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960A -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960A
KR20070045960A KR1020060104517A KR20060104517A KR20070045960A KR 20070045960 A KR20070045960 A KR 20070045960A KR 1020060104517 A KR1020060104517 A KR 1020060104517A KR 20060104517 A KR20060104517 A KR 20060104517A KR 20070045960 A KR20070045960 A KR 20070045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spring piece
opening
shield cas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사노우
히로카즈 후지오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실드 케이스(shield case)를 경통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고, 흔들리지 않게 장착하는 점에서 유리한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실드 케이스(40)의 전면 피복용 판부(4202)와 측면부(4204)로 경통본체(52)의 전면(前面)(5006)과 측면(5202)을 덮고, 용수철편(4210)을 전면(5006)에 계지(係止)(locking)시키는 동시에 계지돌기(5210)를 계지용 개구(4208)에 삽입하면, 각 용수철편(4210)이 탄성 변형하고, 용수철편(4210)이 전면(5006)에 압접(壓接)하는 동시에, 전면(5006)과 반대에 위치하는 계지돌기(5210)의 부분이, 계지용 개구(4208)의 용수철편(4210)과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는 가장자리(4208A)에 상시 압접한다. 이것에 의해, 서로 이웃이 되는 셔터 지지용 하우징(50)과 경통본체(52)의 부분이, 겹쳐지는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전(前)분할체(42)로 협지(挾持)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Camer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a), 도 1(b)은 카메라 모듈이 삽입된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a), 도 2(b)는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는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케이스체(14)에 삽입된 상태의 카메라 모듈(20)의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는 실드 케이스(shield case)(40)를 분리한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이다.
도 6(a), 도 6(b)은 실드 케이스(40)를 분리한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후분할체(後分割體)(44)를 제외한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실드 케이스(40)를 구성하는 전분할체(前分割體)(42)의 사시도이다.
도 10(a), 도 10(b)은 실드 케이스(40)를 구성하는 전분할체(42)의 사시도이다.
도 11(a)은, 실드 케이스(40)를 구성하는 후분할체(44)의 사시도, 도 11(b)는 실드 케이스(40)를 구성하는 후분할체(44)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카메라 모듈(20)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전분할체(42)와 후분할체(44)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카메라 모듈(20)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카메라 모듈(20)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카메라 모듈(20)을 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카메라 모듈(20)을 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경통(26)에 전분할체(42), 후분할체(4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도 2(b)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이다.
도 21은, 경통(26)에 전분할체(42), 후분할체(4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도 2(b)의 화살표(B)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이다.
도 22는, 경통(26)에 전분할체(42), 후분할체(4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도 2(b)의 화살표(C)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이다.
도 23은, 경통(26)에 전분할체(42), 후분할체(4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도 2(b)의 화살표(D)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휴대 전화기 20 : 카메라 모듈
22 : 카메라 본체 24 : 촬영 광학계
24 : 경통 30 : 촬상 소자
32 : 신호 처리부 40 : 실드 케이스
60 : 협지(挾持) 기구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카메라 모듈이 삽입된 휴대 전화기, 혹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촬영 광학계를 보관 유지하는 경통(鏡筒)과, 경통의 후단에 부착된 기판과, 경통내에 삽입되어 촬영 광학계로 안내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기판에 설치되어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갖추고, 경통 및 기판을 덮어 촬상 소자 및 신호 처리부에 대한 전자 차폐을 실시하는 실드(shield)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의 경통은,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서로 겹쳐져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통에서는, 각 경통 구성 부재의 치수의 불균일이 허용 오차의 범위에 들어가 있다고 해도, 각 경통 구성 부재의 치수의 불균일은,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가산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져서 구성된 경통에 대해서 실드 케이스를 어떻게 위치 결정하고,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흔들리지 않게 어떻게 장착할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실드 케이스를 경통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고, 흔들리지 않게 장착하는 점에서 유리한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촬영 광학계를 보관 유지하는 경통과, 상기 경통에 부착된 기판과, 상기 경통내에 삽입되어 상기 촬영 광학계에서 결상(結像)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카메라 본체와, 상기 경통 및 상기 기판을 덮어 상기 촬상 소자 및 신호 처리부에 대한 전자 차폐을 실시하는 실드 케이스를 갖추고, 상기 경통은,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서로 겹쳐져서 구성되며,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의 부분을, 상기 겹쳐지는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협지하는 것으로, 상기 실드 케이스가 상기 경통에 대해서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상기 경통에 장착되는 협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삽입된 카메라 모 듈을 갖추는 것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본체와, 실드 케이스를 갖추고, 상기 카메라 본체는, 촬영 광학계를 보관 유지하는 경통과, 상기 경통에 부착된 기판과, 상기 경통내에 삽입되어 상기 촬영 광학계에서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드 케이스는, 상기 경통 및 상기 기판을 덮어 상기 촬상 소자 및 신호 처리부에 대한 전자 차폐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통은,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서로 겹쳐져서 구성되며,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의 부분을, 상기 겹쳐지는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협지하는 것으로, 상기 실드 케이스가 상기 경통에 대해서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상기 경통에 장착되는 협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b)는 카메라 모듈이 삽입된 전자기기인 휴대 전화기(10)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0)는, 힌지부(hinge portion)(12)에 의해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제 2케이스(14, 16)를 가지고 있다.
제 1케이스체(14)의 내면에는 액정 표시 패널(1402)이 설치되며, 제 2케이스(16)의 내면에는 숫자 패드나 기능 키 등의 조작 스위치(1602)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20)은, 제 1케이스체(14)의 기단부(基端部)에 삽입되며, 카메라 모듈(20)로 촬상한 화상은 액정 표시 패널(1402)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a), (b), 도 3(a), (b)는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 도 4는 제 1케이스체(14)에 삽입된 상태의 카메라 모듈(20)의 단면도, 도 5(a), (b), 도 6(a), (b)는 실드 케이스(40)를 분리한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이다.
카메라 모듈(20)은, 카메라 본체(22)와 실드 케이스(40)를 갖추고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22)는, 촬영 광학계(24)를 보관 유지하는 경통(26)과, 경통(26)에 부착된 기판(28)과, 경통(26)내에 삽입되어 촬영 광학계(24)에서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30)와, 기판(28)에 설치되어 촬상 소자(30)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32)(도 7, 도 8 참조)를 갖추고 있다.
경통(26)은, 촬영 광학계(24)의 광축에 따른 양측 부분에 전단과 후단을 가지고, 촬영 광학계(24)를 구성하여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광학 부재(2402)(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커버)가 경통(26)의 전단에 노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경통(26)은 직사각형 판 모양을 나타내고, 경통(26)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바꾸어 말하면, 촬영 광학계(24)의 광축에 따라서 연재(延在)하는 수용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후분할체(44)를 제외한 카메라 모듈(20)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8)은 경통(26)의 후단에 부착되어 있다.
기판(28)은 직사각형 판 모양을 나타내고, 기판(28)은, 경통(26)에 면하는 전면(28A)과, 그 반대에 위치하는 후면(28B)을 갖추고 있다.
기판(28)은, 경통(26)의 후단을 이루는 후면보다 큰 윤곽으로 형성되며, 경통(26)의 후면의 4 변의 외측에, 기판(28)의 4 변 부분이 돌출되어 있다.
전면(28A)에는, 플렉시블(flexible) 기판(34)이 겹쳐져서 납땜에 의해 부착되어 플렉시블 기판(34)이 경통(26)에 면하는 부분에 촬상 소자(30)가 실장되어 있다.
후면(28B)에는, 신호 처리부(32)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의 IC 등을 포함한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또, 후면(28B)에는, 기준 전위가 되는 그라운드용 랜드(28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 도 8에 있어서, 부호(34A)는 플렉시블 기판(34)의 선단에 설치된 접속 연결기이다.
도 9, 도 10(a), (b)는 실드 케이스(40)를 구성하는 전분할체(42)의 사시도, 도 11(a)은 실드 케이스(40)를 구성하는 후분할체(44)의 사시도, (b)는 실드 케이스(40)를 구성하는 후분할체(44)를 안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실드 케이스(40)는, 경통(26) 및 기판(28)을 덮어 촬상 소자(30) 및 신호 처리부(32)에 대한 전자 차폐을 실시하는 것이다.
실드 케이스(4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통(26)의 앞부분을 덮는 전분할체(42)와, 경통(26)의 뒷부분을 덮는 후분할체(44)로 구성되어 있다.
전분할체(42)와 후분할체(44)는 모두, 인(燐) 청동(phosphor bronze), 양은(nickel silver), 양철(tinplate), 구리(copper) 등의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지는 동시에 자성(磁性)을 갖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우선, 실드 케이스(40)의 후분할체(44)부터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분할체(44)는, 직사각형 모양의 기판 피복용 판부(4402)와, 기판 피복용 판부(4402)의 4 변으로부터 기립하여 경통(26)의 측부를 따라서 연재하는 측면부(4404)를 가지고 있다.
서로 대향하는 2쌍의 측면부(4404) 중 1쌍의 측면부(4404)에, 기판(28)의 전면(28A)에 계탈(係脫) 가능하게 계지하고, 계지하는 것으로 기판 피복용 판부(4402)가 기판(28)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계지부(44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는 카메라 모듈(20)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측면부(4404)에, 실드 케이스(40)를 접지하기 위한 그라운드 용접편(The grounding contact piece)(44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용접편(4420)은, 측면부(4404)로부터 돌출되어 기판 피복용 판부(4402)가 기판에 대해서 이간(離間) 접근하는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여 그 선부가 그라운드용 랜드(2802)에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즉, 측면부(4404)에, 이 측면부(4404)로부터 돌출되어 기판 피복용 판부(4402)가 기판(28)에 대해서 이간 접근하는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 재하여 기판 피복용 판부(4402)가 기판(28)에 대해서 이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arm portion)(4422)가 설치되며, 그라운드 용접편(4420)은 이 암부(4422)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쿠션재(46)가 기판(28)과 기판 피복용 판부(440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쿠션재(46)로서는, 절연성을 가지는 동시에 자성을 가지지 않는, 예를 들면, 발포 폴리우레탄(foamed polyurethane)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발포 폴리우레탄은, 열전도성이 공기보다 높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부(4410)가 카메라 본체(22)(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판(28)의 전면(28A))에 계지하는 것으로, 쿠션재(46)는 기판(28)과 기판 피복용 판부(4402)와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쿠션재(46)의 탄성력에 의해 계지부(4410)를 카메라 본체(22)에 상시 계지시키고, 이것에 의해, 후분할체(44)는 흔들리지 않고 카메라 본체(22)에 장착되어 있다.
쿠션재(46)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판 모양의 부재로 형성되며, 따라서, 기판(28)과 기판 피복용 판부(4402)와는 평행하고 있다.
도 14는 전분할체(42)와 후분할체(44)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분할체(42)와 후분할체(44)가 카메라 본체(22)에 장착된 상태로, 전분할체(42)의 측면부(4204)의 선단의 일부(4204A)와, 후분할체(44)의 측면부(4404)의 선단의 일부(4404A)가 서로 탄접(彈接)함으로써, 전분할체(42)와 후분할체(44)는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0)을 제 1케이스체(14)의 기단부에 삽입할 때에, 기판 피복용 판부(4402)의 외면에 판 모양의 방진고무(48)를 개재시키고, 경통본체(52)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4개의 각부(5250)(도 18 참조)를 제 1케이스체(14)의 내벽(1410)에 장착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20)을 설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통본체(52)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4개의 각부(5250)를 제 1케이스체(14)의 내벽(1410)의 계합부(係合部)에 계합시켜 방진고무(48)를 압축한 상태로 장착하고, 방진고무(48)에 충격 완화 작용을 발휘시키는 동시에 후분할체(44)가 빠지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후분할체(44)를 가지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휴대 전화기(10)가 낙하하는 등 카메라 모듈(20)에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방진고무(48)의 충격 완화 작용에 더하여, 쿠션재(46)가 기판 피복용 판부(4402)와 기판(28)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으므로, 쿠션재(46)의 충격 완화 작용에 의해 후분할체(44)와 기판(28)의 사이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고, 카메라 모듈(20)의 내충격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 쿠션재(46)가 기판(28)과 기판 피복용 판부(4402)와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며, 쿠션재(46)의 탄성력에 의해 계지부(4410)를 카메라 본체(22)에 상시 계지시키므로, 후분할체(44)를 흔들리지 않게 카메라 본체(22)에 장착하는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 후분할체(44)는, 암부(4422) 및 그라운드 용접편(4420)을 거쳐서 기판의 그라운드용 랜드(2802)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20)에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암부(4422)가 휘는 것으로 충격력이 완화되므로, 그라운드 용접편(4420)과 그라운드용 랜드(2802)의 접합 부분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고, 그라운드 용접편(4420)과 그라운드용 랜드(2802)의 접합 부분의 내충격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 발포 폴리우레탄 등이 같은 열전도성이 공기보다 높은 재료로 쿠션재(46)를 구성하면, 기판(28)에서 발생한 열이 쿠션재(46)를 거쳐서 후분할체(44)에 전해지기 쉽고 기판(28)을 효율적으로 냉각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그라운드용 랜드(2802)에 접촉시키는 그라운드 용접편(4420)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카메라 모듈(20)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그라운드 용접편(4420)과 그라운드용 랜드(2802)를 납땜에 의해 접합하고 있는데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암부(4422)의 탄성을 이용해 그라운드 용접편(4420)을 그라운드용 랜드(2802)에 상시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고,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부(4404)로부터 돌출되어 기판 피복용 판부(4402)가 기판(28)에 대해서 이간 접근하는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여 기판 피복용 판부(4402)가 기판(28)에 대해서 이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4422)가 설치되어 있다.
암부(4422)의 선단에 그라운드용 랜드(2802)에 접촉 가능한 그라운드 용접편(44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라운드 용접편(4420)은, 암부(4422)의 탄성에 의해 그라운드용 랜드(2802)에 접촉하는 동시에 이 접촉 상태가 보관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그라운드 용접편(4420)에 의하면, 그라운드 용접편(4420)과 그라운드용 랜드(2802)가 납땜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납땜의 작업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조립의 간소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 그라운드 용접편(4420)과 그라운드용 랜드(2802)가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라운드 용접편(4420)과 그라운드용 랜드(2802)의 접합 부분에 작용하는 힘을 경감할 수 있고, 그라운드 용접편(4420)과 그라운드용 랜드(2802)의 접합 부분의 내충격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보다 유리하게 된다.
또, 계지부(4410)는 전분할체(42)에 계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17은 제 1케이스체(14)에 삽입된 상태의 카메라 모듈(20)의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 피복용 판부(4402)가 기판(28)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계지부(4410)를 카메라 본체(22)에 계지시켰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계지부(4410A)를 전분할체(42)에 계지시키도록 하고 있고,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즉, 계지부(4410A)는, 후분할체(44)의 서로 대향하는 2쌍의 측면부(4404) 중 1쌍의 측면부(4404)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계지부(4410A)는, 전분할체(42)의 계지부(4230)에 계지 가능하고, 계지 부(4410A)가 전분할체(42)의 계지부(4230)에 계지하는 것으로 기판 피복용 판부(4402)가 기판(28)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기판 피복용 판부(4402)의 외면에 판 모양의 방진고무(48)를 개재시키고, 경통본체(52)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4개의 각부(5250)(도 18 참조)를 제 1케이스체(14)의 내벽(1410)에 장착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20)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계지부(4410)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쿠션재(46)로서 탄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판 모양의 부재를 이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쿠션재(46)로서 탄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선재(線材)로 구성된 단일 혹은 복수의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실시 예와 같은 판 모양의 부재를 이용하면, 구조의 간단화, 조립의 간단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분할체(42)로 덮이는 경통(26) 부분 및 전분할체(42) 및 협지 기구(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카메라 모듈(20)을 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9는 카메라 모듈(20)을 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경통(26)은,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서로 겹쳐져서 구성되어 있다.
즉, 경통(26)은, 셔터 지지용 하우징(50)과 경통본체(52)가 촬영 광학계(24)의 광축 방향에 따라서 겹쳐져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통본체(52)는, 전(前)경통(54)과 후(後)경통(56)이 촬영 광학계(24)의 광축 방향에 따 라서 겹쳐져서 구성되며, 전경통(54)과 후경통(56)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UV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셔터 지지용 하우징(50)과 전경통(54)과 후경통(56)은, 치수에 불균일이 있지만, 각각 허용 오차의 범위에 들어가 있다.
셔터 지지용 하우징(shutter supporting housing)(50)의 중앙에는, 촬영 광학계(24)의 광로(光路)의 개구(5002)가 설치되며, 셔터 지지용 하우징(50)의 내부에는, 개구(5002)를 개폐하는 도시하지 아니한 셔터 및 셔터의 구동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셔터 지지용 하우징(50)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겹쳐지는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 중 촬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의 전단에 위치하는 전단 경통 구성 부재에 상당하고 있다.
셔터 지지용 하우징(50)은, 전경통(54)에 대해서 위치가 맞춰진 상태로 나사(5004)에 의해 전경통(54)의 보스부(5401)에 결합되어 있다.
셔터 지지용 하우징(50)의 전경통(54)과 반대측의 부분은, 평탄한 전면(5006)으로서 형성되며, 또, 전면(5006)의 반대측의 부분은 평탄한 후면(5008)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촬영 광학계(24)를 구성하여 촬영 광학계(24)의 광축 방향의 가장 전단에 위치하는 광학 부재(2402)(렌즈 커버)는, 개구(5002)를 막도록 전면(5006)에 양면 테이프로 부착되어 있다.
도 18에 있어서, 부호(5010)는, 상술의 셔터의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프렉시블 기판을 나타내고 있다.
전경통(54)은, 셔터 지지용 하우징(50)의 후면(5008)에 합쳐지는 전면(5402)을 가지고, 전면(5402)은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경통본체(52)의 앞부분은 전면(5006)을 가지고, 또, 경통본체(52)의 측부는, 전면(5006)의 4 변에 대응하는 4개의 측면(520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4개의 측면(5202) 중 하나의 측면(5202)에는,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계지돌기(係止突起)(5210)가 돌출되어 설치되며, 또, 나머지의 2개의 측면(5202)에는, 각각 단일 계지돌기(5210)가 돌출되어 설치되며, 나머지의 하나의 측면에는, 돌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러한 계지돌기(5210)는 전경통(5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8, 도 19에 있어서, 부호(3002)는 플렉시블 기판(34)상에 실장되어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촬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센서로서의 CMOS 센서, 부호(3004)는 플렉시블 기판(34)상에 부착되어 CMOS 센서를 수용하는 직사각형 틀 모양의 패키지, 부호(3006)는 패키지(3004)의 전면을 덮어 패키지(3004)내의 CMOS 센서(3002)를 밀폐하는 커버 유리이다. 이러한 CMOS 센서(3002), 패키지(3004), 커버 유리(3006)에 의해서 촬상 소자(3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센서로서 CMOS 센서(3002)를 이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CCD 센서 혹은 종래 공지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4,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분할체(42)는, 셔터 지지용 하우징(50)의 전면(5006)을 덮는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 피복용 판부(4202)와, 전면 피복용 판부(4202)의 4 변으로부터 굴곡된 4개의 측면부(4204)를 가지고 있다.
전면 피복용 판부(4202)에는, 광학 부재(2402)(렌즈 커버)에 대응한 부분에 개구(420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면 피복용 판부(4202)의 주위에 따른 4부분에 용수철편(42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용수철편(4210)은, 전면 피복용 판부(4202)에서 측면부(4204)에 걸쳐서 설치되며, 전면 피복용 판부(4202)에 대해서 이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바꾸어 말하면, 촬영 광학계(24)의 광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한층 더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 피복용 판부(4202)의 1개 변의 양단에 2개의 용수철편(4210)이 형성되고, 이 변에 교차하는 2개의 변의 단부에 1개의 용수철편(42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용수철편(4210)이 설치된 측면부(4204)에는, 용수철편(4210)이 탄성 변형하는 방향에 따라서(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지는 방향에 따라서) 각 용수철편(4210)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각각 계지용 개구(4208)가 형성되어 있다.
또, 1개의 용수철편(4210)이 설치된 측면부(4204)에는, 용수철편(4210)이 탄성 변형하는 방향에 따라서(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지는 방향에 따라서) 용수철편(4210)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계지용 개구(420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계지용 개구(4208)의 측부에는, 상하에 연재하는 세로홈(4212)이 연설(連設)되어 있다.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피복용 판부(420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 계지용 개구(4208)를 통과하는 측면부(4204)의 단부에는, 이 측면부(4204)의 외측으로 꺽여지는 굴곡편(4220)이 설치되며, 전분할체(42)의 카메라 본체(22)(경통본체(52))로의 장착시에, 각 계지돌기(5210)가 대응하는 계지용 개구(4208)에 원활히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셔터 지지용 하우징(50)의 4 변의 윤곽은, 경통본체(52)의 4개의 측면(5202)의 윤곽보다 한층 크게 형성되어 있고, 전분할체(42)의 4개의 측면부(4204)의 내면이 셔터 지지용 하우징(50)의 4 변에 당접(當接)하는 것으로, 전분할체(42)의 촬영 광학계(24)의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며, 전분할체(42)의 개구(4206)의 중심과 촬영 광학계(24)의 광축(광학 부재(2402)(렌즈 커버)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 내지 도 23은 경통(26)에 전분할체(42), 후분할체(4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0은 도 2(b)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하고, 도 21은 도 2(b)의 화살표(B)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하고, 도 22는 도 2(b)의 화살표(C)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하고, 도 23은 도 2(b)의 화살표(D)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하고 있다.
도 4, 도 20 내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피복용 판부(4202)와 측면부(4204)와 경통본체(52)의 전면(5006)과 측면(5202)을 덮고, 용수철편(4210)을 전면(5006)(전면(2602))에 계지시키는 동시에 계지돌기(5210)를 계지용 개구(4208)에 삽입하면, 각 용수철편(4210)이 탄성 변형하고, 용수철편(4210)이 전 면(5006)에 압접(壓接)하는 동시에, 전면(5006)과 반대에 위치하는 계지돌기(5210)의 부분이, 계지용 개구(4208)의 용수철편(4210)과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는 가장자리(4208A)에 상시 압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통본체(52)의 전면(5006)에 의해서 용수철편(4210)이 계지되는 계지면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수철편(4210), 경통본체(52)의 전면(5006), 계지돌기(5210), 계지용 개구(4208)에 의해,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의 부분을, 상기 겹쳐지는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협지하는 것으로, 실드 케이스(40)가 경통(26)에 대해서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경통(26)에 장착되는 협지 기구(clamping mechanism)(60)가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 기구(60)를 거쳐서 실드 케이스(40)(전분할체(42))와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 즉, 셔터 지지용 하우징(50)과 경통본체(52)를 협지한 상태로, 실드 케이스(40)의 전면 피복용 판부(4202)와 경통(26)의 전면(2602)과의 사이에는, 촬영 광학계(24)의 광축 방향에 따른 틈새(S)가 확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겹쳐져서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의 부분을, 즉, 셔터 지지용 하우징(50)과 경통본체(52)의 부분을, 그것들이 겹쳐지는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실드 케이스(40)(전분할체(42))와 협지하는 협지 기구(60)를 설치했으므로,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셔터 지지용 하우징(50)과 경통본체(52)의 치수의 불균일이 가산되어도,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의 경통본체(52)에 있어서의 전분할체(42)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고, 전분할체(42)를 경통본 체(52)에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흔들리지 않게 장착하는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분할체(42)에 설치한 용수철편(4210)이 경통본체(52)의 전면(5006)(계지면)에 압접되며, 계지용 개구(4208)에 삽입된 계지돌기(5210)가 전면(5006)과 반대에 위치하는 부분이, 계지용 개구(4208)의 용수철편(4210)과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는 가장자리(4208A)에 압접되므로, 계지돌기(5210)가 전면(5006)과 반대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으로서 혹은, 계지용 개구(4208)의 용수철편(4210)과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는 가장자리(4208A)를 기준으로서 경통본체(52)에 대해서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의 실드 케이스(40)(전분할체(42))의 위치 결정을 정확하게 실시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 경통본체(52)에 대해서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실드 케이스(40)(전분할체(42))가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면, 피사체로부터 경통본체(52)의 촬영 광학계(24)에 이르는 광로가 실드 케이스(40)의 개구(4206)를 구성하는 가장자리로 차단되는, 이른바, 케라레(eclipse)를 방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드 케이스(40)의 전면 피복용 판부(4202)와 경통본체(52)의 전면(5006)과의 사이에 틈새(S)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20)의 전방에서 경통본체(52)로 향하는 후방 방향의 외부의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 틈새(S)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경통본체(52)의 전면(5006)으로의 충격을 완화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촬영 광학계(24)의 광축 방향에 따라서 겹쳐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촬영 광학계(24)의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지는 경우에도 물론 적용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경통본체(52)에 대해서 실드 케이스(40)가 위치 결정되므로, 촬영 광학계(24)의 광로와 실드 케이스(40)에 설치되는 개구(4206)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이른바 케라레(eclipse)를 방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협지 기구(60)를 용수철편(4210), 경통본체(52)의 전면(5006), 계지돌기(5210), 계지용 개구(4208)에 의해서 구성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협지 기구(6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다양한 협지 구조를 채용 가능하다. 그렇지만, 실시형태와 같이 협지 기구(60)를 구성했을 경우에는, 구조를 간소화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셔터 지지용 하우징(50)과 경통본체(52)의 2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경통 구성 부재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전자기기가 휴대 전화기(10)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PDA,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혹은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의 여러 가지의 촬상 장치에 넓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의 부분을, 그것 들이 겹쳐지는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실드 케이스로 협지하는 협지 기구를 설치했으므로,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각 경통 구성 부재의 치수의 불균일이 가산되어도,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의 경통에서의 실드 케이스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고, 2개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실드 케이스를 경통에 흔들리지 않게 장착하는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

Claims (11)

  1. 촬영 광학계를 보관 유지하는 경통(鏡筒)과, 상기 경통에 부착된 기판과, 상기 경통내에 삽입되어 상기 촬영 광학계에서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카메라 본체와,
    상기 경통 및 상기 기판을 덮어 상기 촬상 소자 및 신호 처리부에 대한 전자 차폐을 실시하는 실드 케이스(shield case)를 갖추며,
    상기 경통은,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져서 구성되며,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의 부분을, 상기 겹쳐지는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협지(挾持)하는 것으로, 상기 실드 케이스가 상기 경통에 대해서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상기 경통에 장착되는 협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 중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의 전단(前端)에 위치하는 전단 경통 구성 부재는, 상기 촬영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로의 개구가 형성된 전면을 가지고, 상기 실드 케이스는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을 덮는 전면 피복용 판부를 가지고, 상기 전면 피복용 판부에는, 상기 광로의 개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기구는, 상기 실드 케이스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용수철편과, 상기 용수철편이 탄성 변형하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용수철편과 떨어진 상기 실드 케이스의 부분에 설치된 계지용(係止用) 개구와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 중 한쪽의 경통 구성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용수철편이 계지되는 계지면과, 상기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 중 한쪽의 경통 구성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계지용 개구에 삽입되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용수철편이 상기 계지면에 계지하는 동시에 상기 돌기가 상기 계지용 개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용수철편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용수철편이 상기 계지면에 압접(壓接)하는 동시에, 상기 계지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의 부분이, 상기 계지용 개구의 상기 용수철편과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에 상시 압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 중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의 전단에 위치하는 전단 경통 구성 부재는, 상기 촬영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로의 개구가 형성된 전면을 가지고, 상기 실드 케이스는,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을 덮는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 피복용 판부와, 이 전면 피복용 판부로부터 굴곡된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용수철편은 상기 전면 피복용 판부에 형성되며, 상기 계지용 개구는 상기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은,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른 양측 부분에 전단과 후단을 가지고, 상기 기판은 상기 경통의 후단에 부착되며, 상기 실드 케이스는, 상기 경통의 전단을 포함한 부분을 덮는 전분할체와, 상기 기판을 포함한 부분을 덮는 후분할체로 구성되며, 상기 협지 기구는 상기 경통의 전단을 포함한 부분과 상기 전분할체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기 협지 기구에 의해 상기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지는 방향의 상기 경통에 대한 상기 전분할체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상기 경통에 전분할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은,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 따른 양측 부분에 전단과 후단을 가지고, 상기 기판은 상기 경통의 후단에 부착되며, 상기 실드 케이스는, 상기 경통의 전단을 포함한 부분을 덮는 전분할체와, 상기 기판을 포함한 부분을 덮는 후분할체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 중 상기 광축 방향의 전단에 위치하는 전단 경통 구성 부재는, 상기 촬영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로의 개구가 형성된 전면을 가지고, 상기 전분할체는,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을 덮는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 피복용 판부와, 이 전면 피복용 판부로부터 굴곡된 측면부를 가지 고, 상기 협지 기구는, 상기 전면 피복용 판부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용수철편과,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서 상기 용수철편과 떨어진 상기 측면부의 부분에 설치된 계지용 개구와, 상기 용수철편이 계지되는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과,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옆에 겹쳐지는 경통 구성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계지용 개구에 삽입되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용수철편이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에 계지하는 동시에 상기 돌기가 상기 계지용 개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용수철편이 탄성 변형하고, 상기 용수철편이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에 압접하는 동시에,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의 부분이, 상기 계지용 개구의 상기 용수철편과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에 상시 압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피복용 판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계지용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는, 이 측면부의 외측으로 꺽여지는 굴곡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편이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에 압접하는 동시에,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과 반대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의 부분이, 상기 계지용 개구의 상기 용수철편과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에 상시 압접되는 것으 로, 상기 전단 경통 구성 부재의 전면과 상기 전면 피복용 판부와의 사이에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틈새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케이스는,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는,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 방향에 따라서 겹쳐져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삽입된 카메라 모듈을 갖추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본체와, 실드 케이스를 갖추고,
    상기 카메라 본체는, 촬영 광학계를 보관 유지하는 경통과, 상기 경통에 부착된 기판과, 상기 경통내에 삽입되어 상기 촬영 광학계에서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드 케이스는, 상기 경통 및 상기 기판을 덮어 상기 촬상 소자 및 신 호 처리부에 대한 전자 차폐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통은, 복수의 경통 구성 부재가 겹쳐져서 구성되며,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경통 구성 부재의 부분을, 상기 겹쳐지는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협지하는 것으로, 상기 실드 케이스가 상기 경통에 대해서 상기 겹쳐지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상기 경통에 장착되는 협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60104517A 2005-10-28 2006-10-26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KR20070045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5313 2005-10-28
JP2005315313A JP4618507B2 (ja) 2005-10-28 2005-10-28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960A true KR20070045960A (ko) 2007-05-02

Family

ID=3769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517A KR20070045960A (ko) 2005-10-28 2006-10-26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05215B2 (ko)
EP (1) EP1781019B1 (ko)
JP (1) JP4618507B2 (ko)
KR (1) KR20070045960A (ko)
CN (1) CN100464244C (ko)
DE (1) DE602006009201D1 (ko)
TW (1) TW2007288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99B1 (ko) * 2007-11-05 2009-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파 방해를 차폐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조립구조 및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9643B2 (ja) * 2005-10-28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8104037A (ja) * 2006-10-20 2008-05-01 Fujifilm Corp 撮像装置
JP4844829B2 (ja) * 2006-10-27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225265A (ja) * 2007-03-14 2008-09-25 Fujinon Corp レンズ装置
JP4900118B2 (ja) * 2007-07-31 2012-03-21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TWI363923B (en) * 2007-10-17 2012-05-11 Altek Corp Metal shell, lens module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5151497B2 (ja) * 2008-01-18 2013-02-27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撮像装置
JP5169361B2 (ja) * 2008-03-21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0085494A (ja) * 2008-09-29 2010-04-15 Sony Corp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5466412B2 (ja) * 2009-03-05 2014-04-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2113186A (ja) * 2010-11-26 2012-06-14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CN202003118U (zh) * 2011-03-04 2011-10-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KR101093738B1 (ko) 2011-05-04 2011-12-19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렌즈 구동 장치
EP2703862B1 (en) * 2012-09-04 2019-06-19 CLAAS E-Systems GmbH Camera lens
KR101452078B1 (ko) * 2012-12-28 2014-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쉴드캔 및 쉴드캔 제조용 지그
CN104284060B (zh) * 2013-07-12 2019-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CN104469099A (zh) * 2013-09-25 2015-03-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摄像头安装结构及应用该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EP3399360B1 (en) 2016-02-05 2020-06-03 Iriso Electronics Co., Ltd. Imaging device component, and imaging device
JP2019117306A (ja) * 2017-12-27 2019-07-1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撮像装置
JP6991462B2 (ja) * 2018-03-15 2022-01-12 オムロン株式会社 小型光電センサ
CN111665677B (zh) * 2020-04-29 2022-04-08 高瞻创新科技有限公司 折叠电路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08U (ko) * 1989-05-29 1991-01-17
JPH09275291A (ja) * 1996-04-04 1997-10-21 Kansei Corp シールドケース
JP3594439B2 (ja) * 1997-02-20 2004-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
US7304684B2 (en) 2000-11-14 2007-12-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of making, and electric apparatus having image pickup apparatus
JP3613193B2 (ja) 2001-03-30 2005-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4033669B2 (ja) * 2001-12-04 2008-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CN1332231C (zh) * 2002-07-01 2007-08-15 罗姆股份有限公司 图像传感器组件
US7633976B2 (en) * 2002-09-19 2009-12-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 group identification and frame synchronization by use of Reed-Solomon decoder and reliability measurement for UMTS W-CDMA
JP2004120670A (ja) * 2002-09-30 2004-04-15 Hitachi Ltd 折畳み式携帯端末装置
DE10317827B4 (de) 2003-04-16 2006-06-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m Empfang von mit Strahlung übertragenen Signalen
JP3873951B2 (ja) * 2003-08-27 2007-01-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4117680B2 (ja) * 2003-09-05 2008-07-16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装置の生産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シールドケース構成用ケ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99B1 (ko) * 2007-11-05 2009-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파 방해를 차폐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조립구조 및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1019B1 (en) 2009-09-16
TWI328712B (ko) 2010-08-11
CN1955833A (zh) 2007-05-02
US7505215B2 (en) 2009-03-17
US20070097518A1 (en) 2007-05-03
JP4618507B2 (ja) 2011-01-26
TW200728887A (en) 2007-08-01
JP2007121779A (ja) 2007-05-17
DE602006009201D1 (de) 2009-10-29
EP1781019A1 (en) 2007-05-02
CN100464244C (zh)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5960A (ko)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JP447964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533802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484482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780299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811187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00126176A (ko) 카메라 모듈
CN114710605A (zh) 相机模块和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装置
WO2006088051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7168899B2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4787719B2 (ja) 撮像装置
JP5168119B2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
CN110892703A (zh) 拍摄装置
CN115903259A (zh) 光学元件驱动机构
JP200811186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固体撮像装置
CN108957678B (zh) 光学驱动机构
CN218830008U (zh) 一种电子设备
CN108429827B (zh) 电子组件和电子设备
JP2008113065A (ja) 撮像装置
JP2018169446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