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787A - 화물 적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787A
KR20090080787A KR1020080006753A KR20080006753A KR20090080787A KR 20090080787 A KR20090080787 A KR 20090080787A KR 1020080006753 A KR1020080006753 A KR 1020080006753A KR 20080006753 A KR20080006753 A KR 20080006753A KR 20090080787 A KR20090080787 A KR 2009008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loading system
roller
shaft
cargo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639B1 (ko
Inventor
김병웅
Original Assignee
김병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웅 filed Critical 김병웅
Priority to KR102008000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6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palletis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14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provided with satellite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팰릿이 적재되는 서포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지게차의 운동성이 자유로우며, 유효 적재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고, 화물의 적재 및 출고가 신속하고 운전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화물 적재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 화물 적재 시스템은, 물류창고의 바닥(B)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수직빔열(100)을 이루는 복수의 수직빔(10)과, 그 수직빔열(100)을 형성하는 수직빔(10)에 횡으로 층을 이루며 이송로(200)를 형성하는 크로스빔(20)과, 그 크로스빔(20)에 의해 형성된 이송로(2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팰릿(P)이 하역 가능하게 적재되는 복수의 서포터(30)로 구성된다.
화물 적재, 팰릿, 크로스빔, 수직빔, 서포터

Description

화물 적재 시스템{System for Loading Freight}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의 적재 및 출고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으며, 물류창고 또는 화물창고의 유효공간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창고 또는 화물 창고에는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생산된 각종 식, 음료 및 의류, 가전, 잡화 등의 물품을 일시적으로 또는 장기적으로 보관 또는 적재하기 위해 화물 적재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같은 화물 적재 시스템은 물류 산업의 발달로 인해 단순한 물류의 보관차원에서 벗어나 물류 창고에 보관중인 물품의 제품배치는 물론 효율적인 입고, 적재, 출고, 재고관리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화물 적재 시스템은 대량의 물품을 보다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는 물론 적재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물 적재 시스템의 종래의 예로서, 특허등록 제757306호, 제790406호 및 제427596호, 특허공개 제2006-22813호 등이 있으며, 이 같은 종래 예들의 일반적인 설계 및 운용 방식에 의하면, 물류 창고 또는 화물창고의 바닥면은 팰릿랙이 설치되는 랙구간과, 포크리프트 또는 지게차와 같은 이동수단의 이동을 위한 통로구간을 구획되며, 그 랙구간에는 일정 규격의 팰릿이 출납될 수 있는 폭 및 높이를 갖는 다수 또는 복수의 팰릿 랙이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포크리프트 또는 지게차가 통로구간을 출입하면서 각각의 팰릿을 각각의 팰릿랙에 적재하거나 그로부터 하역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화물 적재 시스템은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종래의 화물 적재 시스템은 상하로 층을 이루며 일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되는 팰릿랙이 고정되어 있어 순서적인 화물 또는 물류의 적재 또는 출고시 시간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팰릿랙 과 통로구간의 연속 반복적 배치로 인해 물류창고 또는 화물창고의 내부 유효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의 입출고, 특히 순서적인 화물의 입고, 적재 및 출고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화물 적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적으로 팰릿이 적재되는 팰릿랙 또는 서포터를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화물창고 또는 물류창고의 내부 유효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은, 물류창고에 설치되어 화물이 적재된 팰릿을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시스템에 있어서, 물류창고의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수직빔열을 이루는 복수의 수직빔; 수직빔열을 형성하는 수직빔에 횡으로 층을 이루며 이송로를 형성하는 크로스빔; 및 그 크로스빔에 의해 형성된 이송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팰릿이 하역 가능하게 적재되는 복수의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에 의하면, 실제로 팰릿이 적재되는 팰릿랙 또는 서포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됨으로서, 지게차와 같은 화물 이동 및 적재수단의 운동성이 자유로우며, 특히 순차적인 화물의 적재 및 출고시 화물 적재 시스템의 유효 적재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화물의 적재 및 출고가 신속하고 자유로우며 운전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물류창고 또는 화물창고의 유효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고 지게차의 활동반경이 최대로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물 적재 시스템의 크로스빔과 서포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도 1의 화물 적재 시스템의 크로스빔과 서포터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도 1의 화물 적재 시스템의 크로스빔과 서포터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5f는 도 1의 화물 적재 시스템에 적용되는 서포터 이송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의 입고과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의 출고과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1 및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화물창고 또는 물류창고의 바닥(B)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빔(10)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수직빔은 H형, I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설정된 팰릿(P)의 적재 층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 바, 그 길이를 늘리거나 높여 창고 또는 건축물의 기둥 또는 구조체로도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직빔(10)은 설계된 화물창고 또는 물류창고의 설계 또는 용적에 따라 일렬 또는 복수의 열로 정렬되어 수직빔열(10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수직빔(10)이 일렬 또는 복수의 열로 형성되어 수직빔열(100)이 형성되면, 상호 이웃하거나 대향하는 각각의 수직빔열(100) 사이의 바닥면(B)에는 지게차와 같이 이송수단이 운행될 수 있는 운행통로(T)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빔(10)들에 의해 형성된 수직빔열(100)에는 크로스빔(20)이 횡방향으로 일렬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그 크로스빔(20)은 각각의 수직빔(10) 또는 수직빔열(100)에 상호 대향하며 일체로 연결 설치됨으로써, 후술되는 서포터가 이 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로(20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직빔(10)이 크로스빔(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 수직빔(10)의 적정 위치에는 크로스빔(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11)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빔(20)은 다양한 형상의 빔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특히 후술되는 서포터들이 원활하게 왕복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각각의 크로스빔(20)은 H형 빔 또는 I형 빔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빔은 자체적으로 후술되는 서포터들의 양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국 이송로(200)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대향하는 2개 또는 복수의 크로스빔(20) 또는 상호 대향하는 각각의 크로스빔(20)에 의해 형성된 이송로(200)에는 복수 또는 다수의 서포터(30)들이 이동 또는 왕복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들 각각의 서포터(30)의 양단은 크로스빔(20)에 안정적으로 이송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에서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빔(20)과 서포터(30)들 간의 결합관계에 의하면, 각각의 크로스빔(20)에는 이송로(200)를 형성하는 이송홈(22)이 형성되며, 각각의 서포터(30)의 양단에는 그 이송홈(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부(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각의 서포터(30)들의 전체 길이는 상호 대향하는 크로스빔(20)의 이송홈(22)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로(200)의 전체적인 폭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각각의 서포터(30)들의 결합부(32)의 두께는 크로스 빔(20)에 형성된 이송홈(22)의 깊이 또는 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로(200)의 깊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크로스빔(20)의 이동시 양단의 저면이 크로스빔(20)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서포터(30)들의 이동은, 원활한 이동을 위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지게차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서포터(30)가 약간의 높이로 리프트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서포터(30)들의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한 이동을 위해, 크로스빔(20)의 이송홈(22)의 하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돌기(22a)가 형성되며, 이에 상응하게 서포터(30)의 결합부(32)의 하부에는 상기 돌기(2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역V자형의 지지홈(3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의 크로스빔과 서포터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크로스빔(20)에는 레일(24)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게 각각의 서포터(30)의 양단에는 상기 레일(24)에 구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34)가 구비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각각의 서포터(30)를 크로스빔(20)에 대해 이동시키거나 왕복동시키는 경우,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각각의 서포터(30)를 약간 리프트시킨 상태에서 밀거나 잡아당기면, 각각의 서포터(30)의 롤러(34)가 각각의 크로스빔(20)의 레일(24)로부터 약간 상승된 상태로 각각의 서포터(30)가 이송되거나, 또는 각각의 롤러(34)가 레일(34)에 소프트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그 롤러(34)의 구름 또는 미끄럼 작용에 의해 이동 또는 왕복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a 및 4b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의 크로스빔과 서 포터와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크로스빔(20)에는 랙(26)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게 각각의 서포터(30)의 양단의 하부에는 상기 랙(26)에 이동 가능하게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36)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각각의 서포터(30)를 크로스빔(20)에 대해 이동시키거나 왕복 이동시키는 경우, 지게차(F)의 포크를 이용하여 각각의 서포터(30)를 밀거나 잡아당기면, 각각의 서포터(30)의 피니언(36)이 각각의 크로스빔(20)의 랙(26)에 치차결합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이동 또는 왕복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주요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은 서포터(30)를 자체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트랜스포터 또는 이송장치(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a에 있어서, 서포터(30)를 이동 또는 왕복시키기 위한 이송장치(40)는, 상기 각각의 롤러(34)를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샤프트(42)와, 상기 샤프트(42)의 중심에 설치되며 실제적으로 그 샤프트(42)를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44)와, 상기 감속기(44)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액튜에이터(46)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여기서, 액튜에이터(46)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가역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그 이송장치(40)는 상기 액튜에이터(46)를 제어하여 궁극적으로 서포터(30)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48)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콘트롤러(48)는 직접적인 제어는 물론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b 내지 도 5d에 있어서, 복수 또는 다수의 서포터(30)가 하나의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먼저 도 5b에 있어서, 서포터(30)가 크로스빔(20)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 이송장치(50)는 서포터(30)의 하부 및 크로스빔(20)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이송장치(50)는 크로스빔(20)에 설치되는 레일(51) 및 그 레일(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샤프트(5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롤러(53)와, 양단에 상기 롤러(5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54)과, 상기 샤프트(52)의 중심에 설치되며 실제적으로 그 샤프트(52)를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모터(55)와, 지정된 서포터(30)를 선택하여 이동 또는 왕복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터(56)를 구비한다. 특히, 프레임(54)에는 각각의 서포터(30)들 중 선택된 하나의 서포터(30)를 약간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서포터(30)에 접촉되는 리프터(54a)가 서포터(30)를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속기모터(55)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가역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포터(30)가 롤러(34)나 피니언(36)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리프터(54a)는 서포터(30)를 들어올리는 대신 전후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각각의 리프터(54a)는 유압식, 또는 다른 기계식으로 구성되고 망원경식으로 수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c에서와 같이, 서포터(30)가 크로스빔(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송장치(60)가 크로스빔(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 이송장치(60)는 상술된 이송장치(50)와 유사하게 설치되는 바, 즉 크로스빔(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61) 및 그 레일(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샤프트(62)에 의해 상호 연결되 는 롤러(63)와, 양단에 상기 롤러(6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64)과, 상기 샤프트(62)의 중심에 설치되며 실제적으로 그 샤프트(62)를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모터(65)와, 지정된 서포터(30)를 선택하여 이동 또는 왕복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터(66)를 구비한다. 물론, 프레임(64)에는 각각의 서포터들 중 선택된 하나의 서포터(30)를 약간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서포터(30)에 연결될 수 있는 리프터(64a)가 수평 평행을 위해 좌우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속기모터(66)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가역모터로 형성된다. 한편, 롤러(34)나 피니언(36)을 서포터(30)가 구비하고 있는 겅우, 리프터(64a)는 서포터(30)를 들어올리는 대신 전후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됨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리프터(64a)는 유압식, 또는 다른 기계식으로 구성되고 망원경식으로 수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70)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구성될 수 도 있다. 즉, 이송장치(70)는 크로스빔(20)에 설치되는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73)와, 양단에 상기 롤러(7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74)과, 상기 각각의 롤러(73)에 연결되어 이를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모터(75)와, 상기 감속기모터(75)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76)로 구성된다. 물론, 감속기모터(75)와 액튜에이터(76)를 제어하기 위해 콘트롤러(77)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본 이송장치(70)는 샤프트가 생략됨으로써, 그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프레임(74)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30)에 접촉되어 이를 실질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리프터(78) 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그 리프터(78)는 유압식, 또는 다른 기계식으로 구성되고 망원경식으로 수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즉, 지게차(F)를 이용하여 서포트(30)를 이송시키는 경우에도 수동식 이송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그 이송장치(80)는 크로스빔(20)에 설치되는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83)와, 양단에 상기 롤러(8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84)과, 상기 프레임(84)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30)를 상방으로 리프트 시키기 위한 리프터(88)를 구비한다. 그 리프터(88)는 망원경식 또는 실린더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리프터(88)에는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88a)가 설치된다.
도 5f에 있어서, 각각의 서포터(30)를 자주식으로 이동 또는 왕복시키기 위한 다른 하나의 이송장치(90)가 있다. 그 이송장치(90)는 각각의 서포터(30)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로킷(92)과, 각각의 스프로킷(92)이 연결 결합되는 체인(94)과, 그 체인(94)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96)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서포터를 자체적으로 또는 자주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로서 롤러 또는 스프로킷을 직접 구동시키는 방식을 구현예들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실제적으로 서포터를 이동 또는 왕복시킬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는 방법에 대해 도 6 및 도 7과 도 1 내지 5f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전히 비워진 화물 적재시스템 전체의 서포터에 화물을 연속 반복적으로 적재하고 또한 이를 하역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바, 화물 적재 시스템 전체의 서포터들 중 일부의 서포터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하는 방법 또한 동일하게 적용됨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먼저 지게차(F)를 입구측으로부터 입장시켜 포크를 이용하여 제1서포터(30A)를 밀어 크로스빔(20)의 전방으로 이동시킨다(S100). 물론, 제1서포터(30A)에 이송장치(40-90)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이송장치(40-90)의 콘트롤러, 감속기모터 및/또는 액튜에이터를 직접 또는 원격으로 작동시켜 제1서포터(30A)를 이동시킬 수 있다.
최전방의 제1서포터(30A)가 크로스빔(2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면, 작업자는 화물이 적재된 팰릿(P)을 제1서포터(30A)에 적재한다(S102). 실제로 이와 같은 팰릿(P)의 적재는 전방의 제1서포터(30A) 전체에 팰릿이 적재될 때까지 또는 일부가 적재될 때까지 연속, 반복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서포터(30A)에 복수의 팰릿(P)이 완전히 적재되거나, 또는 그 후 제1서포터(30)의 하부에 팰릿(P)의 적재를 마치면, 제2서포터(30B)를 제1서포터(30A)를 향해 전술된 바와 같이 이동시켜 정렬 고정시킨 후 지게차(F)를 이용하여전술된 바와 같이 다시 제2서포터(30B)에 팰릿(P)을 적재시킨다(S104).
이후, 제2서포터(30B)에 팰릿(P)이 완전히 전재되면, 전술된 바와 같은 공정을 연속 반복적으로 행하여 최종 서포터(30Q)까지 팰릿(P)을 적재한다(S106).
물론 동일 방식으로 다른 열의 서포터에 팰릿을 동일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 으며, 또한 서포터가 복층 또는 다층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1층의 서포터에 팰릿을 적재하고 2 내지 다른 층의 서포터에 팰릿을 적재하는 방식으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 및/또는 팰릿을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에서의 화물의 하역방법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지게차(F)를 출구측으로부터 입장시켜 전방의 제1서포터(30A)에 적재된 팰릿(P)을 순차적으로 하역하여 출구를 통해 이송한다(S200).
제1서포터(30A)에 적재된 팰릿(P)을 모두 하역한 후, 작업자는 지게차(F)를 이용하거나 각각의 이송장치(40-90)를 이용하여 제1서포터(30A)를 측구측으로 최대로 당겨지도록 한 후 제1서포터(30A)와 제2서포터(30B)사이에 지게차(F)의 작업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한다(S202).
이후 작업자는 지게차(F)를 이용하여 제2서포터(30B)에 적재된 각각의 팰릿(P)을 동일방식으로 하역한 후, 다시 후속하는 서포터들을 순차적으로 당겨 다음으로 후속하는 서포터와의 사이에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을 최종 서포터(30Q)까지 행하여 화물 및/또는 팰릿(P)의 하역 및 출하를 완료한다(S204).
물론, 동일 방식으로 다른 열의 서포터에 팰릿을 동일 방식으로 하역할 수 있으며, 또한 서포터가 복층 또는 다층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먼저 고층에 존재하는 서포터에서 팰릿을 하역하고 하부 층으로 내려오면서 다른 서포터로부터 팰릿을 하역하는 방식으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 및/또는 팰릿을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서포터들을 크로스빔에 지지된 상태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화물을 해당 서포터에 적재하거나 그로부터 하역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대로 또는 임의로 화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화물별 또는 구분되는 팰릿별로 서포터(30)들의 간격을 조정하고 각각의 서포터(30) 하부의 적재공단에 지게차(F)의 이동을 위한 적절한 통로를 형성한 경우 화물별 또는 팰릿별 출고도 가능하며, 또한 출구와 입구가 동일한 경우에도 화물의 적재 및 출고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물 적재 시스템의 크로스빔과 서포터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 및 3b는 도 1의 화물 적재 시스템의 크로스빔과 서포터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 및 4b는 도 1의 화물 적재 시스템의 크로스빔과 서포터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 내지 5f는 도 1의 화물 적재 시스템에 적용되는 서포터 이송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의 입고과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시스템의 출고과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직빔 20: 크로스빔
30: 타이머 40: 이송장치

Claims (12)

  1. 물류창고에 설치되어 화물이 적재된 팰릿을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류창고의 바닥(B)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수직빔열(100)을 이루는 복수의 수직빔(10);
    상기 수직빔열(100)을 형성하는 수직빔(10)에 횡으로 층을 이루며 이송로(200)를 형성하는 크로스빔(20); 및
    상기 크로스빔(20)에 의해 형성된 이송로(2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팰릿(P)이 하역 가능하게 적재되는 복수의 서포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크로스빔(20)에는 이송로(200)를 형성하는 이송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서포터(30)의 양단에는 상기 이송홈(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송홈(22)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돌기(22a)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30)의 결합부(32)의 하부에는 상기 돌기(22a)에 이동 가능 하게 결합되는 역V자형의 지지홈(3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크로스빔(20)의 이송로(200)는 레일(24)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서포터(30)의 양단에는 상기 레일(24)에 구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빔(20)의 이송로(200)는 랙(26)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서포터(30)의 양단의 하부에는 상기 랙(26)에 이동 가능하게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3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서포터(30)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40;50;60;70;80;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40)는, 상기 서포터(30)에 구비된 각각의 롤 러(34)를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샤프트(42)와, 상기 샤프트(42)의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44)와, 상기 감속기(44)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액튜에이터(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50)는, 상기 크로스빔(20)에 설치되는 레일(51) 및 상기 레일(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샤프트(5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롤러(53)와, 양단에 상기 롤러(5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54)과, 상기 샤프트(52)의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52)를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모터(55)와, 지정된 서포터(30)를 선택하여 이동 또는 왕복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터(56)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54)에는 각각의 서포터(30)들 중 선택된 하나의 서포터(30)를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서포터(30)에 접촉되는 리프터(54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60)는 상기 크로스빔(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61) 및 상기 레일(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샤프트(6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롤러(63)와, 양단에 상기 롤러(6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64)과, 상기 샤프트(62)의 중심에 설치되며 실제적으로 상기 샤프트(62)를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모터(65)와, 지정된 서포터(30)를 선택하여 이동 또는 왕복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터(66)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64)에는 상기 각각의 서포터들 중 선택된 하나의 서포터(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터(64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70)는 상기 크로스빔(20)에 설치되는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73)와, 양단에 상기 롤러(7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74)과, 상기 각각의 롤러(73)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73)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모터(75)와, 상기 감속기모터(75)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76)로 구성되고; 상기 감속기모터(75)와 액튜에이터(76)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7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80)는 크로스빔(20)에 설치되는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83)와, 양단에 상기 롤러(8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84)과, 상기 프레임(84)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30)를 상방으로 리프트 시키기 위한 리프터(8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90) 상기 각각의 서포터(30)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로킷(92)과, 상기 각각의 스프로킷(92)이 연결 결합되는 체인(94)과, 상기 체인(94)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9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
KR1020080006753A 2008-01-22 2008-01-22 화물 적재 시스템 KR10096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753A KR100965639B1 (ko) 2008-01-22 2008-01-22 화물 적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753A KR100965639B1 (ko) 2008-01-22 2008-01-22 화물 적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87A true KR20090080787A (ko) 2009-07-27
KR100965639B1 KR100965639B1 (ko) 2010-06-23

Family

ID=4129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753A KR100965639B1 (ko) 2008-01-22 2008-01-22 화물 적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0049A (zh) * 2018-08-19 2019-01-01 宜昌东江造船有限公司 半潜式lng换装船及船用lng装船应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639B1 (ko) 2022-07-25 2024-01-09 주식회사 카고셔틀 트레일러용 화물 적재 및 하역 시스템
KR102610964B1 (ko) 2023-05-31 2023-12-07 주식회사 카고셔틀 화물트럭용 다중 화물 적하역 장치
KR102610963B1 (ko) 2023-05-31 2023-12-07 주식회사 카고셔틀 중량센서를 구비한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적하역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6409B2 (ja) * 1989-08-07 1997-11-17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パレットの移載装置
US5540532A (en) * 1993-11-12 1996-07-30 Transact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marine cargo container handling and storage
KR970004659B1 (ko) * 1994-07-27 1997-03-29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다중 광디스크 구동장치
KR100524663B1 (ko) * 2003-12-29 2005-10-31 정경자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0049A (zh) * 2018-08-19 2019-01-01 宜昌东江造船有限公司 半潜式lng换装船及船用lng装船应用方法
CN109110049B (zh) * 2018-08-19 2024-01-12 湖北东船重工有限公司 半潜式lng换装船及船用lng装船应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639B1 (ko)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082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cargo spaces of vehicles
US6929440B1 (en) Method and storage load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loads in storage
MX2013000037A (es) Sistema para transportar mercancias colocadas en dispositivos auxiliares.
JP3546217B2 (ja) 物品移載装置
EP17265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cking bulky loads
US20140023462A1 (en) Universal load-lifting means for the palettless handling of goods to be loaded onto paletts
JP5078563B2 (ja) 自動倉庫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KR100965639B1 (ko) 화물 적재 시스템
US3151754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loads
CN108367870B (zh) 用于移动托板的设备
KR200462222Y1 (ko) 래크식 아암포크를 탑재한 스태커 크레인
KR101440365B1 (ko) 층고 확장식 컨테이너형 물류창고
JP5724018B2 (ja) 自動倉庫
JPH07117815A (ja) 自動倉庫
JP5865178B2 (ja) 自動倉庫
JP2006315829A (ja) 自動倉庫
CN209905643U (zh) 一种自动化仓储系统
KR100605503B1 (ko)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EP1144263B1 (de) Palette zum lagern und transportieren von waren mit abrollbarem boden
KR20110102533A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무인운반장치
JP2017128402A (ja) 自動倉庫および台車式搬送装置
KR101588567B1 (ko)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JP2003040440A (ja) パレット利用の荷搬送装置
KR20060107704A (ko) 적재물 이송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