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545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545A
KR20090071545A KR1020097003534A KR20097003534A KR20090071545A KR 20090071545 A KR20090071545 A KR 20090071545A KR 1020097003534 A KR1020097003534 A KR 1020097003534A KR 20097003534 A KR20097003534 A KR 20097003534A KR 20090071545 A KR20090071545 A KR 20090071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lens support
coil
barre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호리단
사토시 이마이
미츠루 이치카와
타카히로 오카베
후지오 카나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내구성이나 내충격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한 카메라 모듈(22)을 제공하고, 이 카메라 모듈(22)은, 경통부(66)와, 렌즈 지지부(68)와, 스프링(70)과, 촬상 소자(29)와, 구동부(72)를 구비하고 있다. 경통부(66)는 전경통(78)과 후경통(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72)는, 렌즈 지지부(68)를 촬영 광학계(34)의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고, 마그넷(74)과 코일(7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마그넷(74)은, 상기 광축을 끼운 렌즈 지지부(68)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어 있다. 코일(76)은, 마그넷(74)에 면하는 경통부(66)의 2개소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용의 전자 기기 등에 조립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 카메라 모듈이 조립된 휴대 전화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 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촬영 광학계를 지지한 렌즈 지지부와, 렌즈 지지부를 수용하는 경통부(lens holding unit)와, 경통 내에서 렌즈 지지부를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과, 촬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렌즈 지지부를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부는, 렌즈 지지부에 마련된 코일과, 이 코일에 면하는 경통부의 개소에 마련된 마그넷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일본 특개2002-23037 참조).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경통부에 마그넷을 마련하고, 렌즈 지지부에 코일을 마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에 스트레스가 작용하는 것이 우려되고, 카메라 모듈의 내구성이나 내충격성을 확보하는데 불이익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나 내충격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수용 공간을 갖는 경통부와, 촬영 광학계를 지지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렌즈 지지부와, 상기 수용 공간에 배설되고 상기 렌즈 지지부를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경통부에 마련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 지지부를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렌즈 지지부에 마련된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에 면하는 상기 경통부의 개소에 마련된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광학계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에 마그넷을 마련하고, 경통부에 코일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코일의 도선에 스트레스가 작용하지 않고, 내구성이나 내충격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도 1의 (A), (B)는 촬상 장치(20)가 조립된 전자 기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 2는 촬상 장치(20)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22)과 소켓(24)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소켓(24)의 평면도.
도 4는 기판(30)의 평면도.
도 5는 카메라 모듈(22), 소켓(24) 및 커버(26)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는 도 5의 C화살로 본 도면.
도 10은 변형예의 촬상 장치(20)의 단면도.
도 11은 변형예의 촬상 장치(20)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22)과 소켓(24)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카메라 모듈(22)의 사시도.
도 13은 카메라 모듈(22)의 사시도.
도 14는 카메라 모듈(22)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설명도.
도 16은 도 13의 AA선 단면도.
도 17은 전경통(78)에 앞스프링(70A)이 취착된 후면도.
도 18은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19는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0은 코일(76) 및 기판(30)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1은 코일(76) 및 기판(30)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2는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23은 기판(30), 광학 필터(31) 및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24는 도 20의 BB선 단면도.
도 25는 마그넷(74)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사시도.
도 26은 마그넷(74) 및 뒷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사시도.
도 27은 마그넷(74) 및 뒷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평면도.
도 28은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
도 29는 뒷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
도 30은 렌즈 지지부(68)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31은 카메라 모듈(22)의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32는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
도 33은 마그넷(74)과 코일(76)의 동작 설명도.
도 34는 카메라 모듈(22)의 분해 사시도.
도 35는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설명도.
도 36은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37은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AA선 단면도.
도 39는 렌즈 지지부(68)가 후경통(80)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0은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
도 41은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
도 42는 카메라 모듈(22)의 렌즈 지지부(68)가 후경통(80)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3은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44는 후경통(80)의 단면도.
도 45는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
도 46은 고스트 발생의 설명도.
도 47은 방진 커버(31), 경통부(66), 촬상 소자(29), 기판(30)의 조립 설명도.
도 48은 후단면벽(8002)의 평면도.
도 49는 방진 커버(31)의 부착 설명도.
도 50의 (A), (B)는 방진 커버(31)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51의 (A)는 고체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B)는 고체 촬상 장치의 평면도.
도 52는 다른 고체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1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B)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22)을 갖는 촬상 장치(20)가 조립된 전자 기기의 한 예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는 휴대 전화기이고, 힌지부(12)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제 2의 몸체(14, 16)를 갖고 있다.
제 1의 몸체(14)의 내면에는 액정 표시 패널(1402)이 마련되고, 제 2의 몸체(16)의 내면에는 텐 키나 기능 키 등의 조작 스위치(1602)가 마련되어 있다.
촬상 장치(20)는, 제 1의 몸체(14)의 기단부에 조립되고, 촬상 장치(20)에서 촬상한 화상은 액정 표시 패널(1402)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촬상 장치(20)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22)과 소켓(24)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소켓(24)의 평면도, 도 4는 기판(30)의 평면도, 도 5는 카메라 모듈(22), 소켓(24) 및 커버(26)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다.
도 2,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는, 카메라 모듈(22)과,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소켓(24)과, 소켓(24)에 장착되는 커버(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22)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 하고, 뒤이어, 소켓(24) 및 커버(26)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고, 최후로 카메라 모듈(22)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2)은, 케이스(28)와, 촬상 소자(29)(도 7 참조)와, 신호 처리부와, 기판(30)과, 접편(接片)(32)(도 4 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8)는, 직사각형 판형상(사각형 판형상)을 나타내고, 두께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윗면(2802)과, 두께 방향의 다른쪽에 위치한 하면(2804)과, 2개의 긴변에 따라 위치하는 2개의 긴변측 측면(2806)과, 2개의 단변에 따라 위치하는 2개의 단변측 측면(2808)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8)에는 피사체상을 상기 촬상 소자에 유도하는 촬영 광학계(34)가 조립되고, 촬영 광학계(34)는 케이스(28)의 윗면(2802)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케이스(28)는 합성 수지제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면(2802) 및 2개의 긴변측 측면(2806)을 덮도록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케이스(28)는 도전성을 갖는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29)는,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것이고, 케이스(28)의 내부에서 촬영 광학계(34)의 후방(촬상측)의 개소에 조립되어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촬상 소자(29)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기판(3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8)의 하면(2804)에 취착되고, 직사각형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기판(30)이 케이스(28)에 면하는 윗면(3002)에는, 촬상 소자(29) 및 상기 신호 처리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편(32)(접속 패드)은, 기판(30)이 케이스(28)와 반대측에 면하는 하면(3004)의 2개의 긴변에 따라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24)은, 소켓 본체(36)와, 소켓용 차폐판(38)과 탄성편(40)과, 복수의 접속단자(42)와, 걸어맞춤부(41)(도 7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 본체(36)는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본 예에서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소켓 본체(36)는, 카메라 모듈(22)의 기판(30)보다도 큰 윤곽의 직사각형상(사각형판형상)의 저벽(3602)과, 저벽(3602)의 4변에서 기립하는 4개의 측벽(3604)을 가지며, 저벽(3602)상에서 4개의 측벽(3604)의 내측에 카메라 모듈(22)이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4개의 측벽(3604)은, 저벽(3602)의 2개의 긴변으로부터 기립하는 2개의 긴변측 측벽(3606)과, 저벽(3602)의 2개의 단변으로부터 기립하는 2개의 단변측 측벽(360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벽(3602)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긴변에는, 복수의 접속단자(42)를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노치(3610)가 그들 긴변에 따라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접속단자(42)는,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저벽(3602)의 노치(3610)에, 기판(30)의 접편(32)에 접속 가능하고 저벽(3602)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소켓(24)은, 전자 기기(1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기판상에 실장되고, 복수의 접속단자(42)의 기단(基端)이 상기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솔더링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긴변측 측벽(3606)에는, 탄성편(40)을 수용하기 위한 노치부(3620)가 긴변측 측벽(3606)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되어 마련되고, 각 단변측 측벽(3608)에는, 탄성편(40)을 수용하기 위한 노치부(3630)가 단변측 측벽(3608)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되어 있다.
소켓용 차폐판(38)은 4개 마련되고, 소켓 본체(36)의 4개의 측벽(3604)에 조립된다.
본 예에서는, 소켓 본체(36)는 소켓용 차폐판(3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측벽(3604)은 서로를 마주 보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에 위치한 외면을 가지며, 소켓용 차폐판(38)은 각각 측벽(3604)의 외면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소켓용 차폐판(38)은, 2개의 긴변측 측벽(3606)에 각각 조립된 2개의 긴변측 차폐판(46)과, 2개의 단변측 측벽(3608)에 각각 조립된 2개의 단변측 차폐판(48)을 포함하고 있다.
소켓용 차폐판(38)은,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소켓 본체(36)의 4개의 측벽(3604)의 외면을 덮음에 의해, 케이스(28)의 4개의 측면(긴변측 측면(2806), 단변측 측면(2808))을 덮고, 케이스(28)의 4개의 측면을 전자 차폐하는 것이다. 소켓용 차폐판(38)을 형성한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인청동, 양은, 주석, 구리, 또는, 인청동 등의 동합금에 니켈 등의 도금 처리를 행한 것, 또는, 스테인리스강(예를 들면 SUS304) 등의 도전성을 가지며 또한 자성을 갖지 않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서 자성체를 이용하면, 전자 차폐 효과에 더하여 자속 실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 소켓용 차폐판(38)(긴변측 차폐판(46), 단변측 차폐판(48))의 상연(上椽)에는, 그러한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부착편(38A)이 굴곡 형성되고, 그들 부착편(38A)이 소켓 본체(36)의 측벽(3604)(긴변측 측벽(3606), 단변측 측벽(3608))의 단면에 마련된 부착 홈(36A)에 삽입됨으로써 소켓용 차폐판(38)이 각 측벽(3604)(긴변측 측벽(3606), 단변측 측벽(3608))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용 차폐판(38)은 전자 기기(10)의 기준 전위(그라운드 레벨)에 접속되어 접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소켓용 차폐판(38)의 부분이, 소켓(24)이 실장된 전자 기기(10)의 기판상에 마련된 기준 전위(그라운드 레벨)의 접속 패드에 솔더링 등에 의해 접속되어 접지되어 있다.
탄성편(40)은 각 소켓용 차폐판(38)과 일체로 마련되고,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씩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편(40)은 각 소켓용 차폐판(38)에 일체로 형성되고,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소켓용 차폐판(38)의 상단으로부터 굴곡부(4001)를 통하여 측벽(3604)의 내면측에서 저벽(3602)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탄성편(40)은, 각 소켓용 차폐판(38)이 부착편(38A)을 통하여 소켓 본체(36)의 측벽(3606, 3608)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 측벽(3606, 3608)의 내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긴변측 측벽(3606)에서는, 탄성편(40)은 노치부(3620)에 면하도록 마련되고, 각 단변측 측벽(3608)에서는, 탄성편(40)은 노치부(3630)에 면하도록 마련되고, 탄성편(40)은 각 측벽(3606, 3608)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편(40)의 각 측벽(3606, 3608)의 외면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은, 노치부(3620, 3630) 내에서 행하여진다.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편(40)의 중간부에는, 소켓 본체(36)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굴곡부(4002)가 마련되고, 소켓 본체(36)의 내측에 카메라 모듈(22)이 수용된 상태에서, 굴곡부(4002)가 케이스(28)의 긴변측 측면(2806), 단변측 측면(2808)에 접촉함에 의해, 각 측면(2806), 2808과 각 측벽(3606, 3608)의 내면 사이에 간극(S1)을 확보한 상태로 카메라 모듈(22)이 탄성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28)에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이 취착되고, 케이스(28)의 긴변측 측면(2806)에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측면부(2810B)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본 예에서는, 굴곡부(4002)가 케이스(28)의 긴변측 측면(2806)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측면부(2810B)에 접촉하고, 환언하면, 굴곡부(4002)는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측면부(2810B)를 통하여 케이스(28)의 긴변측 측면(2806)에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측면부(2810B)에 긴변측 차폐판(46)의 탄성편(40)이 꽉닿음으로써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은 긴변측 차폐판(46)을 통하여 접지되게 된다.
또한, 도 5의 C화살로 본 도면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연재 방향의 양단은, 소켓 본체(36)의 4개의 모서리부에서 서로 겹쳐져서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이로써 4개의 소켓용 차폐판(38)에 의해 소켓 본체(36)의 측면의 전둘레 전역이 전자 차폐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소켓용 차폐판(38)의 한쪽의 단부에 굴곡판부(3810)가 형성되고, 이 굴곡판부(3810)가 서로 이웃하는 소켓용 차폐판(38)의 다른쪽의 단부(3811)에 겹쳐지고, 그들 굴곡판부(3810)와 단부(3811)는 소켓용 차폐판(38)이 갖는 탄성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세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41)는, 카메라 모듈(22)이 저벽(3602)상에서 4개의 측벽(3604)의 내측에 수용된 때에, 카메라 모듈(22)의 부분에 걸어맞춤하고 카메라 모듈(22)이 소켓(24)의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이고, 카메라 모듈(22)이 저벽(3602)상에서 4개의 측벽(3604)의 내측에 수용되고, 걸어맞춤부(41)가 카메라 모듈(22)의 부분에 걸어맞 춤으로써, 소켓(24)에의 카메라 모듈(22)의 장착 상태가 형성된다.
이 카메라 모듈(22)의 장착 상태에서, 복수의 접속단자(42)는 탄성 변형되어 기판(30)의 복수의 접편(32)에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카메라 모듈(22)을 케이스(28)의 윗면(2802) 방향으로 가세한다. 이로써, 카메라 모듈(22)의 기판(30)과 소켓(24)의 저벽(3602) 사이에 간극(2)을 확보한 상태로 기판(30)의 접편(32)과 접속단자(42)가 항상 확실하게 접촉되게 된다.
걸어맞춤부(41)는 소켓 본체(36)에 마련되고, 본 예에서는, 걸어맞춤부(41)는, 단변측 측벽(3608)에 취착된 차폐판(38)의 탄성편(40)의 굴곡부(4002)에 의해 형성되고, 카메라 모듈(22)을 소켓(24)의 내측에 삽입한 때에, 이 굴곡부(4002)가 케이스(28)의 단변측 측면(2808)의 볼록부(2820)에 결합고정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2)의 소켓(24)의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36)의 단변측 측벽(3608)에는, 커버(26)의 부분에 꽉닿아서 커버(26)의 케이스(28)의 윗면(2802) 방향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스토퍼(62)가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스토퍼(62)는, 각 단변측 차폐판(48)의 외면에 그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2개의 결합고정 볼록부(480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36)의 긴변측 측벽(3606)에는, 커버(26)에 결합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케이스(28)의 두께 방향에서의 소켓(24)에 대한 커버(26)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부(6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부(64)는, 2개의 긴변측 차폐판(46)의 외면에, 긴변측 차폐판(46)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걸어맞춤 오목부(640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26)는,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인청동, 양은, 주석, 구리, 또는, 인청동 등의 동합금에 니켈 등의 도금 처리를 행한 것, 또는, 스테인리스강(예를 들면 SUS304) 등의 도전성을 가지며 또한 자성을 갖지 않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서 자성체를 이용하면, 전자 차폐 효과에 더하여 자속 실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6)는, 윗면부(50)와, 측면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윗면부(50)는, 케이스(28)의 윗면(2802)을 덮는 것이고, 측면부(52)는, 4개의 소켓용 차폐판(38)을 덮는 것이다.
윗면부(50)가 촬영 광학계(34)에 면하는 개소에 개구(5002)가 형성되고, 개구(5002)에 투명한 렌즈 커버(58)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렌즈 커버(58)는 원판형상을 나타내고, 원환형상의 양면 점착 테이프(5802)를 통하여 윗면부(50)의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윗면부(50)의 내면에는, 개구(5002)의 주위에 따라 연재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환형상의 방진용 부재(60)가 마련되어 있다. 방진용 부재(60)는 원환형상의 양면 점착 테이프(6002)를 통하여 윗면부(50)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방진용 부재(60)를 구성하는 탄성 재료로서는,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스펀지형상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부(52)는, 소켓(24)의 2개의 긴변측 차폐판(46)을 덮는 긴변측 측면부(54)와, 소켓(24)의 2개의 단변측 차폐판(48)을 덮는 단변측 측면부(5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커버(26)의 단변측 측면부(56)의 하연(下椽)이 차폐판(38)의 결합고정 볼록부(4802)에 결합고정함으로써 커버(26)의 케이스(28)의 윗면(2802) 방향으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또한, 소켓(24)의 걸어맞춤 오목부(6402)에 대응하는 커버(26)의 긴변측 측면부(54)의 내측 개소에 걸어맞춤 오목부(6402)와 결합분리되는 걸어맞춤 볼록부(5402)가 마련되고, 그들 걸어맞춤 볼록부(5402)가 걸어맞춤 오목부(6402)에 걸어맞춤으로써 케이스(28)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커버(26)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커버(26)의 측면부(52)와 소켓 본체(36)의 측벽(38)에, 서로 결합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케이스(28)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소켓(24)에 대한 커버(26)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걸어맞춤 오목부(6402), 걸어맞춤 볼록부(5402)를 마련함으로써, 커버(26)의 소켓(24)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게 되고, 촬상 장치(20)를 단체로 취급할 때의 작업성의 향상, 또는, 촬상 장치(20)를 전자 기기(10)에 조립할 때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소켓(24)에 커버(26)가 장착된 상태 에서 걸어맞춤 볼록부(5402)와 걸어맞춤 오목부(6402)가 걸어맞춤하고, 동시에, 커버(26)의 단변측 측면부(56)의 하연이 차폐판(38)의 결합고정 볼록부(4802)에 결합고정한다.
촬상 장치(20)의 조립은, 전자 기기(10)의 기판에 실장된 소켓(24)에 카메라 모듈(22)을 장착하고, 그 위에서 커버(26)를 소켓(24)에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이로써 촬상 장치(20)가 완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장치(20)는,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의 제 1의 몸체(14)에 마련된 개구(1410)에, 렌즈 커버(58)를 면하게 한 상태에서 제 1의 몸체(14) 내부에 조립된다.
다음에 소켓(24)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스토퍼(62)의 구성이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소켓(24)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촬상 장치(20)의 단면도이고,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와 같은 부분,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스토퍼(62)를 각 단변측 차폐판(48)의 외면에 그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2개의 결합고정 볼록부(4802)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변형예에서는, 각 단변측 차폐판(48)의 상단의 굴곡부(4001)에 의해 구성한 점이 전술한 구성과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변형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6)의 단변측 측면부(56)에, 굴곡부(4001)에 결합고정한 결합고정부(5610)가 형성되고, 굴곡부(4001)와 결 합고정부(5610)가 결합고정함으로써 커버(26)의 케이스(28)의 윗면(2802) 방향으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다음에, 카메라 모듈의 지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8)의 4개의 측면(긴변측 측면(2806), 단변측 측면(2808))에 탄접하고, 복수의 접편(32)과 복수의 접속단자(42)를 접속한 상태에서 4개의 측벽(3604) 사이에 간극(S1)을 확보하고 카메라 모듈(22)을 저벽(3602)상에서 4개의 측벽(3604)의 내측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40)이 각 측벽(3604)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탄성편(40)은, 해당 탄성편(40)이 마련된 측벽(3604)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편(40)에 대응하는 각 측벽(3604)의 개소에, 탄성편(40)이 탄성 변형을 행하기 위한 탄성 변형용 노치부(3620, 363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변형용 노치부(3620, 3630)는, 측벽(3604)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편(40)은, 각 측벽(3604)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개소에 탄접하도록 2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단변측 측벽(3608)에 마련된 탄성 변형용 노치부(3630)는, 그들 2개의 탄성편(40)에 대응한 측벽(3604)의 2개소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긴변측 측벽(3606)에 마련된 탄성 변형용 노치부(3620)는, 그들 2개의 탄성편(40)이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크기의 단일한 노치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 탄성 변형용 노치부(3620, 3630)는, 측벽(3604)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측벽(3604)의 상단에 개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촬상 장치(2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4개의 측벽(3604)을 덮는 소켓용 차폐판(38)이 마련되고, 소켓용 차폐판(38)은 각 측벽(3604)에 취착되어 배설되고, 탄성편(40)은 소켓용 차폐판(3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측벽(3604)은, 각각 서로를 마주 보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외면을 가지며, 소켓용 차폐판(38)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측벽(3604)에 취착되어 배설되고 각 측벽(3604)의 외면을 덮는 본체판부(3820)를 갖고 있다.
탄성편(40)은 본체판부(38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4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본체판부(3820)의 상단으로부터 제 1의 굴곡부(4001)를 통하여 본체판부(3820)로부터 측벽(3604)의 내면 방향으로 떨어진 개소에서 저벽(3602)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또한, 본체판부(3820)에 부착편(38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편(38A)은,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본체판부(3820)의 상단의 개소에서 제 1의 굴곡부(4001)와 떨어진 개소에서 제 2의 굴곡부(3801)를 통하여 본체판부(3820)로부터 측벽(3604)의 내면 방향으로 떨어진 개소에서 저벽(3602)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소켓용 차폐판(38)의 측벽(3604)에의 취착은, 측벽(3604)의 상단에 개구하고 측벽(3604)의 높이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부착 홈(36A)에 부착편(38A)이 삽입되고, 부착편(38A)과 본체판부(3820)로 부착 홈(36A)을 구성하는 측벽(3604)의 부분을 끼워지지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긴변측 측벽(3606)에 마련된 단일한 노치부를 이루는 탄성 변형용 노치부(3620)에 대응하는 개소에서는, 저벽(3602)으로부터 떨어진 본체판부(3820)의 상단으로부터 제 3의 굴곡부(3802)를 통하여 본체판부(3820)로부터 측벽(3604)의 내면 방향으로 떨어진 개소에서 저벽(3602) 방향으로 연재되고 탄성 변형용 노치부(3620)(단일한 흠부)를 덮는 되접음편(3803)이 마련되고, 되접음편(3803)과 본체판부(3820)에 의해 전자 차폐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긴변측 측벽(3606)에 마련되는 2개의 탄성편(40)은, 2개의 제 1의 굴곡부(4001)와 함께, 되접음편(3803)에 노치(3804)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소켓용 차폐판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측벽(3604)은, 각각 서로를 마주 보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에 위치한 외면을 가지며, 전자 차폐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각 측벽(3604)에 취착되고 4개의 측벽(3604)의 외면을 덮는 복수의 소켓용 차폐판(38)이 마련되고, 그들 소켓용 차폐판(38)은, 부착편(38A)을 부착 홈(36A)에 삽입함으로써 측벽(3604)에 취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 판부(3810), 단부(3811)는, 소켓 본체(36)의 이웃하는 측벽(3604)이 교차한 모서리부(3650)에서 겹쳐 합쳐져서 그들 각 소켓용 차폐판(38)이 갖는 탄성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소켓용 차폐판(38)은, 4개의 측벽(3604)에 대응하여 4개 마련되고,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단부(3811)는, 4개의 모서리부(3650)에서 각각 겹쳐 합쳐져서 그들 각 소켓용 차폐판(38)이 갖는 탄성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용 차폐판(38)은, 4개의 측벽(3604)중의 이웃하는 2개의 측벽(3604)을 덮도록 2개 마련되고,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단부(3811)는, 2개의 모서리부(3650)에서 각각 겹쳐 합쳐져서 그들 각 소켓용 차폐판(38)이 갖는 탄성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단부(3811)는, 측벽(3604)과 같은 높이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2, 도 9,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서리부(3650)에, 측벽(3604)의 높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재되는 오목부(3660)가 마련되어 있다.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단부(3811)는, 오목부(3660) 내에서 그러한 높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겹쳐 합쳐져서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의 굴곡판부(3810), 단부(3811)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굴곡판부(3810)는, 측벽(3604)에 평행하여 배치되고 측벽(3604)을 덮는 본체판부(3820)의 단부로 직각에 절곡된 제 1 당접판부(3810)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합부(3810)는, 측벽(3604)과 같은 높이를 갖고 있다.
다른쪽의 단부(3811)는, 본체판부(3820)의 단부에 굴곡부(3815)를 통하여 연접(連接)되어 소켓용 차폐판(38)의 두께만큼 측벽(3604)의 내면 방향으로 변위하고 본체판부(3820)와 평행하게 연재되는 제 2 당접판부(3811)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당접판부(3811)는, 측벽(3604)과 같은 높이를 갖고 있다.
이웃하는 각 소켓용 차폐판(38)은 이와 같은 제 1 당접판부(3810)와 제 2 당접판부(3811)가 겹쳐 합쳐져 그들의 높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22)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도 13은 카메라 모듈(22)의 사시도, 도 14는 카메라 모듈(22)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설명도, 도 16은 도 13의 AA선 단면도이다.
카메라 모듈(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8)와, 촬상 소자(29)와, 신호 처리부와, 기판(30)과, 접편(32)에 더하여,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지지부(68)와, 스프링(70)과, 구동부(7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케이스(28)는 경통부(66)에 의해 구성되고, 경통부(66)는 전경통(78)과 후경통(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7은 앞스프링(70A)이 취착된 전경통(78)의 후면도이다.
경통부(66)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지지부(68)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S)을 갖고 있다.
경통부(66)는, 전경통(78)과 후경통(80)이 결합됨으로써 구성되고, 전경통(78)은, 도 14,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광학계(34)의 광축의 주위에 위치하고 수용 공간(S)의 측면을 구획하는 주벽(78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경통(78)은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주벽(7802)은 4개의 측벽을 갖는 사각형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벽(7802)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1조의 제 1 측벽(7802A)과, 서로 대향하는 나머지 1조의 제 2 측벽(7802B)을 갖고 있다.
그들 측벽(7802A, 7802B)은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높이와 이 높이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가지며,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5,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제 1 측벽(7802A)의 내면에서 폭방향의 중앙에 팽출벽(7808)이 높이 방향에 따라 연재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벽(7808)의 전단에, 팽출벽(7808)의 폭방향의 양단에 돌출하는 돌기(7810)가 형성되고, 팽출벽(7808)의 후단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갈 래형상의 스프링용 누름편(78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제 1 측벽(7802A)의 후단에, 후경통(80)에 결합하기 위한 걸어맞춤 핀(7814)이 각각 돌설되어 있다.
도 18, 도 19는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0, 도 21은 코일(76) 및 기판(30)이 취착된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22는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23은 기판(30), 광학 필터(31) 및 코일(76)이 취착된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24는 도 20의 BB선 단면도이다.
후경통(80)은, 도 14, 도 16,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과, 코일 취착용 벽부(8004)와, 개구(8006)와, 걸어맞춤 돌기(8001)를 갖고 있다.
후단면벽(8002)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상에 연재되고 수용 공간(S)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한 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8, 도 19,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은, 서로 대향하는 2조의 변(8002A, 8002B)을 가지며, 한쪽의 1조의 변(8002A)에, 걸어맞춤 핀(7814)이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구멍(80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 1조의 변(8002B)에 코일 취착용 벽부(8004)가 마련되고, 환언하면, 코일 취착용 벽부(8004)는, 상기 광축을 끼운 후단면벽(8002)의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취착용 벽부(8004)는 코일(76)을 부착하기 위한 것이고, 코일 취착용 벽부(8004)는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전경통(78)의 주벽(7802)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돌설되어 있다.
도 18,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코일 취착용 벽부(8004)는, 변(8002B)의 양측의 후단면벽(800) 2개소로부터 돌설된 2개의 주벽(8020)과, 2개의 주벽(8020)의 높이 방향의 중간을 접속하는 접속벽(8022)을 갖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2,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주벽(8020)이 각각 외측에 면하는 면이, 동일면상에 연재되는 코일 당부면(當付面)(8020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접속벽(8022)은, 2개의 주벽(8020)의 코일 당부면(8020A)으로부터 외측으로 팽출하고, 변(8002B)의 연재 방향에 따라 가늘고 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8006)는, 상기 광축상에 위치한 후단면벽(8002)의 개소에 사각형형상으로 마련되고, 개구(8006)는 촬상 소자(29)가 수용되는 것이다.
걸어맞춤 돌기(8001)는, 코일 취착용 벽부(8004)가 마련된 후단면벽(8002)의 외단면(나머지 1조의 변(8002B))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9,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의 앞면에서 변(8002A)의 개소에는, 뒷스프링(70B)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8010)가 마련되고, 부착부(8010)는, 2개의 부착면(8012)과, 각 부착면(8012)으로부터 각각 돌설된 핀(8014)을 갖고 있다.
도 18,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의 앞면에서 각 주벽(8020)의 내측에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단일한 평면상에 연재되는 4개의 당부면(800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8006) 내에 촬상 소자(29)가 위치한 상태에서, 촬상 소자(29)의 외주를 돌러싸는 기판(30)이 후단면벽(8002)의 후면에 접착됨과 함께, 후단면벽(8002)의 앞면에 개구(8006)를 덮는 광학 필터(31)를 접착한 것으로서 촬상 소자(29)가 밀봉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후경통(80)은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2개의 측면부(2810B)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2830)이 2개의 걸어맞춤 돌기(8001)에 걸어맞춤으로써,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윗면부(2810A)와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 사이에 전경통(78)이 끼워지지되고, 이로써 전경통(78)과 후경통(80)이 결합되어 있다.
도 25는 마그넷(74)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사시도, 도 26은 마그넷(74) 및 뒷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사시도, 도 27은 마그넷(74) 및 뒷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평면도, 도 28은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 도 29는 뒷스프링(70B)이 취착된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이다.
렌즈 지지부(68)는, 도 14, 도 16, 도 25 내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광학계(34)를 지지하여 수용 공간(S)에 수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4,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광학계(34)는, 전방부터 후방으로 나열하여 배치된 1군 렌즈 내지 3군 렌즈(34A, 34B, 34C)와, 1군 렌즈(34A)와 2군 렌즈(34B)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34D)와, 2군 렌 즈(34B)와 3군 렌즈(34C)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34E)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5,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지지부(68)는 통부(6802)를 가지며, 통부(6802)는 촬영 광학계(34)가 배치되는 내면과, 상기 내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외면을 갖고 있다.
통부(6802)의 외면의 전후에는, 각각 앞플랜지(6804), 뒷플랜지(680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6802)의 외측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4개소에는 앞플랜지(6804)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스프링 당접면(6805)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스프링 당접면(6805)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연재되어 있다.
또한, 도 25,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6802)의 상기 외면의 대향하는 2개소에,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평행한 마그넷 부착용의 부착면(680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면(6808)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前端)에, 마그넷 협지용의 한 쌍의 협지편(68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5,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플랜지(6806)의 후면의 4구석에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단일한 평면상을 연재된 4개의 당부면(68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렌즈 지지부(68)는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70)은, 도 14,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S)에 배설되 고 렌즈 지지부(68)를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스프링(70)은, 앞스프링(70A)과 뒷스프링(70B)의 2개의 스프링에 구성되고, 그들 스프링(70A, 70B)은 수용 공간(S) 내에서 렌즈 지지부(68)의 상기 광축에 따라 끼운 개소와 경통부(66)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 있다.
앞스프링(70A)은 전경통(78)과 렌즈 지지부(68) 사이에 배설되고, 뒷스프링(70B)은 후경통(80)과 렌즈 지지부(68) 사이에 배설되는 것이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 2개의 스프링(70A, 70B)은, 얇고 작은 폭의 편체(片體)로부터 중앙에 촬영 광학계(34)의 광로용의 개구(7001)가 확보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에 개구(7001)가 형성된 환판부(環板部)(7002)와, 환판부(7002)의 외주에 접속된 2개의 지지편(7004)을 가지며, 상기 광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앞스프링(70A)은, 외주의 2개의 지지편(7004)이 전경통(78)의 돌기(7810)에 취착되고, 개구(7001)에 렌즈 지지부(68)의 통부(6802)의 앞 부분이 삽통되고 환판부(7002)가 렌즈 지지부(68)의 4개의 스프링 당접면(6805)(도 25 참조)에 맞닿게 하여 전경통(78)과 렌즈 지지부(68)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의 지지편(7004)은 전경통(78)의 성형시에 매입된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돌기(7810)(도 17 참조)에 취착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스프링(70B)은, 내측에 개구(7001)가 형성된 환판부(7010)와, 환판부(7010)의 외주에 접속된 2개의 지지편(7012)을 갖고 있다.
뒷스프링(70B)은, 환판부(7010)가 렌즈 지지부(68)의 뒷플랜지(6806)의 후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뒷스프링(70B)의 2개의 지지편(7012)에 형성된 구멍(7014)(도 29 참조)이 후경통(80)의 핀(8014)(도 19 참조)에 삽통되고, 지지편(7012)의 구멍(7014)의 주위의 부분이, 전경통(78)의 스프링용 누름편(7812)(도 17 참조)과, 후경통(80)의 부착면(8012) 사이(도 19 참조)에 끼워지지되고, 이로써, 뒷스프링(70B)은, 후경통(80)과 렌즈 지지부(68)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76)에 통전되지 않고 마그넷(74)(렌즈 지지부(68))에 추력(推力)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앞스프링(70A)과 뒷스프링(70B)은, 렌즈 지지부(68)를, 렌즈 지지부(68)의 각 당부면(6812)(도 25, 도 29 참조)이,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의 각 당부면(8008)(도 18, 도 22 참조)에 꽉닿도록, 환언하면, 상기 광축 방향에서 가장 후단에 위치시키도록 가세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렌즈 지지부(68)의 각 당부면(6812)이,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의 각 당부면(8008)에 꽉닿음으로써,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대해 직교하는 상태가 되고, 또한,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상의 초점 거리가 무한원이 되고, 따라서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가 형성된다.
구동부(72)는, 렌즈 지지부(68)를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74)과 코일(7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5,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74)은 2개 마련되고, 이들 마그넷(74)은,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마그넷(74)은, 상기 광축을 끼운 렌즈 지지부(68)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넷(74)은, 각 부착면(6808)상에 배치되고, 한 쌍의 협지편(6810)에 끼워지지된 상태에서 부착면(6808)에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마그넷(74)은 상기 광축에 따른 양단에 N극과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되어 있고, 각 마그넷(74)은, 그들의 자속을 효율적으로 코일(76)에 유도하기 위한 판형상의 요크(7402)를 통하여 부착면(6808)에 접착되어 있다.
코일(76)은, 도 18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74)에 면하는 경통부(66)의 2개소에 각각 마련되고, 이들 2개의 코일(76)은, 각각 도선이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축심의 주변에 권회(卷回)되어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갖는 가늘고 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코일(76)은, 상기 광축을 끼운 경통부(66)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코일(76)은 도선이 권회됨으로써 구성되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가 평행한 직선부와, 직선부의 양단 을 접속하는 2개의 만곡부를 갖는 긴원형상을 나타내고, 중앙에 가늘고 길다란 중앙 개구(7602)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76)은, 도 14,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을 주벽(8020)에 맞춤과 함께 상기 2개의 만곡부를 코일 당부면(8020A)에 닿게 붙이며, 또한, 코일(76)의 중앙 개구(7602)에 접속벽(8022)을 끼워넣은 상태로 접착제에 의해 취착되어 있다.
2개의 코일(76)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선의 중간 부분(76040을 통하여 직렬 접속되어 있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코일(76)의 도선의 단부(7605)는,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돌설된 볼록부(8003)에 각각 권회되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 권회된 부분이 솔더링에 의해 기판(30)의 표면의 솔더링 패드(3010)에 솔더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선에는, 기판(30)으로부터 각 솔더링 패드(3010)를 통하여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이로써, 코일(76)로부터 자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코일(76)에 의해 발생한 자계와, 마그넷(74)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코일(76)에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힘(추력)이 발생하고, 이로써, 스프링(70)에 의해 지지된 렌즈 지지부(68) 및 촬영 광학계(34)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결상된 피사체상의 초점맞춤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33은 마그넷(74)과 코일(76)의 동작 설명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76)에 구동 신호가 화살 표(A)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74)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에 따라 화살표 방향의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코일(76)에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신호가 흐르면,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자계가 코일(76)로부터 발생함으로써,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에 따라 상기와는 역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촬영 광학계(34)와 마그넷(74)이 마련된 렌즈 지지부(68)의 중심을 끼우는 2개소가 코일(76)에 의한 추력이 발생한 역점으로서 구성되고, 또한, 앞스프링(70A) 및 뒷스프링(70B)의 작용점이 상기 중심과 상기 역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렌즈 지지부(68)가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정확하게 이동하는데 유리하게 되고, 따라서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의 왜곡을 억제하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경통(78)에 앞스프링(70A)이 조립된 제 1 유닛(U1)과, 렌즈 지지부(68)에 촬영 광학계(34)와 마그넷(74)과 뒷스프링(70B)이 조립된 제 2의 유닛(U2)과, 후경통(80)에 코일(76)과 촬상 소자(29)와 기판(30)이 조립된 제 3 유닛(U3)을, 각각 제각기 조립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제 2 유닛(U2)을 제 3 유닛(U3)에 조립한다. 환언하면, 뒷스프링(70B)의 구멍(7014)에 후경통(80)의 핀(8014)(도 38 참조)을 삽통시켜서 제 2 유닛(U2)과 제 3 유닛(U3)을 맞춘다.
뒤이어, 그 조립한 것에 제 1 유닛(U1)을 조립한다. 환언하면, 앞스프링(70A)의 개구(7001)에 렌즈 지지부(68)의 통부(6802)의 앞 부분을 삽통시켜서 환판부(7002)를 렌즈 지지부(68)의 4개의 스프링 당접면(6805)에 맞닿게하여 제 1 유닛(U1)과 제 2 유닛(U2)을 맞춘다.
최후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제 1 유닛(U1)의 위에 씌워서, 그 걸어맞춤 홈(2830)을 걸어맞춤 돌기(8001)에 걸어맞춤시킨다. 환언하면,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제 1 유닛(U1)의 위에 씌워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윗면부(2810A)와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 사이에 전경통(78)을 끼워지지시킨다.
이로써 제 1 유닛(U1)과 제 3 유닛(U3)이 결합되고, 카메라 모듈(22)이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카메라 모듈(22)에 의하면, 촬영 광학계(34)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68)에 마그넷(82)을 마련하고, 경통부(66)에 코일(84)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렌즈 지지부에 코일을 마련하고, 경통부에 코일을 마련한 카메라 모듈에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에 스트레스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에 충격이 가해져서 렌즈 지지부가 이동하면, 코일의 도선에 큰 힘이 가해져서, 단선 등의 발생이 우려되는 것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부적합함의 발생이 방지되고, 내구성이나 내충격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경통부에 마그넷을 마련하고 렌즈 지지부에 코일을 마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도전 부재로 형성하고, 이 스프링을 코일에 솔더링하고, 스프링을 통하여 코일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솔더링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코일을 부착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준비하고, 이 전용 부재에 코일을 부착한 상태에서 솔더링을 행하고, 그 후, 전용 부재를 렌즈 지지부에 부착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수고가 든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을 부착하기 위한 전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코일의 부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부품 갯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소형화, 제조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렌즈 지지부에 마련된 코일이 통전에 의해 발열하면, 그 열이 렌즈 지지부를 통하여 촬영 광학계에 전해지고 렌즈가 열에 의한 영향을 받아서(예를 들면 열팽창에 의한 변형 등) 광학 특성의 악화가 우려됨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와 같은 부적합함의 발생이 방지되고, 촬영 광학계의 광학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을 솔더링하는 공정에서, 그 열이 렌즈 지지부를 통하여 촬영 광학계에 전해지고 렌즈가 열에 의한 영향을 받아서 광학 특성이 악화한 것이 우려됨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이 마 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와 같은 부적합함의 발생이 방지되고, 촬영 광학계의 광학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구동 신호를 스프링을 통하여 코일에 공급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재료가 도전 재료로 한정됨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코일(84)에 직접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동 신호를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프링의 재질이 비도전 재료라도 좋고, 설계의 자유도를 확보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도선을 권회한 코일을 렌즈 지지부에 마련하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의 중심의 밸런스가 코일의 중심의 편차에 따라 좌우되는 부적합함이 있음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코일에 비교하고 형상이나 치수의 정밀도를 내기 쉬운 마그넷을 렌즈 지지부에 마련하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의 중심의 밸런스를 취하기 쉽고, 촬영 광학계의 광축의 경사를 억제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렌즈 지지부에 코일을 마련하기 때문에, 렌즈 지지부를 경통부에 조립할 때에, 코일의 도선의 배선이나 솔더링이 번잡하였음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렌즈 지지부에 마그넷이 마련되고, 경통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유닛(U1, U2, U3)을 제각기 조립하여 둠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용이하게 완성할 수 있고, 코일의 도선의 배선이나 솔더링 등의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렌즈 지지부(68)의 각 당부면(6812)이, 후경 통(80)의 후단면벽(8002)의 각 당부면(8008)에 꽉닿음으로서,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가 형성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렌즈 지지부(68)의 각 당부면(6812)이,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의 각 당부면(8008)에 꽉닿을 때, 렌즈 지지부(68)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무한원 위치가 형성되면, 촬영 광학계(34)의 광축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대해 기울어지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이 우려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촬영 광학계(34)를 포함하는 렌즈 지지부(68)의 중심과, 렌즈 지지부(68)와 각 스프링(70A, 70B)이 연결되어 있는 개소, 즉, 작용점(지점(支點))과, 2개의 마그넷(74)에 있어서의 추력이 발생하는 위치인 역점의 3개의 위치를 합치시키는 것이 구조상 불가능하고, 게다가, 그들 3개의 위치가 부품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에 의해 흐트러짐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이런 종류의 카메라 모듈(22)에서는, 많은 경우, 카메라 모듈(22)과 피사체와의 거리가 약 1m 이상이고, 따라서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비율이 8할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무한원 위치에서 촬상되는 화상의 왜곡을 방지하는 것이 카메라 모듈(22)을 실제로 사용하는데 가장 중요해진다.
이와 같은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에서의 렌즈 지지부(68)의 경사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도 30은 렌즈 지지부(68)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31은 카메라 모듈(22)의 후경통(80)의 평면도, 도 32는 렌즈 지지부(68)의 후면도이다.
도 30,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에는, 해당 후단면벽(8002)이 연재되는 평면과 직교하는 축선에 따라 형성된 원추면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 오목부(8040)가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걸어맞춤 오목부(8040)는, 상기 광축을 끼우고, 또한, 상기 광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등한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도 30,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걸어맞춤 오목부(8040)에 면하는 렌즈 지지부(68)의 뒷플랜지(6806)의 개소에는, 상기 광축과 평행한 축선에 따라 형성되고 2개의 걸어맞춤 오목부(8040)의 원추면과 합치하는 형상의 원추면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 볼록부(684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76)에의 통전이 정지되면, 스프링(70A, 70B)의 가세력에 의해, 렌즈 지지부(68)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렌즈 지지부(68)의 2개의 걸어맞춤 볼록부(6840)가 후경통(80)의 2개의 걸어맞춤 오목부(8040)에 걸어맞춤하고, 이로써,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가 형성된다.
이 때, 걸어맞춤 볼록부(6840)와 걸어맞춤 오목부(8040)의 서로의 원추면이 겹쳐짐으로써 서로의 원추면의 축선이 합치하도록, 렌즈 지지부(68)의 자세가 정해지고, 이로써,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무한원 위치에서의 렌즈 지지부(68)의 경사가 방지된다.
따라서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다.
또한, 무한원 위치와 반대측의 위치인 렌즈 지지부(68)(촬영 광학계(34))의 전단 위치, 즉, 카메라 모듈(22)과 피사체가 가장 접근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화상의 왜곡을 방지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그 때에는, 렌즈 지지부(68)와 전경통(78)에 각각 걸어맞춤 볼록부과 걸어맞춤 오목부를 마련하면 좋다.
다음에 제 1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34는 제 1의 참고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22)의 분해 사시도, 도 35는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설명도, 도 36은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37은 후경통(80)의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AA선 단면도, 도 39는 렌즈 지지부(68)가 후경통(80)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1의 참고예가 상술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다른 것은 코일의 구성이고, 그 밖의 구성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같기 때문에,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개소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카메라 모듈(22)은,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통부(66)와, 렌즈 지지부(68)와, 스프링(70)과, 촬상 소자(29)와, 구동부(72)를 구비하고, 구동부(72)는, 마그넷(82)과, 코일(8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렌즈 지지부(68)와, 스프링(70)과, 촬상 소자(29)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2개의 마그넷(82)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광축을 끼운 렌즈 지지부(68)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어 있다.
2개의 마그넷(82)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그넷(82)의 배설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82)은, 렌즈 지지부(68)의 한 쌍의 협지편(6810)에 끼워지지된 상태에서 요크(8202)를 통하여 렌즈 지지부(68)의 부착면(6808)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82)의 착자 형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코일(84)은, 도선이 상기 광축의 주변에 권회되어 광축 방향에서 보아 광축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코일(84)은 사각형의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코일(84)은 마그넷(82)의 상기 광축 방향의 앞 부분에 면하는 제 1의 코일(84A)과, 마그넷(82)의 광축 방향의 뒷 부분에 면하는 제 2의 코일(84B)의 2개의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은, 도 35,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재되고 2개의 마그넷(82)에 면하는 2개의 코일부(8402)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코일부(8402)는,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과 그들 높이 및 폭보다도 작은 치수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경통부(66)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경통(78)과, 후경통(80)을 갖고 있다.
전경통(78)은,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축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벽(78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경통(80)은, 도 37,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상에 연재되고 주벽(7802)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는 후단면벽(8002)과,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돌설되고 주벽(7802)의 내측에 수용되어 수용 공간(S)의 측면을 구획 코일(84)이 권장(卷裝)되는 통형상 벽부(8050)와, 상기 광축상에 위치하는 후단면벽(8002)의 개소에 마련되고 촬상 소자(29)가 수용되는 개구(800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 벽부(8050)의 외주에 광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 1의 코일 장착 홈(8052A)과 제 2의 코일 장착 홈(8052B)이 마련됨과 함께 그들 코일 장착 홈(8052A, 8052B) 사이에 플랜지(8054)가 돌설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코일 장착 홈(8052A)의 저면과 제 2의 코일 장착 홈(8052B)의 저면은, 단일 가상 평면에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저면부(8056A, 8056B)를 각각 갖고 있다.
제 1의 코일(84A)은 제 1의 코일 장착 홈(8052A)에 장착되어 배설되어 있다.
제 2의 코일(84B)은 제 2의 코일 장착 홈(8052B)에 장착되어 배설되어 있다.
도 37,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코일 장착 홈(8052A)의 저면부(8056A)와 제 2의 코일 장착 홈(8052B)의 저면부(8056B)에,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을 마그넷(82)에 대면시키는 개구(805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카메라 모듈(22)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경통(78)에 앞스프링(70A)이 조립된 제 1 유닛(U1)과, 렌즈 지지부(68)에 촬영 광학계(34)와 마그넷(82)과 뒷스프링(70B)이 조립된 제 2의 유닛(U2)과, 후경통(80)에 코일(84)과 촬상 소자(29)와 기판(30)이 조립된 제 3 유닛(U3)을, 각각 제각기 조립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제 2 유닛(U2)을 제 3 유닛(U3)에 조립한다. 환언하면, 뒷스프링(70B)의 구멍(7014)에 후경통(80)의 핀(8014)(도 38 참조)을 삽통시켜서 제 2 유닛(U2)과 제 3 유닛(U3)을 맞춘다.
뒤이어, 그 조립한 것에 제 1 유닛(U1)을 조립한다. 환언하면, 앞스프링(70A)의 개구(7001)에 렌즈 지지부(68)의 통부(6802)의 앞 부분을 삽통시켜서 환판부(7002)를 렌즈 지지부(68)의 4개의 스프링 당접면(6805)에 꽉닿게 하여 제 1 유닛(U1)과 제 2 유닛(U2)을 맞춘다.
최후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제 1 유닛(U1)의 위에 씌워서, 그 걸어맞춤 홈(2830)을 걸어맞춤 돌기(8001)에 걸어맞춤시킨다. 환언하면,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을 제 1 유닛(U1)의 위에 씌워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의 윗면부(2810A)와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 사이에 전경통(78)을 끼워지지시킨 다.
이로써 제 1 유닛(U1)과 제 3 유닛(U3)이 결합되고, 카메라 모듈(22)이 완성된다.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은, 도선의 중간부분(도시 생략)을 통하여 직렬 접속되어 있고,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코일(84A, 84B)의 도선의 단부는,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돌설된 볼록부(8003)에 각각 권회되고, 그들 권회된 부분이 솔더링에 의해 기판(30)의 표면의 솔더링 패드에 솔더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선에는, 기판(30)으로부터 상기 각 솔더링 패드를 통하여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이로써,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로부터 자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82)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에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힘(추력)이 발생하고, 이로써, 스프링(70)에 의해 지지된 렌즈 지지부(68) 및 촬영 광학계(34)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의 초점맞춤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제 1의 코일(84A)과 제 2의 코일(84B)의 권회 방향과 마그넷(82)의 착자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0, 도 41은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이다.
우선, 도 40을 참조하여, 제 1의 코일(84A)의 도선의 권회 방향과, 제 2의 코일(84B)의 도선의 권회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마그넷(82)은, 상기 광축에 따른 양단에 N극과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된 것을 이용한다.
제 1의 코일(84A)(코일부(8402))에 구동 신호가 화살표(A) 방향으로 흐름과 함께, 제 2의 코일(84B)(코일부(8402))에 구동 신호가 화살표(B)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8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에 따라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또한, 제 1, 제 2의 코일(84A, 84B)(코일부(8402))에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신호가 흐르면,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자계가 제 1, 제 2의 코일(84A, 84B)로부터 발생함으로써, 렌즈 지지부(68)에는,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다음에, 도 41을 참조하여, 제 1의 코일(84A)의 도선의 권회 방향과, 제 2의 코일(84B)의 도선의 권회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마그넷(82)은, 그 두께 방향의 양측에 N극과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된 것을 이용한다.
제 1, 제 2의 코일(84A, 84B)(코일부(8402))에 구동 신호가 화살표(A)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8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에 따라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제 1, 제 2의 코일(84A, 84B)(코일부(8402))에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신호가 흐르면,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자계가 제 1, 제 2의 코일(84A, 84B)로부터 발생함으로써, 렌즈 지지부(68)에는,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의 참고예의 카메라 모듈(22)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 1의 참고예에 의하면, 코일(84)은, 도선이 상기 광축의 주변에 권회되고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 광축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경통부(66)에 도선을 권회함으로써 코일(84)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일(84)을 경통부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미리 도선을 고리형상으로 권회하여 성형한 것을 준비해 두고, 뒤이어, 그 성형된 코일(84)을 경통부에 접착으로 부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립 작업의 간소화,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다음에 제 2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2의 참고예가 제 1의 참고예와 다른 것은 코일의 구성이고, 그 밖의 구성은 제 1의 참고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 1의 참고예와 같은 개소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2는 제 2의 참고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22)의 렌즈 지지부(68)가 후경통(80)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3은 카메라 모듈(22)의 단면도, 도 44는 후경통(80)의 단면도이다.
제 1의 참고예에서는 2개의 코일(84A, 84B)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제 2의 참고예에서는 코일(84)은 하나만 사용되고 있다.
코일(84)은, 도 42,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재되고 2개의 마그넷(82)에 면하는 2개의 코일부(8402)를 갖고 있다.
코일부(8402)는, 마그넷(82)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과 그들 높이 및 폭보다도 작은 치수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경통부(66)는, 제 1의 참고예와 마찬가지로, 전경통(78)과, 후경통(80)을 가지며, 도 42,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경통(80)의 통형상 벽부(8450)의 외주에 코일 장착 홈(8460)이 마련되어 있다.
코일 장착 홈(8460)의 저면은, 상기 단일 가상 평면에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저면부(8462)를 각각 갖고 있다.
코일(84)은 코일 장착 홈(8460)에 장착되어 배설되고, 코일 장착 홈(8460)의 저면부(8462)에, 코일(84)을 마그넷(82)에 대면시키는 개구(8464)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84)의 도선의 양단부는, 후경통(80)의 후단면벽(8002)으로부터 돌설된 볼록부(8003)에 각각 권회되고, 그들 권회된 부분이 솔더링에 의해 기판(30)의 표 면의 솔더링 패드에 솔더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선에는, 기판(30)으로부터 상기 각 솔더링 패드를 통하여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이로써, 코일(84)로부터 자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코일(84)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82)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코일(84)에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힘(추력)이 발생하고, 이로써, 스프링(70)에 의해 지지된 렌즈 지지부(68) 및 촬영 광학계(34)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 소자(29)의 촬상면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의 초점맞춤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코일(84)의 권회 방향과 마그넷(82)의 착자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5는 마그넷(82)과 코일(84)의 동작 설명도이다.
마그넷(82)은, 그 두께 방향의 양측에 N극과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된 것을 이용한다.
코일(84)(코일부(8402))에 구동 신호가 화살표(A)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8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지지부(68)에는, 광축 방향에 따라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코일(84)(코일부(8402))에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신호가 흐르면,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자계가 코일(84)로부터 발생함으로써, 렌즈 지지부(68)에는,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힘(F)이 작용하고 렌즈 지지부(68)가 움직인다.
제 2의 참고예에서도, 제 1의 참고예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제 1의 참고예에서는, 제 1, 제 2의 코일(84A, 84B)의 2개의 코일을 이용하고 있지 만, 제 2의 참고예에서는, 코일(84)이 하나로 끝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의 간소화,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보다 한층 유리하게 된다.
다음에 제 3의 참고예의 카메라 모듈(22)에 관해 설명한다.
제 3의 참고예는, 그들 내측 경통과 외측 경통을 끼워지지하는 결합고정판(86)을 주요 부분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 3의 참고예에서는, 제 1의 실시의 형태로 설명한 전경통(78)이 외측 경통(78)이 되고, 후경통(80)이 내측 경통(80)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2)은, 수용 공간(S)을 갖는 경통부(66)와, 촬영 광학계(34)를 지지하고 수용 공간(S)에 수용되고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렌즈 지지부(68)와, 경통부(66)에 마련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29)와, 렌즈 지지부(68)를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7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통부(66)는, 수용 공간(S)이 형성된 내측 경통(80)과, 내측 경통(80)의 외측에 배치된 외측 경통(78)을 갖고 있다.
내측 경통(80)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상에 연재되고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고 촬상 소자(29)가 수용되는 개구(8006)가 형성된 후단면벽(8002)을 갖고 있다.
내측 경통(80)의 외측에 외측 경통(78)이 배치된 상태에서, 그들 경통(78, 80)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덜컹거리는 일 없이 결합된다.
제 3의 참고예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4개의 주벽(8020)이, 도 17에 도시하는 외측 경통(78)의 주벽(7802)의 내측의 4개의 모서리부 7820)에 걸어맞춤으로써, 그들 경통(78, 80)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덜컹거리는 일 없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이 상기 광축 방향의 전방에 면하는 개소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1의 당부면(8061)이 형성되고,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2의 당부면(7822)이 형성되고, 내측 경통(80)의 외측에 외측 경통(78)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 1의 당부면(8061)과 제 2의 당부면(7822)이 맞닿아진다.
즉, 제 1의 당부면(8061)과 제 2의 당부면(7822)이 맞닿아진 상태에서 결합고정판(86)에 의해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이 상기 광축 방향에서 끼워지지된다.
결합고정판(86)은,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판부(86A)와, 2개의 측판부(86B)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고정판(86)은, 전판부(86A)가 외측 경통(78)의 전단에 결합고정하고 2개의 측판부(86B)의 선단이 후단면벽(8002)에 결합고정한 상태에서,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을 상기 광축 방향에서 끼워지지하는 것이다.
이 결합고정판(86)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카메라 본체용 차폐판(2810)이다.
제 3의 참고예에서는, 결합고정판(86)은, 자기(磁氣) 차폐성과 전자(電磁) 차폐성과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서, 예를 들면, 고투자성 금속, 퍼멀로이, 산화철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결합고정판(86)의 전판부(86A)가 외측 경통(78)의 전단에 면하는 내면과 반대측에 위치한 외면(8602)에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며 또한 도전성을 갖는 표면 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도료의 도장 또는 광의 반사를 방지한 도금 처리가 채용 가능하다. 상기 도료로서는 예를 들면 흑색의 도료 등 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판부(86A)는,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결합고정하여 전단을 덮는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판부(86A)의 중앙에 촬영 광학계(34)의 광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8604)가 형성되어 있다.
경통부(66)는, 내측 경통(80)의 외측에 외측 경통(78)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두께와, 두께보다도 큰 치수의 세로와 가로를 갖는 사각형판형상의 윤곽을 나타내고, 전판부(86A)는 사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제 3의 당부면(7824)이 형성되고, 전 판부(86A)가 제 3의 당부면(7824)에 닿게 붙여짐으로써, 전판부(86A)가 외측 경통(78)의 전단에 결합고정한다.
제 3의 참고예에서는, 제 3의 당부면(7824)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 사각형 테두리형상으로 연재되어 있다.
또한, 도 1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의 당부면(7824)에 볼록부(7826)가 마련되고, 전판부(86A)에 볼록부(7826)에 걸어맞춤 가능한 노치부(8606)가 마련되고, 볼록부(7826)와 노치부(8606)가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서 외측 경통(78)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대한 전판부(86A)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부(86B)는, 전판부(86A)의 대향하는 1조의 변에서 각각 굴곡되어 있다.
측판부(86B)의 선단에 결합고정용의 걸어맞춤 홈(2830)이 마련되어 있다.
후단면벽(8002)의 외주의 상기 광축을 끼운 2개소에 각각 결합고정용의 돌기(8001)가 마련되고, 2개의 측판부(86B)의 선단의 후단면벽(8002)에의 결합고정은, 돌기(8001)와 걸어맞춤 홈(2830)이 결합고정함으로써 간단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경통(78)의 외주의 상기 광축을 끼운 개소에,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부(7830)가 각각 형성되고, 전판부(86A)가 외측 경통(78)의 전단에 결합고정하고 2개의 측판부(86B)의 선단이 후단면벽(8002)에 결합고정한 상태에서, 2개의 측판부(86B)는 평면 부(7830)에 각각 맞닿아진다.
제 3의 참고예에 의하면,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을 결합고정판(86)을 이용함에 의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간단하게 끼워지지할 수 있고,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접착제의 도포량이나 경화 조건의 조정 및 관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되고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돌기(8001)로부터 걸어맞춤 홈(2830)을 벗겨냄으로써 결합고정판(86)의 떼어냄도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결합고정판(86)을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으로부터 떼어냄에 의해,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을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경통(80)과 외측 경통(78)에 조립된 렌즈 지지부(68)나 구동부(72)의 조정이나 수리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행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제 3의 참고예와 같이, 구동부(72)가 렌즈 지지부(68)에 마련된 마그넷과, 내측 경통(80)에 마련된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마그넷이 카메라 모듈(22)의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자계에 의한 상호 자계 작용에 의해 생기는 힘에 의해 이동하고, 본래 위치하여야 할 위치로부터 변위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그 경우,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촬상 소자(29)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의 초점 어긋남 등이 발생해 버리는 등의 부적합함이 발생한다.
제 3의 참고예에서는, 결합고정판(86)이 자기 차폐성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자계가 결합고정판(86)에서 차폐되어 구동부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상기 부적합함을 방지할 수 있고 촬상되는 화상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의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는 결합고정판(86)에서 차폐되기 때문에, 그 자계가 카메라 모듈 주변의 전자 부품이나 전자 회로에 복사되어 악영향을 미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유리하게 된다.
특히, 카메라 모듈(22)이 휴대 전화기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22)의 부근에, 착신 통보용의 바이브레이션(진동) 발생용의 모터나 수화기(스피커) 등과 같이 자계를 발생하는 코일이나 마그넷을 이용한 부품이 배치되게 된다.
또한, 근래, 휴대 전화기는 보다 한층의 소형화, 박형화가 도모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부품과 카메라 모듈과의 거리가 근접하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구동부는 휴대 전화기 내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을 보다 받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제 3의 참고예에서는, 결합고정판(86)을 자기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의 소형화, 박형화를 실현하면서, 상기 부품으로부터의 자계의 영향을 방지하고, 촬상 소자(29)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제 3의 참고예에서는, 결합고정판(86)이 자기 차폐성에 더하여 전자 차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구동부(72)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결합고정판(86)에서 차폐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2)의 외부로 전자파가 복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22)에 근접하여 배치된 전자 부품이나 전자 회로에 대한 전자파의 영향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제 3의 참고예에서는, 결합고정판(86)이 도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결합고정판(86)을 소켓(24)을 이용하여 접지함으로써, 상기 전자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폐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제 3의 참고예의 구동부(72)와 달리, 구동부가 렌즈 지지부에 마련된 코일과, 경통부에 마련된 마그넷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그넷이 경통부에 마련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의 외부로부터의 자계의 영향을 받기가 어렵지만, 구동부의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가 카메라 모듈에 근접하고 배치된 전자 부품이나 전자 회로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결합고정판(86)을, 전자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함으로서 상기의 부적합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 차폐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판재, 금망(金網), 펀칭 메탈, 금속막(금속박, 증착, 도금)을 시행한 판재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자기 차폐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2)을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의 몸체 내부에 조립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22)은, 결합고정판(86)의 전판부(86A)의 개구를 몸체에 마련된 몸체측 개구에 면하게 하여 배치된다.
많은 경우, 몸체측 개구에는, 도 46에 도시하는 커버 유리(2)(도 1에 도시하는 렌즈 커버(58)에 상당)가 장착되고, 카메라 모듈의 결합고정판(86)의 전판부(86A)의 외면(8602)과, 그 외면이 면하는 커버 유리(2)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때, 몸체의 바깥쪽으로부터 커버 유리(2)를 통과한 광(L)의 일부가, 전판부(86A)의 외면(8602)과, 커버 유리(2)의 내면 사이에서 반사를 반복하여 촬영 광학계(34)에 진입하면, 고스트라고 불리는, 흐려진 화상이 촬상 소자(29)에서 촬상되어 버리는 등의 부적합함이 생긴다.
제 3의 참고예에서는, 결합고정판(86)의 전판부(86A)의 외면(8602)에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표면 처리가 시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L)의 반사를 억제함으로써 고스트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촬상 소자(29)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지다.
또한, 상기 표면 처리는, 결합고정판(86)의 전판부(86A) 및 측판부(86B)의 외면의 전역(全域)에 실시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그 경우, 상기 표면 처리에서 이용하는 도료 도금을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하면, 결합고정판(86)의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결합고정판(86)을 소켓(24)을 통하여 접지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결합고정판(86)에 의한 전자 차폐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제 3의 참고예에서는, 결합고정판(86)이 외측 경통(78)의 전단을 덮는 전판부(86A)와, 외측 경통(78)의 주벽(7802)의 대향하는 2개의 면을 덮는 2개의 측판부(86B)를 갖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전판부(86A)의 3변 또는 4변으로부터 측판부를 각각 굴곡 형성하고, 그들 3개 또는 4개의 측판부로 외측 경통(78)의 주벽(7802)의 3면 또는 4면을 덮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측판부(86B)의 선단에 위치하는 변으로부터 기판(30)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를 굴곡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결합고정판(86)으로 덮는 경통부(66)의 면의 수가 많을수록, 자 기 차폐 효과나 전자 차폐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다음에 제 4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47은 방진 커버(31), 경통부(66), 촬상 소자(29), 기판(30)의 조립 설명도, 도 48은 후단면벽(8002)의 평면도, 도 49는 방진 커버(31)의 부착 설명도, 도 50(A), (B)는 방진 커버(31)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제 4의 참고예에서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광학 필터(31)가 방진 커버(31)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2)은, 경통부(66)와, 촬영 광학계(34)를 지지하고 경통부(66)에 수용되고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렌즈 지지부(68)와, 경통부(66)에 마련되고 촬영 광학계(34)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29)와, 촬상 소자(29)가 탑재된 기판(30)과, 렌즈 지지부(68)를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7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통부(66)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상에 연재되고 경통부(66)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고 촬상 소자(29)가 수용되는 개구(8006)가 형성된 후단면벽(8002)을 갖고 있다.
도 47,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은, 상기 광축 방향의 전방을 향한 앞면(8070A)과, 상기 광축 방향의 후방을 향한 후면(8070B)을 갖고 있다.
촬상 소자(29)가 개구(8006)에 수용된 상태에서 기판(30)이 후단면벽(8002) 의 후면(8070B)에 접착제로 취착되어 있다. 이 기판(30) 및 접착제에 의해, 개구(8006)의 주위의 후단면벽(8002)의 후면(8070B) 부분이 폐색되고, 밀폐되어 있다.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에 투명한 방진 커버(31)가 접착제(B)에 의해 취착되고 개구(8006)가 폐색되어 있다.
또한, 방진 커버(31)는, 먼지의 개구(8006)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적외선 컷트 필터라도 좋고, 광학 필터 기능을 갖지 않는 유리 또는 합성 수지라도 좋다.
제 4의 참고예에서는, 도 48,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의 개구(8006)의 주위에, 개구(8006)의 둘레방향에 연속하고 촬영 광학계(34)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상에 연재되는 평탄한 당부면(806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8006)의 주위의 당부면(8060)의 개소에, 접착제(B)가 충전되는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은 개구(8006)의 둘레방향에 연속하여 연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의 연재 방향의 양단 사이에,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지 않은 당부면(8060)의 개소(8060A)가 잔존하고 있다.
제 4의 참고예에서는, 투명한 방진 커버(31)가 당부면(8060)에 맞닿아지고, 방진 커버(31)는, 접착제 충전용 홈(8062)에 충전된 접착제(B)에 의해 후단면 벽(8002)의 앞면(8070A)(당부면(8060))에 취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의 개구(8006)의 주위의 고리형상 부분과, 개구(8006)의 주위에 위치하는 방진 커버(31)의 외주부 사이에, 접착제 충전용 홈(8062)에 충전된 접착제(B)가 위치하는 접착부(90A)(도 50(A))와,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비접착부(90B)(도 50(B))가 개재하고, 비접착부(90B)는,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지 않은 당부면(8060)의 개소(8060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부(90A)에서는, 방진 커버(31)가 당부면(8060)에 맞닿아지고, 또한, 그러한 사이에 접착제(B)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부(90A)에서는, 개구(8006)가 기밀하게 폐색되어 있다.
또한, 비접착부(90B)에서는, 방진 커버(31)가 당부면(8060)에 닿아 붙여져 있기 때문에, 비접착부(90B)에서는, 엄밀하게는 기밀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지만 개구(8006)가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제 4의 참고예에서는, 접착부(90A)는, 개구(8006)의 주위에서 연속상태로 연재되어 있고, 비접착부(90B)는, 접착부(90A)의 연재 방향의 양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경통부(66)는 합성 수지제이고,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에 성형시의 웰드 라인(WL)이 존재하고 있고, 이 웰드 라인(WL)은, 비접착부(90B)가 개재하는 후단면벽(8002)의 앞면(8070A)의 개구(8006)의 주위의 고리형상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제 4의 참고예에 의하면, 경통부(66)의 후단에 위치한 후단면벽(8002)에 마련한 개구(8006)에 촬상 소자(29)를 수용하고, 이 개구(8006)의 앞 부분을 방진 커버(31)로 덮고, 개구(8006)의 뒷 부분을 촬상 소자(29)가 실장된 기판(30)으로 덮음에 의해, 패키지를 생략하고, 경통부(66)의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개구(8006)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용적이 종래의 패키지의 수용 오목부의 용적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팽창하지만, 제 4의 참고예에서는, 방진 커버(31)와 당부면(8060)을 맞춘 구성의 비접착부(90B)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방진 커버(31)와 당부면(8060) 사이에 먼지의 침입이 저지되며 또한 공기의 유통이 허용되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고, 이로써, 먼지의 개구(8006)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동시에, 비접착부(90B)를 통하여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져서, 방진 커버(31)의 변형의 우려가 없고, 촬상 소자(29)에서 촬상되는 화상의 품질을 확보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경통부(66)의 성형시에 형성되는 웰드 라인(WL)은 일반적으로 미세한 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웰드 라인(WL)에 의해 상술한 공기의 출입을 확보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웰드 라인(WL)을,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어 있는 당부면(8060)의 부분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웰드 라인(WL)을, 접착제 충전용 홈(8062)이 형성되지 않은 당부면(8060)의 개소(8060A)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개구(8006)의 주위의 당부면(8060)의 두께를 확보하고, 당부면(8060)의 강도를 확 보하는데 유리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 4의 참고예의 구성이 고체 촬상 장치에 적용된 제 5의 참고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51(A)는 고체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B)는 고체 촬상 장치의 평면도이다.
고체 촬상 장치(92)는, 패키지(93)와, 촬상 소자(29)와, 방진 커버(94)를 구비하고 있다.
패키지(93)에 수용 오목부(9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오목부(95)는 패키지(93)가 평탄한 윗면(93A)에 개구하고 있다.
수용 오목부(95)에는 촬상 소자(29)가 수용되고 있다.
방진 커버(94)는 윗면(93A)에 닿아 붙여지고, 방진 커버(94)는 접착제(B)에 의해 윗면(93A)에 취착되고, 수용 오목부(95)의 개구(95A)를 폐색하고 있다.
윗면(93A)의 개구(95A)의 주위의 고리형상 부분과, 개구(95A)의 주위에 위치하는 방진 커버(94)의 외주부 사이에,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는 접착부(96A)와,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비접착부(96B)가 개재하고 있다.
제 5의 참고예에서는, 윗면(93A)에 접착부(96A)를 구성하는 접착제(B)가 충전된 접착제 충전용 홈(97)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 충전용 홈(97)은, 개구(95A)의 주위에서 연속상태로 연재되어 있고, 접착제 충전용 홈(97)의 연재 방향의 양단 사이에 접착제 충전용 홈(97)이 형성되지 않은 윗면부분(93B)이 잔존하고 있다.
제 5의 참고예에서는, 접착제 충전용 홈(97)에 충전된 접착제(B)에 의해 패키지(93)의 윗면(93A)에 방진 커버(94)가 취착되어 있다.
따라서 윗면(93A)의 개구(95A)의 주위의 고리형상 부분과, 개구(95A)의 주위에 위치한 방진 커버(94)의 외주부 사이에,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는 접착부(96A)와,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비접착부(96B)가 개재하고 있다. 환언하면, 개구(95A)의 주위에서, 윗면(93A)과 방진 커버(94) 사이에, 접착부(96A)와 비접착부(96B)가 개재하고 있다. 비접착부(96B)는, 접착제 충전용 홈(97)이 형성되지 않은 윗면부분(93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비접착부(96B)에서는, 방진 커버(94)는 윗면(93A)에 닿아 붙여져 있다.
접착부(96A)에서는, 방진 커버(94)가 윗면(93A)에 닿아 붙여지고, 또한, 그들 사이에 접착제(B)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부(96A)에서는, 개구(95A)가 기밀하게 폐색되어 있다.
또한, 비접착부(96B)에서는, 방진 커버(94)가 윗면(93A)에 닿아 붙여져 있기 때문에, 비접착부(96B)에서는, 엄밀하게는 기밀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지만 개구(95A)가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제 5의 참고예에서는, 접착부(96A)는, 개구(95A)의 주위에서 연속상태로 연재되어 있고, 비접착부(96B)는, 접착부(96A)의 연재 방향의 양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 충전용 홈(97)은, 윗면(93A)에 교차한 패키지(93)의 측면에 개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5의 참고예에 의하면,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수용 오목부(95) 내부의 공간 내의 공기가 팽창하여도, 방진 커버(94)와 윗면(93A)을 맞추었던 구성의 비접착부(96B)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방진 커버(94)와 윗면(93A) 사이에 먼지의 침입이 저지되며 또한 공기의 유통이 허용되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고, 이로써, 먼지의 수용 오목부(95) 내로의 침입이 저지되는 동시에, 비접착부(96B)를 통하여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져서, 방진 커버(31)의 변형의 우려가 없고, 촬상 소자(29)에서 촬상된 화상의 품질을 확보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20)가 조립되는 전자 기기(10)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예를 들면, PDA,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또는,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의 여러가지의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12)

  1. 수용 공간을 갖는 경통부(lens holding unit)와,
    촬영 광학계를 지지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렌즈 지지부와,
    상기 수용 공간에 배설되고 상기 렌즈 지지부를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경통부에 마련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에 의해 유도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 지지부를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렌즈 지지부에 마련된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에 면하는 상기 경통부의 개소에 마련된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판형상으로 2개 마련되고,
    상기 2개의 마그넷은, 상기 광축을 끼운 상기 렌즈 지지부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2개 마련되고,
    상기 2개의 마그넷은,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마그넷은, 상기 광축을 끼운 상기 렌즈 지지부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2개 마련되고,
    상기 2개의 코일은, 상기 광축을 끼운 상기 경통부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2개 마련되고,
    상기 2개의 코일은, 각각 도선이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축심의 주변에 권회되어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갖는 가늘고 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코일은, 상기 광축을 끼운 상기 경통부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판형상으로 2개 마련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가지며,
    상기 2개의 마그넷은, 상기 광축을 끼운 상기 렌즈 지지부의 개소에서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고,
    상기 코일은 2개 마련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높이와 이 높이보다도 큰 치수로 이 높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폭을 가지며,
    상기 2개의 코일은, 상기 단일 가상 평면에 대해 평행되어지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2개 마련되고, 그들 스프링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상기 렌즈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경통부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2개 마련되고, 그들 스프링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상기 렌즈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경통부 사이에 각각 배설되고,
    상기 2개의 스프링은, 얇고 작은 폭의 편체로부터 중앙에 촬영 광학계의 광로용의 개구가 확보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스프링은, 각각 내주부가 상기 렌즈 지지부에 취착되고, 외주부가 상기 경통부에 취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는, 전경통과, 후경통을 가지며,
    상기 전경통은, 상기 광축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을 구획하는 주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경통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상에 연재되고 상기 주벽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는 후단면벽과, 상기 후단면벽으로부터 상기 주벽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돌설되고 상기 코일이 취착되는 코일 취착용 벽부와, 상기 광축상에 위치하는 상기 후단면벽의 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촬상 소자가 수용되는 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는, 전경통과, 후경통을 가지며,
    상기 전경통은, 상기 광축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을 구획하는 주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경통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면상에 연재되고 상기 주벽의 상기 광축 방향의 후단을 폐색하는 후단면벽과, 상기 후단면벽으로부터 상기 주벽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돌설되고 상기 코일이 취착되는 코일 취착용 벽부와, 상기 광축상에 위치하는 상기 후단면벽의 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촬상 소자가 수용되는 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광축을 끼운 상기 렌즈 지지부의 개소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코일 취착용 벽부는, 상기 광축을 끼운 상기 후단면벽의 2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코일 취착용 벽부는 상기 후단면벽으로부터 돌설된 2개의 주벽(柱壁)과, 상기 2개의 주벽의 높이 방향의 중간을 접속하는 접속벽을 가지며,
    상기 코일은 2개 마련되고, 각각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을 상기 2개의 주벽에 맞추고, 또한, 상기 코일의 중앙 개구에 상기 접속벽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취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부는, 상기 촬영 광학계가 배치되는 내면과, 상기 내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외면을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상기 렌즈 지지부의 상기 외면의 2개소에, 상기 광축을 통과하는 단일 가상 평면에 평행한 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면에 마그넷 협지용의 한 쌍의 협지편이 돌설되고,
    상기 마그넷은 판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각 부착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협지편에 끼워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편은, 상기 부착면의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前端)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97003534A 2006-10-27 2007-10-17 카메라 모듈 KR20090071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93144 2006-10-27
JP2006293144A JP5338025B2 (ja) 2006-10-27 2006-10-27 カメラ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545A true KR20090071545A (ko) 2009-07-01

Family

ID=3934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534A KR20090071545A (ko) 2006-10-27 2007-10-1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78969B2 (ko)
EP (1) EP2077461B1 (ko)
JP (1) JP5338025B2 (ko)
KR (1) KR20090071545A (ko)
CN (1) CN101529302A (ko)
TW (1) TWI405456B (ko)
WO (1) WO20080537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51B1 (ko) * 2010-11-18 2018-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6935B2 (ja) 2008-06-20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TWI479219B (zh) * 2010-06-22 2015-04-01 Hon Hai Prec Ind Co Ltd 攝像模組及其組裝方法
CN103262521B (zh) * 2010-12-09 2017-02-22 Lg伊诺特有限公司 照相机模块
CN102937770A (zh) * 2011-08-16 2013-02-2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模组及应用该摄像模组的便携式电子装置
US8817116B2 (en) * 2011-10-28 2014-08-2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1920314B1 (ko) * 2011-10-31 2019-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2703862B1 (en) * 2012-09-04 2019-06-19 CLAAS E-Systems GmbH Camera lens
CN104469099A (zh) * 2013-09-25 2015-03-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摄像头安装结构及应用该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6158043B2 (ja) * 2013-10-31 2017-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撮像レンズの位置決め方法
KR102542645B1 (ko) * 2015-08-18 2023-06-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1708320B1 (ko) 2016-04-15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4114483B (zh) * 2016-05-09 2024-04-16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及光学装置
CN207010790U (zh) * 2017-04-17 2018-02-13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成像模组
JP2019082623A (ja) * 2017-10-31 2019-05-30 日本電産三協電子(東莞)有限公司 光学ユニット
KR102104453B1 (ko) * 2017-11-09 2020-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45460B1 (ko) * 2018-07-23 2023-06-20 주식회사 정진넥스텍 휴대 단말기 카메라모듈용 렌즈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CN113009600B (zh) * 2019-12-19 2022-05-31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镜筒、摄像模组及摄像设备
CN114755787A (zh) * 2020-12-25 2022-07-15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驱动装置、照相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538892B1 (ko) * 2021-03-02 2023-06-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318A (en) * 1990-07-31 1994-02-22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for moving a lens
JP2803896B2 (ja) * 1990-07-31 199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H04293005A (ja) * 1991-03-22 1992-10-16 Canon Inc 光学機器
JP3246241B2 (ja) * 1994-11-17 2002-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装置
JPH11273106A (ja) * 1998-03-26 1999-10-08 Toshiba Corp 電磁駆動装置および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0321475A (ja) * 1999-05-13 2000-11-24 Sony Corp 光学駆動装置
JP2002023037A (ja) 2000-07-07 2002-01-23 Sony Corp レンズ鏡筒
JP4324368B2 (ja) 2002-10-18 2009-09-02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4250409B2 (ja) * 2002-12-04 2009-04-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7440201B2 (en) * 2003-04-16 2008-10-21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driving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with camera
KR100519630B1 (ko) * 2003-07-22 2005-10-10 주식회사 엠투시스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JP2005091461A (ja) * 2003-09-12 2005-04-07 Sankyo Seiki Mf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カメラ付き携帯機器
JP2005295228A (ja) * 2004-03-31 2005-10-20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JP2006017924A (ja) * 2004-06-30 2006-01-19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カメラ
JP2006047342A (ja) * 2004-07-30 2006-02-16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TWI288258B (en) * 2005-05-27 2007-10-11 Powergate Optical Inc Auto-focusing device for lens
JP2006345589A (ja) * 2005-06-07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駆動装置、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および駆動装置の制御方法
KR100708772B1 (ko) * 2005-10-07 2007-04-17 주식회사 뮤타스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TWM290574U (en) * 2005-12-09 2006-05-11 Tricore Corp Voice coil motor-type focusing actuator
TWM294046U (en) * 2005-12-29 2006-07-11 E Pin Internat Tech Co Ltd Auto focusing lens module
US7505219B2 (en) * 2006-01-20 2009-03-17 Powergate Optical Inc. Multi-stage lens driving device
TWM300309U (en) * 2006-05-16 2006-11-01 Powergate Optical Inc Optical focus-adjusting device of mini zoom lenses
JP2008026784A (ja) * 2006-07-25 2008-02-07 Seiko Instruments Inc 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51B1 (ko) * 2010-11-18 2018-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6935A1 (en) 2010-02-25
CN101529302A (zh) 2009-09-09
EP2077461A4 (en) 2011-07-20
TWI405456B (zh) 2013-08-11
WO2008053710A1 (fr) 2008-05-08
EP2077461B1 (en) 2013-01-02
TW200826654A (en) 2008-06-16
US7978969B2 (en) 2011-07-12
JP5338025B2 (ja) 2013-11-13
EP2077461A1 (en) 2009-07-08
JP2008111873A (ja)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1545A (ko) 카메라 모듈
JP484482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11187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780299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US11874520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odule
CN101689010B (zh) 照相机模块
KR20100120619A (ko) 카메라 모듈
KR20090132536A (ko) 카메라 모듈
KR20070045960A (ko)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CN109154709A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JP201000434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11186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固体撮像装置
JP4787719B2 (ja) 撮像装置
JP5125799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337573A (zh) 相机设备和光学设备
CN110703401A (zh) 透镜驱动装置、照相机装置、电子设备及这些的制造方法
JP2008113065A (ja) 撮像装置
CN110703402A (zh) 透镜驱动装置、照相机装置、电子设备及这些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