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064A - 첩부제 및 첩부제의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첩부제 및 첩부제의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064A
KR20090085064A KR1020097010157A KR20097010157A KR20090085064A KR 20090085064 A KR20090085064 A KR 20090085064A KR 1020097010157 A KR1020097010157 A KR 1020097010157A KR 20097010157 A KR20097010157 A KR 20097010157A KR 20090085064 A KR20090085064 A KR 20090085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styrene
adhesive layer
adhesiv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히사 카와무라
타카시 사이토
준코 츄시야
Original Assignee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7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rosin or other plant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IS 블록 공중합체를 점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첩부제로서,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경감할 수 있는 첩부제를 제공한다.
첩부제는, 가요성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이 점착제층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의 tanδ값은,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적어도 1점에 대하여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0.25x+0.05≤y≤0.25x+0.10…수학식 1
(식중, x는 주파수(Hz), y는 tanδ이다.)

Description

첩부제 및 첩부제의 평가방법{ADHESIVE SKIN PATCH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ADHESIVE SKIN PATCH}
본 발명은, 첩부제(貼付劑;skin patch)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층(粘着劑層)을 구비한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첩부제의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 첩부용 첩부제(예를 들면, 플라스타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첩부제는 피부에 첩부됨으로써 약물을 경피적으로 흡수시키는 것이므로, 피부에의 점착성(첩착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첩부제의 점착성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검토가 행해지고 있지만,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용융에 의해 제조 가능하다는 점에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이하, SIS 블록 공중합체라고도 함)를 점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인도메타신, SIS 블록 공중합체, 유동 파라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점착제층 중에 함유하는 첩부제(특허 문헌 1 참조)나, SIS 블록 공중합체, 크로타미톤, 및 소염 진통약을 함유하는 첩부제(특허 문헌 2 참조)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첩부제에 의하면, 점착제층 중에 SIS 블록 공중합체를 배합했기 때문에,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용융에 의해 제조 가능하므로, 용이하면서도,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환경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30250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평 4-321624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첩부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전술한 첩부제는 자착(自着)(여기에서, 자착이란 첩부제의 점착제층면끼리의 점착력, 첩부성 등을 의미한다. 점착제층면 이외의 대상물에 접착되지 않는다는 개념을 포함하는 것이 아님)력이 너무 강하므로, 박리 필름을 박리할 때, 첩부제를 피부에 첩부할 때, 재첩부할 때 등에 있어서, 점착제층면끼리가 첩부되기 쉽고, 또한 첩부한 면을 벗겨내기 곤란하다.
둘째, 전술한 첩부제는 피부에 대한 점착력도 너무 강하므로, 피부로부터 박리될 때 사용자에게 큰 통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SIS 블록 공중합체를 점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첩부제로서,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경감할 수 있는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動的粘彈性) 측정에 의해 결정되는 점착제의 tanδ를 소정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경감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가요성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적어도 1점에 대하여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첩부제.
0.25x+0.05≤y≤0.25x+0.10…수학식 1
(식중, x는 주파수(Hz), y는 tanδ이다.)
(2)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1)에 기재된 첩부제.
(3) 가요성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적어도 1점에 대하여 이하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첩부제.
0.25x+0.05≤y≤0.65x+0.09…수학식 2
(식중, x는 주파수(Hz), y는 tanδ이다.)
(4)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3)에 기재된 첩부제.
(5)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可塑劑)를 추가로 함유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제.
(6) 상기 점착제층 전체에 대하여,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이며,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이며,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2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인 (5)에 기재된 첩부제.
(7)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질량비(스티렌/이소프렌)가 20/80 이상 25/75 이하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제.
(8) 가요성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에 대하여,
상기 첩부제가 적용되는 대상의 온도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32℃,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을 소정 범위로 하였기 때문에, SIS 블록 공중합체를 점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첩부제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32℃,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을 소정 범위로 하였기 때문에, SIS 블록 공중합체를 점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첩부제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첩부제에 있어서의 주파수와 tan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첩부제에 있어서의 특정 범위의 주파수와 tan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한 첩부제가, 자착시에 있어서, 박리되는데 필요로 하는 평균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가요성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첩부제는 주로 피부 첩부용이며, 플라스타제, PAP제, 테이프제, 반창고, 시트제, 창상 피복제, 화장용 팩제 등이 포함되지만, 공업용 테이프는 포함되지 않는다.
<점착제층>
첩부제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은 SIS 블록 공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모든 성분을 점착제라고 부른다.
[SIS 블록 공중합체]
SIS 블록 공중합체는 고무계 점착제의 일종이며, A-B-A형 중합체에 속하는 것으로서, 말단 블록의 A가 폴리스티렌, 고무 중간 블록의 B가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지는 분자 구조 모델을 가지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SIS 블록 공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용액 점도(MPa·s[cps], 25℃)는 약 100~3000 정도의 것이면 되고, 스티렌과 이소프렌의 질량비는 10/90~30/70이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과 이소프렌의 질량비(스티렌/이소프렌)가 20/80~25/75이다. 이와 같이, 스티렌 질량비가 큰 SIS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점착제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시판중인 SIS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고무비(질량%)가 15/85이며, 용액 점도(MPa·s[cps], 25℃)가 1,500인 것(상품명: 크레이톤 D-1107), 스티렌/고무비(질량%)가 15/85이며, 용액 점도(MPa·s[cps], 25℃)가 900인 것(상품명: 크레이톤 D-1112), 스티렌/고무비(질량%)가 17/83이며, 용액 점도(MPa·s[cps], 25℃)가 500인 것(상품명: 크레이톤 D-1117 P), 스티렌/고무비(질량%)가 22/78인 것(상품명: 크레이톤 D-KX401), 스티렌/고무비(질량%)가 16/84인 것(상품명: 크레이톤 D-KX406), 스티렌/고무비(질량%)가 30/70이며, 용액 점도(MPa·s[cps], 25℃)가 300인 것(상품명: 크레이톤 D-1125x), 스티렌/고무비(질량%)가 10/90이며, 용액 점도(MPa·s[cps], 25℃)가 2,500인 것(상품명: 크레이톤 D-1320x)을 들 수 있다(모두 JSR 크레이톤엘라스토머사 제품). 본 발명에 사용되는 SIS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함유되는 것이면 되지만, 스티렌/고무비(질량%)가 22/78인 것(상품명: 크레이톤 D-KX401)이 바람직하다.
SIS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점착제 전체에 대하여 10~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SIS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너무 작으면 응집력이 불충분해지는 한편, 너무 크면 피부 첩착성이 불충분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점착 부여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 부여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지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합성 석유 수지)나 로진 에스테르 유도체,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지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알콘 P-100(상품명)"(고우텐가가쿠고교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로진 에스테르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에스테르검 H(상품명)"(고우텐가가쿠고교사 제품), "KE-311(상품명)"(고우텐가가쿠고교사 제품), "KE-100(상품명)"(고우텐가가쿠고교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테르펜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YS 레진(상품명)"(야스하라케미컬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함유되는 것이면 된다.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 전체에 대하여 10~3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너무 작으면, 점착력이 불충분해지는 한편,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너무 크면, 점착력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피부로부터 박리될 때 사용자가 큰 통증을 느끼게 된다.
[가소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경화유, 경화 피마자유, 옥틸도데칸올 등의 고급 알코올, 스쿠알란, 스쿠알렌, 피마자유, 액상 고무(폴리부텐),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소제는 예를 들면,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함유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이들 중에서는, 유동 파라핀, 경화유, 경화 피마자유가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점착제 전체에 대하여 20~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함유량이 너무 작으면,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경화되므로, 점착력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가소제의 배합량이 너무 크면,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연화되므로, 끈적임이 발생하거나, 피부로부터 박리될 때 큰 통증을 주거나, 끈적임이 남기 쉬워진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질량%,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이다.
[임의 성분]
첩부제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은 상기의 성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약제 성분, 부형제(賦形劑)나 항산화제, 약물 용해제, 경피 흡수 촉진제, 향료, 착색료 등 의 임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 성분은,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라도 된다.
(약제 성분)
약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신 마취제, 수면, 진통제, 소염 진통제,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흥분·각성제, 정신 신경용제, 국소 마취제, 골격근 이완제, 자립 신경용제, 항알레르기제, 항히스타민제, 강심제, 부정맥용제, 이뇨제, 혈압 강하제,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칼슘 길항제, 항살균제, 기생성 피부 질환용제, 피부 연화제, 항생 물질, 해독제, 진해제, 진양제, 최면제, 정신 활력제, 천식제, 호르몬 분비 촉진제, 항궤양제, 제암제, 비타민제, 피부 미용 성분 등의 미백 효과가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의 용도가 국소 작용형 첩부제인 경우, 이 첩부제에 포함되는 약제로서 예를 들면,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루비프로펜, 록소프로펜, 록소프로펜나트륨, 피록시캄, 메록시캄, 케트로락, 페르비낙, 디클로페낙, 디클로페낙나트륨 등의 소염 진통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페르비낙, 록소프로펜, 디클로페낙,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점착제층 전체에 대하여 0.1~20질량% 정도이면 된다.
(부형제)
부형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무수 규산, 경질 무수 규산, 함수 규산 등의 규소 화합물,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 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수용성 고분자,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겔, 함수 규산 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 화합물, 카올린,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
항산화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토코페롤에스테르 유도체, 부틸히드록시아니솔,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약물의 용해제·경피 흡수 촉진제)
약물의 용해제나 경피 흡수 촉진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에틸렌글리콜(평균 분자량은 200~30000),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시트르산 등의 지방산,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카프릴산모노글리세리드, 카프릴산트리글리세리드,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지방산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 멘톨, 멘톨 유도체, 박하유, 리모넨 등의 테르펜류, N-메틸-2-피롤리돈, 크로타미톤,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 직포, 부직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 등의 필름; 또는 우레탄,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함유될 수도 있다.
<라이너>
본 발명의 첩부제는 가요성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일면상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이지만, 통상 점착제층 상에 박리 가능한 라이너가 적층된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박리 가능한 라이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 등의 필름, 알루미늄이 증착된 금속성의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라이너 표면에 실리콘 처리 등의 박리 처리가 행해진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박리 가능한 라이너"로서는 예를 들면, 직선 또는 곡선형의 베인 자국을 구비하는 것, 2 이상의 라이너가 일부 중합된 형태의 것, 되접어 꺾인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용이하게 박리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점착제의 제조)
본 발명의 첩부제는 SIS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 원재료 조성물을 용융 개시 시점으로부터 용융 상태가 될 때까지(실온~250℃), 필요에 따라 더욱 용융 상태로 하여, 전단(剪斷) 부하 조건(50rpm~1500rpm의 교반속도)에서 헨셀 믹서(등록 상표) 등에 의하여 혼합 교반하여 점착제를 제조한다. 이 방법으로 제조하면, 본 발명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가지는 점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혼합 교반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원재료 조성물을 용융 개시 시점으 로부터 용융 상태가 될 때까지 행하면 된다. 혼합 교반시에 있어서의 온도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은 전단 부하와 병행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의 교반 속도는 50r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rp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혼합 교반에 사용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헨셀 믹서(등록 상표), 니더, 오픈 롤, 믹싱 롤, 인터널 믹서, 뱀버 믹서, 플라스트 밀, 2축 혼련기, 압출 혼련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고속 교반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헨셀 믹서(등록 상표)가 바람직하다.
(첩부제(플라스타제)의 제조)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지지체 상에 도포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90μm~25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너무 크면 사용시에 의류 등에 첩부제의 끝 부분이 걸려서 벗겨지기 쉬워지는 한편, 너무 작으면 첩부제의 지지성이 없어져서 첩부의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조 기기나 제조 스케일 등에 따라서, 온도 조건, 교반 회전수, 교반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적어도 1점에 대하여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점착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0.25x+0.05≤y≤0.25x+0.10…수학식 1
(식중, x는 주파수(Hz), y는 tanδ이다.)
<tanδ의 측정>
tanδ(지연각)란 하기 식에 따라 손실 탄성률(G") 및 저장 탄성률(동적 전단 탄성률)(G')에 의해 산출되는 물리적 특성값이다.
tanδ=G"/G'
tanδ의 측정은 예를 들면, 측정 장치로서 레오메트릭다이나믹 아날라이저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행해진다.
먼저, 첩부제로부터 점착제를 취하고, 이 점착제 50mg~75mg을 상기 장치 내의 원통형 지그에 협지한다. 이어서, 32℃에 있어서, 주파수를 0.01Hz에서 80Hz까지 공비(公比) 1.259Hz로 증가시켜 왜곡을 가했을 때의 응력을 검출하고, 이 검출값에 따라 손실 탄성률(G")과 저장 탄성률(동적 전단 탄성률)(G')을 산출하고, tanδ값을 얻는다.
본 발명의 첩부제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적어도 1점에 대하여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0.25x+0.05≤y≤0.25x+0.10…수학식 1
(식중, x는 주파수(Hz), y는 tanδ이다.)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은, 취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임의의 점」이란,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에 있어서의 모든 측정점을 의미하며, 모든 측정점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첩부제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적어도 1점에 대하여 이하의 수학식 2를 만족한다.
0.25x+0.05≤y≤0.65x+0.09…수학식 2
(식중, x는 주파수(Hz), y는 tanδ이다.)
본 발명의 첩부제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적어도 1점에 대하여 이하의 수학식 3 또는 4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25x+0.05≤y≤0.25x+0.10…수학식 3
0.35x+0.04≤y≤0.65x+0.09…수학식 4
0.35x+0.04≤y≤0.25x+0.10…수학식 5
(식중, x는 주파수(Hz), y는 tanδ이다.)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은, 취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수학식 2~5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임의의 점」이란,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에 있어서의 모든 측정점을 의미하며, 모든 측정점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관점에 있어서, 점착제는, 32℃, 주파수 0.10 Hz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0.065 이상 0.16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75 이상 0.15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9 이상 0.154 이하이다.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점착제는, 32℃, 주파수 0.05 Hz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0.053 이상 0.15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625 이상 0.143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25 이상 0.113 이하이다.
그런데, 32℃는, 첩부제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인간 표피의 평균 온도이다. 이 때문에,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사용시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첩부제가 적용되는 대상의 온도가 변화한 경우에는, 그 온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에 기초하여 첩부제의 평가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첩부제가 적용되는 대상의 온도」란, 첩부제의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첩부제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45℃이상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3℃ 이상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에 의해 어떠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헨셀 믹서(등록상표, 미츠이코우잔사 제품) 내에, 가소제로서의 유동 파라핀(모레스코화이트 P-350P; 마츠무라세키유겐큐쇼 제품) 4162.5g에, 항산화제로서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22.5g과, 점착 부여제로서의 미리 가온한 "에스테르검 H(상품명)"(아라카와가가쿠고교사 제품) 2250g을 첨가하고, 회전수 200rpm, 온도 100℃의 조건으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스티렌과 이소프렌의 질량비(스티렌/이소프렌)가 22/78인 SIS 블록 공중합체(D-KX401CS; JSR 크레이톤엘라스토머사 제품) 2250g을 첨가하고, 회전수 900rpm, 온도 100℃의 조건하에서 전단을 하면서, 190℃로 상승시켜서 혼합물을 용해하였다.
이어서, 이 용해물을 회전수 900rpm으로 전단을 하면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 교반물에 약물의 용해제나 경피 흡수 촉진제로서 l-멘톨 135g, N-메틸-2-피롤리돈 180g을 첨가하고 혼합 교반함으로써,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조한 점착제를 100g/m2 눈금의 메리야스(폴리에스테르제)상에 150μm의 두께가 되도록 전연(展延)하고, 이 점착제 상에 실리콘 처리한 라이너(PET제)를 적층함으로써, 첩부제(플라스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유동 파라핀의 첨가량을 3870g, l-멘톨의 첨가량을 270g, 디부틸히드록시톨 루엔의 첨가량을 90g으로 하고, 또한 디클로페낙나트륨 90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디클로페낙나트륨 대신에 케토프로펜을 첨가하고, 「에스테르검 H(상품명)」 대신에 「KE-100(상품명)」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유동 파라핀의 첨가량을 3847.5g,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의 첨가량을 112.5g으로 하고, 「KE-100(상품명)」 대신에 「에스테르검 H(상품명)」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유동 파라핀의 첨가량을 3856.5g, N-메틸-2-피롤리돈의 첨가량을 360g으로 하고, 「에스테르검 H(상품명)」 대신에 「KE-100(상품명)」를 사용하고, 또한 인도메타신 90g, 시트르산 36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유동 파라핀의 첨가량을 3654g,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의 첨가량을 45g으로 하고, 또한 경화유 180g을 첨가하고, 인도메타신 대신에 디클로페낙나트륨을 첨가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D-KX401CS(상품명)」의 첨가량을 3150g, 「에스테르검 H(상품명)」의 첨가량을 2700g, 유동 파라핀의 첨가량을 3150g으로 하고, 또한, N-메틸-2-피롤리돈, l-멘톨, 및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D-KX401CS(상품명)」의 첨가량을 1800g, 유동 파라핀의 첨가량을 3510g, l-멘톨의 첨가량을 90g으로 하고, 또한, 경화유 180g 및 페르비낙 90g을 첨가하고,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을 첨가하지 않고, 「에스테르검 H(상품명)」 대신에 「KE-100(상품명)」3510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D-KX401CS(상품명)」의 첨가량을 1350g, 「에스테르검 H(상품명)」의 첨가량을 2700g, 유동 파라핀의 첨가량을 3960g으로 하고, 또한, 스틸렌과 이소프렌의 질량비(스틸렌/이소프렌)가 15/85인 SIS 블록 공중합체(D-1107;JSR 크레이톤엘라스토머사 제품) 900g 및 케토프로펜 90g을 첨가하고, 또한, N-메틸-2-피롤리돈, l-멘톨, 및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D-KX401CS(상품명)」의 첨가량을 2700g, 유동 파라핀의 첨가량을 3127.5g, N-메틸-2-피롤리돈의 첨가량을 450g,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의 첨가량을 22.5g, 시트르산의 첨가량을 45g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N-메틸-2-피롤리돈의 첨가량을 270g으로 하고, 「D-KX401CS(상품명)」 대신에 「D-1107(상품명)」를 첨가하고, 케토프로펜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유동 파라핀의 첨가량을 3780g, N-메틸-2-피롤리돈의 첨가량을 270g으로 하고, 「D-KX401CS(상품명)」 대신에 「D-1107(상품명)」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여, 첩부제(플라스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2의 조성의 개략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9029657361-PCT00001
SIS: SIS 블록 공중합체
EGH: 에스테르검 H(로진 에스테르 유도체)
KE: KE-100(로진 에스테르 유도체)
BHT: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LP: 유동 파라핀
NMP: N-메틸-2-피롤리돈
L-MEN: l-멘톨
KP: 케토프로펜
DFNa: 디클로페낙나트륨
ID: 인도메타신
FB: 페르비낙
실시예 1~10, 비교예 1~2, 및 SIS 점착제를 함유하는 시판되는 첩부제 a~g에 대하여, 그 점착제의 물리적 특성치(tanδ)를 측정함으로써, 자착성(취급성), 피부 자극성, 피부 첩착성, 및 수분 존재 하에서의 피부 첩착성(내수성)을 평가하였다. 시판품은, 각각, 시판품 a 「모라스테이프」(히사미츠제약사 제품), 시판품 b 「야크반」(도쿠혼사 제품), 시판품 c 「플렉스」(히사미츠제약사 제품), 시판품 d 「파르켄」(유토쿠약품공업사 제품), 시판품 e 「라이라테이프」(테이코쿠메디크스사 제품), 시판품 f 「보르타렌테이프」(노바티스파마사 제품), 시판품 g 「케토 택스」(토코약품공업사 제품)이다.
[시험예 1]tanδ의 측정
레오메트릭다이나믹 아날라이저 「Dynamic Analyzer RDAIII(상품명)」(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사 제품)을 사용하여, 점착제의 저장 탄성률(G') 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각 첩부제의 점착제층으로부터 점착제를 취하여, 약 65mg의 점착제를 원통형의 지그에 협지하였다. 이 점착제를, 32℃에 있어서, 주파수를 0.01 Hz에서 80 Hz까지 공비 1.259 Hz로 증가시켜, 1%의 왜곡을 가하였을 때의 응력을, 12초 마다 측정하여 플롯하였다. 플레이트 판은 직경 25 mm의 병행(竝行) 평판을 사용하고, 클리어런스(Gap)를 1.2mm로 하고, PC 소프트(Orchestrator Ver.6.5.6;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사 제품)를 사용하여 G' 및 G"를 산출하였다. tanδ(=G"/G')를, 마찬가지로 PC 소프트웨어(Orchestrator Ver. 6.5.6; 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사 제품)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측정 조건>
·주파수: 0.01~80Hz(공비 1.259Hz로 증가)
·온도: 32℃
·측정 플롯: 12초마다 측정 플롯하였다.
·플레이트 판: 병행 평판, 직경 25mm
·클리어런스(Gap): 1.2mm
·변형량: 1%
실시예 1~10,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점착제, 및 시판품 a~g가 가지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들 32℃에 있어서의 tanδ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주파수와 tanδ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한편, 도 1은 0.01~80 Hz의 전역에 걸친 주파수와 tanδ와의 관계를 대수(對數) 표시한 그래프이며, 도 2는 주파수 0~0.30 Hz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그래프이다.
Figure 112009029657361-PCT00002
[시험예 2]취급성의 평가
 첩부제의 라이너를 벗긴 후, 상기 시판품 a~g 및 실시예 1~10, 비교예 1~2의 첩부제(10cm×7cm)의 점착제층면을 서로 부착하고 2개로 접었다. 이를 원래대로 분리했을 경우의 박리 용이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저항 없이 벗길 수 있다.
○: 벗기는데 약간 저항감이 있다.
△: 벗기기가 약간 어렵다.
×: 원래대로 벗기는 것이 곤란하고, 점착제층이 일부 벗겨진다.
[시험예 3] 피부 자극성(박리시의 통증)의 평가
상기 시판품 a~g 및 실시예 1~10, 비교예 1~2의 첩부제(10cm×7cm)를 모니터 5명의 우측 상완부에 첩부하였다. 각 첩부제를 우측 상완부로부터 박리할 경우에 느껴지는 통증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전혀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 약간 통증을 느낀다.
△: 통증을 느낀다.
×: 강한 통증을 느낀다.
[시험예 4] 피부 첩착성의 평가
상기 시판품 a~g 및 실시예 1~10, 비교예 1~2의 첩부제(10cm×7cm)를 모니터 5명의 우측 상완부에 첩부하였다. 8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각 첩부제의 피부 첩부 상태(박리 상황)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피부에 전체적으로 첩부되어 있는 것을 "박리 없음"으로 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박리 없음.
○: 매우 가벼운 정도의 박리 있음.
△: 4곳의 모서리 등에 약간 넓은 박리 있음.
×: 넓은 범위에 박리 있거나, 또는 첩부 부위의 큰폭의 어긋남 있음.
[시험예 5] 수분 존재 하에서의 피부 첩착성(내수성)의 평가
상기 시판품 a~g 및 실시예 1~10, 비교예 1~2의 첩부제(10cm×7cm)를 모니터 5명의 우측 상완부에 정제수를 분무한 후, 시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각 첩부제의 피부 첩착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예 2~5에 의한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29657361-PCT00003
표 2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9에서 제조된 점착제는 모두,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이에 대하여, 시판품 a~g 및 비교예 1~2에는,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어느 1점에 대하여도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이 없었다.
또한, 실시예 1~10에서 제조된 점착제는 모두,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이에 대하여, 시판품 a~g 및 비교예 1~2에는,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어느 1점에 대하여도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이 없었다.
한편,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0에서 제조된 첩부제는 모두, 취급성, 피부 첩착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피부에 주는 자극을 저감할 수 있음을 알았다. 이에 대하여, 시판품 a~g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첩부제는, 취급성, 피부 첩착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피부에 주는 자극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시험예 6]취급성의 평가
실시예 6 및 시판품 a, f의 지지체측에 패킹테이프를 붙여 각 첩부제를 보강한 후, 2.5cm폭으로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단편(斷片)을 얻었다. 이어서, 각 시험편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한 후, 서로의 점착제층면끼리를 붙이고, 그 위에서 2kg의 롤러를 한차례 왕복시킴으로써 압착시켰다. 계속해서, 패킹테이프로 손잡이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이 시험편을 인장시험기의 상부 및 하부 클램프로 협지하고, 300mm/분의 속도로 시험편을 박리시켜, 완전하게 박리할 때까지의 하중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3회 행하고, 측정된 하중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첩부제는, 시판품 a, f에 비해서, 현격히 작은 하중에 의해 박리되었다. 즉,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첩부제는, 자착하였을 때에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이상에 의해, SIS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의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에 대하여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으로 함으로써, 뛰어난 피부 첩착성을 가지며, 취급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경감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SIS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의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에 대하여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으로 함으로써, 뛰어난 피부 첩착성을 가지며, 취급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경감할 수 있음을 알았다.
이상의 결과는, 다른 관점에서 평가한다면, 첩부제의 대표적인 적용 대상인 인간 표피의 평균적 온도인 32℃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에 기초하면, 사용시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피부 첩착성, 취급성, 내수성, 및 사용자에게 주는 자극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Claims (8)

  1. 가요성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적어도 1점에 대하여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첩부제.
    0.25x+0.05≤y≤0.25x+0.10…수학식 1
    (식중, x는 주파수(Hz), y는 tanδ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25 Hz 이하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첩부제.
  3. 가요성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적어도 1점에 대하여 이하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첩부제.
    0.25x+0.05≤y≤0.65x+0.09…수학식 2
    (식중, x는 주파수(Hz), y는 tanδ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32℃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주파수 0.04 Hz 이상 0.10 Hz 이하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인 첩부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첩부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전체에 대하여,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이며,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이며,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2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인 것인 첩부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스틸렌 및 이소프렌의 질량비(스틸렌/이소프렌)가 20/80 이상 25/75 이하인 것인 첩부제.
  8. 가요성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에 대하여,
    상기 첩부제가 적용되는 대상의 온도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하는 방법.
KR1020097010157A 2006-11-30 2007-11-29 첩부제 및 첩부제의 평가방법 KR20090085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24460 2006-11-30
JP2006324460 2006-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064A true KR20090085064A (ko) 2009-08-06

Family

ID=3946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157A KR20090085064A (ko) 2006-11-30 2007-11-29 첩부제 및 첩부제의 평가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89000B2 (ko)
JP (1) JP5546131B2 (ko)
KR (1) KR20090085064A (ko)
CN (2) CN101553257B (ko)
CA (1) CA2670971A1 (ko)
WO (1) WO2008066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254A1 (ja) * 2011-05-31 2012-12-06 久光製薬株式会社 ロピニロール含有貼付剤及びその包装体
WO2014097422A1 (ja) * 2012-12-19 2014-06-26 ニチバン株式会社 顔面用貼付材
US9931239B2 (en) 2013-02-07 2018-04-03 Hollister Incorporated Asymmetric multilayer film for ostomy application
US9050387B2 (en) 2013-02-07 2015-06-09 Hollister Incorporated Sound absorbing ostomy pouch
WO2018155682A1 (ja) * 2017-02-27 2018-08-30 帝國製薬株式会社 リバスチグミン含有経皮吸収型製剤
EP3730999B1 (en) * 2017-12-20 2023-07-19 Lg Chem, Ltd. Transmission variable film and use thereof
US11662299B2 (en) * 2018-03-22 2023-05-30 Sealantium Medical Lt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dhesive force of a hemostatic tissue sealant patch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0364A (en) * 1982-08-26 1984-07-17 Personal Products Company Pressure sensitive hot melt adhesive for sanitary products
JPS604125A (ja) * 1983-06-22 1985-01-10 Sekisui Chem Co Ltd 貼着薬
JP2572763B2 (ja) * 1987-04-02 1997-01-16 帝國製薬株式会社 エトフェナマ−ト含有貼付薬
JP3541849B2 (ja) 1991-04-19 2004-07-14 久光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JPH07165563A (ja) * 1993-12-08 1995-06-27 Sekisui Chem Co Ltd テープ製剤
PL179757B1 (pl) * 1994-10-28 2000-10-31 Kimberly Clark Co Wyrób chlonny PL PL PL PL
KR20000069655A (ko) * 1996-12-23 2000-11-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피부에 확고히 국소 부착되고 편안하게 떼어지는 접착제
WO1998028015A1 (en) * 1996-12-23 1998-07-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pophilic adhesive for secure topical attachment to the skin and comfortable removal
JP3586112B2 (ja) * 1998-08-27 2004-11-10 独立行政法人 科学技術振興機構 マイクロスクラッチ試験機を使用した薄膜付着強度測定方法
JP4282833B2 (ja) * 1999-06-22 2009-06-24 大洋パッキング株式会社 粘弾性ダンパーの製造方法
JP4584381B2 (ja) * 1999-07-30 2010-11-17 久光製薬株式会社 フェルビナク含有貼付剤
US6300827B1 (en) * 1999-12-09 2001-10-0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scaded ground return amplifier
WO2001043729A1 (fr) * 1999-12-15 2001-06-2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reparations d'adhesifs
US6924410B2 (en) 2000-03-17 2005-08-0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Ltd. Ultraviolet-screening patch
JP4625157B2 (ja) * 2000-04-27 2011-02-02 ニプロパッチ株式会社 インドメタシン貼付剤
US6914169B1 (en) 2000-05-19 2005-07-05 Hisamitsu Pharmaceutical., Inc. Patch agent
JP2002226366A (ja) * 2001-02-02 2002-08-14 Yuutoku Yakuhin Kogyo Kk 外用貼付剤
JP2002363070A (ja) * 2001-06-06 2002-12-18 Yuutoku Yakuhin Kogyo Kk 経皮吸収貼付剤
JP2003183156A (ja) * 2001-12-21 2003-07-03 Yuutoku Yakuhin Kogyo Kk 外用貼付剤
JP3668728B2 (ja) * 2002-08-26 2005-07-06 祐徳薬品工業株式会社 外用貼付剤及び外用貼付剤中の薬物のエステル化抑制方法
EP1574227A1 (en) * 2004-03-09 2005-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fastening performance to hydrophobic materials, particularly microfibre materials
JP2004315542A (ja) * 2004-08-11 2004-11-11 Yuutoku Yakuhin Kogyo Kk 外用貼付剤及び外用貼付剤中の薬物のエステル化抑制方法
JP2006169160A (ja) * 2004-12-15 2006-06-29 Yuutoku Yakuhin Kogyo Kk 外用貼付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96446B1 (ko) * 2005-06-01 2014-05-20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제
JP4939113B2 (ja) * 2005-06-01 2012-05-23 ニプロパッチ株式会社 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6115A1 (fr) 2008-06-05
CN102252962B (zh) 2014-02-19
CN102252962A (zh) 2011-11-23
JP5546131B2 (ja) 2014-07-09
US8389000B2 (en) 2013-03-05
CN101553257B (zh) 2013-04-03
CN101553257A (zh) 2009-10-07
CA2670971A1 (en) 2008-06-05
US20100028411A1 (en) 2010-02-04
JPWO2008066115A1 (ja)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5120A (ko) 첩부제
KR20090085064A (ko) 첩부제 및 첩부제의 평가방법
MX2012011355A (es) Parche de suministro transdermico.
CA2525470C (en) External patch containing estrogen and/or progestogen
WO2006090782A1 (ja) 含水系外用貼付剤用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貼付剤
JP4939113B2 (ja) 貼付剤
JP4625157B2 (ja) インドメタシン貼付剤
CN104394858A (zh) 经皮吸收促进剂及含有其的贴附剂
KR20100014511A (ko)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
EP2143445B1 (en) Medicated patch
WO1999036061A1 (fr) Plastifiant et timbre adhesif contenant ce plastifiant
JP5842304B2 (ja) 外用貼付剤
JP4283507B2 (ja) 経皮投与用貼付剤
KR20060126913A (ko) 저자극성 첩부제
KR20220161277A (ko) 첩부제
JP5226230B2 (ja) 貼付剤用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887548B2 (ja) 使用性の改善された含水性皮膚外用貼付剤
WO2023210689A1 (ja) 貼付剤
AU2011324394B2 (en) Felbinac-containing external patch
JPH0517346A (ja) 医療用貼付剤
JPH0568266B2 (ko)
JP5704801B2 (ja) 粘着性組成物及び経皮吸収型製剤
JP4507219B2 (ja) 経皮吸収型消炎鎮痛貼付剤
JP2020164471A (ja) 貼付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24

Effective date: 2015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