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548A -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548A
KR20090083548A KR1020080009412A KR20080009412A KR20090083548A KR 20090083548 A KR20090083548 A KR 20090083548A KR 1020080009412 A KR1020080009412 A KR 1020080009412A KR 20080009412 A KR20080009412 A KR 20080009412A KR 20090083548 A KR20090083548 A KR 20090083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ob
key
un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309B1 (ko
Inventor
권용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3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hidde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증키를 적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시동이 가능한 인증키를 차량에 두고 내렸을 경우 경보를 하고 도어가 잠금 상태인 경우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Fob 홀더에 Fob 키가 삽입되어 있지 않고 모든 도어가 닫힌 후, 소정시간 이내에 도어가 록된 경우에 실내 감지 안테나를 통해 Fob 키가 실내에 있나 없나를 감지하며, Fob 키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 외장 버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석 도어 모듈을 통해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에 도어 언록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장 버저가 경보음을 출력하면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의 인증키(Fob 키)가 실내에 있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인증키(Fob 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내릴 수 있도록 한다.
Figure P1020080009412
인증키, 실내 감지, 도어언록, 경보.

Description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 {Alarm and Door Unlock System For Detecting Identification Ke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증키를 적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시동이 가능한 인증키를 차량에 두고 내렸을 경우 경보를 하고 도어가 잠금 상태인 경우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수가 늘고 이용자가 확대됨에 따라, 도난 사고가 빈번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개발된 것이 이모빌라이저 시스템(Immobilizer System)이다.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IC가 내장된 인증키(Fob 키)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져야만 핸들 또는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의 잠금이 해제되어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이모빌라이져 시스템은 사용자가 인증키를 가지고 차량 근처에 가는 경우, 차량에서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시동을 걸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인증키가 없는 경우 대체로 MSL(Mechanical Steering Lock)과 트랜스미션, 두 곳의 기능을 잠가 두어 차량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렇기 때문에, 차량의 인증키를 분실하는 경우 일반 금속키로는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없어 차량의 도난방지가 가능하게 되나, 이러한 점은 사용자에게도 그대로 적용되어, 인증키를 분실하는 경우 차량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차량의 이용중에 사용자가 레버를 시동 또는 운행 위치로 유지한 채 인증키를 차량 내에 두고 내리는 경우, 사용자가 인증키를 차량에 두고 내렸음을 알려주는 알람 방법은 기존의 금속 키 사용시부터 존재했다.
즉, 사용자가 레버의 방향을 'OFF'이외의 상태로 두고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 또는 단순히 운전석측 차문을 여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레버가 시동 또는 운행 위치에 있음을 경고하게 된다.
반면에, 'OFF' 상태인 경우는 사용자가 차문을 열 경우, 알람이 울리기는 하지만, 종래의 차량은 사람이 승하차하는 문의 열림에 대해서는 동일한 알람음을 울리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OFF'인 상태는 사용자가 차량의 운행을 종료하고 내리는 경우가 많고 또한, PIC 시스템이 자동으로 차량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때문에 하차시 인증키의 소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 때문에, 차량은 잠금상태로 전환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하차시 이를 능동적으로 확인하여 인증키를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키 소지 알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 람방법이 국내 공개번호 10-2007-006075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운전자가 차량 실내에 Fob 키를 놓아두고 차량을 이탈할 경우 운전자에게 Fob 키가 차량에 있음을 알려 Fob 키를 휴대해서, 차량 및 인증키의 분실로 인한 차량의 도난,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특허는 인증키 시스템의 전반적인 사항 및 실내 감지를 실내 시트 하중 센서로 확인함으로써 원가가 증가하고, 하중 센서의 튜닝 개발비가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가의 증가나 하중 센서의 튜닝 개발없이 차량 및 인증키의 분실로 인한 차량의 도난,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은, 인증키인 Fob 키와, 상기 Fob 키를 탐색하는 신호를 차량의 실내로 전파하여 실내에 Fob 키가 있나 없나를 감지하는 실내 감지 안테나와, 상기 Fob 키의 삽입 유무를 확인하는 Fob 홀더와,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에 도어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스위치와, 상기 도어가 잠기거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도어 록/언록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핸들 스위치와, 상기 도어의 록/언록 명령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와, 구동 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외장 버저와, 상기 도어 개폐 신호와, 상기 도어 록/언록 신호를 입력받아 BCM+스마트키유닛에 전달하고, 상기 BCM+스마트키유닛의 도어 록/언록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에 출력하는 운전석 도어 모듈과, 상기 차량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Fob 홀더에 Fob 키가 삽입되어 있지 않고 모든 도어가 닫힌 후, 소정시간 이내에 도어가 록된 경우에 실내 감지 안테나를 통해 Fob 키가 실내에 있나 없나를 감지하며, Fob 키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 외장 버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석 도어 모듈을 통해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에 도어 언록 신호를 출력하는 BCM+스마트키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방법은, 차량 전원이 Off인 상태에서 Fob 홀더에 Fob 키가 삽입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Fob 홀더에 인증키인 Fob 키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도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전 도어 닫힘 신호로 전도어 닫힘 상태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전도어 닫힘 상태 확인 후 도어 핸들 스위치로부터 도어 록/언록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 록/언록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 록 상태인 경우에 실내 감지 안테나에 안테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실내 감지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Fob 키 감지 신호로 Fob 키가 실내에 있나 없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Fob 키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 외장 버저에 외장 버저 구동 신호를 출력해서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Fob 키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에 도어 언록 명령 신호를 출력해서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원가의 증가나 하중 센서의 튜닝 개발없이 차량 및 인증키의 분실로 인한 차량의 도난,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어록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각 구성부의 차량 설치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BCM+스마트키유닛(10), 실내 감지 안테나(20), Fob 키(30), 운전석 도어 모듈(40), 도어 스위치(50), 도어 핸들 스위치(60), Fob 홀더(70),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80), 외장 버저(90)를 포함한다.
실내 감지 안테나(20)는 BCM+스마트키유닛(10)으로부터 안테나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의 실내로 Fob 키(30)를 탐색하는 신호를 전파하여 실내에 Fob 키(30)가 있어 Fob 키(30)로부터 응답 신호를 받는 경우에 상호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Fob 키(20) 감지를 확인해서, Fob 키 감지 신호를 BCM+스마트키유닛(10)에 입력한다.
Fob 홀더(70)는 Fob 홀더(70)에 Fob 키(30) 삽입 유무를 판단하여 Fob 홀더 삽입 유무 신호를 BCM+스마트키유닛(10)에 입력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ob 홀더(70)에 리미트 스위치(72)를 구비하여 Fob 키(30)를 Fob 홀더(70)에 삽입할 때 리미트 스위치(72)가 눌려짐으로 Fob 키 삽입 유무를 판단한다.
도어 스위치(50)는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에 도어 개폐 신호를 운전석 도어 모듈(40)에 입력하고, 운전석 도어 모듈(40)은 도어의 개폐 상태를 BCM+스마트키유닛(10)에 입력한다.
도어 핸들 스위치(60)는 도어가 잠기거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에 도어 록/언록 신호를 운전석 도어 모듈(40)에 입력하고, 운전석 도어 모듈(40)은 도어의 록/언록 상태를 BCM+스마트키유닛(10)에 입력한다.
상기 BCM+스마트키유닛(10)은 도어 개폐 명령이나 도어 록/언록 명령을 운전석 도어 모듈(40)에 출력하고, 운전석 도어 모듈(40)은 도어 개폐 명령을 받은 경우 미도시된 도어 개폐 구동모터를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하며, 도어 록/언록 명령을 받은 경우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80)에 도어 록/언록 명령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BCM+스마트키유닛(10)은 Fob 키(30)가 Fob 홀더(70)에 삽입되어 있지 않고 모든 도어가 닫힌 후, 소정시간(예를 들어 0.5초) 이내에 도어가 록 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도어가 록된 경우에 실내 감지 안테나(20)를 구동하여 Fob 키(30)가 실내에 있나 없나를 감지하며, Fob 키(30)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 외장 버저(9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석 도어 모듈(40)을 통해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80)에 도어 언록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외장 버저(90)는 예를 들어 차량의 후방 주차시 사람이나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에 경보음을 출력하는 PAS(Park Assist System)용 버저이다.
이에 따라 외장 버저(90)가 경보음을 출력하면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의 인증키(Fob 키)가 실내에 있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인증키(Fob 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방법의 순서도이 다.
먼저, BCM+스마트키유닛(10)은 차량 전원이 Off된 IGN=Off 상태인 경우(S302) Fob 홀더(70)로부터 Fob 홀더 삽입 유무 신호를 입력받아 Fob 홀더(70)에 Fob 키(30)가 삽입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304).
상기 Fob 홀더(70)에 Fob 키(3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BCM+스마트키유닛(10)은 도어 스위치(50)로부터 임의의 도어 열림 신호에서 전 도어 닫힘 신호를 운전석 도어 모듈(40)을 통해 입력받아 전도어 닫힘 상태인 것을 확인한다(S306).
전도어 닫힌 후 운전자 도어 핸들로 도어 록을 시도하며, 상기 BCM+스마트키유닛(10)은 도어 핸들 스위치(80)로부터 도어 록/언록 신호를 운전석 도어 모듈(40)을 통해 입력받아 전도어 닫힌 후 0.5초 이내에 도어 록 되었나를 판단한다(S308).
상기 도어 록 상태인 경우에 BCM+스마트키유닛(10)에서 실내 감지 안테나(20)에 안테나 구동 신호를 출력하면, 실내 감지 안테나(20)는 차량의 실내로 Fob 키(30)를 탐색하는 신호를 전파하여 실내에 Fob키가 있어 Fob 키(20)로부터 응답 신호를 받는 경우에, 상호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Fob 키 감지를 확인해서 BCM+스마트키유닛(10)에 입력하고, 상기 BCM+스마트키유닛(10)은 실내 감지 안테나(20)의 Fob 키 감지 신호로 Fob 키(30)가 실내에 있나 없나를 판단한다(S310).
상기 BCM+스마트키유닛(10)은 Fob 키(30)가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즉, Fob 키(30)를 차량에 두고 운전자가 내린 후 문을 잠근 경우에 PAS용 버저와 같은 외장 버저(90)에 외장 버저 구동 신호를 출력해서 경보음을 출력한다(S312).
또한, 운전석 도어 모듈(40)에 도어 언록 명령을 내리고 이에 의해 운전석 도어 모듈(40)은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80)에 도어 언록 명령 신호를 출력해서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S314).
이에 따라 운전자는 도어 문을 열고 탑승하여 차량에 두고 내린 Fob 키(30)를 찾아 소지한 채 다시 내리게 됨으로써, Fob(인증키)를 차량 내부에 두고 내리는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상기 S308단계에서 도어 록 상태가 아닌 경우에 도어 록 명령 신호를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80)에 출력하여 도어를 잠근다(S316).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각 구성부의 차량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Fob 홀더에 Fob 키 삽입 판단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BCM+스마트키유닛 20: 실내 감지 안테나
30: Fob 키 40: 운전석 도어 모듈
50: 도어 스위치 60: 도어 핸들 스위치
70: Fob 홀더 80: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
90: 외장 버저

Claims (5)

  1. 인증키인 Fob 키와,
    상기 Fob 키를 탐색하는 신호를 차량의 실내로 전파하여 실내에 Fob 키가 있나 없나를 감지하는 실내 감지 안테나와,
    상기 Fob 키의 삽입 유무를 확인하는 Fob 홀더와,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에 도어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스위치와,
    상기 도어가 잠기거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도어 록/언록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핸들 스위치와,
    상기 도어의 록/언록 명령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와,
    구동 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외장 버저와,
    상기 도어 개폐 신호와, 상기 도어 록/언록 신호를 입력받아 BCM+스마트키유닛에 전달하고, 상기 BCM+스마트키유닛의 도어 록/언록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에 출력하는 운전석 도어 모듈과,
    상기 차량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Fob 홀더에 Fob 키가 삽입되어 있지 않고 모든 도어가 닫힌 후, 소정시간 이내에 도어가 록된 경우에 실내 감지 안테나를 통해 Fob 키가 실내에 있나 없나를 감지하며, Fob 키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 외장 버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석 도어 모듈을 통해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 에 도어 언록 신호를 출력하는 BCM+스마트키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ob 홀더 내부에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여 Fob 키를 Fob 홀더에 삽입할 때 리미트 스위치가 눌려짐으로 Fob 키 삽입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방 버저는 PAS용 버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4. 차량 전원이 Off인 상태에서 Fob 홀더에 인증키인 Fob 키가 삽입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Fob 홀더에 Fob 키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도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전도어 닫힘 신호로 전도어 닫힘 상태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전도어 닫힘 상태 확인 후 도어 핸들 스위치로부터 도어 록/언록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 록/언록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 록 상태인 실내 감지 안테나에 안테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실내 감지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Fob 키 감지 신호로 Fob 키가 실내에 있나 없나를 판 단하는 단계와,
    상기 Fob 키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 외장 버저에 외장 버저 구동 신호를 출력해서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Fob 키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 도어 록/언록 액추에이터에 도어 언록 명령 신호를 출력해서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어 닫힘 상태 확인 후 0.5초 이내에 도어 록/언록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방법.
KR1020080009412A 2008-01-30 2008-01-30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412A KR101359309B1 (ko) 2008-01-30 2008-01-30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412A KR101359309B1 (ko) 2008-01-30 2008-01-30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548A true KR20090083548A (ko) 2009-08-04
KR101359309B1 KR101359309B1 (ko) 2014-02-25

Family

ID=4120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412A KR101359309B1 (ko) 2008-01-30 2008-01-30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3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8623B2 (en) 2015-09-18 2018-01-30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N112550217A (zh) * 2020-12-10 2021-03-26 武汉格罗夫氢能汽车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汽车发动机电子防盗认证系统和方法
CN115273285A (zh) * 2022-08-01 2022-11-01 镇江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用于变电站的智能型控制把手系统及应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6517A1 (en) 2006-03-14 2007-09-2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utomatic vehicle door locking with seat occupant sensor
KR20070119781A (ko) * 2006-06-16 2007-12-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난 방지 방법
KR100774716B1 (ko) 2006-10-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오픈 기능이 구비된 개인식별 차량 시스템 및 그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8623B2 (en) 2015-09-18 2018-01-30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10131233B2 (en) 2015-09-18 2018-11-20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N112550217A (zh) * 2020-12-10 2021-03-26 武汉格罗夫氢能汽车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汽车发动机电子防盗认证系统和方法
CN115273285A (zh) * 2022-08-01 2022-11-01 镇江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用于变电站的智能型控制把手系统及应用方法
CN115273285B (zh) * 2022-08-01 2024-02-02 镇江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用于变电站的智能型控制把手系统及应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309B1 (ko)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3785B2 (ja) ドアカーテシスイッチ異常検出装置及び方法
US8237544B2 (e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906042B2 (ja) 乗り逃げ防止及び遠隔操作可能な機能の始動用キー・車両間通信装置
EP1903508B1 (en) Key system
JP413664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4213677B2 (ja) パワードアを備えた車両用盗難防止装置
CN101413365A (zh) 智能进入系统
JP5977146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4870997B2 (ja) 車両用キーレス装置
JP4509002B2 (ja) 遠隔始動制御装置
JP2006077408A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US20080211642A1 (en) Antitheft device for vehicle
KR101359309B1 (ko)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01710B2 (ja) 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JP2001130379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2009269542A (ja) 車両使用制限システム
KR20110105470A (ko) 듀얼 경보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74292A (ja) イモビライザシステム
KR20090105016A (ko)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051336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10127030A (ja) 解錠装置、解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75479A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4415721B2 (ja) 車両用警報装置
JP6521319B2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JP5817411B2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