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971A -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 Google Patents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971A
KR20090082971A KR1020080008865A KR20080008865A KR20090082971A KR 20090082971 A KR20090082971 A KR 20090082971A KR 1020080008865 A KR1020080008865 A KR 1020080008865A KR 20080008865 A KR20080008865 A KR 20080008865A KR 20090082971 A KR20090082971 A KR 20090082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jig
reference groo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793B1 (ko
Inventor
정도화
Original Assignee
정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화 filed Critical 정도화
Priority to KR102008000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7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09Reinforced areas, e.g. for a specific part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판상의 지그본체(10)와, 상기 지그본체(10)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안착시켜 상기 칩탑재부(4)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기준홈(20)과, 상기 기준홈(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그본체(10)의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2)을 가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연성회로기판의 모델별로 별도의 지그를 만들 필요 없이 단일의 지그로 모든 모델의 연성회로기판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등을 기할 수 있으며, 연성회로기판에 부품 소자 탑재 작업을 위한 위치 조절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여 작업성 등의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는 것이다.
지그본체, 기준홈, 점착부, 보조점착부

Description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ixing jig}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성회로기판의 규격에 따라 별도의 지그를 만들 필요가 없으며, 연성회로기판에 부품 소자 탑재 작업을 위한 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el printed circuit board)은 회로가 패턴화된 플렉시블한 회로기판으로서, 연성회로기판 위에 칩과 같은 부품소자가 탑재된다. 최근에는 전자장비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보다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내장이 용이하도록 하는 연성회로기판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은 기술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메인기판으로도 사용하게 되었으며, 연성회로기판 자체에 칩을 직접 내장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폴더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굴곡부위의 회로로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된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은 하나의 시트상에 동일한 제품을 복수개 배열하여 생 산한 후 절단하여 분리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연성회로기판이 배열된 시트 상태를 연성회로기판 모듈이라 칭하고, 연성회로기판 모듈에서 절단된 개별 연성회로기판을 단품 연성회로기판이라 칭한다.
한편, 연성회로기판에는 부품 소자로 칩을 탑재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칩을 탑재하는 공정을 약술하면, 먼저, 단품 연성회로기판을 별도의 고정용 지그에 장착하고, 단품 회로기판이 탑재된 고정용 지그를 실크스크린 인쇄장치에 투입하여 땜납을 스크린 인쇄하고, 연성회로기판의 인쇄된 땜납 위치에 칩을 탑재한 다음, 고정용 지그를 베이킹 장치에 투입하여 베이킹하면, 인쇄된 땜납이 용융되면서 칩을 연성회로기판에 솔더링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연성회로기판은 한 가지 형상의 제품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연성회로기판을 사용할 전자제품 등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규격을 갖는 여러 가지 모델로 제작되는데, 종래에는 이처럼 다양한 규격의 연성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연성회로기판의 모델별로 각각 다른 규격의 지그를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연성회로기판에 부품 소자인 칩 탑재 작업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즉, 위치 설정 작업이 비교적 쉽지 않은 단점도 있다.
다시 말해, 양산되는 연성회로기판 모델이 더 이상 생산되지 않고 신규로 새로운 모델의 연성회로기판을 생산하는 경우, 종래에는 신규로 생산 진행되는 모델에 맞추어 일일이 다른 규격의 지그를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며, 이처럼 연성회로기판의 모델별로 지그를 제작하는 관계로 경제성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한 달에 30만개 정도 생산하던 모델(즉, 연성회로기판 모델)이 단종되어 더 이상 생산되지 않고, 다른 모델을 30만개 생산하면, 이에 맞추어 다른 규격의 지그를 일일이 다시 제작해야 하므로, 궁극적으로, 지그 성형을 위한 금형 등의 제작비와 기타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이는 경제적인 면이나 작업성 등의 여러 가지 면에서 불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회로기판의 모델이 다르더라도 단일의 지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등에서 매우 유리하고, 연성회로기판에 부품 소자 탑재 작업을 위한 위치 조절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여 작업성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상의 지그본체와, 상기 지그본체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연성회로기판의 칩탑재부를 안착시켜 상기 칩탑재부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기준홈과, 상기 기준홈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그본체의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가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의 모델별로 별도의 지그를 만들 필요없이 단일의 지그로 모든 모델의 연성회로기판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지그 제작 비용 절감과 같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모 든 모델의 연성회로기판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나 기타 여러 가지 면에서 종래에 비하여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그본체에 형성된 기준홈에 연성회로기판의 칩탑재부를 안착시켜 설치하면, 칩이 탑재될 칩탑재부의 위치를 쉽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연성회로기판에 부품 소자 탑재 작업을 위한 위치를 잡는 작업, 즉, 오리엔테이션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경우, 양산되는 연성회로기판 모델이 더 이상 생산되지 않고 신규로 새로운 모델의 연성회로기판을 생산하는 경우에도 신규로 새로 바뀐 모델에 맞추어 다른 규격의 지그를 일일이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단일의 지그를 모든 모델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등의 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연성회로기판의 각 모델별로 지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이나 경제성 등의 면에서 상당한 효율을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지그본체에 점착부 및 보조점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착부와 보조점착부를 지그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지그본체와 점착부 및 보조점착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그본체에 연성회로기판을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판상의 지그본체(10)와, 이 지그본체(10)에 형성된 기준홈(20)과, 기준홈(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지그본체(10)에 형성된 점착부(30)를 갖는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이다.
상기 기준홈(20)은 지그본체(10)의 평면에서 볼 때 오목한 사각홈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지그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이하, 편의상 길이 방향이라 함)을 따라 복수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구비된다. 또한, 기준홈(20)에는 지그본체(1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핀홀(22)이 구비된다. 이러한 기준홈(20)은 지그본체(10)의 상측에서 하측(이하, 편의상 너비 방향이라 함)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서는 3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준홈(20)의 네 모서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에는 보조 기준홈(50)이 더 형성된다. 즉, 기준홈(20)에는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가 안착되는데, 이 칩탑재부(4)도 대략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칩탑재부(4) 일측의 직각 방향 측면부가 기준홈(20)의 직각 방향 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기준홈(20)에 안착시켜 설치한다.
이때,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의 일측 직각 방향 측면부에 형성된 모서리가 기준홈(20)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보조 기준홈(50)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보조 기준홈(50)이 기준홈(20)의 네 모서리 부분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기준홈(50)의 형상은 지그본체(10)의 상측에서 볼 때 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점착부(30)는 기준홈(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지그본체(10)의 표면에 구비된 것으로, 지그본체(1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즉, 점착부(30)는 양면에 점착제층이 구비된 점착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지그본체(10)의 표면에는 기준홈(20)과 나란한 일자홈 형상의 점착부 안착홈(32)이 형성되어, 이 점착부 안착홈(32)에 점착부(30)의 일면이 부착되어, 점착부(30)가 지그본체(10)에 형성된 점착부 안착홈(32)에 구비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점착부(30)의 타면은 지그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점착부(30)에 타면 점착제층에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일부가 가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준홈(20)에는 별도의 보조점착부(40)가 더 구비되어, 이 보조 점착부(40)에 기준홈(20)에 안착된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 저면이 가부착된다. 즉, 보조 점착부(40)는 양면에 점착제층이 구비된 보조점착밴드로 구성되고, 지그본체(10)의 표면에는 점착부 안착홈(32)과 나란하여 기준홈(20)을 횡단하는 일자홈 형상의 보조점착부 안착홈(42)이 형성되며, 보조점착부 안착홈(42)에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진 보조점착부(30)가 부착되어 기준홈(2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므로, 기준홈(20)에 안착된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 저면이 보조점착부(40)에 가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품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지그본체(10)에 형성된 기준홈(20)에 안착시키는데, 칩탑재부(4)의 일측 직각 방향 측면부를 기준홈(20)의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하 여 기준홈(20)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칩탑재부(4)의 일측 직각 방향 측면부가 기준홈(20)의 일측 직각 방향 측벽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칩탑재부(4)의 일측 측면부에 형성된 모서리부가 보조 기준홈(50)에 수용되거나 마주한 상태가 된다.
한편,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기준홈(20)의 외측에 형성된 점착부(30)에 가부착시킴으로써, 연성회로기판(2)은 지그본체(1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기준홈(20)은 지그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고, 점착부(30)도 지그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다량의 연성회로기판(2)을 지그본체(10)에 나란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지그본체(10)에 복수개의 연성회로기판(2)을 설치한 상태에서 지그본체(10)를 다음 공정의 실크스크린 인쇄 장치에 투입하여 칩탑재부(4)에 땜납을 스크린 인쇄한 후, 그 다음 공정에서 가열로에 투입하여 베이킹(baking)하여 땜납을 용융시킴으로써,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에 칩을 탑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그본체(10)에 형성된 기준홈(20)에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안착시켜 위치를 잡고 동시에 연성회로기판(2)의 다른 부분은 점착부(30)에 가부착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연성회로기판(2)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연성회로기판(2)의 모델별로 별도의 지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성 등의 면에서 종래에 비하여 매우 유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홈(20)에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안착시켜 설치하면, 칩이 탑재될 칩탑재부(4)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연성회로기판(2)에 부품 소자 탑재 작업을 위한 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홈(20)을 횡단하는 보조점착부(40)가 더 구비되어, 기준홈(20)에 안착된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보조점착부(40)에 의해 더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실크 스크린 인쇄공정 등의 추후 공정이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준홈(20)은 지그본체(10)의 평면에서 볼 때 사각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기준홈(20)의 네 모서리 부분 중에서 적어도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의 직각 방향 측면부가 접촉되는 위치의 모서리 부분에는 보조 기준홈(50)이 더 형성되어,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기준홈(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즉,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도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사각 형상의 칩탑재부(4)의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제품도 있고, 그냥 라운딩 처리되지 않아 뾰족하게 된 제품도 있으며, 칩탑재부(4)를 지그본체(10)의 기준홈(20)에 안착시켰을 때, 기준홈(20)의 모서리부에 칩탑재부(4)의 모서리가 간섭되어 기준홈(20)에 칩탑재부(4)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할 여지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기준홈(20)의 모서리부에 보조 기준홈(50)을 더 형성하여,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의 모서리가 기준홈(20)의 모서리부에 의해 간섭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기준홈(20)에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가 안정적 으로 안착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연성회로기판(2)의 가공 정밀도를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보조 기준홈(50)은 지그본체(10)의 상측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이처럼 보조 기준홈(50)을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가공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즉, 드릴링머신의 드릴을 회전시켜 원형의 보조 기준홈(50)을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가공성이 더 높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그본체(10)에는 기준홈(20)의 외측 위치에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일자홈 형상의 점착부 안착홈(32)이 형성되고, 점착부 안착홈(32)에는 양면에 점착제층이 구비된 점착밴드 형상의 점착부(30)가 구비되고, 점착부(30)의 타면은 지그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점착부(30)의 타면 점착제층에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일부가 가부착된다.
이때, 점착부 안착홈(32)의 깊이는 점착부(30)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점착부(30)를 점착부 안착홈(32)에 부착시킬 때, 점착부(30)의 상면과 지그본체(10)의 상면 높이가 동일하여 단차가 발생되지 않아서, 연성회로기판(2)이 보다 확실하게 점착부(30)에 가부착되므로, 제품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점착부(30)에 가부착되어 설치되는데, 점착부(30)의 상면 높이와 지그본체(10)의 상면 높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면, 연성회로기판(2)의 일부가 벤딩(굴곡)된 상태로 점착부(30)에 가부착되며, 이처럼 연성회로기판(2)이 벤딩된 상태이면, 취급중에 연성회로기판(2)이 점착부(30)에서 이탈될 여지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성이 다소 저하될 여지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점착부(30)의 상면 높이와 지그본체(10)의 상면 높이 사이에 단차가 없는 구조로 설계되어, 연성회로기판(2)의 일부가 벤딩(굴곡)된 상태로 점착부(30)에 가부착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연성회로기판(2)이 점착부(30)에 가부착되므로, 취급중에 연성회로기판(2)이 점착부(30)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준홈(20)의 깊이는 점착부 안착홈(32)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이루어져서,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기준홈(20)에 안착시키고 연성회로기판(2)의 다른 부분을 점착부(30)에 가부착하였을 때,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와 다른 부분이 굴곡없이 균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이루어지므로, 기준홈(20)의 깊이를 점착부 안착홈(32)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구성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기준홈(20)에 안착시키고 연성회로기판(2)의 다른 부분을 점착부(30)에 가부착하였을 때,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와 다른 부분이 굴곡없이 균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연성회로기판(2)을 후가공할 때 가공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그본체(10)에는 점착부 안착홈(32)과 나란하여 복수개의 기준홈(20)을 횡단하는 일자홈 형상의 보조점착부 안착홈(42)이 형성되고, 보조점착부 안착홈(42)에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진 보조점착부(40)가 구 비되어 기준홈(2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보조점착부 안착홈(42)의 깊이는 기준홈(20)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되고, 보조점착부(40)의 두께(D)는 기준홈(20)의 바닥면에서 보조점착부 안착홈(42)의 바닥면 사이의 높이(d)보다 상대적으로 두껍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점착부 안착홈(42)에 부착되는 보조점착부(40)의 상면 높이가 기준홈(20)의 바닥부 높이보다 약간 높기 때문에,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기준홈(20)에 안착시켜 설치하였을 때, 칩탑재부(4)의 저면이 보다 견고하게 보조점착부(40)에 가부착될 수 있으므로, 매우 정밀한 제품인 연성회로기판(2)에 칩이 정밀하게 탑재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지그본체(10)의 기준홈(20)과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 저면이 보조점착부(40)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어 취급중에 이탈될 가능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때문에, 칩이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에 보다 정밀하게 탑재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기준홈(20)에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가 안착되어 탑재될 칩의 위치를 잡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칩탑재부(4)의 일부가 보조점착부(40)에 가부착되고 연성회로기판(2)의 나머지 부분의 일부는 점착부(30)에 가부착되어 지그본체(10)에 연성회로기판(2)을 설치하도록 구성되는데, 연성회로기판(2)의 모든 부분이 굴곡되지 않고 균일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설계되므로,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에 정밀하게 칩을 탑재할 수 있음과 더불어 취급중에 연성회로기판(2)이 점착부(30)와 보조점착부(40)에서 이탈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 등 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준홈(20)과 점착부(30) 및 보조점착부(40) 셋트는 지그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홈(20)과 점착부(30) 및 보조점착부(40) 셋트가 세 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꺼번에 많은 갯수의 연성회로기판(2)을 설치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모든 모델의 연성회로기판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양산되는 연성회로기판 모델이 더 이상 생산되지 않고 신규로 새로운 모델의 연성회로기판을 생산하는 경우, 종래에는 신규로 생산 진행되는 모델에 맞추어 일일이 다른 규격의 지그를 제작해야 했으나, 본 발명은 현재 양산 중인 연성회로기판 모델이 더 이상 생산되지 않고 신규로 새로운 모델의 연성회로기판을 생산하는 경우에도 새로 바뀐 모델에 맞추어 다른 규격의 지그를 일일이 제작하지 않고 단일의 지그를 모든 모델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연성회로기판의 각 모델별로 지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금형 제작 코스트를 현저히 줄여 경제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한 달에 30만개 정도 생산하던 모델이 단종되어 더 이상 생산되지 않고, 다른 모델을 30만개 생산하는 경우에도 기존에 사용하던 지그를 그대로 쓰면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지그 성형을 위한 금형 등의 제작비와 기타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경제성이나 작업성 등의 여러가지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지그본체에 점착부 및 보조점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착부와 보조점착부를 지그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지그본체와 점착부 및 보조점착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그본체에 연성회로기판을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6)

  1. 판상의 지그본체(10)와, 상기 지그본체(10)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안착시켜 상기 칩탑재부(4)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기준홈(20)과, 상기 기준홈(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그본체(10)의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2)을 가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부(30,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10)에 구비된 상기 점착부(30)는 양면에 점착제층이 구비된 점착밴드로 구성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점착부(30)에 가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홈(20)에는 별도의 보조점착부(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점착부(40)는 양면에 점착제층이 구비된 보조 점착밴드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점착부(40)에 상기 기준홈(20)에 안착된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 저면이 가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홈(20)은 상기 지그본체(10)의 평면에서 볼 때 사각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홈(20)의 네 모서리 부분 중에서 적어도 상기 연성회로기판(2)의 칩탑재부(4)의 직각 방향 측면부가 접촉되는 위치의 모서리 부분에는 보조 기준홈(5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홈(20)은 상기 지그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기준홈(20)의 외측에 위치된 점착부(30)는 상기 지그본체(10)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그본체(10)에 복수개의 연성회로기판(2)을 가부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KR1020080008865A 2008-01-29 2008-01-29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KR100986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65A KR100986793B1 (ko) 2008-01-29 2008-01-29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65A KR100986793B1 (ko) 2008-01-29 2008-01-29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971A true KR20090082971A (ko) 2009-08-03
KR100986793B1 KR100986793B1 (ko) 2010-10-08

Family

ID=4120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865A KR100986793B1 (ko) 2008-01-29 2008-01-29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7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605B1 (ko) * 2010-08-11 2011-02-14 주식회사 거림 연성회로기판용 지그
KR101024602B1 (ko) * 2010-06-28 2011-03-24 권도희 양면 노출 구조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 및 그 부품 실장용 보강판
WO2016053371A1 (en) * 2014-09-30 2016-04-07 Apple Inc. 3d flex soldering
US9538662B2 (en) 2014-09-30 2017-01-03 Apple Inc. 3D flex soldering
KR102008775B1 (ko) * 2019-05-24 2019-08-08 허우녕 회로기판 모듈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215B1 (ko) 2020-03-19 2020-11-27 주식회사 온페이스에스디씨 Fpcb 정렬 이송에 의한 smd 공정 시스템
KR102184212B1 (ko) 2020-03-19 2020-11-30 주식회사 온페이스에스디씨 Fpcb 정렬 이송용 캐리어 어셈블리
KR102541298B1 (ko) 2021-10-14 2023-06-12 주식회사 유비셀 Fpcb 정렬 이송용 캐리어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0542A (ja) * 1991-12-06 1993-06-25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KR100222296B1 (ko) * 1996-10-10 1999-10-01 윤종용 범용성을 갖는 단배열 모듈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KR100406761B1 (ko) * 2000-05-17 2003-12-01 주식회사 부양텔콤 플랙시블 피시비의 연배열 크림솔더 인쇄용 지그 및연배열 크림솔더 인쇄방법
KR20040077243A (ko) * 2003-02-28 2004-09-04 (주)엠이씨 인쇄회로기판 표면실장용 지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02B1 (ko) * 2010-06-28 2011-03-24 권도희 양면 노출 구조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 및 그 부품 실장용 보강판
KR101013605B1 (ko) * 2010-08-11 2011-02-14 주식회사 거림 연성회로기판용 지그
WO2016053371A1 (en) * 2014-09-30 2016-04-07 Apple Inc. 3d flex soldering
US9538662B2 (en) 2014-09-30 2017-01-03 Apple Inc. 3D flex soldering
KR102008775B1 (ko) * 2019-05-24 2019-08-08 허우녕 회로기판 모듈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793B1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2971A (ko)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US20070113717A1 (en) Cutting fixture for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JP2006005106A (ja) 基板固定用治具及び基板固定方法
JP4394432B2 (ja) 配線回路基板保持シートの製造方法
EP0973364A2 (en) Self-shearing stencil
US9277650B2 (en) Combin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75114B2 (ja) 製品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004583B1 (ko) 회로기판 모듈용 지그
KR101186538B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WO2018092517A1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装置
KR20050031288A (ko)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및 제조방법
US20050233607A1 (en) Orientation equipment with multiple PCBS
KR100629907B1 (ko) 인쇄회로기판의 불량 단품 피.씨.비 교체 방법
JP4361325B2 (ja) 実装基板の製造方法、電子部品の実装方法、実装済基板の検査方法、実装済基板の分割方法、補強用基板および積層基板
JP2002204065A (ja) 冶具プレート
JPH0236590A (ja) 実装プリント回路基板のマスクプレ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4322633B2 (ja) 電子回路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0258190A (ja) プリント基板の接続体
JP2015041662A (ja) 複合配線板及び複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8078565A (ja) 集合基板、及び回路基板
CN213991159U (zh) 拼接式电路板结构
JP7050718B2 (ja) はんだ付け用位置決め治具
JP2012084742A (ja) リフロ用治具及びリフロ加熱方法
KR200379492Y1 (ko) 인쇄회로기판용 지그조립체
JP2002198644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