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464A - 구강 삽입 기구 및 인두경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삽입 기구 및 인두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464A
KR20090071464A KR1020080134132A KR20080134132A KR20090071464A KR 20090071464 A KR20090071464 A KR 20090071464A KR 1020080134132 A KR1020080134132 A KR 1020080134132A KR 20080134132 A KR20080134132 A KR 20080134132A KR 20090071464 A KR20090071464 A KR 2009007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device
cover member
insertion instrument
pharynx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이치 츠노다
야스시 다바타
Original Assignee
코이치 츠노다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이치 츠노다,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이치 츠노다
Publication of KR2009007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2Display arrangement positioned at proximal end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76Endoscope light sources at distal tip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긴 스코프 부분을 가지고 있는 모니터 장치에 부착되는 구강 삽입 기구가 제공된다. 구강 삽입 기구는 구강에 삽입하여 사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어를 갖고 있는 긴 커버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모니터의 스코프 부분은 상기 보어에 삽입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구강 삽입 기구는 플레이트 형상의 긴 설압자를 가지고 있다. 설압자는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 부재에 인접하여 커버부재와 접촉하게 구비된다. 구강 삽입 기구는 모니터 장치에 커버 부재를 부착하도록 사용되는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설압자는 커버 부재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선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구강 삽입 기구를 구비한 인두경 장치가 제공된다.
구강, 설압자, 인두경, 모니터, 부착 유닛, 규제부, 결합 핀

Description

구강 삽입 기구 및 인두경 장치{ORAL CAVITY INSERTION INSTRUMENT AND PHARYNGOSCOPE APPARATUS}
본 발명은 구강 삽입 기구 및 구강 삽입 기구를 구비한 인두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비인후과 의사, 내과 의사, 소아과 의사 등의 의사가 환자의 인두 중앙부를 관찰 또는 진찰할 때, 환자의 구강이나 구강인두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환자의 혀를 아래쪽으로 누르기 위하여 설압자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5-176934호에 이러한 설압자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5-176934호에 개시된 설압자는 설압부 및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다. 의사는 설압자의 손잡이를 잡고 설압부를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한다. 이 때, 일반적으로 의사는 구강 및 인두강의 진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입을 크게 벌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의사는 설압자를 조작한다.
그러나, 만약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린 상태에서 환자의 혀가 아래쪽으로 눌려지면, 환자에게 구토 반사가 일어나게 된다(즉, 환자가 헛구역질을 한다). 따라서, 환자는 불편함을 느낀다. 이와 같은 환자의 경험은 심적 외상의 요인이 된다. 특히, 유아는 입을 벌리는 것과 같은 이후의 진찰이나 조치에 비협조적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불편한 경험이 유아들에는 정신적인 외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험 후에 유아들은 의사 앞에서 결코 입을 벌리려고 하지 않는다. 더욱이, 환자는 구토 반사에 대하여 방어적으로 입을 다물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의사가 환자의 구강내에 설압자를 삽입하자마자, 환자는 입을 다문다. 결과적으로, 진찰을 끝마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고 구강 및 인두강의 관찰을 할 수 있는 구강 삽입 기구 및 구강 삽입 기구를 구비한 인두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고 구강 및 인두강의 관찰을 할 수 있는 구강 삽입 기구가 제공된다. 긴 스코프 부분(scope portion)을 갖고 있는 모니터 장치에 장착되는 구강 삽입 기구가 제공된다. 구강 삽입 기구는 구강내에 삽입되어 사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어를 갖고 있는 긴 커버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모니터의 스코프 부분은 보어내에 삽입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구강 삽입 기구는 플레이트 형태의 긴 설압자를 가지고 있다. 설압자는 커버 부재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 부재와 접촉한다. 구강 삽입 기구는 커버 부재를 모니터 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설압자는 커버 부재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있는 선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고 있는 구강 삽입 기구에 의해, 진찰 받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고 구강 및 인두강이 관찰될 수 있다. 특히,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혀를 누름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구토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설압자의 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커버 부재의 선단부를 초과하여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혀가 설압자에 의해 아래쪽(아래턱 쪽)으로 눌려질 때, 눌려진 부분 바깥쪽의 살이 융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니터 장치의 촬상 유닛의 시야가 융기된 살에 의해서 방해를 받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설압자의 선단부는 설압자를 평면도로 보았을 때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찰 받는 환자는 통증의 불쾌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구강 삽입 기구가 진찰 받는 환자의 혀 또는 구강을 손상시키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설압자의 선단부의 에지는 두께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찰 받는 환자는 통증의 불쾌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구강 삽입 기구가 진찰 받는 환자의 혀 또는 구강을 손상시키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설압자는 커버 부재로부터 폭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측면 에지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혀가 설압자에 의해 아래쪽(아래턱 쪽)으로 눌려질 때, 눌려진 부분 바깥쪽의 살이 융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니터 장치의 촬상 유닛의 시야가 융기된 살에 의해서 방해를 받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에지부의 에지는 두께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찰 받는 환자는 통증의 불쾌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구강 삽입 기구가 진찰 받는 환자의 혀 또는 구강을 손상시키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설압자는 설압자를 평면도로 보았을 때 스코프 부분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설압자에 의해 혀가 눌려질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힘이 중심 축선의 양쪽에 가해진다. 따라서, 인두경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설압자는, 설압자에 의해 혀가 눌려질 때 실질적으로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혀는 작은 힘으로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게다가, 구강 삽입 기구는 진찰 받는 환자의 구강내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부착 유닛은 커버 부재의 기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강 삽입 기구는 비교적 용이하게 모니터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유닛은 모니터에 대한 커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강 삽입 기구가 모니터 장치의 스코프 부분과 함께 구강으로부터 제거될 때, 구강 삽입 기구가 모니터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모니터 장치는 돌출된 결합 핀을 갖고 있는 조인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규제부는 조인트 부분의 결합 핀과 결합하는 L자 형상의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스코프 부분이 커버 부재의 보어내에 삽입된 후, 결합부는 스코프 부분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결합 핀이 결합부와 결합함으로써, 조인트 부분에 대한 커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규제부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다. 구강 삽입 기구는 모니터 장치에 용이하게 부착(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진찰 받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고 구강 및 인두강의 관찰을 할 수 있는 인두경 장치가 제공된다. 인두경 장치는 상술한 구강 삽입 기구, 및 길이 방향으로 뻗은 봉 형상의 스코프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모니터 장치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고 있는 인두경 장치에 의해, 진찰 받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고 구강 및 인두강이 관찰될 수 있다. 특히,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혀를 누름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구토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는 스코프 부분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모니터 장치 보디, 구강의 관찰 영역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 유닛, 화면을 갖고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모니터 장치 보디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찰할 화상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인두경 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모니터 장치는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할 화상의 관찰 영역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강의 내부에 빛이 조명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소자에 의해 선명한 화상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오퍼레 이터가 환자의 구강 또는 인두강을 관찰하는 동안 진찰 받는 환자는 입을 다물수 있다. 따라서, 진찰 받는 환자의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촬상 유닛은 스코프 부분의 선단부에 구비된 대물 렌즈, 관찰 영역의 화상이 대물 렌즈에 의해 초점이 맞춰지는 수광면을 갖고 있는 촬상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유닛은 촬상 유닛의 대물 렌즈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스코프 부분의 선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명광이 관찰 영역 전체에 균일하게 조명될 수 있다.
조명부는 설압자의 폭방향과 평행한 라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명 유닛은 구강의 넓은 영역에 조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스코프 부분의 중심 축선이 디스플레이 유닛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스코프 부분의 중심 축선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과 교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인두경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오퍼레이터가 구강 또는 인두강을 관찰할 때)에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의 가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은 스코프 부분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의 가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모니터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모니터 장치 보디에 구비된 차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부광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유닛에 입사되는 것을 적절히 차단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유닛의 가시성을 향상시킨다.
모니터 장치 보디는 오퍼레이터가 모니터 장치 보디를 유지하기 위해 손가락을 위치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인두경 장치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손가락 자리부는 스코프 부분 근처의 모니터 장치 보디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손가락 자리부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손가락 자리부는 모니터 장치 보디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손가락 자리부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모니터 장치 보디는 모니터 장치 보디의 제 1 표면에 형성된 제 1 손가락 자리부, 모니터 장치 보디의 제 1 표면의 반대쪽에 배치된 제 2 표면에 형성된 제 2 손가락 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손가락 자리부는 스코프 부분 근처의 모니터 장치 보디의 제 1 표면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손가락 자리부에 소지가 위치되고 제 2 손가락 자리부에 검지, 중지 또는 약지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두경 장치는 매우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과 장점은 예시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첨부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이하의 설명을 통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구강 및 인두강이 관찰되거나, 또는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다물고 있어도 구강 및 인두강이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진찰 받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고 구강 및 인두강의 관찰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린 상태에서 혀를 누름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구토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퍼레이터는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 구강 및 인두강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예를 들면, 의사)가 구강 및 인두강을 직접 눈으로 관찰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구강 및 인두강의 넓은 영역이 관찰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강 및 인두강이 정확하게 관찰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가 구강 및 인두강을 직접 눈으로 관찰하는 종래 기술에서, 오퍼레이터는 구강 및 인두강을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하여 자세 또는 시선을 바꾸어야 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오퍼레이터는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 구강 및 인두강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자세 또는 시선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신체적인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삽입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인두경 장치는 도 1 내지 11d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두경 장치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인두경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가능한 구강 삽입 기구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두경 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두경 장치(1)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두경 장치(1)의 모니터 장치(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모니터 장치(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모니터 장치(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모니터 장치(2)의 스코프 부분(23)의 선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스코프 부분(23)의 선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인두경 장치(1)의 구강 삽입 기구(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구강 삽입 기구(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구강 삽입 기구(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11d 는 모니터 장치(2)에 구강 삽입 기구(3)의 부착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내지 5, 도 8 및 도 9에서 상하 좌우는 이하의 설명에서 각각 "상부", "하부", "좌", "우"라고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두경 장치(1)는 모니터 장치(2) 및 모니터 장치(2)에 부착가능한 구강 삽입 기구(3)를 포함하고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2)는 모니터 장치 보디(21), 모니터 장치 보디(2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모니터)(22), 모니터 장치 보디(21)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스코프 부분(23), 및 구강 삽입 기구(3)가 부착되는 조인트 부분(24)을 포함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프 부분(23)은 그 안에 조명 유닛(4) 및 촬상 유닛(5)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코프 부분(23)은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견고하고 긴 부재(원통형 부재)로 형성된다. 스 코프 부분(23)은 가요성의 긴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삽입 기구(3)는 모니터 장치(2)의 스코프 부분(23)이 삽입되는 커버 부재(31), 설압자(32)가 커버 부재(31)에 인접하여 접촉된 상태로 커버 부재(31) 아래에 구비된 상기 설압자(32), 및 모니터 장치(2)의 조인트 부분(24)에 커버 부재(31)를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착 유닛(33)을 가지고 있다.
인두경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구강 삽입 기구(3)는 스코프 부분(23)을 커버하도록 모니터 장치(2)에 부착(고정)된다. 모니터 장치(2)에 부착된 구강 삽입 기구(3)가 진찰 받는 환자(피검자)의 구강에 삽입된다. 진찰 받는 환자의 혀가 구강 삽입 기구(3)에 의해 아래쪽(아래턱 쪽)으로 눌려지는 동안, 스코프 부분(23)에 구비된 촬상 유닛(5)에 의해 구강 및 인두강의 화상이 촬상된다. 촬상 유닛(5)에 의해 촬상된 화상은 디스플레이 유닛(22)에 표시된다.
모니터 장치(2) 및 구강 삽입 기구(3)의 구조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 보디(21)는 전체적으로 사각뿔 형태이다. 디스플레이 유닛(22)은 사각뿔의 베이스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조인트 부분(24) 및 긴(원통형) 스코프 부분(23)은 사각뿔의 정점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모니터 장치 보디(21)는 상부면(21a) 및 하부면(21b)을 가지고 있다. 도 3에서, L1은 상부면(21a)과 하부면(21b)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L2는 스코프 부 분(23)의 중심 축선(X1)과 상부면(21a)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L3은 스코프 부분(23)의 중심 축선(X1)과 하부면(21b)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거리(L1)은 스코프 부분(23)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22)쪽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중심 축선(X1)의 동일한 지점에서 거리(L2)와 거리(L3) 사이의 차이(L3 - L2)는 스코프 부분(23)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22)쪽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더욱이, 모니터 장치 보디(21)의 상부면(21a) 및 하부면(21b)은 거리(L1)를 증가시키도록 약간 만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면(21a)는 도 3에서 위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고, 하부면(21b)은 도 3에서 아래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모니터 장치 보디(21)의 상부면(21a) 및 하부면(21b)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니터 장치 보디(21)는 오퍼레이터의 손에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모니터 장치 보디(21)(또는 모니터 장치(2))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모니터 장치 보디(21)는 오퍼레이터의 소지를 위치시키기 위해 하부면(21b)에 형성된 제 1 손가락 자리부(211)를 가지고 있다. 제 1 손가락 자리부(211)는 스코프 부분(23) 근처의 모니터 장치 보디(21)의 하부면의 단부에 배치된다. 제 1 손가락 자리부(211)는 도 3에서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소지를 제 1 손가락 자리부(211)에 위치시키거나 결합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모니터 장치 보디(21)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니터 장치 보디(21)는 오퍼레이터의 중지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부면(21a)에 형성된 제 2 손가락 자리부(212)를 가지고 있다. 제 2 손가락 자리부(212)는 중심 축선(X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또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홈(또는 제 2 손가락 자리부(212))는 대향하는 양쪽 단부에 개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은 만곡된 단면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중지를 제 2 손가락 자리부(212)에 위치시키거나 결합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모니터 장치 보디(21)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손가락 자리부(211) 및 제 2 손가락 자리부(212)는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 장치 보디(21)에 구비된다. 손가락 자리부는 오퍼레이터가 작은 힘으로 모니터 장치 보디(21)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모니터 장치(2)(인두경 장치(1))의 위치가 안정화될 수 있고 인두경 장치(1)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모니터 장치 보디(21)는 상부면(21a)에 형성된 전원 버튼(25)을 가지고 있다. 전원 버튼(25)은 제 2 손가락 자리부(212)보다 모니터(22)에 더욱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버튼(25)은 오퍼레이터가 약지로 전원 버튼(25)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 보디(21)를 유지하는 동안, 오퍼레이터는 모니터 장치 보디(21)를 유지하는 손의 검지로 전원 버튼(25)을 조작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는 전원 버튼(25)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전환된다. 모니터 장치(2)가 온 상태가 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22), 촬상 유닛(5) 및 조명 유닛(4)을 포함하고 있는 모니터 장치(2)의 각각 부품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 때, 촬상 유닛(5)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디스플레이 유닛(22)의 화면에 표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 보디(21)는 중심 축선(X1)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오른손잡이 오퍼레이터 및 왼손잡이 오퍼레이터 모두에 대해서 인두경 장치(1)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에서, L4는 우측면(21c) 및 좌측면(21d)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거리(L4)는 스코프 부분(23)으로부터 모니터(22)쪽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모니터 장치 보디(21)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 보디(21)는 측면(21d)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레버(26)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딩 레버(26)는 모니터 장치(2)에 대한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장전하기 위해 배터리 커버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 보디(21)는 측면(21c)에 구비되는 외부 전원 단자(27) 및 출력 단자(28)를 가지고 있다. 외부 전원 단자(27)는 내부 배터리 대신에 외부 전원이 사용될 때 외부 전원에 모니터 장치(2)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출력 단자(28)는 촬상 유닛(5)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외부 장치에 표시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22) 이외의 외부 장치, 예를 들면 텔레비전 또는 PC 모니터 등에 모니터 장치(2)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2)는 디스플레이 유닛(2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모니터 장치 보디(21)에 구비된 차광부(29)를 가지고 있다. 차광부(29)는 프레임 형태이다. 차광부(29)에 의해, 외부광이 디스플레이 유닛(22)의 화면에 입사하는 것을 적절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유닛(22)의 화면의 가시성을 향상시킨다.
모니터 장치 보디(21)의 구성 재료는 특정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다양한 폴리머 재료가 모니터 장치 보디(21)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차광부(29)를 위한 구성 재료는 특정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모니터 장치 보디(21)와 관련하여 설명된 재료 이외에 예를 들면 천연 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실리콘 고무, 아크릴 고무 및 이소프렌 고무 등의 고무 재료, 그리고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다양한 종류의 엘라스토머가 차광부(29)의 구성 재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차광부(29)가 낙하 및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 재료가 유리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프 부분(23)의 앙 축선(X1)은 디스플레이 유닛(22)의 화면과 교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니터 장치(2)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중앙 축선(X1)은 디스플레이 유닛(22)의 중심(22a)으로부터 위쪽으로 벗어나 있는 지점(G)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2)의 화면과 교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인두경 장치(1)를 사용하는 동안(오퍼레이터가 구강 또는 인두강을 관찰할 때) 디스플레이 유닛(22)의 화면의 가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약간 위쪽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22)의 화면은 스코프 부분(23)의 중심 축선(X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인두강 장치(1)를 사용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유닛(22)의 가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스코프 부분(23)의 중심 축선(X1)과 디스플레이 유닛(22)의 화면 사이의 각도(θ)는 50°내지 80°의 범위의 각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5°이다. 이러한 각도(θ)의 범위내에서, 상술한 장점이 현저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부분(24)은 절두원뿔형의 베이스 부분(241) 및 베이스 부분(241)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 핀(242, 243)을 포함하고 있다. 결합 핀(242, 243)은 중심 축선(X1)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스코프 부분(23)은 긴 원통형(봉)이다. 커버 부재(31)의 보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코프 부분(23)이 진찰 받는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기 때문에, 스코프 부분(23)은 구강의 깊은 내부 공간에 충분히 도달할 정도로 길게 구성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프 부분(23)에 세개의 보어(23a, 23b, 23c)가 형성되어 있다. 보어(23a, 23b, 23c)는 중심 축선(X1)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스코프 부분(23)의 선단부(231)에 개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23a)는 선단부(231)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어(23b, 23c)는 보어(23a)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어(23a, 23b, 23c)는 설압자(32)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뻗은, 즉 설압자(32)의 폭방향과 평행하고 중심 축선(X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라인(J2)에 배치된다.
보어(23a)에 대물 렌즈 시스템(51)이 끼워진다. 실질적으로 무색의 투명한 부재(61, 62)가 보어(23b, 23c)에 각각 끼워진다. 예를 들면, 무색의 투명한 부재(61, 62)는 다양한 유리 재료 또는 다양한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무색의 투명한 부재(61, 62)가 조명 창(232, 233)을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유닛(4)은 제 1 조명부(4A) 및 제 2 조명부(4B)를 포함하고 있다. 조명부(4A)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조명부(4A)는 보어(23b) 내에 배치되는 평면 오목 렌즈(43), 광섬유 다발(41) 및 LED(4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2 조명부(4B)는 평면 오목 렌즈(44), 광섬유 다발(42) 및 LED(46)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은 제 1 조명부(4A)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되고, 제 2 조명부(4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광섬유 다발(41)은 보어(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평면 오목 렌즈(43) 및 LED(45)는 광섬유 다발(41)의 선단부 및 기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평면 오목 렌즈(43)는 조명 창(232)과 대향하도록 조명 창(232) 근처에 배치된다.
LED(45)가 발광할 때, 빛은 광섬유 다발(41)의 선단부로부터 방사된다. 방사 광은 평면 오목 렌즈(43)를 통과한다. 다음에, 조명 창(232)을 통하여 방사 광은 관찰할 영역(또는 피사체)를 조명한다. 방사 광이 평면 오목 렌즈(43)를 통과할 때, 발산되고 균일화된다. 그 결과, 모니터 장치(2)는 넓은 범위에 대해 균일하게 관찰 영역을 조명할 수 있다.
LED(45, 46)로부터 방사된 광이 직접 평면 오목 렌즈에 도입되도록 LED(45, 46)는 평면 오목 렌즈(43, 4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섬유 다발(41, 42)은 스코프 부분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된 조명 유닛(4)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진찰 받는 환자의 구강을 관찰할 때 예를 들면 일광 또는 펜라이트 광 등의 구강 외부로부터의 외부광을 도입하지 않고 관찰 영역의 화상이 촬상 유닛(5)에 의해 확실하게 촬상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구강을 관찰 하는 동안 진찰 받는 환자는 입을 다물수 있다. 그러므로, 진찰 받는 환자의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조명부(4A) 및 제 2 조명부(4B)가 대물 렌즈 시스템(51)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조명 유닛(4)은 더욱 균일하게 관찰 영역을 조명할 수 있고, 촬상 유닛(5)은 더욱 선명하게 관찰 영역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조명부(4A) 및 제 2 조명부(4B)는 라인(J2)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조명부(4A, 4B)로부터 방사된 광의 일부가 설압자(32)의 선단부(321)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도 8 참조). 따라서, 조명 유닛(4)은 구강의 넓은 영역을 조명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유닛(5)은 상술한 대물 렌즈 시스템(광학 시스템)(51), 및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센서 등의 촬상 소자(52)를 포함하고 있다. 촬상 소자(52)는 대물 렌즈 시스템(51)보다 스코프 부분(23)의 기단부에 더욱 가깝게 배치된다. 대물 렌즈 시스템(51) 및 촬상 소자(52)는 스코프 부분(23)의 보어(23a)에 구비된다. 촬상 소자(52)는 보어(23a)를 통하여 뻗어 있는 신호 라인(53)에 접속된다.
조명 유닛(4)으로부터 방사된 조명광은 관찰 영역에서 반사하여 관찰 영역의 화상을 형성하는 반사광을 생성한다. 반사광의 일부는 대물 렌즈 시스템(51)으로 도입되고 촬상 소자(52)의 수광면에 모인다.
촬상 소자(52)는 수광면에 모인 반사광을 수광한다. 그 결과, 관찰 영역의 화상이 촬상된다. 촬상 소자(52)는 촬상된 관찰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예를 들면, CCD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신호는 신호 라인(53)을 경유하여 신호 처리 회로(도시 생략)에 입력된다. 신호 처리 회로는 화상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신호 처리된 화상 신호는 소정의 텔레비전 신호로 변환된 다음에 디스플레이 유닛(22)에 입력된다. 결과적으로, 촬상 소자(52)에 의해 촬상된 관찰 영역의 화상(전자 화상)이 디스플레이 유닛(22)의 화면에 표시된다.
상술한 조명 유닛(4) 및 촬상 유닛(5)에 따라,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구강 및 인두강이 관찰될 수 있다. 구강 삽입 기구(3)는 좁게 벌린 입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강 삽입 기구(3)가 환자의 입에 삽입된 후에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다물더라도 관찰이 실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진찰 받는 환자의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린 상태에서 혀를 누름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구토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구강 삽입 기구(3)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강 삽입 기구(3)는 진찰 받는 환자의 구강에 삽입된다. 일단 구강 삽입 기구(3)가 사용되면, 사용된 구강 삽입 기구는 폐기 또는 소독하여 재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삽입 기구(3)는 커버 부재(31), 커버 부 재(31)에 인접하여 배치된 설압자(32), 및 부착 유닛(33)을 포함하고 있다. 커버 부재(31)에 모니터 장치(2)의 스코프 부분(23)이 삽입된다. 설압자(32)는 긴 플레이트 형태이다. 부착 유닛(33)은 모니터 장치(2)에 구강 삽입 기구(3)(커버 부재(31))를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구강 삽입 기구(3)의 구성 재료는 특정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다양한 폴리머 재료가 구강 삽입 기구(3)의 구성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커버 부재(31)는 긴 부재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1)는 위쪽으로 돌출된 볼록한 곡면에 의해 형성된 상부면(31a)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찰 받는 환자는 통증의 불쾌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구강 삽입 기구가 진찰 받는 환자의 혀 또는 구강을 손상시키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1)의 폭(W2)은 커버 부재(31)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대략 일정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 부재(31)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커버 부재(31)의 크기(또는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1)는 모니터 장치(2)의 스코프 부분(23)이 삽입되는 보어(311)를 가지고 있다. 보어(311)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고 대향하는 양쪽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보어(311)의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311a)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무색의 투명한 재료(34)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커버 부재(31)는 유체 밀봉된다.
보어(311)의 길이는 스코프 부분(23)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강 삽입 기구(3)가 모니터 장치(2)에 부착될 때(이하 간단히 "부착 상태"라 함)스코프 부분(23)의 선단부(231)는 커버 부재(31)의 개구(311a) 가까이 배치된다.
보어(311)의 직경은 길이방향으로 대략 일정하며 스코프 부분(23)의 선단부(231)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착 상태에서 커버 부재(31)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커버 부재(31)는 스코프 부분(23)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보어(311)의 중심 축선은 X2로 나타낸다. 부착 상태에서, 보어(311)의 중심 축선(X2)는 스코프 부분(23)의 중심 축선(X1)과 일치한다.
설압자(32)는 커버 부재(31)와 일체로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압자(32)는 평탄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 설압자(32)의 폭(W1)은 선단부(321) 이외의 영역(T)에서 일정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압자(32)는 중심 축선(X2)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설압자(32)에 의해 혀가 눌려질 때 중심 축선(X1)의 양측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힘(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인두경 장치(1)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설압자(32)의 선단부(321)의 폭(W1)은 커버 부재(31)의 폭(W2)보다 크다.
게다가, 설압자(32)의 선단부(321)는 커버 부재(31)의 선단부로부터 도 10에서 우측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혀가 설압자(32)에 의해 아래쪽(아래턱 쪽)으로 눌려질 때, 눌려진 부분 바깥쪽의 살이 융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니터 장치(2)의 촬상 유닛(5)의 시야가 융기된 살에 의해서 방해 를 받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압자(32)의 선단부(231)는 둥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찰 받는 환자는 통증의 불쾌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구강 삽입 기구(3)가 진찰 받는 환자의 혀 또는 구강을 손상시키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선단부(321)는 반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반원의 직경(폭)은 영역(T)의 폭(W1)과 동일하다. 따라서, 구강 삽입 기구(3)는 진찰 받는 환자의 구강에 원활하게 삽입되고 구강으로부터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치아, 혀, 구강, 인두, 입술, 잇몸 점막 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압자(32)의 선단부(321)는 또한 두께방향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압자(32)의 선단부(321)는 둥근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찰 받는 환자는 통증의 불쾌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구강 삽입 기구(3)가 진찰 받는 환자의 혀 또는 구강을 손상시키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압자(32)는 폭방향(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버 부재(31)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직선의 에지부(322, 323)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설압자(32)에 의해 혀가 아래쪽으로 눌려질 때 눌려진 부분의 바깥쪽의 융기된 살이 커버 부재(31)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강 삽입 기구(3)와의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진찰 받는 환자는 통증의 불쾌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구강 삽입 기구가 진찰 받는 환자의 혀 또는 구강을 손상시키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관찰이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압자(32)의 각각의 에지부(322, 323)는 두께방향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에지부(322, 323)는 둥근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설압자(32)에 의해 혀가 눌려질 때 진찰 받는 환자는 통증의 불쾌감으로부터 해방된다. 더욱이, 구강 삽입 기구가 진찰 받는 환자의 혀 또는 구강을 손상시키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설압자(32)는, 설압자(32)에 의해 혀가 눌려질 때 실질적으로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강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혀는 작은 힘으로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유닛(33)은 커버 부재(31)의 기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 부재(31)는 모니터 장치(2)(또는 조인트 부분(24))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부착 유닛(33)은 커버 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된 통상부(331) 및 통상부(331)의 측벽에 형성된 규제부(332)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부(331)는 절두원뿔형이다. 통상부(331)는 그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331a)를 가지고 있다. 중공부(331a)는 커버 부재(31)의 보어(311)와 연통하다. 통상부(331)의 중공부(331a)는 조인트 부분(24)의 베이스 부분(241)보다 약간 크며 조인트 부분(24)의 베이스 부분(241)과 대체로 유사하다. 따라서, 베이스 부분(241)은 통상부(331)에 끼워질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부(331)는 베이스 부분(241)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규제부(332)는 부착 상태에서 구강 삽입 기구(3)의 중심 축선(X)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기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부(332)는 통상부(331)의 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노치(결합부)(332a, 332b)를 포함하고 있다.
노치(332a)는 통상부(331)의 기단부로부터 통상부(331)의 선단부를 향하여 뻗은 다음에 통상부(331)의 둘레방향으로 약 90°굴곡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노치(332a)는 L자 형상이다. 결합 핀(242)이 노치(332a)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노치(332a)의 폭은 모니터 장치(2)의 결합 핀(242)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노치(332b)는 노치(332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노치(332a, 332b)는 중심 축선(X2)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구강 삽입 기구(3)는 이하에 설명하는 방식으로 모니터 장치(2)에 부착된다.
우선,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2)의 스코프 부분(23)이 커버 부재(31)의 보어(311)에 삽입되도록 구강 삽입 기구(3)가 중심 축선(X1)을 따라 모니터 장치 보디(21) 쪽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332a) 및 노치(332b)가 결합 핀(242) 및 결합 핀(243)과 각각 정렬되도록 구강 삽입 기구(3)가 중심 축선(X1)에 대하여 회전된다.
다음에,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핀(242, 243)이 노치(332a, 332b)의 절곡부에 각각 도달할 때까지 구강 삽입 기구(3)가 중심 축선(X1)을 따라 모니터 장치 보디(21) 쪽으로 이동된다.
그 후에,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핀(242, 243)이 노치(332a, 332b)의 단부에 각각 도달할 때까지 구강 삽입 기구(3)가 중심 축선(X1)에 대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구강 삽입 기구(3)는 모니터 장치(2)에 완전히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구강 삽입 기구(3)는 모니터 장치(2)에 대하여 중심 축선(X)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모니터 장치(2)로부터 구강 삽입 기구(3)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술한 것과 반대의 조작이 실행된다.
부착 유닛(33)에 의해, 구강 삽입 기구(3)는 모니터 장치(2)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구강 삽입 기구(3)가 중심 축선(X)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에 구강 삽입 기구(3)의 부착 및 중심 축선(X)의 방향으로 구강 삽입 기구(3)의 이동 규제가 동시에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구강 삽입 기구(3)는 모니터 장치(2)에 더욱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당연히, 구강 삽입 기구는 새로운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두경 장치(1)에 의해,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구강 및 인두강이 관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입을 크게 벌린 상태에서 혀를 누름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구토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그리고 구강 삽입 기구(3)가 환자의 구강에 삽입된 후에 진찰 받는 환자가 입을 다문 경우에도 불쾌감 없이 구강 및 인두강이 관찰될 수 있다.
더욱이,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 구강 및 인두강이 관찰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관찰될 수 있는 구강의 영역이 증가된다. 따라서, 정확한 관찰이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오퍼레이터는 자세 또는 시선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 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신체적인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삽입 기구 및 인두경 장치는 예시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예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삽입 기구 및 인두경 장치에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는 임의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상술한 구성요소에 부가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 규제부는 통상부에 형성된 노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규제부는 이러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규제부는 통상부의 내부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두경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인두경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인두경 장치의 모니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모니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 는 도 3에 도시된 모니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6 은 도 3에 도시된 모니터 장치의 스코프 부분의 선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7 은 도 6에 도시된 스코프 부분의 선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 은 도 1에 도시된 인두경 장치의 구강 삽입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9 는 도 8에 도시된 구강 삽입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0 은 도 8에 도시된 구강 삽입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도 11a 내지 11d 는 모니터 장치에 구강 삽입 기구의 부착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Claims (25)

  1. 중심 축선을 구비한 긴 스코프 부분을 갖고 있는 모니터 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할 때 모니터 장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구강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구강 삽입 기구로서, 상기 구강 삽입 기구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어를 갖고 있는 긴 커버 부재;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긴 설압자; 및
    커버 부재를 모니터 장치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모니터의 스코프 부분은 부착을 위해 보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커버 부재는 선단부 및 선단부 반대쪽의 기단부를 가지고 있고, 커버 부재는 소정의 폭을 갖고 있으며,
    설압자는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 부재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커버 부재와 접촉하며, 설압자는 커버 부재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선단부 및 선단부 반대쪽의 기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설압자의 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커버 부재의 선단부를 초과하여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설압자의 선단부는 평면도로 보았을 때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설압자의 선단부의 에지는 두께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설압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버 부재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한 쌍의 측면 에지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에지부는 두께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설압자는 평면도로 보았을 때 스코프 부분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설압자는 혀가 설압자에 의해 눌려질 때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의 폭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 유닛은 커버 부재의 기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 유닛은 모니터에 대하여 커버 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 기구.
  12. 스코프 부분을 갖고 있는 모니터 장치 및 제 1 항에 정의된 구강 삽입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인두경 장치에 있어서, 스코프 부분은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봉 형상의 형태이며 선단부 및 선단부 반대쪽의 기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는 돌출된 결합 핀을 가지고 있는 조인트 부분을 더 포함하고 있고,
    구강 삽입 기구의 부착 유닛은 조인트 부분에 대하여 커버 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조인트 부분의 결합 핀과 결합하는 L자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는:
    스코프 부분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모니터 장치 보디,
    구강의 관찰 영역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 유닛, 및
    화면을 가지고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모니터 장치 보디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는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할 화상의 관찰 영역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촬상 유닛은:
    스코프 부분의 선단부에 구비된 대물 렌즈, 및
    관찰 영역의 화상이 대물 렌즈에 의해 모아지는 수광면을 가지고 있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있고,
    조명 유닛은 촬상 유닛의 대물 렌즈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스코프 부분의 선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조명부는 설압자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라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스코프 부분의 중심 축선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은 스코프 부분의 중심 축선과 화면의 교차점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중심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은 스코프 부분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모니터 장치 보디에 구비된 차광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22. 제 14 항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 보디는, 모니터 장치 보디를 유지하기 위하여 오퍼레이터의 손가락이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자리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자리부는 스코프 부분 근처의 모니터 장치 보디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자리부는 모니터 장치 보디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 보디는 제 1 표면 및 제 1 표면의 반대쪽에 배치된 제 2 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자리부는:
    스코프 부분 근처의 모니터 장치 보디의 제 1 표면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모니터 장치 보디의 제 1 표면에 형성된 제 1 손가락 자리부, 및
    모니터 장치 보디의 제 2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는 제 2 손가락 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경 장치.
KR1020080134132A 2007-12-27 2008-12-26 구강 삽입 기구 및 인두경 장치 KR20090071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8336 2007-12-27
JP2007338336A JP5145587B2 (ja) 2007-12-27 2007-12-27 口腔挿入具および口腔咽頭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464A true KR20090071464A (ko) 2009-07-01

Family

ID=4047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132A KR20090071464A (ko) 2007-12-27 2008-12-26 구강 삽입 기구 및 인두경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78559B2 (ko)
EP (1) EP2074951B1 (ko)
JP (1) JP5145587B2 (ko)
KR (1) KR20090071464A (ko)
CA (1) CA2647784A1 (ko)
ES (1) ES2684759T3 (ko)
IL (1) IL196235A0 (ko)
TW (1) TWI4611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03654D0 (en) 2009-03-03 2009-04-15 Laryngeal Mask Company The Ltd Artificial airway device
GB201016562D0 (en) 2010-10-01 2010-11-17 Laryngeal Mask Company The Ltd Artificial airway device
US20130096457A1 (en) * 2011-10-18 2013-04-18 Qscope, LLC Oral scope system with image sensor and method for visual examination of oral cavity and upper airway
GB201120628D0 (en) 2011-11-30 2012-01-11 Laryngeal Mask Company The Ltd Endoscopy device
ES2951058T3 (es) * 2012-03-09 2023-10-17 3Shape As Escáner 3D con punta autoclavable por vapor que contiene un elemento óptico calentado
TWI572311B (zh) * 2012-11-29 2017-03-01 喉罩股份有限公司 咽喉鏡裝置
WO2016185463A1 (en) * 2015-05-19 2016-11-24 Tyto Car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hroat imaging
KR101848159B1 (ko) * 2016-10-04 2018-04-11 이한영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JPWO2018230131A1 (ja) * 2017-06-15 2019-06-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CN110840389A (zh) * 2019-12-03 2020-02-28 平凉市第二人民医院 一种儿科可视化压舌板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3373A (en) * 1924-07-01 1927-01-04 Foster A Beck Combined suction tube and tongue depressor
US1638986A (en) * 1925-03-05 1927-08-16 Zeng Standard Company De Diagnostic instrument
US2014879A (en) * 1933-10-09 1935-09-17 American Optical Corp Diagnostic instrument
US2004808A (en) * 1934-02-24 1935-06-11 Bausch & Lomb Diagnostic instrument
US2648329A (en) * 1951-10-18 1953-08-11 Morch Ernst Trier Laryngoscope
US2756742A (en) * 1953-08-18 1956-07-31 Barton Foundation Endotracheal tongue blade with tube guide
US3349764A (en) * 1964-10-07 1967-10-31 Edinger Ladislav Leslie Self-illuminating tongue depressor with detachable tongue blade
US3435820A (en) * 1966-02-16 1969-04-01 Stanley Taub Illuminating endoscope with detachable shield
US3734084A (en) * 1970-10-28 1973-05-22 D Ousterhout Mechanical tongue depressor
US4742819A (en) * 1987-03-23 1988-05-10 George Gordon P Intubating scope with camera and screen
DE8900120U1 (ko) * 1989-01-05 1990-02-08 Effner Gmbh, 1000 Berlin, De
JPH03114201A (ja) 1989-09-27 1991-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ップ抵抗器
JPH03114201U (ko) * 1990-03-09 1991-11-22
US5643221A (en) * 1990-05-04 1997-07-01 Bullard; James Roger Controlled targeting laryngoscope
US5060633A (en) * 1990-08-31 1991-10-29 Gibson Michael S Laryngoscope blade
ES1016092Y (es) 1991-01-11 1992-05-01 Cobo De La Cruz Jose Depresor anatomico lingual desechable y esteril, para la exploracion del istmo de las fauces y la faringe.
JP3110168B2 (ja) 1992-08-24 2000-11-20 鐘紡株式会社 共重合ポリエステル被覆電線
US5363838B1 (en) * 1992-12-09 2000-03-28 Gordon P George Fiberoptic intubating scope with camera and lightweight portable screen and method of using same
US5513622A (en) * 1994-04-04 1996-05-07 Musacchia, Sr.; John Fastening device
US5584796A (en) * 1994-08-10 1996-12-17 Cohen; Barry J.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cting and viewing bodily tissues on remote display device
US6554765B1 (en) * 1996-07-15 2003-04-29 East Giant Limited Hand held, portable camera with adaptable lens system
US6432046B1 (en) * 1996-07-15 2002-08-13 Universal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Hand-held, portable camera for producing video images of an object
US5879289A (en) * 1996-07-15 1999-03-09 Universal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Hand-held portable endoscopic camera
US5845634A (en) * 1997-03-18 1998-12-08 Parker Medical Limited Partnership Endoscope viewing system with orotracheal introducing guide
US5941816A (en) * 1997-04-15 1999-08-24 Clarus Medical Systems, Inc. Viewing system with adapter handle for medical breathing tubes
US6655377B2 (en) * 1997-12-01 2003-12-02 Saturn Biomedical Systems Inc. Intubation instrument
JP2000175867A (ja) 1998-12-15 2000-06-27 Moritex Corp 喉頭鏡
US6652453B2 (en) * 1999-03-03 2003-11-25 Vincent A. Smith Portable video laryngoscope
IL138441A (en) * 2000-09-13 2005-08-31 Alex Strovinsky Tongue depressor and throat viewing assembly
US7057639B2 (en) * 2001-02-28 2006-06-06 Eastman Kodak Company Intra-oral camera with integral display
US6929600B2 (en) * 2001-07-24 2005-08-16 Stephen D. Hill Apparatus for intubation
US6830545B2 (en) * 2002-05-13 2004-12-14 Everest Vit Tube gripper integral with controller for endoscope of borescope
JP2005143756A (ja) 2003-11-13 2005-06-09 Scalar Corp 経口エアウェイ、及び気道確保補助器具
US20050171399A1 (en) * 2004-01-23 2005-08-04 Rich Tony C. TR309 - portable otoscope video viewer
JP4814504B2 (ja) * 2004-09-27 2011-11-16 淳一 小山 挿管支援具および挿管支援装置
JP4761928B2 (ja) 2005-10-24 2011-08-31 Hoya株式会社 挿管支援装置
US20070179342A1 (en) * 2006-01-12 2007-08-02 Kb Port Llc Wireless Laryngoscope with Internal Antennae and One Piece Construction Adapted for Laryngoscopy Training
US8166967B2 (en) * 2007-08-15 2012-05-01 Chunyuan Qiu Systems and methods for intubation
USD637716S1 (en) * 2009-10-02 2011-05-10 Indian Ocean Medical Inc. Blade for a laryng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4951A3 (en) 2010-11-10
CA2647784A1 (en) 2009-06-27
TWI461174B (zh) 2014-11-21
EP2074951B1 (en) 2018-05-23
JP5145587B2 (ja) 2013-02-20
EP2074951A2 (en) 2009-07-01
JP2009153923A (ja) 2009-07-16
US20090171155A1 (en) 2009-07-02
TW200942206A (en) 2009-10-16
IL196235A0 (en) 2009-09-22
ES2684759T3 (es) 2018-10-04
US9078559B2 (en)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1464A (ko) 구강 삽입 기구 및 인두경 장치
US11058286B2 (en) Ear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condition of a subject's ear
JP6489652B2 (ja) 耳鏡装置
CN105555181B (zh) 识别受试者的耳朵中的对象的方法
US20060161048A1 (en) Flexible video scope extension and methods
KR20160005675A (ko) 검이경
EA017088B1 (ru) Диагностическая камера и насадка для нее
KR20160004995A (ko) 검이경
JP3940503B2 (ja) 喉頭鏡
CN109640782B (zh) 诊察视野确保式视频内窥镜
US20140012079A1 (en) Pipe endoscope
JP2006271688A (ja) 内視鏡装置
JP2004321478A (ja) 電子内視鏡用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具
WO2020145238A1 (ja) 口腔内観察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