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698A -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698A
KR20090073698A KR20070141716A KR20070141716A KR20090073698A KR 20090073698 A KR20090073698 A KR 20090073698A KR 20070141716 A KR20070141716 A KR 20070141716A KR 20070141716 A KR20070141716 A KR 20070141716A KR 20090073698 A KR20090073698 A KR 2009007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waste synthetic
resin mixture
reinforc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4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문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피에스피
신동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피에스피, 신동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피에스피
Priority to KR2007014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698A/ko
Publication of KR2009007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res or inserts, e.g. pins, mandrels, sli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모멘트에 대한 강도를 확실하게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금형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1차 투입하고, 폐합성수지 혼합물 위에 코어부재를 배열 설치하고,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에 대한 1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코어부재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보강홈에 보강대를 삽입하고,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2차 투입한 다음 2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폐합성수지, 파렛트, 압축성형, 받침대, 수축, 파이프, 코어, 구멍, 보강대

Description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Manufacture Method of Recycling Plastic Palle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1차 투입하고 보강대 또는 코어부재를 설치한 다음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2차 투입하므로 보강대 또는 코어부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조가 용이한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제품 생산하기 위한 파렛트로는 강하고 단단한 수입특수목재를 대부분 사용하며, 두께 15mm 이상의 대형 스틸판을 사용하기도 하나, 수입특수목재는 마모, 부패되기 쉬워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며 대형 스틸판은 콘크리트 양생 시 수분, 염분에 의해 녹이 나고 부식되며 사용 시 소음이 크고 가격이 비싸다.
최근에는 환경보호를 위하여 각종 제품에 사용되다가 폐기되는 폐합성수지를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하도록 법이 규정되어 있으며, 국제적으로 재활용 자원을 많이 사용할수록 여러 가지 혜택을 부여하는 규정들이 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에 의해 정해진 복합수지 및 합성수지재질의 포장재(과자류, 식품류 기타 수지 포장재 및 필름류)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콘크리트 블럭이나 벽돌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제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콘크리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파렛트를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여러 가지 폐합성수지가 혼합된 복합수지로 대형의 성형품을 제조하게 되면, 제조과정에서 수축량이 서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단일 종류의 합성수지로 성형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대형의 성형품은 냉각과정에서 수축량이 크므로, 비틀림이나 휨이 발생한다.
또한 대형 성형품으로 파렛트를 제작하는 경우에 중량물을 파렛트에 적재하면, 파렛트의 강도가 부족하여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복합수지의 활용도가 큰 대형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불량률이 크다는 단점이 있어 실제로 적용을 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6-015619호, 등록특허공보 제10-0207952호 등에는 성형과정이나 중량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틀림이나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품 내부에 파이프(보강대)를 삽입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금형 내부에 1차 폐합성수지액을 투입한 다음 보강대를 배치하고 다시 2차 폐합성수지액을 투입하여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보강대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 며, 보강대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강도의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보강대가 유동성이 있는 폐합성수지 내부에 위치하므로, 성형과정에서 위치가 이동되어 한쪽 측면으로 보강대가 노출될 우려가 있다.
또 파이프 보강대가 압축성형시에 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여 강도를 보완하는 본래의 역할을 충분하게 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종래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보강대가 설치되는 부분과 설치되지 않는 부분 사이의 수축량에 차이가 크게 발생하여 평탄한 표면을 얻기가 어려우며, 성형후에 다시 표면을 깍아내어 평탄화하는 절삭가공을 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폐합성수지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가 혼합되고 이물질도 함유될 경우가 많으므로, 절삭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절삭날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고, 절삭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금형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1차 투입한 상태에서 보강대 또는 코어부재를 설치한 다음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2차 투입하여 제조하므로 보강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모멘트에 대한 강도를 확실하게 보강하는 것이 가능한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부재를 사용하여 보강대를 삽입할 보강구멍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강대의 정확한 위치에의 삽입이 가능한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부재를 사용하여 판형 보강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은 금형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1차 투입하고,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 위에 보강대를 배열 설치하고,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에 대한 1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2차 투입한 다음 2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은 금형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1차 투입하고,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 위에 코어부재를 배열 설치하고,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에 대한 1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코어부재를 제거하여 형성 되는 보강홈에 보강대를 삽입하고,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2차 투입한 다음 2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은 금형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1차 투입하고,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 위에 코어부재를 배열 설치하고,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에 대한 1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2차 투입한 다음 2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코어부재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보강구멍에 보강대를 삽입하고 3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은 상기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 위에 코어부재를 배열 설치한 다음 상기 코어부재와 접하도록 판형 보강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금형에 1차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보강대를 설치하고 1차 압축성형을 행한 다음 2차 폐합성수지 혼합물의 투입 및 2차 압축성형을 행하므로, 보강대의 위치 어긋남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폐합성수지에 대한 압축을 2번에 걸쳐 행하므로 조직이 치밀해져 강도가 향상되며, 수축량이 감소하여 보강대와의 수축량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코어부재의 위치 를 정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압축성형을 행하므로, 보강대가 삽입 설치되는 보강홈 및 보강구멍이 일정한 위치에 변형이 없이 형성되고, 보강대의 설치를 균일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파렛트 전체적으로 강도가 균일하게 얻어지며, 품질이 우수한 파렛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폐합성수지의 냉각 및 응고 과정에서 수축이 발생하여도 보강대가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없으며, 종래와 같이 노출되는 보강대에 대한 절단 작업 등의 후가공을 행할 필요가 없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판형 보강재의 유동을 코어부재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해진 위치에 판형 보강재를 효과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10) 내부의 공간(12)에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을 1차 투입한다(P10).
상기에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조성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양한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요구되는 강도와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은 용융된 상태로 금형(10) 내부에 투입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용융물을 압연롤러를 통과시켜 겔상의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금형(10) 내부에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1차로 투입되는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높이는 설치될 보강대(40)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차로 투입되는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은 후공정에서 설치되는 보강대(40)의 상면 위치로 설정된 부분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투입한다. 즉 1차로 투입되는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높이는 제조하고자 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30) 높이의 1/2 정도로 설정하거나 이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금형(10) 내부에 1차 투입한 폐합성수지 혼합물(32) 위에 보강대(40)를 배열 설치한다(P20).
상기 보강대(40)는 금속 파이프나 금속 봉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대(40)로 아연도금 파이프 등을 사용한다.
상기 보강대(40)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의 파이프나 봉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대(40)로 금속 이외에 휨모멘트에 강한 다른 재료의 파이프나 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대(40)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설치한다.
상기에서 보강대(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끝부분에 덮개(42)를 씌운 상태로 설치하고,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이 응고 및 냉각되면서 수축하여 수 축압이 작용함에 따라 덮개(42)가 보강대(40)를 따라 미끄럼이동하여 수축량을 흡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보강대(40)는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수축량을 감안하여 금형(10) 내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하며, 상기 덮개(42)는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수축량을 감안하여 충분하게 긴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 덮개(42)는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이 수축할 때에 수축방향의 수축압에 대항하는 힘이 적도록 탄성재질의 고무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강대(40)의 외면과 같은 형상으로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덮개(42)는 바깥쪽 측면이 막힌 상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덮개(42)를 설치하게 되면,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이 수축할 때에 보강대(40)의 양쪽 끝부분이 폐합성수지 혼합물(32)과 직접 접촉하여 수축압에 대항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대(40)의 양쪽 끝부분에 수축안내부재(44)를 결합하고, 상기 수축안내부재(44)가 금형(10)의 양쪽 측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보강대(40)를 배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축안내부재(4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대(40)의 양쪽 끝부분의 외면에 씌어지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보강대(40) 내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금형(10)에는 서로 마주하는 양 측면에 상기 수축안내부재(44)가 삽입 되어 고정되는 조립홈(14)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축안내부재(44)를 결합하여 보강대(40)를 설치하면,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이 수축할 때에 수축안내부재(44)가 보강대(40)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수축량을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한 마개(42)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수축안내부재(44)는 압축성형후 응고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에 제거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수축안내부재(44)를 설치하게 되면 보강대(40)가 압축성형을 행할 때에 압력에 밀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강대(40)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대(40)를 배열 설치하는 단계(P20)에서 보강대(40) 사이에 수축억제부재(80)를 배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축억제부재(80)는 수축률이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수축률보다 10% 이상 크지 않은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축억제부재(80)의 수축률이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수축률과 같거나 작은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축억제부재(80)를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32)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수축억제부재(80)의 수축률이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수축률보다 너무 크면, 수축억제부재(80)가 설치된 부분의 수축량이 보강대(40)가 설치된 부분의 수축량과 차이가 많이 나게 되고, 성형품인 폐합성수지 파렛트(30)의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후가공(절삭가공)을 많이 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 수축억제부재(80)는 블럭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또 상기 수축억제부재(80)는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돌기(82)를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수축억제부재(80)를 설치하게 되면, 보강대(40)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의 수축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성형품인 폐합성수지 파렛트(30)의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후가공(절삭가공)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축억제부재(8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대(40)의 이동이 일정부분 제한되므로 압축성형을 행하여도 위치 어긋남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에는 수축억제부재(80)와 보강대(40)가 설치된 성형품인 폐합성수지 파렛트(30)의 일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보강대(40)와 수축억제부재(80)를 설치한 상태에서 1차 압축성형을 행한다(P40).
상기와 같이 1차 압축성형을 행하게 되면, 보강대(40)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게 되며,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이 압축되어 조직이 치밀해지고, 전체적인 수축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을 2차로 투입하고 2차 압축성형을 행한다(P60).
상기에서 2차로 투입하는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은 성형이 완료되어 수축된 상태에서 성형품인 폐합성수지 파렛트(30)의 최소 높이가 규정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금형(10)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2차 압축성형을 행한 다음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10)으로부터 성형품인 폐합성수지 파렛트(30)를 취출한다(P8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10) 내부의 공간(12)에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을 1차 투입하고(P10),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32) 위에 코어부재(20)를 배열 설치한다(P30).
상기 금형(10)에는 서로 마주하는 양 측면에 상기 코어부재(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조립홈(14)을 형성한다.
상기 금형(10)은 상기 조립홈(14)에 코어부재(20)의 양쪽 끝부분이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코어부재(20)의 윗부분에는 체결부재(18)를 조립홈(14)에 조립하여 코어부재(20)의 이탈이나 유동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코어부재(20)는 봉이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부재(20)는 사각이나 원형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사각이나 원형 봉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코어부재(20)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 중에서 하나의 단면을 갖는 봉이나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코어부재(20)를 파이프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냉각을 위한 냉매(공기나 냉각수 등)를 코어부재(20) 내부로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냉각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코어부재(20)는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도록 경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코어부재(20)를 경사로 형성하게 되면, 파렛트 본체(30)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코어부재(20)를 금형(10)에 설치한 다음,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에 대한 1차 압축성형을 행한다(P40).
상기와 같이 1차 압축성형을 행하면, 코어부재(20)는 금형(10) 내부의 공간(12)에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 속으로 삽입되고, 코어부재(20)의 위쪽 표면만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코어부재(20)를 제거하고 보강대(40)를 삽입한다(P50).
즉 코어부재(20)를 1차 압축성형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로부터 제거하고(P52), 코어부재(20)가 제거됨에 따라 폐합성수지 혼합물(32)에 형성되는 보강홈(36)에 보강대(40)를 삽입한다(P54).
상기와 같이 1차 압축성형된 상태에서 보강대(40)를 삽입하게 되면, 후공정에서 2차 압축성형을 행하는 경우에도 보강대(40)가 이동하는 것이 최소화되고, 설정된 위치에 보강대(4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강대(40)를 삽입한 상태에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을 2차 투입한 다음 2차 압축성형을 행하고(P60),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10)으로부터 성형품인 폐합성수지 파렛트(30)를 취출한다(P8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3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10) 내부의 공간(12)에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을 1차 투입하고(P10),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32) 위에 코어부재(20)를 배열 설치하고(P30),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에 대한 1차 압축성형을 행하고(P40),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을 2차 투입한 다음 2차 압축성형을 행한다(P60).
상기와 같이 1차 압축성형 및 2차 압축성형을 행하면, 코어부재(20)는 금형(10) 내부의 공간(12)에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 속에 매몰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코어부재(20)를 제거하고 보강대(40)를 삽입한 다음 3차 압축성형을 행하고(P70),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10)으로부터 성형품인 폐합성수지 파렛트(30)를 취출한다(P80).
상기에서 보강대(40)를 설치하는 과정(P70)은 코어부재(20)를 폐합성수지 혼합물(32)로부터 제거하고(P72), 코어부재(20)가 제거됨에 따라 폐합성수지 혼합물(32)에 형성되는 보강구멍(34)에 보강대(40)를 삽입하고(P74), 3차 압축성형을 행하는(P76)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2차 압축성형된 상태에서 코어부재(20)를 제거하고 보강대(40)를 삽입하게 되면, 후공정에서 3차 압축성형을 행하는 경우에도 보강대(40)가 이동하는 것이 최소화되고, 설정된 정확한 위치에 보강대(4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 다.
그리고 3차 압축성형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보강대(40)와 폐합성수지 혼합물(32) 사이의 틈새가 완전히 메워지고 서로 밀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코어부재(20)를 한쪽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하면, 단면크기가 작은 쪽에서 망치 등으로 가격하는 경우 용이하게 2차 압축성형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로부터 코어부재(20)가 분리된다.
또 상기 코어부재(20)를 금형(10)에 설치하는 과정(P30)에서 코어부재(20)의 외주면에 이형제 등을 도포하면, 보다 더 용이하게 폐합성수지 혼합물(32)로부터 코어부재(2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코어부재(20)를 이용하여 보강대(40)를 설치하게 되면, 코어부재(20)에 의하여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수축과 관계없이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진 위치에 보강구멍(34)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폐합성수지 파렛트(30)에 균일하게 보강대(4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강도를 갖는 성형품(예를 들면, 콘크리트 제품 생산용 파렛트 등)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4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10) 내부의 공간(12)에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을 1차 투입하고(P10),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32) 위에 코어부재(20)를 배열 설치하 고(P30), 상기 코어부재(20)와 밀착되도록 판형 보강재(60)를 설치하고(P32), 1차 압축성형을 행한다(P40).
상기와 같이 1차 압축성형을 행하면, 코어부재(20)와 판형 보강재(60)는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에 매몰되면서 윗면만 노출되는 상태로 된다.
상기 판형 보강재(60)는 상기 금형(10)의 내부에 상기 코어부재(20)와 1:1로 대응하도록 배열되어 삽입된다.
상기 판형 보강재(60)는 폐합성수지 파렛트(30)의 휨모멘트에 대한 응력 등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상기 폐합성수지 파렛트(30)를 구성하는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이 응고되고 냉각될 때에 발생하는 수축에 의하여 상기 폐합성수지 파렛트(30)가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판형 보강재(60)는 휨에 대한 응력이 충분하게 발휘되도록 세워진 상태로 설치한다.
상기 판형 보강재(60)는 띠판재를 굴곡시켜 형성하며 상기 파렛트 본체(30)의 높이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된다.
상기 판형 보강재(60)는 금속 띠판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아연도금 강판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판형 보강재(60)는 띠판재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형파형상으로 반복하여 굴곡 형성한다.
또 상기 판형 보강재(6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삼각파(톱니파)형상, 사인파형상, 사다리꼴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반복하여 굴곡 형성하는 것도 가 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판형 보강재(60)를 설치하게 되면,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이 수축할 때에 수축량에 대응하여 굴곡부분의 공간이 축소 또는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고, 수축량을 충분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굴곡이 보다 조밀해지도록 변형되므로 전체적인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판형 보강재(60)를 코어부재(20)와 접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성형시 금형(10) 내부에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의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판형 보강재(60)가 눕혀지거나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판형 보강재(60)의 설치 상태와 자세를 설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1차 압축성형을 행한 다음,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32)을 2차 투입하고 2차 압축성형을 행하고(P60), 코어부재(20)를 제거하고 보강대(40)를 삽입한 다음 3차 압축성형을 행하고(P70),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10)으로부터 성형품인 폐합성수지 파렛트(30)를 취출한다(P80).
상기와 같이 판형 보강재(6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판형 보강재(60)에 의하여 휨에 대한 강도의 보강을 충분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보강대(40)로는 금속 파이프나 금속 봉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목재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보강대(40)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코어부재(20)를 제거함에 따라 폐합성수지 파렛트(30)에 형성되는 보강구멍(34)에 보강대(40)를 삽입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두는 것도 가능하고, 보강구멍(34)의 양쪽 끝부분을 별도의 마개(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로 막도록 구성하 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폐합성수지 파렛트(30)를 제조한 다음, 상기 보강대(40)의 양쪽 끝부분의 개방된 구멍을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질의 마개(70)를 막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마개(70)로 막게 되면, 이물질이나 스팀, 빗물, 먼지 등이 보강대(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제조방법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대의 양쪽 끝부분에 덮개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대의 양쪽 끝부분에 수축안내부재를 설치하여 금형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대의 양쪽 끝부분에 다른 수축안내부재를 설치하여 금형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대 사이에 수축억제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4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폐합성수지 파렛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수축억제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폐합성수지 파렛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대의 양쪽 끝부분을 마개로 막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9)

  1. 금형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1차 투입하고,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 위에 보강대를 배열 설치하고,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에 대한 1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2차 투입한 다음 2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를 배열 설치할 때에 상기 보강대의 양쪽 끝부분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덮개를 씌운 상태로 설치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를 배열 설치할 때에 상기 보강대의 양쪽 끝부분에 수축안내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수축안내부재가 금형의 양쪽 측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보강대를 배열 설치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를 배열 설치할 때에 보강대 사이에 수축률이 폐합성수지 혼합물 의 수축률보다 10%이상 크지 않은 재질의 수축억제부재를 배열 설치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5. 금형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1차 투입하고,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 위에 코어부재를 배열 설치하고,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에 대한 1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코어부재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보강홈에 보강대를 삽입하고,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2차 투입한 다음 2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6. 금형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1차 투입하고,
    상기 폐합성수지 혼합물 위에 코어부재를 배열 설치하고,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에 대한 1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다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2차 투입한 다음 2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코어부재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보강구멍에 보강대를 삽입하고 3차 압축성형을 행하고,
    성형품의 응고가 이루어지면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1차 투입된 폐합성수지 혼합물 위에 코어부재를 배열 설치한 다음 상기 코어부재와 접하도록 판형 보강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를 배열 설치할 때에 코어부재 사이에 수축률이 폐합성수지 혼합물의 수축률보다 10%이상 크지 않은 재질의 수축억제부재를 배열 설치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폐합성수지 파렛트에 설치된 보강대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구멍을 탄성재질의 마개로 막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KR20070141716A 2007-12-31 2007-12-31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KR20090073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41716A KR20090073698A (ko) 2007-12-31 2007-12-31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41716A KR20090073698A (ko) 2007-12-31 2007-12-31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698A true KR20090073698A (ko) 2009-07-03

Family

ID=4133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41716A KR20090073698A (ko) 2007-12-31 2007-12-31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6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67B1 (ko) * 2009-07-20 2009-10-14 오기만 고하중물 받침용 플레이트 성형방법 및 그 제품
KR200459909Y1 (ko) * 2010-05-13 2012-04-20 삼일화학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발포수지 포장재
CN103057021A (zh) * 2011-10-20 2013-04-24 吴起万 高载荷物支承用托盘成型方法及其产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167B1 (ko) * 2009-07-20 2009-10-14 오기만 고하중물 받침용 플레이트 성형방법 및 그 제품
KR200459909Y1 (ko) * 2010-05-13 2012-04-20 삼일화학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발포수지 포장재
CN103057021A (zh) * 2011-10-20 2013-04-24 吴起万 高载荷物支承用托盘成型方法及其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3698A (ko)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CN209868931U (zh) 一种防混凝土渗漏的叠合板模具
CN101107407A (zh) 制造具有光滑面或凹凸面的可堆叠的内接合砖、块体、石头等的模制设备和方法
KR100814445B1 (ko) 폐합성수지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49092B1 (ko) 하이브리드 고무 성형 방법
CN109318351A (zh) 一种用于生产预制构件的组合模具
KR101682981B1 (ko) 프라스크 내에서의 주물사 응집력 극대화를 위한 t형 구조물
KR20090046456A (ko) 폐합성수지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39249Y1 (ko) 콘크리트 제품 생산용 파렛트
CN100577382C (zh) 一种模壳构件成型模具
KR100721999B1 (ko) 사출금형용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CN103764382B (zh) 多段冲压装置及其所包含的中间模的制造方法
KR20170002109U (ko) 엘리베이터용 웨이트
CN219294265U (zh) 预制叠合板通用模具
KR20100020139A (ko)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CN209277592U (zh) 一种钢板混凝土组合加固用模具
CN213038198U (zh) 一种辊模塑钢模板连接装置
CN218700551U (zh) 一种塑胶模架
JP3088358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製造方法
CN215549654U (zh) 一种用于钢筋混凝土排水管制作的模具
CN213226795U (zh) 一种变截面预制桩模具及模具组
CN211762439U (zh) 一种变截面方桩成型模具
CN211369665U (zh) 一种用于整体卫生间的新型防水底盘型材加固结构
KR100921167B1 (ko) 고하중물 받침용 플레이트 성형방법 및 그 제품
CN208827021U (zh) 一种水机支架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