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442A - 과체중 또는 비만 감소법 - Google Patents

과체중 또는 비만 감소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442A
KR20090082442A KR1020097011079A KR20097011079A KR20090082442A KR 20090082442 A KR20090082442 A KR 20090082442A KR 1020097011079 A KR1020097011079 A KR 1020097011079A KR 20097011079 A KR20097011079 A KR 20097011079A KR 20090082442 A KR20090082442 A KR 2009008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gp
weight gain
obesity
overweight
dihydro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리테라티나기
졸탄 스질바시
칼만 토리
라즐로 비그
칼만 타칵스
요제프 만들
발라즈스 쉬메기
산도르 베르나쓰
아틸라 콜로닉스
가보르 발로그
자노스 에그리
Original Assignee
엔-진 리서치 래버러토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진 리서치 래버러토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진 리서치 래버러토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4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pamperone, anaba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상적 체중 증가를 예방하거나 과체중 또는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O-(3-피페리디노-2-히드록시-1-프로필)-니코틴 아미독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체중 또는 비만 감소법 {REDUCTION OF OVERWEIGHT OR OBESITY}
본 발명은 비정상적 체중 증가를 예방하거나 과체중 또는 비만을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체중과 비만은 선진국에서 가장 유력한 영양 문제를 대표한다. 세계 보건 기구의 평가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3백만명 이상의 성인이 비만이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동안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를 초과하는 경우 비정상적 체중 증가를 일으키며, 이는 먼저 과체중을 초래한 후 비만을 초래한다. 성인의 경우, 과체중은 25 내지 30 kg/m2의 체질량 지수를 특징으로 하며, 30 kg/m2이 넘는 체질량 지수는 비만을 나타낸다.
음식 섭취 및 에너지 소비는 정상적으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화된다. 에너지 항상성을 제어하는 생물학적 시스템은 주로 음식 과잉 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 보다는 영양분 이용률이 제한된 기간 동안의 체중 감소를 막기 위해 전개된다. 상승된 혈장 수준에 의해 전달되는 방어와 같은 체중 증가에 대한 고유의 생물학적 방어는 비교적 미발달된 채로 남아있다. [Leibel R.L.: The role of leptin in the control of body weight, Nutr. Rev., 60, S15-S19, discussion: S68-S87; Flier J.S., Clinical review 94: What's in a name? In search of leptin's physiologic role. J. Clin. Endocrinol. Metab., 83, 1407-1413, (1998); Berthoud H. R.: Mind versus metabolism in the control of food intake and energy balance, Physiol. Behav., 81, 781-793 (2004).] 따라서, 적응 유전자 변이체(adaptive gene variant)가 체중 증가에 관여하는 경우, 이러한 변이체는 비만유발 환경, 예를 들어 매우 풍미가 있고 에너지가 풍부한 음식을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신체 활동을 최소로 요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에서 생활하는 개체에서 발현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렙틴과 같은 호르몬에 의한 불충분하거나 결함이 있는 지방과다(adiposity) 피드백 신호전달이 통상적인 형태의 비만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개체에서는 상쇄되는 특정 영양분 부하하에서의 체중 증가는 병리학적 또는 비정상적 체중 증가로서 일컬어질 수 있다.
과체중과 비만은 그 자체로 고혈압 및 비정상적 대사 변화, 예를 들어 당뇨병의 위험 인자인 인슐린 내성과 이상지질혈증과 관련된다. 비만 (특히, 복부 비만), 인슐린 내성 및 이상지질혈증은 2형 당뇨병을 초래하는 "당뇨병전증(pre-diabetes)" (대사 증후군)의 주요 특징이다. 당뇨병은 높은 심혈관 질환 위험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를 수반한다. 따라서, 비만은 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골관절염, 담석의 형성 및 다양한 악성 질환과 같은 고위험 질환의 소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적 체중 증가를 예방하거나 과체중 또는 비만을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약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O-(3-피페리디노-2-히드록시-1-프로필)-니코틴 아미독심 (BGP-15로서 약칭됨)은 혈관 손상을 야기하는 당뇨 합병증인 당뇨병성 혈관병증의 치료에 유용한 신규 화합물로서 1976년에 특허되었다. 기본 특허로는 다른 것들 중에서 미국 특허 번호 4,187,220이 있다.
미국 특허 번호 6,306,878은 BGP-15를 포함하는 아미독심산 유도체를 유효하고 비독성인 투여량으로 근병증 및 신경퇴행성 질환을 초래하는 손상을 받기쉬운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손상으로부터 미토콘드리아 게놈 및/또는 미토콘드리아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근병증은 심근병증이다. 신경퇴행성 질환은 파킨슨병, 헌팅톤병 및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번호 6,458,371은 크림, 로션, 포움(foam) 또는 스프레이 형태로 존재하는, 활성 성분으로서 BGP-15를 포함하는 히드록심산 유도체 0.1 내지 30%와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UV-B 방사선에 의한 광손상(photodamage)의 발생률을 감소시키기에 적합하다.
미국 특허 번호 6,884,424는 BGP-15를 포함하는 히드록심산 유도체를 질환에 걸린 피부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광선각화증(actinic keratosis)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번호 6,451,851은 약제학적 유효량의 공지된 항바이러스 활성제를 BGP-15를 포함하는 히드록심산 유도체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앓고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번호 6,440,998은 시스플라틴 또는 카르보플라틴과 BGP-15를 포함 하는 히드록심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종양 활성을 지니며 부작용이 감소된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번호 6,656,955는 파클리탁셀 또는 도세탁셀과 BGP-15를 포함하는 히드록심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종양 활성을 지니며 부작용이 감소된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번호 6,720,337은 옥살리플라틴과 BGP-15를 포함하는 히드록심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종양 활성을 지니며 부작용이 감소된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번호 6,838,469는 피리미딘 유도체와 BGP-15를 포함하는, 항종양 활성을 지니며 부작용이 감소된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공개 번호가 WO 00/07580인 PCT 특허 출원에는 1형 당뇨병의 치료에서 BGP-15의 항당뇨병 효과에 관한 실험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1형 당뇨병은 낮은 연령층(young age)에서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환이고, 2형 당뇨병은 높은 연령층(higher age)에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이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공개 번호가 WO 03/007951인 PCT 출원은 당뇨병전증 상태, 대사성 X-증후군 또는 당뇨병 뿐만 아니라 상기 열거된 상태과 관련된 장애, 즉, 내인성 대사 장애, 인슐린 내성, 이상지질혈증, 탈모증(alopecia), 미만성 탈모(diffuse effluvium) 및/또는 안드로겐 우세에 기반하는 여성 내분비 장애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BGP-15를 포함하는 히드록심산 유도체와 항당뇨병제 또는 항고지혈증 활성제의 약제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실험실 데이터는 BGP-15가 공지된 항당뇨병제인 메트포르민과 트로글리타존 각각의 효과를 상승적으로 향상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실험실 데이터는 BGP-15가 그 자체로 대조군에 비해 정상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물 둘 모두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따라서, 인슐린 내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공개 번호가 WO 2005/122678인 PCT 출원은 운동촉진 효과(prokinetic effect)를 지닌 (즉, 위장 활동을 유발함)를 지닌 약제 조성물에서 BGP-15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운동촉진 효과는 역류식도염, 위마비(gastroparesis)의 가능한 치료, 담낭으로부터의 담즙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것 등을 포함한다.
공개 번호가 WO 2005/123049인 PCT 출원은 미토콘드리아 발생을 위한, 즉,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의 수를 증가시켜서 강화(roborating) 효과를 일으키기 위한 BGP-15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공개 번호가 WO 2006/079910인 PCT 출원은 구강내 병변, 특히 치주 질환의 치료를 위한 BGP-15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O-(3-피페리디노-2-히드록시-1-프로필)니코틴 아미독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과체중 또는 비만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체중 증가를 예방하거나 과체중 또는 비만을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O-(3-피페리디노-2-히드록시-1-프로필)-니코틴 아미독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BGP-15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4,187,22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산 부가염은 염산, 황산 등과 같은 무기산 또는 아세트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과의 염이다. O-(3-피페리디노-2-히드록시-1-프로필)니코틴 아미독심의 바람직한 산 부가염은 이의 디히드로클로라이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독성 투여량의 BGP-15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산 부가염이 약제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된다. 이러한 비독성 투여량의 BGP-15는 비정상적인 체중 증가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과체중 또는 비만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체중이 약 70 kg인 성인에 대한 1일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5 mg 내지 1000 mg의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로서), 적절하게는 50 내지 500 mg의 BGP-15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25 내지 30 kg/m2인 체질량 지수를 감소시키거나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30 kg/m2이 넘는 체질량 지수를 감소시키거나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BGP-15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산 부가염은 활성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들)을 함유하는 통상적인 약제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된다. 이러한 약제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또는 직장 투여 또는 국소 치료에 적절한 임의의 투여형을 포함할 수 있고,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경구 투여용으로 적합한 고체 약제 조성물은 분말, 캡슐, 정제, 필름 코팅 정제, 마이크로캡슐 등일 수 있고, 결합제, 예를 들어 젤라틴, 소르비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 충전제, 예를 들어 락토오스, 글루코오스, 전분, 칼슘 포스페이트 등; 타정 보조 물질,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카 등; 습윤제, 예를 들어 나트륨 라우릴설페이트 등을 담체로서 포함할 수 있다. 캡슐은 어떠한 담체없이 순수한 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고, 그 밖의 투여형은 활성제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담체(들)을 함유한다.
경구 투여용으로 적합한 액체 약제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젤라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현탁제;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등과 같은 에멀젼화제; 물, 오일,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등과 같은 용매;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과 같은 방부제를 담체로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으로 적합한 약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들의 멸균 용액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멸균 용액은 활성제 이외에 pH 조절제 및 삼투몰농도 조절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투여형 뿐만 아니라 다른 투여형이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다 (참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Mack Publishing Co., Easton, USA (1990)).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투여 단위를 함유한다. 1일 투여량은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투여될 수 있다. 실제 투여용량은 다수의 인자에 좌우되고, 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활성 성분을 하나 이상의 담체(들)과 혼합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약제 조성물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유용한 방법은 상기 언급된 레밍턴스 파마슈티칼 사이언시즈(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와 같은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체중 증가에 대한 BGP-15의 효과를 하기 실시예의 시험으로 조사하였다.
실시예 1
올란자핀 또는 클로자핀에 의해 유발된 체중 증가에 대한 BGP-15의 효과
특정 항정신병약이 치료되는 환자에서 과체중을 유발한 후 비만을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Ruetsch O. et al., LΕncephale, 31 507-16 (2005)], 올란자핀 [2-메틸-4-(4-메틸-1-피페라지닐)-10H-티에노-[2,3-b][1,5]-벤조디아제핀]으로 처리된 래트 또는 올란자핀 또는 클로자핀 [8-클로로-11-(4-메틸-1-피페라지닐)-5H-디벤조-[b,e][1,4]디아제핀]으로 처리된 마우스를 복부 체중 증가에 대한 BGP-15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시스템으로서 사용하였다.
A. 올란자핀에 의한 실험적 과체중 유발 및 경구 항당뇨병약과의 비교
암컷 위스타 래트의 군을 비히클 (대조군) 및 시험하려는 작용제로 28일간 처리하였다. 각각의 군은 표준 실험실 식이 및 수돗물을 제한없이 제공받는 6마리 의 동물로 구성되었다. 시험하려는 작용제를 하루 2회, 즉, 8시 및 18시에 경구 투여하였다. 항정신병약인 올란자핀을 1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하여 체중 증가를 유발시켰다. BGP-15를 10 mg/kg의 투여량으로 단독으로 그리고 올란자핀과 함께 투여하였다. 경구 항당뇨병제인 메트포르민 (100 mg/kg)과 로지글리타존 (3 mg/kg)을 기준 화합물로서 단독으로 그리고 올란자핀과 함께 사용하였다. 동물의 평균 출발 체중은 171 g이었다. 28일째의 시험 종료시 동물의 체중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1
처리 체중(군의 평균) (g)
대조군 255
올란자핀, 1 mg/kg 330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0 mg/kg 242
메트포르민, 100 mg/kg 266
로지글리타존, 3 mg/kg 284
올란자핀, 1 mg/kg +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0 mg/kg 262
올란자핀, 1 mg/kg + 메트포르민, 100 mg/kg 331
올란자핀, 1 mg/kg + 로지글리타존, 3 mg/kg 359
28일의 시험 기간 동안 출발 체중과 비교하여 대조군의 체중 증가는 래트의 경우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올란자핀은 대조군에 비해 높은 평균 체중을 발생시켰다. BGP-15 단독에 의한 처리는 대조군에 비해 평균 체중을 감소시켰으며, 메트포르민과 로지글리타존 각각에 의한 처리는 대조군에 비해 다소 높은 평균 체중을 발생시켰다. 올란자핀 및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둘 모두로 처리된 군의 경우, 매우 높은 체중 감소가 발생하였는데, 거의 건강한 동물 (대조군)을 특징지우는 값이 수득되었다. 메트포르민에 의한 처리는 실험 모델에서 올란자핀에 의해 유발된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지 못했으며, 로지글리타존에 의한 처리는 그러한 체중 증가를 증가시켰다.
B. 올란자핀 또는 클로자핀에 의한 실험적 과체중 유발
암컷 NMRI 마우스의 군을 비히클 (대조군) 및 시험하려는 작용제로 15일간 경구적으로 처리하였다. 각각의 군은 표준 실험실 식이 및 수돗물을 제한없이 제공받는 10마리의 동물로 구성되었다. 처리는 암기(dark phase) 직전이며 하루중 주요 섭식 기간인 오후 5시와 6시 사이에 수행하였다. 올란자핀을 0.5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하고, 클로자핀은 1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하여 체중 증가를 유발시켰다. BGP-15는 10 mg/kg의 투여량으로 단독으로 그리고 각각 올란자핀 및 클로자핀과 함께 투여하였다. 동물의 체중을 매주 2회 기록하였고, 1일째와 15일째 사이의 동물의 체중 증가는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표 2
처리 체중 증가(군의 평균) (g)
대조군 2.98
올란자핀, 0.5 mg/kg 3.5
클로자핀, 1 mg/kg 4.11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0 mg/kg 2.85
올란자핀, 0.5 mg/kg +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0 mg/kg 2.33
클로자핀, 1 mg/kg +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0 mg/kg 2.19
BGP-15 단독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증가를 약 4.4%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 모델 군의 경우, BGP-15는 대조군에 비해 체중 변화를 각각 22% 및 26.5% 감소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2
래트에서 리스페리돈에 의해 유발된 체중 증가에 대한 BGP-15의 효과
실험을 8주령 암컷 위스타 래트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시험군은 표준 실험실 식이 및 수돗물을 제한없이 제공받는 10마리의 동물로 구성되었다. 동물을 비히클 (대조군) 및 시험하려는 화합물로 21일간 처리하였다. 이러한 실험 시스템에서, 항정신병약인 리스페리돈 [3-[2-[4-(6-플루오로-1,2-벤즈이속사졸-3-일)-1-피페리디닐]에틸]-6,7,8,9-테트라히드로-2-메틸-4H-피리도[1,2-a]피리미딘-4-온]을 각각 0.005 및 0.05 mg/kg의 투여량으로 하루 1회 피하 주입하여 체중 증가를 유발시켰다.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를 단독으로 그리고 리스페리돈과 함께 하루 1회 20 mg/kg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동물의 평균 출발 체중은 195 g이었다. 21일째의 시험 종료시 동물의 체중은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표 3
처리 체중 증가 (g)
대조군 27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0 mg/kg p.o. 22.7
리스페리돈 0.005 mg/kg s.c. 39.7
리스페리돈 0.05 mg/kg s.c. 41
리스페리돈 0.005 mg/kg s.c. +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0 mg/kg p.o 25.8
리스페리돈 0.05 mg/kg s.c. +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0 mg/kg p.o 28.7
항정신병 약물인 리스페리돈의 2가지 투여량 모두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체중 증가를 야기하였다. BGP-15 단독은 체중 증가를 다소 감소시켰다. 그러나, 2가지 실험 모델 군에서, BGP-15는 리스페리돈의 첨가에 의해 야기되는 체중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3
유전적으로 비만이 되기 쉬운 마우스의 체중에 대한 BGP-15의 효과
ob/ob 마우스는 비만의 유전적 모델을 대표하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만 호르몬 중 하나인 렙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이러한 질환을 야기한다. 렙틴-결함은 대사율 감소 및 음식 섭취 증가 둘 모두를 야기한다. 이러한 마우스는 빠른 체중 증가를 나타내는데, 6주령 동물은 약 30 g의 평균 체중을 지니는 반면, 동일한 주령의 야생형 마우스는 단지 20 g의 체중을 지닌다.
상기 시험에서, 6주령된 수컷 ob/ob 마우스를 15 mg/kg의 1일 투여량의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로 15일간 경구적으로 처리하였다. 동물의 체중을 매주 측정하였다. 15일 처리후 대조군과 BGP-15 처리된 동물의 체중은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표 4
처리 체중 증가 (g)
대조군 (비히클) 8.73±0.76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5 mg/kg 6.35±0.17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는 ob/ob 마우스 비만 모델에서 체중 증가의 다소 유의할 만한 감소를 야기하였는데, 이는 시험군의 체중 증가가 대조군의 체중 증가 보다 27% 낮았기 때문이다.
실시예 4
마우스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발된 체중 증가에 대한 BGP-15의 효과
암컷 NMRI 마우스의 시험군은 50% 지방을 함유하는 풍미가 있는 사료를 섭취 하였다. 시험군 중 하나에서, 마우스를 20 mg/kg의 투여량의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로 매일 경구적으로 처리하였다. 대조군의 동물에게는 지방 함량이 낮은 통상적인 마우스 사료를 공급하였다. 통상적인 마우스 사료를 공급받는 또 다른 마우스의 군에서는, 동물을 20 mg/kg의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로 매일 경구적으로 처리하였다. 동물의 체중을 2주간 매주 평가하고, 체중 변화를 계산하였다. 실험 개시 시점에서, 동물의 평균 체중은 약 26 g 이었다. 실험 8일째 및 15일째의 평균 체중 증가는 표 5에 기재되어 있다.
표 5
처리 체중 증가 (g)
8일째 15일째
대조군 (통상적인 식이) 1.97 2.47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0 mg/kg p.o. (통상적인 식이) 2.01 2.48
풍미가 있는 고지방 식이 3.65 5.37
풍미가 있는 고지방 식이 + BGP-15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0 mg/kg p.o. 2.48 2.67
표 5로부터, 풍미가 있는 고지방 식이는 대조군에 비해 매우 높은 체중 증가를 일으켰지만, BGP-15 처리는 거의 완전하게 고지방 식이의 효과를 차단하였음을 알 수 있다. BGP-15 처리 단독은 통상적인 식이의 경우 체중 증가에 대해 유의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실시예에서, 다양한 실험 모델에서 발생된 비만이 BGP-15에 의한 처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4)

  1. 비정상적 체중 증가를 예방하거나 과체중 또는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O-(3-피페리디노-2-히드록시-1-프로필)-니코틴 아미독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의 용도.
  2. 제 1항에 있어서, O-(3-피페리디노-2-히드록시-1-프로필)-니코틴 아미독심 디히드로클로라이드가 사용되는 것인 용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조성물이 25 내지 30 kg/m2인 체질량 지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용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조성물이 30 kg/m2이 넘는 체질량 지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용도.
KR1020097011079A 2006-11-02 2007-07-23 과체중 또는 비만 감소법 KR200900824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611706P 2006-11-02 2006-11-02
US60/856,117 2006-11-02
US11/687,945 US7763601B2 (en) 2006-11-02 2007-03-19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US11/687,945 2007-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442A true KR20090082442A (ko) 2009-07-30

Family

ID=3859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079A KR20090082442A (ko) 2006-11-02 2007-07-23 과체중 또는 비만 감소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7763601B2 (ko)
EP (1) EP2089031B1 (ko)
JP (1) JP2010509199A (ko)
KR (1) KR20090082442A (ko)
AT (1) ATE489090T1 (ko)
AU (1) AU2007315931A1 (ko)
BR (1) BRPI0717867A2 (ko)
CA (1) CA2668382A1 (ko)
DE (1) DE602007010819D1 (ko)
DK (1) DK2089031T3 (ko)
HK (1) HK1131737A1 (ko)
HR (1) HRP20110023T1 (ko)
IL (1) IL198296A (ko)
MX (1) MX2009004538A (ko)
NO (1) NO20092025L (ko)
PL (1) PL2089031T3 (ko)
PT (1) PT2089031E (ko)
RU (1) RU2443417C2 (ko)
SI (1) SI2089031T1 (ko)
WO (1) WO2008053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1420B2 (en) 2007-04-11 2022-02-08 Omeros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addictions
EP3788877A1 (en) * 2007-04-11 2021-03-10 Omeros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addictions
US20160331729A9 (en) 2007-04-11 2016-11-17 Omeros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addictions
WO2009074835A1 (en) * 2007-12-10 2009-06-18 N-Gene Research Laboratories Inc. Dose reduction of a cannabinoid cb1 receptor antagonist in the treatment of overweight or obesity
HUP1100444A2 (en) 2011-08-17 2013-02-28 Pharma Gene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
HUP1100445A2 (en) 2011-08-17 2013-02-28 Pharma Gene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
HUP1800298A1 (hu) 2018-08-30 2020-05-28 N Gene Res Laboratories Inc Gyógyszerkombináció béta-receptor blokkolók hatásának módosítására és a mellékhatások csökkentésé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7220A (en) 1977-08-30 1980-02-05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i Termekek Gyara R.T. New O-(3-amino-2-hydroxy-propyl)-amidoxime derivativ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4287220A (en) * 1980-02-19 1981-09-01 Frito-Lay, Inc. Hull containing compositions
HU207988B (en) * 1988-10-20 1993-07-28 Biorex Kutato Fejlesztoe Kft Process for producing halogenides of o-/3-amino-2-hydroxy-propyl/hydroximic aci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s active components
HU9502843D0 (en) 1995-09-29 1995-11-28 Livigene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6884424B2 (en) 1995-12-22 2005-04-26 N-Gene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treating the pathological lesions of the skin that develop by ultraviolet radiation of the sunlight
US6458371B1 (en) 1995-12-22 2002-10-01 Medgene, Limited Cosmetic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or reduction of the photoaging processes of the skin
HU9701081D0 (en) 1997-06-23 1997-08-28 Gene Research Lab Inc 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antitumoral activity
HUP9701080A3 (en) 1997-06-23 1999-05-28 Gene Res Lab Inc New York 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compound of antiviral activity and a hydroximic acid ester derivative
AU5296799A (en) 1998-08-03 2000-02-28 N-Gene Kutato Kft.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gainst autoimmune diseases
UA65635C2 (uk) * 1998-09-03 2004-04-15 Н-Гене Кутато Кфт. НЕНАСИЧЕНІ ПОХІДНІ ГІДРОКСИМОВОЇ КИСЛОТИ, ЩО МАЮТЬ ВЛАСТИВОСТІ ІНГІБІТОРІВ NAD<sup>+</sup>-ADP-РИБОЗИЛТРАНСФЕРАЗИ
CA2452558C (en) 2001-07-17 2009-12-22 N-Gene Research Laboratories Inc. A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bina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es
HUP0401177A2 (en) 2004-06-14 2007-09-28 N Gene Res Lab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mitochondrial genesis
HUP0401176A2 (en) 2004-06-14 2007-09-28 N Gene Res Lab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prpkinetic effect
HUP0500145A2 (en) 2005-01-28 2006-11-28 Gene Res Lab N Use of o-(3-piperidino-2-hydroxy-1-propyl)-nicotinic amidoxime for preparation of medicaments against oral diseases
CN101534836B (zh) 2006-09-05 2011-09-28 彼帕科学公司 Parp抑制剂在制备治疗肥胖症的药物中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2089031T1 (sl) 2011-04-29
EP2089031A1 (en) 2009-08-19
IL198296A (en) 2011-09-27
BRPI0717867A2 (pt) 2013-10-29
WO2008053256A1 (en) 2008-05-08
PT2089031E (pt) 2011-02-24
NO20092025L (no) 2009-06-02
EP2089031B1 (en) 2010-11-24
DK2089031T3 (da) 2011-02-14
ATE489090T1 (de) 2010-12-15
DE602007010819D1 (de) 2011-01-05
MX2009004538A (es) 2009-05-22
IL198296A0 (en) 2010-02-17
US7763601B2 (en) 2010-07-27
RU2443417C2 (ru) 2012-02-27
PL2089031T3 (pl) 2011-05-31
AU2007315931A1 (en) 2008-05-08
HK1131737A1 (en) 2010-02-05
CA2668382A1 (en) 2008-05-08
JP2010509199A (ja) 2010-03-25
RU2009119567A (ru) 2010-12-10
US20080108673A1 (en) 2008-05-08
HRP20110023T1 (hr) 201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2442A (ko) 과체중 또는 비만 감소법
AU2018202410B2 (en) Methods for treating antipsychotic-induced weight gain
US20130316994A1 (en) Methods of Reducing Risk of Hepatobiliary Dysfunction During Rapid Weight Loss with METAP-2 Inhibitors
JPH07509456A (ja) 2型糖尿病および肥満の治療および予防のための1,3−ジシクロプロピメチル−8−アミノ−キサンチンの使用
TW201136916A (en) New uses
US783405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gout
WO2005084392A2 (en) 4-methylpyrazole formulations for inhibiting ethanol intolerance
EP3253389A1 (en) 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DK2900230T3 (en) RELATIONSHIPS FOR TREATING ADIPOSITAS AND PROCEDURES FOR USING THEREOF
AU2018343110A1 (en) Hunger Suppression
US20090281143A1 (en) Dose Reduction of a Cannabinoid CB1 Receptor Antagonist in the Treatment of Overweight or Obesity
US20090118225A1 (en) 1-Methyl Nicotinamide and Derivatives for Treatment of Gastric Injury
US6069147A (en) Thermogenesis stimulating drugs
KR20070086137A (ko) FBPase 저해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CA2590883A1 (en) Medicinal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es
US20120053172A1 (en) Use of a combination of diazoxide and metformin for treating obesity or obesity related disorders
ES2355680T3 (es) Reducción del sobrepeso o de la obesidad.
KR20100017460A (ko) 피피에이알 감마 작용물질로 인한 부작용의 예방에 유용한 조성물
US20090170900A1 (en) Dosing regimen for weight loss
CA2543342A1 (en) Combination treatment of obesity involving 4,5-dihydro-1h-pyrazole derivatives having cb1-antagonistic activity and lipase inhibitors
EP1631272A2 (en) Methods of treating obesity and related disorders using tellurium and selenium compounds
JPS6245523A (ja) 食欲抑制剤
WO2009045101A1 (en) Use of diazoxide for suppressing the plasma insulin level in a mammal
WO2009035368A1 (fr) Composition pharmaceutique possédant un effet antidiabé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