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667A -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667A
KR20090077667A KR1020080128521A KR20080128521A KR20090077667A KR 20090077667 A KR20090077667 A KR 20090077667A KR 1020080128521 A KR1020080128521 A KR 1020080128521A KR 20080128521 A KR20080128521 A KR 20080128521A KR 20090077667 A KR20090077667 A KR 20090077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frame body
guide
cover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685B1 (ko
Inventor
카토 히데오
니시하라 타이치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Abstract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이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계합부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고,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이 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소정의 슬라이드 위치에서 각각 닫힌 방향 및 또는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계합부를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설치한 복수의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부 이외의 개소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난 가이드 장공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상기 각 가이드 레일부에 계합하는 계합부와, 상기 가이드 장공과 계합하는 슬라이드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휴대전화기, 포켓 PC, 박형화, 횡방향 슬라이드

Description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기기{slide mechanism for a portable apparatus, and por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합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개폐시킬 때에 사용된 매우 적합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인 휴대전화기, PDA, 포켓 PC 등에 있어서, 키보드 등을 상면에 설치한 제1틀체와 디스플레이 등을 상면에 설치한 제2틀체를 갖고, 이러한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합한 제2틀체에 제1틀체의 상면을 미끄러짐 촉진부재(25) 닫힌 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킨 열린 상태를 만들어 내는 슬라이드기구 부착한 것이 시장에 나돌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로서는 일본특개 2007-267238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이다. 이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휴대기기는 상세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평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을 나타낸 제1틀체와 제2틀체를 단수(短手)방향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합하여 제2틀체에 제1틀체의 상면을 덮는 닫힌 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킨 열린 상태를 만들어 내는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제1틀체에 취부한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양측부의 계합부에, 제2틀체에 취부한 슬라이더부재를 슬라이드 계합시켜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제2틀체를 슬라이드시키면 하중이 슬라이드부재와 계합하고 있는 베이스부재의 양측부의 계합부에 걸리므로, 그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하는데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부재의 사이의 계합 길이를 길게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이 하여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드부재와의 사이의 계합길이를 길게 하면 틀체끼리가 겹치는 데드 에어리어(dead area)의 범위가 넓어지고, 결과로서, 특히 제1틀체의 상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데드 에어리어의 범위가 넓으면 키 스페이스(key space)가 좁게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어 이것을 회피하려고 하면 특히, 틀체의 단수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 공지의 데드 에어리어가 큰 휴대기기는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부재와의 사이에 부세부재인 스프링을 설치하고,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를 세미오토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스프링의 취부 스페이스가 좁아지게 하지 않을 수 없고, 그 결과,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하므로 이것을 피하려고 하면 스프링의 배치나 설정에 제한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틀체의 상면을 제2틀체를 슬라이드시켜 노출시켰을 때에,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합한 오버랩(overlap) 길이를 적게 하여도 제1틀체와 제2틀체와의 충분한 계합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세수단이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이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계합부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어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이 슬라이더부재 및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부재를 소정의 슬라이드 위치에서 각각 닫힌 방향 및/또는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슬라이드 계합부를 슬라이더부재에 설치한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와 슬라이더부재에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 이외의 개소에 설치된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이드 장공(長孔)과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각 가이드 레일부에 계합하는 계합부와, 가이드 장공과 계합하는 슬라이드 안내부를 포함하면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부재에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길게한 가이드 장공을 설치하고, 베이스부재의 양측부에 가이드 레일부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베이스부재에 가이드 장공에 삽통되어 계합하는 슬라이드 안내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부재와의 슬라이드 계합은 베이스부재의 양측부에 설치한 계합부와, 슬라이더부재에 설치한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와의 계합과,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슬라이드 안내부와 슬라이더부재에 설치한 가이드 장공과의 계합에 의해 행하여지므로, 제1틀체의 상면을 제2틀체를 슬라이드시켜 노출시켰을 때에,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합한 오버랩 길이를 적게 하여도 충분히 제1틀체와 제2틀체의 계합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부세수단은 슬라이더부재의 타방의 틀체 측의 취부면에 설치한 유저(有底)의 스프링 수용 볼록부 내에 배치되고, 이 부세수단의 일단부가 슬라이더부재에 취부되고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슬라이드 안내부의 가이드 장공을 관통한 측에 취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안내부에는 가이드 장공에서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수단을 구비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부세수단은 동일 평면상에서 절곡된 편평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고, 베이스부재에는 이 베이스부재에 취부된 제1틀체와 슬라이더부재에 취부된 제2틀체를 상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을 삽통시켜 배선안내장공이 설치되어, 슬라이더부재에는 배선안내장공을 통한 배선을 가이드 하는 배선가이드구멍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슬라이더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슬라이드 시에 배선가이드구멍의 개폐를 행한 커버가 커버개폐기구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커버개폐기구는 커버와 슬라이드 안내부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갖고, 이 링크부재에 의해서 베이스부재에 대한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커버가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라이드 계합부는 베이스부재의 계합부의 슬라이드 방향의 양단부에 롤러부를 설치하고, 이 롤러부는 단면 U자형 모양에 형성한 가이드 레일부에 계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상술의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기기에 의하면, 슬라이더부재에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길게한 가이드 장공을 설치하여 베이스부재의 양측부에 가이드 레일부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베이스부재에 가이드 장공에 삽통되어 계합하는 슬라이드 안내부를 설치했으므로,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부재와의 슬라이드 계합은 베이스부재의 양측부에 설치한 계합부와 슬라이더부재에 설치한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와의 계합과,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슬라이드 안내부와 슬라이더부재에 설치한 가이드 장공과의 계합에 의해 행해지며, 제1틀체의 상면을 제2틀체를 슬라이드시켜 노출시켰을 때에,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합하여 오버랩 길이를 적게 하여도 충분히 제1틀체와 제2틀체의 계합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커버는 슬라이드 안내부와 링크부재를 통하여 연결되고, 베이스부재에 대한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커버가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링크부재에 의해서 커버의 개폐조작이 부드럽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슬라이드 계합부는 베이스부재의 계합부의 슬라이드 방향의 양단부에 롤러부를 설치하고, 이 롤러부는 단면 U자형 모양에 형성한 슬라이더부재의 가이드 레일부에 계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부재의 베이스부재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에 비틈, 즉, 베이스부재에 대한 슬라이더부재의 전후방향의 이동량의 차이가 생겨도 제2틀체의 제1틀체에 대한 슬라이드 조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부드럽게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기기의 일례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상술한다.
 [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휴대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도 1 ~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휴대기기(10)를 구성하는 제1틀체(11)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2)와 이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어 제2틀체(12)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3)와, 슬라이더부재(3) 및 베이스부재(2)와의 사이에 탄설된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3)를 소정의 슬라이드 위치에서 닫힌 방향 또는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세하는 부세수단(4)을 구비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중합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세미오토식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는 슬라이더부재(3)에 이간대향(離間對向)시켜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31a, 32a)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31a, 32a)의 사이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길게한 가이드장공(7)을 설치하고, 베이스부재(2)의 양측부에 가이드 레일부(31a, 32a)에 계합하는 계합부(22)를 설치함과 동시에, 베이스부재(2)에 가이드장공(7)에 삽통되어 계합함과 동시에, 가이드장공(7)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발출방지부(64, 拔出防止部)를 가지는 슬라이드안내부(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계합부(A)를 구성한 것에 하나의 특징이 있다.
휴대기기(10)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PDA, 노트형의 PC, 자우르스(상표) 등의 휴대 단말기, 계산기, 포켓 컴퓨터, 휴대 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로서는 그 외 재떨이, 틀체 뚜껑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슬라이드 시키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이하에 휴대기기의 일례로서 휴대전화에 실시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틀체(11)는 예를 들면, 키보드부(11a)를 상면에 설치하고 있다. 제2틀체(12)는 예를 들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12a) 등을 상면에 설치하고 있다.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는 평면 거의 직사각형 모양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는 도 2에 있어서는 상상선으로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중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기구(1)를 통하여 연결된 휴대기기(10)가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휴대기기(10)는 제1틀체(11)의 상면에 제2틀체(12)의 하면이 서로 중합되어 키보드부(11a)를 폐색(閉塞)함과 동시에, 제1틀체(11)의 상면에서 제2틀체(12)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키보드부(11a)를 노출시킬 수 있게 되어있다.
베이스부재(2)는 제1틀체(11)의 상면의 단수방향의 일측부에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취부된다. 베이스부재(2)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의 긴 방향에 늘어난 폭의 좁은 평면 거의 직사각형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판부(21)와 이 기판부(21)의 양측부에 설치된 단면 거의 コ형상을 나타낸 계합부(22)로 된다. 계합부(22)는 별도의 부재를 취부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기판부(21)의 양측부를 단면거의 コ형상에 절곡된 기판부(21)와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베이스부재(2)는 예를 들면, 스텐레스제의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기판부(21)는 제1틀체(11)의 긴 방향의 폭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기판부(21)의 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는 슬라이드안내부(6)를 취부하기 위한 거의 소판상(거의 타원상)의 안내부취부공(23)이 설치되어 있다. 기판부(21)의 일방의 측부와 안내부취부공(23)과의 사이에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상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예를 들면, 배선(13)을 삽통시킨 배선안내장공(24)이 그 긴 방향으로 길게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기판부(21)에는 베이스부재(2)를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제1틀체(11)에 취부되기 위한 관통공(27)이 예를 들면, 3개 설치되어 있다.
또, 계합부(22)에는 슬라이더부재(3)의 슬라이드가 원활히 행하여지도록 단면 거의 コ형상을을 나타낸 미끄러짐 촉진부재(2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끄러짐 촉진부재(25)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마찰계수가 작은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끄러짐 촉진부재(25)에는 특히,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계합부(22)의 계합오목부(22a)에 계합하는 계합볼록부(25a)가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3)가 슬라이드했을 때에, 계합부(22)에서 미끄러짐 촉진부재(25)가 빠져 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3)는 제2틀체(12)의 하면에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취부된다. 슬라이더부재(3)는 예를 들면, 제2틀체(12)의 하면을 덮는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3)의 일방의 단부측의 2개의 각부에는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제2틀체(12)에 취부하기 위한 관통공(38a)을 가지는 취부편(3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부재(3)의 타방의 단부의 2개의 각부의 근방에는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제2틀체(12)에 취부하기 위한 관통공(3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3)의 외면(제2틀체(12)에 취부되는 취부면과 반대 측의 면)의 일방의 측단부와 타방의 측단부와 중앙부와의 사이에 있는 티빙의 측단부 보다 중 앙부 가까이의 개소에는 단수방향으로 가이드 레일부재 취부오목부(3b, 3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부재 취부오목부(3b, 3c)에는 베이스부재(2)의 계합부(22)와 계합하는 가이드 레일부(31a, 32a)를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재(31, 32)가 예를 들면, 핀 등의 취부부재(19)에 의해 각각 취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부(31a, 32a)를 슬라이더부재(3)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슬라이더부재(3)는 예를 들면, 스텐레스제의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 가이드 레일부(31a, 32a)를 한 쌍 이상 설치하는 것은 임의이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재(31, 32)는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부재(31, 32)는 슬라이더부재(3)의 단수방향으로 길게 한 슬라이더부재(3)에 취부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부재(31, 32)는 베이스부재(2)가 슬라이드 계합하는 가이드 레일부(31a, 32a)를 갖고 있다. 가이드 레일부재(31, 32)의 전방측의 단부에는 슬라이더부재(3)에 계합하는 계합편(31b, 32b)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방측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핀 등의 취부부재(19)에 의해 취부되는 관통공(31d, 32d)을 갖고 있는 취부편(31c, 32c)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가이드 레일부재(31, 32)에는 슬라이더부재(3)의 장착공(37)에 감합하는 2개의 장착부(31e, 32e)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부재(3)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재(31, 32)가 취부되는 개소의 근방에는 4개의 스톱퍼(stopper, 16a, 16b, 16c, 16d)를 각각 취부하는 스톱퍼 취부공(17a, 17b, 17c, 17d)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톱퍼(16a, 16b, 16c, 16d)는 베이스부재(2) 및 슬라이더부재(3)의 슬라이드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까지의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하게 이루어져 있고, 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와의 사이의 중간상태는 중립상태이다(도 2와 도 7의 각 (b) 참조). 또한, 베이스부재(2)를 제1틀체(11)에 취부하여 슬라이더부재(3)를 제2틀체(12)에 취부하였지만, 베이스부재(2)를 제2틀체(12)에 취부하여 슬라이더부재(3)을 제1틀체(11)에 취부하여도 좋다. 또, 베이스부재(2) 및 슬라이더부재(3)의 슬라이드 이동범위의 규제는 스톱퍼에 의하지 않고, 다른수단을 사용하여 행하여도 좋다. 게다가, 스톱퍼는 이것을 고무 혹은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하면 완충작용을 함으로 바람직하다.
슬라이더부재(3)의 일방의 측단부 근방의 내면의 2개의 각부 근방에는 접지(earth)부재취부부(3d)에 압입 혹은 코킹(caulking)에 의해 접지부재(18)가 취부되어 있고,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 때에, 접지부재(18)의 접촉부(18a)와 베이스부재(2)가 상기적으로 접속되어 제2틀체(12)와 제1틀체(11)가 접지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슬라이더부재(3)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재(31, 32)의 사이에 거의 중앙부에는 슬라이드 방향(단수방향)으로 길게 한 가이드장공(7)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장공(7)은 슬라이더부재(3)의 전단부 근방에서 후단부 근방까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3)의 내면에는 유저의 스프링수용오목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수용오목부(33)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재(31, 32)가 취부되는 개소의 사이의 가이드장공(7)을 포함한 거의 중앙부에서 타단부 근방까지 거의 직사각형 오목 한 상태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수용오목부(33)의 가이드장공(7)의 외주는 한층 더 오목한 상태에 움푹 패인 안내오목부(33a)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수용오목부(33)의 타방의 가이드 레일부재(32)가 취부되는 개소의 근방의 거의 중앙부에는 스윙핀(15)을 취부하기 위한 스윙핀 취부공(34)이 2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3)의 일측부와 스프링수용오목부(33)의 사이에 있어,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3)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베이스부재(2)의 배선안내장공(24)과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커버개폐기구(45)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기호(46)는 배선(13)을 가이드 하는 배선가이드공이며, 지지기호(47)는 커버수용오목부이다. 커버수용오목부(47) 및 배선가이드공(46)을 형성하는 양측 벽에는 슬라이드커버(48)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커버계합오목부(4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커버(48)는 배선가이드공(46) 내가 외부에 노출하지않게 하기 위한 것에 있고, 거의 직사각형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커버(48)의 양측부의 거의 중앙부에는 커버계합오목부(49)에 슬라이드 계합하는 계합볼록부(48a)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커버(48)가 슬라이더부재(3)의 슬라이드 동작에 수반하여 배선가이드공(46)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슬라이드커버(48)의 스프링수용오목부(33) 측에 있는 후부 근방의 각부 근방의 표면에는 감합볼록부(48b)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배선가이드공(46), 커버수용오목부(47), 커버계합오목부(49), 슬라이드커버(48) 및 후술하는 커버작동부재(65)와, 상술한 슬라이드 안내판(62)과 커버개폐기구(45)를 구성하고 있다.
슬라이드안내부(6)는 특히, 도 3(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이드장공(7)에 삽통되어 계합함과 동시에, 가이드장공(7)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발출방지부(64)를 갖는 것이다. 슬라이드안내부(6)로서는 예를 들면, 가이드장공(7)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계합함과 동시에, 가이드장공(7)에써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발출방지부(64)를 가지는 샤프트(61)과 샤프트(6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안내판(62)과 샤프트(61)의 외주에 장착되는 스페이서(63)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61)는 가이드장공(7)의 폭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가이드장공(7)의 깊이보다 긴 길이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61)의 제2틀체(12) 측의 단부에는 가이드장공(7)의 폭보다 넓은 직경의 플랜지(flange) 모양의 발출방지부(64)가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61)의 베이스부재(2) 측의 단면에는 안내부취부공(23)에 감합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선단부가 끼워져 밀착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안내부(6)가 베이스부재(2)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고정부(61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샤프트(61)의 제2틀체(12) 측의 단면에는 슬라이드안내판(62)의 샤프트취부공(62a)에 감합되어 선단부가 끼워져 밀착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안내판(62)에 고정되는 거의 소판상(거의 타원상)의 슬라이드안내판고정부(61c)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샤프트(61)의 외주에는 발출방지부(64)과 거의 같은 직경의 플랜지(63a)를 갖고, 가이드장공(7)의 폭과 거의 같거나 약간 좁은 직경의 스페이서(63)가 장착되어 있다. 스페이서(63)의 선단부에서 플랜지(63a)까지의 길이가 가이드장공(7)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63)를 통하여 샤프트(61)가 가이드장공(7)에 빠져 나오는 일 없이 슬라이드 계합하고 있다. 즉, 샤프트(61)의 외주에 장착되고 있는 스페이서(63)가 가이드장공(7)에 슬라이드 계합하고 있음과 동 시에, 스페이서(63)의 플랜지(63a)가 가이드장공(7)의 근방의 안내오목부(33a)에 접촉하고 있고(도 3(c) 참조), 슬라이드안내부(6)가 가이드장공(7)에 빠져 나오는 일 없이 슬라이드 계합되기 위하여 이루어져 있다.
슬라이드안내판(62)은 거의 직사각형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안내판(62)에는 거의 소판상(거의 타원상)의 샤프트취부공(62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안내판(62)에는 스윙핀(15)을 취부하기 위한 스윙핀취부공(62b)이 2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윙핀취부공(62b)은 베이스부재(2)와 슬라이더부재(3)가 중립상태(도시 예에서는 중간상태) 때에, 제1틀체(11) 또는 제2틀체(12)의 폭방향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슬라이더부재(3)의 스윙핀취부공(34)을 포함한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상태 때에 제1틀체(11) 또는 제2틀체(12)의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직선상에 스윙핀취부공(62b, 34)을 배치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간상태 때에 스윙핀취부공(62b, 34)이 제1틀체(11) 또는 제2틀체(12)의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직선상에 위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슬라이드안내판(62)의 커버개폐기구(45) 측의 단부의 거의 중앙부에는 슬라이드커버(48)를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작동부재(65)가 계합하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커버작동부재 계합오목부(62c)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작동부재(65)는 슬라이드커버(48)의 감합볼록부(48b)에 감합되어 고정되는 감합구멍(66a)을 가지는 장착부(66)와, 커버수용오목부(47)와 스프링수용오목부(33)와의 사이의 슬라이더부재(3)의 중앙테(3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거의 コ형상의 슬라이드부(67)와, 중앙테(3a)와 슬라이드안내판(62)의 사이에 위치되고, 슬라이드안 내판(62)의 커버작동부재 계합오목부(62c)와 계합하는 계합작동볼록부(68a)를 가지는 계합작동부(68)를 구비하고 있다. 계합작동부(68)는 가늘고 긴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선단부 측을 커버작동부재 계합오목부(62c)와 계합하도록 거의 사다리꼴 형상에 절곡한 계합작동볼록부(68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닫힌 상태 때에는, 슬라이드안내판(62)과 커버작동부재(65)와는 계합되지 않고,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3)가 슬라이드하면, 이 슬라이드 도중에 슬라이드안내판(62)이 커버작동부재(65)의 계합작동볼록부(68a)에 접촉하여 커버작동부재(65)를 슬라이드 방향 전방(후부 방향)으로 압압하여 이동시킨다. 슬라이드커버(48)의 계합볼록부(48a)가 커버계합오목부(49)의 후방 측의 측벽에 접촉하여 슬라이드커버(48)의 이동이 정지하고, 슬라이드커버(48)에 의해 배선가이드공(46)이 닫히게 되면서 슬라이드안내판(62)이 계합작동볼록부(68a)에 걸려 얹히고, 그리고 계합작동볼록부(68a)가 커버작동부재 계합오목부(62c)에 계합하여 열린 상태로 된다. 이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3)를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안내부(6)에 수반하여 커버작동부재(65)가 이동하여 슬라이드커버(48)가 열릴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중립상태가 되면 슬라이드커버(48)의 계합볼록부(48a)가 커버계합오목부(49)의 전방 측의 측벽에 접촉함과 동시에, 배선가이드공(46)이 개방되어 이 상태대로 슬라이드안내판(62)의 측벽이 계합작동볼록부(68a)에 걸려 얹히고, 슬라이드안내부(6)와 커버작동부재(65)와의 계합이 해제되어 닫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세수단(4)은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3)를 소정의 개폐위치, 예를 들면, 중립상태에서 닫힌 방향 또는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세하는 것이다. 부세수단(4)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편평스프링(41)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평스프링(41)은 1개의 선재를 동일 평면상에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중합하는 일 없이 절곡하는 것이고, 제1틀체(11) 또는 제2틀체(12)의 폭방향에 부세력을 가지는 것이다. 편평스프링(41)의 양단부에는 스윙핀(1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41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부(41a)는 예를 들면, 선재를 거의 원형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편평스프링(41)의 길이는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에 있는 베이스부재(2)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드안내부(6)에 취부된 스윙핀(15)과 슬라이더부재(3)에 취부된 스윙핀(15)과의 사이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그 길이를 넘은 길이, 예를 들면, 약간 넘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이것에 의해, 편평스프링(41)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 때에는 부세력에 저항하여 거의 원호형상 등에 휘고, 이 부세력에 의해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가 보지되기 위하여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1) 및 휴대기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휴대기기(10)가 사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상,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합한 닫힌 상태이다(도 1, 도 2 및 도 7의 각 (a) 참조). 이 때, 편평스프링(41)은 그 부세력에 저항하여 휘어진 제2틀체(12)를 제1틀체(11) 측에 누르고 있으므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는 서로 거의 완전하게 중합한 닫힌 상태에 보지되어 있다. 또한, 이 닫힌 상태를 보다 확실히 보지하기 위해 록(lock)기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휴대기기(10)의 제1틀체(11)에 설치한 키보드부(11a)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일방의 손으로 들고 고정한 상태로, 더욱 일방의 손으로 제2틀체(12)를 그 단수방향의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물론, 이 조작을 일방의 손만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2개의 편평스프링(41)의 각각의 양단부 사이의 길이가 슬라이드 폭에 따라 서서히 짧아진다. 즉,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2틀체(12)를 슬라이드시키면, 편평스프링(41)이 밀려 수축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7의 각 (b)에 나타낸 것처럼, 편평스프링(41)의 양단부 사이의 길이는 최소가 된 상태가 중립상태(도시 예에서는 중간상태)이고, 이 중립상태를 지나면 편평스프링(41)의 양단부의 위치가 전후에 바뀜과 동시에, 편평스프링(41)의 부세력에 의해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슬라이더부재(3)가 열린 방향으로 부세된다. 이것에 의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열린 방향에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완전 열린 상태로 되어 그 상태에 보지된다(도 1(b)와 도 2, 도 7의 각 (c) 참조). 그러면, 제1틀체(11)의 상면에 설치한 키보드부(11a)가 노출하므로 키보드 조작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열린 상태를 보다 확실히 보지하기 위해 록기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합하여 있는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는 그 중간상태에서 반자동(semi-auto)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행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제1틀체(11)에 대하여 완전하게 열린 상태의 제2틀체(12)를 닫힌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일방의 손으로 들어 고정한 상태에서 제2틀체(12)를 더욱 일방의 손으로 눌러 닫힌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물론, 이 조작은 일방의 손만으로 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면, 편평스프링(41)은 수축하여 행하고, 중립상태를 지나면 편평스프링(41)의 선단부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되므로,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2틀체(12)가 닫힌 방향에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닫힌 상태가 된다(도 1, 도 2 및 도 7의 각 (a) 참조). 따라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는, 중립상태에서 세미오토로 슬라이드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이 세미오토에 의한 슬라이드 동작은 열린 방향 혹은 닫힌 방향의 한 방향만으로도 좋다.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2틀체(12)는 세미오토로 슬라이드 동작하지만, 이 슬라이드 동작은 베이스부재(2)의 양측부의 계합부(22)와 슬라이더부재(3)의 가이드 레일부재(31, 32)와의 계합과 베이스부재(2)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한 슬라이드안내부(6)와, 슬라이더부재(3)에 설치한 가이드장공(7)과의 계합의 3개소에서 행하여지고 있으므로 계합강도가 올라가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열린 때의 오버랩 폭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2틀체(12)를 전개시켰을 때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에 가해지는 하중은 베이스부재(2)의 양측부의 계합부(22)와 슬라이더부재(3)의 가이드 레일부재(31, 32)와의 계합의 2개소에서만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중합하여 오버랩 길이를 작게 하여도 슬라이드안내부(6)와 가이드장공(7)과의 계합에 의해 충분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계합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틀체끼리 겹친 데드 에어리어의 범위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휴대기기(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키보드부(11a)의 노출범위를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슬라이더부재(3)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재(31, 32)와 가이드장공(7)과의 3개소에서 베이스부재(2)가 계합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부재(3) 자체의 휘어짐 강도가 올라가므로 슬라이드기구(1) 전체의 강도를 대폭으로 올라갈 수 있다.
또, 2개의 편평스프링(41)은 유저의 스프링수용오목부(33) 내에 수용되어 슬라이더부재(3)와 제2틀체(1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편평스프링(41)이 외부로 노출하는 것이 아닌 것에서 편평스프링(41)의 배치나 설정에 대한 제한이 완화되고, 그 외의 구성의 스프링이나 부세수단으로 이루어져도 그 설정이 용이해진다. 또, 편평스프링(41)을 사용하는 것에서 스프링의 두께는 선재의 직경과 같은 것이므로 스프링(41)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부터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슬라이더부재(3)에 스프링수용오목부(33)를 설치하는 것에서 이 스프링수용오목부(33)에 편평스프링(41)을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어 보다 한층 더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커버개폐기구(45)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상기적으로 접속하는 예를 들면, FPC에서 완성되는 배선(13)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부재(2)의 배선안내장공(24)과 배선가이드공(46)을 삽통하고 있고, 제 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슬라이드시키면, 이 슬라이드의 도중에 슬라이드안내부(6)의 슬라이드안내판(62)이 커버작동부재(65)의 계합작동볼록부(68a)에 접촉하여 이것을 누르므로, 커버작동부재(65)를 통하여 슬라이드커버(48)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슬라이드커버(48)는 그 계합볼록부(48a)가 커버계합오목부(49)의 후방 측의 측벽에 접촉하여 슬라이드커버(48)의 이동은 정지하지만, 그 때 슬라이드커버(48)에 의해 배선가이드공(46)이 폐색된다. 슬라이드커버(48)는 배선가이드공(46)을 닫아 정지하지만, 제1틀체(11)를 제2틀체(12)에 대하여 한층 더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안내판(62)의 측벽이 계합작동볼록부(68a)에 걸려 얹히고, 그리고 계합작동볼록부(68a)가 커버작동부재 계합오목부(62c)에 계합하여 열린 상태로 된다. 따라서, 열린 상태 때에는 배선(13)이 외부에 노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열린 상태 때에는 계합작동볼록부(68a)와 커버작동부재 계합오목부(62c)가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커버(48)는 그 상태로 보지되므로, 배선(13)의 외부로의 노출을 한층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계합작동볼록부(68a)와 커버작동부재 계합오목부(62c)가 계합하고 있는 것으로 슬라이드커버(48)의 덜컹거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열린 상태(도 1(b)와 도 2 및 도 7(c) 참조)에서 닫힌 상태(도 1, 도 2, 도 7의 각 (a) 참조)로 슬라이드 시키면, 슬라이드안내부(6)에 수반하여 커버작동부재(65)가 슬라이더부재(3)에 대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드커버(48)가 열릴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커버(48)의 계합볼록부(48a)가 슬라이드 커버계합오목부(49)의 전방 측의 측벽에 접촉하여 배선가이드 공(46)이 개방된 상태(중립상태)로 된다(도 2와 도 7의 각 (b) 참조). 이 때, 배선(13)은 슬라이더부재(3)의 이동에 수반하여 슬라이더부재(3)의 거의 중앙부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더욱더 슬라이드 하면, 슬라이드안내판(62)이 계합작동볼록부(68a)에 걸려 얹히고, 슬라이드안내부(6)와 커버작동부재(65)와의 계합이 해제되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닫힌 상태 때에는 계합작동볼록부(68a)와 커버작동부재 계합오목부(62c)와의 계합이 해제되므로,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 배선(13)은 슬라이더부재(3)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배선가이드공(46) 내를 이동하므로 배선(13)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선(13)의 둘러침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 실시예 2]
도 8 내지 도 11은 커버개폐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실시 예에 관한 커버개폐기구(70)는 슬라이드안내부(6)의 슬라이드안내판(62)과 슬라이드커버(48)를 링크부재(71)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안내판(62)에는 제1 회동지지부재(72)가 취부되고, 이 제1 회동지지부재(72)에는 링크부재(71)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링크부재(71)는 가늘고 긴 평판 막대모양으로 형성되고, 이 타단부는 제2 회동지지부재(7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회동지지부재(73)는 거의 원주 상에 형성되고, 이 일단면에는 특히,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링크부재(7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73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회동지지부재(73)의 타단면에는 직경이 큰 롤러부재(73b)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도 9 ~ 도 10 참조). 이 제2 회동지지부재(73)는 슬라이드커버(48)의 링크부재안내부(74)에 계합되어 있다.
링크부재안내부(74)는 슬라이드커버(48)의 슬라이드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있고, 그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으로 늘어나 형성되어 있다. 링크부재안내부(74)는 슬라이드커버(48)의 폭 방향으로 늘어나는 링크부재안내오목부(75)와 이 링크부재안내오목부(75)의 커버 측 단부에서 거의 중앙부까지의 양측부상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링크부재가이드플레이트(76)로 된다. 링크부재가이드플레이트(76)의 간격은 제2 회동지지부재(73)의 직경보다 크고, 제2 회동지지부재(73)의 롤러부재(73b)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 예를 들면, 제2 회동지지부재(73)의 직경보다 약간 큰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링크부재가이드플레이트(76)와 링크부재안내오목부(75)와의 사이에 제2 회동지지부재(73)의 롤러부재(73b)가 삽입되고, 제2 회동지지부재(73)가 슬라이드커버(48)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링크부재안내오목부(75)에 계합된다. 또, 링크부재가이드플레이트(76)의 커버 측의 단부 근방에는 제2 회동지지부재(73)를 링크부재안내오목부(75)의 커버 측 단부(제1단부라고 하는 것이 있다)에 보지하는 제2 회동지지부재보지부(7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2 회동지지부재보지부(77)는 제2 회동지지부재보지부(77) 사이의 간격이 제2 회동지지부재(73)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길이로 이루어진 튀어나온 형상(突狀)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합하고 특히, 도 11에 나타낸 닫힌 상태 때에는 배선가이드공(46)이 개방되고 있음과 동시에, 제2 회동지지부재보지부(77)에 의해서 제2 회동지지부재(73)가 링크부재안내부(74)의 제1단부에 보지되며, 이 상태에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열린 상태로 슬라이드 시키면, 슬라이드안내판(62)(슬라이드안내부(6))의 이동에 수반하여 링크부재(71)를 통하여 슬라이드커버(48)가 배선가이드공(46)을 닫힌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 슬라이드커버(48)는 그 계합볼록부(48a)가 커버계합오목부(49)의 후방 측의 측벽에 접촉하여 그 슬라이드가 정지하며, 이 상태가 슬라이드커버(48)에 의해 배선가이드공(46)을 폐색하는 상태이다. 게다가,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는 열린 상태에 슬라이드하고, 제2 회동지지부재(73)가 제2 회동지지부재보지부(77)로부터 이탈하여 슬라이드안내판(62)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링크부재안내부(74) 내를 슬라이드 한다. 그리고, 링크부재(71)가 슬라이드커버(48)의 폭 방향으로 늘어난 상태에서 링크부재(71)의 양단부의 위치가 바뀌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열린 상태로 되면 제2 회동지지부재(73)가 제2 회동지지부재보지부(77)에 의해서 링크부재안내부(74)의 제1단부에 보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2틀체(12)가 슬라이드 하면 제2 회동지지부재(73)가 링크부재안내부(74)의 제1단부에 제2 회동지지부재보지부(77)에 의해서 보지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안내판(62)(슬라이드안내부(6))의 이동에 수반하여 링크부재(71)를 통하여 슬라이드커버(48)가 배선가이드공(46)을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슬라이드커버(48)는 그 계합볼록부(48a)가 커버계합오목부(49)의 전방 측의 측벽에 접촉하며, 그 슬라이드가 정지하여 배선가이드공(46)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게다가,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와는 닫힌 상태로 슬라이드하고, 제2 회동지지부재(73)가 제2 회동지지부재 보지부(77)에서 이탈하며, 슬라이드안내판(62)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링크부재안내부(74) 내를 슬라이드 한다. 그리고, 링크부재(71)가 슬라이드커버(48)의 폭 방향으로 늘어난 상태에서 링크부재(71)의 양단부의 위치가 바뀌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닫힌 상태가 되면 제2 회동지지부재(73)가 제2 회동지지부재보지부(77)에 의해 링크부재안내부(74)의 제1단부에 보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하면 링크부재(71)에 의한 지레의 원리가 작동하므로, 슬라이드커버(48)의 슬라이드 조작이 부드럽게 되는 것이고, 한층 더 이 링크부재(71)의 슬라이드커버(48) 측에 위치하는 제2 회동지지부재(73)에 링크부재안내부(74)와 계합하는 롤러부재(73b)를 설치하면, 한층 더 슬라이드커버(48)의 슬라이드 조작이 부드럽게 되는 것이다.
[ 실시예 3]
도 12는 커버개폐기구의 한층 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실시 예에 관한 커버개폐기구(90)는 슬라이드안내부(6)의 슬라이드안내판(62)과 슬라이드커버(48)를 링크부재(91)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안내판(62)에는 제1안내부재(92)가 설치되어 있다. 제1안내부재(92)는 예를 들면, 거의 원주 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안내판(62)에 일체적으로 또는 별도의 부재를 취부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안내부재(92)에는 링크부재(91)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링크부재(91)는 가늘고 긴 평판 막대모양으로 형성되고, 이 일단부에는 그 긴 방향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제1안내부재(92)가 삽통되는 제1가이드장공(93)이 설치 되어 있다. 이 제1가이드장공(93)에 제1안내부재(92)가 삽통되고, 제1안내부재(92)에 링크부재(91)가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제1안내부재(92)의 외주에 있어 슬라이드안내판(62)과 링크부재(91)와의 사이에는 링부재(94)와 와셔(95)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링크부재(91)의 외측(슬라이드안내판(62)의 반대 측)에는 와셔(96)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부재(91)의 타단부에는 회동구멍(9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구멍(97)에는 제2안내부재(98)가 삽통되어 있다. 제2안내부재(98)는 슬라이더부재(3)의 내면의 일방의 측단부 근방의 거의 중앙부에 거의 원주 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제2안내부재(98)가 링크부재(91)의 회동구멍(97)에 삽입된 상태에서 링크부재(91)가 제2안내부재(98)에 2개의 와셔(99, 100)에 끼워진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또, 링크부재(91)의 거의 중앙부에는 그 긴 방향으로 늘어난 제2가이드장공(10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가이드장공(101)에는 슬라이드커버(48)의 표면에 설치된 제3안내부재(102)가 삽통되고 있다.제3안내부재(102)는 슬라이드커버(48)의 표면의 거의 중앙부에 거의 원주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3안내부재(102)에는 링크부재(91)의 제2가이드장공(101)에 계합하는 계합볼록부(104)가 같은 축상에 설치되어 있고, 계합볼록부(104)에 대하여 링크부재(91)가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합하여 닫힌 상태 때에는 배선가이드공(46)이 개방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열린 상태로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안내판(62)(슬라이드안내부(6))의 이동에 수반 하여 제1안내부재(92)가 링크부재(91)에 대하여 제1가이드장공(93) 내를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하고, 링크부재(91)가 제2안내부재(98)를 축으로 회전한다. 이 때, 링크부재(91)의 제2가이드장공(101) 내를 제3안내부재(102)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슬라이드커버(48)는 슬라이드안내판(62)(슬라이드안내부(6))의 이동에 수반하여 배선가이드공(46)을 닫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열린 상태가 되면 슬라이드커버(48)의 슬라이드도 정지하고, 이 슬라이드커버(48)에 의해서 배선가이드공(46)이 폐색된다. 또,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는 전술의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행하여지고, 슬라이드안내판(62)(슬라이드안내부(6))의 이동에 수반하여 링크부재(91)가 제2안내부재(98)를 축으로 조금 전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드커버(48)가 배선가이드공(46)을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닫힌 상태가 되면 슬라이드커버(48)의 슬라이드도 정지하고, 이 슬라이드커버(48)에 의해서 배선가이드공(46)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커버개폐기구(90)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구조가 간단함과 동시에, 부품 점수가 적게 되고, 원가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 실시예 4]
도 13 내지 도 14는 슬라이드 계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 예에 관한 슬라이드계합부(B)는 계합부(110)에 롤러부(111)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롤러부(111)와 슬라이더부재(3)가 서로 슬라이드 계합하고 있다. 롤러부(111)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2)의 단면 거의 コ형상의 양계합부(110)의 슬라이드 방향 양단부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롤러부(111) 는 베이스부재(2)의 4구석 근방에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롤러부(111)는 계합부(110)의 대향하는 2개의 벽부를 삽통시켜 취부되는 샤프트(112)와 계합부(110) 내의 샤프트(112)의 축 회전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되는 롤러(113)로 된다. 이 롤러(113)에 가이드레일부재(114, 115)의 가이드레일부(114a, 115a)가 계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시하면 도 1(b), 도 2(c) 혹은 도 7(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2틀체(12)를 슬라이드시켜 완전 열린 상태에서 가까운 상태 혹은 완전 열린 상태에서 했을 경우에, 제2틀체(12)가 그 중량에서 제1틀체(11)에 대하여 경사하여도 혹은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2틀체(12)의 슬라이드 동작시에 전후방향의 어긋남이 생겨도 실시 예 1의 것에 비교하여 롤러(113)에 의해 그 접동 동작이 부드럽게 되게 하는 작용효과에 기인하여 얻는다. 이 슬라이드계합부(B)는 앞의 실시 예 13의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으므로 평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을 나타낸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합한 상태에서 단수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켜 사용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로서 최적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를 사용한 휴대기기로서는 제1틀체의 상면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적게 되는 것에서 키보드 부를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기기 중에서도 평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을 나타내는 특히, 휴대 전화기, PDA, 포켓 PC 등이 최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일례로서의 휴대전화기를 나타내고, (a)는 그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a)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중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그 평면도, (b)는 (a)도의 A-A선 단면도, (c)는 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커버개폐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로, (a)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중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커버개폐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링크부재의 선단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나타내는 커버개폐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a) 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중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커버개폐기구의 한층 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 계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적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슬라이드 계합부의 전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Claims (8)

  1.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이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계합부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고,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이 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소정의 슬라이드 위치에서 각각 닫힌 방향 및 또는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계합부를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설치한 복수의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부 이외의 개소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난 가이드 장공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상기 각 가이드레일부에 계합하는 계합부와, 상기 가이드 장공과 계합하는 슬라이드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수단은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상기 타방의 틀체 측의 취부면에 설치한 유저의 스프링수용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이 부세수단의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취부되고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의 상기 가이드장공을 관통한 측에 취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 장공에서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방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수단은 동일 평면상에서 절곡된 편평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이 베이스부재에 취부된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과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취부된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타방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을 삽통시키는 배선안내장공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재에는 상기 배선안내장공을 안내한 상기 배선을 가이드 하는 배선 가이드공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슬라이드 시에 상기 배선가이드공의 개폐를 행하는 커버가 커버개폐기구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개폐기구는 상기 커버와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를 연결하는 링크부 재를 갖고, 이 링크부재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커버가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계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계합부의 슬라이드 방향의 양단부에 롤러부를 갖고, 이 롤러부는 단면 U자형 모양으로 형성한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 계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KR1020080128521A 2008-01-11 2008-12-17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기기 KR101025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5056 2008-01-11
JP2008005056A JP5085343B2 (ja) 2008-01-11 2008-01-11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667A true KR20090077667A (ko) 2009-07-15
KR101025685B1 KR101025685B1 (ko) 2011-03-30

Family

ID=4085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521A KR101025685B1 (ko) 2008-01-11 2008-12-17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60166B2 (ko)
JP (1) JP5085343B2 (ko)
KR (1) KR101025685B1 (ko)
CN (1) CN101483985B (ko)
TW (1) TW2009495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435B1 (ko) * 2009-06-24 2009-09-14 (주) 프렉코 슬라이드 겸용 업-다운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WO2011046298A3 (ko) * 2009-10-14 2011-07-07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200141231A (ko) * 2019-06-10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라운드를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64B1 (ko) * 2007-05-28 2008-11-10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듀얼 슬라이더 조립체
EP2302734B1 (en) * 2008-07-17 2014-01-08 Sharp Kabushiki Kaisha Short-side direction slide type radio apparatus
US8267787B2 (en) * 2009-01-16 2012-09-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roller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TWI372964B (en) * 2009-09-11 2012-09-2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431892B2 (ja) * 2009-12-04 2014-03-05 加藤電機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小型電子機器
KR20110066516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8284554B2 (en) * 2010-02-15 2012-10-0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pivoting and sliding portions
JP2011205503A (ja) * 2010-03-26 2011-10-13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小型電子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小型電子機器
JP5599263B2 (ja) * 2010-08-27 2014-10-01 三菱製鋼株式会社 曲線状バネ及びスライド機構
JP2012199713A (ja) * 2011-03-18 2012-10-18 Fujitsu Ltd 電子機器
TWI595826B (zh) * 2012-04-17 2017-08-11 Sliding mechanism and its elastic sliding combination
KR200472435Y1 (ko) * 2013-11-22 2014-04-28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슬라이드 커버를 갖는 카드 수납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0333B (en) * 1998-08-04 2002-07-31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JP2005167488A (ja) * 2003-12-01 2005-06-2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KR100533038B1 (ko) * 2003-12-30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JP4252004B2 (ja) * 2004-03-17 2009-04-08 加藤電機株式会社 セミオート式のスライド装置
EP1745555B1 (en) * 2004-09-15 2008-12-17 M2SYS Co., Ltd. A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US20060176654A1 (en) * 2005-01-18 2006-08-10 Amphenol-T&M Antennas Sliding assembly for portable handset
JP4845558B2 (ja) 2006-03-29 2011-12-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
JP4717032B2 (ja) * 2007-06-07 2011-07-06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435B1 (ko) * 2009-06-24 2009-09-14 (주) 프렉코 슬라이드 겸용 업-다운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WO2011046298A3 (ko) * 2009-10-14 2011-07-07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200141231A (ko) * 2019-06-10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라운드를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49508A (en) 2009-12-01
CN101483985A (zh) 2009-07-15
TWI366753B (ko) 2012-06-21
CN101483985B (zh) 2011-12-07
US8060166B2 (en) 2011-11-15
US20090181734A1 (en) 2009-07-16
JP5085343B2 (ja) 2012-11-28
KR101025685B1 (ko) 2011-03-30
JP2009171072A (ja)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685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기기
US7003104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ellular phone
EP1793568B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JP4020910B2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用モジュール
KR10069825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US20110032668A1 (en) Slide-type opening/clos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1035126B1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37677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101446260B1 (ko) 스프링유닛 및 슬라이드기구
US2010012751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346618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20100009708U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442455Y1 (ko) 휴대폰용 곡면 슬라이더 조립체
KR100767609B1 (ko) 슬라이드 힌지 및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1756147B1 (ko) 슬림 틸팅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70058733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캠형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430986Y1 (ko) 슬라이드 힌지 및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1235940B1 (ko)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KR10090744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슬라이드 힌지장치
KR20036329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20110093010A (ko) 단말기
KR100867234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스윙 장치
KR20100044683A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585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