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292A -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292A
KR20090079292A KR1020080005160A KR20080005160A KR20090079292A KR 20090079292 A KR20090079292 A KR 20090079292A KR 1020080005160 A KR1020080005160 A KR 1020080005160A KR 20080005160 A KR20080005160 A KR 20080005160A KR 20090079292 A KR20090079292 A KR 20090079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display
display device
sound
acoustic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020B1 (ko
Inventor
이연호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020B1/ko
Priority to US12/354,597 priority patent/US8238598B2/en
Publication of KR2009007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및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외측에 부착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개방단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공진을 유도하는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 형상 또는 박스 형상의 음향 공진기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외측에 구비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음향 밸런스를 양호히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음향 공진기.

Description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Sound system of wall mounted type flat pane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 공진기를 구비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CD, PDP, OLED 등을 이용한 TV, 모니터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화질이 선명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두께가 작아 좁은 공간에도 높은 공간적 활용도를 갖는다는 이점이 있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간단한 고정 수단을 통해 손쉽게 벽에 부착시킬 수 있어, TV 등을 시청함에 있어서 그 시청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sound)은 여러가지 제약에 의해 고역은 지나치게 증폭되거나 또는 왜곡되고, 이에 반해 중역 및 저역은 빈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가 갖는 음향 출력의 취약성 및 배치 구조상의 제약에 기인한다. 이를 이하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첫번째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출력 음향의 취약성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가 갖는 문제점에 기인한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1a를 통해 도시된 외관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상 재생을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11)이 전체 면적 및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보다 넓은 화면을 선호하는 수요자들의 최근의 취향과 크게 연관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음향의 재생 및 확성을 위한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 출력 시스템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지게 되어 있다. 도 1a의 경우만 살펴보더라도 전면 음향 방출구(13, 13')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12)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1)이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한 길고 좁다란 영역에 겨우 배치될 수 있을 뿐이다.
더욱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그 전면(12)과 배면(14) 간의 두께가 얇은 것을 큰 특징으로 하므로, 종래의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음향 출력 시스템이 장착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이 더더욱 부족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음향 출력 시스템이 장착, 배치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이 부족해지는 경우, 고역의 음향 출력의 경우보다 중역 또는 특히 저역의 음향 출력의 경우에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저역대로 갈수록 양호한 음질, 안정적인 음향의 재생, 출력을 위해 보다 넓은 물리적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진동판의 면적이 클수록, 인클로저(enclosure)의 내부 공간이 넓거나 길수록 저역대의 음향 증폭 이 유리해지는 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에 비해 고역대의 음향의 재생에는 그리 큰 물리적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단적인 예로서, 저역용 스피커 유닛인 우퍼(wooper)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8 인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이 저역의 음향을 재생하는데 유리하지만, 고역용 스피커 유닛인 트위터(tweeter)의 경우에는 1 인치 ~ 1.5 인치의 크기만을 가져도 고역의 음향을 재생하는데 무리가 없다.
상술한 이유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외관 자체가 갖는 특이성에 기인하여 중역, 특히 저역의 음향을 재생, 출력함에 있어서 취약점을 가진다.
두번째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출력 음향의 취약성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인접하여 고정 부착된다는 배치 구조 상의 문제점에 기인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스피커(20, 20')는 전방을 향하는 지향성을 갖도록 인클로저(17)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20, 20')로부터 재생된 음향의 대부분은 전면(12) 방향의 지향성을 가지고 시청 공간에 방사(이하, 이를 '전면음'이라 함)된다. 그러나 스피커(20, 20')로부터 재생된 음향의 일부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 방향으로 방사(이하, 이를 '배면음'이라 함)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스피커(20, 20')로부터 방사된 배면음은 인클로저(17)를 거쳐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다가 반사되어 다시 전면 방향으로 방사되거나, 인클로저(17)와 연결된 임의의 통로(18)를 따라 이동하다가 배면(14)의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개구(開口) 혹은 별도의 목적을 가지고 마련된 개구(이하, 이를 '배면 음향 방출구(16, 16')'라 함)를 통해 배면(14) 외부로 빠져나가 인접벽면(19)에 반사된 후 다시 전면 방향으로 방사된다.
이때, 독립된 하나의 스피커로부터 방사된 전면음과 배면음은 일반적으로 그 위상이 180ㅀ차이가 나므로, 이들이 서로 합해질 경우 상쇄 간섭에 의하여 음향의 세기가 급격히 감소되는 음파(sound wave)의 간섭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일정한 주파수 대역의 음파가 막힌 공간에 입사될 때 음파의 공간 주기(즉, 주파수)와 해당 공간의 길이 사이에 어떤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면, 공진에 의하여 음향의 세기가 급격히 증가하는 음파의 공진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음파의 간섭 현상 및 공진 현상은 음향의 감쇄 및 왜곡을 초래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며, 이는 도 1c를 통해 잘 나타나 있다. 도 1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고역의 음향 재생을 위한 고역 스피커(20a)와 중저역의 음향 재생을 위한 중저역 스피커(20b)가 별도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1c를 참조하면, 배면음 중 중저역 스피커(20b)로부터 방사된 중저역의 음향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 케이스 혹은 배면과 인접한 인접벽면(19)에 반사되어 전면 방향으로 진행할 때 그 음파의 진행 길이가 너무 짧아서, 전면음과 180ㅀ위상 차이를 가지고 합쳐지므로 상쇄 간섭에 의해 중저역의 음향은 상당히 감소된다. 이 중에서도 저역 음향의 감소는 중역 음향의 감소의 경우보다 큰 문제를 발생시킨다. 왜냐하면, 중역의 음향의 경우에는 저역 및 고역의 음향의 중간에 섞여 있어 음향 재생시 인간의 귀를 통해 민감히 그리고 명확히 인식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배면음 중 고역 스피커(20a)로부터 방사된 고역의 음향은 평판 디스플 레이 장치(10)와 인접벽면(19)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해 공진을 이루어서 그 세기가 지나치게 증폭된다. 또한 이때,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인접벽면(19)에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고정 수단(15)은 금속 재질로 제작됨이 일반적이므로, 배면음 중 특히 고역의 음향은 금속 재질의 고정 수단(15)에 의해 반사됨에 의해서도 왜곡이 발생한다.
상술한 결과,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지나치게 높은 고역과 낮은 중저역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전체적인 음향의 밸런스가 무너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밸런스가 맞지 않는 음향은 인간의 귀에 거칠게 혹은 매우 거슬리게 들리므로, 이는 시청자들에게 상당한 피곤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제까지 설명한 출력 음향의 취약성을 초래하는 요인 중 첫번째 요인은 저역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보다 컴팩트하게 제작된 스피커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시키거나, 저역 특성을 보강시킬 수 있는 음향 보조 장치를 별도로 내장시키는 방법으로 개선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저역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컴팩트하게 제작된 스피커는 고가여서, 이를 채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향 보조 장치를 별도 내장시키는 방법 역시 가격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 추세에도 반한다. 더욱이, 위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서는 상술한 두번째 요인의 해결은 기대할 수 없다.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음향의 취약성을 초래하는 요인 중 두번째 요인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고정 부착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배치 구조상의 문 제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두번째 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중저역의 음향을 보강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음향 출력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비시키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음향 출력 시스템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음향 장치를 근접 거리의 벽면 혹은 바닥면에 배치시키던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시청자가 외부 음향 장치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으며, 좁은 공간에도 높은 공간적 활용도를 갖는다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점을 반감시킴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수한 음향 밸런스를 갖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외측에 음향 공진기를 단순 구비시킨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개선된 음향 출력 특성의 구현이 가능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개선된 음향 출력 특성을 구현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공간적 활용도를 가지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벽걸이 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및 일면에 개방 영역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개방 영역을 갖는 면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외측에 밀착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개방 영역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공진을 유도하는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및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갖고,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와 일체로 제작되며,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와 면접하는 면에 개방 영역을 가져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개방 영역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공진을 유도하는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방향으로 방사된 배면음에 공진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면, 우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공진기에는 상기 공진이 유도된 음향의 방출을 위한 개구가 더 형성되되, 상기 개구는 상기 개방 영역을 갖는 면에 대향되는 면을 제외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육면 박스 형상을 갖되, 상기 개구는 상기 개방 영역을 갖는 면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 음향 공진기의 좌면, 우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상기 개방 영역을 갖는 면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 음향 공진기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될 벽 간의 이격 간격보다 길게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에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공간을 경유한 음향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개방 영역이 상기 방출구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 위치를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스피커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도 상기 스피커별로 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독립된 음향 채널로서 기능하는 2개 이상의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도 상기 스피커별로 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및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외측에 부착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개방단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공진을 유도하는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및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와 일체로 제작되며,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파이프 형상을 가져,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개방단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공진을 유도하는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방향으로 방사된 배면음에 공진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면, 우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간의 길이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될 벽 간의 이격 간격보다 길게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개방단과 상기 스피커의 장착 위치가 최대한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에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공간을 경유한 음향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개방단과 상기 방출구가 최대한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 위치를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스피커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도 상기 스피커별로 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독립된 음향 채널로서 기능하는 2개 이상의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도 상기 스피커별로 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음향 밸런스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개선된 음향 출력 특성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공간적 활용도를 가지며, 제작 비용면에서도 저렴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명세서를 통해, 음향이 "어느 일 방향으로 방사된다" 라고 언급된 때에는, 음향이 처음부터 그 해당 방향을 향해 직접 방사될 수도 있지만, 타 방향을 향해 방사되다가 그 경로 상에 위치한 임의의 물체에 의해 반사됨에 의해 그 해당 방향을 향해 방사될 수도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본래 구비하고 있는 음향 시스템 혹은 음향 장치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본래 구비하고 있는 음향 장치에 더불어, 음향 공진기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외측에 구비시키는데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음향 장치는 앞서 설명한 도 1a 및 도 1b의 경우 또는 일반적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박스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전체를 위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b는 도 2의 음향 출력 시스템에 이용된 박스 형상의 음향 공진기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내장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20, 20')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에 부착되는 음향 공진기(30, 3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a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스피커(20)와 제2 스피커(20')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12)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분리 구비된 2채널 음향 시스템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때, 제1 스피커(20) 및 제2 스피커(20')는 각각 고역 음향의 재생을 위한 고역 스피커 서브 유닛(20a, 20a'), 저역 음향의 재생을 위한 저역 스피커 서브 유닛(20b, 20b') 및 중역 음향의 재생을 위한 중역 스피커 서브 유닛(20c, 20c')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가 2채널 음향 시스템을 갖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음향 공진기(30, 30')도 제1 스피커(20)와 제2 스피커(20')의 장착 위치에 대응되는 배면(14) 특정 부분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음향 공진기의 구비 개수, 부착 위치는 이와 달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도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음향 공진기(30, 30')의 형상, 기능, 부착 위치, 구비 개수 등과 관련된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음향 공진기(30, 30')는 박스(box) 형상을 갖는다. 도 2 내지 도 3b에서 음향 공진기(30, 30')는 직육면체인 박스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단순히 육면을 갖는 박스 형상을 갖거나, 육면보다 보다 많거나 혹은 작은 면수를 갖는 다면 박스 형상, 구면(球面) 혹은 원통형 박스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대향되는 어느 2개의 면이 동일 면적을 갖지 않아도 무방하다. 음향 공진기(30, 30')가 본 발명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즉, 음향의 공진 유도 기능)에 관해 이하 후술할 내용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겠지만, 음향의 공진 유도를 위해 음향 공진기(30, 30')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2가지의 제한 요소가 존재한다. 한가지는, 음향 공진기(30, 30')의 길 이 측면에서의 제한 요소로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12)을 기준하여 볼 때, 음향 공진기(30, 30')의 가로 방향의 길이(도 3b의'X'참조)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도 3b의'Y'참조)는 적어도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과 그 인접벽면(19) 간의 이격 간격보다 길게 제작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음향 공진기(30, 30')는 배면음(배면음 중에서도 특히 저역 음향)의 공진을 유도하여 전체 음향의 밸런스가 양호히 유지, 개선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음향 공진기(30, 30')의 내부를 통해 저역 혹는 중역 음향에 공진이 유도될 수 있는 적정 공간, 길이가 확보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한가지는, 음향 공진기(30, 30')의 폭(두께) 측면에서의 제한 요소로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12)을 기준하여 볼 때, 음향 공진기(30, 30')의 폭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과 그 인접벽면(19) 간의 이격 간격보다 작게(최대로 동일하게) 제작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은 음향 공진기(30, 30')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과 인접벽면(19) 간의 이격 간격 사이의 빈공간에 배치시킴으로써,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관을 훼손시키지 않는 한도 내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다른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향 공진기(30, 30')가 도 2 내지 도 3b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면의 면적이 동일하며, 세로 방향의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음향 공진기(30, 30')는 어느 일면이 개방면(도 3b의 식별번호 31번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음향 공진기(30, 30')의 어느 일면이 개방면(31)으로 구성되는 이 유는 다음과 같다. 음향 공진기(30, 30')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에 부착됨으로써, 스피커(20, 20')로부터 배면(14) 방향으로 방사된 배면음을 입력받아 그 배면음에 공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에 면접하게 될 음향 공진기(30, 30')의 어느 일면은 배면음의 집음에 문제가 없도록 막힌면이 아닌 개방면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때, 그 어느 일면의 전면(全面)이 개방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그 일부분(일부 영역)만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갖더라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즉, 도 3b에서는 박스 형상을 갖는 음향 공진기(30)의 일면이 완전히 개방된 개방면(31)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그 일면의 일부분에 소정의 개방 영역이 형성된 형태를 취하더라도 배면음을 집음하는데는 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3b에서와 같이 음향 공진기(30)의 일면이 전면(全面) 개방된 개방면(31)으로 형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음향 공진기(30, 30')의 개방면(31)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에 완전히 밀착될 필요가 있다.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음향 공진기(30, 30')의 내부 공간으로 입력된 배면음이 공진되기 전에 음향 공진기(30, 30')의 외부로 유출되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음향 공진기(30, 30')의 개방면(31)(정확하게는 개방면(31)의 각 변(edge))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이 갖는 윤곽에 반대되는 굴곡을 가질 필요도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도시된 모든 도면에서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이 평탄(flat)한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실제로는 굴곡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음향 공진기(30, 30')를 이용한 배면음의 공진 유도 원리를 고역, 중역, 저역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향 공진기(30, 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대략적으로도 2배 이상 긴 직육면의 박스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배면음 중 고역의 음향은 음향 공진기(30)의 폭 방향(도 3b의 Z 참조)에서 공진이 유도될 수 있다. 음향 공진기(30)의 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과 인접벽면(19) 간의 이격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므로, 고역 음향의 공진에 알맞은 짧은 공간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역 음향은 공진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그 공진된 고역 음향이 음향 공진기(3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다. 왜냐하면, 음파는 종파에 해당하므로, 음향 공진기(30)의 좌면과 하면에 각각 하나씩의 개구(開口)(41, 42)가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고역 음향의 공진 방향과 개구(41, 42)가 직각을 이루고 있어 공진된 고역 음향은 개구(41, 42)를 통해 음향 공진기(3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공진된 고역 음향은 음향 공진기(30) 내에서 결국 소멸되어 버린다.
다음으로, 배면음 중 저역의 음향은 음향 공진기(30)의 세로 방향(도 3b의 Y 참조)에서 공진이 유도될 수 있다. 이는 음향 공진기(30)의 세로 길이가 저역 음향의 공진에 알맞은 긴 공간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종래의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저역음의 공진, 증폭을 위해 배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호른(horn) 형상의 음향 튜브를 이용하던 것과 유사한 원리에 있는 것이다. 공진된 저역 음향은 음향 공진기(30)에 형성된 하면 개구(4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왜냐하면, 공진된 저역 음향의 공진 방향과 하면 개구(42)의 위치가 평행하게 놓였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하게, 배면음 중 중역의 음향은 음향 공진기(30)의 가로 방향(도 3b의 X 참조)에서 공진이 유도되고, 공진된 중역 음향은 음향 공진기(30)에 형성된 좌면 개구(4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음향 공진기(30, 30')는 배면음 중 고역의 공진은 그 내부에서 소멸시키고, 중역 및 저역의 공진은 그 외부(즉, 다시 전면 방향으로)로 방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에 부착시킨 음향 공진기(30, 30')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에서 문제되던 고역의 공진에 의한 고역 음향의 지나친 증폭, 왜곡 문제, 중저역의 상쇄 간섭에 의한 중저역 음향의 급감소 문제를 해결하여, 전체 출력 음향의 밸런스를 양호히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3b에서는, 공진된 중역 또는 저역 음향의 방출을 위한 개구(41, 42, 43, 44)가 음향 공진기(30, 30')의 좌면 및 우면 중 어느 하나의 면,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함은 물론이다. 음향 공진기(30, 30')의 좌면 및 우면의 모두, 상면 및 하면의 모두에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한면에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좌면, 우면, 상면, 하면을 전부 통틀어 단 하나의 개구만이 형성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저역 음향의 개선 필요성이 더욱 크다면 도 3b의 형상을 갖는 음향 공진기(30)에서 하면 또는/및 상면에 형성될 개구의 수를 더 늘리고, 중역 음향의 개선은 크게 필요하지 않다면 좌면 및 우면에 개구를 전혀 형성시키지 않아도 무방함이 그것이다.
한가지, 도 2에서 좌측 음향 공진기(30)의 경우에는 개구를 좌면 및 하면에, 우측 음향 공진기(30')의 경우에는 개구를 우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시키고 있는 이유는, 개구를 통해 방출되는 음향에 지향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이는 음향 출력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스피커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의 좌측과 우측에 별도로 분리하여 배치시킴과 유사하다. 즉, 개구를 적절히 선택 위치시킴으로써, 전면 좌우의 2채널을 갖는 음향 출력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채널 방식(예를 들어, 2.1 채널, 5.1 채널)을 채용하는 음향 출력 시스템에서와 유사한 원리로서 다소간의 음향 지향성의 확보를 기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음향 공진기(30, 30') 내에서 공진된 고역 음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개구는 적어도 음향 공진기(30, 30')의 개방면(31)과 마주보는 면에는 형성되지 않아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외에는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개구는 음향 공진기(30, 30')에 반드시 1개 이상 구비될 필요가 있는 것도 아니다. 음향 공진기(30, 30')에 개구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고역의 공진에 따른 고역 음향의 지나친 증폭, 왜곡 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것만에 의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음향 밸런스 유지는 기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음향 공진기의 형상 및 기능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는 바, 다음으로는 음향 공진기의 부착 위치, 구비 개수에 관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음향 공진기의 부착 위치, 구비 개수의 문제는 음향 출력 시스템의 개선시 그 효율을 고려하여 설계자가 선택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음향 공진기는 스피커로부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방향으로 방사된 배면음의 집음에 가장 효율적인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음향이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 또는 개구가 존재하는 경우, 그러한 방출구를 완전히 에워쌀 수 있도록(물론, 그 방출구의 일부만을 에워싸도록 부착되어도 무방하지만) 음향 공진기를 부착시킴이 바로 그것이다. 혹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음향 공진기를 부착함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 혹은 굴곡이 존재한다든지 하는 문제로, 음향 공진기와 배면 간의 밀착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배면음 집음에 최선인 위치는 아니더라도 차선의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음이 또한 그것이다.
음향 공진기의 구비 개수의 선택의 문제도 위의 설명 내용에서와 대동소이하다. 하나의 음향 공진기만으로도 의도하는 음향 개선이 가능하다면, 비용의 문제를 고려하여 더이상의 음향 공진기를 둘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하나의 음향 공진기만으로도 음향 개선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2개 이상의 스피커가 장착 위치를 달리하는 경우(특히, 도 2에서와 같이 고정 수단(15)을 사이에 두고 장착되고 있어 음향 공진기 한개만으로는 모두 커버되지 않는 경우 등) 또는 2개 이상의 스피커가 독립된 음향 채널로서 기능하고 있어 음향 공진기도 이에 따라 별도 구비시킴이 보다 적합한 경우 등에는 위와는 다른 선택이 필요할 것임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전체를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내장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20, 20')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에 부착되는 음향 공진기(30, 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b에서와 중복될 수 있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이점(특히, 음향 공진기의 형상, 음향 특성 개선 원리)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음향 공진기(30)는 긴 파이프(pipe) 형상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에서 음향 공진기(30)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 외측 간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그 부착면은 평면으로 제작되고, 다른 면은 그 단면(斷面)이 반원 형상을 가지며, 그 단면의 직경이 길이 방향으로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앞선 실시예를 통해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파이프형 음향 공진기는 그 단면(斷面)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직경도 길이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형태, 부분마다 다른 직경을 갖는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도, 앞선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2가지의 제한 요소가 존재한다. 한가지는, 음향 공진기(30)의 길이 측면에서의 제한 요소로서, 음향 공진기(30)의 일단과 타단 간의 길이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과 그 인접벽면(19) 간의 이격 간격보다 길게 제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한가지는, 음향 공진기(30)의 폭(혹은 단면(斷面)의 직경) 측면에서의 제한 요소로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을 기준하여 볼 때, 음향 공진기(30)의 폭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과 그 인접벽면(19) 간의 이격 간격보다 작게(최대로 동일하게) 제작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물론, 음향 공진기(30)의 폭 방향(직경 방향)의 면에는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야 함을 또한 전제로 한다. 이는 후술할 공진 원리에 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겠지만, 음향 공진기(30)의 폭 방향에서 공진이 유도된 고역 음향은 음향 공진기(30)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음향 공진기(30)는 일단(도 4 및 도 5의 식별번호 32 참조, 이하 이를'개방단(32)'이라 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음향 공진기(30)가 스피커(20, 20')로부터 배면(14) 방향으로 방사된 배면음을 입력받아 배면음에 공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은 막혀 있어 음향 공진기(30) 내부로 입력된 배면음을 반사시키고, 다른 한쪽은 뚫려 있어 배면음의 입출력이 가능토록 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공진기(30)의 개방단(32)은 공진 전 배면음을 입력받는 입구 및 공진 후 배면음을 출력하는 출구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음향 공진기(30)에 의한 배면음의 공진 원리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대동소이하다. 먼저, 배면음 중 고역의 음향은 음향 공진기(30)의 폭 방향에서 공진이 유도될 수 있지만, 그 공진 방향과 개방단(32) 간이 직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공진된 고역 음향이 개방단(32)을 음향 공진기(3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없고 결국 음향 공진기(30) 내에서 소멸되어 버린다. 이에 반하여, 배면음 중 중역 또는 저역의 음향은 음향 공진기(30)의 길이 방향에서 공진이 유도될 수 있으며, 공진된 중저역 음향은 음향 공진기(30)의 개방단(3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음향 공진기(30)는 종래의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에서 문제되던 고역의 공진에 의한 고역 음향의 지나친 증폭, 왜곡 문제, 중저역의 상쇄 간섭에 의한 중저역 음향의 급감소 문제를 해결하여, 전체 출력 음향의 밸런스를 양호히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30)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대략 2가지의 차이점을 갖는다. 첫번째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총 2개의 길이 방향(즉,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을 가져 그 2개의 길이 방향을 각각 달리 조절함을 통해 중역 및 저역의 음향 공진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30)는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단 1개의 길이 방향만을 가져 그 길이에 따라 중역 및 저역 중 어느 하나만 공진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자가 중역 및 저역의 공진을 둘다 유도하기 위해서는 길이를 달리하는 음향 공 진기(30)를 2개 구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다만, 중역 음향에 관한 시청자의 개선 요구는 저역 음향에 관한 개선 요구에 비해 그리 크지 않으므로, 이것이 두 실시예 간의 음향 개선 효과에 큰 차이를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 4 및 도 5의 경우에는 저역 음향의 재생을 담당하는 저역 스피커 서브 유닛(20b')의 장착 위치에 대응되는 배면(14)의 하측에만 음향 공진기(30)를 부착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일면(즉, 개방면)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되므로, 부착 위치를 적절히 잘 선택하는 경우에는 배면음의 상당 부분을 강제적으로 음향 공진기 내부 공간으로 집음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30)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 방향으로 방사된 배면음 중에서 그 방사 방향이 음향 공진기(30)의 개방단(32)과 일치하는 방향을 갖는 것만이 음향 공진기(30) 내부로 입력된다. 즉, 두 실시예 간을 비교할 때, 집음 효율의 측면에서는 앞선 실시예의 경우가 보다 우수한 효율을 가질 것이라는 것이 쉽게 예측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음향 공진기(30)의 부착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앞선 실시예의 경우에서보다 중요할 수 있다. 또한, 집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음향 공진기(30)를 여러개 구비시킬 필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보다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음향 공진기(30)의 부착 위치, 구비 개수 등의 문제 역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음향 개선 효율을 고려하여 설계자가 선택할 사항임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음 특성 등을 고려할 때, 음향 공진기(30)는 배면음의 집음에 유리하도록 개방단(32)과 스피커의 장착 위치가 최대한 인접하도록 부착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음향이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 또는 개구가 존재하는 경우, 음향 공진기(30)는 개방단(32)과 방출구가 최대한 인접하도록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음향 공진기(30)의 구비 개수의 선택의 문제도 앞선 설명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음향 공진기(30)만으로도 의도하는 음향 개선이 가능하다면, 비용의 문제를 고려하여 더이상의 음향 공진기(30)를 둘 필요가 없겠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의 음향 공진기(30)만으로 충분한 음향 개선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복수개의 음향 공진기(30)를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박스 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을 갖도록"별도 제작된"음향 공진기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배면"에"부착"됨으로써 스피커로부터 방사된 음향 중 "배면음"에 공진을 유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더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이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 도 6 내지 도 8의 설명에서도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중복될 수 있는 부분(즉, 음향 공진기의 형상, 공진 원리, 구비 개수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며, 앞선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파이프형 음향 공진기(30, 30')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14)이 아닌 좌면 및 우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파이프형 음향 공진기(30)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면에 구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형 음향 공진기(30, 30')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면, 우면, 상면,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부착시키게 되면, 스피커로부터 방사된 음향 중 배면음은 물론 측면음과 전면음까지도 개방단(32, 32')을 통해 입력받아 공진을 유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도 6 및 도 7의 경우에는 음향 공진기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면 및 우면 그리고 하면에 위치시키고 있어, 음향 공진기(30, 30')의 개방단(32, 32')으로 향하는 음향(전면음, 측면음, 배면음 각각의 일부)을 모두 입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음향 공진기의 개방단으로 입력되어 공진이 유도된 음향 중 고역의 음향은 음향 공진기의 외부로 방출되지 못해 그 내부에서 소멸되고, 중역 혹은 저 역의 음향은 음향 공진기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어, 중역 혹은 저역의 음향이 개선된다는 원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이와 같이 음향 공진기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이 아닌 면에 구비시키는 경우에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와는 달리, 그 음향 공진기의 폭(직경) 방향의 길이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음향 공진기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배치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그 배면과 인접벽면 간의 이격 간격에 따른 폭 제한이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외의 부분에 관한 내용은 본질적으로 앞선 두 실시예에서와 동일히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파이프형 음향 공진기(30)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되고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7의 경우에는 파이프 형상 또는 박스 형상을 갖는 음향 공진기를 별도로 제작한 후,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외측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경우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제작시 특정 형상을 갖는 음향 공진기도 일체로(함께) 제작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도 8에서는 음향 공진기가 파이프 형상을 갖는 경우를 특히 예시하고 있지만, 음향 공진기는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이는 도 6 및 도 7에서도 동일함). 다만, 음향 공진기가 박스 형상으로 일체 제작되는 경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와 직접 면접하는 면에는 개방 영역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음향의 공진 유도를 위해서는 스피커로부터 방사된 음향이 박스형 음향 공진기의 내부 공간으로 입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일면에 개방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8에서는 음향 공진기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제작시 그 배면에 일체로 제작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지만,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면, 우면, 상면 또는 하면에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경우에도, 부착함에 의하지 않고 케이스 제작시 일체로 함께 제작된다는 특징 이외에는 본질적으로 앞선 설명한 다른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원리, 특징을 공유할 것임은 굳이 세세히 설명치 않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시스템에 의한 음향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 얻어진 가청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분광사진(spectrograph)를 종래 기술의 경우와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 관한 구체적 설명에 앞서, 실험 조건에 대해 먼저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42인치 LCD TV이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부착한 음향 공진기는 PVC 소재의 수도관 파이프로서, 그 길이가 110cm이고 그 직경이 4cm를 갖도록 하였다. 이때, 파이프의 좌측단은 완전히 폐쇄시키고, 우측단은 완전히 개방시킨 후, TV의 배면의 하단부에 부착 고정시켰다.
이후, 벽걸이 TV에 핑크 노이즈(pink noise)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벽걸이 TV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마이크로 잡아서 이를 다시 컴퓨터에 입력시켜, 그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여 주파수 분석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FFT를 이용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관찰하면 그 값들이 시간에 따라 매우 빨리 변하므로, 음향 공진기가 설치되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주파수 신호의 분광사진(spectrograph)을 이용하여 벽걸이 TV의 음향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분광사진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되고 있다.
여기서, 도 9a의 좌측은 종래 기술에 따라 벽걸이 TV에 음향 공진기를 부착하지 않았을 때의 분광사진(도 9a의 식별번호 100 참조)을, 우측은 본원 발명의 앞선 실험 조건에 따라 벽걸이 TV에 음향 공진기가 부착되었을 때의 분광사진(도 9a의 식별번호 200 참조)을 보여주고 있다. 분광사진의 수평축은 20Hz ~ 20KHz의 가청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분광사진에서 서로 다른 색깔은 해당 주파수 성분에서의 서로 다른 세기(진폭)을 나타낸다. 즉, 어떤 주파수 성분의 세기가 0으로부터 점점 증가한다면 그 색깔은 검정 - 짙은 파랑 - 옅은 파랑 ­ 녹색 ­ 노랑 - 빨강 색으로 순차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분광사진에서 어느 하나의 수평선을 그었을 때, 해당 수평선 위에 나타나는 색깔은 해당 시간에 주파수 성분의 세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주게 된다.
도 9b는 도 9a의 분광사진을 주파수 대역 별로 잘라서 표시한 것이다. 도 9b의 첫번째는 그 주파수 대역이 0 ~ 400Hz인 저역 영역에서의 분광사진으로서, 여기서 좌측은 음향 공진기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도 9b의 식별번호 110 참조)를, 우측 은 앞선 실험 조건에 따라 음향 공진기가 부착되었을 경우(도 9b의 식별번호 210)를 나타낸다. 이후, 두번째는 그 주파수 대역이 2KHz ~ 3KHz인 영역(도 9b의 식별번호 120 및 220 참조), 세번째는 3KHz ~ 4KHz인 영역(도 9b의 식별번호 130 및 230 참조), 네번째는 4KHz ~ 5KHz인 영역(도 9b의 식별번호 140 및 240을 참조)에서의 분광사진을 음향 공진기의 부착 유무에 따라 비교해놓은 것이다.
도 9b의 첫번째 분광사진을 살펴보면, 벽걸이 TV에 종래 기술의 경우인 좌측 사진의 경우, 저역 영역이 매우 불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빨강색으로 표시된 매우 강한 세기의 저역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노랑색 및 녹색도 수시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시간에 따라서 주파수 성분의 세기가 급격히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벽걸이 TV에 음향 공진기를 부착한 경우인 우측 사진의 경우, 좌측 사진의 경우에서 보다 색상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고 있다. 이는 저역 대역 전체를 통해서 주파수 성분의 세기가 대략적으로 균일한 값을 안정되게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빨강색이 보다 많은 비율을 가지고 분포되고 있다는 것은 종래 기술의 경우에 비해 저역 영역의 음향이 상대적으로 충실하다는 것을 확인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 9b의 두번째, 세번째 및 네번째 분광사진의 경우에는 음향 공진기의 부착 유무에 따른 차이가 매우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실험에 사용된 측정 장비의 민감도가 충분하지 않아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된다.
다만, 실제로 청음 실험을 하여 보면, 본 실험의 실험 결과로서도 명백히 확인되듯이 저역 음향이 상당히 많이 보강되어 전체적인 음향 밸런스가 개선되어진 이유로, 고역이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들리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의 귀에 매우 편안하게 느껴지는 음향은 저역과 고역 간의 음향 밸런스가 잘 맞을 때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박스 형상 혹은 파이프 형상의 음향 공진기를 간단히 부착시키는 것만으로도, 중역, 특히 저역의 음향 특성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해져, 출력 음향에서의 음향 밸런스를 양호히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b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 방향에서 투영하여 바라봤을 때의 스피커의 위치 및 스피커로부터 음향이 방사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음향 밸런스가 유지되기 어려웠던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박스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영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전체를 위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3b는 도 2의 음향 출력 시스템에 이용된 박스 형상의 음향 공진기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영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전체를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영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영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형상의 음향 공진기가 구비된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시스템에 의한 음향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제 실험을 통해 얻어진 가청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분광사진(spectrograph)를 종래 기술의 경우와 비교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5 : 고정 수단
17 : 인클로저 19 : 인접벽면
20 : 스피커 30 : 음향 공진기

Claims (19)

  1.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및
    일면에 개방 영역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개방 영역을 갖는 면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외측에 밀착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개방 영역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공진을 유도하는 음향 공진기
    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2.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및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갖고,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와 일체로 제작되며,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와 면접하는 면에 개방 영역을 가져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개방 영역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공진을 유도하는 음향 공진기
    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방향으로 방사된 배면음에 공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면, 우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에는 상기 공진이 유도된 음향의 방출을 위한 개구가 더 형성되되, 상기 개구는 상기 개방 영역을 갖는 면에 대향되는 면을 제외한 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육면 박스 형상을 갖되, 상기 개구는 상기 개방 영역을 갖는 면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 음향 공진기의 좌면, 우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상기 개방 영역을 갖는 면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 음향 공진기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될 벽 간의 이격 간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에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공간을 경유한 음향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개방 영역이 상기 방출구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 위치를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스피커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도 상기 스피커별로 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독립된 음향 채널로서 기능하는 2개 이상의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도 상기 스피커별로 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1.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및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외측에 부착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개방단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공진을 유도하는 음향 공진기
    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2.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및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와 일체로 제작되며,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파이프 형상을 가져,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개방단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공진을 유도하는 음향 공진기
    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방향으로 방사된 배면음에 공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4. 제11항 또는 제12항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면, 우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간의 길이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될 벽 간의 이격 간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개방단과 상기 스피커의 장착 위치가 최대한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7.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에 상기 스피커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공간을 경유한 음향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개방단과 상기 방출구가 최대한 인접하도 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 위치를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스피커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도 상기 스피커별로 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독립된 음향 채널로서 기능하는 2개 이상의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도 상기 스피커별로 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KR1020080005160A 2008-01-17 2008-01-17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KR10092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60A KR100929020B1 (ko) 2008-01-17 2008-01-17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US12/354,597 US8238598B2 (en) 2008-01-17 2009-01-15 Sound system of wall mounte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60A KR100929020B1 (ko) 2008-01-17 2008-01-17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292A true KR20090079292A (ko) 2009-07-22
KR100929020B1 KR100929020B1 (ko) 2009-11-26

Family

ID=4093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160A KR100929020B1 (ko) 2008-01-17 2008-01-17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38598B2 (ko)
KR (1) KR1009290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582A1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845877B2 (en) 2015-04-27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localized vibration field, and method of disposing exciters
US11149928B2 (en) 2019-12-02 2021-10-19 Sl Corporation Lamp with connection terminal and coupling memb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410B1 (ko) * 2009-07-07 2012-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Tv 설치타입에 기초한 자동 환경 설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tv
US8270652B2 (en) 2010-11-29 2012-09-18 Metra Electronics, Corp. Integrated television mount and audio system
CA2916731C (en) 2011-02-17 2020-03-24 Millson Custom Solutions Inc. Mounting apparatus for an audio/video system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BE1019938A3 (nl) * 2012-03-09 2013-02-05 Tait Technologies Bvba Systeem voor videoweergave.
EP2974357A4 (en) * 2013-03-14 2016-11-09 Soundwall Llc DECORATIVE FLAT SCREEN AUDIO SYSTEM
AU2014384165A1 (en) * 2014-02-26 2016-08-11 Re Mago Holding Ltd Computerized furniture piece and relative multimedia system
US11017757B2 (en) * 2016-06-30 2021-05-25 777388 Ontario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sound masking device in a hotel room
US10019977B2 (en) * 2016-06-30 2018-07-10 777388 Ontario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sound masking device in a hotel room
WO2018206090A1 (en) * 2017-05-09 2018-11-15 Arcelik Anonim Sirketi System for bass audio compensation using mechanical mea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05981D0 (en) * 1997-03-22 1997-05-07 New Transducers Ltd Personal computers
JPH1098793A (ja) 1996-09-20 1998-04-14 Fujitsu General Ltd 表示モニタ用スピーカーボックス
JP3512714B2 (ja) * 2000-07-03 2004-03-31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2341967A (ja) * 2001-05-15 2002-11-29 Toshiba Corp 携帯形電子機器
US7164576B2 (en) * 2004-05-06 2007-01-16 Creative Technology Ltd Multimedia speaker with integrated stand
KR100785081B1 (ko) * 2006-01-25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디스플레이장치
JP2007208734A (ja) * 2006-02-02 2007-08-16 Sony Corp スピーカ装置および音声出力方法
KR101340704B1 (ko) * 2007-01-02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를 위한 스피커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5877B2 (en) 2015-04-27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localized vibration field, and method of disposing exciters
WO2019151582A1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412323B2 (en) 2018-01-31 2022-08-0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1149928B2 (en) 2019-12-02 2021-10-19 Sl Corporation Lamp with connection terminal and coupling memb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6455A1 (en) 2009-08-06
KR100929020B1 (ko) 2009-11-26
US8238598B2 (en)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020B1 (ko) 벽걸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시스템
KR1026471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282553B1 (en) Bass sound amplifying enclosure, woofer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woofer
US7298862B2 (en) Asymmetrical loudspeaker enclosures with enhanced low frequency response
US20120033826A1 (en) Speaker system and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US11647323B2 (en) Loudspeaker
US6625292B2 (en) Ported loudspeaker enclosure
KR20090040330A (ko) 트위터 어레이를 구비한 라우드스피커 시스템 및 라우드스피커
US20010031061A1 (en) Speaker apparatus with dual compartment enclosure and internal passive radiator
JP2010504655A5 (ko)
WO2017186311A1 (en) Bass reflex tube for a loudspeaker
US20070206828A1 (en) Distributed acoustic cabinet
WO2020236378A1 (en) Loudspeakers
JP2008131541A (ja) スピーカ装置
JPH02122796A (ja) スピーカ装置
JP4724812B2 (ja) スピーカ装置およびスピーカ筐体
CN112788492B (zh) 显示装置及扬声器组件
KR100732167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영상기기
KR102564275B1 (ko)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JP3957281B2 (ja) スピーカを備えた置き台
JP2000308175A (ja) メカニカルフィルタおよびテレビジョンセット
JPH07177443A (ja) テレビジョンセットのスピーカシステム
JP3167758U (ja) スピーカーボックス
JPH03106298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JP7212264B2 (ja) ディフューザー、および、これを備えるスピーカー、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