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151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151B1
KR101412151B1 KR1020080009181A KR20080009181A KR101412151B1 KR 101412151 B1 KR101412151 B1 KR 101412151B1 KR 1020080009181 A KR1020080009181 A KR 1020080009181A KR 20080009181 A KR20080009181 A KR 20080009181A KR 101412151 B1 KR101412151 B1 KR 101412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main body
foreign matter
brush fram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176A (ko
Inventor
정만식
조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1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프레임이 브러쉬조립체의 본체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청소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브러쉬조립체의 이동으로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브러쉬조립체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이물질을 브러쉬조립체 외부로 효율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청소장치 내부에서 먼지 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함으로써, 청소장치의 크기가 작아지고, 청소장치의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베이스패널, 사이드패널, 브러쉬조립체, 필터, 필터 하우징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프레임이 브러쉬조립체의 본체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 상측에 설치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천장 상측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이 상기 실내기 내부에 누적되어 실내기 내부의 부품 보호가 미흡하고, 피 공조실의 공기도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필터에 의해 걸러내는 경우에도, 필터에 수집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하여 상기 실내기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기능이 저하되고, 필터의 교체나 청소를 위해 상기 필터가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터의 설치 위치나 설치 방법은 물론, 필터 주변 부품들의 레이 아웃이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을 직접 해야 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의 교체나 청소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 그리고 상기 필터의 오염 상태로 인한 불쾌함으로 인해 감성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바,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청소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지만, 청소장치 내부에서 먼지 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레이 아웃이 제약되어, 청소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제작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프레임이 브러쉬조립체의 본체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배치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일측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패널, 상 기 공기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는 브러쉬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조립체는, 상기 필터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과 접촉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와 접촉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자중방향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브러쉬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브러쉬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프레임은 상기 지지부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러쉬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브러쉬프레임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브러쉬프레임이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는 결합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고리가 걸림고정되는 고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안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로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러쉬프레임은 상기 안착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폭은 상기 안착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양단은 상기 안착부의 양단과 체결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내부 사이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프레임이 브러쉬조립체의 본체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청소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브러쉬조립체의 이동으로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브러쉬조립체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이물질을 브러쉬조립체 외부로 효율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청소장치 내부에서 먼지 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함으로써, 청소장치의 크기가 작아지고, 청소장치의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00)에서 베이스패널(3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즉, 좌우방향)을 도면부호 X로,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평되게 직교하는 방향(즉, 전후방향)을 도면부호 Y로,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직교하는 방향(즉, 상하방향)을 도면부호 Z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천장(1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케이스(200)는 저면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이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200)는 천장(100)의 내부공간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하부의 실내(170)측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후 토출시키기 위한 각종 열교환 부품(180)이 배치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200)의 개구된 저면을 덮도록 케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300)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패널(300)의 하면에는 공기 흡입구(305)를 개폐시키는 프런트패널(400)이 배치된다. 프런트패널(400)은 공기조화기의 작동시에는 베이스패널(300) 상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305)를 개방시켜 흡입되는 공기를 케이스(200) 내부로 안내하고, 공기조화기의 미작동시에는 공기 흡입구(305)를 폐쇄시켜 천장(100)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프런트패널(40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해당되는 베이스패널(300) 상에 배치되는 사이드패널(500)을 더 포함한다. 사이드패널(500)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베이스패널(30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패널(500)은 베이스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1)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30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패널(300)에는 X방향으로 길게 케이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흡입구(305)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305)로부터 Y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공기 흡입구(305)와 나란하게 케이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토출구(310)가 형성된다. 공기 흡입구(305)의 흡입면과 공기 토출구의 토출면은 수평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300)의 공기 흡입구(305)에 결합되는 청소장치(6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600)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7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필터(610), 필터(610)가 장착되는 필터 하우징(620) 및 브러쉬조립체(700)를 포함한다.
먼저, 공기 흡입구(305) 측에는 공기 흡입구(30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10)가 배치된다. 필터(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구(305) 측에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620)에 안착된다. 사용자에 의해 필터(61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필터(610)는 필터 하우징(620)으로부터 착탈가능하다. 따라서, 필터(610)가 필터 하우징(620)에 끼움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지만, 상기 결합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610)와 필터 하우징(620)은 각각 공기 흡입구(305)의 크기에 근거하여 제작되어, 공기 흡입구(305)에 결합되고, 결합방식은 전술한 끼움 결합방식 또는 슬라이딩 결합 방식 등이 가능하지만, 상기 결합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610)는 공기 흡입구(30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필터(610)의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필터(610)에 수집되는 이물질량도 많아지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쉬조립체(700)는 필터 하우징(620)에 결합되고, 필터(610)의 하방에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러쉬 조립체(700)는 브러쉬(720)와, 본체(710)를 포함한다.
본체(710)는 브러쉬(720)와 접촉되어 필터(610)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710)는 본체의 바닥을 구성하는 본체베이스(711)와, 본체베이스(711)를 덮는 본체덮개(710)로 구성된다.
본체베이스(711)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후술할 도 8의 7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상에 브러쉬프레임(721)이 결합된다.
브러쉬(720)는 본체(710) 내부에 구비되는 브러쉬프레임(721)에 고정된다. 브러쉬(720)는 필터(610)의 하방에 배치되어, 필터(610)에 걸러진 이물질을 접촉하여, 상기 이물질을 자중방향으로 낙하시킨다.
브러쉬(720)와 필터(610)의 접촉으로 인해 필터(610)에 걸러진 이물질이 자중 방향으로 낙하하여 본체베이스(711) 내부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브러쉬(720)는 필터(610)의 하방에 배치되고, 이동유닛(640)과 브러쉬조립체(70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유닛(640)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는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브러쉬조립체(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도 1의 X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브러쉬(720)와 필터(610)가 접촉한다. 브러쉬(720)와 필터(610)의 접촉에 의해 필터(610)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은 자중방향으로 낙하되어, 본체(710)에 수집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러쉬조립체(700)는 필터 하우징(620)과 본체(7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730)들을 더 포함한다. 이동유닛(640)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가 이동하는 경우, 롤러(730)들이 필터 하우징의 일측을 따라 구름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구름동작에 근거하여 브러쉬조립체(700)가 이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하우징(620)은 적어도 일측에 본체(710)의 양측을 지지하여 브러쉬조립체(7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본체(710)의 하방 탈거를 방지하는 유동방지부(630)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600)의 측면도이다.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유동방지부(630)는 필터 하우징(6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브러쉬조립체(700)의 길이방향측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면(631)과, 지지면(631)의 끝단에서 필터 하우징(620)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브러쉬조립체(700)의 하방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면(632)을 포함한다.
필터 하우징(620)의 적어도 일측에 유동방지부(630)가 구비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620)의 양측에 모두 구비되어, 브러쉬조립체(700)의 양단을 모두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730)들은 유동방지부(630)에 배치되어 롤링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롤러(730)들은 브러쉬조립체(700)의 양단에 배치되며, 각 단마다 수평측 롤러(730a)들 및 수직측 롤러(730b)들로 구성된다. 수평측 롤러(730a)는 브러쉬조립체(700)가 측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수직측 롤러(730b)는 브러쉬조립체(700)가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수평측 롤러(730a)는 지지면(631)과 서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롤링되고, 수직측 롤러(730b)는 탈거방지면(632)과 서로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롤링된다. 복수의 롤러(730)들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브러쉬조립체(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도 1의 X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뒤틀림 현상 또는 흔들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브러쉬조립체(700)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640)을 더 포함한다.
이동유닛(640)은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도 1의 X 방향)을 따라 브러쉬조립체(700)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유닛(640)은 필터 하우징(62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구동모터(641)와, 브러쉬조립체(700)와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브러쉬조립체(70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브러쉬조립체(700)는 필터 하우징(62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필터 하우징(620)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구동 풀리(642), 연동 풀리(644) 및 텐션 풀리(643) 및 와이어 벨트(645)를 포함한다.
구동 풀리(642)는 구동모터(641)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641)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구동 풀리(642)가 연동되어 회전한다. 연동 풀리(644)는 구동 풀리(642)가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620)의 타측에 배치된다.
와이어 벨트(645)는 구동 풀리(642)에 감겨져 구동모터(641)의 동력을 브러쉬조립체(700)에 전달하도록 브러쉬조립체(700)에 연결된다. 브러쉬조립체(700)와 와이어 벨트(645)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러쉬조립체(700)의 일측에는 와이어 벨트(645)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740)가 형성되고, 와이어 연결부(740)에는 고정부(741)가 형성된다. 와이어 벨트(645)의 일단과 타단에는 환형부(645a)가 형성되고, 환형부(645a)는 와이어 연결부(740)의 고정부(741)에 걸림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부(741)는 와이어 벨트(645)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벨트(645)는 구동 풀리(642)와 텐션 풀리(643) 사이 또는 연동 풀리(644)와 텐션 풀리(643)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텐션 풀리(643)는 와이어 벨트(645)의 이동경로 상에 구동 풀리(642) 및 연동 풀리(644)와 이격 배치되어, 와이어 벨트(645)가 일측으로 감김되는 동작에 의하여 와이어 벨트(645)에 장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복수의 롤러(730)들은 유동방지부(630)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롤링된다. 즉, 구동모터(641)의 동력이 와이어 벨트(645)에 전달되면, 와이어 벨트(645)가 회전하게 되고, 와이어 벨트(645)의 감김 동작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의 롤러(730)들이 각각 유동방지부(630)의 지지면(631)과 탈거방지면(632)을 따라 롤링하게 된다.
도 8는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700)의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의 본체(710)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브러쉬조립체(700)의 분해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쉬조립체(700)의 일측에는 와이어 벨트(641)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740)가 형성된다. 와이어 연결부(740)에는 와이어 벨트(641)의 양단이 각각 걸림되는 고정부(741)가 형성되고, 고정부(741)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와이어 벨트(641)의 일단과 타단에는 환형부(도 4의 645a)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는 와이어 연결부(740)의 고정부(741)에 걸림 연결된다.
본체(710) 내부는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안착부(713)와, 안착부(713)에 안착된 이물질을 본체(710)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714)로 구획된다. 여기서, 본체(710) 내부에는 안착부(713)와 안내부(714) 사이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715)이 형성되고, 격벽(715) 사이에는 흡입구(714a)가 형성된다.
안내부(714)의 일측에는, 안착부(713)에 안착된 이물질을 본체(710)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토출구(714b)가 형성된다.
여기서, 브러쉬프레임(721)은 안착부(713) 상에 배치되고, 브러쉬프레임(721)의 폭은 안착부(713)의 폭보다 작다. 브러쉬프레임(721)에 고정된 브러쉬(720)가 필터(610)와 접촉한 후,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하는 경우, 브러쉬프레임(721)의 폭이 안착부(713)보다 크게 되면, 이물질이 안착부(713)에 안착하지 못하고, 브러쉬프레임(721) 상에 집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체 베이스(711)와 본체 덮개(712)는 서로 끼움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된다. 본체 덮개(712)는 본체 베이스(711)의 전면을 덮는 것이 아니라, 안내부(714)만을 덮는다. 브러쉬(720)에 의해 필터(610)에서 이물질이 낙하하여 안착되고, 브러쉬(720) 및 브러쉬프레임(721)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안착부(713)는 외부로 개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청소장치(600)는 브러쉬조립체(700)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800)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800)은 케이스(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동유닛(640)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가 필터 하우징(620)의 일단으로 이동하면 브러쉬조립체(700)와 흡입유닛(800)이 연통된다.
흡입유닛(800)은, 브러쉬 조립체(700)에 수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유닛(미도시)과,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브러쉬조립체(700)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흡입되는 이물질집진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브러쉬조립체(700)가 이동유닛(640)에 의해 필터 하우징(620)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본체(710)의 안내부(714)에 형성된 토출구(714b)와 필터 하우징(620)에 형성된 하우징 토출구(621)가 연통된다. 하우징 토출구(621)와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에 형성된 흡입구(미도시)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면서, 브러쉬조립체(700)와 흡입유닛(800)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하우징 토출구(미도시)와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에 형성된 흡입구(미도시)는 직접 결합에 의해 연통될 수 있지만, 호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집진유닛과 안내부가 연통되면, 상기 흡입력발생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이 안착부(713)와 안내부(714)를 거쳐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으로 흡입된다. 상기 이물질집진유닛으로 흡입된 먼지는 원심분리되어, 이물질수집유닛(900)으로 수집되어 저장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브러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제1실시예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브러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제2실시예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브러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제3실시예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브러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제4실시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710) 내부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브러쉬프레임(721)이 배치되고, 브러쉬프레임(721)에는 브러쉬(720)가 고정된다. 본체(710)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722)가 돌출 형성된다.
브러쉬프레임(721)이 본체(710) 내부의 바닥, 즉 본체 베이스(711)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곳에 배치되기 위해서, 브러쉬프레임(721)은 지지부(722) 상에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프레임(721)은 지지부(722) 상에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을 통한 직접 결합이 가능하다.
브러쉬프레임(721)이 지지부(722) 상에 배치되면, 각 지지부(7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본체(710)의 안착부(713)에 저장된 이물질들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710)의 안착부(713)에 저장된 이물질을 브러쉬조립체(700) 외부로 효율적으로 토출할 수 있고, 본체(710 내부에서 먼지 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청소장치의 크기가 작아지고, 청소장치의 제작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브러쉬프레임(721)을 지지부(722) 상에 배치하는 경우, 안착부(713)에 떨어진 이물질을 격벽(715) 상의 흡입구(714a)들 사이로 효과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해서는, 브러쉬(720)의 높이(H)와 지지부(722)의 높이(h)의 비는 0.1 : 1 내지 0.6 : 1 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722)의 가로방향 길이 중 절반길이인 L1 또는 L2와 브러쉬(720)의 높이(H)의 비, 즉 L1 : H(또는 L2 : H)는 1:1 내지 1: 1.6 일 수 있다. 상기 비율 범위 내에서는, 브러쉬(720)가 필터(610)와의 접촉을 통한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물질이 브러쉬조립체(700)의 밖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브러쉬프레임(721)은 지지부(722)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722)의 양측에는 브러쉬프레임(721)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브러쉬프레임(721)이 끼워지는 결합돌기(722a)가 형성되고, 브러쉬프레임(721)은 결합돌기(722a)의 하측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됨으로써 결합된다.
이 경우, 브러쉬(720) 및 브러쉬프레임(721)의 슬라이딩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브러쉬(720)의 수명이 다한 경우, 브러쉬(720) 및 브러쉬프레임(721)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브러쉬프레임(721)의 적어도 일측에는 결합고리(721a)가 형성되고, 본체(710)의 일측에는 결합고리(721a)가 걸림고정되는 고리홈(713a)이 형성될 수 있다. 고리홈(713a)는 본체의 외측 중 어느 곳에든 형성될 수 있고, 고리홈(713a)에 결합고리(721a)가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고리(721a)와 고리홈(713a)의 걸림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브러쉬(720)의 수명이 다한 경우, 브러쉬(720) 및 브러쉬프레임(721)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브러쉬프레임(721)의 양단은 안착부(713)의 양단과 체결될 수 있다. 즉, 브러쉬프레임(721)의 양단과 안착부(713)의 양단은 소정의 체결부재(723)를 통해 체결되며, 체결부재(723)는 체결볼트나 접착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브러쉬프레임(721)은 지지부(722)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지지부(722)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브러쉬프레임(721)의 양단이 안착부(713)의 양단과 체결됨으로써, 브러쉬프레임(721)이 본체(710) 내부의 바닥, 구체적으로 안착부(713)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흡입유닛(800)의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이 안착부(713)에서 안내부(714)로 이동할 때, 지지부(722)에 의한 유동저항을 애초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브러쉬프레임(721)의 일측에는 본체(7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710)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7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브러쉬프레임(721)의 옆면에는 본체(7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재(724)가 연장 형성된다. 보강부재(724)는 소정의 체결부재(724a)를 통해 본체(710)와 체결되며, 체결부재(724a)는 체결볼트나 접착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브러쉬프레임(721)이 본체(710) 내부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된 경우, 브러쉬프레임(721) 자체의 무게로 인한 하중이 발생하며, 상기 하중으로 인해 브러쉬프레임(721)이 아래로 쳐질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쉬프레임(721)의 일측에 형성된 보강부재(724)는, 브러쉬프레임(721)이 하방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브러쉬프레임(721)을 지지해주며, 보강부재(724)는 브러쉬프레임(721)의 무게, 브러쉬(720)와 필터(610)와 접촉면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에서 베이스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의 공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청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청소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브러쉬조립체의 본체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브러쉬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브러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제1실시예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브러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제2실시예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브러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제3실시예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브러쉬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제4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천장형 공기조화기 100: 천장
170: 실내 200: 케이스
250: 돌출단 300: 베이스패널
305: 공기 흡입구 310: 공기 토출구
400: 프런트 패널 500: 사이드패널
600: 청소장치 700: 브러쉬조립체
800: 흡입유닛 900: 이물질수집유닛

Claims (13)

  1. 천장에 배치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일측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패널과;
    공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에 안착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수집하는 브러쉬조립체와;
    상기 브러쉬조립체와 연결되어 상기 브러쉬조립체를 상기 필터 하우징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브러쉬조립체가 필터 하우징의 일단으로 이동하면 상기 브러쉬조립체와 연통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조립체는
    상기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과 접촉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프레임과;
    이물질이 수집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프레임이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바닥에 상기 브러쉬프레임이 결합되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본체베이스와,
    상기 본체베이스를 덮는 본체덮개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은 상기 지지부 상에 결합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브러쉬프레임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브러쉬프레임이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는 결합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고리가 걸림고정되는 고리홈이 형성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물질이 자중방향으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안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로 구획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은 상기 안착부 상에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폭은 상기 안착부의 폭보다 작은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양단은 상기 안착부의 양단과 체결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내부 사이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이물질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이물질을 상기 본체 외부로 토출하도록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하우징 토출구가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80009181A 2008-01-29 2008-01-29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12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81A KR101412151B1 (ko) 2008-01-29 2008-01-29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81A KR101412151B1 (ko) 2008-01-29 2008-01-29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76A KR20090083176A (ko) 2009-08-03
KR101412151B1 true KR101412151B1 (ko) 2014-06-25

Family

ID=4120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181A KR101412151B1 (ko) 2008-01-29 2008-01-29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1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2362A (ja) 2003-12-12 2005-06-3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60052056A (ko) * 2004-10-19 2006-05-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치
JP2008002802A (ja) * 2007-08-30 2008-01-10 Kowa Co Ltd 空気調和機用回転ロータと空気調和機
KR20080007858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2362A (ja) 2003-12-12 2005-06-3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60052056A (ko) * 2004-10-19 2006-05-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치
KR20080007858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8002802A (ja) * 2007-08-30 2008-01-10 Kowa Co Ltd 空気調和機用回転ロータと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76A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427B2 (ja)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3405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4611448B2 (ja)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32975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US803851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7862636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JP2007309584A (ja) 空気調和機
KR101392322B1 (ko) 공기조화기
JP5069870B2 (ja) 空気調和機
JP4674586B2 (ja) エアフィルタ清掃装置
KR10146629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1215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EP2181292A2 (en) Air conditioner
EP2181291B1 (en) Air conditioner
JP4165246B2 (ja) 空気調和機
KR101362317B1 (ko) 공기조화기
JP4386544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KR20090044786A (ko) 공기조화기
JP200730958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41215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1396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50317A (ko) 공기조화기
KR101482100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8447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