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117A - 렌지후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지후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117A
KR20090079117A KR1020080005093A KR20080005093A KR20090079117A KR 20090079117 A KR20090079117 A KR 20090079117A KR 1020080005093 A KR1020080005093 A KR 1020080005093A KR 20080005093 A KR20080005093 A KR 20080005093A KR 20090079117 A KR20090079117 A KR 20090079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kitchen
suction
intake duct
hoo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802B1 (ko
Inventor
류지영
Original Assignee
류지영
류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영, 류성석 filed Critical 류지영
Priority to KR102008000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8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지후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조리대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나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주방의 천장측에서도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렌지후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렌지후드 조립체는 주방의 조리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며 조리대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 및 증기를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호퍼를 통해 흡입하여 본체와 연결된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유니트와, 본체 또는 배기덕트에 연결되어 주방의 천장 측에 머무는 냄새 및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보조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렌지후드 조립체에 의하면 보조흡입수단을 이용하여 조리대의 주변으로 확산되어 주방의 천장 측에 머무는 오염된 공기까지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렌지후드, 가스렌지, 배기, 주방환기, 바이메탈

Description

렌지후드 조립체{Hood assembly of range}
본 발명은 렌지후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조리대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나 증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주방의 천장측에서도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렌지후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층 주거시설(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등)에서 커튼월과 같이 기밀도가 놓은 외벽과 창의 개방이 최소화되는 창호로 설계되면서 자연 통풍 방식의 문제점으로 환기의 불합리 및 비제어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밀폐된 상태에서의 실내공기질(Indoor Air Quality)에 대한 법적기준이 마련되는 한편, 강제적 제어를 통한 실내 환기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주거시설에서 주방은 오염된 공기가 주로 발생하는 장소로서 조리시에 발생하는 냄새 및 열 등으로 오염된 공기가 실내의 주거 공간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원활히 배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주방에는 조리기구용 가스렌지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경 우,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물 또는 기름 증기, 연소기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열 등이 배출된다.
특히, 호텔이나 레스토랑, 튀김요리, 꼬치요리, 특히 유지(油脂)를 포함한 증기나 진애(塵埃)를 갖는 배기풍이 발생하는 음식점 등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배기풍이 발생되므로 가스렌지의 상부에는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각종 음식냄새나 연기 등을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렌지후드 조립체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렌지후드 조립체는 옥외로 설치되는 배기덕트와 연결되며 하방으로 확개된 후드하우징과, 후드 하우징과 배기덕트 사이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후드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기풍으로부터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한다.
하지만, 종래의 렌지후드는 단지 하부면의 흡입측에 위치한 고정설치된 필터만이 조리시에 발생하는 각종 음식냄새나 증기 등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면적으로 사용되므로 흡입면적이 비교적 작아서 효과적으로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흡입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장치를 부가한 렌지후드가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180563호에는 전면로딩 덮개 렌지후드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 실용신안 제 20-0303019에는 렌지후드 반자동 인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흡입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렌지후드를 이용하더라도 조리시 렌지후드 조립체의 하부에 위치한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열을 모두 흡입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때 흡입되지 않은 냄새나 열은 상승하여 주방의 천장측으로 모여 주방의 환경이 쾌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거실이나 방으로 주방의 오염공기가 확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조리시 주방의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열을 조리대의 상부뿐만 아니라 주방의 천장 측에서도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주방의 천장에 머무는 오염된 공기를 배기시킴으로써 주방 및 실내 주거공간을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렌지후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렌지후드 조립체는 주방의 조리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대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 및 증기를 상기 본체의 하부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된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유니트와; 상기 본체 또는 배기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주방의 천장 측에 머무는 냄새 및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보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보조수단은 상기 본체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주방의 천장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송풍유니트의 흡입력에 의해 냄새 및 증기가 흡입되는 흡기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덕트는 냄새나 증기의 흡입을 가이드하기 위해 단부에 결합된 시라우드와, 상기 흡기덕트의 내부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흡기덕트 상에 설치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보조수단은 상기 본체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주방의 천장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흡기덕트와 흡입측이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보조송풍유니트와, 상기 보조송풍유니트의 배출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보조수단은 상기 배기덕트 또는 상기 본체의 흡입통로 상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주방의 천장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벤츄리효과에 의해 냄새나 증기가 흡입되는 흡기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송풍유니트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바이메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지후드 조립체에 의하면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를 통해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나 증기 등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한편 보조흡입수단을 이용하여 조리대의 주변으로 확산되어 주방의 천장 측에 머무는 오염된 공기까지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주방 환기시스템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렌지후드 조립체에 의해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오염된 공기가 실내의 주거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 드조립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지후드 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렌지후드 조립체가 주방에서 설치되어 환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렌지후드 조립체(10)는 크게 조리대(5)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20)와,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유니트(30)와, 본체(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유니트(40)와, 주방의 천장(7) 측에 머무는 냄새 및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보조수단(60)을 가진다.
본체(20)는 직사각형의 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본체(20)는 조리대(5) 상부에 위치한 주방의 벽면에 고정설치된다. 이와 달리 본체는 조리대 상부에 설치된 선반(미도시)에 빌트인(built in) 방식으로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20)의 형상은 도시된 직사각형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하방의 조리대(5)를 향하는 본체(20)의 하부에는 조리대(5)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의 냄새나 증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호퍼(21)가 마련된다. 본체(20)의 상면에는 흡입한 냄새 등이 배기 되는 배기구(23)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기구(23)가 형성된 본체(20)의 상면에는 배기덕트(50)가 연결되어 실외로 연장된다.
이때 본체(20)에 밀봉 결합되어 본체(20)의 내부로 흡입된 냄새 등이 실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구(23)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진 후드 커버(미도시)가 본체(20)의 상면에 장착되고, 후드커버의 상부에 배기덕트(50)가 연결되어 실외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20)의 하부 전면에는 렌지후드 조립체(1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들(25)이 설치되고 본체(20)의 저면에는 조명을 위한 조명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본체(20)의 내부공간에는 송풍유니트(30)가 설치된다. 송풍유니트(30)는 팬하우징(31)과, 팬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로코팬(33)과, 시로코팬(33)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34)로 이루어진다. 팬하우징(31)의 흡입측은 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된 호퍼(21)와 흡입관(35)에 의해 연결되어 냄새나 증기 등이 흡입되고, 팬하우징(31)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측은 본체의 배출구(23)에 연결된다. 송풍유니트(30)에서 연장되는 흡입관(35)은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소켓으로 연결되어 2개의 유로로 분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체(20)의 저면에는 필터유니트(40)가 설치된다. 필터 유니트(40)는 송풍유니트(30)로 유입되는 배기풍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망상의 필터와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비된다.
필터유니트(40)는 세척 또는 교환을 위해 본체(20)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 도록 설치된다. 이는 일측이 힌지 연결되거나 자석에 의해 본체(2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본체(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니트(40)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인 흡입보조수단(60)으로 본체(20)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주방의 천장(7)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송풍유니트(30)의 흡입력에 의해 냄새 및 증기가 흡입되는 흡기덕트(61)를 구비한다.
흡기덕트(61)가 연결되는 본체(20)의 상면에는 흡입구(27)가 형성된다. 이때 팬하우징(31)의 흡입측과 연결되는 흡입관(35)은 T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의 통로가 흡입구(27)와 연결되어 송풍유니트(30)의 흡입력이 흡기덕트(61)에도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흡기덕트(61)는 주방의 천장(7) 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며, 흡기덕트(61)의 상단에는 시라우드(65)가 구비된다.
흡기덕트(61)의 중간에는 흡기덕트(61)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밸브로는 버터플라이 밸브(90)를 이용한다. 버터플라이 밸브는 흡기덕트(61) 상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몸체(93)와, 몸체(93)의 내부에서 통로를 개폐하도록 회전가능한 원판형의 디스크(미도시)와, 몸체(93)의 외부에 장착되어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91)로 구성된다. 모터(90)는 본체(20)에 설치된 조작버튼에 의해 작동한다. 이외에도 수동식으로 모터 대신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해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시라우드(65) 형상은 흡기덕트(61)의 상단과 연결되는 하부보다 상부가 더 확장되는 구조로서 천장에 머무는 냄새나 증기가 흡기덕트(61)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시라우드(65)의 상단은 천장(7)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시라우드(65)의 개구가 천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외에도 시라우드(65)의 개구가 정면이나 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7) 면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는 흡기덕트(61)의 단부에 시라우드(65)가 설치되며, 시라우드(65)의 개구는 하부를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덕트(65)의 중간 중간에는 다수의 흡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천장(7)의 여러 위치에서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시라우드(65)의 내부 또는 흡기덕트(61)의 내부 통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10)의 작용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살펴본다.
주방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리대(5)에서 조리시 음식물의 냄새나 증기가 발생한다. 이 경우 본체(20)가 설치된 방향으로 수직상승하는 일부의 음식물 냄새나 증기는 본체(20)의 하부에 마련된 호퍼를 통해 흡입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호퍼를 통해 흡입되지 않고 조리대(5)의 주변으로 확산되어 상승하는 냄새나 증기는 주방의 천장(7) 측에 머무르게 된다. 이렇게 주방의 천장(7) 측에 머무는 오염된 공기는 흡기덕트(61)를 통해 흡입되어 실외로 배출됨으로써 주방을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주방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주방의 천장(7) 측을 따라 거실이나 방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는 본체(20)의 내부에 보조송풍유니트(35)를 더 구비한다. 보조송풍유니트(35)는 팬하우징(36)과, 팬하우징(36)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로코팬(37)과, 시로코팬(37)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38)로 이루어진다.
보조송풍유니트(35)의 흡입측은 흡입덕트(71)와 연결되고, 배출측은 연결관(73)을 통해 배기덕트(50)와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유니트(30)는 본체(20)의 하부의 흡입구(21)를 통해 음식물의 냄새나 증기를 흡입하고, 보조송풍유니트(35)는 흡기덕트(71)를 통해 주방의 천장 측에 머무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50)로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렌지후드 조립체는 보조송풍유니트(35)를 더 구비하여 본체(20)의 하부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유니트(30)의 흡입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서 흡기덕트(81)가 배기덕트(50)에 연결되는 렌지후드 조립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송풍유니트에 의해 배기덕트(50)의 내부에는 일정한 속도를 가지는 배기풍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흡기덕트(81)에는 부압이 발생하는 벤츄리 효과에 의해 흡기덕트(81)로 주방의 천장(7) 측에 머무는 오염된 공기가 흡입된다. 이외에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흡기덕트(81)는 호퍼의 일측에 연결되어 벤츄리효과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의 벤츄리 효과에 의해 송풍유니트의 흡입력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주방의 천장(7) 측에 머무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렌지후드 조립체에 적용되는 본체 에는 송풍유니트로 연결되는 전기회로 상에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바이메탈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이메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센서부(95)에 설치된다.
바이메탈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금속판이 상호 접합된 구조를 가져 열에 의해 전기회로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조리대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조리대의 상부의 공기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바이메탈이 휘어져 회로를 온시켜 전원이 송풍유니트의 전동모터에 공급되도록 하여 환기를 시킨다.
그리고 일정 온도 이하가 되면 다시 바이메탈은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회로를 오프시켜 송풍유니트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이러한 바이메탈을 설치함으로써 조리시 환기를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조작버튼을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송풍유니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이메탈 이외도 다양한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송풍유니트를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의 렌지후드 조립체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않은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지후드 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렌지후드 조립체가 주방에서 설치되어 환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 조립체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조리대 7: 천장
20: 본체 21: 흡입구
30: 송풍유니트 35: 보조송풍유니트
40: 필터유니트 50: 배기덕트
61: 흡기덕트 65: 시라우드
90: 버터플라이 밸브

Claims (6)

  1. 주방의 조리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대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 및 증기를 상기 본체의 하부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된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유니트와;
    상기 본체 또는 배기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주방의 천장 측에 머무는 냄새 및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보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보조수단은 상기 본체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주방의 천장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송풍유니트의 흡입력에 의해 냄새 및 증기가 흡입되는 흡기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는 냄새나 증기의 흡입을 가이드하기 위해 단부에 결합된 시라우드와, 상기 흡기덕트의 내부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흡기덕트 상에 설치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보조수단은 상기 본체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주방의 천장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흡기덕트와 흡입측이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보조송풍유니트와, 상기 보조송풍유니트의 배출측 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보조수단은 상기 배기덕트 또는 상기 본체의 흡입통로 상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주방의 천장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벤츄리효과에 의해 냄새나 증기가 흡입되는 흡기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송풍유니트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바이메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조립체.
KR1020080005093A 2008-01-16 2008-01-16 렌지후드 조립체 KR10094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093A KR100946802B1 (ko) 2008-01-16 2008-01-16 렌지후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093A KR100946802B1 (ko) 2008-01-16 2008-01-16 렌지후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117A true KR20090079117A (ko) 2009-07-21
KR100946802B1 KR100946802B1 (ko) 2010-03-12

Family

ID=4133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093A KR100946802B1 (ko) 2008-01-16 2008-01-16 렌지후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8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1476A (zh) * 2010-06-22 2010-11-1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吸油烟机的出风装置
CN103031944A (zh) * 2011-09-30 2013-04-10 张琦 一种排烟气结构
KR20210118539A (ko) * 2020-03-23 2021-10-01 나명환 침니형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KR20210118538A (ko) * 2020-03-23 2021-10-01 나명환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33B1 (ko) * 2014-03-05 2014-07-10 조예원 가스레인지용 후드
KR102159103B1 (ko) 2019-08-07 2020-09-23 윤영식 주방용 레인지 후드 시스템
KR20230090098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공기 혼합 배출 덕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8950A (en) 1981-05-19 1982-11-20 Matsushita Seiko Co Ltd Ventilator
KR20000017710A (ko) * 1999-07-24 2000-04-06 이성환 주방 환기설비 시스템
KR200248735Y1 (ko) 2001-07-07 2001-11-17 한일전기주식회사 상하부 배기구조를 가진 레인지 후드
KR100463679B1 (ko) * 2002-10-29 2004-12-29 주식회사 엑타 배기후드의 열감응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1476A (zh) * 2010-06-22 2010-11-1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吸油烟机的出风装置
CN101881476B (zh) * 2010-06-22 2011-08-1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吸油烟机的出风装置
CN103031944A (zh) * 2011-09-30 2013-04-10 张琦 一种排烟气结构
KR20210118539A (ko) * 2020-03-23 2021-10-01 나명환 침니형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KR20210118538A (ko) * 2020-03-23 2021-10-01 나명환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802B1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802B1 (ko) 렌지후드 조립체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WO2004011855A1 (ja) レンジフード
JP2013029264A (ja) 膨張式台所換気装置
KR102159103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시스템
JP2002045240A (ja) 可搬式テーブル
KR20070087343A (ko) 레인지 후드
JP4155798B2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KR100538715B1 (ko) 주방 환기시스템
KR20050118784A (ko) 창문형 환기시스템
EP1635121B1 (en) Hood ventilation system
KR200248735Y1 (ko) 상하부 배기구조를 가진 레인지 후드
JP2007205637A (ja) 換気装置
KR200253287Y1 (ko) 렌지후드용 환풍기
KR20090092109A (ko) 배기장치
JP2005257123A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
JP4836589B2 (ja) 換気装置
JP2009162419A (ja) 排気流と給気流との協調作用による局所換気システム
JP2004156797A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JP2004028493A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KR100705716B1 (ko) 팬 없이 히터 가열의 상승기류 발생하여 배기 가능한 후드
JP2007093131A (ja) レンジフ−ド
KR20210093402A (ko) 이동형 후드
JP2004156798A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JP2003148746A (ja) 移動可能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