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154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154B1
KR101412154B1 KR1020080011213A KR20080011213A KR101412154B1 KR 101412154 B1 KR101412154 B1 KR 101412154B1 KR 1020080011213 A KR1020080011213 A KR 1020080011213A KR 20080011213 A KR20080011213 A KR 20080011213A KR 101412154 B1 KR101412154 B1 KR 10141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unit
filter
dust collect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364A (ko
Inventor
문성국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1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8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entrifugal separation, e.g. using vort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01D2201/082Suction devices placed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먼지수집부가 자동으로 이동되면, 이물질이 저장된 먼지수집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후, 상기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먼지수집부의 이동으로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 및 필터의 오염 상태로 인한 불쾌함으로 인해 감성 품질이 저하될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베이스패널, 사이드패널, 먼지수집부, 필터, 필터 하우징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먼지수집부가 자동으로 이동되면, 이물질이 저장된 먼지수집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후, 상기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 상측에 설치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천장 상측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이 상기 실내기 내부에 누적되어 실내기 내부의 부품 보호가 미흡하고, 피 공조실의 공기도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필터에 의해 걸러내는 경우에도, 필터에 수집되는 이물질의 양도 증가하여 상기 실내기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기능이 저하되고, 필터의 교체나 청소를 위해 상기 필터가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터의 설치 위치나 설치 방법은 물론, 필터 주변 부품들의 레이 아웃이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을 직접 해야 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 그리고 상기 필터의 오염 상태로 인한 불쾌함으로 인해 감성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먼지수집부가 자동으로 이동되면, 이물질이 저장된 먼지수집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후, 상기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배치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일측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패널, 상기 공기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먼지수집부; 및 상기 먼지수집부가 이동되어 상기 이물질이 저장된 공간과 연통 된 후, 상기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수집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먼지수집부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유닛과,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먼지수집부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흡입되는 이물질집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수집부는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과 접촉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와 접촉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안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로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수집부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은 상기 안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내부를 거쳐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으로 흡입될 수 있다.이 때, 상기 필터 하우징에는 상기 안내부와 연통가능한 하우징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수집부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안내부와 상기 하 우징토출구가 연통되고,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은 상기 하우징토출구를 통해 상기 안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와 상기 하우징토출구가 연통되는 위치에서 이물질이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 또는 상기 하우징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실링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은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을 원심 선회 유동시키면서 분리시키는 사이클론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이클론은, 상기 먼지수집부로부터 이물질이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진흡입구와, 상기 집진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본체와, 상기 집진본체에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수집유닛으로 토출하는 집진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은, 회전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집진본체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집진흡입구는 상기 집진토출구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안착되고, 상기 먼지수집부와 연통가능한 하우징토출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흡입구와 상기 하우징토출구는 호스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에 의해 흡입되어 토출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수집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이물질수집유닛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먼지수집부가 자동으로 이동되면, 이물질이 저장된 먼지수집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후, 상기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먼지수집부의 이동으로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 및 필터의 오염 상태로 인한 불쾌함으로 인해 감성 품질이 저하될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00)에서 베이스패널(3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즉, 좌우방향)을 도면부호 X로,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평되게 직교하는 방향(즉, 전후방향)을 도면부호 Y로,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직교하는 방향(즉, 상하방향)을 도면부호 Z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천장(1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케이스(200)는 저면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이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200)는 천장(100)의 내부공간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하부의 실내(170)측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후 토출시키기 위한 각종 열교환 부품(180)이 배치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200)의 개구된 저면을 덮도록 케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300)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패널(300)의 하면에는 공기 흡입구(305)를 개폐시키는 프런트패널(400)이 배치된다. 프런트패널(400)은 공기조화기의 작동시에는 베이스패널(300) 상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305)를 개방시켜 흡입되는 공기를 케이스(200) 내부로 안내하고, 공기조화기의 미작동시에는 공기 흡입구(305)를 폐쇄시켜 천장(100)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프런트패널(40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해당되는 베이스패널(300) 상에 배치되는 사이드패널(500)을 더 포함한다. 사이드패널(500)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베이스패널(30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패널(500)은 베이스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1)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30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패널(300)에는 X방향으로 길게 케이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흡입구(305)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305)로부터 Y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공기 흡입구(305)와 나란하게 케이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토출구(310)가 형성된다. 공기 흡입구(305)의 흡입면과 공기 토출구의 토출면은 수평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300)의 공기 흡입구(305)에 결합되는 청소장치(6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600)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먼지수집부(7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필터(610), 필터(610)가 장착되는 필터 하우징(620) 및 먼지수집부(700)를 포함한다.
먼저, 공기 흡입구(305) 측에는 공기 흡입구(30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10)가 배치된다. 필터(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구(305) 측에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620)에 안착된다. 사용자에 의해 필터(61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필터(610)는 필터 하우징(620)으로부터 착탈가능하다. 따라서, 필터(610)가 필터 하우징(620)에 끼움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지만, 상기 결합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610)와 필터 하우징(620)은 각각 공기 흡입구(305)의 크기에 근거하여 제작되어, 공기 흡입구(305)에 결합되고, 결합방식은 전술한 끼움 결합방식 또는 슬라이딩 결합 방식 등이 가능하지만, 상기 결합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610)는 공기 흡입구(30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필터(610)의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필터(610)에 수집되는 이물질량도 많아지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지수집부(700)는 필터 하우징(620)에 결합되고, 필터(610)의 하방에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지수집부(700)는 브러쉬(720)와, 본체(710)를 포함한다.
본체(710)는 브러쉬(720)와 접촉되어 필터(610)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710)는 본체의 바닥을 구성하는 본체베이스(711)와, 본체베이스(711)를 덮는 본체덮개(710)로 구성된다.
본체베이스(711)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후술할 도 8의 7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상에 브러쉬프레임(721)이 결합된다.
브러쉬(720)는 본체(710) 내부에 구비되는 브러쉬프레임(721)에 고정된다. 브러쉬(720)는 필터(610)의 하방에 배치되어, 필터(610)에 걸러진 이물질을 접촉하여, 상기 이물질을 자중방향으로 낙하시킨다.
브러쉬(720)와 필터(610)의 접촉으로 인해 필터(610)에 걸러진 이물질이 자중 방향으로 낙하하여 본체베이스(711) 내부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브러쉬(720)는 필터(610)의 하방에 배치되고, 이동유닛(640)과 먼지수집부(70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유닛(640)에 의해 먼지수집부(700)는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먼지수집부(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도 1의 X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브러쉬(720)와 필터(610)가 접촉한다. 브러쉬(720)와 필터(610)의 접촉에 의해 필터(610)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은 자중방향으로 낙하되어, 본체(710)에 수집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지수집부(700)는 필터 하우징(620)과 본체(7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730)들을 더 포함한다. 이동유닛(640)에 의해 먼지수집부(700)가 이동하는 경우, 롤러(730)들이 필터 하우징의 일측을 따라 구름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구름동작에 근거하여 먼지수집부(700)가 이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하우징(620)은 적어도 일측에 본체(710)의 양측을 지지하여 먼지수집부(7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본체(710)의 하방 탈거를 방지하는 유동방지부(630)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600)의 측면도이다.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유동방지부(630)는 필터 하우징(6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먼지수집부(700)의 길이방향측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면(631)과, 지지면(631)의 끝단에서 필터 하우징(620)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먼지수집부(700)의 하방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면(632)을 포함한다.
필터 하우징(620)의 적어도 일측에 유동방지부(630)가 구비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620)의 양측에 모두 구비되어, 먼지수집부(700)의 양단을 모두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730)들은 유동방지부(630)에 배치되어 롤링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롤러(730)들은 먼지수집부(700)의 양단에 배치되며, 각 단마다 수평측 롤러(730a)들 및 수직측 롤러(730b)들로 구성된다. 수평측 롤러(730a)는 먼지수집부(700)가 측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수직측 롤러(730b)는 먼지수집부(700)가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수평측 롤러(730a)는 지지면(631)과 서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롤링되고, 수직측 롤러(730b)는 탈거방지면(632)과 서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롤링된다. 복수의 롤러(730)들에 의해 먼지수집부(700)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먼지수집부(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도 1의 X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뒤틀림 현상 또는 흔들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먼지수집부(700)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640)을 더 포함한다.
이동유닛(640)은 필터 하우징(620)을 따라 먼지수집부(70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유닛(640)은 필터 하우징(62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구동모터(641)와, 먼지수집부(700)와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먼지수집부(70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먼지수집부(700)는 필터 하우징(62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구동 풀리(642), 연동 풀리(644) 및 텐션 풀리(643) 및 와이어 벨트(645)를 포함한다.
구동 풀리(642)는 구동모터(641)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641)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구동 풀리(642)가 연동되어 회전한다. 연동 풀리(644)는 구동 풀리(642)가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620)의 타측에 배치된다.
와이어 벨트(645)는 구동 풀리(642)에 감겨져 구동모터(641)의 동력을 먼지수집부(700)에 전달하도록 먼지수집부(700)에 연결된다. 먼지수집부(700)와 와이어 벨트(645)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지수집부(700)의 일측에는 와이어 벨트(645)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740)가 형성되고, 와이어 연결부(740)에는 고정부(741)가 형성된다. 와이어 벨트(645)의 일단과 타단에는 환형부(645a)가 형성되고, 환형부(645a)는 와이어 연결부(740)의 고정부(741)에 걸림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부(741)는 와이어 벨트(645)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벨트(645)는 구동 풀리(642)와 텐션 풀리(643) 사이 또는 연동 풀리(644)와 텐션 풀리(643)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텐션 풀리(643)는 와이어 벨트(645)의 이동경로 상에 구동 풀리(642) 및 연동 풀리(644)와 이격 배치되어, 와이어 벨트(645)가 일측으로 감김되는 동작에 의하여 와이어 벨트(645)에 장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복수의 롤러(730)들은 유동방지부(630)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롤링된다. 즉, 구동모터(641)의 동력이 와이어 벨 트(645)에 전달되면, 와이어 벨트(645)가 회전하게 되고, 와이어 벨트(645)의 감김 동작에 의해 먼지수집부(700)의 롤러(730)들이 각각 유동방지부(630)의 지지면(631)과 탈거방지면(632)을 따라 롤링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먼지수집부(700)의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먼지수집부(700)의 일측에는 와이어 벨트(641)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740)가 형성된다. 와이어 연결부(740)에는 와이어 벨트(641)의 양단이 각각 걸림되는 고정부(741)가 형성되고, 고정부(741)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와이어 벨트(641)의 일단과 타단에는 환형부(도 4의 645a)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는 와이어 연결부(740)의 고정부(741)에 걸림 연결된다.
본체(710) 내부는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안착부(713)와, 안착부(713)에 안착된 이물질을 본체(710)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714)로 구획된다. 여기서, 본체(710) 내부에는 안착부(713)와 안내부(714)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715)이 형성되고, 격벽(715) 상에는 복수의 흡입구(714a)들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안내부(714)의 일측에는, 안착부(713)에 안착된 이물질을 본체(710)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토출구(714b)가 형성된다.
본체 베이스(711)와 본체 덮개(712)는 서로 끼움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된다. 본체 덮개(712)는 본체 베이스(711)의 전면을 덮는 것이 아니라, 안내부(714)만을 덮는다. 브러쉬(720)에 의해 필터(610)에서 이물질이 낙하하여 안착되고, 브러 쉬(720) 및 브러쉬프레임(721)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안착부(713)는 외부로 개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먼지수집부(700)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800) 및 이물질수집유닛(900)을 더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흡입유닛 및 이물질수집유닛의 결합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측면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흡입유닛 및 이물질수집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먼지수집부의 안내부와 필터하우징의 하우징토출구가 연통되는 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흡입유닛(800)은 먼지수집부(700)가 필터하우징(620)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먼지수집부(7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후, 상기 저장된 이물질을 흡입한다. 흡입유닛(800)은 먼지수집부(700)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유닛(810)과, 흡입력발생유닛(810)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먼지수집부(700)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흡입되는 이물질집진유닛(820)을 포함한다.
이물질수집유닛(900)은 먼지수집부(700)에 의해 필터(610)로부터 1차 수집된 이물질이 흡입유닛(800)을 거쳐 2차 수집되는 먼지통(910)과, 케이스(20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먼지통(910)이 착탈됨과 함께 사용자에 의해 사이드패널(500)의 탈거 시 노출되는 먼지통하우징(920)을 포함한다.
먼지통(910)은 먼지통(910)이 먼지통하우징(9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먼지통 하우징(920)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912)와, 손잡이부(912)에 배치되어 먼지통(910)을 먼지통하우징(920)과 결합시키거나 그 결합을 해제시키는 착탈부(913)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912)와 착탈부(913)에 의해, 사용자는 먼지통(910)을 먼지통하우징(920)의 하부에서 직상방(즉,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먼지통하우징(920)에 결합시키거나, 먼지통하우징(920)의 내부로부터 직하방(즉,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먼지통하우징(920)으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흡입유닛(800)은 케이스(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동유닛(640)에 의해 먼지수집부(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일단으로 이동하면 먼지수집부(700)와 흡입유닛(800)이 연통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먼지수집부(700)가 이동유닛(640)에 의해 필터 하우징(620)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본체(710)의 안내부(714)에 형성된 토출구(714b)와 필터 하우징(620)에 형성된 하우징 토출구(621)가 연통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지수집부(700)의 안내부(714)와 필터하우징(620)의 하우징토출구(621)가 연통되는 위치에서, 이물질이 누설되지 않도록, 안내부(714) 또는 하우징토출구(621) 중 적어도 하나에 실링부재(6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부(714)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714b)와 필터 하우징(620)에 형성된 하우징 토출구(621)가 연통되면서, 이물질이 도 1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내부(714)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714b)와 하우징 토출구(621) 사이에서 이물질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부(714) 또는 하우징토출 구(621) 중 적어도 하나에 실링부재(622)가 형성시킨다. 실링부재(622)는 일반적인 고무재질이나, 실리콘계, 폴리설페이트계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고, 종이 테이프 또는 비닐 테이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하우징 토출구(621)와 이물질집진유닛(820)에 형성된 집진흡입구(821)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면서, 먼지수집부(700)와 흡입유닛(800)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하우징 토출구(621)와 이물질집진유닛(820)에 형성된 집진흡입구(821)는 직접 결합에 의해 연통될 수 있지만, 도 13에 도시된 호스(830)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호스(830)의 직경을 하우징 토출구(621) 및 집진흡입구(821)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하우징 토출구(621)와 집진흡입구(821)를 각각 호스(830)에 끼움결합할 수 있고, 하우징 토출구(621)와 집진흡입구(821) 사이가 이격된 거리 상의 제한을 호스(830)를 통해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호스(830)의 재질을 탄성력이 강한 재질로 하여, 하우징 토출구(621)와 집진흡입구(821) 사이에서 이물질이 새지 않도록 실링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물질집진유닛(820)과 안내부(714)가 연통되면, 흡입력발생유닛(810)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이 안착부(713)와 안내부(714)를 거쳐 이물질집진유닛(820)으로 흡입된다.
흡입력발생유닛(810)은 회전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811) 및 이물질집진유닛(82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812)를 포함한다. 또한, 이물질집진유닛(820)은 흡입력발생유닛(810)에 의해 내 부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을 원심 선회 유동시키면서 분리시키는 사이클론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이클론(820)은 집진흡입구(821), 집진토출구(823), 집진본체(822) 및 쉘(824)을 포함한다.
집진흡입구(821)는 먼지수집부(700)로부터 이물질이 흡입되는 통로가 되며, 도 13에서는 하나의 집진흡입구(821)가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먼지수집부(700)로부터의 이물질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의 수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집진흡입구(821)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 및 공기는 집진본체(822)에 저장된다. 집진본체(822)에 흡입된 이물질 및 공기는 흡입력발생유닛(810)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집진본체(822) 내부에서 공기와 이물질이 원심 선회 유동되면서 분리되어 집진토출구(823)을 통해 이물질수집유닛(900)으로 토출된다.
집진본체(822)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의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4를 참조하면, 흡입력발생유닛(810)의 송풍기(811)가 회전하면, 송풍기(811) 측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사이클론(820)의 집진흡입구(821)를 통해 이물질과 공기가 집진본체(822)로 흡입된다. 집진본체(822) 내부에는 공기와 이물질이 원심 분리되는 분리 공간(825)을 갖는 쉘(Shell; 824)이 구비된다. 여기서, 쉘(824)은 분리 공간(825)에서의 용이한 원심 분리를 위해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집진본체(822)로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는 원심력을 받게 되고, 이물질과 공 기에 중력보다 훨씬 큰 가속도를 가하게 되면, 이물질과 공기의 분리속도가, 이물질과 공기의 무게에 의한 침강과 비교하여 커지게 된다.
이물질과 공기에 선회운동을 가하면 하강하는 선회류가 형성된다. 이물질과 공기입자가 원심력을 얻어 선회류를 벗어나 집진본체(822) 내벽이 충돌하여 바닥의 분진 퇴적함으로 낙하하여 집진된다. 따라서, 분리 공간(825)으로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는 원심분리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쉘(824)의 분리 공간(825)을 거쳐 흡입력발생유닛(810)의 토출구(812)를 통해 토출된다.
원심 분리된 이물질은 집진토출구(823)을 통해 이물질수집유닛(900)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공기와 이물질의 효율적인 원심 분리를 위해, 집진흡입구(821)는 집진토출구(823)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물질수집유닛(900)으로 토출된 이물질은 먼지통(910) 내부에 수집되어 저장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흡입유닛(800)은 이물질수집유닛(90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유닛(800)으로부터 토출되는 이물질을 이물질수집유닛(900)의 먼지통에 효율적으로 적재시키기 위해, 흡입유닛(800)으로부터 토출되는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에서 베이스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의 공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청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먼지수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먼지수집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먼지수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흡입유닛 및 이물질수집유닛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흡입유닛 및 이물질수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먼지수집부의 안내부와 필터하우징의 하우징토출구가 연통되는 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천장형 공기조화기 100: 천장
170: 실내 200: 케이스
250: 돌출단 300: 베이스패널
305: 공기 흡입구 310: 공기 토출구
400: 프런트 패널 500: 사이드패널
600: 청소장치 700: 먼지수집부
800: 흡입유닛 900: 이물질수집유닛

Claims (13)

  1. 천장에 배치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일측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패널;
    상기 공기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과 접촉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와 접촉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먼지수집부;
    상기 먼지수집부가 이동되어 상기 이물질이 저장된 공간과 연통되면, 상기 먼지수집부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유닛과,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먼지수집부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흡입되는 이물질집진유닛으로 구성된 흡입유닛; 및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수집부의 본체는, 상기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안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로 구획되며,
    상기 먼지수집부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은 상기 안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내부를 거쳐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으로 흡입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수집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가능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에는 상기 안내부와 연통가능한 하우징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수집부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안내부와 상기 하우징토출구가 연통되고,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은 상기 하우징토출구를 통해 상기 안내부와 연통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와 상기 하우징토출구가 연통되는 위치에서 이물질이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 또는 상기 하우징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실링부재가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은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을 원심 선회 유동시키면서 분리시키는 사이클론인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은,
    상기 먼지수집부로부터 이물질이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진흡입구와, 상기 집진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본체와, 상기 집진본체에서 이물질을 상기 집진본체의 일측과 연통되는 이물질수집유닛으로 토출하는 집진토출구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은,
    회전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집진본체에서 이물질이 걸 러진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집진흡입구는 상기 집진토출구보다 상부에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안착되고, 상기 먼지수집부와 연통가능한 하우징토출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흡입구와 상기 하우징토출구는 호스를 통해 연통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에 의해 흡입되어 토출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수집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이물질수집유닛보다 상부에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80011213A 2008-02-04 2008-02-04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1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13A KR101412154B1 (ko) 2008-02-04 2008-02-04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13A KR101412154B1 (ko) 2008-02-04 2008-02-04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364A KR20090085364A (ko) 2009-08-07
KR101412154B1 true KR101412154B1 (ko) 2014-06-25

Family

ID=4120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213A KR101412154B1 (ko) 2008-02-04 2008-02-04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1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056A (ko) * 2004-10-19 2006-05-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치
JP2007101106A (ja)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2007107762A (ja) 2005-10-11 2007-04-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80007858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056A (ko) * 2004-10-19 2006-05-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치
JP2007101106A (ja)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2007107762A (ja) 2005-10-11 2007-04-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80007858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364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2394C (zh) 旋风式集尘装置
KR10064083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US20080229539A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ing return current of discharging air
KR102656583B1 (ko) 로봇 청소기
KR10132975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405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US7862636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0474079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5069870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22093A (ko) 공기조화기
JP4674586B2 (ja) エアフィルタ清掃装置
WO2012146616A1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 water filter and a cyclone unit
KR10141215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6629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662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4786A (ko) 공기조화기
KR20090095982A (ko) 공기 조화기
KR2009008447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1215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09201568A (ja) 電気掃除機
CN216535179U (zh) 一种用于清洁机的灰尘分离模块及清洁机
CN113995340B (zh) 集尘组件和清洁装置
CN214180284U (zh) 吸尘器
CN220369945U (zh) 集尘基站和具有其的清洁系统
CN214078232U (zh) 一种通信设备维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