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607A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1607A KR20090081607A KR1020080007568A KR20080007568A KR20090081607A KR 20090081607 A KR20090081607 A KR 20090081607A KR 1020080007568 A KR1020080007568 A KR 1020080007568A KR 20080007568 A KR20080007568 A KR 20080007568A KR 20090081607 A KR20090081607 A KR 200900816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rush assembly
- signal
- filter
- filte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77 unit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브러쉬조립체의 위치에 근거하여, 브러쉬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또는 브러쉬조립체에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브러쉬조립체의 이동을 적절히 제어하여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필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베이스패널, 사이드패널, 브러쉬조립체, 필터, 필터 하우징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브러쉬조립체의 위치에 근거하여, 브러쉬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또는 브러쉬조립체에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 상측에 설치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천장 상측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이 상기 실내기 내부에 누적되어 실내기 내부의 부품 보호가 미흡하고, 피 공조실의 공기도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필터에 의해 걸러내는 경우에도, 필터에 수집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하여 상기 실내기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기능이 저하되고, 필터의 교체나 청소를 위해 상기 필터가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터의 설치 위치나 설치 방법은 물론, 필터 주변 부품들의 레이 아웃이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을 직접 해야 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 그리고 상기 필터의 오염 상태로 인한 불쾌함으로 인해 감성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브러쉬조립체의 위치에 근거하여, 브러쉬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또는 브러쉬조립체에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필터;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는 브러쉬조립체;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브러쉬조립체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 및 상기 브러쉬조립 체의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유닛 및 상기 흡입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조립체는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과 접촉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와 접촉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러쉬는 상기 필터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에 의해 상기 필터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은 자중방향으로 낙하되어, 상기 본체에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쉬조립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이동유닛 및 상기 흡입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러쉬조립체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1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1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제1 설정시간 동안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면,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키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키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상기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동안, 상기 흡입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가 소정횟수 미만이면,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브러쉬조립체의 위치에 근거하여, 브러쉬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또는 브러쉬조립체에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청소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브러쉬조립체의 이동을 적절히 제어하여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필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00)에서 베이스패널(3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케이스(200)의 길이방 향(즉, 좌우방향)을 도면부호 X로,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평되게 직교하는 방향(즉, 전후방향)을 도면부호 Y로,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직교하는 방향(즉, 상하방향)을 도면부호 Z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천장(1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케이스(200)는 저면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이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200)는 천장(100)의 내부공간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하부의 실내(170)측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후 토출시키기 위한 각종 열교환 부품(180)이 배치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200)의 개구된 저면을 덮도록 케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300)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패널(300)의 하면에는 공기 흡입구(305)를 개폐시키는 프런트패널(400)이 배치된다. 프런트패널(400)은 공기조화기의 작동시에는 베이스패널(300) 상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305)를 개방시켜 흡입되는 공기를 케이스(200) 내부로 안내하고, 공기조화기의 미작동시에는 공기 흡입구(305)를 폐쇄시켜 천장(100)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프런트패널(40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해당되는 베이스패널(300) 상에 배치되는 사이드패널(500)을 더 포함한다. 사이드패널(500)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베이스패널(30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패널(500)은 베이스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1)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30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패널(300)에는 X방향으로 길게 케이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흡입구(305)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305)로부터 Y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공기 흡입구(305)와 나란하게 케이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토출구(310)가 형성된다. 공기 흡입구(305)의 흡입면과 공기 토출구의 토출면은 수평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300)의 공기 흡입구(305)에 결합되는 청소장치(6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600)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7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필터(610), 필터(610)가 장착되는 필터 하우징(620) 및 브러쉬조립체(700)를 포함한다.
먼저, 공기 흡입구(305) 측에는 공기 흡입구(30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10)가 배치된다. 필터(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구(305) 측에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620)에 안착된다. 사용자에 의해 필터(61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필터(610)는 필터 하우징(620)으로부터 착탈가능하다. 따라서, 필터(610)가 필터 하우징(620)에 끼움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지만, 상기 결합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610)와 필터 하우징(620)은 각각 공기 흡입구(305)의 크기에 근거하여 제작되어, 공기 흡입구(305)에 결합되고, 결합방식은 전술한 끼움 결합방식 또는 슬라이딩 결합 방식 등이 가능하지만, 상기 결합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610)는 공기 흡입구(30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필터(610)의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필터(610)에 수집되는 이물질량도 많아지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쉬조립체(700)는 필터 하우징(620)에 결합되고, 필터(610)의 하방에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러쉬 조립체(700)는 브러쉬(720)와, 본체(710)를 포함한다.
본체(710)는 브러쉬(720)와 접촉되어 필터(610)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710)는 본체의 바닥을 구성하는 본체베이스(711)와, 본체베이스(711)를 덮는 본체덮개(710)로 구성된다.
본체베이스(711)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후술할 도 8의 7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상에 브러쉬프레임(721)이 결합된다.
브러쉬(720)는 본체(710) 내부에 구비되는 브러쉬프레임(721)에 고정된다. 브러쉬(720)는 필터(610)의 하방에 배치되어, 필터(610)에 걸러진 이물질을 접촉하여, 상기 이물질을 자중방향으로 낙하시킨다.
브러쉬(720)와 필터(610)의 접촉으로 인해 필터(610)에 걸러진 이물질이 자 중 방향으로 낙하하여 본체베이스(711) 내부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브러쉬(720)는 필터(610)의 하방에 배치되고, 이동유닛(640)과 브러쉬조립체(70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유닛(640)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는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브러쉬조립체(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도 1의 X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브러쉬(720)와 필터(610)가 접촉한다. 브러쉬(720)와 필터(610)의 접촉에 의해 필터(610)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은 자중방향으로 낙하되어, 본체(710)에 수집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러쉬조립체(700)는 필터 하우징(620)과 본체(7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730)들을 더 포함한다. 이동유닛(640)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가 이동하는 경우, 롤러(730)들이 필터 하우징의 일측을 따라 구름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구름동작에 근거하여 브러쉬조립체(700)가 이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하우징(620)은 적어도 일측에 본체(710)의 양측을 지지하여 브러쉬조립체(7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본체(710)의 하방 탈거를 방지하는 유동방지부(630)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600)의 측면도이다.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유동방지부(630)는 필터 하우징(6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브러쉬조립체(700)의 길이방향측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면(631)과, 지지면(631)의 끝단에서 필터 하우징(620)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브러쉬조립체(700)의 하방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면(632)을 포함한다.
필터 하우징(620)의 적어도 일측에 유동방지부(630)가 구비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620)의 양측에 모두 구비되어, 브러쉬조립체(700)의 양단을 모두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730)들은 유동방지부(630)에 배치되어 롤링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롤러(730)들은 브러쉬조립체(700)의 양단에 배치되며, 각 단마다 수평측 롤러(730a)들 및 수직측 롤러(730b)들로 구성된다. 수평측 롤러(730a)는 브러쉬조립체(700)가 측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수직측 롤러(730b)는 브러쉬조립체(700)가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수평측 롤러(730a)는 지지면(631)과 서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롤링되고, 수직측 롤러(730b)는 탈거방지면(632)과 서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롤링된다. 복수의 롤러(730)들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브러쉬조립체(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도 1의 X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뒤틀림 현상 또는 흔들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브러쉬조립체(700)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640)을 더 포함한다.
이동유닛(640)은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도 1의 X 방향)을 따라 브러쉬조립체(700)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유닛(640)은 필터 하우징(62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구동모터(641)와, 브러쉬조립체(700)와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브러쉬조립체(70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브러쉬조립 체(700)는 필터 하우징(62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구동 풀리(642), 연동 풀리(644) 및 텐션 풀리(643) 및 와이어 벨트(645)를 포함한다.
구동 풀리(642)는 구동모터(641)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641)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구동 풀리(642)가 연동되어 회전한다. 연동 풀리(644)는 구동 풀리(642)가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620)의 타측에 배치된다.
와이어 벨트(645)는 구동 풀리(642)에 감겨져 구동모터(641)의 동력을 브러쉬조립체(700)에 전달하도록 브러쉬조립체(700)에 연결된다. 브러쉬조립체(700)와 와이어 벨트(645)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러쉬조립체(700)의 일측에는 와이어 벨트(645)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740)가 형성되고, 와이어 연결부(740)에는 고정부(741)가 형성된다. 와이어 벨트(645)의 일단과 타단에는 환형부(645a)가 형성되고, 환형부(645a)는 와이어 연결부(740)의 고정부(741)에 걸림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부(741)는 와이어 벨트(645)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벨트(645)는 구동 풀리(642)와 텐션 풀리(643) 사이 또는 연동 풀리(644)와 텐션 풀리(643)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텐션 풀리(643)는 와이어 벨트(645)의 이동경로 상에 구동 풀리(642) 및 연동 풀리(644)와 이격 배치되어, 와이어 벨트(645)가 일측으로 감김되는 동작에 의 하여 와이어 벨트(645)에 장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복수의 롤러(730)들은 유동방지부(630)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롤링된다. 즉, 구동모터(641)의 동력이 와이어 벨트(645)에 전달되면, 와이어 벨트(645)가 회전하게 되고, 와이어 벨트(645)의 감김 동작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의 롤러(730)들이 각각 유동방지부(630)의 지지면(631)과 탈거방지면(632)을 따라 롤링하게 된다.
도 8는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700)의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의 본체(710)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브러쉬조립체(700)의 분해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쉬조립체(700)의 일측에는 와이어 벨트(641)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740)가 형성된다. 와이어 연결부(740)에는 와이어 벨트(641)의 양단이 각각 걸림되는 고정부(741)가 형성되고, 고정부(741)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와이어 벨트(641)의 일단과 타단에는 환형부(도 4의 645a)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는 와이어 연결부(740)의 고정부(741)에 걸림 연결된다.
본체(710) 내부는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안착부(713)와, 안착부(713)에 안착된 이물질을 본체(710)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714)로 구획된다. 여기서, 본체(710) 내부에는 안착부(713)와 안내부(714)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715)이 형성되고, 격벽(715) 상에는 복수의 흡입구(714a)들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안내부(714)의 일측에는, 안착부(713)에 안착된 이물질을 본체(710)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토출구(714b)가 형성된다.
본체 베이스(711)와 본체 덮개(712)는 서로 끼움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된다. 본체 덮개(712)는 본체 베이스(711)의 전면을 덮는 것이 아니라, 안내부(714)만을 덮는다. 브러쉬(720)에 의해 필터(610)에서 이물질이 낙하하여 안착되고, 브러쉬(720) 및 브러쉬프레임(721)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안착부(713)는 외부로 개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브러쉬조립체(700)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800) 및 이물질수집유닛(900)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800)은 케이스(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동유닛(640)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일단으로 이동하면 브러쉬조립체(700)와 흡입유닛(800)이 연통된다.
흡입유닛(800)은, 브러쉬 조립체(700)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유닛(미도시)과,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흡입되는 이물질집진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브러쉬조립체(700)가 이동유닛(640)에 의해 필터 하우징(620)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본체(710)의 안내부(714)에 형성된 토출구(714b)와 필터 하우징(620)에 형성된 하우징 토출구(621)가 연통된다. 하우징 토출구(621)와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에 형성된 흡입구(미도시)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면 서, 브러쉬조립체(700)와 흡입유닛(800)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하우징 토출구(미도시)와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에 형성된 흡입구(미도시)는 직접 결합에 의해 연통될 수 있지만, 호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집진유닛과 안내부가 연통되면,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이 안착부(713)와 안내부(714)를 거쳐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으로 흡입된다.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으로 흡입된 먼지는 원심분리되어, 이물질수집유닛(900)으로 수집되어 저장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이동유닛(640) 또는 흡입유닛(80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60)을 더 포함한다. 제어유닛(6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컨트롤박스(미도시) 등에 포함될 수 있으며, 케이스(200) 내부의 어느 곳이든 배치될 수 있다.
제어유닛(660)은, 브러쉬조립체(700)가 필터 하우징(620) 상을 이동할 때, 브러쉬조립체(700)의 필터 하우징(620) 상의 위치에 근거하여, 이동유닛(640) 또는 흡입유닛(80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위치감지부(650A)(650B)를 더 포함한다. 위치감지부(650A)(650B)는 필터 하우징(62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브러쉬조립체(7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제어유닛(660)은 위치감지부(650A)(650B)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한 후, 이동유닛(640) 및 흡입유닛(80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감지부(650A)(650B)는 필터 하우징(6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하우징(620) 상 위치감지부(650A)(650B)가 배치되는 곳의 위치를 각각 제1위치, 제2위치라고 정의하고,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배치되는 위치감지부를 각각 제1신호부(650A) 및 제2신호부(650B)라고 정의한다.
제1신호부(650A) 및 제2신호부(650B)는 브러쉬조립체(700)와의 접촉으로 소정 압력 이상이 가해지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제1신호부(650A) 및 제2신호부(650B)는 상기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브러쉬조립체(700)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류이면 어떠한 구성이 채용되더라도 무방하다.
브러쉬조립체(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1신호부(650A)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제1신호부(650A)로부터 생성된 신호는 제어유닛(660)으로 전송되고, 제어유닛(660)은 제1신호부(650A)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브러쉬조립체(700)를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령을 이동유닛(640)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이동유닛(640)의 작동 방향은 반대로 전환되고, 브러쉬조립체(700)는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브러쉬조립체(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2신호부(650B)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제2신호부(650B)로부터 생성된 신호는 제어유닛(660)으로 전송되고, 제어유닛(660)은 제2신호부(650B)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브러쉬조립체(700)를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지령을 이동유닛(640)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브러쉬조립체(700)가 이동유닛(640)에 의해 필터 하우징(620)의 일단인 제2위치에 도달하면, 본체(710)의 안내부(714)에 형성된 토출구(714b)와 필터 하우징(620)에 형성된 하우징 토출구(621)가 연통되고, 하우징 토출구(621)와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에 형성된 흡입구(미도시)가 연통되면서, 브러쉬조립체(700)와 흡입유닛(800)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이 때, 제2신호부(650B)는 브러쉬조립체(700)가 제2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유닛(660)으로 전송하고, 제어유닛(660)은 브러쉬조립체(700)를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전기적인 지령을 생성한다. 제어유닛(660)은 상기 지령을 이동유닛(640)으로 전송하여 이동유닛(640)의 작동을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킴으로써, 브러쉬조립체(700)를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설정시간 동안 브러쉬조립체(700)가 정지하면, 제어유닛(660)은 흡입유닛(800)의 작동을 제어하여 브러쉬조립체(700)의 본체(710)에 누적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유닛(660)은 흡입유닛(800)을 제2설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브러쉬조립체(700)가 정지하는 동안, 흡입유닛(800)에 의한 이물질의 흡입작용이 발생하므로, 상기 제2설정시간은 상기 제1설정시간보다 작다.
상기 제2설정시간동안, 흡입유닛(800)의 흡입작용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의 본체(710)에 누적된 이물질을 이물질수집유닛(900)으로 수집, 저장되게 된다.
한편, 브러쉬조립체(700)가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제2신호부(650B)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유닛(660)으로 전송하고, 제어유닛(660)은 브러쉬조립체(700)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브러쉬조 립체(700)가 제2위치에 도달하는 경우마다 이동유닛(640) 또는 흡입유닛(800)을 작동시킬 수 있지만, 단 1회의 왕복만으로 브러쉬조립체(700)의 본체(710)에 누적되는 이물질의 양은 경미할 수 있으므로, 브러쉬조립체(700)가 기설정된 소정횟수 이상 제2위치에 도달할 때, 흡입유닛(800)을 작동시키는 것이 전력소모 및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브러쉬조립체(700)가 기설정된 소정횟수 보다 적은 횟수로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제어유닛(660)은 브러쉬조립체(700)를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키도록 이동유닛(640)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유닛(660)은 브러쉬조립체(700)가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작동시간을 기준으로, 이동유닛(640) 또는 흡입유닛(8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유닛(660)은 제2신호부(660B)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작동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브러쉬조립체(700)를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키도록 이동유닛(640)을 제어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작동시간이 길어질수록 브러쉬조립체(700)의 본체(710)에 누적되는 이물질의 양은 증가하므로,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작동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한 후, 흡입유닛(800)을 작동시키는 것이 전력소모 및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유닛(660)은 제2신호부(660B)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작동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브러쉬조립체(700)를 상기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킨다. 브러쉬조립체(700)가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되는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어유닛(660)은 브러쉬조립체(700)가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되는 동안, 흡입유닛(8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660)은 흡입유닛(800)을 제2설정시간 동안 작동시키고, 이 경우, 상기 제2설정시간은 상기 제1설정시간보다 작다.
제어유닛(660)은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작동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브러쉬조립체(700)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유닛(64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동유닛(6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10에서는 브러쉬조립체(700)가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를 기준으로 제어를 수행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청소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리모컨 키(미도시) 등의 조작에 의해 청소장치(600)는 청소 개시 신호를 수신한다(S100 단계). 청소장치(600)가 청소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660)은 브러쉬조립체(700)를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S200 단계). 브러쉬조립체(700)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가 제1위치에 도달하면(S300 단계), 제1신호부(650A)는 제1신호를 생성한다(S400 단계). 여기서, 상기 제1신호는 제1신호부(650A)에서 생성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의미한다. 제1신호부(650A)로부터 생성된 신호는 제어유닛(660)으로 전송되고, 제어유닛(660)은 제1위치의 반대방향인 제2위치로 브러쉬조립체(700)를 이동시 킨다(S500 단계).
브러쉬조립체(700)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가 제2위치에 도달하면(S600 단계), 제어유닛(660)은 브러쉬조립체(700)가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700 단계). 판단결과, 브러쉬조립체(700)가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면, 흡입유닛(800)을 제2설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브러쉬조립체(700)의 본체(710) 내부의 이물질의 흡입을 개시한다(S800 단계). 흡입유닛(800)이 브러쉬조립체(700)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이물질수집부로 수집한다.
브러쉬조립체(700)가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가 소정횟수 미만이면, 브러쉬조립체(700)를 제2위치의 반대 방향인 제1위치로 이동시킨다(S900 단계).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필터(610)를 청소하기 위하여 베이스패널(300) 또는 필터 하우징(620)으로부터 필터(610)를 탈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에서 베이스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의 공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청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의 본체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브러쉬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방식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천장형 공기조화기 100: 천장
170: 실내 200: 케이스
250: 돌출단 300: 베이스패널
305: 공기 흡입구 310: 공기 토출구
400: 프런트 패널 500: 사이드패널
600: 청소장치 700: 브러쉬조립체
800: 흡입유닛 900: 이물질수집유닛
Claims (18)
- 필터;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하우징;상기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는 브러쉬조립체;상기 브러쉬조립체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상기 브러쉬조립체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 및상기 브러쉬조립체의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유닛 및 상기 흡입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브러쉬조립체는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과 접촉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와 접촉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브러쉬는 상기 필터의 하방에 배치되고,상기 브러쉬에 의해 상기 필터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은 자중방향으로 낙하되어, 상기 본체에 수집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필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쉬조립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이동유닛 및 상기 흡입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브러쉬조립체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와의 접촉으로 소정 압력 이상이 가해지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인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1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1신호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면,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키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키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상기 제1설정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동안, 상기 흡입유닛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흡입유닛을 제2설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제2설정시간은 상기 제1설정시간보다 작은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브러쉬조립 체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한 횟수가 소정횟수 미만이면,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 상의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신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브러쉬조립체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브러쉬조립체와 상기 흡입유닛이 연통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흡입유닛은,상기 브러쉬 조립체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유닛과,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브러쉬조립체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흡입되는 이물질집진유닛을 포함하고,상기 흡입력발생유닛이 작동되면, 상기 브러쉬조립체에 수집된 이물질이 상 기 이물질집진유닛으로 흡입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흡입유닛에 의해 흡입되어 토출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수집유닛을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7568A KR101329754B1 (ko) | 2008-01-24 | 2008-01-24 | 천장형 공기조화기 |
US12/219,551 US8007553B2 (en) | 2008-01-24 | 2008-07-23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GB0814228A GB2463857B (en) | 2008-01-24 | 2008-08-04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CN2008101342848A CN101493248B (zh) | 2008-01-24 | 2008-08-04 | 吊顶式空调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7568A KR101329754B1 (ko) | 2008-01-24 | 2008-01-24 | 천장형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1607A true KR20090081607A (ko) | 2009-07-29 |
KR101329754B1 KR101329754B1 (ko) | 2013-11-14 |
Family
ID=4089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7568A KR101329754B1 (ko) | 2008-01-24 | 2008-01-24 | 천장형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007553B2 (ko) |
KR (1) | KR101329754B1 (ko) |
CN (1) | CN101493248B (ko) |
GB (1) | GB2463857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95445A1 (en) | 2021-05-24 | 2022-11-30 | LG Electronics Inc. | Air-conditioning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0528B1 (ko) | 2008-02-04 | 2013-1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
US8647404B2 (en) * | 2009-04-30 | 2014-02-11 | Daikin Industries, Ltd.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20120083114A (ko) * | 2011-01-17 | 2012-07-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
WO2014038731A1 (ko) * | 2012-09-04 | 2014-03-13 |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 건설기계용 냉각장치 청소시스템 |
CN103331062B (zh) * | 2013-07-04 | 2015-07-08 | 深圳市中兴新地通信器材有限公司 | 基于螺线轨迹二维自动除尘装置 |
CN208765230U (zh) * | 2017-02-09 | 2019-04-19 | 三菱电机株式会社 | 空调机的天花板埋入式室内机以及空调机 |
CN111442411A (zh) * | 2020-03-25 | 2020-07-24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一种空调室内机及其除尘模块的清洁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250A (en) * | 1934-02-08 | 1935-08-20 | American Mach & Foundry | Scrap tobacco cleaning mechanism |
US2639780A (en) * | 1950-02-14 | 1953-05-26 | Gordon W Hardy | Chaff separator and furnace |
US3252691A (en) * | 1962-03-30 | 1966-05-24 | American Air Filter Co | Gas cleaning apparatus |
US3487620A (en) * | 1968-02-16 | 1970-01-06 | Nicholas Klein | Smoke cleaning apparatus |
US4435909A (en) * | 1981-11-30 | 1984-03-13 | Marshall And Williams Company | Automatic lint screen |
US5143529A (en) * | 1990-12-13 | 1992-09-01 | Means Orville D Jr | Filter cleaning apparatus |
US5217513A (en) * | 1992-05-11 | 1993-06-08 | Armbruster Joseph M | Air filter assembly |
CZ198796A3 (en) * | 1995-07-21 | 1997-04-16 | Werner Hunziker | Process and apparatus for cleaning dusty air |
US5827338A (en) * | 1997-04-03 | 1998-10-27 | Carolina Air Filtration, Inc. | Filter cleaning system including belt mounted extending nozzle |
JP2004340507A (ja) | 2003-05-16 | 2004-12-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 |
JP3918789B2 (ja) | 2003-08-18 | 2007-05-2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TWI239861B (en) * | 2003-10-20 | 2005-09-21 | Benq Corp | Filter screen device |
US7544223B2 (en) * | 2004-09-02 | 2009-06-09 | Fujitsu General Limited | Air conditioner |
WO2006051739A1 (ja) | 2004-11-09 | 2006-05-18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空気調和機 |
JP4813921B2 (ja) | 2006-02-22 | 2011-11-09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
JP4779771B2 (ja) | 2006-03-31 | 2011-09-28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
JP2007292397A (ja) | 2006-04-26 | 2007-11-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
JP2008002689A (ja) | 2006-06-20 | 2008-01-10 | Toshiba Kyaria Kk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JP2008111599A (ja) | 2006-10-31 | 2008-05-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装置 |
CN101290151B (zh) * | 2007-04-18 | 2010-05-26 | 海尔集团公司 | 空调过滤网自清洁装置 |
-
2008
- 2008-01-24 KR KR1020080007568A patent/KR1013297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07-23 US US12/219,551 patent/US800755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8-04 GB GB0814228A patent/GB2463857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8-04 CN CN2008101342848A patent/CN10149324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95445A1 (en) | 2021-05-24 | 2022-11-30 | LG Electronics Inc. | Air-condition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463857A (en) | 2010-03-31 |
GB2463857B (en) | 2010-08-11 |
KR101329754B1 (ko) | 2013-11-14 |
CN101493248B (zh) | 2013-03-27 |
GB0814228D0 (en) | 2008-09-10 |
CN101493248A (zh) | 2009-07-29 |
US20090188268A1 (en) | 2009-07-30 |
US8007553B2 (en) | 2011-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9754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1340528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JP2007309584A (ja) | 空気調和機 | |
JP5069870B2 (ja) | 空気調和機 | |
KR20080014473A (ko) | 공기조화기 | |
KR20090098518A (ko) | 공기조화기 | |
JP2009079833A (ja) | 空気調和装置 | |
KR101466295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20090044786A (ko) | 공기조화기 | |
KR101362317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05326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05322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90129199A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14591A (ko) | 공기조화기 | |
JP2007309583A (ja) |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 |
KR101306127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90082732A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1460716B1 (ko) |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 |
KR101362318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482100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664813B1 (ko) | 빌트인 공기청정기 | |
KR101345263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12154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20090083176A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20090084476A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