상영역의 화소의 휘도 성분 및 색차 성분에 의거해서, 그 화소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순차 생성되는 피사체 화상의 소정 범위의 화상을 복수의 화상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수단에 의해서 분할되는 상기 소정 범위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지정하는 지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 치.
  11. 피사체를 촬상하고 피사체 화상을 순차 생성하는 촬상수단을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이용한 촬상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순차 생성되는 피사체 화상을 복수의 화상영역으로 분할하는 처리,
    분할된 상기 복수의 화상영역의 각각에 대해 그 화소값을 평가하고 해당 각 화상영역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처리,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서 순차 생성된 복수의 피사체 화상간에 있어서의 해당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처리,
    산출된 각 화상영역의 상관도에 의거해서, 상기 피사체 화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KR1020090009727A 2008-02-08 2009-02-06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KR101004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9194 2008-02-08
JPJP-P-2008-029194 2008-02-08
JP2008253601A JP5105616B2 (ja) 2008-02-08 2008-09-30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8-253601 2008-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349A true KR20090086349A (ko) 2009-08-12
KR101004914B1 KR101004914B1 (ko) 2010-12-28

Family

ID=4063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727A KR101004914B1 (ko) 2008-02-08 2009-02-06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01388A1 (ko)
EP (1) EP2088768B1 (ko)
JP (1) JP5105616B2 (ko)
KR (1) KR101004914B1 (ko)
CN (1) CN101534394B (ko)
HK (1) HK1132604A1 (ko)
TW (1) TWI5085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11B1 (ko) * 2011-01-31 2013-01-02 국방과학연구소 부 영상 기반의 영상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침입영상 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4247B (zh) * 2010-02-11 2014-01-21 Altek Corp 對焦方法及攝像裝置
JP4998630B2 (ja) * 2010-03-30 2012-08-15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評価プログラム
CN102209196B (zh) * 2010-03-30 2016-08-03 株式会社尼康 图像处理装置及图像评价方法
TWI471678B (zh) * 2010-12-17 2015-02-01 Hon Hai Prec Ind Co Ltd 投影儀及其投影畫面自動調整方法
TWI519156B (zh) * 2011-06-29 2016-01-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方法與影像擷取系統
JP5868053B2 (ja) 2011-07-23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888614B2 (ja) * 2013-03-21 2016-03-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映像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374A (ja) * 1992-07-10 1994-02-04 Kyocera Corp 不要撮影を防止する電子スチルカメラ
JP3159186B2 (ja) * 1998-10-15 2001-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US7271830B2 (en) 2002-02-11 2007-09-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tion detection in an image capturing device
US7202908B2 (en) * 2002-09-04 2007-04-10 Darien K. Wallace Deinterlacer using both low angle and high angle spatial interpolation
TW200634674A (en) * 2005-03-28 2006-10-01 Avermedia Tech Inc Surveillance system having multi-area motion-detection function
US8169484B2 (en) 2005-07-05 2012-05-01 Shai Silberstein Photography-specific digital camera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JP5003991B2 (ja) * 2005-10-26 2012-08-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304528B2 (ja) * 2005-12-01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719584B2 (ja) * 2006-02-08 2011-07-06 富士通株式会社 動き検出プログラム、動き検出方法、動き検出装置、
EP1874043B1 (en) * 2006-02-20 2013-12-04 Panasonic Corporation Image pick up apparatus
JP4655957B2 (ja) * 2006-02-20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画像の歪み補正方法、撮像画像の歪み補正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07258862A (ja) * 2006-03-22 2007-10-04 Seiko Epson Corp 予め設定した撮影条件で待機して撮影を行う待機撮影
JP4974704B2 (ja) * 2007-02-22 2012-07-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11B1 (ko) * 2011-01-31 2013-01-02 국방과학연구소 부 영상 기반의 영상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침입영상 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4394A (zh) 2009-09-16
US20090201388A1 (en) 2009-08-13
HK1132604A1 (en) 2010-02-26
TW200943933A (en) 2009-10-16
JP2009213114A (ja) 2009-09-17
EP2088768A2 (en) 2009-08-12
CN101534394B (zh) 2012-02-01
EP2088768B1 (en) 2018-09-12
KR101004914B1 (ko) 2010-12-28
JP5105616B2 (ja) 2012-12-26
EP2088768A3 (en) 2010-05-05
TWI508548B (zh)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7014B2 (ja) 動体検出装置及び方法
US87867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TWI425826B (zh) 影像選擇裝置、影像選擇方法
JP5589527B2 (ja) 撮像装置および追尾被写体検出方法
KR101625893B1 (ko) 노출 조건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004914B1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KR101303410B1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US94897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object recognition focusing on object motion,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5736796B2 (ja) 電子カメラ、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25894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818466B2 (en) Notify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notifying method, image captu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9065573A (ja) 撮像装置、フォーカス制御方法、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
JP4645413B2 (ja) 撮像装置
JP714250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撮像装置
JP2008263478A (ja) 撮像装置
KR20110125077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15232620A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47595B2 (ja) 露出制御装置及びカメラ
JP5030883B2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028956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における対象物検出用画像信号の生成方法
JP2015118274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78486A (ja) 撮像装置
JP2006039254A (ja) カメラ
JP5683898B2 (ja) 追尾装置および追尾方法
JP7475846B2 (ja)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