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81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813A
KR20090079813A KR1020090002956A KR20090002956A KR20090079813A KR 20090079813 A KR20090079813 A KR 20090079813A KR 1020090002956 A KR1020090002956 A KR 1020090002956A KR 20090002956 A KR20090002956 A KR 20090002956A KR 20090079813 A KR20090079813 A KR 2009007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
main body
sli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211B1 (ko
Inventor
마사유키 구쿠치
가즈시 가마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는 피결합부를 구비하는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 가능하다. 당해 커넥터는, 지지부와 당해 지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록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록 부재는, 본체부와, 록부와, 스프링부와, 피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는, 대략 평판 모양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소정부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록부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고정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상기 록부는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때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피결합부에 대한 결합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때는 상기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록부를 상기 고정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는 제2소정부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소정부위는, 상기 제1소정부위와 평행한 한편 상기 제1소정부위 및 상기 제2소정부위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부위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피조작부는,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록부를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대방 커넥터의 피결합부와 결합하여 당해 커넥터와 상대방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록 부재(lock 部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67970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개시된 커넥터는 회전 가능한 록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록 부재는, 록부(lock部), 스프링부 및 피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록부에는, 훅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훅은, 당해 록부가 고정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대방 커넥터의 피결합부와 결합한다. 스프링부는, 록부를 고정위치를 향하여 가압한다. 피조작부는, 조작되었을 때에 록부를 해제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배치되어 있다.
록 부재를 소형화하면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소형화된 록 부재의 스프링부의 스프링력은 보통 약해진다. 그래서 소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스프링력을 제공할 수 있는 록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소형이면서도 충분한 스프링력을 제공할 수 있는 록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피결합부를 구비하는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당해 커넥터는, 지지부와 당해 지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록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록 부재는, 본체부와, 록부와, 스프링부와, 피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는, 대략 평판 모양의 제1소정부위로서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1소정부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록부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고정위치와 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상기 록부는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피결합부에 대한 결합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는 제2소정부위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록부를 상기 고정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제2소정부위는, 상기 제1소정부위와 평행한 한편, 상기 제1소정부위 및 상기 제2소정부위와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부위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피조작부는,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록부를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배치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예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략 평판 모양의 부위를 가지는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스프링부를 구부려서 형성함으로써 스프링력(스프링의 변위량 등)을 생기게 하는 스프링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록 부재를 소형화한다고 하더라도 스프링부에 충분한 변위량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이다. 이 플러그 커넥터는, 도3의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와 결합 가능한 것이다. 여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슐레이터(insulator)(800)와 쉘(shell)(900)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800)는 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다. 쉘(900)은, 삽입 몰드법(insert mold法)에 의하여 인슐레이터(800)를 형성할 때에, 인슐레이터(800)에 생성된다. 쉘(900)에는 피고정부(910, 9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피고정부(910, 920)가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납땜에 의하여 고정되어,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가 회로기판 상에 탑재/고정된다. 쉘(900)에는 또한 피결합부(930)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피결합부(930)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이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피결합부(930)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길이방향의 양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는, 인슐레이터(100), 복수의 콘택트(200), 베이스 쉘(base shell)(300), 록 부재(400) 및 커버 쉘(cover shell)(500)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200) 및 베이스 쉘(300)은, 인슐레이터(100)의 형성과 동시에 삽입 몰드법에 의하여 인슐레이터(100)에 생성되고 있다. 록 부재(400)는, 피결합부(930)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결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 같이, 록 부재(400)는 보조구(補助具)(600)를 사용하여 조작되고, 이에 의하여 결합상태의 고정이 해제된다.
도2,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인슐레이터(100)에는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0)는,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00)의 양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각 수용부(110)에는 탭(112)이 설치되어 있다. 탭(112)에는 구멍(114)과 슬릿(11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16)은 구멍(114)으로부터 탭(112)의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 쉘(300)은 금속제이며 베이스 쉘(300)에는 지지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10)는,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구멍(114)과 비교하여 인슐레이터(100)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수용부(110)에서 지지부(310)는,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구멍(114)과 인슐레이터(100)의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310)는, 플러그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 수용부(110) 내에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310)는, 직사각형의 한 모서리를 잘라서 얻어지는 것 같은 모양인 특정한 오각형 모양을 한 작은 돌출부이다. 즉 지지부(310)는 베벨부(bevel部)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310)의 베벨부는, 후방을 향하고 있다. 지지부(310)는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있 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310)는 베이스 쉘(300)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310)는 베이스 쉘(300)과 별개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4를 참조하면, 각 록 부재(400)는 단일한 금속판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단일한 작은 조각이다. 록 부재(400)는, 본체부(410), 록부(420), 스프링부(430) 및 피조작부(440)를 구비하고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410)는, 대략 판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제1소정부위(411)를 가지고 있다. 제1소정부위(411)에는, 대략 표주박 형상 또는 숫자 8의 외형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피지지구멍(412)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10)가 후방을 향하는 베벨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310)가 피지지구멍(412)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베벨부가 제1소정부위(411)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렇게 삽입한 결과, 본체부(410)의 제1소정부위(411)는 유격(裕隔)을 가진 상태에서 지지부(3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제1소정부위(411)는 지지부(3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지지부(310)와 피지지부(412)의 결합에 의하여 제1소정부위(411)가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회전하지 않도록 제1소정부위(411)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피지지부(412)는 타원형과 같이 다른 형상을 하고 있어도 좋다. 단지, 지지부(310)와 표주박 형상의 피지지구멍(412)의 결합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록 부재(4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피지지구멍(412)이 표주박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를 참조하면, 본체부(410)에는 수용구멍(413)과 슬릿(제2슬릿)(414)이 더 형성되어 있다. 슬릿(414)은 수용구멍(413)으로부터 본체부(410)의 리어 엣지(rear edge)(410a)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용구멍(413)은,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지지부(310)에 비하여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구멍(413)과 슬릿(414)은, 록 부재(400)가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각각 구멍(114)과 슬릿(116)에 대응하고 있다. 수용구멍(413)은 구멍(114)과 같은 사이즈 및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슬릿(414)은 슬릿(116)과 같은 사이즈 및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도4 내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410)에는 제1제한부(415)가 더 구비되어 있다. 제1제한부(415)는, 반타원 형상을 하고 있고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즉 제1제한부(415)는, 커버 쉘(500)을 향하는 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돌출하여 있다. 제1제한부(415)는, 피지지구멍(412), 수용구멍(413) 및 슬릿(414)에 비하여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록부(420)는, 본체부(410)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록부(420)에는 단부(424)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424)는, 대략 판자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고, 제1소정부위(411)와 평행한 한편 두께방향에 있어서 제1소정부위(411)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단부(424)에는 결합부(결합 훅)(42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422)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피결합부(930)에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배치되어 있다. 록 부(420)는, 본체부(410)의 회전에 따라, 고정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부(420)가 고정위치에 있을 때, 결합부(422)는,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될 때에 결합부(422)가 피결합부(930)에 결합된다. 결합부(422)가 피결합부(930)에 대하여 결합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결합상태가 고정된다. 한편 록부(420)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결합부(422)는 인슐레이터(100) 내에 수용되어 결합부(422)는 피결합부(930)로부터 빠진다. 결합부(422)가 피결합부(930)로부터 빠짐으로써 결합상태의 고정은 해제된다.
스프링부(430)는, 록부(420)가 고정위치를 향하도록 가압하고 있다. 스프링부(430)는, 본체부(410)의 사이드 엣지(side edge) 또는 이와 유사한 부위로부터 연장된 후, 제2소정부위(432)를 구비하도록 구부려져 있다. 제2소정부위(432)는, 제1소정부위(411)와 평행한 한편 두께방향(즉 제1소정부위(411) 및 제2소정부위(432)와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제1소정부위(411)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2소정부위(432)는, 제2소정부위(432)와 제1제한부(415)의 사이에 틈(416)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소정부위(432)는 두께방향에 있어서 제1소정부위(411)와 접촉하고 있다. 제1소정부위(411)와 제2소정부위(432)의 사이에 틈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틈은 제1소정부위(411)의 두께의 반 이하이다. 제2소정부위(432)는, 대략 U 자 형상 또는 대략 J자 형상을 하고 있다. 제2소정부위(432)는 대략 U자모양 또는 대략 J자모양의 부위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도4 및 도6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의 제2소정부위(432)는,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록부(420)를 넘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제한부(415)는, 대략 U자 형상의 제2소정부위(432)에 의하여 규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430)에는 단부(436)가 더 형성되어 있다. 단부(436)는, 단부(424)와 동일평면 내에 위치하는 부위를 가지도록, 제2소정부위(432)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부(436)에는 피지지부(434)가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부(434)는 수용부(110) 내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피지지부(434)는 유격을 가진 상태에서 인슐레이터(100)에 지지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한 스프링부(430)는, 록 부재(400)의 크기가 작게 유지된 상태에서 충분한 스프링력을 가지고 있다.
피조작부(440)는, 조작되었을 때에, 록부(420)가 해제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조작부(440)는 대략 판자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 피조작부(440)는, 제1엣지부(440a)와 제2엣지부(440b)를 구비하고 있다. 제1엣지부(440a)는 본체부(410)의 리어 엣지(410a)와 접속되어 있고, 피조작부(440)는 본체부(410)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피조작부(440)에는 슬릿(제1슬릿)(442)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442)은, 제1엣지부(440a)로부터 제2엣지 부(440b)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지만, 제2엣지부(440b)에는 도달하여 있지 않다. 슬릿(442)은 슬릿(414)과 접속되어 있다. 슬릿(442)은,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슬릿(414)과 같은 폭을 가지고 있다.
도2 및 도7을 참조하면, 커버 쉘(500)에는 제2제한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제2제한부(510)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즉 제2제한부(510)는, 베이스 쉘(300)을 향하는 방향이며 제1방향과는 역방향의 방향인 제2방향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본체부(410)의 회전에 따라 록부(420)가 고정위치로부터 해제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제1제한부(415)는 제2제한부(510)와 접촉하고, 이에 의하여 제1제한부(415) 및 제2제한부(510)는 록부(420)가 해제위치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제한부(510)는, 제1제한부(415)를 면접촉에 의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제한부(510)는, 제1볼록부(512a, 512b)와 제2볼록부(514)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볼록부(512a, 512b)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제2볼록부(514)는, 제1볼록부(512a, 512b)로부터 더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제1제한부(415)는, 제1볼록부(512a, 512b)와 제2볼록부(514) 중 제2볼록부(514)에만 접촉한다.
보조구(600)는 탄성을 가지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도2를 참조하면, 보조구(600)는 주부(主部)(610), 목부(620) 및 머리부(630)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610)는 모난 U자 형상(ㄷ자 형상)을 하고 있다. 목부(620)는, 주부(610)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다. 각 목부(620)의 굵기는 슬릿(414, 442)의 폭보다 가늘다. 각 머리부(630)는 구(球) 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 지름은 수용구멍(413)의 지름보다 작고 슬릿(414, 442)의 폭보다 크다.
도10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보조구(600)를 사용한 록 부재(400)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 내지 도1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보조구(600)의 머리부(630)가 인슐레이터(100)의 바닥으로부터 수용구멍(413)에 삽입된다. 계속하여 보조구(600)는, 주부(610)가 수평하게 될 때 까지 머리부(63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어진다. 그 회전의 결과, 목부(620)는, 도14 및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릿(442)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주부(610)가 후방을 향하여 끌어당겨지면, 록 부재(400)는 지지부(31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결합상태의 고정이 해제된다.
본 발명은 2008년 1월 17일에 일본국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008478호에 의거하고 있어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당해 플러그 커넥터용의 보조구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록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록 부재는, 플러그 커넥터의 인슐레이터에는 결합되어 있지 않다.
도6은, 도5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록 부재는, 플러그 커넥터의 인슐레이터에 결합되어 있다.
도7은, 도1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커버 쉘의 제2제한부를 VIII-VI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의 제2제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는, 록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제1제한부가 제2제한부에 접촉되어 있다.
도10은, 도1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또, 보조구는 플러그 커넥터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
도11은, 도10의 플러그 커넥터의 바닥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 다.
도12는, 도10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또, 보조구는 플러그 커넥터에 부착되고 있는 중이다.
도13은, 도12의 플러그 커넥터의 바닥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0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또, 보조구는 플러그 커넥터에 부착되어 있다.
도15는, 도14의 플러그 커넥터의 바닥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Claims (10)

  1. 피결합부를 구비하는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connector)로서, 지지부와, 당해 지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록 부재(lock 部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본체부와, 록부(lock部)와, 스프링부와, 피조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본체부는, 평판 모양으로서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1소정부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고정위치와 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이고,
    상기 록부는, 상기 피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피결합부에 대한 결합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는 제2소정부위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록부를 상기 고정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것이고,
    상기 제2소정부위는, 상기 제1소정부위와 평행한 한편, 상기 제1소정부위 및 상기 제2소정부위와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소 정부위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피조작부는,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록부를 상기 해제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단일한 금속판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단일 피스(single piece)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록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록부와 상기 스프링부가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부위 및 상기 제2소정부위가 서로 접촉하도록 또는 상기 제1소정부위와 상기 제2소정부위의 사이에 틈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틈이 상기 제1소정부위의 두께의 반 정도보다 작게 되도록 상기 제1소정 부위 및 상기 제2소정부위가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부위는 U자 형상 또는 J자 형상의 곡부(曲部)를 적어도 1개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인슐레이터(insulator) 및 베이스 쉘(base shell)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록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쉘은 금속제이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쉘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쉘은 상기 인슐레이터를 형성할 때에 삽입 몰드 가공(insert mold 加工)에 의하여 상기 인슐레이터에 생성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커버 쉘(cover shell)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소정방향을 따라 제1방향으로 돌출된 제1제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 쉘에는, 상기 소정방향을 따라 제2방향으로 돌출된 제2제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는 역방향이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록부가 상기 고정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제2제한부에 접촉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1제한부 및 상기 제2제한부는 상기 록부가 상기 해제위치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한부는, 제1볼록부 및 제2볼록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볼록부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볼록부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1볼록부로부터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제1볼록부 및 상기 제2볼록부 중 상기 제2볼록부에 접촉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조작부는 보조구(補助具)를 사용하여 조작되는 것이고,
    상기 보조구는 목부와 머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목부의 굵기는 제1사이즈이고,
    상기 머리부는 구형(球形)으로 되어 있고,
    당해 구형의 지름은 제2사이즈이고,
    상기 제2사이즈는 상기 제1사이즈보다 크고,
    상기 본체부는 엣지(edge)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조작부는, 상기 소정방향에 있어서, 제1엣지부 및 제2엣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조작부의 상기 제1엣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엣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피조작부는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조작부에는 제1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슬릿은, 상기 제1사이즈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2사이즈보다 작은 제1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슬릿은, 상기 제1엣지부에서 상기 제2엣지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지만 상기 제2엣지부에는 도달되어 있지 않고,
    상기 본체부에는 제2슬릿 및 수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슬릿은, 상기 제1폭과 같은 제2폭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슬릿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수용구멍은, 상기 제2슬릿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사이즈보다 큰 소정의 지름을 가지고 있는
    커넥터.
KR1020090002956A 2008-01-17 2009-01-14 커넥터 KR100990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08478A JP4510101B2 (ja) 2008-01-17 2008-01-17 コネクタ
JPJP-P-2008-008478 2008-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813A true KR20090079813A (ko) 2009-07-22
KR100990211B1 KR100990211B1 (ko) 2010-10-29

Family

ID=4087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956A KR100990211B1 (ko) 2008-01-17 2009-01-14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24199B2 (ko)
JP (1) JP4510101B2 (ko)
KR (1) KR100990211B1 (ko)
CN (1) CN101488623B (ko)
TW (1) TWI3745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016A (ko) * 2014-04-11 2015-10-2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Usb 리셉터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8426B2 (ja) * 2011-02-22 2012-12-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4868297B (zh) * 2015-04-03 2019-11-05 松富电子(深圳)有限公司 连接器
US11205876B1 (en) * 2020-06-23 2021-12-21 Aces Electronics Co., Ltd. Lock structure of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389A (en) * 1975-07-11 1977-01-1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elf latching and unlatching connector assembly
JPH0733403Y2 (ja) * 1989-12-04 1995-07-3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6454577B1 (en) * 2001-10-19 2002-09-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vice for latching and grounding
US6517372B1 (en) * 2001-12-26 2003-02-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Quick release shock/vibration connector assembly
JP2003297482A (ja) * 2002-02-01 2003-10-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ルタブを用いたロック解除機構及びコネクタ
JP2004014384A (ja) * 2002-06-10 2004-01-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ロック付きコネクタ
JP2005267970A (ja) 2004-03-17 2005-09-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CN2694554Y (zh) * 2004-03-29 2005-04-20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具有锁扣机构的电连接器
DE502005003386D1 (de) * 2005-12-23 2008-04-30 Nokia Siemens Networks Gmbh Steckbaugruppe mit Hebelziehgriff
JP4168104B2 (ja) * 2006-09-21 2008-10-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016A (ko) * 2014-04-11 2015-10-2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Usb 리셉터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211B1 (ko) 2010-10-29
US7824199B2 (en) 2010-11-02
JP4510101B2 (ja) 2010-07-21
JP2009170316A (ja) 2009-07-30
TW200937771A (en) 2009-09-01
US20090186508A1 (en) 2009-07-23
TWI374590B (en) 2012-10-11
CN101488623B (zh) 2012-10-10
CN101488623A (zh)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8257B2 (en) Card edge connector having ejector with hidden lump portion
JP5059571B2 (ja) 基板用雌端子金具
US10236628B2 (en) Connector
JP5602617B2 (ja) コネクタ部材
US9391408B2 (en) Receptacle connector that can easily obtain a desired friction lock without forming a large opening in a metal shell
JP2007299554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907075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WO2007046381A1 (ja) モジュール
JP200710313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0114057A (ja) コネクタ
US10276973B2 (en) Connector
KR100990211B1 (ko) 커넥터
JP4755568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9104851A (ja) コネクタ
JP6723875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103484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1322885B2 (en) Lever-type connector
JP2014059962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2009289627A (ja) コネクタ
JPH0963692A (ja) コネクタ
JP2005352548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596825B2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2009259635A (ja) カード用アダプタ
JP2010251222A (ja) 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