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139A -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139A
KR20100020139A KR1020080078801A KR20080078801A KR20100020139A KR 20100020139 A KR20100020139 A KR 20100020139A KR 1020080078801 A KR1020080078801 A KR 1020080078801A KR 20080078801 A KR20080078801 A KR 20080078801A KR 20100020139 A KR20100020139 A KR 20100020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reinforcing
palle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피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피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피에스피
Priority to KR1020080078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139A/ko
Publication of KR2010002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69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19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s
    • B65D2519/00139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폭방향의 휨에도 충분하게 보강이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고른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생산이 용이하도록, 길이가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쪽 측면에는 길게 보강홈이 형성되며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 설치되며 보강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보강부재와, 보강부재와 단위블록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단위블록끼리 및 보강부재와 단위블록끼리를 가압 밀착시키며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를 제공한다.
폐합성수지, 파렛트, 조립, 받침대, 수축, 보강, 파이프, 콘크리트

Description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Pallet for Production of Concrete Product and Manufactur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길이방향의 휨 뿐만 아니라 폭방향의 휨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폭의 조정이 용이한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이나 블록 등의 콘크리트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파렛트로는 강하고 단단한 특수 목재나 두께 15mm 이상의 대형 스틸판을 사용한다.
그러나, 특수 목재의 경우에는 콘크리트에 대한 내마모성이 약하고, 공업용수나 빗물 등에 의해 부패되기 쉬워 장기간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대형 스틸판의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에 수분 및 염분에 의해 쉽게 녹이 나고 부식되며, 사용시에 소음이 크고, 가격이 비싸다.
최근에는 환경보호를 위하여 각종 제품에 사용되다가 폐기되는 폐합성수지를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하도록 법이 규정되어 있으며, 국제적으로 재활용 자원을 많이 사용할수록 여러 가지 혜택을 부여하는 규정들이 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에 의해 정해진 복합수지 및 합성수지재질의 포장재(과자류, 식품류 기타 수지 포장재 및 필름류)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콘크리트 블럭이나 벽돌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제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콘크리트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파렛트를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여러 가지 폐합성수지가 혼합된 복합수지로 대형의 성형품을 제조하게 되면, 제조과정에서 수축량이 서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단일 종류의 합성수지로 성형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대형의 성형품은 냉각과정에서 수축량이 크므로, 비틀림이나 휨이 발생한다.
또한 대형 성형품으로 파렛트를 제작하는 경우에 중량물을 파렛트에 적재하면, 파렛트의 강도가 부족하여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복합수지의 활용도가 큰 대형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불량률이 크다는 단점이 있어 실제로 적용을 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6-015619호, 등록특허공보 제10-0207952호 등에는 성형과정이나 중량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틀림이나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품 내부에 파이프(보강대)를 삽입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금형 내부에 1차 폐합성수지액을 투입한 다음 보강대를 배치하고 다시 2차 폐합성수지액을 투입하여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보강대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보강대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강도의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보강대가 유동성이 있는 폐합성수지 내부에 위치하므로, 성형과정에서 위치가 이동되어 한쪽 측면으로 보강대가 노출될 우려가 있다.
또 파이프 보강대가 압축성형시에 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여 강도를 보완하는 본래의 역할을 충분하게 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종래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보강대가 설치되는 부분과 설치되지 않는 부분 사이의 수축량에 차이가 크게 발생하여 평탄한 표면을 얻기가 어려우며, 성형후에 다시 표면을 깍아내어 평탄화하는 절삭가공을 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폐합성수지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가 혼합되고 이물질도 함유될 경우가 많으므로, 절삭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절삭날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고, 절삭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종래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보강대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의 휨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보강이 이루어지지만, 보강대가 배열되는 폭방향으로의 휨에 대해서는 충분한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파렛트의 중앙부가 한쪽 방향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굽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폭방향의 휨에도 충분하게 보강이 이루어지며, 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 폭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단위블록을 성형한 다음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수축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하고 정밀한 치수의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블록을 성형한 다음 조립하여 제조하므로 보강대의 위치어긋남 등이 발생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고른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는 길이가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쪽 측면에는 길게 보강홈이 형성되며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블록과, 상기 단위블록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보강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와 단위블록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끼리 및 상기 보강부재와 단위블록끼리를 가압 밀착시키며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이나 목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보강부재를 금속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하는 것이 재료의 절감과 강도의 향상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결합부재는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 수나사를 형성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너트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은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이용하여 길이가 긴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쪽 측면에 길게 보강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블록을 제조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보강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부재를 제조하고,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봉과 결합너트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단위블록 사이에 각각 보강부재가 위치하도록 교대로 배열하여 정열시키고,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봉을 한쪽 측면으로부터 반대쪽 측면으로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이웃하는 상기 단위블록끼리 및 보강부재와 단위블록끼리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면서 상기 결합봉에 결합너트를 체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단위블록의 제조는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위블록은 직육면체형상과 보강홈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육면체형상을 먼저 형성한 다음 양쪽 측면에 보강홈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블록을 제조한 다음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부재와 일체로 결합시켜 형성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되는 보강부재에 의하여 길이방향의 휨에 대한 충분한 보강이 이루어지고,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가압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폭방향의 휨에 대해서도 충분한 보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에 의하면, 어느 한 부분의 단위블럭이나 보강부재에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한 경우, 결합부재를 분리하고 다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손상이나 파손된 단위블럭이나 보강부재를 교체 및 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제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단위블록을 소형으로 제조하므로, 제조과정에서 치수의 변화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블록(10)과, 복수의 보강부재(20)와, 복수의 결합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블록(10)은 길이가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위블록(10)의 길이방향 양쪽 측면에는 길게 보강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단위블록(10)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위블록(10)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단위블록(1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보강보재(20)는 상기 단위블록(10)의 보강홈(12)에 일부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재(20)는 금속이나 목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재(20)를 금속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하는 것이 재료의 절감과 강도의 향상 측면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부재(2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각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을 상 기 단위블록(10)과 평행하게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보강부재(2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부재(20)의 높이를 상기 단위블록(1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보강부재(20)가 보강홈(1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10)에 완전하게 매설되는 구조를 구성한다.
또 상기 보강부재(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각진 모서리가 상기 단위블록(10)의 상하쪽으로 오도록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보강부재(20)를 각진 모서리가 상기 단위블록(10)의 상하쪽으로 오고 수직면이 양쪽 단위블록(1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보강부재(20)의 대각선 길이 또는 직경을 상기 단위블록(1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상기 보강부재(20)의 각진 모서리 등이 상기 단위블록(10)의 상하로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면, 길이방향에 대한 휨에 대한 강도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단위블록(10)의 보강홈(12)은 상기 보강부재(20)의 형상 및 배치방향에 따라 대응하여 형성한다.
상기 단위블록(10)의 보강홈(12)은 상기 보강부재(20)의 반단면이 한쪽 측면에 삽입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보강부재(20)와 보강홈(12)을 형성하여 조립하게 되면, 보강부재(20)가 단위블록(10)과 일체화되면서 길이방향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지고,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20)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관통되는 삽입구멍(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위블록(10)에도 상기 결합부재(30)가 관통되는 삽입구멍(14)이 상기 삽입구멍(2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단위블록(10)과 보강부재(20)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단위블록(10)끼리를 가압 밀착시킨다. 또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단위블록(10)과 보강부재(20)끼리를 가압 밀착시킨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단위블록(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30)는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 수나사(33)를 형성하는 결합봉(32)과, 상기 결합봉(32)의 수나사(33)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너트(38)로 구성한다.
상기 결합봉(32)의 한쪽 끝부분에만 수나사(3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반대쪽 끝부분에는 머리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34)는 사각 또는 육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봉(32)의 양쪽 끝부분에 수나사(3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양쪽에서 결합너트(38)가 체결된다.
상기 결합봉(32)은 상기 단위블록(10)의 삽입구멍(14)과 상기 보강부재(20)의 삽입구멍(22)에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30)의 결합봉(32) 및 결합너트(38)가 체결되는 경우, 결합봉(32)의 머리부(34) 및 결합너트(38)에 의하여 단위블록(20)의 측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폭방향 양쪽 바깥 측면의 보강홈(12)에는 측면보강재(2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보강재(28)는 상기 보강부재(20)를 길이방향을 따라 1/2로 자른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상기 측면보강재(28)에도 상기 결합봉(32)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구멍(39)을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측면보강재(28)를 설치하면, 바깥쪽 양쪽 측면에 있어서도 길이방향의 휨에 대한 보강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목재를 이용하여 보강부재(24)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충분한 강도와 결합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24)는 상기 단위블록(10)의 폭에 비하여 0.5∼1.5배의 폭을 가지며 상기 단위블록(10)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몸체부(25)와, 상기 단위블록(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보강홈(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2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26)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결합부(26)는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반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보강부재(24)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측면보강재(28)를 상기 결합부(26)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보강부재(24) 및 측면보강재(28)에 있어서도 상기 결합부재(30)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구멍(27), (29)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보강부재(24)를 목재로 구성하여 폐합성수지의 단위블록(10)과 일체로 결합시키면, 목재의 특성과 폐합성수지의 특성이 결합된 새로운 방식의 파렛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보강부재(24)를 금속으로 형성하고,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재(24)를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이용하여 대략 "+"형상으로 형성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부재(24)와 단위 블록(10)의 결합면에 휨방지판(70)을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휨방지판(70)은 두께 2mm 이상의 금속강판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휨방지판(70)을 상기 단위블록(10)의 보강홈(12)에 삽입하여 상기 보강부재(24)의 결합부(26)에 의하여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휨방지판(70)에도 결합부재(30)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구멍(7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단위블록(10)과 보강부재(24)를 폐합성수지 혼합물로 성형하는 경우에도 휨방지판(70)을 삽입하여 설치하게 되면, 휨방지판(70)이 길이방향의 휨에 대해서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길이방향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의 한쪽 측면에는 보강 홈(12)을 형성하고, 반대쪽 측면에는 보강홈(1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단위블록(10)을 성형하고, 결합돌기(16)와 보강홈(12) 사이에 휨방지판(70)을 삽입 설치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길이방향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돌기(16)가 형성되는 단위블록(10)의 경우에는 외곽쪽에 위치하는 결합돌기(16)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ㄷ"형상으로 측면홈(79)이 형성되는 측면보강재(78)를 사용한다.
상기 결합돌기(16)가 측면홈(79)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평면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이용하여 길이가 긴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쪽 측면에 길게 보강홈(12)이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블록(10)을 제조한다(S10).
상기에서 단위블록(10)의 제조는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위블록(10)은 직육면체형상과 보강홈(12)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육면체형상을 먼저 형성한 다음 양쪽 측면에 보강홈(12)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하금형(80) 위에 중간금형(90)을 설치하고(S12), 중간금형(90)의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주입하고(S14), 판형상의 상금형(82)으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가압하여 단위블록(10)의 성형을 행하고(S16), 상금형(82)을 분리한 다음 단위블록(10)이 삽입된 상태로 중간금형(90)을 냉각수(99)에 침적하여 냉각을 행하고(S18), 단위블록(10)의 냉각과 응고가 완료되면 중간금형(10)으로부터 각 단위블록(10)을 취출(S19)하는 과정으로 단위블록(10)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중간금형(90)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틀(92)과, 상기 외곽틀(92)을 일정 간격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칸막이(94)와, 한쪽의 보강홈(1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칸막이(94)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의 아래쪽에 길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제1홈형성부재(96)와, 상기 제1홈형성부재(96)와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다른쪽의 보강홈(12)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제2홈형성부재(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홈형성부재(96)는 외곽틀(9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홈형성부재(98)는 외곽틀(92)에 분리가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외곽틀(92)의 상단부에 상기 제2홈형성부재(98)의 양단 끝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9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중간금형(90)을 구성하면, 상기 하금형(80) 위에 상기 외곽틀(92)에 칸막이(94)와 제1홈형성부재(96)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의 중간금형(90)을 설치하고(S12), 상기 중간금형(90)의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91)을 주입하고, 상기 외곽틀(92)의 지지홈(93)에 제2홈형성부재(96)를 조립(S14)한 다음, 상금형(82)으로 가압(S16)하는 과정을 통하여 단위블록(10)의 양쪽에 보강홈(1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금형(82)을 가압한 다음에는 폐합성수지 혼합물(91)이 주입된 상태로 중간금형(90)을 분리하여 냉각수(99)에 침적하여 냉각을 행하고(S18), 단위블록(10)의 냉각과 응고가 완료되면 제2홈형성부재(96)를 분리하여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제2홈형성부재(96)를 제거하면, 단위블록(10)은 중간금형(10)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S19).
그리고 상기 단위블록(10)에는 상기 결합부재(30)의 결합봉(32)이 삽입되는 삽입구멍(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블록(10)의 보강홈(12)에 일부가 삽입되는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부재(20)를 제조한다(S20).
상기에서 보강부재(20) 중의 일부를 이용하여 측면보강재(28)를 준비한다(S25).
상기 보강부재(20) 및 측면보강재(28)에는 상기 결합부재(30)의 결합봉(32)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1), (29)을 형성한다.
그리고 한쪽 끝부분에 수나사(33)가 형성되는 결합봉(32)과 결합너트(38)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30)를 준비한다(S30).
다음으로 정해진 폭에 대응하는 수의 상기 단위블록(10)를 배열하고, 상기 단위블록(10) 사이에 각각 보강부재(20)가 위치하도록 교대로 배열하여 정열시킨 다(S40).
상기와 같이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블록(10) 중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단위블록(10)의 바깥쪽 측면에는 각각 측면보강재(28)를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30)의 결합봉(32)을 한쪽 측면으로부터 반대쪽 측면으로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이웃하는 상기 단위블록(10)끼리 및 보강부재(20)와 단위블록(10)끼리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면서 상기 결합봉(32)에 결합너트(28)를 체결하여 일체로 고정한다(S50).
상기와 같이 결합봉(32)에 결합너트(28)를 체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면, 보강부재(20) 및 측면보강재(28)에 의한 길이방향의 강도 보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결합부재(30)에 의한 폭방향의 강도 보강도 함께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를 제조하게 되면,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단위블록(10)을 제조할 때에 파렛트 전체를 한꺼번에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수축에 대응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또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단위블록(10)을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으로 제조한 이후에, 치수를 정밀하게 맞추고 평탄면을 얻기 위하여 요철면을 절삭 가공하는 경우에도 절삭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 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위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하금형, 중간금형, 상금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13)

  1. 길이가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쪽 측면에는 길게 보강홈이 형성되며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블록과,
    상기 단위블록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보강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와 단위블록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끼리 및 상기 보강부재와 단위블록끼리를 가압 밀착시키며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를 사각, 오각, 육각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중에서 선택한 단면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측면에 형성되는 보강홈을 상기 보강부재의 반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단위블록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단위블록의 측면쪽 내부에 완전히 매설되는 형상으로 설치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단위블록의 높이에 대응하는 대각선 길이 또는 직경을 갖는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의 각진 모서리나 원주면 일부가 상기 단위블록의 상하 표면으로 노출되거나 표면에 근접한 상태로 상기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를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하 표면이 상기 단위블록의 상하 표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단위블록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단위블록의 측면에 형성되는 보강홈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결합부의 끝면과 상기 단위블록의 보강홈 내면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휨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한쪽 측면에는 보강홈을 형성하고, 반대쪽 측면에는 보강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이웃하여 조립되는 단위블록의 결합돌기와 보강홈 사이에는 휨방지판을 삽입 설치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 수나사를 형성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너트로 구성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 중에서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바깥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일부를 자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11.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이용하여 길이가 긴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쪽 측면에 길게 보강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블록을 제조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보강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부재를 제조하고,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봉과 결합너트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단위블록 사이에 각각 보강부재가 위치하도록 교대로 배열하여 정열시키고,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봉을 한쪽 측면으로부터 반대쪽 측면으로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이웃하는 상기 단위블록끼리 및 보강부재와 단위블록끼리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면서 상기 결합봉에 결합너트를 체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틀과, 상기 외곽틀을 일정 간격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칸막이와, 한쪽의 보강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칸막이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의 아래쪽에 길게 가로질러 외곽틀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제1홈형성부재와, 상기 제1홈형성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대응하여 외곽틀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다른쪽의 보강홈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제2홈형성부재를 포함하는 중간금형을 사용하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은 판형상의 하금형 위에 상기 외곽틀에 칸막이와 제1홈형성부재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의 중간금형을 설치하고, 상기 중간금형의 내부에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주입하고, 상기 외곽틀의 지지홈에 제2홈형성부재를 조립하고, 판형상의 상금형으로 폐합성수지 혼합물을 가압하여 단위블록의 성형을 행하고, 상금형을 분리한 다음 단위블록이 삽입된 상태로 중간금형을 냉각수에 침적하여 냉각을 행하고, 단위블록의 냉각과 응고가 완료되면 중간금형으로부터 각 단위블록을 취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제조방법.
KR1020080078801A 2008-08-12 2008-08-12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0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01A KR20100020139A (ko) 2008-08-12 2008-08-12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01A KR20100020139A (ko) 2008-08-12 2008-08-12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39A true KR20100020139A (ko) 2010-02-22

Family

ID=4209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801A KR20100020139A (ko) 2008-08-12 2008-08-12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1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8903A (zh) * 2016-11-07 2017-02-22 天津优联惠品科技有限公司 一种拼接式可循环共用托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8903A (zh) * 2016-11-07 2017-02-22 天津优联惠品科技有限公司 一种拼接式可循环共用托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001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CA2887122C (en) Prefabricated mold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pavement
KR101765107B1 (ko)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US11473298B2 (en) Special L-shaped column shear wall module,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00020139A (ko) 콘크리트제품 생산용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16529B1 (ko)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US11396748B2 (en) Special T-shaped column shear wall module,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00689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0959025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제조방법
KR20090073698A (ko) 폐합성수지 파렛트 제조방법
KR101215397B1 (ko) 사출 성형 금형
CN112601868B (zh) 改变建筑用铝板的宽度的方法
CN100577382C (zh) 一种模壳构件成型模具
KR100814445B1 (ko) 폐합성수지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860B1 (ko)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200414958Y1 (ko) 거푸집 패널
CN210733065U (zh) 一种便于拆卸的阀门铝模
KR200223163Y1 (ko) 면따기 스트립
CN217552660U (zh) 用于制作陶木地板的模具
CN205436785U (zh) 模具圈边
KR101169681B1 (ko)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받침대
KR20090046456A (ko) 폐합성수지 파렛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2332A (ko) 조립식 화장실 칸막이용 판넬
KR200277874Y1 (ko) 건축시공을 위한 거푸집의 단위부재
KR20210007323A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