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416A -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416A
KR20090077416A KR1020080003368A KR20080003368A KR20090077416A KR 20090077416 A KR20090077416 A KR 20090077416A KR 1020080003368 A KR1020080003368 A KR 1020080003368A KR 20080003368 A KR20080003368 A KR 20080003368A KR 20090077416 A KR20090077416 A KR 20090077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hole
mold frame
insertion member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568B1 (ko
Inventor
박종명
전재환
원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568B1/ko
Priority to US12/346,941 priority patent/US7983028B2/en
Publication of KR2009007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5/00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nd selective visual display systems
    • Y10S345/905Display device with hous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및 케이스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표시 모듈의 가장자리의 안쪽에 대응하여 제1 보스가 형성된다. 이에, 표시 모듈은 제1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보스가 삽입 및 고정되는 보스 결합부재가 형성된 보스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표시 모듈이 가장자리의 안쪽에서 제1 보스가 삽입 고정되는 보스 결합부재가 형성된 보스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보호되면서 미관상 좋게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에 의해 감싸여진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액정 표시 모듈의 테두리에 브라켓을 결합하고, 전면 케이스 및 후면 케이스에 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제1 및 제2 보스를 형성하여 브라켓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브라켓은 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모듈의 테두리와 동일한 열팽창율을 가지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보스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표시 장치는 브라켓으로 인해 표시 장치의 전체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제1 및 제2 보스와 브라켓은 열팽창에 따라 소정의 부딪침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장치에 보스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보스 삽입부재가 구비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몰드프레임, 상기 몰드프레임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일면을 커버하며, 상기 표시 모듈의 가장자리의 안쪽에 대응하여 제 1 보스가 형성된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보스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보스 삽입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스 삽입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몰드프레임과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보스 삽입부재는 완충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프레임 및 상기 제 1 수납부재에는 상기 결합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프레임에는 상기 보스 삽입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스 삽입부재는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상기 홀 주위의 영역과 면접촉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상기 홀에 대응하는 보스 삽입부재의 단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 삽입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대향하는 반대편 단부에 형성된 고 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각각 상기 몰드프레임 홀 주위의 서로 다른 영역에 면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는 판 형태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스는 상기 표시 모듈의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모듈의 일면과 반대되는 이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보스의 위치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제 2 보스가 형성된 제 2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 1 및 제 2 보스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몰드프레임을 일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수납부재와 결합하는 제 2 수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표시 장치의 조립방법은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결합홀을 구비한 보스 삽입부재를 끼우는 단계, 상기 보스 삽입부재가 결합된 몰드프레임을 제 1 수납부재에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홀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보스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스 삽입부재는 상기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수납부재에 형성된 홀 주위의 영역과 면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대향하는 반대편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상기 보스 삽입부재를 끼우는 단계는 상기 보스 삽입부재의 고정부가 상기 몰드프레임의 홀을 통과하도록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방법은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홀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부 및 결합홀을 구비한 보스 삽입부재의 상기 고정부를 상기 몰드프레임의 홀에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보스 삽입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몰드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보스 삽입부재가 결합된 몰드프레임을 제 1 수납부재에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홀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보스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열팽창률 차이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모듈(200), 전면 케이스(300) 및 후면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표시 모듈(2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유닛(210), 표시 유닛이 수납되도록 제1 수납부재로 기능하는 바텀 샤시(270) 및 표시 유닛(210)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며 바텀 샤시와 결합하는 제2 수납부재로 기능하는 탑 샤시(220) 를 포함한다. 표시 유닛(210)은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며, 탑 샤시(220)는 표시 유닛(210)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개구된다. 탑 샤시(2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표시 모듈(200)은 일 예로,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표시 모듈(200)은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또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 케이스(300)는 표시 모듈(200)의 일면을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전면 케이스(300)는 표시 모듈(200)에서 표시 유닛(200)의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커버한다. 전면 케이스(300)는 상기 일면에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전면 커버부(310) 및 전면 커버부(310)로부터 표시 모듈(200)을 커버하기 위하여 연장된 전면 연장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 케이스(300)는 전면 커버부(310)의 안쪽 변으로부터 표시 유닛(210)방향으로 연장된 전면 절곡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절곡부(330)는 전면 절곡부(330)는 외부로부터 형성된 이물이 표시 모듈(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 전면 절곡부(330)의 단부에는 실링 재질로 이루어진 가스켓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면 케이스(300)는 전면 절곡부(330) 대신에,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300)는 표시 모듈(20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제 1 보스(31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보스(312)는 전면 케이스(300)의 전면 커버부(3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 보스(312)는 전면 커버부(310)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보스(312)는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보스(312)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보스(312)는 전면 커버부(310)에 접하는 위치에서 약 12㎜의 외경을 가지고, 전면 커버부(31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약 8㎜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보스(312)의 형상은 이하에서 설명할 결합구(510)에 삽입 고정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 1 보스(312)는 전면 커버부(3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제 1 보스(312)는 전면 케이스(300)와 별도로 제작되어 전면 커버부(3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보스(312)와 전면 케이스(300)의 결합을 위해 볼트 또는 접착제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케이스(300)는 주로 미관과 경량화 측면에서 유리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후면 케이스(400)는 전면 케이스(300)가 커버하는 표시 모듈(200)의 일면과 반대되는 이면을 커버한다. 후면 케이스(400)는 상기 이면을 직접적으로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410) 및 후면 커버부(410)로부터 연장되어 전면 케이스(300)의 전면 연장부(320)와 결합하는 후면 연장부(4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후면 케이스(400)는 실질적으로, 표시 모듈(200)을 수납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후면 연장부(420) 중 어느 하나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가 세워져서 사용될 경우, 설치 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른 위치에서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후면 케이스(400) 중 어느 하나의 후면 커버부(410) 또는 후면 연장부(420)는 표시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곡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후면 케이스(400)에는 제 1 보스(312)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 2 보스(412)가 형성된다. 제 2 보스(412)는 제 1 보스(312)와 동일한 열팽창률 및 수축률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2 보스(412)는 일반적으로, 표시 모듈(200)의 후면에 표시 모듈(200)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메인 보드 및 그 외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전자 장치가 탑재됨으로써, 제 1 보스(31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 2 보스(412)는 제 1 보스(312)와 동일한 특징을 가지므로,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표시 모듈(200)은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스 고정부(500)가 형성된다. 즉, 보스 고정부(500)는 표시 모듈(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보스 고정부(500)는 표시 모듈(200)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이러한 보스 고정부(500)는 표시 모듈(200)의 일부를 변경시키고 보스 삽입부재(520)를 추가하여 형성한다.
만약에, 표시 모듈(200)이 액정표시장치일 경우, 보스 고정부(500)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뼈대 역할을 하는 몰드 프레임(280)과 바텀 샤 시(270)의 형상을 변경시켜 보스 삽입부재(520)를 수납하고 보스 삽입부재(520)의 결합홀(510)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탑 샤시(220)는 보스 고정부(50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모서리 중 일부가 절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스 고정부(500)는 보스 삽입부재(520)을 통하여 제1 및 제2 보스(312, 412)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스 고정부(500)는 표시 모듈(2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에 형성된다. 이는, 보스 고정부(500)로 인해 표시 모듈(20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보스 삽입부재(520)에는 제1 및 제2 보스(312, 412)가 삽입되는 결합홀(510)이 형성된다. 결합홀(510)의 양측 입구부분은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입구를 모따기 가공할 수 있다. 이때, 보스 삽입부재(520)은 완충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들면, 고무, 실리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보스 삽입부재(520)는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의 열팽창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스 삽입부재(520)는 기공이 다수 분포된 발포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스 삽입부재(520)는 내산화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보스 삽입부재(520)는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바이톤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스 삽입부재(520)는 지지부(521) 및 돌출부(523)를 포함한다. 지지부(521)는 결합홀(510)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바텀 샤시(270)에 형성된 홀(272) 주위에 면접촉하며 판형태로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보스 삽입부재(520)의 바텀 샤시(270) 방향으로 노출되는 결합홀(510)의 입구 부분을 형성하는 보스 삽입부재(520)의 단부는 지지부(521)로부터 돌출되어 바텀 샤시(270)의 홀(272)에 삽입된다. 지지부(521)를 적용한 보스 삽입부재(520)는 바텀 샤시(270)의 홀(272)에 삽입되는 부분이 돌출부(523)의 높이로 제한되기 때문에 보스 삽입부재(520) 전체를 바텀 샤시(270)의 홀에 끼우는 것보다 균일한 조립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보스 삽입부재(520)의 외면이 바텀 샤시(270)의 홀(272) 내면에 끼워져 생겨나는 고정력 이외에 지지부(521)의 면접촉에 의한 지지 효과가 부과되므로, 돌출부(523)의 크기를 바텀 샤시(270)의 홀(272)보다 작게 하거나 도 3과 같이 사선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만들어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재작업시 작업성이 우수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는 바텀 샤시(270)의 홀(272) 주위에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홀(272)과 보스 삽입부재(520)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막 역할을 한다.
보스 삽입부재(520)는 보스 삽입부재(520)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 홈과 결합홀(510)이 노출되도록 하는 홀(281)이 형성된 몰드 프레임(280)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스 고정부(500)가 결합홀(510)이 형성되면서 결합 및 분리되는 보스 삽입부재(520)를 포함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는, 결합홀(510)의 불량 시, 보스 고정부(500) 전체가 아닌 보스 삽입부재(520)만 교체하거나 수리하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의 외경이 변화함에 따라, 결합홀(510)이 다르게 제작된 보스 삽입부재(520)만 교체하면 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보스 삽입부재(520)는 고정부(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22)는 판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22)와 지지부(521)는 각각 몰드 프레임(280)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몰드 프레임(280)의 홀(281)은 고정부(522)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완충 재질을 가진 보스 삽입부재(520)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 몰드 프레임(280)의 홀(281)을 고정부(522)가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지지부(521)와 고정부(522)는 각각 몰드 프레임(280)의 홀(281) 주위의 서로 다른 영역에 면접촉 하여 보스 삽입부재(520)가 몰드프 프레임(280)에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가 일반적으로, 약 8㎜ 내지 약 12㎜의 테이퍼진 외경을 가지므로, 결합홀(510)은 약 8.5㎜ 내지 약 10㎜ 의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홀(510)은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공이 용이한 원형일 수 있다.
보스 고정부(500)는 표시 모듈(200)의 두께에 구애 받지 않고,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다. 하지만, 제 1 보스(312) 또는 제 2 보스(412)가 보스 삽입부재(520)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보스 고정부(500)는 주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스 고정부(500)는 표시 모듈(200) 두께의 반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전면 케이스(300)와 후면 케이스(400)를 보다 완벽하게 고정하기 위하 여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의 보스 고정부(500)로의 결합 외에, 전면 케이스(300)의 전면 연장부(320)와 후면 케이스(400)의 후면 연장부(420)에 후크와 같은 특정 결합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는 전면 케이스(300)에 형성된 제1 보스(312)와 후면 케이스(400)에 형성된 제2 보스(412)를 완충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결합홀(510)이 형성된 보스 삽입부재(520)를 구비한 보스 고정부(500)를 표시 모듈(200)의 모서리에 형성시킴으로써, 종래의 금속 재질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보스(312, 412)를 고정할 때 열팽창율 및 수축율의 차이로 발생되는 소음 또는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브라켓이 제거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전체 크기도 감소시키며, 향상된 조립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보스가 보스 삽입부재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면 케이스(300)의 제 1 보스(312) 및 후면 케이스(400)의 제 2 보스(412)는 결합홀(510) 내에서 서로 결합된다.
이러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다른 하나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보스(312, 412) 중 어느 하나에는 푸쉬형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스(312, 412)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자석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케이스(300)와 후면 케이스(400)가 표시 모듈(200)과 관계 없 이, 독립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전면 케이스(300)와 후면 케이스(400)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보스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보스(313)와 제 2 보스(413)는 결합홀(510)의 외부에서 서로 결합된다.
즉, 제 1 보스(313)는 결합홀(510)을 전체적으로, 관통하여 제 2 보스(413)와 결합된다. 이와 달리, 제2 보스(413)가 결합구(510)를 전체적으로, 관통하여 제1 보스(4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보스(313)와 제 2 보스(413)의 결합이 결합홀(510)의 외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제 1 보스(313)와 제 2 보스(413)가 결합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보스가 결합홀에 결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보스(314)와 제 2 보스(414)는 서로 떨어진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및 제 2 보스(314, 41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보스(314, 414)는 단순히 보스 삽입부재(520)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전면 케이스(도 3의 300)와 후면 케이스(도 3의 400)는 표시 모듈(도 3의 200)과 같이 관리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보스(314, 414)는 자체적인 열팽창에 대하여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팽창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보스(314, 414)의 길이를 짧게 하여 원가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보스가 결합홀에 결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보스(315)와 제 2 보스(415)는 각각 결합홀(510)에서 서로 떨어진 구조를 가지면서, 제 1 보스(315)와 제 2 보스(415) 사이에는 보스 삽입부재(520a)의 일부가 변경되어 채워진다.
이때, 보스 삽입부재(520a)는 제 1 보스(315)와 제 2 보스(415)의 열팽창에 대응되도록 완충 재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스 삽입부재(520a)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홀(510)은 제 1 보스(315)가 삽입되는 제 1 결합구(512) 및 제 2 보스(415)가 삽입되는 제 2 결합구(514)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8은 보스 삽입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스 삽입부재(520b)는 결합홀(510)의 내면에 돌기(524)가 형성된다. 이는, 돌기(524)가 결합홀(510)의 입구에도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돌기(524)는 보스 삽입부재(520b)가 제작될 때, 같이 형성된다. 즉, 돌기(524)는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돌기(524)는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가 결합홀(510)에 삽입될 때, 상기 마찰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보스(312, 412)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524)는 기본적으로, 제 1 및 제 2 보스(312, 314)의 삽입이 원활하게 하게 위하여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돌기(524)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돌기(524)는 결합홀(510)의 내면을 따라, 라운드진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돌기(524)는 중앙이 오목하면서 그 주위가 라운드지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스 삽입부재(520)는 마찰력이 우수한 돌기(524)를 형성시켜 제 1 및 제 2 보스(312, 314)가 결합홀(510)에 삽입된 후,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보스(312, 314)와 보스 삽입부재(520)를 갖는 보스 고정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보스 삽입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보스 삽입부재(520c)의 외면에 단차를 주어 지지부(521)와 돌출부(523)를 형성한다. 따라서, 바텀 샤시(270)의 홀(272)에 돌출부(523) 부분만 삽입되고 지지부(521)는 바텀 샤시(270)의 홀 주위의 영역에 면접촉한다. 보스 삽입부재(520c)는 고정부(522)를 더 포함하며, 본 보스 삽입부재(520c)가 끼워지는 표시 모듈의 보스 고정부(500)에서 보스 삽입부재(520c)를 끼우는 홀의 상부에 고정돌기(530)를 형성시켜 고정부(522)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스 고정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스 고정부(500)의 보스 삽입부재(520d)를 고정하며, 보스 삽입부재(520d)의 결합홀(510)을 노출시키기 위한 홀(281)은 타원 형상의 단면 을 가지며, 보스 삽입부재(520d)의 고정부(522)는 보스 고정부(500)의 홀(281)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보스 삽입부재(520d)의 지지부(521)는 고정부(52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원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보스 삽입부재(520d)는 고정부(522)가 홀(281)을 통과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후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표시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보스 고정부 중 측단에 대응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보스 고정부의 추가적인 형성 외에는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200)에 형성되는 보스 고정부(500)는 모서리와 측단(230)에 동시에 형성된다. 이와 달리, 보스 고정부(500)는 모서리와 측단(23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스 고정부(500) 중 모서리에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스 고정부(500)는 측단(230)에 대응되는 것임을 정의한다.
측단(230)은 표시 모듈(200)이 액정표시장치일 경우, 표시 모듈(200)의 장변이 될 수도 있고, 단변이 될 수도 있다. 이에, 통상적으로는, 단변 보다 장변에 대응되는 측단(2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램프가 장변을 따라 배치되어 장변에 대응되는 측단이 단변에 대응되는 측단보다 소정의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
보스 고정부(500)는 표시 모듈(200) 중 측단(230)에 대응되는 일부가 안쪽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보스 고정부(500)는 주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탑 샤시(220)도 보스 고정부(500)에 대하여 일부가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제1 보스와 후면 케이스에 형성된 제2 보스를 완충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결합구가 형성된 보스 삽입부재를 표시 모듈의 가장자리의 안쪽에 형성시킴으로써, 종래의 브라켓을 제거하여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금속 재질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보스를 고정할 때 열팽창율 및 수축율의 차이로 발생되는 소음 또는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보스가 결합홀에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보스가 결합홀에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보스가 결합홀에 결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보스가 결합홀에 결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보스 삽입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보스 삽입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스 고정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표시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보스 고정부 중 측단에 대응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 장치 200 : 표시 모듈
220 : 탑 샤시 270 : 바텀 샤시
300 : 전면 케이스 312 : 제1 보스
400 : 후면 케이스 412 : 제2 보스
500 : 보스 고정부 510 : 결합홀
520 : 보스삽입부재 521 : 지지부
522 : 고정부 523 : 돌출부

Claims (20)

  1. 몰드프레임 및 상기 몰드프레임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일면을 커버하며, 상기 표시 모듈의 가장자리의 안쪽에 대응하여 제 1 보스가 형성된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보스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몰드프레임과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스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프레임 및 상기 제 1 수납부재에는 상기 결합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프레임은 상기 보스 삽입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 삽입부재는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상기 홀 주위의 영역과 면접촉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재의 상기 홀에 대응하는 보스 삽입부재의 단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 삽입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대향하는 반대편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각각 상기 몰드프레임 홀 주위의 서로 다른 영역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는 판 형태로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스는 상기 표시 모듈의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삽입부재는 완충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삽입부재는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의 일면과 반대되는 이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보스의 위치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제 2 보스가 형성된 제 2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 1 및 제 2 보스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보스는 원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홀은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보스는 상기 결합홀에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 내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프레임을 일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수납부재와 결합하는 제 2 수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표시 모듈과 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결합홀을 구비한 보스 삽입부재를 끼우는 단계;
    상기 보스 삽입부재가 결합된 몰드프레임을 수납부재에 수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홀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보스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 삽입부재는 상기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수납부재에 형성된 홀 주위의 영역과 면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대향하는 반대편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상기 보스 삽입부재를 끼우는 단계는,
    상기 보스 삽입부재의 고정부가 상기 몰드프레임의 홀을 통과하도록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방법.
  20. 표시 모듈과 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홀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부 및 결합홀을 구비한 보스 삽입부재의 상기 고정부를 상기 몰드프레임의 홀에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보스 삽입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몰드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보스 삽입부재가 결합된 몰드프레임을 수납부재에 수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홀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보스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방법.
KR1020080003368A 2008-01-11 2008-01-11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441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68A KR101441568B1 (ko) 2008-01-11 2008-01-11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US12/346,941 US7983028B2 (en) 2008-01-11 2008-12-31 Assembly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68A KR101441568B1 (ko) 2008-01-11 2008-01-11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416A true KR20090077416A (ko) 2009-07-15
KR101441568B1 KR101441568B1 (ko) 2014-09-25

Family

ID=4085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368A KR101441568B1 (ko) 2008-01-11 2008-01-11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83028B2 (ko)
KR (1) KR101441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200A (ko) * 2012-12-21 2014-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9977177B2 (en) 2016-01-06 2018-05-22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rising a reflective plate with magnetic layer attaching the reflective plate to a bottom portion of a chassi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2445A (ja) * 2011-05-16 2012-12-10 Sony Corp 表示装置
CN103298287B (zh) * 2012-02-27 2016-05-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JP5857819B2 (ja) * 2012-03-16 2016-02-1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4427801B (zh) * 2013-08-27 2017-06-16 现代精密塑胶模具(深圳)有限公司 窄边框壳体制造方法和模具
CN104656782A (zh) * 2013-11-22 2015-05-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屏组合
KR102266192B1 (ko) * 2015-02-02 2021-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312981B (zh) * 2017-02-24 2023-06-2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346A (ja) * 1991-06-19 1993-04-02 Fujitsu Ltd 電話機の操作面可変構造
JPH11190835A (ja) * 1997-12-26 1999-07-1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KR100319203B1 (ko) * 1998-12-04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엘씨디모니터장치
KR100715941B1 (ko) * 2000-10-24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액정표시장치의 조립방법
KR101290284B1 (ko) * 2006-08-01 2013-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이드 몰드,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338023B1 (ko) * 2006-12-04 2013-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200A (ko) * 2012-12-21 2014-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9977177B2 (en) 2016-01-06 2018-05-22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rising a reflective plate with magnetic layer attaching the reflective plate to a bottom portion of a chas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568B1 (ko) 2014-09-25
US7983028B2 (en) 2011-07-19
US20090180247A1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741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338023B1 (ko) 표시 장치
KR100419043B1 (ko) 액정모듈 지지구조 및 이것을 탑재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US759474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2725413B1 (en) Supporter of diffuser plate in backlight unit
US8339536B2 (en) Display module, display-module support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5496980B2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US10330966B2 (en) Display device
US20080101074A1 (en) Support Structure for a Light Source, a Backlight Unit for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upport Structure, and a Display Device
KR20000072905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JP418832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2038A (ja) 液晶モジュール
JP6089637B2 (ja) 表示装置
JP5396929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235127A (ja) 液晶表示装置
JP2004133098A (ja) 液晶パネル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039159A (ja) 液晶モジュール
KR100637489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6235128A (ja) 液晶表示装置
US7850324B2 (en) Backlight chassis, 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KR200453582Y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몰드프레임
US20100002417A1 (en) Back bezel for use in a backlight module structure, the backlight module structur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ck bezel
KR101495209B1 (ko) 표시 장치
KR100970262B1 (ko) 직하형 백라이트유닛
KR19990069947A (ko) 엘씨디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