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277A - 첩부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277A
KR20220161277A KR1020227030233A KR20227030233A KR20220161277A KR 20220161277 A KR20220161277 A KR 20220161277A KR 1020227030233 A KR1020227030233 A KR 1020227030233A KR 20227030233 A KR20227030233 A KR 20227030233A KR 20220161277 A KR20220161277 A KR 2022016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patch
adhesive lay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키 토미야
히로타카 조우도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2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과제) 소염진통약 및 온감자극약을 함유하는 첩부제로서, 온감자극이 충분히 있으면서 땀에 강하고, 점착제 잔류물이 적으며 부착성이 향상된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지지체의 한쪽 면에 소염진통약 및 온감자극약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설치된 첩부제에 관한 것으로,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Tg)를 -40℃ 이상 -10℃ 이하로 하고, 45℃에 있어서의 동적점탄성 측정(주파수 6.2832(rad/s))에 의해 얻어지는 tanδ(지연각)값을 0.30 이상 0.55 이하로 하고, 특정 배합의 점착제 조성물은 땀에 강하고, 점착제 잔류물이 적으며 부착성이 양호하다.

Description

첩부제
본 발명은 첩부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체의 한쪽 면에 소염진통약 및 온감자극약을 함유하는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부첩부용 첩부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첩부제는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약물을 경피적으로 흡수시키는 것인 점에서 피부에 대한 점착성이 중요해진다.
예를 들어 인도메타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블록공중합체, 유동파라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점착제층 중에 함유하는 첩부제(특허문헌 1 참조)나 SIS 블록공중합체, 크로타미톤 및 소염진통약을 함유하는 첩부제(특허문헌 2 참조)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첩부제에 의하면 점착제층 중에 SIS 블록공중합체를 배합함으로써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용해로 제조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용이하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 중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유리전이온도(Tg)와 동적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특정됨으로써 내수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박리시에 사용자에게 주는 피부자극을 경감할 수 있는 첩부제(특허문헌 3 참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1-30250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4-321624호 공보 <특허문헌 3> 국제공개 제2006/129745호
그렇지만 전술한 종래의 첩부제에는 온감자극약을 점착제에 함유함으로써 첩부중에 발한하여 부착력이 약해져서 첩부제가 떨어지거나 혹은 첩부 후에 피부측에 점착제가 남는 이른바 “점착제 잔류물”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소염진통약 및 온감자극약을 함유하는 첩부제로서, 온감자극이 충분히 있으면서 땀에 강하고, 점착제 잔류물이 적으며 부착성이 향상된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 (1) 내지 (4)를 대상으로 한다.
(1)
포백의 지지체의 한쪽 면에 소염진통약 및 온감자극약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설치된 첩부제로서,
해당 점착제층은 그 총질량을 100 질량%로 하였을 때
(a) 엘라스토머를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b) 점착 부여 수지를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c) 가소제를 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d) 온감자극약을 0.005 질량% 이상 0.1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e) 소염진통약을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f) 임의로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해당 점착제층은 그 유리전이온도(Tg)가 -40℃ 이상 -10℃ 이하이고,
해당 점착제층은 45℃에 있어서의 동적점탄성 측정(주파수 6.2832(rad/s))에 의해 얻어지는 tanδ(손실탄젠트)값이 0.30 이상 0.55 이하인 첩부제.
(2)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
(a) 상기 엘라스토머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이고, 해당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33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고,
(b)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고,
(c)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 19 질량% 이하이고,
(d) 상기 온감자극약의 함유량은 0.02 질량% 이상 0.05 질량% 이하이고,
(e) 상기 소염진통약의 함유량은 6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고,
(f) 임의로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1)에 기재된 첩부제.
(3)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
(a) 상기 엘라스토머가 천연고무 및 폴리이소부티렌이고, 이들 함유량의 합계는 29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이고,
(b)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23 질량% 이상 28 질량% 이하이고,
(c)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21 질량% 이상 29 질량% 이하이고,
(d) 상기 온감자극약의 함유량은 0.03 질량% 이상 0.05 질량% 이하이고,
(e) 상기 소염진통약의 함유량은 7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고,
(f) 임의로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1)에 기재된 첩부제.
(4)
온감자극약이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첩부제.
본 발명에 의하면 포백의 지지체의 한쪽 면에 소염진통약 및 온감자극약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설치된 첩부제로서, 온감자극약을 점착제 중에 배합한 경우라도 땀에 강하고, 점착제 잔류물이 적으며 부착성이 양호한 첩부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첩부제에 있어서 그 점착제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서는 첩부제의 배합성분의 검토에 더하여, 점착제의 유리전이점 및 45℃에 있어서의 동적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은 특정 범위가 되는 조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의 각각의 적합한 배합범위 외에 점착제의 유리전이점 및 45℃에 있어서의 동적점탄성 측정을 규정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포백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첩부제의 대상은 인간 피부이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점착제층은 (a) 엘라스토머, (b) 점착 부여 수지, (c) 가소제, (d) 온감자극약, (e) 소염진통약, 및 (f) 임의로 그 외의 성분을 함유한다. 각 성분의 비율(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량을 100 질량%로 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a) 엘라스토머가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 (b) 점착 부여 수지가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 (c) 가소제가 6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d) 온감자극약이 0.005 질량% 이상 0.1 질량% 이하; (e) 소염진통약이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 및 (f) 임의로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한다.
(a) 엘라스토머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엘라스토머로서는 천연고무 외에 합성고무를 들 수 있다. 합성고무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티렌(이하, “PIB”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이하, “SIS”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고, 바람직한 합성고무로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해당 점착제층의 전량(100 질량%)에 대하여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고, 엘라스토머로서 SIS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동 33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또한 엘라스토머로서 천연고무 및 PIB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동 29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점착 부여 수지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이용되는 점착 부여 수지는 첩부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로진에스테르 수지, 수소 첨가 로진에스테르 수지 등의 로진계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석유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점착 부여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해당 점착제층의 전량(100 질량%)에 대하여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 특히 상기 엘라스토머가 SIS인 경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동 3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상기 엘라스토머가 천연고무 및 PIB인 경우에는 동 23 질량% 이상 28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c) 가소제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이용되는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동파라핀, 폴리부텐, 액상 폴리이소부티렌(이하, “액상 PIB”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소제는 예를 들어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에서는 유동파라핀, 폴리부텐, 액상 폴리이소부티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 가소제의 함유량은 해당 점착제층의 전량(100 질량%)에 대하여 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점착제층이 과잉으로 경화하기 때문에 점착력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가소제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점착제층이 과잉으로 연화하기 때문에 끈적거림을 일으키거나 피부로부터 박리될 때에 큰 통증을 주거나 점착제 잔류물을 발생시키기 쉬워지거나 한다. 또한 해당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엘라스토머가 SIS인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19 질량% 이하이고, 상기 엘라스토머가 천연고무 및 PIB인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질량% 이상 29 질량% 이하이다.
(d) 온감자극약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이용되는 바람직한 온감자극약으로서는 예를 들어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캡사이신 및 고추엑기스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노닐산바닐릴아미드를 들 수 있다. 온감자극약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온감자극약은 점착제층의 전량(100 질량%)에 대하여 0.005 질량% 이상 0.1 질량% 이하의 비율로 그 중에서도 0.02 질량% 이상 0.05 질량%의 비율(농도)로 상기 점착제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감자극약의 함유비율이 너무 낮으면 충분한 온감효과를 얻기가 어려워지고, 너무 높으면 피부의 발적이 현저하고, 강한 통증을 느낄 우려가 발생하여 장시간 첩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e) 소염진통약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점착제층에는 소염진통약이 포함된다. 소염진통약으로서는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펠비낙, 록소프로펜 등을 들 수 있다. 소염진통약은 통상 점착제층의 전량(100 질량%)에 대하여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비율이고,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비율로 상기 점착제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점착제층에는 상기 (a)∼(e) 성분 이외에 그 외의 성분(첨가제)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로서는 흡수촉진제, 충전제, 산화방지제(BHT), 자외선흡수제, 향료(멘톨),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
본 발명의 첩부제의 지지체로서는 포백이 이용된다. 포백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의 직포, 부직포, 혹은 편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재료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특히 지지체가 편포이고, 두께를 200 ㎛ 이상 1,000 ㎛ 이하로 하면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뒤배임이 없고, 취급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한쪽 면 상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인데, 통상 점착제층면 상에 실리콘이 도포된 박리 라이너가 적층된 형태로 제공된다.
<제조방법>
(점착제의 작성)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일반적인 소염진통 첩부제의 제조방법인 캘린더법이나 핫멜트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혼련시의 온도 및 시간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제조기기나 제조스케일 등에 맞춰 온도조건, 교반회전수, 교반시간 등을 조절하기 때문에 이들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캘린더법에서는 우선 가압니더로 엘라스토머(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티렌, 천연고무 등),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의 일부, 소염진통약, 그 외의 성분을 100∼200℃에서 10∼30분간 혼련하고, 이 혼련 동안에 가소제를 수회로 나누어 첨가하여 혼련을 계속하고, 마지막으로 온감자극약을 첨가하여 5∼20분간 더 혼련하여 각 성분이 균일해진 점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해당 점착제 조성물을 100∼200℃로 온도 제어한 2개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박리 라이너 상에 100∼250 ㎛의 두께로 펴바르고,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해당 점착제층 상에 지지체를 라미네이트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첩부제를 제작한다.
핫멜트법에서는 가열 제어 가능한 고속회전믹서로 최초로 엘라스토머(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티렌, 천연고무 등),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 및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를 질소 분위기하 100∼190℃의 고체(膏體) 온도로 20∼100분간 가열 고속교반하여 용해물을 얻는다. 그 후 소염진통약, 온감자극약을 상기 용해물 중에 첨가하고, 120∼190℃의 고체 온도에서 5∼30분간 더 가열 고속교반하여 각 성분이 균일해진 점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고체)을 핫멜트 도공기로 100∼200℃로 온도 제어한 다이헤드부분으로부터 밀어내서 박리 라이너 상에 100∼250 ㎛ 두께로 펴바르고,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해당 점착제층 상에 지지체를 라미네이트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첩부제를 제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진통소염 첩부제는 밀봉성이나 차광성이 높은 포장재료로 제작한 포장체 내에 수용하여 사용 직전까지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한 첩부제는 점착제층의 특성이 안정되도록 예를 들어 40℃의 항온실에서 1주일 정도 정치하고, 25℃에 1일 정도 더 방치하여 순화한 후, 후술하는 유리전이온도나 tanδ값을 측정하는 것이 추천된다.
<유리전이온도와 tanδ의 측정>
유리전이온도(Tg)는 유리상태의 물질이 구비하는 어떤 물리적 성질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온도를 의미하고, 온도변화에 의한 tanδ의 곡선 프로파일 등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한편, tanδ란 손실탄성률(G") 및 동적전단탄성률(저장탄성률)(G')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는 물리적 특성치이다.
tanδ=G"/G'
tanδ 및 유리전이온도의 측정은 예를 들어 유리전이온도 및 동적점탄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된다.
우선 첩부제의 점착제층으로부터 점착제(고체)를 50 ㎎∼75 ㎎ 정도 긁어내고, 이것을 장치 내의 원통형상의 지그에 끼운다. 이어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일정 주파수의 변형을 부여하였을 때의 응력을 검출하고, 이 검출치에 기초하여 손실탄성률(G")과 동적전단탄성률(저장탄성률)(G')을 산출하여 tanδ값을 얻는다. 이때 유리전이온도(Tg값)는 tanδ의 정점에 있어서의 온도로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유리전이온도(Tg)가 -40℃ 이상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9℃ 이하이고, 45℃에 있어서의 동적점탄성 측정(주파수 6.2832(rad/s))에 의해 얻어지는 tanδ(지연각)값이 0.30 이상 0.55 이하, 바람직하게는 0.30 이상 0.50 이하이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첩부제가 구비하는 물성의 측정방법 및 특성은 이하와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첩부제 제조>
엘라스토머,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 소염진통약, 온감자극약, 그 외의 성분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합해서 융해하여 각 점착제 조성물을 얻고, 실리콘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두께 75 ㎛) 상에 각 점착제 조성물을 각각 150 ㎛의 두께로 펴바르고, 그 위에 폴리에스테르계 편포 250 ㎛의 지지체를 라미네이트해서 재단하여 첩부제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 8 및 9 그리고 비교예 1은 핫멜트법, 실시예 5 내지 7까지는 캘린더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을 수행하였다. 제조 직후의 각 첩부제를 포장 봉투에 넣어 밀봉하고, 이것을 40℃의 항온실에서 1주일 보존하고, 그 후 상온(25℃)의 상태에서 1일 방치하여 순화시킨 후, 후술하는 점착제층(점착제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치(tanδ 및 유리전이온도(Tg))의 측정 및 실용평가(내한성(耐汗性), 첩부성, 점착제 잔류물)에 제공하였다.
(엘라스토머)
천연고무 :내림(素練)한 천연고무(페일 크레이프)
SIS :퀸택 3520(닛폰 제온(주) 제조)
PIB :비스타넥스 MML-120(엑슨모빌사 제조)
(점착 부여 수지)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퀸톤 B170(닛폰 제온(주) 제조)
로진수지 :KE-311(아라카와 화학 공업(주) 제조)
테르펜 수지 :YS 레진 PX1150N(야스하라 케미컬(주) 제조)
(가소제)
유동파라핀 :하이콜 M352(가네다(주) 제조)
폴리부텐 :HV-300(ENEOS(주) 제조)
액상 PIB :비스타넥스 LM-MH(엑슨모빌사 제조)
(항산화제)
BHT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물리적 특성치의 측정]
<유리전이온도(Tg) 및 tanδ의 측정>
포장 봉투로부터 첩부제를 꺼내어 Anton Paar사 제조 레오미터: MCR-301을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Tg) 및 tanδ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첩부제의 점착제층으로부터 점착제 조성물을 긁어내고, 원통형상의 지그에 끼워 레오미터에 세팅하고, 이 점착제를 -50℃부터 시작하여 5℃/분의 속도로 80℃까지 승온시키면서 주파수 6.2832(rad/s)로 1%의 변형을 부여하였을 때의 응력을 12초마다 측정 플롯하였다. 플레이트판은 직경 8.0 ㎜의 평행평판을 사용하고, 클리어런스(Gap)를 1.0 ㎜로 하여 G' 및 G"를 산출하고, tanδ(=G"/G')를 계산하였다. 또한 유리전이온도(Tg)값을 tanδ의 곡선 프로파일의 피크로부터 특정하였다.
<측정조건>
·주파수 : 6.2832(rad/s)
·온도 : -50℃∼80℃
·측정 플롯 : 12초마다
·플레이트판: 평행평판, 직경 8.0 ㎜
·클리어런스(Gap): 1.0 ㎜(가압 일정, 수직항력(normal force) 3N)
·변형량: 1%
[내한성(耐汗性)]
시험 개시 20분 이상 전부터 모니터 5명을 40℃의 측정실에 대기시키고, 측정온도로 순화시켰다. 모니터의 오른쪽, 왼쪽의 전완 내측부에 간격을 두고 실시예 1∼9 및 비교예 1의 첩부제(30 ㎜φ로 펀칭, 합계 10장)를 시험담당자가 손바닥을 10초간 꽉 눌러 압착하여 붙였다. 그 후 모니터를 40℃의 측정실에 그대로 30분 대기시켰다. 30분 경과 후에 각 첩부제의 지지체측으로부터 시험담당자가 집게손가락으로 첩부제를 피부 상으로부터 비켜 놓는 행위를 수행하였을 때, 첩부제의 어긋남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첩부제가 전혀 어긋나지 않는다.
B: 첩부 위치가 어긋났다.
C: 시험 전에 떨어졌다.
[첩부성(부착성)]
실시예 1∼9 및 비교예 1의 첩부제(30 ㎜φ로 펀칭, 합계 10장)를 모니터 5명의 좌우 어깨에 5장씩 붙였다. 첩부로부터 8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각 첩부제의 피부 첩부상태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각 모니터는 첩부 중에 워킹이나 운동을 1시간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평가 기준"
A: 벗겨짐은 보이지 않고, 첩부성은 양호하였다.
B: 극히 경도의 벗겨짐이 인정되었다.
C: 완전히 벗겨졌다.
[점착제 잔류물]
첩부성 시험을 행한 후, 붙이고 있었던 부위의 점착제의 유무 등(점착제 잔류물)에 대하여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점착제 잔류물 없음.
B: 극히 경도의 점착제 잔류물이 인정되었다.
C: 점착제 잔류물이 많아 문제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작성된 점착제는 모두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가 -40℃ 이상 -10℃ 이하이고, 45℃에 있어서의 tanδ가 0.30 이상 0.55 이하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은 45℃에 있어서의 tanδ가 0.30 이상 0.55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없었다.
또한 실시예에서 작성된 첩부제는 모두 내한성을 가지며, 첩부성이 뛰어나고, 점착제 잔류물이 없는 첩부제이고, 온감자극약에 의한 발한에도 견딜 수 있는 첩부제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의 첩부제는 극히 경도의 벗겨짐이 인정된 것의 첩부성은 대체로 좋지만, 내한성, 점착제 잔류물의 특성에 대하여 불충분하였다.
이상으로부터 점착제층의 유리전이온도(Tg)를 -40℃ 이상 -10℃ 이하이고, 또한 45℃에 있어서의 동적점탄성 측정(주파수 6.2832(rad/s))에 의해 얻어지는 tanδ값이 0.30 이상 0.55 이하이며, 그리고 특정의 배합을 가지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첩부제는 땀에 강하고, 점착제 잔류물이 적고, 부착성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놀랍게도 엘라스토머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기 유리전이온도 및 tanδ값이 소정 범위에 있는 점착제층이 설치된 첩부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얻어짐을 알았다.

Claims (4)

  1. 포백의 지지체의 한쪽 면에 소염진통약 및 온감자극약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설치된 첩부제로서,
    해당 점착제층은 그 총질량을 100 질량%로 하였을 때
    (a) 엘라스토머를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b) 점착 부여 수지를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c) 가소제를 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d) 온감자극약을 0.005 질량% 이상 0.1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e) 소염진통약을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f) 임의로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해당 점착제층은 그 유리전이온도(Tg)가 -40℃ 이상 -10℃ 이하이고,
    해당 점착제층은 45℃에 있어서의 동적점탄성 측정(주파수 6.2832(rad/s))에 의해 얻어지는 tanδ(손실탄젠트)값이 0.30 이상 0.55 이하인 첩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
    (a) 상기 엘라스토머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이고, 해당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33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고,
    (b)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고,
    (c)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 19 질량% 이하이고,
    (d) 상기 온감자극약의 함유량은 0.02 질량% 이상 0.05 질량% 이하이고,
    (e) 상기 소염진통약의 함유량은 6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고,
    (f) 임의로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첩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
    (a) 상기 엘라스토머가 천연고무 및 폴리이소부티렌이고, 이들 함유량의 합계는 29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이고,
    (b)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23 질량% 이상 28 질량% 이하이고,
    (c)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21 질량% 이상 29 질량% 이하이고,
    (d) 상기 온감자극약의 함유량은 0.03 질량% 이상 0.05 질량% 이하이고,
    (e) 상기 소염진통약의 함유량은 7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고,
    (f) 임의로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첩부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자극약이 노닐산바닐릴아미드인 첩부제.
KR1020227030233A 2020-03-31 2021-03-31 첩부제 KR20220161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1722 2020-03-31
JP2020061722 2020-03-31
PCT/JP2021/013975 WO2021201152A1 (ja) 2020-03-31 2021-03-31 貼付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277A true KR20220161277A (ko) 2022-12-06

Family

ID=7792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233A KR20220161277A (ko) 2020-03-31 2021-03-31 첩부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201152A1 (ko)
KR (1) KR20220161277A (ko)
CN (1) CN115348860A (ko)
TW (1) TW202200156A (ko)
WO (1) WO2021201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9591B1 (ja) 2021-11-04 2023-09-22 久光製薬株式会社 カバー材付き貼付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1624A (ja) 1991-04-19 1992-11-11 Hisamitsu Pharmaceut Co Inc 消炎鎮痛貼付剤
JP2001302502A (ja) 2000-04-27 2001-10-31 Saitama Daiichi Seiyaku Kk インドメタシン貼付剤
KR20060129745A (ko)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티클 보호용 펠리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8040B2 (ja) * 2006-03-31 2012-07-18 ニチバン株式会社 局所適用型経皮吸収テープ剤
JP4590418B2 (ja) * 2007-01-25 2010-12-01 ニチバン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JP5365964B2 (ja) * 2010-12-28 2013-12-11 ニチバン株式会社 経皮吸収型鎮痛消炎貼付剤
JP5474154B1 (ja) * 2012-10-10 2014-04-16 ニチバ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型粘着剤組成物及び経皮吸収貼付剤
CN108697658B (zh) * 2016-02-25 2021-04-13 久光制药株式会社 贴剂
JP6867210B2 (ja) * 2017-03-30 2021-04-28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1624A (ja) 1991-04-19 1992-11-11 Hisamitsu Pharmaceut Co Inc 消炎鎮痛貼付剤
JP2001302502A (ja) 2000-04-27 2001-10-31 Saitama Daiichi Seiyaku Kk インドメタシン貼付剤
KR20060129745A (ko)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티클 보호용 펠리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201152A1 (ko) 2021-10-07
WO2021201152A1 (ja) 2021-10-07
TW202200156A (zh) 2022-01-01
CN115348860A (zh)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3471B2 (ja) 皮膚外用貼付剤
KR101396446B1 (ko) 첩부제
JP5597187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JP5230423B2 (ja) 貼付剤
JP5858960B2 (ja) 経皮吸収型鎮痛消炎貼付剤
WO2009096315A1 (ja) 貼付剤
JP5546131B2 (ja) 貼付剤、及び貼付剤の評価方法
KR20220161277A (ko) 첩부제
JP3144895B2 (ja) 医療用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JP2007031322A (ja) 貼付剤
JPS60204714A (ja) 貼付剤
WO1996022083A1 (en) POLYISOBUTYLENE ADHESIVES CONTAINING HIGH Tg TACKIFIER FOR TRANSDERMAL DEVICES
JP6502103B2 (ja) 粘接着組成物
KR101882679B1 (ko) 저자극성 진통소염용 경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050912A (ja) 鎮痛消炎貼付剤
JP4507219B2 (ja) 経皮吸収型消炎鎮痛貼付剤
WO2002005790A1 (fr) Preparation d&#39;adhesif
JPH11152223A (ja) 抗真菌外用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